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231B1 -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및 그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및 그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231B1
KR102328231B1 KR1020200025440A KR20200025440A KR102328231B1 KR 102328231 B1 KR102328231 B1 KR 102328231B1 KR 1020200025440 A KR1020200025440 A KR 1020200025440A KR 20200025440 A KR20200025440 A KR 20200025440A KR 102328231 B1 KR102328231 B1 KR 102328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ant
authentication
visitor
door lock
access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032A (ko
Inventor
신용찬
김윤경
김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엔아이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엔아이서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엔아이서비스
Priority to KR102020002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2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자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를 통제 서버와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와; 출입자로부터 출입 인증을 위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인증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인증 데이터를 비교하여 잠금 유닛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의 도래시마다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무선 통신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통제 서버의 인증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인증 데이터와 동기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및 그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및 그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 {Door lock based on IoT and method for inputting access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통해 출입자의 출입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및 그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도어락은 종래의 기계식 도어락이 지닌 보안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전자키, 비밀번호, 지문 인식 등과 같은 인증 수단을 사용하여 전자식 제어 수단에 의해 도어락의 전반적인 열림과 잠금이 제어되는 잠금 장치이다.
디지털 도어락은 편리함에 보안성도 우수하여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실사용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물을 열 수 있어 보안에 많은 허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은 문이 열린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아는 사람은 누구나 도어락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디지털 도어락의 보안성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디지털 도어락에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 적용된 기술들이 개발되어 실생활에 접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인증키를 통해 도어락을 개폐하거나 스마트폰을 통해 도어락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어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에 무선 통신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등을 탑재하여 운용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전력 소모가 증대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전력 관리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4607호 (2012.12.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안성 및 관리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전원 관리가 가능한 도어락 및 그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자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를 통제 서버와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와; 출입자로부터 출입 인증을 위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인증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인증 데이터를 비교하여 잠금 유닛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의 도래시마다 비활성화 상태의 상기 무선 통신부를 활성화시켜 상기 통제 서버의 인증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저장소의 인증 데이터와 동기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는, 출입자가 소유한 스마트폰 또는 카드를 태그하기 위한 태깅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정보 입력부는, 출입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에 의해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의 정보를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여 출입자 테이블에 신규 등록하는 단계와; 출입이 허가된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상기 출입자를 인증하는 단계와; 등록된 상기 출입자에 대응되는 출입 인증 정보를 상기 출입자 테이블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의 요청시 또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출입자 테이블의 데이터를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에 전송하여, 상기 출입자 테이블과 상기 도어락의 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의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출입자 테이블의 데이터는,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 리스트, 출입자별 연락처, 출입 인증 방식, 출입자별 출입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자를 인증하는 단계는, 등록된 상기 출입자에 대응되는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번호 및 출입 인증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요청을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설치 완료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출입자의 정보를 상기 출입자 테이블로부터 검증하고,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 인증 정보를 상기 출입자 테이블에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부터 인증키 생성 요청이 상기 일련번호와 함께 수신됨에 따라 인증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인증키를 상기 출입자 테이블에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키를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 인증 정보를 상기 출입자 테이블에 입력하는 단계는, 카드 등록 요청을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에 의해 수집된 상기 카드의 식별값 및 상기 일련번호와 함께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카드의 식별값을 상기 출입자 테이블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 인증 정보를 상기 출입자 테이블에 입력하는 단계는, 카드 등록 요청을 상기 일련번호와 함께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아 출입 인증 방식을 상기 출입자 테이블에 반영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락의 태깅 수단에 의해 수집된 상기 카드의 식별값을 출입자의 전화 번호와 함께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출입자의 전화 번호를 통한 출입자 검증 후, 상기 카드의 식별값을 상기 출입자 테이블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 인증 정보를 상기 출입자 테이블에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에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 등록 요청을 상기 일련번호와 함께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를 상기 출입자 테이블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출입이 인증된 출입자에 한하여 출입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출입 인증 정보를 등록하게 함으로써 도어락의 보안성 및 관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타이머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마다 비활성화 상태의 무선 통신부를 활성화시켜 통제 서버와 도어락의 인증 데이터가 동기화되도록 함으로써 도어락의 전원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자 별로 스마트폰, 교통 카드, 비밀 번호 등 자신이 원하는 방식의 출입 인증 방식을 선택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출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으며, 출입자 별로 출입 로그를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락에 대한 다양한 출입 방식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의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스마트폰 출입 인증 방식의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6 및 7은 카드 출입 인증 방식의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8은 비밀 번호 출입 인증 방식의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및 그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은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도어락(10)과, 도어락(1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된 통제 서버(20)를 포함한다.
도어락(10)은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내부에 저장된 인증 데이터와 비교하여 입력 정보를 검증한 후,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도어락(10)은 통제 서버(2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에 따라 통제 서버(20)로부터 출입 인증에 필요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도어락(10)의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통제 서버(20)는 출입자가 소유한 스마트폰(1)이나 관리자가 소유한 스마트폰(2)과 온라인으로 연결되며, 이들과 출입자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여 인증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며,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도어락(1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어락(10)은 무선 통신부(11), 데이터 저장소(12), 인증 정보 입력부(13) 및 제어부(14)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는 통제 서버(20)와 출입자 인증에 필요한 인증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부(11)는 상용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제 서버(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저장소(12)는 무선 통신부(11)를 통해 수신된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러한 인증 데이터는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 리스트, 출입자별 연락처, 출입 인증 방식, 출입자별 출입 인증 정보(인증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 입력부(13)는 출입자로부터 출입 인증을 위한 입력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3은 도어락에 대한 다양한 출입 인증 방식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예로 든 것처럼, 인증 정보 입력부(13)는 출입자가 소유한 스마트폰(1) 또는 카드(3: 예를 들어, 교통 카드)를 태그하기 위한 태깅 수단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증 정보 입력부(13)는 근거리 통신 방식(예를 들어, NFC, 블루투스 등)을 통해 출입자의 스마트폰(1) 또는 카드(3)로부터 출입 인증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또한, 인증 정보 입력부(13)는 출입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4) 또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인증 정보 입력부(13)의 입력 방식으로서 스마트폰 태그 방식, 카드 태그 방식, 비밀번호 입력 방식이 모두 채택된 구성을 근거로 설명한다. 다만, 인증 정보 입력부(13)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예시된 구성들 중 하나만이 적용되거나, 다른 방식의 입력 수단을 추가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제어부(14)는 인증 정보 입력부(13)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와 데이터 저장소(12)에 보관된 인증 데이터를 비교하여 출입자의 입력 정보를 검증하며, 그 결과에 따라 잠금 유닛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출입자의 입력 정보(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인증키)가 데이터 저장소(12)에 보관된 인증 데이터와 합치하면, 허가된 출입자로 보아 잠금 유닛의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도어락(10)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부(16)가 구비되며, 이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의 형태를 갖거나,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효율적인 전원 관리를 위해 무선 통신부(11)를 항시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지 않고, 타이머(15)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시간의 도래시마다 무선 통신부(11)를 활성화시키고 평소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제어부(14)는 타이머(15)에 설정된 시간의 도래시마다 비활성화 상태의 무선 통신부(11)를 활성화시켜 통제 서버(20)의 인증 데이터가 데이터 저장소(12)의 인증 데이터와 동기화되도록 한다. 타이머(15)의 시간은 12시간, 24시간 등 관리자가 원하는 동기화 주기에 따라 변경하여 설정 가능하다.
제어부(14)는 타이머(15)에 설정된 시간에 동기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1)를 통해 동기화 요청 신호가 통제 서버(20)로 전송되도록 하며, 통제 서버(20)는 이에 응답하여 보관된 인증 데이터를 도어락(10)으로 전송하여 도어락(10)의 데이터를 새로운 데이터로 갱신시킨다(도 3 참조).
동기화 작업의 완류 후, 제어부(14)는 무선 통신부(11)를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며, 다음 번 동기화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의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통제 서버(20)는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의 정보를 관리자의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하여 출입자 테이블에 이를 신규 등록한다(S10).
다음으로, 통제 서버(20)는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의 스마트폰(1)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출입자를 인증하며(S20), 이 과정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출입자 인증이 완료되면, 통제 서버(20)는 출입자에 대응되는 출입 인증 정보(출입자의 스마트폰을 식별하기 위한 인증키, 출입자의 카드를 식별하기 위한 카드 식별값, 출입자가 설정한 비밀번호 등)을 출입자 테이블에 입력한다(S30). 여기서, 출입자 테이블의 데이터는,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 리스트, 출입자별 연락처, 출입 인증 방식, 출입자별 출입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제 서버(20)는 관리자의 요청시 또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무선 통신망을 통해 출입자 데이블의 데이터를 도어락(10)으로 전송하여, 통제 서버(20)의 출입자 테이블과 도어락(10)의 데이터 저장소(12)의 데이터가 동기화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스마트폰 출입 인증 방식, 카드 출입 인증 방식, 비밀 번호 출입 인증 방식의 각 출입 인증 방식별 도어락(10)의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도 5는 스마트폰 출입 인증 방식의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자는 출입을 허가하고자 하는 출입자(즉, 출입 가능 인원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출입자)에 대한 등록을 자신이 소유한 스마트폰(2)을 통해 요청(S11)하며, 출입자 정보(예를 들어, 출입자 이름, 전화번호 등)과 함께 통해 통제 서버(20)로 전송된다.
통제 서버(20)는 해당 출입자 정보를 출입자 테이블에 신규 등록한다(S12), 이 과정에서 해당 출입자의 정보를 출입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기 등록 여부를 검증하게 되며, 기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신규 등록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통제 서버(20)는 해당 출입자의 스마트폰(1)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출입자를 검증(S20, 도 4 참조)하는데,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통제 서버(20)는 등록된 출입자에 대응되는 인증번호를 생성한다(S21). 그리고, 출입 인증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요청을 인증번호와 함께 출입자의 스마트폰(1)으로 전송한다(S22) 이는 SMS 전송, SNS 메시지 전송 등과 같은 형태로 전송 가능하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URL과 함께 전송 가능하다.
이에 따라 출입자는 스마트폰(1)에 출입 인증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며, 이 과정에서 회원 가입이나 출입자 정보 입력과 같은 과정이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자의 스마트폰(1)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설치 완료 정보가 통제 서버(20)로 전송되며, 이 때 인증번호와 회원 가입 정보가 함께 전송된다(S23).
통제 서버(20)는 출입자의 스마트폰(1)으로부터 전송된 출입자 정보(또는 회원 가입 정보)를 출입자 테이블의 정보와 비교하여 출입자 정보를 검증하고(S24), 검증을 통과한 경우 일련번호를 생성한다(S25). 통제 서버(20)는 일련번호를 출입자의 스마트폰(1)으로 전송하고, 해당 일련번호는 출입자의 스마트폰(1)에 저장된다(S27).
다음으로, 통제 서버(20)는 출입 인증 정보를 출입자 테이블에 입력(S30, 도 4 참조)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출입자는 출입 인증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출입 인증 방식을 선택하며(S31), 본 실시예의 경우 스마트폰으로 선택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 인증 방식이 기본 인증 방식으로 설정되어 스마트폰 인증 방식의 경우 출입 인증 방식에 대한 선택 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다른 방식을 선택할 경우 스마트폰 인증 방식에서 다른 인증 방식으로 변경하도록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인증키(또는 고유식별자, UUID 등)에 대한 생성 요청이 출입자의 스마트폰(1)으로부터 기저장되어 있던 일련번호와 함께 통제 서버(20)로 전송되며(S32), 통제 서버(20)는 전송된 일련번호의 검증 후(S33) 인증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키를 출입자 테이블에 반영한다(S34). 그리고, 통제 서버(20)는 해당 인증키를 해당 출입자의 스마트폰(1)으로 전송하고(S35), 출입자의 스마트폰(1)에 해당 인증키가 저장된다(S36).
다음으로, 타이머(15)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시마다 도어락(20)은 통제 서버(20)에 동기화 요청을 전송하며, 이에 따라 통제 서버(20)는 인증 데이터를 도어락(10)으로 전송하여 도어락(10)과 통제 서버(20)간의 데이터가 동기화된다(S40). 이와 같은 동기화 작업에 따라 해당 출입자의 인증키가 도어락(10)으로 전송되어 저장되게 되며(S41), 이에 따라 출입자는 스마트폰(1)을 도어락(10)에 태그하여 도어의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동기화 작업에 따라 출입 인원의 등록 또는 삭제, 출입 인증 방식의 변경 등이 도어락(10)에 반영되게 된다.
도 6 및 7은 카드 출입 인증 방식의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로서, 도 6은 출입자의 스마트폰(1)을 통해 카드를 등록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도 7은 출입자가 도어락(10)을 통해 카드를 등록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한편, 도 6 및 7은 도 5에서 출입자를 신규 등록하는 과정(S11 내지 S13),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출입자를 인증하는 과정(S21 내지 S27)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그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제 서버(20)에서 생성된 일련번호가 출입자의 스마트폰(1)으로 전송되어 저장된 후, 통제 서버(20)는 출입 인증 정보를 출입자 테이블에 입력(S30, 도 4 참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출입자는 출입 인증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출입 인증 방식을 카드(예를 들어, NFC 기능이 내장된 교통 카드, 신용 카드 등)로 선택한다(S50). 이에 따라, 출입 인증용 애플리케이션은 출입자는 카드를 스마트폰(1)에 스캔하는 과정이 실행되며, 카드 스캔이 이루어짐에 따라 카드 식별값이 스마트폰(1)에 저장된다.
그 후 카드 등록 요청이 일련번호 및 카드 식별값과 함께 출입자의 스마트폰(1)에서 통제 서버(20)로 전송된다(S52). 통제 서버(20)는 전송된 일련번호의 검증 후(S53), 출입 방식 및 전송된 카드 식별값을 출입자 테이블에 반영한다(S54). 그리고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을 출입자의 스마트폰(1)으로 전송한다(S55).
그 후 타이머(15)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시마다 동기화 작업이 이루어져(S40), 도어락에 카드 식별값이 저장되게 되며(S42), 이에 따라 출입자는 해당 카드를 도어락(10)에 태그하여 도어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동기화 작업은 타이머(15)에 설정한 시간마다 이루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관리자의 스마트폰(2)을 통한 동기화 요청시에도 이루어지도록 설정 가능하다.
도 7은 도 6의 경우와 같이 스마트폰 스캐닝을 통해 카드 식별값을 통제 서버(20)로 전송하는 방식이 아니라 도어락(10)에 직접 카드를 태그하여 카드 식별값을 도어락(10)에 입력하는 방식을 보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제 서버(20)에서 생성된 일련번호가 출입자의 스마트폰(1)으로 전송되어 저장된 후, 통제 서버(20)는 출입 인증 정보를 출입자 테이블에 입력(S30, 도 4 참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출입자는 출입 인증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출입 인증 방식을 카드로 선택한다(S60). 그 후 카드 등록 요청이 일련번호와 함께 출입자의 스마트폰(1)에서 통제 서버(20)로 전송된다(S62). 통제 서버(20)는 전송된 일련번호의 검증 후(S63), 출입 인증 방식을 출입자 테이블에 반영한다(S64). 그리고, 출입 인증 방식이 카드 인증으로 등록되었음을 해당 출입자의 스마트폰(1)으로 전송한다(S65).
다음으로, 출입자는 출입 인증용 카드를 도어락(10)에 태그하며(S66), 이에 따라 카드의 식별값이 도어락(10)에 저장된다(S67). 그리고, 출입자는 도어락(10)에 카드 등록 요청을 입력하는데, 이는 기설정된 키패드 번호를 입력하여 카드 등록 모드로 진입하여 수행 가능하다. 이 때 출입자의 전화 번호를 함께 입력하도록 설정 가능하다.
다음으로, 카드 식별값 등록 요청이 전화 번호와 함께 통제 서버(20)로 전송되는데(S68), 이를 위해 제어부(14)는 비활성화 상태의 무선 통신부(11)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통제 서버(20)는 도어락(10)으로부터 카드 식별값 및 전화 번호를 전송 받음에 따라, 전송된 출입자 전화번호를 출입자 테이블로부터 검증한 후, 카드 식별값을 출입자 테이블에 반영한다(S69).
그 후 타이머(15)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시마다 동기화 작업이 이루어지게 딘다(S40).
도 8은 비밀 번호 출입 인증 방식의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8에서도 도 5의 출입자를 신규 등록하는 과정(S11 내지 S13),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출입자를 인증하는 과정(S21 내지 S27)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그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만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제 서버(20)에서 생성된 일련번호가 출입자의 스마트폰(1)으로 전송되어 저장된 후, 통제 서버(20)는 출입 인증 정보를 출입자 테이블에 입력(S30, 도 4 참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출입자는 출입 인증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출입 인증 방식을 비밀번호 입력 방식으로 선택한다(S70). 이에 따라, 출입 인증용 애플리케이션은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출력하여 비밀번호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 후 비밀번호 등록 요청이 일련번호 및 카드 식별값과 함께 출입자의 스마트폰(1)에서 통제 서버(20)로 전송된다(S72). 통제 서버(20)는 전송된 일련번호의 검증 후(S73), 출입 방식 및 전송된 비밀 번호를 출입자 테이블에 반영한다(S74).
그 후 타이머(15)에 설정된 시간이 도래시마다 동기화 작업이 이루어져(S40), 도어락에 비밀 번호가 저장되게 되며(S43), 이에 따라 출입자는 키패드를 통해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도어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출입자의 스마트폰 2: 관리자의 스마트폰
3: 출입 인증용 카드 4: 키패드
10: 도어락 11: 무선 통신부
12: 데이터 저장소 13: 인증 정보 입력부
14: 제어부 15: 타이머
16: 전원 공급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관리자에 의해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의 정보를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여 출입자 테이블에 신규 등록하는 단계;
    출입이 허가된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통해 상기 출입자를 인증하는 단계;
    등록된 상기 출입자에 대응되는 출입 인증 정보를 상기 출입자 테이블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의 요청시 또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출입자 테이블의 데이터를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에 전송하여, 상기 출입자 테이블과 상기 도어락의 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자를 인증하는 단계는,
    등록된 상기 출입자에 대응되는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증번호 및 출입 인증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요청을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설치 완료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출입자의 정보를 상기 출입자 테이블로부터 검증하고,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 인증 정보를 상기 출입자 테이블에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인증키 생성 요청이 상기 일련번호와 함께 수신됨에 따라 인증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인증키를 상기 출입자 테이블에 반영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키를 상기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의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자 테이블의 데이터는,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 리스트, 출입자별 연락처, 출입 인증 방식, 출입자별 출입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의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25440A 2020-02-28 2020-02-28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및 그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 KR102328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440A KR102328231B1 (ko) 2020-02-28 2020-02-28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및 그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440A KR102328231B1 (ko) 2020-02-28 2020-02-28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및 그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032A KR20210110032A (ko) 2021-09-07
KR102328231B1 true KR102328231B1 (ko) 2021-11-30

Family

ID=7779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440A KR102328231B1 (ko) 2020-02-28 2020-02-28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및 그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2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411B1 (ko) * 2013-11-20 2014-05-19 김동관 핀과 생체인식을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73661B1 (ko) * 2015-06-22 2015-12-01 주식회사 유비스마트 모바일 앱을 통한 통합형 방범 주장치를 이용하는 방범 시스템의 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는 방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69B1 (ko) 2011-06-03 2013-02-12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해킹 방지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키 인증 방법
KR101496944B1 (ko) * 2013-07-26 2015-03-02 김동관 출입 및 관리 시스템
KR101926052B1 (ko) * 2014-05-12 2018-12-0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6902A (ko) * 2016-06-02 2017-12-12 (주)가드텍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411B1 (ko) * 2013-11-20 2014-05-19 김동관 핀과 생체인식을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73661B1 (ko) * 2015-06-22 2015-12-01 주식회사 유비스마트 모바일 앱을 통한 통합형 방범 주장치를 이용하는 방범 시스템의 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는 방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032A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55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factor physical authentication
US2019037110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ffline verification code generation based on smart door lock system
EP3374918B1 (en) Access and automation control systems with mobile computing device
EP1810093B1 (en) Actuating a security system using a wireless device
KR102427635B1 (ko) 동적 키 액세스 제어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
KR101242122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도어락 장치
KR101829018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1259546B1 (ko) 스마트키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80359635A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CN103903319A (zh) 基于互联网动态授权的电子锁系统
US10964141B2 (en) Internet-of-things (IoT) enabled lock with management platform processing
KR101733453B1 (ko) 스마트폰 모바일 키를 제공하는 락킹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3437B1 (ko) 도어락 시스템 및 방법
WO2020182178A1 (zh) 物流对象管理装置的门锁控制系统、方法和装置以及电子设备
JP2019169814A (ja) 車両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099607A (ja) 生体情報を用いる認証システム
KR101602483B1 (ko) 서버와 단말기를 이용한 잠금장치 개폐시스템 및 방법
KR102328231B1 (ko) 사물 인터넷 기반 도어락 및 그 출입 인증 정보 입력 방법
KR101996890B1 (ko)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7070663B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现场认证方法和现场认证系统
WO2021149831A1 (ja) 電子錠システム、電子錠システムで実行される方法、携帯端末、携帯端末で実行される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45349A (ja) 鍵管理機用サーバ、鍵管理機、及び鍵管理システム
JP2002300637A (ja) ロック制御システム
KR20130021240A (ko)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20200073769A (ko) 도어락에 저장된 인증코드를 이용한 숙박시설의 객실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