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157B1 -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 Google Patents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157B1
KR101774157B1 KR1020160056970A KR20160056970A KR101774157B1 KR 101774157 B1 KR101774157 B1 KR 101774157B1 KR 1020160056970 A KR1020160056970 A KR 1020160056970A KR 20160056970 A KR20160056970 A KR 20160056970A KR 101774157 B1 KR101774157 B1 KR 101774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oor
display
lock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찬
Original Assignee
최경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찬 filed Critical 최경찬
Priority to KR102016005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6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furni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는, 내부에 개인물품을 보관할 수 있고 힌지를 매개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라커로서, 도어의 일 측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제1 정보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도어의 타 측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제2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도어디스플레이부; 중앙 서버에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제1 정보 및 제2 정보로 변환 및 저장하는 표시정보관리부; 상기 라커의 일 단에 부착된 도어개폐센서의 센싱 여부에 따라 상기 표시정보관리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의 on/off 제어와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Description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Locker With Dual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커의 도어 양 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어 시각적 이미지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라커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자신의 운동정보를 확인하거나 개인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커라 함은 옷이나 간단한 개인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개인물품을 보관할 수 있고 개폐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라커를 의미한다.
종래의 라커는 라커 도어의 개폐를 보조하기 위한 별도의 자물쇠나 도어락 등의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였으나 사용자가 그에 대응하는 열쇠를 항상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을 가져왔다.
또한, 라커 내에 설치되어 자외선 살균을 하거나, 건조, 탈취 기능을 하는 설비를 갖춘 다목적 기능의 라커의 경우 예를 들어, 수납공간 내부의 행거에 걸린 의류 또는 접혀져 보관되는 의류 사이로 살균 효과가 뛰어난 특정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시키거나, 히터와 송풍수단에 의해 따뜻한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건조탈취 수단을 이용하여 옷을 건조시키는 건조기를 구비하거나, 방향수단에 의해 향을 발산하도록 하여 의류에 배어 있는 악취를 제거하는 등 다양한 기능의 라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라커는 종래의 라커에 건조기, 살균기, 방향 수단 등 기계적인 구조물을 더 결합하여 종래의 라커에 다목적 기능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을 뿐,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에 따라 명령을 입력받고 그에 따른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라커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공개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국내 등록특허 제 10-13623746호 ‘지능형 옷장, 그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의류의 입출고 관련정보를 포함하는 통합의류정보를 입력받는 입출고정보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입출고정보 입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통합의류정보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소정 거리 밖에 있을 때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부착된 반사수단 또는 백라이트를 제어하여 거울로 만들고, 상기 사용자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웨이크-업 시켜 사용자와 인터랙션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옷장 관리 장치에 대한 기술로서, 옷장 내부에 보관된 의류를 파악하고 날씨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의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지만 옷장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실제 옷장을 열어 의류를 입어보거나 의류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활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따랐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5-0106473호 ‘의류 조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디지털 옷장’은 의류 조회 요청의 수신에 연동하여, 디지털 옷장에 보관되는 의류에 관한 의류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의류 정보 또는 상기 수집된 의류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의류 이미지를, 상기 의류 조회 요청에 의해 지정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의류 조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나, 의류를 보관하는 제어와 단순한 의상 추천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라커의 도어 양 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어 시각적 이미지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라커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자신의 운동정보를 확인하거나 개인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라커의 도어 앞, 뒷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를 부착하여 도어의 개폐 상황에 따라 별도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커의 도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방열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라커의 도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는, 내부에 개인물품을 보관할 수 있고 힌지를 매개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라커로서, 도어의 일 측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제1 정보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도어의 타 측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제2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도어디스플레이부; 중앙 서버에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제1 정보 및 제2 정보로 변환 및 저장하는 표시정보관리부; 상기 라커의 일 단에 부착된 도어개폐센서의 센싱 여부에 따라 상기 표시정보관리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의 on/off 제어와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표시정보관리부는, 외부 기상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주변 날씨 및 기온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기상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정보에 업데이트하며,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 일정정보, 운동기록정보를 수신하여 개인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2 정보에 업데이트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개폐센서의 도어 개폐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상기 라커는, 도어의 고정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숫자 또는 문자의 배열로 이루어진 암호정보를 저장하는 암호관리파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정전식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암호입력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정전식 터치입력을 통해 입력된 암호가 상기 암호정보와 일치 시 상기 잠금수단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일 측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디스플레이 샤시와 타 측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 디스플레이 샤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샤시는, 양 측단에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측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샤시 사이에는, 적어도 일 측이 상기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곡 연장되는 열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라커와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측면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방열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도층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샤시 사이의 공간을 둘러싼 폐곡면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폐곡면 구조의 내부공간에는 열전도소재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곡면 구조의 내부공간에는, 복수개의 육각기둥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허니콤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열전도층은,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밀착되는 배면파트, 상기 배면파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의 일 측부를 감싸는 측면파트, 상기 측면파트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의 상면에 밀착되는 돌출파트, 상기 돌출파트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측벽을 감싸는 냉각파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에 의하면,
1) 표시될 정보를 제1 정보와 제2 정보로 나누어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차등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를 제공하고,
2) 디스플레이 사이 공간에 생성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열전도층을 제공하며,
3) 열전도층을 절곡 연장하되 절곡 연장한 부위가 디스플레이를 일부 감싸 도어와 디스플레이의 결합을 보조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라커에 잠금수단을 추가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라커에서 도어와 도어디스플레이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열전도층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열전도층의 연장냉각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라커(1)는 내부에 개인물품을 보관할 수 있고 힌지를 매개로 여닫이 식으로 도어(2)의 개폐가 가능한 라커(1)로서, 도어(2)에 부착되는 도어디스플레이부(20)와 중앙 서버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도어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표시정보관리부(21), 라커(1)의 일 단에 부착된 근접센서(221) 또는 도어개폐센서(222)의 센싱여부에 따라 도어디스플레이부(2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2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의 거시적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라커(1)는 일반적으로 의류 또는 개인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 면에 도어(2)가 형성되어 이 도어(2)의 개폐를 통해 내부공간에 의류 또는 개인물품을 보관 및 인출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보관함을 의미한다. 라커(1)는 목재, 합판, 합성수지, 강판, 금속 등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충분한 버팀강도를 갖는 기타 공지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본 발명의 라커(1)로 적용은 설명된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각형 여닫이식 도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라커(1)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라커(1)의 도어(2) 일 측에는 제1 디스플레이(201)가 부착되며 도어(2) 타 측에는 제2 디스플레이(202)가 부착되는 도어디스플레이부(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일 측은 라커(1)의 도어(2)가 닫힌 경우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면인 도어(2)의 외측면을, 타 측은 라커(1)의 도어(2)가 열린 경우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면인 도어(2)의 내측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겠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바꾸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201)는 도어(2)의 외측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이며, 제2 디스플레이(202)는 도어(2)의 내측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문자나 사진, 영상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념으로서 시중에 유통 및 판매되고 있는 브라운관, LCD, LED, e-ink 등 공지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 디스플레이의 크기나 형상은 도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도어(2)의 크기와 같거나 보다 작고, 형상 또한 도어(2)의 형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단, 도어디스플레이부(20)는 도어(2)의 개폐 여부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on/off 제어될 수 있으며, 해당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할 컨트롤러(22)에서 다루도록 한다.
또한, 라커(1)에는 중앙 서버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도어디스플레이부(20)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표시정보관리부(21)가 포함된다. 여기서 중앙 서버는 라커(1)를 관리하는 곳에 놓인 서버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관리자, 사용자, 제 3자로부터 문자나 기호 이미지 등을 수신하여 이를 도어디스플레이부(20)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정보로 가공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표시정보관리부(21)는 통신에 필요한 모뎀 또는 랜 등의 무선통신장치가 기본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단, 여기에서 정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제1 정보는 누구나 접근 가능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라커(1)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그 외 라커(1) 주변에 모인 다른 사용자가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보 또는 모든 사람들에게 전달되어야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이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골프연습장을 예시로 들도록 한다. 본 발명의 라커(1)는 골프연습장에 위치한 라커(!)이다. 일반적인 경우 라커(1)의 도어(2)는 닫힌 상태로 라커룸에 배열되어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201)만이 보여지게 된다. 이 때 제1 디스플레이(201)에는 골프연습장의 광고정보나 라커(1)의 고유번호정보 등 일반적인 내용의 알림 메시지나 사진, 영상 등이 표시된다.
다만 도어(2) 또는 라커(1)의 일 단에 근접센서(221)를 추가로 장착하여 평시에는 광고정보가 제1 디스플레이(201)에 표시되다가 근접센서(221)가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경우 라커(1)의 고유번호정보로 표시내용이 변경되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광고정보나 라커(1)의 고유번호정보 등의 일반적인 내용이 담긴 정보를 제1 정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디스플레이(201)에 표시될 수 있는 정보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정보는 개인적인 정보로서, 예를 들면 해당 라커(1)를 사용하는 사용자만이 공감할 수 있는 정보 또는 해당 사용자에게만 전달되어야 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최근 골프기록 통계상황 정보나 일정정보 등의 개인화된 정보를 의미한다. 제2 정보의 경우, 라커(1)의 도어(2)가 열린 상황, 즉 제2 디스플레이(202)를 확인할 수 있는 상황에서 제2 디스플레이(202)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정보이며 메시지나 사진, 영상 등을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제1 정보와 제2 정보는 특정한 상황이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른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라커(1)에 위치하여 도어(2)를 여는 경우, 제2 정보에 포함된 개인화된 정보 중 최근 골프기록 통계가 사용자의 외부알림 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제1 디스플레이(201)에서 축하메시지가 표시되고 주변 라커의 제1 디스플레이(201)에서도 동일한 축하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설정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제1 정보와 제2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송받기 때문에 다른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상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주변지역의 날씨정보나 기온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상정보로 생성하고 제1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중앙 서버에서 추가적인 사용자의 신상정보, 일정정보, 운동기록정보를 수신하여 제2 정보에 추가할 수 있으며, 기타 사용자의 단말, 휴대단말, 외부 서버 등을 통해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추가된 정보들 또한 컨트롤러(22)를 통해 기존의 제1 정보 및 제2 정보의 표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어디스플레이부(20)에서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컨트롤러(22)는 도어디스플레이부(20)의 on/off를 제어하는 on/off 제어파트(223)와, 표시정보관리부에 저장된 제1 정보와 제2 정보를 도어디스플레이부(2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파트(224)로 구성된다.
먼저 on/off 제어파트(223)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 목적으로 컨트롤러(2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커(1)의 일 단에 근접센서(221)를 부착하여 근접센서(221)의 센싱여부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201)의 on/off 제어 및 표시내용을 제어할 수 있고, 라커(1)의 일 단에 도어개폐센서(222)를 부착하여 도어개폐센서(222)의 센싱여부에 따라 제1 디스플레(201)이 및 제2 디스플레이(202)의 on/off의 제어와 제1 및 제2 정보를 선택적으로 도어디스플레이부(2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이러한 기능은 선택적으로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차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라커(1)의 일 단에 근접센서(221)를 부착한 경우이다. 근접센서(221)는 라커(1)의 전면, 다시 말해 도어(2)가 위치한 면의 전방에서 사용자가 가까이 접근한 것을 감지해야한다. 따라서 근접센서(221)의 부착 위치는 되도록 도어(2)가 위치한 면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접센서(221)의 활용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먼저 첫 번째 방법은 다음과 같다. 근접센서(221)가 기 지정된 범위 내로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한 경우 근접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컨트롤러(22)로 송신하면, 컨트롤러(22)는 사용자가 라커(1)로 근접했음을 인식하고 제1 디스플레이(201)의 전원을 인가하고 제1 디스플레이(201)에서 표시할 제1 정보를 송출하여 제1 디스플레이(201)에서 표시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201)의 전원을 제어하는 것이 아닌 표시될 제1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1 디스플레이(201)의 전원은 on상태이며 기 수신한 제1 정보(광고정보, 날씨정보 등)를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근접센서(221)가 기 지정된 범위 내로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한 경우 근접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컨트롤러(22)로 송신하면, 컨트롤러(22)는 사용자가 라커로 근접했음을 인식하고 다른 종류의 제1 정보(주로 라커의 고유번호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제어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201)를 통해 제1 정보가 표시됨을 설명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제1 정보에 해당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선택되어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라커(1)의 일 단에 도어개폐센서(222)가 부착되는 경우이다. 도어개폐센서(222)는 도어(2)와 라커(1)의 경계면, 다시 말해 도어(2)의 주변 부위에서 도어(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해야한다. 따라서 도어개폐센서(222)의 부착 위치는 되도록 도어(2)와 라커(1)의 경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개폐센서(222)의 활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개폐센서(222)가 도어(2)의 열림을 감지한 경우 개폐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컨트롤러(22)로 송신하면, 컨트롤러(22)는 라커(1)의 도어(2)가 열렸음을 인식하고 제1 디스플레이(201)의 전원을 off 시키고 제2 디스플레이(202)에 전원을 인가하면서 제2 디스플레이(202)에서 표시할 제2 정보를 송출하여 제2 디스플레이(202)에서 표시되게 하는 것이다. 이 때 제2 정보의 경우 앞서 설명한 사용자의 최근 골프기록 통계상황 정보나 일정정보 등의 개인화된 정보이며, 도어(2)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없어 비밀이 보장되면서 사용자에게 개인적인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라커에 잠금수단을 추가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라커(1)의 잠금수단(23)을 추가한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라커(1)의 일 측에 도어(2)의 고정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수단(23)을 형성한다. 이러한 잠금수단(23)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물쇠나 도어락과 같은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라커(1)의 일 측에는 상하로 회동가능한 기둥형상의 고정부재(231)가 위치하고, 도어의 일 측에는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부재(231)가 삽입되는 삽입구(232)가 위치하여 고정부재(231)와 삽입구(232)가 서로 마주보는 경우에 고정부재(231)의 상하 회동에 의하여 삽입구(232)에 고정부재(231)가 삽입됨으로서 더 이상 라커(1)로부터 도어(2)의 움직임을 봉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부재(231)와 삽입구(232)는 라커(1)와 도어(2)의 경계면에 위치해야하며, 특히 도어(2)가 라커(1)와 가장 멀리 떨어질 수 있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 경우 고정부재(231)의 상하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열쇠나 스위치, 버튼식 암호판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자물쇠 또는 도어락의 형태나 작동원리와 동일하므로 기본 형태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이와 같은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 버튼식 암호판(또는 암호입력 다이얼)이 외부로 노출되어 충격에 의해 고장이 날 수 있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열쇠를 휴대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스위치의 경우는 누구든지 누르기만 하면 도어가 열릴 수 있어 비교적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보다 편리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어디스플레이부(20)를 터치스크린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감압식과 정전식으로 나뉘게 되는데, 감압식의 경우 압력을 통해 인식하는 방법이며 보다 정밀하지만 내구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정전식의 경우 인체로 흐르는 미세 전류를 감지하여 인식하는 방법이며 스마트폰 기술의 발달을 통해 비약적으로 기술발전이 이루어져 현재는 저렴하게 사용 가능한 방식이다. 또한 정전식의 경우 압력을 스크린에 직접적으로 가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을 강화처리할 수 있어 안전이나 내구성을 요하는 스크린 장치에 적합하므로 본 발명인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그러므로 도어디스플레이부(20)에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트롤러(22)에는 숫자 또는 문자의 배열로 이루어진 암호정보를 저장하는 암호관리파트(225)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암호관리파트(225)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첫 번째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암호입력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암호입력화면의 경우 일반적인 3*3의 숫자 키패드나 qwerty키보드 등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공지된 암호입력창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에 의해 터치신호로 입력된 암호입력정보가 컨트롤러(20)로 전달되면 컨트롤러(20)의 암호관리파트(225)는 저장된 암호정보와 암호입력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잠금수단(23)의 고정을 해제하여 도어(2)를 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별도의 열쇠를 지녀야할 필요가 없고, 버튼식 암호판(또는 암호입력 다이얼)의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지금까지는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의 기본 구성과 듀얼디스플레이를 활용한 구동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러나 앞선 설명에서도 자주 언급되었듯이 라커(1)라는 대상의 특성상 자체 내구성이나 강도에 대한 기계적 해결수단이 동시에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라커에서 도어와 도어디스플레이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어(2)와 도어디스플레이부(20)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선 설명에서 도어(2)의 일 측에는 제1 디스플레이(201)가 부착되고, 도어(2)의 타 측에는 제2 디스플레이(202)가 부착된다고 하였으나, 실제로 도어(2)의 일 측과 타 측에 도어디스플레이부(20)를 아무런 후처리 없이 부착시킨다면 디스플레이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도어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등 쉽게 파손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도어(2)의 일 측에는 제1 디스플레이(201)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디스플레이 샤시(241)가 형성되고, 도어(2)의 타 측에는 제2 디스플레이(202)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 디스플레이 샤시(242)가 형성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샤시(24)는 도어(2)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샤시(24)에는 양 측단에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측벽(243)이 형성된다. 이러한 측벽(243)의 형성을 통해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샤시(241,242)에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201,202)가 끼움 결합되면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201,202)의 상면과 하면 일부를 한 쌍의 측벽(243)을 통해 지지하게 됨으로써 한 번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샤시(241,242)에 결합된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201,202)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다만 측벽의 경우,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201,202)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형태이므로, 표시되는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로 높이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어(2)의 일 측면이자 라커(1)와 힌지로 연결된 부위의 측면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방열시트(25)가 추가로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시트(25)는 그래핀섬유, 실리콘고무 등 연질의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로 형성되며 그 형태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다시 말해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어(2)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2)의 측면이자 사람의 손이 거의 닿지 않는 부분에서 도어디스플레이부(20)로부터 생성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으며, 볼록하게 돌출되므로 도어(2)가 힌지를 매개로 회전할 때에 틈새에 옷가지나 물건 등이 끼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전도층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 디스플레이(201)와 제2 디스플레(202)이 사이에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열전도층(26)을 형성한 것이며, 제1 디스플레이(201)와 제2 디스플레이(202)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추가방출시킴으로서 열로 인해 발생하는 디스플레이의 열화현상이나 수명단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열전도층(26)을 형성한 것이다. 열전도층(26)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전도층(26)은 금속, 합성수지, 세라믹 등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201,202)의 적어도 일 면과 맞닿은 형태로 부착되어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201,202)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열을 방출해야 하기 때문에 되도록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201,202)의 후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열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되,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통공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열전도소재(261)를 추가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열전도층(26)은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201,202)에서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 부위가 형성되어야하며, 따라서 적어도 일 측이 도어(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곡 연장되는 방열파트(262)를 포함한다.
도 4a는 열전도층(26)의 열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특수한 형상을 반영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샤시(241,242) 사이의 공간을 둘러싼 폐곡면 구조(263)로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폐곡면 구조(263)를 형성하면, 내부에는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해당 내부공간에 기존의 열전도층(26)보다 더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열전도소재(261)를 채움으로서 추가적인 방열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내부공간에는 그래핀, 실리콘, CNT 등 공지된 고성능의 열전도소재(261)가 채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디스플레이부(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도어디스플레이부(20)와 바로 맞닿아있는 열전도소재(261)를 통해 기존의 열전도층(26)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빠르게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도 4b는 이러한 폐곡면 구조(263)를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내부공간에 특수한 형상을 적용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육각기둥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허니콤 구조(264)를 형성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폐곡면 구조(263)와 달리 열전도소재(261)와 직접적으로 닿는 면적은 일부 줄어들지만, 육각기둥 형상의 연속배치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201)와 제2 디스플레이(202) 사이 공간의 내구성을 강화시킴으로서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 것이다. 허니콤 구조(육각기둥)(264)는 흔히 벌집구조로 잘 알려져 있으며, 자연상태에서 가장 안정적인 구조형태이다. 따라서 허니콤 구조(264)를 적용한다면 도어디스플레이부(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열전도소재(261)를 통해 기존의 열전도층(26)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빠르게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더욱 강화시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전도층의 연장냉각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열전도층(26)의 경우, 제1 디스플레이(201)와 제2 디스플레이(202)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추가 방출시키되 열전도층(26)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다소 적어 디스플레이의 장시간 사용이나 기타 불가항적인 요인으로 인해 많은 열이 발생하는 경우 열 방출이 수월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열전도층(26)의 외부 노출된 면적을 늘리면서도 추가된 노출부위를 평상시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장냉각구조(265)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장냉각구조(265)를 적용한 열전도층(26)은 다음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열전도층(26)이 위치하던 것과 마찬가지로, 도어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밀착되는 배면파트(266)와, 배면파트(266)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도어디스플레이부(20)의 일 측부를 감싸는 측면파트(267), 측면파트(267)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도어디스플레이부(20)의 상면에 밀착되는 돌출파트(268), 돌출파트(268)로부터 다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측벽(243)을 둘러싸는 냉각파트(269)로 구성된다.
즉, 배면파트로(266)부터 절곡 연장되는 측면파트(267), 다시 측면파트(267)에서 절곡연장되는 돌출파트(268)를 통해 도어디스플레이부(20)의 일 측면을 ‘ㄷ’형태로 감쌀 수 있으며, 여기서 다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냉각파트(269)를 통해 다시‘ㄷ’형태로 측벽(243)의 일 측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기존의 열전도층(26)의 적어도 하나이상의 측면으로부터 ‘S’형태로 절곡 연장되어 도어디스플레이부(20)와 측벽(243)을 감싸게 됨으로써 열전도층(26)의 외부 노출면적을 확장시킬 뿐만 아니라 도어디스플레이부(20) 및 측벽(243)을 이중으로 고정시켜 보다 견고한 결합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장냉각구조(265)는 열전도층(26)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원하는 냉각 효율 정도와 결합의 강도에 따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된 면적을 넓혀 열방출 효율을 향상시킬뿐더러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단순히 열방출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도어디스플레이부(20)와 디스플레이 샤시(24)간의 결합을 보조할 수 있어 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라커 2: 도어
20: 도어디스플레이부 21: 표시정보관리부
22: 컨트롤러 201: 제1 디스플레이
202: 제2 디스플레이 221: 근접센서
222: 도어개폐센서 223: on/off 제어파트
224: 표시제어파트 225: 암호관리파트
23: 잠금수단 231: 고정부재
232: 삽입구 24: 디스플레이 샤시
241: 제1 디스플레이 샤시 242: 제2 디스플레이 샤시
243: 측벽 25: 방열시트
26: 열전도층 261: 열전도소재
262: 방열파트 263: 폐곡면 구조
264: 허니콤 구조 265: 연장냉각구조
266: 배면파트 267: 측면파트
268: 돌출파트 269: 냉각파트

Claims (8)

  1. 내부에 개인물품을 보관할 수 있고 힌지를 매개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라커로서,
    도어의 일 측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제1 정보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도어의 타 측에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제2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도어디스플레이부;
    중앙 서버에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제1 정보 및 제2 정보로 변환 및 저장하는 표시정보관리부;
    상기 라커의 일 단에 부착된 도어개폐센서의 센싱 여부에 따라 상기 표시정보관리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의 on/off 제어와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도어는, 일 측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디스플레이 샤시와 타 측에 상기 제2 디스플레이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 디스플레이 샤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샤시는, 양 측단에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샤시 사이에는, 적어도 일 측이 상기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곡 연장되는 열전도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라커와 힌지를 매개로 연결된 측면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방열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2. 제 1항에서,
    상기 표시정보관리부는,
    외부 기상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주변 날씨 및 기온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기상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정보에 업데이트하며,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 일정정보, 운동기록정보를 수신하여 개인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2 정보에 업데이트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개폐센서의 도어 개폐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3. 제 1항에서,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상기 라커는,
    도어의 고정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숫자 또는 문자의 배열로 이루어진 암호정보를 저장하는 암호관리파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정전식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암호입력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정전식 터치입력을 통해 입력된 암호가 상기 암호정보와 일치 시 상기 잠금수단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서,
    상기 열전도층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샤시 사이의 공간을 둘러싼 폐곡면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폐곡면 구조의 내부공간에는 열전도소재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7. 제 6항에서,
    상기 폐곡면 구조의 내부공간에는,
    복수개의 육각기둥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허니콤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8. 제 1항에서,
    상기 열전도층은,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밀착되는 배면파트,
    상기 배면파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의 일 측부를 감싸는 측면파트,
    상기 측면파트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도어디스플레이부의 상면에 밀착되는 돌출파트,
    상기 돌출파트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측벽을 감싸는 냉각파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KR1020160056970A 2016-05-10 2016-05-10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KR101774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970A KR101774157B1 (ko) 2016-05-10 2016-05-10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970A KR101774157B1 (ko) 2016-05-10 2016-05-10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157B1 true KR101774157B1 (ko) 2017-09-01

Family

ID=5992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970A KR101774157B1 (ko) 2016-05-10 2016-05-10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1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44533A (ja) * 2020-03-12 2021-09-24 システムギア株式会社 情報通知システム、情報通知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161619A (ko) * 2021-05-28 2022-12-07 (주)이어텍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219B1 (ko) 2009-09-21 2010-05-06 (주)썬트리즈 제습,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기능성 가구
KR101242404B1 (ko) * 2012-12-07 2013-03-12 김문수 사물함용 전자 도어락
KR101583411B1 (ko) 2014-04-21 2016-01-07 이준종 마약류 보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219B1 (ko) 2009-09-21 2010-05-06 (주)썬트리즈 제습,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기능성 가구
KR101242404B1 (ko) * 2012-12-07 2013-03-12 김문수 사물함용 전자 도어락
KR101583411B1 (ko) 2014-04-21 2016-01-07 이준종 마약류 보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44533A (ja) * 2020-03-12 2021-09-24 システムギア株式会社 情報通知システム、情報通知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029483B2 (ja) 2020-03-12 2022-03-03 システムギア株式会社 メッセージ通知システム、メッセージ通知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161619A (ko) * 2021-05-28 2022-12-07 (주)이어텍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KR102561145B1 (ko) * 2021-05-28 2023-07-31 (주)이어텍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물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57B1 (ko) 듀얼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라커
JP4372550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棚システム
US7109881B2 (en) Electronic floor display with weight measurement and reflective display
JP5792651B2 (ja) 電子情報表示装置、操作用ハンドル、化粧プレート、配線装置、および負荷制御システム
GB2558128A (en) Electronic keypad lock for furniture, cabinets or lockers
EP3626110B1 (en) Dryer
WO2015004887A1 (ja) 冷蔵庫
KR101302170B1 (ko) 건조 기능을 구비한 옷걸이
JP6240890B2 (ja) 冷蔵庫
JP6240891B2 (ja) 冷蔵庫
CN108351153A (zh) 冰箱
AU2019284042A1 (en) Reward hygiene equipment
WO2020175837A1 (ko) 기록 매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및 관리 방법
CA2430862C (en) Control panel and control system for a spa
CN107726703A (zh) 一种冰箱
CN207487219U (zh) 一种冰箱
US9115902B2 (en)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oven
CN206864151U (zh) 投影广告机
JP2015021704A (ja) 冷蔵庫
CN110259192A (zh) 六边形整体式便民服务智慧岛及其系统
JP6240889B2 (ja) 冷蔵庫
US202103465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anitizing currency
JP2018077044A (ja) 冷蔵庫
CN114027630A (zh) 一种智能化优选衣柜
KR20200142332A (ko) 기록 매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및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