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425B1 -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425B1
KR102560425B1 KR1020210078745A KR20210078745A KR102560425B1 KR 102560425 B1 KR102560425 B1 KR 102560425B1 KR 1020210078745 A KR1020210078745 A KR 1020210078745A KR 20210078745 A KR20210078745 A KR 20210078745A KR 102560425 B1 KR102560425 B1 KR 10256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unit
main filt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802A (ko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주)유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나 filed Critical (주)유나
Priority to KR1020210078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4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0Separation devices for use in medical, pharmaceutical or laboratory applications, e.g. separating amalgam from dental treatment residu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용 흄후드의 일측에 구비되어 흄후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전달받아 정화시키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에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다수의 필터가 구비되는 정화공간과 하단에 약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으로 구획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 시 보관공간 내부에 잔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정화기 {The Noxious gas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실험용 흄후드의 일측에 구비되어 흄후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전달받아 정화시키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에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다수의 필터가 구비되는 정화공간과 하단에 약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으로 구획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 시 보관공간 내부에 잔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연구실 및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흄후드는 화학적인 실험을 수행하는 여러 연구기관의 실험실에 비치되어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실험을 그 내부의 실험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발생되는 각종 유해가스를 실험실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험을 수행하는 연구원들이 유해가스와의 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캐비닛 내부에 실험공간이 형성되고 이 실험공간에서 실험을 수행할 때 발생되는 각종 유해가스가 배기팬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는 이물질(입자상물질, 분진, 악취 등)이 다량으로 포함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포집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시켜야하는 별도의 정화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자주 취급하는 실험실이나, 소각로, 금속 용융 및 제련공장 등을 수행하는 공간에 마련된 흄후드는 반드시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야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상기 정화장치는 집진 및 정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오염공기가 통과하면서 정화되는 건식 필터가 자주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고온에서 사용효율이 매우 떨어지며, 필터의 교체주기가 짧아 정화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습식 필터, 즉 액상의 중화용액을 미스트(Mist) 형식으로 분사하여 중화용액과 오염공기가 접촉되면서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 게시되었으나, 이는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중화용액을 교체 및 보충해줘야 하는 단점과 유지 및 관리가 매우 불편하여 그 사용빈도가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흄후드에서 배출되는 오염공기 정화효율을 향상시키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유해가스 정화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6280호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계단식 집진장치' (2011.06.17) 2. 등록특허공보 제10-1944251호 '변위형 웨트스크러버를 갖는 흄후드' (2019.01.2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흄후드의 좌측이나 우측에 정화장치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설치장소나 설치면적의 설계범위가 다양하여 공간 활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오염된 공기의 정화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100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0), 상기 유입된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메인필터(20), 상기 메인필터(2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출구(30) 및 상기 메인필터(20)를 교체 또는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문(40)으로 이루어진 정화부(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화부(100)의 내부를 제1 이동로(L1)와 제2 이동로(L2)로 구획하는 제1 구획벽(120); 상기 점검문(40)을 기준으로 좌우측벽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메인필터(20)를 통과한 정화 공기의 하방향 이동을 유도하는 수직유도벽(111), 상기 유도된 정화공기를 상기 출구(30) 방향으로 안내하며, 상기 수직유도벽(1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평유도벽(112), 상기 수평유도벽(112)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출구(3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113)으로 구성되는 단위격벽(11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필터(20)는 일측이 상기 제1 구획벽(120)의 일측면과 면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유도벽(111)의 상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위격벽(110)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며, 이격된 단위격벽(110)의 사이에는 보조필터(21)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필터(21)는 일측이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격벽(110)의 차단벽(113)에 면접촉되고, 타측이 이웃한 다른 단위격벽(110)의 수직유도벽(111) 상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20)의 좌우측에는 상기 필터(200)를 고정하는 필터고정부(1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구획벽(120)의 하단에는 상기 메인필터(20) 또는 상기 필터(21)를 통과하는 정화공기가 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된 후 상기 출구(3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 이동로(L2)의 일부를 구획하는 제2 구획벽(140)이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정화부(100)의 하부에는 수납부(2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200)는 상기 정화부(100)와 연통되되, 상기 정화부(100)의 정화 기능 수행시, 상기 수납부(200)와의 압력차이에 의하여 상기 수납부(200)에 체류하는 공기가 상기 정화부(1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흄후드의 일측에 설치가 용이하고, 흄후드와의 용이한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고,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공간과 시약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으로 구획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필터를 구비하되, 필터의 오염정도에 따라 오염된 공기가 오염되지 않는 필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체의 이동을 유도함과 동시에 필터에 걸리는 압력을 분산시켜 정화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보관공간의 내부공기도 동시에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정화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유체 흐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필터고정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실험실 또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흄후드본체(1)의 일측에 구비되어 흄후드본체(1)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기(100)에 해당한다. 흄후드본체(1)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8470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47217호를 참조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1000)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갖는 정화부(100)와 수납부(200)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부(100)는 흄후드본체(1)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이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0)와 유입된 외부공기를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출구(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화부(100)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통과되면서 정화된 공기를 생성하는 메인필터(20)가 더 구비되며, 메인필터(20)는 헤파, 울파, 활성탄소 필터일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필터의 종류 이외에 유해가스를 정화시킬 수 있는 필터의 소재라면 그 어떠한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인필터(20)는 건식필터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화부(100)의 일측에는 정화부(100)의 내부공간을 열람할 수 있도록 정화부(100)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점검문(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점검문(40)은 별도의 시건장치(손잡이)를 통해 점검문(100)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메인필터(20)의 교체 시 점검문(40)을 사용자가 개방하여 메인필터(20)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정화부(100)의 내부는 외부공기가 이동하는 제1 이동로(L1)와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제2 이동로(L2)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정화부(100)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 구획벽(12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구획벽(120)은 입구(10)와 출구(30) 사이에 구비된다.
한편, 메인필터(20)의 일측이 제1 구획벽(120)의 일측면에 면접촉되어 제1 구획벽(120)과 메인필터(20)의 일측면 사이로 외부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구획벽(120)은 메인필터(20)의 일측이 면접촉되는 제1-1 구획벽(121)과 제1-1 구획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입구(10)와 출구(30) 사이에 배치되는 제1-2 구획벽(122)을 포함한다. 이때, 제1-2 구획벽(122)은 일정각도 경사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입구(1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메인필터(20)로 안내/유도해 줄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정화부(100)의 내부에는 단위격벽(1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단위격벽(110)은 정화부(100) 내부를 이동하는 외부공기와 필터로부터 정화되는 정화공기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위격벽(110)은 수직유도벽(111), 수평유도벽(112) 및 차단벽(113)을 포함한다.
수직유도벽(111)은 점검문(40)을 기준으로 정화부(100) 내부의 좌우측벽에 연장형성된다. 즉, 점검문(40)을 개방하면 좌우로 연장된 수직유도벽(111)이 개방된 정화부(100)의 일측을 일부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수직유도벽(111)은 메인필터(20)의 하면에 배치되어 메인필터(20)를 통과하는 정화공기의 하방향 이동을 유도/안내 할 수 있다.
수평유도벽(112)은 수직유도벽(111)의 일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수평유도벽(112)는 수직유도벽(111)으로부터 유도된 정화된 공기를 출구(30) 방향으로 안내하는 목적과 입구(10)로부터 유도된 외부공기를 하술하는 보조필터(21)로 안내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보조필터(21)에 대한 내용은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차단벽(113)은 수평유도벽(11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된다. 차단벽(113)은 외부공기가 메인필터(20)를 통과하지 못하고 출구(3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20)의 일측과 면접촉된다. 즉, 차단벽(113)과 메인필터(20)의 일측면 사이로 외부공기가 정화되지 못하고 통과하는 것을 차단벽(113)을 통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유도벽(112)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외부공기는 반드시 메인필터(20)를 통과하여 출구(30)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메인필터(20)는 일측이 제1 구획벽(120)의 일측면과 면접촉되고, 타측이 수직유도벽(111)의 상단에 안착된다.
한편, 도 3 을 참조하면 단위격벽(110)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격된 단위격벽(110)의 사이에는 보조필터(2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필터(21)는 단위격벽(110)과 이웃한 다른 단위격벽(110) 사이에 구비되므로 단위격벽(110)의 증가되는 개수에 따라 보조필터(21) 또한 다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필터(21)는 일측이 어느 하나의 단위격벽(110)의 차단벽(113)에 면접촉되고, 타측이 이웃한 다른 단위격벽(110)의 수직유도벽(111) 상단에 안착되어 정화부(100) 내부에 배치된다. 메인필터(20)와 보조필터(21)는 동일한 규격과 재질로 제작된다. 보조필터(21)로 인해 오염된 외부공기의 정화효율이 향상되고, 외부공기가 흄후드본체(1)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필터(20)의 공기투과율 이상으로 입구(10)로부터 오염된 외부공기가 정화부(100) 내부로 유입되면 외부공기가 메인필터(20)로 통과되지 못하고 제1 이동로(L1) 상에 체류하거나 입구(10)로 역류하게 된다.
이때, 메인필터(20)를 통과하지 못한 잔여 외부공기가 보조필터(21)가 배치된 위치로 이동하고 보조필터(21)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여기서 수평유도벽(112)이 메인필터(20)로 통과되지 못하는 다른 외부공기를 보조필터(21)로 안내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필터(20)의 공기투과율이 점차적으로 저하(수명 감소)되면 공기투과율은 점차 감소하게 된다. 만약 단위격벽(110)과 보조필터(21)가 다수개 구비되면, 오염된 외부공기가 메인필터(20)와 보조필터(21) 및 이웃한 다른 다수의 보조필터(21)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오염된 외부공기를 정화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공기 정화시간을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공기투과율은 메인필터(20) 또는 보조필터(21)의 표면을 통과하는 공기의 투과량을 말하며, 유체의 이동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단위격벽(110)의 배치에 따라 수평유도벽(112)이 메인필터(20)와 보조필터(21)의 이격된 사이 공간을 제1 이동로(L1)와 연통되는 제1-1 이동로(L1-1), 제2 이동로(L2)와 연통되는 제2-1 이동로(L2-1)로 구획한다.
단위격벽(110)이 다수개 구비됨에 따라 제1 이동로(L1)는 제1-2 이동로(L1-2), 제-3 이동로(L1-3)로 제2 이동로(L2)는 제2-2 이동로(L2-2), 제2-3 이동로(L2-3)으로 더 증가될 수 있다.
제1-1 이동로(L1-1)와 제2-1 이동로(L2-1)가 구획됨으로 인해 유체가 통과하는 보조필터(21)의 일면 전체에 균일한 흡입력이 작용하여 필터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정화된 공기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메인필터(20) 및 보조필터(21)의 좌우측, 즉, 정화부(100)의 좌우측벽면에는 필터고정부(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필터고정부(130)는 메인필터(20) 및 보조필터(21)가 수평유도벽(112)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화부(100)의 내부에 슬라이딩되며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유도벽(112)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필터(20) 및 보조필터(21)를 고정한다.
따라서, 점검문(40)을 개방하여 각각의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필터고정부(130)를 통해 각각의 필터와 필터정화부(100)의 좌우측벽 사이에 생성되는 미세한 틈을 밀폐시킬 수 있고, 동시에 필터의 유격을 방지하여 외부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제1 구획벽(120)의 하단에는 제2 구획벽(140)이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제2 구획벽(140)은 제2 이동로(L2)를 구획한다. 제1 구획벽(120)의 연장되는 길이는 정화부(100) 내부의 최하단에 위치한 수평유로벽(112)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제2 이동로(L2)의 일부 구간을 구획한다.
이로 인해 정화공기는 제2-1 이동로(L2-1)를 지나 제2 구획벽(140)을 따라 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된 후 다시 출구(30) 방향으로 이동방향이 변경되어 출구(30)로 배출된다. 이는 제2 이동로(L2)가 다수의 제2-1 이동로(L2-1), 제2-2 이동로(L2-2), 제2-3 이동로(L2-3)로 증가되는 경우 각각의 제2-1 이동로(L2-1), 제2-2 이동로(L2-2), 제2-3 이동로(L2-3)에 작용하는 흡입력이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제2 구획벽(140)이 구성되지 아니하면, 제2-1 이동로(L2-1)가 출구(30)와 인접하기 때문에 제2-1 이동로(L2-1)에 작용하는 흡입력이 제2-3 이동로(L2-3)에 작용하는 흡입력보다 높은 흡입력을 가진다. 이로 인해 출구(30)와 인접합 필터에 많은 부하가 작용하여 원활한 공기 정화효율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발생한다.
한편, 제2-3 이동로(L2-3)와 제2-1 이동로(L2-1)에 동일한 흡입력이 작용하여도, 제2-3 이동로(L2-3)가 제2-1 이동로(L2-1) 보다 입구(10)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2-3 이동로(L2-3)에 작용하는 흡입력이 제2-1 이동로(L2-1)에 작용하는 흡입력보다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2 구획벽(140)이 최하단에 위치한 수평유로벽(112)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경우 제2-3 이동로(L2-3)에 작용하는 흡입력이 제2-1 이동로(L2-1)에 작용하는 흡입력보다 커진다. 따라서, 입구(10)와 제2-3 이동로(L2-3)와 제2-1 이동로(L2-1)의 거리 차이를 흡입력의 차이로 보상해주어 각각의 필터에 균일한 흡입력이 작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1000)는 정화부(100)와 수납부(200)로 구획된다. 정화부(100)는 흄후드본체(1)로부터 오염된 공기를 전달받아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수납부(200)는 정화부(100)의 하다에 구비되어 실험도구나 실험용 약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납부(100)에 실험용 약품을 보관할 경우 내부에는 유해가스 또는 오염된 공기가 미세하게 잔존할 수 있다. 이때, 정화부(100)의 공기 정화를 위한 기능을 수행할때 수납부(200) 내부의 공기도 함께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정화부(100)와 수납부(200)는 상호 연통된다.
즉, 정화부(100)에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정화부(1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진다. 이때, 낮은 기압을 유지하는 정화부(100)로 수납부(200)의 내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수납부(2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도 정화부(100)의 출구(30)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수납부(200)의 하부에는 외부공기가 수납부(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부공기유입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납부(200)의 내부공기는 정체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순환이 가능하다.
도 3 을 참조하면 정화부(100)와 수납부(200) 사이에는 제3 구획벽(150)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3 구획벽(150)에는 제3 구획벽(150)을 관통하는 관통홀(150-1)이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형성된다. 관통홀(150-1)을 통해 수납부(200)와 정화부(100)는 연통되며, 수납부(200)의 오염공기가 흡입홀(103-1)을 통과하여 정화부(110)로 이동된다.
이때, 관통홀(150-1)에는 수납부(200)에 보관중인 약품이나 시약에서 생성되는 유해가스를 필터링하기 위한 별도의 구획필터(150-2)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별도의 필터(150-2)는 정화부(100) 내부에 구비된 메인필터(20)와 동일한 필터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도 3 을 참조하면 수납부(200)의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딩이 가능한 선반이 구비될 수 있으며, 선반에는 시약병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시약병 보관 트레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유해가스 정화 시 필터에 걸리는 압력을 분산시켜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 흄후드본체 10 : 입구
20 : 메인필터 21 : 보조필터
30 : 출구 40 : 점검문
1000 : 공기정화기 100 : 정화부
200 : 수납부 110 : 단위격벽
111: 수직유도벽 112 : 수평유도벽
113 : 차단벽 120 : 제1 구획벽
130 : 필터고정부 140 : 제2 구획벽
L1 : 제1 이동로 L2 : 제2 이동로

Claims (5)

  1.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0), 상기 유입된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메인필터(20), 상기 메인필터(2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출구(30) 및 상기 메인필터(20)를 교체 또는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문(40)으로 이루어진 정화부(100)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1000)에 있어서,
    상기 입구(10)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공기가 이동하는 제1 이동로(L1)와 상기 메인필터(20)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제2 이동로(L2)로 상기 정화부(10)의 내부를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입구(10)와 출구(30) 사이에 구비되는 제1구획벽(120);
    상기 점검문(40)을 기준으로 좌우측벽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메인필터(20)를 통과한 정화 공기의 하방향 이동을 유도하는 수직유도벽(111), 상기 유도된 정화공기를 상기 출구(30) 방향으로 안내하며, 상기 수직유도벽(1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평유도벽(112), 상기 수평유도벽(112)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출구(3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113)으로 구성되는 단위격벽(11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필터(20)는 일측이 상기 제1 구획벽(120)의 일측면과 면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유도벽(111)의 상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격벽(110)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며, 이격된 단위격벽(110)의 사이에는 보조필터(21)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필터(21)는 일측이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격벽(110)의 차단벽(113)에 면접촉되고, 타측이 이웃한 다른 단위격벽(110)의 수직유도벽(111) 상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필터(20)의 좌우측에는 상기 메인필터(20)를 고정하는 필터고정부(1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벽(120)의 하단에는 상기 메인필터(20) 또는 상기 필터(21)를 통과하는 정화공기가 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된 후 상기 출구(3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 이동로(L2)의 일부를 구획하는 제2 구획벽(140)이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100)의 하부에는 수납부(2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200)는 상기 정화부(100)와 연통되되,
    상기 정화부(100)의 정화 기능 수행시, 상기 수납부(200)와의 압력차이에 의하여 상기 수납부(200)에 체류하는 공기가 상기 정화부(1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KR1020210078745A 2021-06-17 2021-06-17 공기정화기 KR102560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745A KR102560425B1 (ko) 2021-06-17 2021-06-17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745A KR102560425B1 (ko) 2021-06-17 2021-06-17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802A KR20220168802A (ko) 2022-12-26
KR102560425B1 true KR102560425B1 (ko) 2023-07-27

Family

ID=8454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745A KR102560425B1 (ko) 2021-06-17 2021-06-17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4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751B2 (ja) 1987-09-17 1997-02-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清浄作業台
KR200278552Y1 (ko) 2001-12-15 2002-06-20 주식회사 그린에이씨 공기 정화용 자동 세정 및 재생형 에어 필터 장치
KR100546665B1 (ko) 2003-08-22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757B1 (ko) 2009-12-11 2013-02-27 김기호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계단식 집진장치
KR101944251B1 (ko) 2018-09-07 2019-01-31 이희만 변위형 웨트스크러버를 갖는 흄후드
KR2021005195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엠에코 다중 복합식 집진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751B2 (ja) 1987-09-17 1997-02-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清浄作業台
KR200278552Y1 (ko) 2001-12-15 2002-06-20 주식회사 그린에이씨 공기 정화용 자동 세정 및 재생형 에어 필터 장치
KR100546665B1 (ko) 2003-08-22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802A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0135C2 (ru) Всасывающая воздух стенка для оснащения промышленных рабочих зон, таких как зоны сварки
KR101344776B1 (ko) 시약장
KR101315249B1 (ko)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구비한 배기 일체형 실험실용 pp 흄 후드
CN110052145B (zh) 一种气体净化装置和系统
KR102260160B1 (ko) 수평형 스크러버 장치
KR102560425B1 (ko) 공기정화기
KR20130058117A (ko) 그리스 필터
KR20190060496A (ko) 흄후드
KR20150078530A (ko) 다단 원통형 구조물을 구비하는 스크러버
CN214133249U (zh) 一种实验室废气净化通风柜
KR20220043526A (ko) 공기 청정기
JP2005074362A (ja) フィルター装置
JP2006175336A (ja) 湿式ガス浄化装置
KR100710895B1 (ko) 공기정화장치
KR20200043780A (ko) 자가정화 기능을 가지는 기체 정화장치
KR20150042696A (ko) 그리스 필터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조리장치
KR102437900B1 (ko) 감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KR102298075B1 (ko) 다단 병렬식 세정장치
KR101500923B1 (ko) 필터식 겸용 환기식 시약장
JP6147033B2 (ja) 光触媒を用いた汚染空気の浄化装置
JP4856378B2 (ja) 乾式ガス浄化装置及びドラフト
KR101408308B1 (ko) 도장 부스 장치
JP3118559U (ja) 空気清浄装置
KR100220857B1 (ko) 1단계 및 다단계 공기 조절 시스템
KR19980063478A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