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249B1 -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구비한 배기 일체형 실험실용 pp 흄 후드 - Google Patents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구비한 배기 일체형 실험실용 pp 흄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249B1
KR101315249B1 KR1020130055055A KR20130055055A KR101315249B1 KR 101315249 B1 KR101315249 B1 KR 101315249B1 KR 1020130055055 A KR1020130055055 A KR 1020130055055A KR 20130055055 A KR20130055055 A KR 20130055055A KR 101315249 B1 KR101315249 B1 KR 101315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lower
cyclone
suction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후갑
류성혜
노명균
이주하
지정완
Original Assignee
(주)세진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진영테크 filed Critical (주)세진영테크
Priority to KR1020130055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5/00Gas handling apparatus
    • B01L5/04Gas washing apparatus, e.g. by bub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31Purification arrangements, e.g. solid phase extraction [S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2Handling hazard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8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enabling gas exchange, e.g. v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제1본체에 흡입후드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후드의 상부면에 흡입구를 하향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블러워를 갖추어 상기 제1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제1블러워의 흡인력에 의해서 강제흡입하는 가스흡입부 ;상기 제1블러워의 배기구와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어 제1본체로부터 강제흡입된 유해가스가 강제유입되어 선회류 원심력에 의해 유해 가스내 산성액적으로하여금 세정기 내부 벽면으로의 관성충돌을 유도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제2본체를 갖추고, 상기 제2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밀폐판에 유해가스와 반응하도록 세정액을 하향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갖추고, 상기 제2본체의 개방된 하부와 연통되어 세정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갖추는 한편, 상기 저장탱크와 하부단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2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관의 상단에 유해가스를 상향흡인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블러워를 갖추어 상기 세정액과의 중화반응에 의해서 정화된 가스를 강제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하는 가스세정부 ; 및 상기 복수개의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노즐분배기와 상기 저장탱크사이에 구비되는 세정액순환공급라인에 순환펌프를 갖추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액을 상기 분사노즐측으로 순환공급하는 세정액순환부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구비한 배기 일체형 실험실용 PP 흄 후드{Apparatus for Prosessing the Noxious Gas having a Cyclone Gas Scrubber}
본 발명은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추어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흄가스를 강제흡입하고, 세정기내에서 강제 흡인된 흄 가스를 선회류시켜 흄가스 내에 존재하는 산성 미세액적을 원심력을 이용해 세정기내의 벽면으로 이동시켜 벽면으로 분사된 세정액과 접촉시켜 중화반응을 유도하며 중화된 세정가스를 강제흡입하여 배기처리하는 블러워들을 일체화하고, 가스세정기능을 일체화함으로써 종래대비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자재비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설치 층의 외부로 세정 및 정화된 가스를 배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덕트시설이 필요치 않아 작업공정이 단축되면서 관리 포인트를 일괄적으로 처리하기에 용이한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는 배기일체형 유해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험실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인 흄가스를 처리하는 후드장치와 같은 가스처리장치는 화학적 실험을 수행하는 여러 연구기관의 실험실에 설치되어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각종 실험을 그 내부 챔버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이와 같은 흄가스 처리장치는 각종 실험시 발생되는 유해 가스로부터 작업자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실험실의 외부로 유해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 팬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장치는 각종 실험이 이루어지는 내부 챔버를 외부와 격리시키기 위하여 챔버 전면에는 투명 유리로 이루어진 회전식 또는 슬라이딩식 창문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흄가스 처리장치는 실험이 이루어지는 상부측 챔버가 각종 부식성 유해물질에 노출되기 때문에, 스테인레스 재료(SS41)의 표면을 코팅하여 제작하고, 하부측 받침대는 철제 재료의 표면을 코팅하여 각종 실험 시약을 보관하는 시약장으로서 사용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03891호에는 사각 박스형 본체의 일측면에 비커 또는 삼각플라스크를 보관할 수 있도록 상하 다단으로 배치된 걸이대와, 타측면에 시약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하 다단으로 배치된 선반과, 씽크 볼의 배출구에 트랩이 설치되고, 하수관로에 연결된 세척유닛 및 챔버 내부에서 발생된 유해가스를 배기팬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유닛을 포함하여 실험에 사용되었던 각종 실험기기들을 챔버 내부에서 세척하고, 챔버 내의 걸이대와 선반에 보관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이루도록 구성된 실험실용 흄 후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유해가스는 챔버내부에서 발생한 유해가스를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대기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산성 흄 가스의 발생이 잦은 실험을 수행하는 대학, 연구기관, 연구소 등에서는 별도의 배출가스 세정설비를 구비하여 배출가스를 중화 또는 세정하여 대기로 배출하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 중 하나인 스크러버 (Scrubber)는 그 처리 방식에 따라 번-웨트 (Burn-Wet), 번-필터 (Burn-Filter), 건식 (Dry), 습식 (Wet)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 중에서 습식 스크러버 시스템은 물을 이용하여 배기가스를 세정 및 냉각하는 구조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대용량화할 수 있다는 장점 가지므로 흄가스를 블러워로서 흡입하는 흡입후드와 결합하여 흄가스 처리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실험실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는 흡입후드로 흡입된 후, 스크러버로 전달되며, 스크러버에서 정화된 후에 블러워를 통해 배기되는 흐름을 형성한다.
그러나, 웨트 스크러버 시스템을 채용하는 흄가스 처리장치에서 특히, 블러워는 흡입 후 배기하는 기능만 있으면서도 불필요하게 덕트들에 연결되어 실험실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공간 활용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자재비 및 인건비가 증가하며, 작업공정도 길어질 수밖에 없고 관리 포인트를 일괄적으로 처리하기 힘들어지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조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흄가스를 강제흡입하고, 세정처리된 가스를 강제흡입하여 배기처리하는 블러워들을 일체화하고, 가스세정기능을 일체화함으로써 종래대비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자재비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설치 층의 외부로 세정 및 정화된 가스를 배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덕트시설이 필요치 않아 작업공정이 단축되면서 관리 포인트를 일괄적으로 처리하기에 용이한 가스세정기를 갖는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는 배기일체형 유해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제1본체에 흡입후드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후드의 상부면에 흡입구를 하향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블러워를 갖추어 상기 제1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제1블러워의 흡인력에 의해서 강제흡입하는 가스흡입부 ; 상기 제1블러워의 배기구와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어 제1본체로부터 강제흡입된 유해가스가 강제유입되어 선회류 원심력에 의해 유해 가스내 산성액적으로하여금 세정기 내부 벽면으로의 관성충돌을 유도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제2본체를 갖추고, 상기 제2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밀폐판에 유해가스와 반응하도록 세정액을 하향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갖추고, 상기 제2본체의 개방된 하부와 연통되어 세정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갖추는 한편, 상기 저장탱크와 하부단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2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관의 상단에 유해가스를 상향흡인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블러워를 갖추어 상기 세정액과의 중화반응에 의해서 정화된 가스를 강제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하는 가스세정부 ; 및 상기 복수개의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노즐분배기와 상기 저장탱크사이에 구비되는 세정액순환공급라인에 순환펌프를 갖추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액을 상기 분사노즐측으로 순환공급하는 세정액순환부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는 배기일체형 유해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후드에 접하는 유해가스의 응결에 의해서 발생하는 산성액을 수집하는 산성액 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성액 받이부는 상기 흡입후드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에 구비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연결되는 회수배관 및 상기 회수배관을 통해 회수된 산성액을 저장하는 수거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본체는 외부면에 상기 제1블러워의 흡인력에 의한 유해가스의 흡입시 외부공기를 더불어 흡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외기흡입용 그릴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연결관의 출구단을 통해 배출되는 유해가스가 내부관의 외부면을 따라 와류를 형성하면서 하향되도록 상기 연결관의 출구단이 외부면에 편심연결되는 중공형 외부관으로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블러워의 배기구에 연결된 제1연결관과 조립되는 제1플랜지관과, 상기 제2본체의 외부면에 편심연결된 제2연결관과 조립되는 제2플랜지관과의 플랜지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본체와 저장탱크사이에는 액상촉매 장치로서 기체인 유해가스와 액체인 세정액간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공극률과 비표면적이 큰 충진물인 폴링(pall ring)이 일정량 채워지는 폴링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관은 길이중간에 상기 제1본체와 내부관사이의 통로로 하향공급되는 유해가스의 와류를 가속화시키도록 고정날개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날개와 대응하는 제2본체는 하향공급되는 유해가스의 진행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외경이 일정한 내부관에 대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단면을 갖는 가변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관에는 제2블러워의 흡입력에 의해서 상향배출되는 유해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도록 필터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액순환공급라인은 상기 제2본체와 연통연결되도록 길이중간에 구비되는 바이패스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밸브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제1본체에 구비되는 제1블러워의 흡입력에 의해서 유해가스를 강제흡입하여 제2블러워를 구비하는 제2본체의 내부로 공급한 다음 세정액과의 중화반응에 의해서 세정처리하고, 중화반응처리된 가스를 제2블러워의 흡입력에 의해서 상향흡입하여 외부배기함으로써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구성과 가스를 중화반응처리하는 가스세정부를 서로 일체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자재비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2) 가스처리장치가 설치되는 층의 외부로 세정 가스를 필터링하여 외부배기함으로써 별도의 배기라인인 덕트시설이 필요치 않아 작업공정을 단축하고, 관리 포인트를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세정기를 갖는 유해가스 처리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세정기를 갖는 유해가스 처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세정기를 갖는 유해가스 처리장치에 채용되는 가스흡입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세정기를 갖는 유해가스 처리장치에 채용되는 가스세정부와 세정액순환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해가스 세정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험시 발생하는 황화수소(H2S), 질화수소 (H2N2), 염화수소(HCl)와 같은 흄가스인 유해가스를 강제흡입한 다음 가성소다인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를 포함하는 세정액과 유해가스와의 습식 중화반응에 의해서 유해가스를 정화시키고,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도록 가스흡입부(110), 가스세정부(120) 및 세정액순환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흡입부(110)는 제1본체(111) 제1블러워(113) 및 흡입후드(115)를 갖추어 실험이 이루어지는 제1본체(111)의 내부공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제1블러워(113)의 흡인력에 의해서 상기 가스세정부(120)측으로 가스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흡입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제1본체(111)는 화학실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이다.
이러한 제1본체(111)의 전면에는 화학실험이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하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작동되는 도어(118)를 구비하며, 이러한 도어는 상기 제1본체(111)의 상단에 구비되는 롤러(119)에 안내되는 와이어부재와 연결되어 상하작동된다.
상기 제1본체(111)의 내측면에는 다양한 헝태의 실험기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다단의 선반(111a)을 구비한다.
상기 제1본체(111)의 내부공간 상부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서서히 확장되는 단면상을 갖는 흡입후드(115)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흡입후드(115)의 상부면에는 전원인가시 일방향 회전되는 흡기팬에 의해서 일정세기의 흡인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블러워(113)를 배치한다.
상기 제1블러워(113)의 흡입구(114)는 상기 흡입후드(115)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제1본체의 내부공간과 대응하도록 하향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블러워(113)의 작동시 그 내부에 구비되는 흡기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제1본체(111)의 내부공간에서 발생한 유해가스는 상기 흡입후드(115)측으로 상향 유도된 상기 흡입구(114)를 통해 강제 흡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블러워(113)의 흡입구(114)에는 상기 흡입후드(115)의 내부면에 접하는 유해가스의 응결에 의해서 발생하는 산성액을 수집할 수 있도록 산성액 받이부(11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산성액받이부(116)는 상기 흡입후드(115)에 상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대(116a)에 구비되는 받침판(116b)과, 상기 받침판(116b)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16c)와 연결되는 회수배관(116d) 및 상기 회수배관(116d)을 통해 회수된 산성액을 저장하는 수거통(116e)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블러워(113)의 흡입구를 통한 유해가스의 흡인은 상기 흡입구(114)와 받침판(116b)사이의 좁은 통로를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유해가스의 흡인속도를 증가시켜 가스흡입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본체(111)는 외부면에 실험시 내부공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흡입시 외부공기를 더불어 흡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외기흡입용 그릴(11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후드(115)의 경사면에는 상기 제1본체(111)의 내부를 조명할 수 있도록 전원인가시 빛을 발생시키는 엘이디와 같은 조명원(1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스세정부(120)는 제2본체(121), 분사노즐(123), 제2블러워(125) 및 내부관(127) 및 저장탱크(129)를 포함하여 상기 제1본체로부터 강제흡입된 유해가스와 세정액간의 중화반응에 의해서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것이다.
상기 제2본체(121)는 상기 제1블러워(113)의 배기구(114a)와 연결관(122)을 매개로 연결되어 제1본체(111)로부터 강제흡입된 유해가스가 강제유입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제2본체(121)는 상기 연결관(122)의 출구단을 통해 배출되는 유해가스가 내부관(127)의 외부면을 따라 와류를 형성하면서 하향되도록 상기 연결관(122)의 출구단이 외부면에 편심연결되는 중공형 외부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122)은 상기 제1블러워(113)의 배기구(114a)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122a)과 조립되는 제1플랜지관(122b)과, 상기 제2본체(121)의 외부면에 편심연결된 제2연결관(122a)과 조립되는 제2플랜지관(122a)과의 착탈가능한 결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관(122)을 통해 외부관인 제2본체(121)의 내부로 강제유입되는 유해가스는 상기 내부관(127)을 중심으로 하여 그 외주면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사이클론 방식으로 하향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본체(121)에는 상기 내부관(127)의 상단과 결합되도록 조립공(124a)이 관통형성된 밀폐판(124)을 구비하여 외부관인 제2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유해가스의 불필요한 배출이 없도록 밀폐한다.
상기 밀폐판(124)에는 상기 외부관인 제2본체(121)와 내부관(127)사이의 공간으로 강제흡입된 유해가스와 반응하도록 액상의 세정액을 분무형태로 하향 분사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분사노즐(123)을 구비한다.
이러한 분사노즐(123)은 세정액분배라인(123a)을 매개로 하여 후술하는 세정액순환공급라인(133)과 연결되는 노즐분배기(126)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노즐분배기(126)로부터 적절히 분배되어 공급되는 세정액을 상기 내,외부관사이의 공간으로 분무형태로 분사함으로써 와류형태로 하향되는 산성가스인 유해가스와 분무형태의 세정액간의 접촉이 서로 접촉하여 중화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관(127)의 길이중간에는 상기 제1본체(121)와 내부관(127)사이의 통로로 하향공급되는 유해가스의 와류를 가속화시키도록 고정날개(127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날개(127a)와 대응하는 제2본체(121)는 하향공급되는 유해가스의 진행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외경이 일정한 내부관(127)에 대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단면을 갖는 가변부(121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본체(121)의 개방된 하부에는 와류형태로 전환되어 하향공급되는 유해가스와 세정액간의 중화반응에 의해서 발생하는 물, 무기염과 더불어 미반응된 세정액을 포함하는 혼합액이 일정량 저장되는 저장탱크(129)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본체(121)와 저장탱크(129)사이에는 액상촉매 장치로서 기체인 유해가스와 액체인 세정액간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공극률과 비표면적이 큰 충진물인 복수의 폴링(pall ring)(128a)이 일정량 채워지는 폴링층(128)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본체(121)와 내부관(127)사이로 강제유입된 유해가스는 강제유입 초기에 상기 분사노즐(123)로부터 분무형태로 분사된 세정액과 중화반응에 의하여 물와 염을 발생하도록 1차 정화되는 것이다.
즉, 유해가스가 가스흡입부에서 가스세정부로 강제유입되어 선회류 원심력에 의해 유해가스내 산성액적으로 하여금 세정기 내부 벽면으로의 관성충돌을 유도하고 세정액 분사노즐에 의해 세정기 내부벽면으로 하향분사된 세정액과 중화반응을 거쳐 1차 세정되어 정화된 다음, 상기 폴링층을 통과하면서 세정액과의 반응접촉면적을 넓혀 2차적으로 재반응시켜 유해가스에 대한 세정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29)는 외부면에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중화반응시 발생하는 염과 물을 포함하는 세정액이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129a)을 구비하며, 상기 저장탱크(129)의 상부면에는 중화반응되어 저장탱크(129)의 내부로 유입된 유해가스를 내부관(127)의 하단으로 상향안내하도록 상기 내부관의 하단과 대응조립되는 조립공(129c)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조립공(129c)의 주위에는 상기 폴링층(128)의 폴링(128a)이 저장탱크로 낙하되지 못하면서 중화반응된 유해가스만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공(129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관(127)은 중화반응된 유해가스와 더불어 하향 분무된 세정액이 저장탱크(129)와 하부단이 연통되도록 외부관인 제2본체(121)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중공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부관(127)의 상단에는 상기 폴링층(128)을 통과하여 반응처리된 후 저장탱크(129)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유해가스를 상향흡인하도록 전원인가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블러워(125)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무된 세정액과 1차 중화반응되고, 상기 폴링층을 통과하면서 세정액과 2차 중화반응된 후 저장탱크까지 유입된 유해가스는 제2블러워에서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내부관을 따라 상향이동되어 배기구(125a)를 통해 외부로 배출처리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내부관(127)에는 제2블러워(125)의 흡입력에 의해서 상향배출되는 유해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도록 필터부재(127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필터부재(127b)는 상기 제2블러워의 흡입구와 인접하는 내부관의 상단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액순환부(130)는 상기 저장탱크(129)에 저장된 세정액을 상기 분사노즐(123)측으로 순환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129)의 바닥면과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분사노즐(123)과 연결되는 노즐분배기(126)에 타단이 연결된 세정액순환공급라인(133)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액순환공급라인(133)에 순환펌프(131)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본체(121)를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세정액순환공급라인(133)의 길이중간에는 상기 제2본체(121)와 연통연결되는 바이패스관(135a)의 유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밸브(13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29)에는 이에 저장된 후 상기 분사노즐(123)측으로 순환공급되는 세정액의 pH 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pH 측정기(129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가스흡입부 111 : 제1본체
112 : 조명원 113 : 제1블러워
115 : 흡입후드 116 : 산성액받이부
117 : 외기흡입용 그릴 120 : 가스세정부
121 : 제2본체 122 : 연결관
123 : 분사노즐 124 : 밀폐판
125 : 제2블러워 126 : 노즐분배기
127 : 내부관 128 : 폴링층
130 : 세정액순환부 131 : 순환펌프
133 : 세정액순환공급라인 135 : 바이패스밸브

Claims (10)

  1.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제1본체에 흡입후드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후드의 상부면에 흡입구를 하향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블러워를 갖추어 상기 제1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제1블러워의 흡인력에 의해서 강제흡입하는 가스흡입부 ;
    상기 제1블러워의 배기구와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어 제1본체로부터 강제흡입된 유해가스가 강제유입되어 선회류 원심력에 의해 유해 가스내 산성액적으로하여금 세정기 내부 벽면으로의 관성충돌을 유도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제2본체를 갖추고, 상기 제2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밀폐판에 유해가스와 반응하도록 세정액을 하향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갖추고, 상기 제2본체의 개방된 하부와 연통되어 세정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갖추는 한편, 상기 저장탱크와 하부단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2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관의 상단에 유해가스를 상향흡인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블러워를 갖추어 상기 세정액과의 중화반응에 의해서 정화된 가스를 강제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하는 가스세정부 ; 및
    상기 복수개의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노즐분배기와 상기 저장탱크사이에 구비되는 세정액순환공급라인에 순환펌프를 갖추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세정액을 상기 분사노즐측으로 순환공급하는 세정액순환부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는 배기일체형 유해가스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후드에 접하는 유해가스의 응결에 의해서 발생하는 산성액을 수집하는 산성액 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성액받이부는 상기 흡입후드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대에 구비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연결되는 회수배관 및 상기 회수배관을 통해 회수된 산성액을 저장하는 수거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는 배기일체형 유해가스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는 외부면에 상기 제1블러워의 흡인력에 의한 유해가스의 흡입시 외부공기를 더불어 흡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외기흡입용 그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는 배기일체형 유해가스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연결관의 출구단을 통해 배출되는 유해가스가 내부관의 외부면을 따라 와류를 형성하면서 하향되도록 상기 연결관의 출구단이 외부면에 편심연결되는 중공형 외부관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는 배기일체형 유해가스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블러워의 배기구에 연결된 제1연결관과 조립되는 제1플랜지관과, 상기 제2본체의 외부면에 편심연결된 제2연결관과 조립되는 제2플랜지관과의 플랜지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는 배기일체형 유해가스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와 저장탱크사이에는 액상촉매 장치로서 기체인 유해가스와 액체인 세정액간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공극률과 비표면적이 큰 충진물인 폴링(pall ring)이 일정량 채워지는 폴링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는 배기일체형 유해가스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은 길이중간에 상기 제1본체와 내부관사이의 통로로 하향공급되는 유해가스의 와류를 가속화시키도록 고정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는 배기일체형 유해가스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개와 대응하는 제2본체는 하향공급되는 유해가스의 진행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외경이 일정한 내부관에 대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단면을 갖는 가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는 배기일체형 유해가스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에는 제2블러워의 흡입력에 의해서 상향배출되는 유해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도록 필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는 배기일체형 유해가스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순환공급라인은 상기 제2본체와 연통연결되도록 길이중간에 구비되는 바이패스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바이패스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갖는 배기일체형 유해가스 처리장치.
KR1020130055055A 2013-05-15 2013-05-15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구비한 배기 일체형 실험실용 pp 흄 후드 KR101315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55A KR101315249B1 (ko) 2013-05-15 2013-05-15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구비한 배기 일체형 실험실용 pp 흄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055A KR101315249B1 (ko) 2013-05-15 2013-05-15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구비한 배기 일체형 실험실용 pp 흄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249B1 true KR101315249B1 (ko) 2013-10-07

Family

ID=4963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055A KR101315249B1 (ko) 2013-05-15 2013-05-15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구비한 배기 일체형 실험실용 pp 흄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24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15B1 (ko) * 2014-04-24 2015-03-05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금속표면처리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758975B1 (ko) * 2015-05-22 2017-07-31 여인봉 축사의 폐열재활용을 위하여 배기존에 열교환장치를 설치하며 축사의 분진 및 악취제거를 위한 분리촉진기와 세척수 가이드관을 갖춘 사이클론 장치를 갖는 축사공기정화장치
KR101822142B1 (ko) * 2016-12-08 2018-03-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싸이클론 열교환 장치
KR101944251B1 (ko) * 2018-09-07 2019-01-31 이희만 변위형 웨트스크러버를 갖는 흄후드
DE102018122370A1 (de) * 2018-09-13 2020-03-19 Friatec Gmbh Abluftreiniger
CN112316700A (zh) * 2020-11-25 2021-02-05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一种电弧风洞烧蚀尾气处理装置
SE2050211A1 (sv) * 2020-02-25 2021-08-26 KYOCERA Fineceramics Solutions GmbH Abluftreiniger
KR20220147469A (ko) 2021-04-26 2022-11-03 쏠코리아 주식회사 실험실 흄후드
KR102640382B1 (ko) * 2023-09-21 2024-02-23 주식회사 신영엘에스티 스크러버 내장형 흄후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446B1 (ko) 2007-08-18 2008-09-22 삼원금속공업 주식회사 세정액 순환장치를 구비한 배기후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446B1 (ko) 2007-08-18 2008-09-22 삼원금속공업 주식회사 세정액 순환장치를 구비한 배기후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15B1 (ko) * 2014-04-24 2015-03-05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금속표면처리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758975B1 (ko) * 2015-05-22 2017-07-31 여인봉 축사의 폐열재활용을 위하여 배기존에 열교환장치를 설치하며 축사의 분진 및 악취제거를 위한 분리촉진기와 세척수 가이드관을 갖춘 사이클론 장치를 갖는 축사공기정화장치
KR101822142B1 (ko) * 2016-12-08 2018-03-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싸이클론 열교환 장치
WO2018106049A1 (ko) * 2016-12-08 2018-06-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싸이클론 열교환 장치
KR101944251B1 (ko) * 2018-09-07 2019-01-31 이희만 변위형 웨트스크러버를 갖는 흄후드
DE102018122370A1 (de) * 2018-09-13 2020-03-19 Friatec Gmbh Abluftreiniger
SE2050211A1 (sv) * 2020-02-25 2021-08-26 KYOCERA Fineceramics Solutions GmbH Abluftreiniger
SE544303C2 (sv) * 2020-02-25 2022-03-29 KYOCERA Fineceramics Solutions GmbH Frånluftrenare för laboratoriedragskåp eller laboratorieskåp
CN112316700A (zh) * 2020-11-25 2021-02-05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一种电弧风洞烧蚀尾气处理装置
KR20220147469A (ko) 2021-04-26 2022-11-03 쏠코리아 주식회사 실험실 흄후드
KR102640382B1 (ko) * 2023-09-21 2024-02-23 주식회사 신영엘에스티 스크러버 내장형 흄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249B1 (ko)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구비한 배기 일체형 실험실용 pp 흄 후드
CN105311911B (zh) 一种实验用通风柜过滤装置
KR101741627B1 (ko) 실험실 흄후드
KR101878711B1 (ko) 집진효율이 향상된 습식집진장치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0663635B1 (ko) 가압 탈취용액운회전식 탈취장치
KR20110068658A (ko) 축사용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CN206404595U (zh) 一种涂装废气处理装置
KR20180001395A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CN210613329U (zh) 基于液氮冷凝的油气处理装置
KR101534534B1 (ko) 이동형 복합 스크러버
KR101636373B1 (ko) 산성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스크러버
KR101055592B1 (ko) 수벽 회전식 오염공기 정화장치
KR100972616B1 (ko) 항원 폭로실 및 그 세정·건조방법
KR102335885B1 (ko) 가변 구조의 가스 스크러빙 장치
KR102002022B1 (ko) 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1913197B1 (ko) 스크러버 장치
KR102459540B1 (ko)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CN208743330U (zh) 一种实验室用智能通风柜
CN109282336A (zh) 一种油烟净化系统
JP2006175336A (ja) 湿式ガス浄化装置
KR101040635B1 (ko) 여과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정식 집진장치
KR102346707B1 (ko) 가스 스크러버 기반의 흄제거 장치
KR20210026262A (ko) 공기 청정 장치
CN214702868U (zh) 一种废气中颗粒收集采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