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540B1 -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 Google Patents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540B1
KR102459540B1 KR1020220072930A KR20220072930A KR102459540B1 KR 102459540 B1 KR102459540 B1 KR 102459540B1 KR 1020220072930 A KR1020220072930 A KR 1020220072930A KR 20220072930 A KR20220072930 A KR 20220072930A KR 102459540 B1 KR102459540 B1 KR 102459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pace
harmful gas
harmful
sc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주)유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나 filed Critical (주)유나
Priority to KR102022007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0Separation devices for use in medical, pharmaceutical or laboratory applications, e.g. separating amalgam from dental treatment resid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B01D2279/51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in clean rooms, e.g. production facilities for electronic devices, labora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실에 설치되어 다양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실험공간이 마련된 흄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실험공간에서 실험시 생성되는 유해가스의 흡입이 용이하며, 흡입된 유해가스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Fume hood that can purify harmful gas}
본 발명은 실험실에 설치되어 다양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실험공간이 마련된 흄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실험공간에서 실험시 생성되는 유해가스의 흡입이 용이하며, 흡입된 유해가스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에 관한 것이다.
연구실 및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흄후드는 화학적인 실험을 수행하는 여러 연구기관의 실험실에 비치되어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실험을 그 내부의 실험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발생되는 각종 유해가스를 실험실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험을 수행하는 연구원들이 유해가스와의 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흄후드의 전면에 구비된 도어를 적절히 개방시킨 상태에서 작업 플레이트에 놓여진 실험기구를 이용하여 실험하며, 상기 실험중 발생되는 유해 기체는 중앙집진식 배기덕트를 통해서 외부로 배기시키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흄후드는 실험과정에서 발생되는 위험물질의 유해가스가 실내로 비산되지 않도록 배출시킴에 따라 실험실의 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실험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흄후드의 측면에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스크러버(Scrubber)가 흄후드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있지만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정화효율이 매우 낮아 효과적인 유해가스의 정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실험공간 내부에서 실험이 수행될 때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실험공간의 외부로 누출되어 실험자에게 피해를 끼칠 수 있었으며, 실험공간 내부의 환경이 쾌적하지 못해 정밀한 실험결과를 도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실험공간 내부의 대기압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유해가스를 외기와 함께 실험공간 내부에서 순환시킬 수 있고, 유해가스를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켜 안전하고 쾌적한 실험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흄후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944251호 '변위형 웨트스크러버를 갖는 흄후드' (등록일자 2019.01.25) 2.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7-521226호 '흄후드' (공개일자 2017.08.03)
본 발명은 실험공간에 포진되어있는 유해가스의 잔존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실험공간 내에서 유해가스의 흡입이 가능한 내부구조를 가지며, 흄후드 본체의 일측에 유해가스를 정화시킬 수 있는 스크러버가 구비되어 유해물질이 제거된 후 외부로 유해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는 흄후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는 내부에 실험공간(S)이 마련되는 실험케이스(100)와 상기 실험공간(S)에서 흡입한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스크러버(200) 및 상기 스크러버(200)와 연결되어 정화된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험케이스(100)에는 상기 배기부(300)에서 인가된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실험공간(S)에서 생성된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스크러버(200)로 이송시켜주는 제1 가스이송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가스이송부(400)는 하측이 개방되며, 상기 실험공간(S)의 상측에 위치하며, 개방된 하측로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후드(410); 일측이 상기 후드(410)의 측면을 관통하는 유동관로(420); 상기 유동관로(420)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유동관로(420)의 타측에 형성되는 가스챔버(430); 일측이 상기 가스챔버(430), 타측이 상기 스크러버(200)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챔버(430)에 수용된 유해가스를 상기 스크러버(200)로 전달하는 연결관로(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로(420)의 일측에는 유입구(421)가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421)가 이루는 면적(A1)이 상기 유동관로(420)를 상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면적(A2)보다 큰 면적을 이루도록 상기 유입구(421)는 소정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로(420) 내부에는 이동하는 유체의 와류현상을 방지하고, 유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유동관로(420)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유동격벽(42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흄후드는 내부에 수납공간(S1)이 마련되며 상기 실험케이스(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수납장(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S1)에서 생성된 유해가스를 상기 제1 가스이송부(400)로 전달하기 위해 일측이 상기 수납공간(S1)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실험공간(S)에 노출되는 제2 가스이송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2 가스이송부(600)는 상기 수납공간(S1)에 분포된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배기팬(610);과 상기 실험공간(S)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기팬(610)으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전달받아 상기 실험공간(S)의 상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관로(620);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로(620)는 상기 배출관로(620) 내에 저압을 발생시켜 상기 실험공간(S)내의 유체를 일부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배출관로(620)는 상기 배출관로(62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소정의 흡입공간(S2)을 마련하고, 유동하는 유해가스의 이동속도를 감소시켜 하단에 관통된 흡입공(622)으로 상기 실험공간(S) 내의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흡입챔버(621); 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험공간의 내부에 퍼져있는 유해가스가 실험공간에 남아있지 않도록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흡입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된 유해가스를 일측에 구비된 스크러버를 통해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별도의 유해가스 처리시설의 설치가 불필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가스이송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가스이송부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수납부와 제2 가스이송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이 배출관로의 구성 및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및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흡입챔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흡입유도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스크러버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도어개폐수단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험실 또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흄후드에 관한 것으로, 실험케이스(100), 스크러버(200) 및 배기부(300)를 포함한다.
실험케이스(100)는 내부에 다양한 실험이 수행되는 실험공간(S)이 마련될 수 있고, 실험공간(S)에는 실험시 생성되는 유해가스가 포진될 수 있다.
스크러버(200)는 실험공간(S)에서 생성된 유해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배기부(300)는 실험공간(S)에 포진된 유해가스를 스크러버(200)로 이송시키기 위해 스크러버(200)와 연결된 상태로, 유체를 흡입하여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기팬(310)을 포함한다. 배기팬(310)은 전력을 인가받아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송풍팬에 해당할 수 있다. 배기부(300)와 스크러버(200)가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러버(200)로 이동한 유해가스는 정화된 후 배기부(30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실험케이스(100)의 정면에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110)의 개폐 정도에 따라 배기부(300)에서 흡입할 수 있는 유체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실험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실험공간(S)에서 생성된 유해가스를 스크러버(200)로 안내하며 이송시켜줄 수 있는 제1 가스이송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가스이송부(400)는 일측이 실험공간(S)에 위치하여 유해가스를 흡입하고, 타측이 스크러버(200)와 연결되어 유해가스를 스크러버(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1 가스이송부(400)의 흡입력은 배기부(300)로부터 인가받는다. 제1 가스이송부(400)는 스크러버(200)로 이송되는 유해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크러버(200)로 이동하는 유해가스의 이동속도를 제어해줄 수 있어 유해가스의 원활한 이송을 유도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가스이송부(400)는 후드(410), 유동관로(420), 가스챔버(430), 연결관로(440)를 포함한다.
후드(410)는 실험공간(S)에 구비되되, 실험공간(S)의 상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유해가스는 가스의 특성상 실험공간(S)의 상측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후드(410)가 상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후드(410)의 하측으로 유해가스가 원활히 진입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후드(410)는 상측으로 갈수록 수평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적 형상으로 인해 유해가스의 원활한 유입을 도모할 수 있다.
유동관로(420)는 후드(410)로 유입된 유해가스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측이 후드(41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동관로(420)의 내부는 유해가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중공된 형상을 이루며, 실험케이스(100)의 상측와 측면을 따라서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 참조)
가스챔버(430)는 유동관로(420)의 타측에 형성되어 유동관로(420)를 통과하는 유해가스를 전달받는다. 가스챔버(430)는 유동관로(420)의 타측을 이루는 직경보다 큰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유동관로(420)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의 이동속도를 감소시켜줄 수 있다. 즉, 유동관로(420)를 통과하는 유해가스가 가스챔버(430)에 도달하는 순간 가스챔버(430)의 넓은 공간으로 확산되면서 이동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2 참조)
연결관로(440)는 가스챔버(430)에 도달한 유해가스를 스크러버(200)로 이송시키기 위해 일측이 가스챔버(430)에 타측이 스크러버(200)의 측면에 연결된다. 연결관로(440)는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으로 가스챔버(430)에 수용된 유해가스를 스크러버(200)로 전달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유동관로(420), 가스챔버(430) 및 연결관로(440)는 후드(410)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유해가스를 좌우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유동관로(420)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유동관로(420)의 일측에는 후드(410)에 수용된 유해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유입구(421)가 형성된다. 유입구(421)는 후드(4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소정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유입구(421)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면 유체를 흡입하는 유입구(421)의 면적(A1)이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유동관로(420)를 상하방향으로 절단하여 유해가스가 유동할 수 있는 가상의 단면의 면적(A2) 보다 유입구(421)가 이루는 면적(A1)이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관로(420)의 유입구(421)로 진입한 유해가스는 유동관로(420)를 따라서 이동할 때 빠른속도로 유해가스를 가스챔버(43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동시에 유동관로(420)의 유입구(421)로 유해가스의 원활한 흡입을 유도해줄 수 있는 다른 이점도 가질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유동관로(420)의 내부에는 유동격벽(422)이 형성된다. 유동격벽(422)은 유동관로(42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유동격벽(422)으로 인해 유동관로(420)의 내부가 구획될 수 있다. 유동격벽(422)은 유동관로(420)의 내부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격벽(422)이 유동관로(420)의 내측을 따라 형성되면서 유동관로(420)로 진입한 유해가스를 이동경로로 안내함과 동시에 유해가스의 빨라진 이동속도로 인해 유동관로(420) 내부에서 유체의 와류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때, 유입구(421)와 인접한 유동격벽(422)의 일측은 유입구(421)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유입구(421)로 진입하는 유해가스의 원활한 진입과 유입구(421)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체의 와류현상 발생도 방지해줄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흄후드는 실험케이스(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수납장(500)을 더 포함한다. 수납장(500)의 내부에는 시약 등의 실험용 물품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S1)이 마련될 수 있다. 수납장(500)의 일측에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2 가스이송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스이송부(600)는 수납장(500)의 수납공간(S1)에서도 시약 및 실험용 물품을 통해서 유해가스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때, 수납공간(S1)에서 생성된 유해가스를 스크러버(200)로 전달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제2 가스이송부(600)는 일측이 수납장(500)의 수납공간(S1)과 연결되고 타측이 실험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인 실험공간(S)에 노출된다. 이로 인해 수납공간(S1)에서 흡입한 유해가스는 제1 가스이송부(400)의 후드(410)와 인접한 공간으로 배출되면서 후드(410)를 통해 재흡입되어 유동관로(420)를 따라 스크러버(200)로 이송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제2 가스이송부(600)는 배기팬(610), 배출관로(620)를 포함한다. 배기팬(610)은 수납장(500)의 내측인 수납공간(S1)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납공간(S1)에 분포된 유해가스를 흡입한다.
배출관로(620)는 배기팬(610)과 연결된다. 배기팬(610)으로부터 흡입된 유해가스는 배출관로(620)로 전달되어 실험공간(S)의 상측으로 배출된다. 즉, 배출관로(620)는 실험공간(S)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단이 후드(410)와 인접한 상태로 세워지고, 하단은 배기팬(610)과 연결된 상태를 이루면서 흡입된 유해가스를 제1 가스이송부(400)로 전달한다.
이때, 배출관로(620)의 내부를 이동하는 유해가스로 인해 배출관로(62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는데, 이를 이용하여 실험공간(S)에 노출된 배출관로(620)의 일부분을 통해 실험공간(S) 내부의 유해가스를 배출관로(620)로 일부 흡입할 수 있다.
도 5 의 (b)를 참조하면 실험공간(S)에 노출된 배출관로(620)의 일측에는 내부에 흡입공간(S2)이 마련되는 흡입챔버(621)가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흡입챔버(621)의 흡입공간(S2)은 배출관로(62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며, 흡입챔버(621)의 하단에는 흡입공(622)이 관통형성된다. 흡입공(622)으로 실험공간(S)에 분포된 유해가스의 일부가 흡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배출관로(620)를 따라 이동하는 유해가스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되는데, 이때, 유해가스가 흡입챔버(621)의 흡입공간(S2)에 도달하면 유해가스의 이동속도가 감소되면서 순간적으로 흡입챔버(621)의 흡입공간(S2)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실험공간(S)의 유해가스를 일부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실험공간(S)에서 생성된 유해가스가 실험공간(S)에서 잔류하지 못하므로 안정적인 실험환경을 실험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흡입챔버(621)는 흡입챔버(621)의 상측이 외측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 의 (b)를 참조하면 흡입챔버(621)의 상측 일부가 경사 흡입챔버(621)의 외측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흡입챔버(621)의 흡입공간(S2)으로 유해가스가 흡입될 때 흡입챔버(621) 내부의 상측 공간에 유해가스가 머무르거나 와류현상이 발생하여 흡입공(622)으로 유해가스의 흡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도 4 및 도 7 을 참조하면 제2 가스이송부(600)는 흡입유도부(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도부(630)는 배기팬(610)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수납공간(S1)으로부터 유해가스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63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배기팬(610)과 흡입유도부(630) 내측면은 소정간격 이격배치되며, 배기팬(610)과 흡입유도부(630)의 이격된 사이에 유해가스가 일정량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배기팬(610)의 작동시 배기팬(610)은 균일한 양의 유해가스를 흡입한 후 배출관로(620)로 토출시켜줄 수 있어 배출관로(620)의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배출관로(620)의 내부는 항상 실험공간(S) 내부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실험공간(S) 내부의 유해가스를 일정량 흡입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스크러버(200)는 분사부(210), 반응부(220), 수용부(230), 제1 제습부(240) 및 제2 제습부(250)를 포함한다.
분사부(210)는 일측으로 제1 가스이송부(400)로부터 유해가스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유해가스가 일정시간동안 체류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분사부(210)에 마련된 공간에는 분사노즐(211)이 설치될 수 있으며, 분사노즐(211)은 수용부(230)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미스트 방식으로 유해가스가 체류된 공간에 액체를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되는 액체와 유해가스는 1차로 접촉될 수 있다. 분사노즐(211)과 수용부(230) 사이에는 액체를 분사노즐(211)로 공급해줄 수 있는 펌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230)에 수용된 액체는 물, 산성을 띄고 있는 유해가스를 중화시켜줄 수 있는 염화나트륨(NaCl) 수용액일 수 있다.
반응부(220)의 내부에는 플라스틱 성형물인 폴링(Polling)이 다수개 수용되어 있으며, 1차로 접촉된 액체와 유해가스가 수용된 폴링 사이를 통과하면서 액체와 유해가스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접촉 시간을 늘려주어 액체와 유해가스의 접촉 및 반응효율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반응부(220)를 통과하면서 유해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제거되고, 유해가스의 산성도가 중화된 후 반응부(220)에서 배출된다.
수용부(230)는 분사부(210)와 반응부(220)의 하측에 위치하여 유해가스와 반응된 후 폴링에 맺혀진 액체가 중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데, 하강하는 액체를 일정량 수용하는 목적을 갖는다. 수용된 액체는 상기 분사노즐(211)르 공급될 수 있다. 수용부(230)의 일측에는 액체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액체는 외부로 배출되어 수용부(230)의 내부는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230)의 일측으로 액체를 추가로 공급해줄 수 있으며, 액체의 산성도를 계측할 수 있는 측정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제습부(240)는 반응부(220)를 통과한 유해가스에 포함된 잔여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제1 제습부(240)의 내부에는 흡습재가 충진될 수 있다. 흡습재는 데미스터(Demister)일 수 있다.
제1 제습부(240)의 내부에는 흡습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24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24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을 이루며,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형성된 관통홀로 잔여 액체가 배출되어 수용부(23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241)는 중앙이 융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6 (b) 참조) 즉, 지지대(241)는 좌우측이 대칭으로 소정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지지대(241)의 하면에 맺힌 액체가 원활하게 수용부(230)로 낙하할 수 있다.(도 6 (b)의 확대도 참조)
제2 제습부(250)는 제1 제습부(240)에서 미쳐 제거되지 못한 잔여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제2 제습부(250)를 통과한 유해가스는 배기부(300)로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스크러버(200)는 분사부(210)와 반응부(220), 제1 제습부(240)와 제2 제습부(250)를 구획하기 위한 격벽(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격벽(26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분사부(210)와 반응부(220)를 하나의 구역, 제1 및 제2 제습부(240,250)를 다른 하나의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격벽(260)이 형성되면서 유해가스는 'U' 형상을 그리며 분사부(210), 반응부(220), 수용부(230), 제1 제습부(240), 제2 제습부(2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도어(21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개폐수단(700)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개폐수단(700)은 도어(210)를 상하방향으로 견인하여 도어(210)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으로 도어(210)의 개폐로 인해 실험케이스(100)의 개구부에서 흡입되는 기류의 면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개폐수단(700)은 견인와이어(710), 권취풀리(720), 풀리지지대(730), 풀리스프라켓(740), 연결체인(750) 및 구동부(760)를 포함한다. 도어개폐수단(700)은 실험케이스(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와이어(710)는 소정의 장력을 갖는 와이어 형태로 일측이 도어(210)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권취풀리(720)에 권취될 수 있다.
권취풀리(720)는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721)에 결합되어 회전축(721)과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방향에 따라 견인와이어(710)를 권취 또는 권출시킬 수 있다.
이때, 도어(210)와 권취풀리(720) 사이에는 견인와이어(710)를 지지하는 회전풀리(77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풀리(770)에 견인와이어(710)의 일부가 권취되면서 견인와이어(710)의 방향을 변경시켜줄 수 있다. 회전풀리(770)로 인해 견인와이어(710)가 도어(210)를 간섭없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풀리지지대(730)는 회전축(721)을 지지해주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며, 회전축(721)의 일측단이 풀리지지대(730)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풀리스프라켓(740)은 회전축(721)에 설치되어 회전축(721)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풀리스프라켓(740)은 가장자리에 다수의 기어 치(齒)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760)는 전력을 인가받아 회전구동하는 모터로 일측에 모터스프라켓(761)이 구비되어 모터스프라켓(761)을 회전시킨다. 연결체인(750)은 모터스프라켓(761)과 풀리스프라켓(740)을 상호 연결하여 구동부(760)의 회전력을 풀리스프라켓(740)으로 전달하여 회전축(721)과 권취풀리(7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760)는 일측과 타측으로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스텝, 서보 모터일 수 있으며, 구동부(760)의 회전방향에 따라 도어(210)의 개폐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도어개폐수단(700)은 도어(210)의 측면에 형성되어 도어(210)의 상하이동을 안내해줄 수 있는 도어안내부(7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안내부(780)는 안내봉(781), 차단브라켓(782) 및 스토퍼(783)를 포함한다. 안내봉(781)은 도어(210)의 상하이동을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연장형성된다.
안내봉(78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차단브라켓(782)이 형성되어 안내봉(781)을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783)는 도어(210)의 측면에 도어(210)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10)를 개방하거나 닫을 때 스토퍼(783)가 차단브라켓(782)과 접촉되면서 도어(210)의 최대 개방 범위와 최소 개방범위를 제한해줄 수 있다. 한편, 스토퍼(783)는 상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스토퍼(783)가 상호간 이격되는 간격으로 인해 도어(210)의 개폐범위를 조절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는 유해가스를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고, 흡입된 유해가스를 정화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별도의 유해가스 처리시설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100 : 실험케이스 200 : 스크러버
300 : 배기부 400 : 제1 가스이송부
500 : 수납장 600 : 제2 가스이송부

Claims (7)

  1. 내부에 실험공간(S)이 마련되는 실험케이스(100)와 상기 실험공간(S)에서 흡입한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스크러버(200) 및 상기 스크러버(200)와 연결되어 정화된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300)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흄후드에 있어서,
    상기 실험케이스(100)에는 상기 배기부(300)에서 인가된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실험공간(S)에서 생성된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스크러버(200)로 이송시켜주는 제1 가스이송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스이송부(400)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실험공간(S)의 상측에 위치하며, 개방된 하측로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후드(410);
    상기 후드(410)로 유입된 유해가스를 전달받도록 일측이 상기 후드(410)의 측면을 관통하는 유동관로(420);
    상기 유동관로(420)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이동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유동관로(420)의 타측에 형성되는 가스챔버(430);
    일측이 상기 가스챔버(430), 타측이 상기 스크러버(200)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챔버(430)에 수용된 유해가스를 상기 스크러버(200)로 전달하는 연결관로(440);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관로(420)의 일측에는 상기 후드(410)에 수용된 유해가스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후드(4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유입구(421)가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421)가 이루는 면적(A1)이 상기 유동관로(420)를 상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면적(A2)보다 큰 면적을 이루도록 상기 유입구(421)는 소정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421)로 유해가스의 원활한 흡입을 유도하며,
    상기 유동관로(420) 내부에는 이동하는 유체의 와류현상을 방지하고, 유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유동관로(420)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유입구(421)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유동격벽(42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흄후드는 내부에 수납공간(S1)이 마련되며 상기 실험케이스(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수납장(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S1)에서 생성된 유해가스를 상기 제1 가스이송부(400)로 전달하기 위해 일측이 상기 수납공간(S1)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실험공간(S)에 노출되는 제2 가스이송부(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이송부(600)는 상기 수납공간(S1)에 분포된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배기팬(610);과 상기 실험공간(S)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기팬(610)으로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전달받아 상기 실험공간(S)의 상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관로(620);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로(620)는 상기 배출관로(620) 내에 저압을 발생시켜 상기 실험공간(S)내의 유체를 일부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로(620)는 상기 배출관로(62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소정의 흡입공간(S2)을 마련하고, 유동하는 유해가스의 이동속도를 감소시켜 하단에 관통된 흡입공(622)으로 상기 실험공간(S) 내의 유해가스를 흡입하는 흡입챔버(621); 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KR1020220072930A 2022-06-15 2022-06-15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KR102459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930A KR102459540B1 (ko) 2022-06-15 2022-06-15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930A KR102459540B1 (ko) 2022-06-15 2022-06-15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540B1 true KR102459540B1 (ko) 2022-10-27

Family

ID=8381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930A KR102459540B1 (ko) 2022-06-15 2022-06-15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049B1 (ko) * 2022-11-17 2023-06-13 주식회사 아카 공기정화시스템을 구비한 실험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206B1 (ko) * 2008-06-12 2008-12-19 최윤수 흄 후드설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티라인 노즐 분사식 에어커튼
JP2017521226A (ja) 2015-04-10 2017-08-03 イー3・グリーン・テクノロジ・カンパニ・リミテド ヒュームフード
JP6323859B1 (ja) * 2017-11-07 2018-05-16 株式会社セフテック 陰陽圧両用作業フード
KR101913198B1 (ko) * 2018-05-18 2018-10-30 (주)유나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KR101944251B1 (ko) 2018-09-07 2019-01-31 이희만 변위형 웨트스크러버를 갖는 흄후드
KR102283938B1 (ko) * 2020-10-07 2021-07-30 (주)유나 실험용 유니버설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206B1 (ko) * 2008-06-12 2008-12-19 최윤수 흄 후드설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티라인 노즐 분사식 에어커튼
JP2017521226A (ja) 2015-04-10 2017-08-03 イー3・グリーン・テクノロジ・カンパニ・リミテド ヒュームフード
JP6323859B1 (ja) * 2017-11-07 2018-05-16 株式会社セフテック 陰陽圧両用作業フード
JP2019086225A (ja) * 2017-11-07 2019-06-06 株式会社セフテック 陰陽圧両用作業フード
KR101913198B1 (ko) * 2018-05-18 2018-10-30 (주)유나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KR101944251B1 (ko) 2018-09-07 2019-01-31 이희만 변위형 웨트스크러버를 갖는 흄후드
KR102283938B1 (ko) * 2020-10-07 2021-07-30 (주)유나 실험용 유니버설 공기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049B1 (ko) * 2022-11-17 2023-06-13 주식회사 아카 공기정화시스템을 구비한 실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540B1 (ko)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KR101315249B1 (ko) 싸이클론 가스세정기를 구비한 배기 일체형 실험실용 pp 흄 후드
KR101741627B1 (ko) 실험실 흄후드
CA1102609A (en) Total exhaust laminar flow biological fume hood safety cabinet and method
US6893484B2 (en) Low operating pressure gas scrubber
ES2672104T3 (es) Procedimiento para suministrar aire en una cabina de pulverización (realizaciones) y una unidad de ventilación para implementar el procedimiento (realizaciones)
KR102283938B1 (ko) 실험용 유니버설 공기정화장치
KR101755428B1 (ko) 산성가스 처리장치가 구비된 흄후드
JP2020525273A (ja) 排気ガス処理システム
KR102459541B1 (ko)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필터식 흄후드
JP6327150B2 (ja) ショット処理装置
JP2543013B2 (ja) ガス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H026887A (ja) 空気層流による有害物質の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630296B1 (ko) 산성가스 처리장치
KR101630294B1 (ko) 관리가 용이한 산성가스 정화장치
KR20230120902A (ko) 악취 및 분진저감 장치
US5188427A (en) Twin scrubber and air diffuser for a continuous miner and method of ventilation
KR101408308B1 (ko) 도장 부스 장치
KR20160067671A (ko) 공기막을 이용한 처리조 가스 배기 장치
CN216728797U (zh) 一种便于深度处理土壤内层污染的污染处理设备
JP2020185517A (ja) ガス処理装置、換気装置、及びヒュームフード
KR0128726Y1 (ko) 실험기 유해가스 흡입장치
JPH10192646A (ja) ミスト除去機能を備えた水平流型湿式排煙脱硫装置
CN217437731U (zh) 一种悬浮剂农药定量灌装装置
KR102560425B1 (ko) 공기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