KR100938622B1 -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622B1
KR100938622B1 KR1020090032081A KR20090032081A KR100938622B1 KR 100938622 B1 KR100938622 B1 KR 100938622B1 KR 1020090032081 A KR1020090032081 A KR 1020090032081A KR 20090032081 A KR20090032081 A KR 20090032081A KR 100938622 B1 KR100938622 B1 KR 100938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dentification number
locker
unique address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철
Original Assignee
이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철 filed Critical 이의철
Priority to KR1020090032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은, 도어로 개폐되는 복수의 사물함, 상기 사물함 각각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를 로킹시키고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며 자신의 고유 주소를 기억하는 로킹부, 상기 로킹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물함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사물함 사용을 위한 메뉴 및 사용자 명령을 입출력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한 전자 사물함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사물함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의 설정 모드 진입시, 상기 모든 로킹부의 고유 주소를 상기 제어부에서 입수하는 고유 주소 입수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파악된 모든 고유 주소에 도어 열림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도어를 모두 여는 도어 열림 단계;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는 각 도어의 순서대로 상기 제어부가 각 사물함별 식별 번호를 설정하는 식별 번호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AUTO IDENTIFICATION METHOD OF AUTO LOCKER}
본 발명은 전자 사물함 장치의 식별 번호를 부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물건의 보관, 배달, 물건의 중계를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적합한 전자 사물함에 식별 번호를 간단히 설정하고 갱신 관리할 수 있는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학교나 건물, 역 대합실과 같은 공공 장소에 사용자의 개인 물건 보관을 위하여 사물함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함은 대부분 수동식 키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이므로 도어 잠금을 자동화시키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전자식 잠금 장치를 채용한 전자 사물함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사물함은 중앙 제어부를 두고 RS422 또는 RS485 통신을 사용하여 전자적 잠금 장치가 설치된 사물함 여러 개를 병렬적으로 신호선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때 각 전자 사물함별로 설치된 전자적 잠금 장치를 구동하는 전자 사물함 보드는 중앙 제어부와 통신을 위한 고유 주소를 가져야 하는데 이러한 통신 용 고유 주소가 설정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동일한 고유 주소를 가진 전자 사물함 보드가 여러 개 있다면 통신 충돌 현상이 발생하여 중앙 제어부와의 원활한 통신이 불가능하며, 동일한 고유 주소를 가진 전자 사물함 보드에 문 열림 명령을 동시에 전송한다면 동일한 고유 주소를 가진 전자 사물함 보드 수만큼의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여 최악의 경우 전자 사물함 시스템 전체가 파괴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사물함은 중앙 제어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용 고유 주소 외에 고객이 각 사물함을 식별 인식하기 위한 식별 번호가 필요하다. 보통 식별 번호는 1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증가하며 전자 사물함 전면에 스티커 형태로 부착된다.
대부분의 전자 사물함 시스템의 경우 통신용 고유 주소와 고객 식별용 일련번호가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전자 사물함의 식별 번호는 스위치나 점퍼 셋팅(setting)으로 부여한다. 이는 전자 사물함 시스템의 설치 과정에서 전자 사물함의 전면 스티커 번호를 보고 이 번호를 스위치나 점퍼 셋팅을 통하여 고객 식별 번호로 부과하는 것이다.
스위치나 점퍼 셋팅에 의한 식별 번호 부과 방식의 경우, 전자 사물함 장치의 설치시 하드웨어 셋팅의 어려움, 스위치 파손 가능성, 스위치 설치에 따른 하드웨어 비용 추가, 사물함의 수량이 많아지면 스위치 수도 증가하여 셋팅 어려움이 누적적으로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위치나 점퍼 셋팅에 의한 식별 번호 부과 방식의 경우, 만약 실수로 셋팅이 잘못되어 한 개의 통신용 고유 주소에 대하여 여러 개의 식별 번호가 부과됨으로써 중앙 제어부와 통신 충돌이나, 잘못된 문 열림 명령에 의해 도어의 로킹 상태가 제멋대로 되거나, 시스템 과부하로 장치 전체의 오동작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 및 로킹 보드의 제어 명령 입출력을 위한 통신용 고유 번호와 사용자의 시각적 인식을 위한 식별 번호의 2가지 번호 체계를 이용하고 이들을 정확하게 일대일 대응시키는 사물함의 식별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보안성과 신뢰성이 향상된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은, 도어로 개폐되는 복수의 사물함, 상기 사물함 각각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를 로킹시키고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며 자신의 고유 주소를 기억하는 로킹부, 상기 로킹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물함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사물함 사용을 위한 메뉴 및 사용자 명령을 입출력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한 전자 사물함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사물함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의 설정 모드 진입시, 상기 모든 로킹부의 고유 주소를 상기 제어부에서 입수하는 고유 주소 입수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파악된 모든 고유 주소에 도어 열림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도어를 모두 여는 도어 열림 단계;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는 각 도어의 순서대로 상기 제어부가 각 사물함별 식별 번호를 설정하는 식별 번호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또는 점퍼 셋팅에 의한 고유 주소 부과 방식에 비해서 비용 절감 및 하드웨어 축소 그리고 설치의 편리성과 같은 장점이 있고, 어떠한 경우에도 2개 이상의 도어 열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시스템의 안정성이 확보되며(스위치나 점퍼 셋팅의 경우 설치자의 실수로 동일한 식별 번호 셋팅이 빚어질 수 있다), 하나의 전자 사물함 고장시 전체의 식별 번호 셋팅없이 자동으로 통신용 고유 주소를 입수하고 식별 번호를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으므로 전자 사물함 장치의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고, 여러 개의 전자 사물함 교체시 전체 전자 사물함의 식별 번호를 수정하지 않고 빠진 번호 즉 교체된 식별 번호만 간단하게 갱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 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사물함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식별 번호 부여 방법이 적용된 전자 사물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 사물함 장치 및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70)는 여러 기능 메뉴를 내장하여 사용자의 유비쿼터스 욕구에 부흥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언어 설정부를 구비하여 터치 패널(10)에 표시할 언어 또는 사용자 안내 음성을 설정할 수 있고, 사물함(40) 관리부를 구비하여 로킹부(50)를 통해 사물함(40) 개폐 동작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설정부를 구비하여 서버(200)와 연결되는 전자 사물함 장치(100)의 IP 또는 DNS 관리를 웹 기반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력 관리부를 구비하여 사물함(40)의 사용 시간이나 각 사용자별 위반 사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문자 안내 정보를 발송하는 SMS부와 사용자의 인증 상태를 관리하는 인증 관리부를 구비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사물함 장치는 물건의 보관 기능은 물론, 무인 택배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적합하고, 사용자 이력 관리 및 사용자 인증 수단을 구비하여 보안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제고된 물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시대의 물류 장치로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무인 택배 시스템은 주거 시설, 업무 시설, 공공 장소, 상업 시설 등에 설치 되어 물건의 수발시 거주자가 부재 중이거나 물건의 배달자와 대면없이 물품의 수령과 발송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택배업자가 물건을 보관하거나 거주자가 물건을 보낼 때 물건의 중계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물류 시스템이며 휴대폰, 스마트 카드, RF ID 등의 사용자 인증 수단이 있으면 수령과 발송은 물론 요금 결제까지 모두 가능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사물함 장치를 이용하면, 강의실이나 교실에 물품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유비쿼터스 캠퍼스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기존 학생증 카드를 중앙처리장치(CPU)와 메모리 반도체가 탑재된 스마트카드로 대체하고, 스마트카드에는 지문정보와 같은 개인정보와 개인정보의 유출을 막아주는 첨단 보안 솔루션을 내장시킨다. 이러한 스마트카드를 활용해 개인 정보를 입출력 및 관리하는 스마트카드 응용 시스템, 전자 사물함 장치의 시간별 사용 이력을 체크함으로써 수업 출석 여부를 체크하는 전자 출결 시스템(E-Attendance System) 등의 응용 기능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나아가 학교 도서관 관리 시스템 및 일정 구역에서 전자 화폐 시스템의 구성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사물함 장치(100)는,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이 되는 사물함(40)과, 사물함(40)을 개폐하는 로킹부(50)와, 메뉴 및 사용자 명령을 입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와, 로킹부(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여러 곳에 분산 배치된 전자 사물함 장치(10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00)와 연결되어 통합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사물함(40) 끼리의 연결을 포함한 전자 사물함 장치(100) 내부에 대하여 전원 또는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부(90)가 마련되는데, 연결부(90)의 실시예로서 RS422, RS485, RS232등의 프로토콜이 채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는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에 관한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 지령을 입출력하기 위한 그래픽 표시 장치로서, 사용자 인증 수단과 터치 패널(10)을 구비한다. 터치 패널(10)은 메뉴 표시 및 사용자 지령 입력 수단이 된다.
사용자 인증 수단은 지문 인식기(30)와, 전자 사물함 장치(100)의 사용 안내 음성을 송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25), RF ID, 스마트 카드, 핸드폰 등의 사용자 정보를 읽기 위한 터치 패널(20) 등을 구비한다.
사물함(40)은 도어(43)로 개폐되며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이 되는 곳으로 복수로 배열된다. 사물함(40) 내부에는 제어부(70)와 연결되는 로킹부(50)가 마련되며, 로킹부(50)는 액츄에이터(51)에 의하여 도어(43)를 로킹시키거나 로킹 해제시키는 스토퍼(53)와, 로킹 보드(52)를 구비한다. 로킹 보드(52)는 제어부(70)와 연결되어 그 동작이 제어되며, 액츄에이터(51)를 구동하고 도어(43)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며, 공장에서 출하시 자신의 고유 주소를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에 기억하고 있는 PCB 형태의 구동 보드이다.
전자 사물함 장치(100)는 중앙에 제어부(70)를 두고 RS422, RS485, RS232 통신을 사용하여 전자식 잠금 장치가 설치된 사물함(40) 여러 개를 병렬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때, 각 사물함(40)을 식별하기 위해서 고유의 식별 번호가 필요 하며 만약 고유의 식별 번호가 없다면 제어부(70)와의 신호 입출력 통신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각 사물함(40)마다 마련되는 로킹 보드(52)의 고유 주소를 실시간으로 비교함으로써 사물함(40)의 식별 번호를 자동 설정한다. 즉, 공장 출하시 로킹 보드(52)에 자체적으로 기억된 고유 주소를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물함(40)의 식별 번호를 설정하며, 이와 같이 설정된 식별 번호에 따라 각 사물함(40)을 식별한다.
전자 사물함(40)에는 스토퍼(53), 액츄에이터(51)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 동작을 제어하며 도어(43) 열림 상태를 감지하고 사물함(40)의 동작 정보를 포함하여 제어부(70)와 동작 지령을 주고받는 로킹 보드(52)가 각각 설치된다. 제어부(70)에서 도어(43) 개방 명령이 입수되면 로킹 보드(52)는 도어(43)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여 사물함(40)을 개방한다. 물건의 수납이 완료되거나 제어부(70)에서 도어(43) 로킹 명령이 입수되면 로킹 보드(52)는 스토퍼(53)를 로킹 위치로 이동시켜 사물함(40)을 폐쇄한다.
로킹 보드(52)는 공장 출하시 예를 들어 4 바이트(byte)의 고유 주소가 부과되어 내부 저장 장소에 저장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전자 사물함(40)을 이용할 때 로킹 보드(52)에 저장된 고유 주소는 전혀 알 수 없으므로 도어(43)에 부착된 식별 번호(도 1을 참조하면 1~10까지의 식별 번호가 도어(43)의 표면에 기재되어 있다)를 보고 각 사물함(40)을 구분 식별한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10) 및 제어부(70)와 서버(200)에서도 식별 번호에 따 라 사물함(40)을 구분 식별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그러나, 임의의 배열로 설치되는 사물함(40)의 배치 순서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동작 지령을 입출력하기 위하여는 로킹 보드(52)의 고유 주소와 사물함(40)의 식별 번호를 일대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이 필요하다. 제어부(70)는 해당 사물함(40)에 대한 동작 제어시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고유 주소를 갖는 로킹 보드(52)에 사물함(40) 개폐 정보를 내보내게 되는 것이다.
이때, 모든 사물함(40)에 대한 식별 번호의 설정시, 모든 사물함(40)의 도어(43)를 연 다음 도어(43)가 닫히는 순서대로 각 사물함(40)별 식별 번호를 설정함으로써 스위치나 점퍼 세팅을 요하지 않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또한, 로킹부(50)가 내장된 사물함(40)을 몇 개 교체할 때 식별 번호를 새로 설정해주어야 하는데, 이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별 번호 부여 방법은, 전자 사물함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사물함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 설정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와, 모든 로킹부의 고유 주소를 제어부에서 입수하는 고유 주소 입수 단계와, 사용자 식별을 위한 식별 번호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전자 사물함 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전자 사물함(40)의 식별 번호를 부과하기 위하여 서버(200)나 제어부(70)로부터 특별한 명령을 받거나 터치 패널(10)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에 식별 번호 세팅 메뉴 버튼을 두어 식별 번호 세팅을 개시하는 모드로 진입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70) 및 로킹부(50)의 전원 및 신호 통신을 위한 통신용 고 유 주소 입수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유 주소 입수 단계로 진입하면 제어부(70)는 이와 연결된 모든 전자 사물함(40)에 각각 설치된 로킹 보드(52)의 통신용 고유 주소를 파악한다. 모든 로킹 보드(52) 4 바이트 고유 주소를 내장하며 이를 제어부(70)가 입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70)는 모든 로킹 보드(52)에 고유 주소 중 첫 번째 비트가 1인 로킹 보드(52)만 응답하라고 명령한다. 1이 아닌 로킹 보드(52)는 잠시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그리고 나서 고유 주소 중 두번째 비트가 1인 로킹 보드(52)만 응답하라고 명령한다. 마찬가지로, 두번째 비트의 값이 1이 아닌 로킹 보드(52)는 잠시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4 바이트의 자리수에 해당하는 32회를 반복하여 하나의 로킹 보드(52)에 저장된 4 바이트의 통신용 고유 주소를 획득한다.
이와 같이, 고유 주소가 얻어지면 그 고유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로킹 보드(52)에 고유 주소 획득에 성공했음을 알리고 고유 주소 입수 단계에서 빠질 것을 명령한다. 그리고, 잠시 대기 상태에 빠졌던 로킹 보드(52) 모두를 호출하여 다시 고유 주소 입수 단계에 참여할 것을 요청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로킹 보드(52) 개수만큼 반복하면 모든 로킹 보드(52)의 통신용 고유 주소를 입수할 수 있다.
즉, 고유 주소 입수 단계시, 제어부(70)는 고유 주소 중 첫번째 비트의 값이 1인 로킹부(50)만 응답하라고 명령하고 첫번째 비트의 값이 1이 아닌 로킹부(50)는 대기 상태에 두는 단계와, 상기 명령에 응답한 로킹부(50)에 대하여 고유 주소 중 두번째 비트의 값이 1인 로킹부(50)만 응답하라고 명령하고 두번째 비트의 값이 1이 아닌 로킹부(50)는 대기 상태에 두는 단계를 상기 고유 주소의 전체 비트 수만큼 계속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로킹부(50)에 대한 고유 주소의 입수를 완료하는 제1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고유 주소의 입수가 완료된 로킹부(50)를 상기 제1단계에서 제외하고 상기 대기 상태의 로킹부(50)에 대하여 상기 제1단계를 수행하는 제2단계를 반복한다. 따라서, 상기 모든 로킹부(50)에 대한 고유 주소를 입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식별 번호를 설정하는 식별 번호 생성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용 고유 주소가 획득되면 이를 기억한 고유 주소 배열을 이용하여 모든 전자 사물함(40)에 도어 열림 명령 또는 도어 열림 신호를 차례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도어 열림 과정에서 해당 전자 사물함(40)의 고장 여부도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열림 과정에서 도어 열림 신호를 전송했음에도 로킹 보드(52)에서 도어 열림을 감지하지 못했을 경우 해당 로킹 보드(52)에 오류가 발생했음을 통지한다.
모든 전자 사물함(40)의 도어(43)가 열리면 전자 사물함(40) 전면의 스티커를 보면서 1번부터 차례대로 전자 사물함(40)의 도어(43)를 닫는다.
제어부(70)는 통신용 고유 주소를 사용하여 도어(43)가 닫힌 로킹 보드(52)가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이 과정에서 닫힌 도어(43)가 없거나 2개 이상의 도어(43)가 닫혀 있다면 오류 메시지를 부저나 LED를 구비한 상태 표시부(6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닫힌 도어(43)가 확인되면 제어부(70)는 도어(43)가 닫히는 순서대로 해당 로킹 보드(52)에 순차적인 식별 번호를 부여한다. 식별 번호가 설정된 전자 사물함(40)은 식별 번호 생성 단계에서 제외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2번에서 마지막 번호(도 1을 참조하면 10번)까지 전자 사물함(40)의 도어(43)를 닫는 작업을 통하여 전자 사물함(40)의 식별용 일련 주소를 부과한다.
제어부(70)는 전자 사물함(40)이 일정 시간 동안 도어 닫힘 신호를 발생하지 않거나 모든 통신용 고유 주소에 식별 번호가 일대일 대응된 룩업 테이블의 생성이 완료되면 식별 번호 설정 모드를 종료한다. 즉, 제어부(70)는 일정 시간 동안 도어 닫힘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모든 고유 주소 및 식별 번호의 일대일 대응이 완료되면 상기 식별 번호의 설정 모드 또는 후술하는 식별 번호의 갱신 모드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식별 단계는, 전자 사물함 장치(100)를 설치하는 단계와, 각 사물함(4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의 설정 모드 진입시 모든 로킹부(50)의 고유 주소를 제어부(70)에서 입수하는 고유 주소 입수 단계와, 파악된 모든 고유 주소에 도어 열림 신호를 전달하여 도어(43)를 모두 여는 도어 열림 단계와,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는 각 도어(43)의 순서대로 제어부(70)가 각 사물함(40)별 식별 번호를 설정하는 식별 번호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식별 번호 생성 단계 완료 후, 제어부(70)는 고유 주소 및 식별 번호를 일대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생성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물함(40)의 개폐 제어 명령을 로킹부(50)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전자 사물함 장치(100)에 고장 등이 발생한 경우 이를 유지 보수하 기 위하여 로킹부(50) 중 일부를 새로운 고유 주소를 갖는 로킹부(50)로 교체한 경우에 수행되는 식별 번호 갱신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식별 번호가 모두 부여된 전자 사물함 장치(100)에서 사물함(40)의 고장으로 일부의 로킹 보드(52)를 교체할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통신용 고유 주소 및 식별 번호를 갱신한다.
서버(200)로부터 갱신하라는 특별한 명령을 받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에 부분 고유 주소 부여 버튼을 두어 부분적으로 고유 주소 또는 식별 번호의 설정이 가능한 갱신 모드로 진입한다.
갱신 모드로 진입하면, 제어부(70)는 이미 입수한 통신용 고유 주소 배열에 저장된 모든 통신용 고유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로킹 보드(52)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 통신용 고유 주소의 배열을 갱신한다. 갱신된 고유 주소 배열에 의할 때 갱신 전후에 고유 주소가 동일한 전자 사물함(40)들은 갱신 모드에서 제외한다.
새로 장착된 로킹 보드(52)의 통신용 고유 주소를 파악해야 하는데, 로킹 보드(52)는 4 바이트 고유주소를 내장하므로 교체된 고유 주소의 입수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어부(70)는 로킹 보드(52)에 고유 주소 중 첫번째 비트가 1인 로킹 보드(52)만 응답하라고 명령한다. 1이 아닌 로킹 보드(52)는 잠시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그리고 나서 고유주소 중 두번째 비트가 1인 로킹 보드(52)만 응답하라고 명령하다. 두번째 비트의 값이 1이 아닌 로킹 보드(52)는 잠시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방법을 32번 반복하여 교체된 하나의 로킹 보드(52)에 대한 4 바이트 고유 주소를 입수한다.
하나의 고유 주소가 얻어지면 그 고유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로킹 보드(52)에 고유 주소 획득에 성공했음을 알리고 고유 주소 입수 단계에서 빠질 것을 명령한다. 잠시 대기 상태에 빠졌던 로킹 보드(52) 모두에 대하여 다시 고유 주소 입수 단계에 참여할 것을 요청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새로 장착된 로킹 보드(52) 개수만큼 반복하면 새로 장착된 모든 로킹 보드(52)의 고유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식별 번호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 모드 진입시, 전자 사물함 장치(100)의 모든 로킹부(50)에 대하여 고유 주소 입수 단계를 다시 반복하고, 이렇게 입수된 고유 주소를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에 기억된 고유 주소와 비교하여 고유 주소의 차이가 감지되면 해당 사물함(40)에 관한 고유 주소를 서로 일치시킴으로써 각 사물함(40)별 식별 번호를 갱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식별 번호 생성 방법에 대하여 교체된 로킹 보드(52)가 한 개인 경우와 복수개인 경우를 나누어 설명한다.
우선, 새로 장착된 로킹 보드(52)가 한 개인 경우, 제어부(70)는 식별용 일련 주소 중에서 빠져 있는 번호를 확인하여 그 번호를 해당 로킹 보드(52)의 식별 번호로 결정한다.
즉, 제어부(70)는, 전자 사물함 장치(100)에 설치된 모든 사물함(40)에 대하여 고유 주소를 새로 입수하고 이를 룩업 테이블에 기억된 고유 주소와 비교한 결과 한 개의 고유 주소가 서로 일치되지 않으면 새로 교체된 로킹부(50)가 한 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고유 주소 입수 단계 전후에 상기 고유 주소가 서로 일치되지 않았던 식별 번호에 대한 고유 주소를 상기 새로 입수한 고유 주소로 갱신한다.
다음으로, 새로 장착된 로킹 보드(52)가 복수 개인 경우, 통신용 고유 주소 입수 단계가 완료되면 이 고유 주소를 이용하여 새로 장착된 전자 사물함(40)의 로킹 보드(52) 모두에 도어 열림 명령 또는 도어 열림 신호를 차례로 전송한다. 이러한 도어 열림 단계에서 해당 전자 사물함(40)의 고장 여부도 체크할 수 있다.
새로 장착된 전자 사물함(40)의 도어(43)가 열리면 제어부(70)는 식별 번호 중에서 고유 주소가 일치되지 않았던 가장 낮은 식별 번호를 터치 패널(10)에 보여준다.
제어부(70)는 통신용 고유 주소를 사용하여 도어(43)가 닫힌 로킹 보드(52)가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이 과정에서 닫힌 도어(43)가 없거나 2개 이상의 도어(43)가 닫혀 있다면 오류임을 부저나 LED를 구비한 상태 표시부(60)를 통하여 사물함(40)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닫힌 도어(43)가 확인되면 상기 가장 낮은 식별 번호를 해당 전자 사물함(40)에 부여한다.
식별 번호가 부여된 전자 사물함(40)은 식별 번호 생성 단계에서 제외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낮은 식별 번호부터 마지막 식별 번호까지(도 1을 참조하면 1번부터 10번까지) 순서대로 전자 사물함(40)의 도어(43)를 닫는 작업을 통하여 전자사물함(40)의 식별용 일련 주소를 생성한다.
제어부(70)는 전자 사물함(40)에 일정 시간 동안 도어 닫힘 신호가 발생하지 않거나 모든 통신용 고유 주소에 식별 번호가 일대일 대응되었다면 갱신 모드를 종료한다.
즉, 제어부(70)는, 전자 사물함 장치(100)에 설치된 모든 사물함(40)에 대하여 고유 주소를 새로 입수하고 이를 룩업 테이블에 기억된 고유 주소와 비교한 결과 복수인 N 개의 고유 주소가 서로 일치되지 않으면 새로 교체된 로킹부(50)가 N개인 것으로 판단하고 N개의 로킹부(50)에 도어 열림 신호를 전달하여 각각의 도어(43)를 모두 열고 도어 닫힘 신호의 입수를 대기하는 상태로 진입한다.
여기서, 제어부(70)는, N개의 로킹부(50)들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를 모두 찾고 이 중에서 가장 낮은 식별 번호를 터치 패널(10)에 표시하며 도어 닫힘 신호가 최초로 입수된 로킹부(50)의 새로운 고유 주소 및 터치 패널(10)에 표시된 식별 번호를 일대일 대응시킴으로써 룩업 테이블을 갱신하고 갱신 완료된 로킹부(50)는 룩업 테이블의 갱신 대상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갱신 모드를 완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사물함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식별 번호 부여 방법이 적용되는 전자 사물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0...터치 패널(touch panel)
20...리더기(reader) 30...지문 인식기
40...사물함 43...도어(door)
50...로킹부(locking portion) 51...액츄에이터(actuator)
52...로킹 보드(locking board) 53...스토퍼(stopper)
60...상태 표시부 70...제어부
90...연결부 100...전자 사물함 장치
200...서버(server)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도어로 개폐되는 복수의 사물함, 상기 사물함 각각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를 로킹시키고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며 자신의 고유 주소를 기억하는 로킹부, 상기 로킹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물함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사물함 사용을 위한 메뉴 및 사용자 명령을 입출력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한 전자 사물함 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사물함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의 설정 모드 진입시, 상기 모든 로킹부의 고유 주소를 상기 제어부에서 입수하는 고유 주소 입수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파악된 모든 고유 주소에 도어 열림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도어를 모두 여는 도어 열림 단계;
    도어 닫힘 신호가 입수되는 각 도어의 순서대로 상기 제어부가 각 사물함별 식별 번호를 설정하는 식별 번호 생성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번호 생성 단계 완료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 주소 및 상기 식별 번호를 일대일 대응시킨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생성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로킹부에 상기 사물함의 개폐 제어 명령을 전달하며,
    상기 로킹부의 교체에 따라 상기 식별 번호 중 적어도 일부를 갱신하는 갱신 모드 진입시, 상기 전자 사물함 장치의 모든 로킹부에 대하여 상기 고유 주소 입수 단계를 다시 반복하고, 이렇게 입수된 상기 고유 주소를 상기 룩업 테이블에 기억된 고유 주소와 비교하여 상기 교체된 로킹부가 감지되면 상기 교체된 로킹부가 설치된 해당 사물함의 식별 번호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사물함 장치에 설치된 모든 사물함에 대하여 상기 고유 주소를 새로 입수하고 이를 상기 룩업 테이블에 기억된 고유 주소와 비교한 결과 한 개의 고유 주소가 서로 일치되지 않으면 새로 교체된 로킹부가 한 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상기 식별 번호에 대한 고유 주소를 상기 새로 입수한 고유 주소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사물함 장치에 설치된 모든 사물함에 대하여 상기 고유 주소를 새로 입수하고 이를 상기 룩업 테이블에 기억된 고유 주소와 비교한 결과 복수인 N 개의 고유 주소가 서로 일치되지 않으면 새로 교체된 로킹부가 상기 N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N개의 로킹부에 도어 열림 신호를 전달하여 각각의 도어를 모두 열고 상기 도어 닫힘 신호의 입수를 대기하는 상태에서,
    상기 N개의 로킹부들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를 모두 찾고 이 중에서 가장 낮은 식별 번호를 상기 터치 패널에 표시하며 상기 도어 닫힘 신호가 최초로 입수된 로킹부의 새로운 고유 주소 및 상기 터치 패널에 표시된 식별 번호를 일대일 대응시킴으로써 상기 룩업 테이블을 갱신하고 갱신 완료된 상기 로킹부는 상기 룩업 테이블의 갱신 대상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
KR1020090032081A 2009-04-14 2009-04-14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 KR100938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081A KR100938622B1 (ko) 2009-04-14 2009-04-14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081A KR100938622B1 (ko) 2009-04-14 2009-04-14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622B1 true KR100938622B1 (ko) 2010-01-27

Family

ID=4181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081A KR100938622B1 (ko) 2009-04-14 2009-04-14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6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2347A (zh) * 2018-01-03 2018-06-05 宝鸡九七科技传媒有限公司 智慧化无人社区服务云柜系统以及应用方法
KR20210004831A (ko) * 2019-07-03 2021-01-13 썬전 하이브 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양면 잠금판 제어 방법 및 장치, 양면 캐비닛 및 저장 매체
KR20220161619A (ko) 2021-05-28 2022-12-07 (주)이어텍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6520A (ja) * 2001-06-29 2003-01-17 Yuniko:Kk 電子錠システム
KR200411059Y1 (ko) * 2005-12-30 2006-03-15 주식회사 비즈큐브 이중 보안 장치의 무인 디지털 사물함 시스템
JP2008250876A (ja) 2007-03-30 2008-10-16 Alpha Corp 貸しロッカー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6520A (ja) * 2001-06-29 2003-01-17 Yuniko:Kk 電子錠システム
KR200411059Y1 (ko) * 2005-12-30 2006-03-15 주식회사 비즈큐브 이중 보안 장치의 무인 디지털 사물함 시스템
JP2008250876A (ja) 2007-03-30 2008-10-16 Alpha Corp 貸しロッカー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2347A (zh) * 2018-01-03 2018-06-05 宝鸡九七科技传媒有限公司 智慧化无人社区服务云柜系统以及应用方法
KR20210004831A (ko) * 2019-07-03 2021-01-13 썬전 하이브 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양면 잠금판 제어 방법 및 장치, 양면 캐비닛 및 저장 매체
KR102418646B1 (ko) * 2019-07-03 2022-07-07 썬전 하이브 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양면 잠금판 제어 방법 및 장치, 양면 캐비닛 및 저장 매체
KR20220161619A (ko) 2021-05-28 2022-12-07 (주)이어텍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35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WO2001041075A1 (en) An access control system
CN106465050B (zh) 配置终端装置
US8928456B2 (en) Wireless device operable cash drawer
US20230319343A1 (en) Set-top box with enhanced behavioral control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CN102033525A (zh) 监测及控制系统和监测及控制设备
US11948412B2 (en) Intelligent lock credential validation
US20140253286A1 (en) Wireless Tracking and Security System
KR101629845B1 (ko) 온라인 기반의 가상 키를 이용한 객실 출입 및 전원 제어시스템
CA2496240A1 (en) Tangible security ass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thereof
KR100938622B1 (ko)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
US20220406112A1 (en) Handle Arrangement with User Authentication
KR100938629B1 (ko) 전자 사물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468690A (zh) 由分布式系统中的装置执行的方法及分布式系统的装置
CN110738772A (zh) 一种民宿自助服务系统
EP3297300B1 (en) Sensor management system
KR101996890B1 (ko)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04891B1 (ko) 고장시 비상 제어 기능이 부가된 무인보관시스템
KR20180045424A (ko) 숙박업소 스마트 출입 시스템
CN104955008A (zh) 安防系统的远程控制方法
KR10173345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락킹장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641606B (zh) 一种业务板的访问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6659064B1 (ja) 入退管理システム、及び入退管理システムの設定方法
KR100580569B1 (ko) 택배화물 중계 라커 및 택배화물 중계 시스템의 운영 방법
JP7323983B2 (ja) オートロック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