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685B1 - 동력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685B1
KR102560685B1 KR1020160124250A KR20160124250A KR102560685B1 KR 102560685 B1 KR102560685 B1 KR 102560685B1 KR 1020160124250 A KR1020160124250 A KR 1020160124250A KR 20160124250 A KR20160124250 A KR 20160124250A KR 102560685 B1 KR102560685 B1 KR 10256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haft
unit
bulkhead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122A (ko
Inventor
한준규
Original Assignee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685B1/ko
Priority to CN201720645313.1U priority patent/CN206984264U/zh
Publication of KR2018003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21Bearings or seals specially adapted for propeller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5/00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s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가 제공된다. 선체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벌크헤드실, 상기 벌크헤드실에 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기 벌크헤드실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밀폐링,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동력 전달 장치{power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항공기 등은 격벽을 통과하는 샤프트를 통해 추진 장치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격벽은 두 공간 사이에 배치되며, 선박이나 항공기 내부에서 배치되거나 선박이나 항공기 내부와 외부를 분리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에 샤프트가 통과하는 경우에,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두 공간 간에 유체나 기체의 흐름을 완전히 기밀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가 통과하는 격벽의 일부분에 차폐하는 벌크헤드실(Bulkhead Seal)이 배치된다. 이는, 동력을 생성하는 엔진 등이 포함된 격벽의 일면에서 발생하는 폭발압, 열 또는 먼지가 상기 격벽의 타면으로 전달을 방지하거나, 추진 장치와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엔진 사이가 차폐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바닷물 등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샤프트와 벌크헤드실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샤프트와 벌크헤드실의 중공부 간의 동심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동력축인 샤프트는 동력 발생 장치인 엔진 또는 모터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동심을 일치시키기 위해 샤프트를 움직일 수 없고 벌크헤드실를 다시 분리하여 동심을 맞춰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5232호(2014.6.19.)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력이 전달되는 샤프트의 동심과 벌크헤드실(Bulkhead Seal)의 중공부의 동심을 일치시키기 위해 벌크헤드실의 분리 및 재조립 없이 벌크헤드실의 중공부의 동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 조절부가 포함된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는, 선체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벌크헤드실, 상기 벌크헤드실에 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기 벌크헤드실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밀폐링,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장치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고정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위치 조절부 및 상기 고정부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위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가력부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간극부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간극유지부를 더 포함한다.
동력 전달장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벌크헤드실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고정부에 결합하는 상기 벌크헤드실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는 동력이 전달되는 샤프트의 동심과 벌크헤드실(Bulkhead Seal)의 중공부의 동심을 일치시키기 위해 벌크헤드실의 분리 및 재조립 없이 위치 조절부를 이용하여 벌크헤드실의 중공부의 동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력 전달 장치(10)는 개스킷(gasket, 13), 지지부(40), 고정부(11), 벌크헤드실(Bulkhead Seal, 30), 샤프트(20), 밀폐링(31) 및 위치 조절부(100)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 장치(10)는 어느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동력이 전달되기 위해 상기 두 공간을 구분하는 격벽(15) 근방에 배치된다. 동력 전달 장치(10)는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20)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동력 전달 장치(10)는 상기 관통된 부분으로 유체나 기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두 공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차폐부분을 포함한다. 동력 전달 장치(10)는 상기 차폐 부분을 통해 두 공간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격벽(15)을 관통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동력 전달 장치(10)는 차폐 부분으로 개스킷(13)과 벌크헤드실(30)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shaft, 20)는 격벽(15)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샤프트(20)는 모터나 엔진(17) 등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이다. 샤프트(20)는 선체의 외면을 관통하여 프로펠러 등 추진 장치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밀폐링(31)은 상기 샤프트(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밀폐링(31)은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밀폐링(31)은 샤프트(20)와 밀폐링(31)이 접하는 부분에서의 유체의 유출입을 방지하기 위해 샤프트(20)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배치된다. 또한, 밀폐링(31)은 탄성력 및 복원력으로 샤프트(20)를 지지할 수 있다.
벌크헤드실(30)은 샤프트(20)가 관통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샤프트(20)가 삽입된다. 벌크헤드실(30)에 형성된 중공부의 반경은 샤프트(20)의 반경보다 크다. 벌크헤드실(30)은 중공부 내부에 밀폐링(31)의 일부가 삽입된다. 벌크헤드실(30)과 샤프트(20) 사이에 밀폐링(31)이 배치되며, 벌크헤드실(30)은 밀폐링(31)을 통해 샤프트(20)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벌크헤드실(30)은 밀폐링(31)에 의해 샤프트(2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고정부(11)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에 샤프트(20)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부(11)는 벌크헤드실(30)과 복수 개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11)는 벌크헤드실(30)의 위치를 고정하며, 고정부(11)의 홀의 일면은 벌크헤드실(30)에 의해 차폐된다.
개스킷(13)은 샤프트(20)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부(11)와 격벽(15) 사이에 설치된다. 개스킷(13)은 고정부(11)와 격벽(15) 사이를 차폐한다. 개스킷(13)은 샤프트(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샤프트(20)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개스킷(13)은 유체 또는 기체의 유출입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압력 및 온도에 대하여 탄성, 유연성을 가지며 강도를 잃지 않은 치밀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0)는 선체의 일면에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40)는 동력 전달 장치(10)를 선체 상에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40)는 고정부(11)의 받쳐주고 있으며, 고정부(11)를 받쳐주는 일면과 지지부(40)와 대향하는 고정부(11)의 일면 간에 소정의 간극이 존재한다. 상기 간극은 위치 조절부(100)에 의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위치 조절부(100)는 지지부(40) 및 고정부(11)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 위치 조절부(100)는 지지부(40)로부터 고정부(11)를 제2 방향(z)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고, 제1 방향(x)으로 선형 운동을 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샤프트(20)는 개스킷(13), 고정부(11)의 중공부 및 벌크헤드실(30)을 관통한다. 고정부(11)의 중공부와 샤프트(20) 사이에 유격된 부분은 벌크헤드실(30) 및 개스킷(13)으로 차폐되어 있다. 샤프트(20)는 고정부(11)와 직접 접하지 않고 유격되어 있으며, 벌크헤드실(30)과의 사이에 밀폐링(31)이 배치되어 선체 내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샤프트(20)는 밀폐링(31)을 통해 고정부(11) 및 벌크헤드실(30)과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는, 마찰에 의한 회전력 상실 및 샤프트(20)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선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벌크헤드실(30)과 샤프트(20)는 밀폐링(31)에 의해 유격되어 있다. 밀폐링(31)은 샤프트(20) 및 외부에 가해지는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고, 샤프트(20)가 진동에 의해 샤프트의 동심이 불규칙한 경우에도 샤프트(20)가 벌크헤드실(3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샤프트(20)에 전달된 진동으로부터 샤프트(20)가 벌크헤드실(30)과의 충돌로 인한 손상 및 회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벌크헤드실(30)의 외면 중 내원에서 샤프트(20)를 향해 내린 수선발의 길이(이하, 유격거리, L1)는 샤프트(20)의 외주면의 전방위에서 일정한 길이는 갖는다.
벌크헤드실(30)과 샤프트(20)의 유격거리(L1)가 샤프트(20)의 외주면의 전방위에서 일정한 경우, 벌크헤드실(30)은 밀폐링(31)을 통해 샤프트(20)의 외주면 전방위에서 고르게 지지 및 고정하여 샤프트의 진동 및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밀폐링(31)에 의한 벌크헤드실(30)과 샤프트(20)의 유격된 부분의 차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벌크헤드실(30)의 중공부의 외면인 원통면에는 밀폐링(31)을 수용할 수 있는 원형링 형태의 홈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원형링 형태의 홈에 복수의 밀폐링(31)을 수용됨으로써, 샤프트(20)에 가해지는 밀폐링(31)의 복원력에 의한 지지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샤프트(20)와 벌크헤드실(30) 간의 차폐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밀폐링(31)은 벌크헤드실(30)의 중공부의 외면에 형성된 원형링의 홈인 삽입홈의 안쪽과 접하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곳에 소정의 탄성체(32)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소정의 탄성체(32)는 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벌크헤드실(30) 및 밀폐링(31)은 샤프트를 지지하고 고정부(11)의 홀의 일면을 차폐시키는 구조이면 될 뿐, 도 3에 도시된 벌크헤드실(30) 및 밀폐링(31)의 형상 및 구조로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11)는 지지부(40) 상에 제1 위치 조절부(120), 제2 위치 조절부(110) 및 제3 위치 조절부(130)를 통해 지지부(40)에 지지 및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11)는 제1 위치 조절부(120), 제2 위치 조절부(110) 및 제3 위치 조절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조절부(100)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위치 조절부(120)는 지지부(4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1 고정브라켓(121) 및 제2 고정브라켓(미도시), 제1 고정브라켓(121) 및 제2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 가력부(122) 및 제2 가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 조절부(120)는 고정부(11)의 일면에 제1 고정브라켓(121) 및 제1 가력부(122),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제2 고정브라켓(미도시) 및 제2 가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력부(122) 및 상기 제2 가력부는 고정부(11)의 일면에 접하고 있으며, 고정부(11)와 접하는 제1 가력부(122) 및 상기 제2 가력부의 일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일 수 있으나 고정부(11)를 밀어내기 위해 적합한 구조이면 될 뿐, 상기 제1 가력부(122) 및 상기 제2 가력부의 일면의 모양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위치 조절부(120)는 고정부(11)를 제1 방향(-x 방향) 또는 제1 방향의 반대방향(x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켜 고정부(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 조절부(120)는 제1 가력부(122) 및 상기 제2 가력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킨다. 제1 위치 조절부(120)는 제1 가력부(122)를 제1 방향(-x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키면서 제2 가력부(미도시)를 제2 고정브라켓(미도시) 쪽을 향하는 제1 방향(-x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킨다. 이 경우, 고정부(11)는 제1 방향(-x 방향)으로 움직인다. 마찬가지로, 제1 위치 조절부(120)는 제1 가력부(122)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x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키면서 제2 가력부도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x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켜 고정부(11)를 제1 방향의 반대 방향(x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제1 가력부(122) 및 상기 제2 가력부가 동일한 나선방향을 갖는 볼트인 경우에 제1 가력부(122)와 상기 제2 가력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선행 운동하기 위해서, 제1 가력부(122) 및 상기 제2 가력부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제2 위치 조절부(110)는 고정부(11)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제2 위치 조절부(110)는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부(11)에 삽입되는 간극부(111)를 포함하고, 간극부(111)를 회전시켜 고정부(11)와 지지부(40) 사이의 간격을 조정시킬 수 있다. 제2 위치 조절부(110)는 간극부(111)를 제1 회전 방향 또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부(11)와 지지부(40) 사이의 간격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간극부(111)는 고정부(11)에 삽입된 볼트일 수 있다. 상기 간극부(111)는 회전하면 제2 방향(z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반대방향(-z 방향)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상기 간극부(1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부(11)는 상기 제2 방향(z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반대방향(-z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 위치 조절부(110)는, 상기 간극부(111)를 제2 방향의 반대방향(-z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켜, 고정부(11)를 지지부(40)로부터 멀어지는 제2 방향(z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40)와 고정부(11)의 사이 간격은 증가한다. 반대로, 제2 위치 조절부(110)는, 간극부(111)를 제2 방향(z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켜, 고정부(11)를 제2 방향의 반대방향(-z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40)와 고정부(11)의 사이 간격은 감소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위치 조절부(110)는 상기 간극부(111)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제2 위치 조절부(110)는 상기 간극부(111) 중 일부의 간극부(111)만을 제2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선형 운동시켜 고정부(11)와 지지부(40)의 평행을 맞출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위, 아래를 정의하는 경우, 지지부(40)의 상면과 고정부(11)의 하면이 수평을 이루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위치 조절부(110)는 복수의 간극부(111) 중 일부를 적절하게 선형 운동시켜 지지부(40)의 상면과 고정부(11)의 하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조정할 수 있다.
제3 위치 조절부(130)는 지지부(4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력부를 포함한다. 제3 위치 조절부(130)는 고정부(11)의 일면에 한 쌍의 제3 고정브라켓(미도시) 및 제3 가력부(미도시),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한쌍의 제4 고정브라켓(미도시) 및 제4 가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위치 조절부(130)는 제3 및 제4 가력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킨다. 제3 위치 조절부(130)는, 제3 및 제4 가력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선형 운동시켜, 고정부(11)를 제3 방향(y 방향) 또는 제3 방향의 반대 방향(-y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동력 전달 장치(10)는 샤프트(20)의 동심과 상기 중공부의 동심이 서로 일치하도록 조립된다. 샤프트(20)는 모터나 엔진(17)의 샤프트(20)와 연결된 부분으로, 상기 중공부와의 동심을 일치시키기 위해 샤프트(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다. 따라서, 동력 전달 장치(10)는 고정부(11) 및 벌크헤드실(30)의 위치의 조정으로 샤프트(20)의 동심과 상기 중공부의 동심을 일치시켜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10)는 벌크헤드실(30) 및 고정부(11)를 분리 및 재조립을 하지 않고도 위치 조절부(100)를 통해 간편하게 벌크실헤드 및 고정부(1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벌크헤드실(30)의 중공부의 동심은 제1 위치 조절부(120) 및 제2 위치 조절부(110)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위치 조절부(120)는 제1 가력부(122) 및 상기 제2 가력부를 회전시켜 상기 중공부의 동심을 제1 방향(-x 방향) 또는 제1 방향의 반대 방향(x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위치 조절부(110)는 간극부(111)를 회전시켜 상기 중공부의 동심을 제2 방향(z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반대 방향(-z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공부의 동심과 샤프트(20)의 동심을 일치시키기 위해 중공부의 동심을 제2 방향(z 방향)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는 경우, 제2 위치 조절부(110)는 간극부(111)를 회전시켜 중공부의 동심을 제2 방향(z축)으로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1)에 고정된 벌크헤드실(30)은 고정부(11)의 선형 운동에 종속되어 제2 방향으로 선형 운동하므로, 제2 위치 조절부(110)는 고정부(11)의 위치를 제2 방향으로 움직여 벌크헤드실(30)의 중공부의 동심 또한 제2 방향으로 위치가 움직이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중공부의 동심과 샤프트(20)의 동심이 일치하는지 여부는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 유격거리(L1)를 측정하여 판단할 수 있다. 유격거리(L1)는 필러 게이지(feelar gauge)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중공부의 동심과 샤프트(20)의 동심의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한 불일치 정도는 샤프트(20)의 동심을 지나고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직선 및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직선 각각과 벌크헤드실(30)의 외면 중 내원이 만나는 점에서의 유격거리(L1)를 측정하여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격거리(L1)에 대응한 제1 위치 조절부(120)의 제1 가력부(122) 및 상기 제2 가력부의 회전 횟수 및 제2 위치 조절부(110)의 간극부(111)의 회전 횟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가력부(122), 상기 제2 가력부 및 간극부(111)가 볼트인 경우, 볼트는 1회전시 삽입되는 깊이를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유격거리(L1)에 대응한 제1 가력부(122), 상기 제2 가력부 및 간극부(111)의 회전 횟수를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또한, 중공부의 동심과 샤프트(20)의 동심을 일치시키기 위해 중공부의 동심을 제1 방향(-x 방향)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위치 조절부(120)는 제1 가력부(122) 및 상기 제2 가력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선형 운동하도록 회전시켜, 중공부의 동심을 제1 방향(-x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중공부의 동심과 샤프트(20)의 동심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중공부의 동심이 제1 방향으로 움직일 거리 및 제2 방향으로 움직일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거리만큼 중공부 동심이 이동하도록 제1 위치 조절부(120)와 제2 위치 조절부(110)를 간단하게 조작하면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11)와 지지부(40) 간에 이격된 부분에 지지 부재(41)가 삽입될 수 있다. 고정자는 제1 가력부(122), 상기 제2 가력부 및 간극부(111)에 의해 지지부(40)에 고정 및 지지된다. 제1 가력부(122), 상기 제2 가력부 및 간극부(111)는 고정부(11)와 접하고 있다. 특히, 제2 위치 조절부(110)는 간극부(111)를 통해 고정부(11)를 지지부(40) 상에 지탱하고 있다. 이 경우, 간극부(111)에 고정부(11)의 하중이 집중되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간극부(111)의 외형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조절부(100)의 조작으로 벌크헤드실(30)의 중공부의 동심과 샤프트(20)의 동심이 일치한 경우, 고정부(11)와 지지부(40) 사이에 이격된 부분에 지지 부재(41)를 삽입하여 간극부(111)에 집중된 고정부(11)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부재(41)는 다양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금속판일 수 있다.
도 5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벌크헤드실(30)은 복수의 볼트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잇다. 고정부(11)는 상기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가 결합할 수 있는 너트인 너트 홀이 형성되어 있다. 벌크헤드실(30)은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복수의 볼트가 고정부(11)의 너트 홀에 삽입되어 고정부(11)와 결합된다.
조립의 편의를 위해서 볼트가 삽입되는 벌크헤드실(30)의 홀의 반경은 고정부(11)의 너트 홀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샤프트(20)의 진동 및 중력의 영향으로 볼트와 벌크헤드실(30)의 홀 사이에 유격된 부분을 따라 벌크헤드실(30)이 움직여 벌크헤드실(30)의 동심과 샤프트(20)의 동심이 어긋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벌크헤드실(30)은 벌크헤드실(30)의 고정부(11)와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결정부(50)는 대응하는 상기 너트 홀의 반경과 상응하는 반경을 가지는 홀이다. 위치 결정부(50)에 위치 고정용 핀이나 볼트(미도시) 등이 삽입되면, 위치 결정부(50)의 홀과 고정용 핀 또는 볼트가 밀착하고 유격되지 않는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50)는 벌크헤드실(30)이 중력이나 샤프트(20)의 진동에 의한 위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결정부(50)는 고정부(11) 및 벌크헤드실(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상기 돌기는 고정부(11) 및 벌크헤드실(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에 결합하는 상기 벌크헤드실의 결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결정부(50)의 돌기는 고정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 결정홀은 벌크헤드실(30)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가 상기 위치 결정홀에 삽입되면 벌크헤드실(30)이 고정부(11)와 결합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잡아 줄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50)의 돌기는 벌크헤드실(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11)에 위치 결정홀이 형성되며, 벌크헤드실(30)을 고정부(11)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돌기를 상기 위치 결정홀에 삽입하여 벌크헤드실(30)이 고정부(11)에 결합하기 위한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동력 전달 장치
11: 고정부
13: 개스킷
15: 격벽
17: 모터
20: 샤프트
30: 벌크헤드실
31: 밀폐링
40: 지지대
100: 위치 조절부
110: 제2 위치 조절부
111: 간극부
120: 제1 위치 조절부
121: 고정브라켓
122: 가력부
130: 제3 위치 조절부

Claims (6)

  1. 선체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벌크헤드실;
    상기 벌크헤드실에 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기 벌크헤드실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링;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 및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벌크헤드실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여 상기 고정부에 결합하는 상기 벌크헤드실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고정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위치 조절부; 및
    상기 고정부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가력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간극부;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간극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
  6. 삭제
KR1020160124250A 2016-09-27 2016-09-27 동력 전달 장치 KR102560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250A KR102560685B1 (ko) 2016-09-27 2016-09-27 동력 전달 장치
CN201720645313.1U CN206984264U (zh) 2016-09-27 2017-06-05 动力传递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250A KR102560685B1 (ko) 2016-09-27 2016-09-27 동력 전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122A KR20180034122A (ko) 2018-04-04
KR102560685B1 true KR102560685B1 (ko) 2023-07-27

Family

ID=6139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250A KR102560685B1 (ko) 2016-09-27 2016-09-27 동력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0685B1 (ko)
CN (1) CN206984264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220B1 (ko) * 2007-02-23 2007-07-25 주식회사 빌지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KR101336661B1 (ko) * 2012-10-09 2013-12-04 김동배 연속 가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6523A (en) * 1997-08-14 1999-05-25 Thordon Bearings Inc. Intermediate marine bearing with itegrated alignment system
KR101291359B1 (ko) * 2011-06-27 2013-08-01 조화래 선박의 용접 캐리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220B1 (ko) * 2007-02-23 2007-07-25 주식회사 빌지 선박용 빌지발생 방지장치
KR101336661B1 (ko) * 2012-10-09 2013-12-04 김동배 연속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984264U (zh) 2018-02-09
KR20180034122A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4352A1 (en) Shaft Seal Assembly
EP4063689B1 (en) Vibration insulator and unbalance detection device including vibration insulator
US20150014940A1 (en) Shaft seal assembly
WO2016157430A1 (ja) 軸受装置、及び回転機械
KR102560685B1 (ko) 동력 전달 장치
JP6445019B2 (ja) 特にターボ機械のための、細長い形状を有する要素のための案内アーム
JP6955096B2 (ja) 回転電機機械
JP2019011837A (ja) 防振部材、ファンモータ、及び、取付構造
US20160245410A1 (en) Shaft seal assembly
CN106574656A (zh) 转子轴承温度传感器
JP2021004670A (ja) バルブ装置
KR20190118888A (ko) 기판처리장치
WO2020250577A1 (ja) 密封装置
KR101348725B1 (ko) 가공장비의 이송펌프 내부에 장착되는 밀봉장치 구조
JP6777617B2 (ja) 長尺部材アッセンブリ
US11543031B2 (en) Shaft seal assembly
JP2009097869A (ja) 地震計設置装置
JP6955409B2 (ja) ダンパ装置
JP4555728B2 (ja) コンタミレス回転機器におけるハウジング側密封環の固定構造
US12000484B2 (en) Shaft seal assembly
TW583118B (en) Shock-resistant electrical ship-machine, for example, motor or generator
JP6127563B2 (ja) スピンドルシステム
JP6482858B2 (ja) 球面軸受及び回転駆動装置並びに可変ノズル装置
JP2017141782A (ja) 送風機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15070720A (ja) 回転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