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890B1 -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890B1
KR101996890B1 KR1020170158507A KR20170158507A KR101996890B1 KR 101996890 B1 KR101996890 B1 KR 101996890B1 KR 1020170158507 A KR1020170158507 A KR 1020170158507A KR 20170158507 A KR20170158507 A KR 20170158507A KR 101996890 B1 KR101996890 B1 KR 101996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locking
code information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0370A (ko
Inventor
황선오
김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누
Priority to KR1020170158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8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 G07C9/00039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3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passwords or one-time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장치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잠금부 제어를 위한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승인이 이루어진 이후에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코드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로 등록 및 승인하고, 승인이 이루어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받아 상기 코드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발급하는 발급서버; 상기 발급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코드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잠금부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DB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받은 상기 코드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코드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코드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코드정보와 인증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유효성이 인증되는 경우에만 잠금 및 해제 상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잠금장치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 보관함 등에 설치되는 잠금부가 직접적인 통신, 또는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 할 수 있음은 물론, 잠금부 이용시 사용자 인증이 승인된 사용자 만이 OTP(One Time Password)를 포함하는 코드 정보를 활용하여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에 대한 보안성과 안전성의 향상 및 잠금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계식 또는 전자식 잠금수단이 설치되는 물품 보관함과 같은 설비는 물리적인 키, 또는 미리 정해진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잠금 및 해제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키를 분실하는 경우, 상기 잠금수단의 교체가 이루어져야만 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잃어버린 경우에는, 제조사의 서비스를 통해야만 사용이 가능해지거나 또는 교체해야 될 수도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내제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잠금수단이 적용되어 있는 환경에서 다수의 사람이 공동으로 같이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종래의 기계식 또는 로컬 전자식 잠금부는 다수의 물리적인 키를 공급하거나 정해놓은 비밀번호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어 보안에 극도로 취약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사용자 별로 다수개의 키를 발행해야만 하는 등 관리 비용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4891호,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을 출원 등록받은 바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은 무인 물품 보관함에 와이파이 다이렉트나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통신 수단만을 구비하고 사용자 스마트 폰을 통해 원격지의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무인 물품 보관함에 별도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 수단을 구축할 필요가 없어 그 설치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드는 발명이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은, 종래의 스마트폰과 무인 물품 보관함 서버가 직접적인 통신 또는 스마트폰과의 태깅과 같은 접촉을 통해서만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를 보관한다거나 분실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잠금부간 접촉 또는 통신되는 정보는 지극히 단순하고 제한적인 잠금 및 해제에 대한 정보만 제공되며, 그 잠금부 또한 잠금 및 해제에 필요한 정보만을 가지고 있는 등의 제한적인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4891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물품 보관함 등에 설치되는 잠금부가 직접적인 통신, 또는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 할 수 있는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부 이용시 OTP(One Time Password)를 포함하는 코드 정보를 활용하여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에 대한 보안성과 안전성의 향상 및 잠금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이 승인된 사용자 만이 잠금부의 장금 및 해제 방식에 대한 설정, 등록 및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잠금부를 사용할 수 있는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잠금부 제어를 위한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승인이 이루어진 이후에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코드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로 등록 및 승인하고, 승인이 이루어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받아 상기 코드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발급하는 발급서버; 상기 발급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코드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잠금부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DB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받은 상기 코드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코드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코드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코드정보와 인증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유효성이 인증되는 경우에만 잠금 및 해제 상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앱 구동부; 상기 앱 구동부의 구동시 실행되며, 상기 발급서버로 상기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잠금부의 사용 가능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증부; 및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코드 정보 요청 신호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잠금부의 식별정보를 상기 발급서버로 전송하는 코드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발급서버로부터 발급된 상기 코드정보를 문자 메세지, 또는 팝업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하는 방식을 OTP(One Time Password) 방식, 정기 이용 방식, 로컬 고정 비밀번호 이용 방식, 공동 사용자 그룹 이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잠금부의 고유 일련번호 및 관리코드 정보 입력시 상기 발급서버로 상기 코드정보의 발급을 요청하고, 발급이 이루어진 상기 코드정보를 상기 상기 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는 API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부는, 상기 코드정보가 입력되는 코드 입력부; 상기 코드정보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구동부; 및 상기 코드 입력부로 입력된 코드정보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코드정보와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입력된 코드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연산부; 상기 잠금부의 이용 방식을 OTP(One Time Password) 방식, 정기 이용 방식, 로컬 고정 비밀번호 이용 방식, 공동 사용자 그룹 이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하는 옵션코드 설정부; 및 상기 구동부의 잠금, 또는 해제 상태의 전환 여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발급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등록이 완료되면, 발급서버로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해 상기 잠금부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코드정보의 발급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발급서버에서 상기 코드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잠금부의 식별정보에 대한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코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코드정보를 수신받은 사용자 단말이 상기 코드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식별정보 및 상기 코드정보 발급 시간에 대한 정보를 DB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코드정보를 상기 잠금부에 입력하는 단계;(e) 상기 잠금부에로 코드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코드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정보와 입력된 코드정보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서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만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발급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잠금부의 이용 방식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코드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질 때, 문자 메세지, 또는 팝업의 형태로 출력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성된 API 연동부와 연동이 이루어지는 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물품 보관함 등에 설치되는 잠금부가 직접적인 통신, 또는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잠금부 이용시 OTP(One Time Password)를 포함하는 코드 정보를 활용하여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에 대한 보안성과 안전성의 향상 및 잠금부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인증이 승인된 사용자 만이 잠금부의 장금 및 해제 방식에 대한 설정, 등록 및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잠금부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의 잠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은 도서관, 대학교, 학교 교실, 사무실 등과 같은 각종 공공시설이나 사용시설, 아파트나 주택 및 숙박시설, 출입통제 구역과 같은 보안이 필요한 장소와 같은 이용 환경정보에서 사용되는 잠금장치로 구성된 잠금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물품 보관함, 무인 택배함, 금고 및 서랍장과 같은 장치에 설치되는 잠금부와 직접적인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시아나 유럽 등과 같은 잠금부의 보안성이 취약한 지역에서도 높은 안전성 및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은 잠금부의 이용 환경정보에 따라 잠금 및 해제하는 방식을 OPT(One Time Password) 방식, 정기 이용 방식, 로컬 고정 비밀번호 이용 방식, 공동 사용자 그룹 이용 방식 등 다양한 이용방식을 설정 및 선택하도록 하고, 사용자 인증이 승인된 사용자만이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 간의 잠금부 사용 여부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 제어 세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로 이루어지며,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코드정보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잠금부(400)의 이용 여부에 대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100), 상기 요청된 코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발급하고, 발급된 코드정보 및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발급서버(200), 상기 발급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코드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DB 서버(3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된 코드정보의 입력 여부에 따라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잠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테블릿과 같은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인터넷망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웹 서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발급서버(200) 및 DB 서버(300)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앱 구동부(110)와, 앱 구동부(110)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함께 실행되어 상기 잠금부(400)의 사용 여부에 대한 권한을 요청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발급서버(200)로 전송하는 사용자 인증부(120) 및 상기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코드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코드 요청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앱 구동부(110)는 사용자 단말(100)과 발급서버(200)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 여부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앱 구동부(1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사용자 인증부(120)를 함께 구동시켜 잠금부(400)를 이용할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 및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20)는 앱 구동부(11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활성화가 이루어지면서 발급서버(20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잠금부(400)의 사용 가능한 사용자로 등록하고, 등록이 완료되면 잠금부(400)의 사용 가능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사용자 인증을 위해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로는 사용자 단말(100)의 번호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부(120)는 발급서버(200)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대한 승인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만 잠금부(400)의 코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등록된 사용자 만이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코드정보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되어 잠금부(400)의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코드 요청부(130)는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100)로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에 이용되는 코드정보를 발급받기 위한 코드 정보 요청 신호를 발급서버(200)로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코드정보는 잠금부(400)의 이용 방식에 따라 OPT(One Time Password) 코드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코드 요청부(130)는 코드정보 요청 신호 전송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 상기 잠금부(400)에 대한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잠금부(400)의 위치 정보, 잠금부(400)의 고유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 잠금부(400)의 관리코드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따른 이용 환경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코드 요청부(130)는 상기 잠금부(400)의 위치 정보를 GPS와 같은 수단을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고유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 및 이용 환경정보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400)가 이미 사용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고유 일련번호 정보만 입력해도 상기 잠금부(400)의 위치 정보 및 이용 환경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여 발급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코드 요청부(130)는 상기 잠금부(400)의 식별정보를 발급서버(200)로 전송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잠금부(400)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잠금부(400)가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은 발급서버(200)로부터 발급된 코드정보를 앱 구동부(110)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100)의 SMS 기능을 활용하여 문자 메세지로 제공하거나, 또는 팝업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은 잠금부(400)에 대한 잠금 및 해제 방식을 설정, 등록 및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잠금부(400)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 설정부(14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방식 설정부(140)는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하는 방식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설정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OTP(One Time Password) 방식, 정기 이용 방식, 로컬 고정 비밀번호 이용 방식, 공동 사용자 그룹 이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 설정부(140)는 선택된 잠금 및 해제 방식에 대한 정보를 DB 서버(300)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및 해제 방식에 대한 정보를 후술할 잠금부(400)의 구동 제어부(436)로 전송하여 설정 및 선택된 잠금 및 해제 방식이 잠금부(400)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은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와 같은 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지 인증이 이루어진 사용자에 한정하여 잠금부(400)의 고유 일련번호 및 관리코드 정보 입력시 자동 응답의 형태로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한 코드정보를 제공하는 API 연동부(150)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API 연동부(150)는 사용자가 앱 구동부(110)를 통해 발급서버(200) 및 DB 서버(300)와 연동이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지 않더라도 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잠금부(4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상기 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잠금부(400)의 고유 일련번호(예를 들어, 보관함의 고유번호)와 잠금부(400)의 관리 코드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고유 일련번호 및 관리 코드정보를 발급서버(200)로 전송하고, 발급서버(200)에서는 상기 고유 일련번호 및 관리 코드정보에 대응하는 OTP 번호를 응답 메세지의 형태로 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발급서버(200)는 앱 구동부(11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며, 연동이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 여부를 확인하여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승인이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100)로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코드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받아 상기 코드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발급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DB 서버(300)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DB 서버(300)에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인증 여부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발급서버(200)는 잠금부(400)의 사용 방식에 따른 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의 방식 설정부(140), 또는 잠금부(400)의 잠금 제어수단(430)을 통해 설정된 방식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부(400)의 사용 방식이 OTP 방식인 경우, OTP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OTP 번호정보로 이루어진 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정기 이용 방식, 또는 로컬 고정 비밀번호 이용 방식인 경우에는 잠금부(400)의 식별정보에 따라 각각 독립되게 부여된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공동 사용자 그룹 이용 방식인 경우에는 공동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급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정보, 잠금부(400)에 대한 식별정보를 DB 서버(300)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DB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발급서버(200)와 각각 연동하고, 상기 발급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 및 잠금부(400)의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각각의 정보들이 이미 저장된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 매칭 과정이 이루어지며, 기저장된 정보들이 아닌 신규 정보인 경우에만 수신받은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잠금부(4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 DB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발급서버(200)와 연동이 이루어질 뿐, 잠금부(400)와는 별도의 연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며, 이로 인해 잠금부(400)의 해킹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저장된 사용자 정보 및 식별정보의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 잠금부(400)에 대한 안전성 및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DB 서버(300)는 저장된 사용자 정보, 코드정보 및 잠금부(400)의 식별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등록 여부, 코드정보가 발급된 잠금부(400)를 사용한 사용자가 언제부터 언제까지 사용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식별정보를 통해 어느 위치에 있는 잠금부(400)가 어떤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코드정보의 발급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잠금부(400)에 대한 사용 여부 및 사용 시간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잠금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서관, 대학교, 학교 교실, 사무실 등과 같은 각종 공공시설이나 사용시설, 아파트나 주택 및 숙박시설, 출입통제 구역과 같은 보안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된 코드정보의 입력 여부에 따라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코드 입력부(410), 구동부(420), 잠금 제어수단(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드 입력부(41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된 코드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키패드와 같은 장치로 이루어지며, 입력된 코드정보를 잠금 제어수단(430)을 이루는 연산부(432)로 전송하여 입력된 코드정보의 유효성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코드 입력부(410)는 키패드와 같은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을 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코드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구동부(420)는 잠금부(400)를 이루는 기계적 장치를 이루는 것으로, 잠금 및 해제 요청 신호에 따라 기구적인 잠금상태 및 해제 상태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동부(420)는 내부에 센서부(422)를 더 구성하여 상태 전환, 즉 잠금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잠금 제어수단(430)의 구동 제어부(436)로 전송할 수 있다.
잠금 제어수단(430)은 코드 입력부(410)를 통해 코드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코드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구동부(420)의 잠금, 또는 해제 상태의 전환 여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잠금 제어수단(430)은 코드 입력부(410)로 입력된 코드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연산부(432)와, 잠금부(400)의 이용 환경정보에 따라 이용 방식을 설정하고, 설정된 방식에 대한 옵션을 설정하는 옵션코드 설정부(434) 및 구동부(420)의 상태 전환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4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산부(432)는 코드 입력부(410)로 입력된 코드정보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코드정보와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입력된 코드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상기 코드정보에 포함된 OTP 번호와 비교를 위해 인증용 OTP 번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장치코드 정보, 관리코드 정보, RTC 코드 정보, RTC 유효코드 정보로 구성된다.
장치코드 정보는 잠금부(400)에 대한 고유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 예로, 상기 잠금부(400)가 설치된 보관함의 번호가 001인 경우, 상기 장치코드 정보 역시 001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관리 코드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코드 정보를 그룹정보로 묶어 주는 것으로, 이는 잠금부(400)의 식별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그룹 단위로 상기 코드정보의 인증을 위한 인증용 OTP 번호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각 그룹별로 인증용 OTP 값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다.
RTC(real-time clock) 코드 정보는 UNIX Time Stamp 형식의 시간(시/분)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OTP 번호 생성시 이용되는 코드이다.
이러한 RTC 코드 정보는 발급서버(200)에서 발급되는 OTP 번호(코드정보)와, 연산부(432)에 구성된 OTP 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되는 인증용 OTP 번호(인증정보)의 동일성을 부여함으로써, 코드정보의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RTC 유효코드 정보는 발급서버(200)에서 발급되는 OTP 번호에 포함된 RTC 코드와, 연산부(432)에서 생성한 인증용 OTP 번호(인증정보)의 RCT 코드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발급서버(200)에서 발급되는 OTP 번호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RTC 유효값을 1분 이내로 제한하도록 한다.
즉, 코드정보에 포함된 OTP 번호와, 인증정보에 포함된 OTP 번호에 포함된 RCT 코드 정보값에 대한 오차가 RTC 유효코드 정보의 범위 내인 1분 미만인 경우에만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코드정보와 인증정보에 각각 포함된 OTP 번호 중에서 RTC 정보에 대한 오차가 1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발급서버(200)로부터 OTP 번호를 포함하는 코드정보가 발급된다 하더라도 인증정보와 불일치함에 따라 잠금부(400)의 제어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옵션코드 설정부(434)는 사용자 단말(100)에 구성된 방식 설정부(140)와 마찬가지로 잠금부(400)의 OTP(One Time Password) 방식, 정기 이용 방식, 로컬 고정 비밀번호 이용 방식, 공동 사용자 그룹 이용 방식과 같은 이용 방식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옵션코드 설정부(434)는 사용자가 직접 이용 방식을 설정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100)의 방식 설정부(140)를 통해 설정이 완료된 상태라면, 이에 대한 정보를 발급서버(200)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방식 설정부(140)에서 설정한 방식으로 잠금부(140)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436)는 연산부(432)를 통해 코드정보의 유효성의 인증이 승인되면, 구동부(420)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잠금부(400)에 대한 잠금 및 해제 상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동 제어부(436)는 구동부(420)의 센서부(422)에서 전송하는 상태 전환 신호의 수신 시간을 바탕으로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 지속 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및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장치 제어방법은 사용자 단말(100)에 구성된 앱 구동부(110)와 사용자 인증부(120)를 통해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잠금부(400)를 이용할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발급서버(2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S510)를 수행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S510 단계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하는 방식을 사용자 단말(100)의 방식 설정부(140)를 를 통해 OTP(One Time Password) 방식, 정기 이용 방식, 로컬 고정 비밀번호 이용 방식, 공동 사용자 그룹 이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 및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식 설정부(140)는 선택된 잠금 및 해제 방식에 대한 정보를 DB 서버(300)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발급서버(200)를 통해 잠금부(400)의 설정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잠금부(400)의 잠금 제어수단(430)으로 변경된 설정값을 전송하여 설정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발급서버(200)에서는 상기 방식 설정부(140)로부터 변경된 설정값이 전송되는 경우, 이를 잠금 제어수단(430)의 옵션코드 설정부(434)로 전송하여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식 설정부(140)에서 설정된 설정값이 옵션코드 설정부(434)로 전송되어 잠금부(400)의 설정상태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 및 등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코드 요청부(130)는 발급서버(200)로 상기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코드정보를 발급을 요청하는 코드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20)
이때, 상기 S520 단계는 상기 코드정보 요청 신호 송신시 상기 S510 단계를 통해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100)에 한해서만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코드정보 요청 신호에는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와 잠금부(4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발급서버(200)로 송신한다.
이후, 발급서버(200)에서는 상기 코드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잠금부(400)의 식별정보에 대한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코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하면서 발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30)
상기 S530 단계는 OTP 번호에 대한 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S530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상기 코드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 단말(100)의 SMS 기능을 활용하여 문자 메세지로 제공하거나, 또는 팝업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S530 단계에서는, 상기 코드정보 요청 신호가 상기 API 연동부(150)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발급서버(200)에서는 상기 고유 일련번호 및 관리 코드정보에 대응하는 OTP 번호를 응답 메세지의 형태로 API 연동부(150)와 연동이 이루어지는 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S530 단계 이후에는, 상기 코드정보의 생성 및 발급이 이루어질 때, 상기 사용자 정보, 식별정보 및 상기 코드정보 발급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DB 서버(300)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S540)를 더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S530 단계를 통해 발급이 이루어진 코드정보를 잠금부(400)의 코드 입력부(410)로 입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50)
이후, 잠금부(400)는 잠금 제어수단(430)을 통해 코드 입력부(410)로 입력된 코드정보와 연산부(432)에서 생성한 인증정보를 비교하고, 오차 범위 내에서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만 구동 제어부(436)로 잠금 및 해제 상태 전환 신호를 전송하여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60)
한편, 상기 S560 단계는, 상기 구동 제어부(436)에 의해 잠금부(400)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에 대한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구동부(420)의 센서부(422)에서 상태 전환 신호를 전송하여 상태 전환 신호의 수신 시간을 바탕으로 잠금부(400)의 잠금 및 해제 지속 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앱 구동부
120: 사용자 인증부 130: 코드 요청부
140: 방식 설정부 150: API 연동부
200: 발급서버 300: DB 서버
400: 잠금부 410: 코드 입력부
420: 구동부 430: 잠금 제어수단
432: 연산부 434: 옵션코드 설정부
436: 구동 제어부

Claims (9)

  1.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잠금부 제어를 위한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승인이 이루어진 이후에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코드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로 등록 및 승인하고, 승인이 이루어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받아 상기 코드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발급하는 발급서버;
    상기 발급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 정보와, 상기 코드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잠금부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DB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받은 상기 코드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코드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코드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코드정보와 인증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유효성이 인증되는 경우에만 잠금 및 해제 상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앱 구동부;
    상기 앱 구동부의 구동시 실행되며, 상기 발급서버로 상기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잠금부의 사용 가능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코드 정보 요청 신호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잠금부의 식별정보를 상기 발급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포함된 상기 잠금부의 고유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 및 이용 환경정보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하며, 상기 잠금부가 이미 사용한 적이 있는 경우, 상기 고유 일련번호 정보만 입력해도 상기 잠금부의 위치 정보 및 이용 환경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여 발급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발급서버로 전송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잠금부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잠금부가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드 요청부; 및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하는 방식을 OTP(One Time Password) 방식, 정기 이용 방식, 로컬 고정 비밀번호 이용 방식, 공동 사용자 그룹 이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 등록 및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상기 잠금부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선택된 잠금 및 해제 방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DB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선택된 잠금 및 해제 방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잠금부로 전송하여 설정 및 선택된 잠금 및 해제 방식을 상기 잠금부에 적용시키는 방식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발급서버로부터 발급된 상기 코드정보를 문자 메세지, 또는 팝업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잠금부의 고유 일련번호 및 관리코드 정보 입력시 상기 발급서버로 상기 코드정보의 발급을 요청하고, 발급이 이루어진 상기 코드정보를 상기 상기 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하는 API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코드정보가 입력되는 코드 입력부;
    상기 코드정보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구동부; 및
    상기 코드 입력부로 입력된 코드정보의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코드정보와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입력된 코드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연산부;
    상기 잠금부의 이용 방식을 OTP(One Time Password) 방식, 정기 이용 방식, 로컬 고정 비밀번호 이용 방식, 공동 사용자 그룹 이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하는 옵션코드 설정부; 및
    상기 구동부의 잠금, 또는 해제 상태의 전환 여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7. 잠금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발급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발급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방식 설정부가 상기 잠금부의 이용 방식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등록이 완료되면, 코드 요청부가 발급서버로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해 상기 잠금부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코드정보의 발급을 요청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포함된 상기 잠금부의 고유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 및 이용 환경정보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하며, 상기 잠금부가 이미 사용한 적이 있는 경우, 상기 고유 일련번호 정보만 입력해도 상기 잠금부의 위치 정보 및 이용 환경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여 발급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발급서버로 전송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잠금부에 대한 이용 가능 여부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잠금부가 현재 사용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발급서버에서 상기 코드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잠금부의 식별정보에 대한 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코드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코드정보를 수신받은 사용자 단말이 상기 코드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식별정보 및 상기 코드정보 발급 시간에 대한 정보를 DB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코드정보를 상기 잠금부에 입력하는 단계;
    (e) 상기 잠금부에로 코드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코드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정보와 입력된 코드정보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서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만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방식 설정부가 상기 잠금부의 잠금 및 해제하는 방식을 OTP(One Time Password) 방식, 정기 이용 방식, 로컬 고정 비밀번호 이용 방식, 공동 사용자 그룹 이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 등록 및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상기 잠금부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선택된 잠금 및 해제 방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DB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고, 선택된 잠금 및 해제 방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잠금부로 전송하여 설정 및 선택된 잠금 및 해제 방식을 상기 잠금부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제어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코드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질 때, 문자 메세지, 또는 팝업의 형태로 출력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성된 API 연동부와 연동이 이루어지는 API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제어방법.
KR1020170158507A 2017-11-24 2017-11-24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96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507A KR101996890B1 (ko) 2017-11-24 2017-11-24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507A KR101996890B1 (ko) 2017-11-24 2017-11-24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370A KR20190060370A (ko) 2019-06-03
KR101996890B1 true KR101996890B1 (ko) 2019-10-01

Family

ID=6684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507A KR101996890B1 (ko) 2017-11-24 2017-11-24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4999A (zh) * 2021-01-21 2021-04-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74212B1 (ko) * 2021-05-26 2022-12-06 주식회사 이스트컨트롤 원타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743B1 (ko) * 2015-09-22 2016-05-25 전용준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도어락의 제어방법
KR101733453B1 (ko) * 2016-09-26 2017-05-10 패스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 모바일 키를 제공하는 락킹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891B1 (ko) 2014-04-25 2015-12-04 주식회사 새누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743B1 (ko) * 2015-09-22 2016-05-25 전용준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도어락의 제어방법
KR101733453B1 (ko) * 2016-09-26 2017-05-10 패스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 모바일 키를 제공하는 락킹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370A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59407B (zh) 有时间限制的安全访问权
EP3566213B1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messaging
CN110169031B (zh) 具有本地移动密钥分配的门禁控制系统
EP3374918B1 (en) Access and automation control systems with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70236350A1 (en) Electronic door lock system
KR101963437B1 (ko) 도어락 시스템 및 방법
AU20163484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US20180359635A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CN109074682A (zh) 用于远程访问权限和验证的系统和方法
CN103635940A (zh) 用于使用便携式电子装置控制锁定机构的系统和方法
US9922480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stablishing a temporary remote control associ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KR101722900B1 (ko) 임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6890B1 (ko)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il et al.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pin on android phone
KR101907923B1 (ko) 스마트폰 보안기능을 강화한 락킹시스템 및 방법, 그 기록매체
KR101599055B1 (ko) 암호화 잠금 제어 장치
JP6411903B2 (ja) ゲート制御システム
KR20160016244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제어기와 단말기의 인증 방법
US103544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authentication for access control, home control, and alarm systems
KR102344137B1 (ko)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28231B1 (ko)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및 그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
EP43623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a physical security token
US20230410579A1 (en) Remote access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2022095305A (ja) 電気錠システム、電気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9191884A (ja) 共用システム及び機器共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