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198B1 -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 Google Patents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198B1
KR101913198B1 KR1020180056880A KR20180056880A KR101913198B1 KR 101913198 B1 KR101913198 B1 KR 101913198B1 KR 1020180056880 A KR1020180056880 A KR 1020180056880A KR 20180056880 A KR20180056880 A KR 20180056880A KR 101913198 B1 KR101913198 B1 KR 101913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ace
opening
experimenta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주)유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나 filed Critical (주)유나
Priority to KR1020180056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31Purification arrangements, e.g. solid phase extraction [S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8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enabling gas exchange, e.g.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0Means to control humidity and/or other g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실 등에 설치되어 인체에 유해한 가스 등의 기체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키는 실험용 흄후드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흄후드 내부를 통과하는 유해가스의 이동경로를 안내해주면서 유해가스가 흄후드 내부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체의 와류현상 발생율을 낮출 수 있도록 내부 공간에 다수의 격벽이 구비된 실험실용 흄후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Fume hood device for a laboratory}
본 발명은 실험실 등에 설치되어 인체에 유해한 가스 등의 기체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키는 실험용 흄후드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흄후드 내부를 통과하는 유해가스의 이동경로를 안내해주면서 유해가스가 흄후드 내부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체의 와류현상 발생율을 낮출 수 있도록 내부 공간에 다수의 격벽이 구비된 실험실용 흄후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흄후드(Fume hood)는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장소나 화학적인 실험을 수행하는 여러 연구기관의 실험실에 비치되어 유해한 가스, 악취, 중기 등의 기체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쾌적한 실험실 작업환경을 유지하는 필수설비에 해당한다 따라서 흄후드는 실험을 수행하는 연구원들이 유해가스와의 접촉을 차단함은 물론,이로 인해 연구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흄후드는 외장이 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실험공간이 형성되고, 이 실험공간에서 실험을 수행할 때 발생되는 각종 유해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이 주로 하우징의 상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흄후드의 실험공간을 개폐하도록 상, 하로 슬라이딩되는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종래의 흄후드는 실험공간으로 흡입되는 외부공기와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없어 도어의 개폐정도에 따라 배출되는 배출량의 변동이 매우 크다. 또한, 흡입방향이 흄후드의 일측으로만 흡입되어 내부 실험공간의 모서리 부분에 유해기체의 와류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배출되지 못한 유해기체가 실험실 내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와류현상은 외부공기의 흡입과정 중 도어의 하단부가 흡입되는 기체와 충돌을 일으켜 기체의 진입방향이 변환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흄후드는 유해가스가 흄후드 내부를 통해서 배출될 때 격벽의 뒷공간에 유해가스의 잔유물 등이 부착되며, 부착된 잔유물 등으로 인해 유해가스의 원활한 이동이 불가능해지고, 유해가스의 잔유물들이 흄후드 내부로 유입되거나 화학반응을 일으켜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흄후드의 실험공간 내부에 와류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유해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고, 유해가스의 잔유물 등이 실험공간 내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험용 흄후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0293051호 '실험용 흄 후드의 가스 흡입 및 배출장치' (출원일자 1999.03.29)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5525호 '실험용 흄후드' (출원일자 2004.03.30) 3. 등록특허공보 제10-1356020호 '흄후드' (출원일자 2013.05.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흄후드 내부의 실험공간의 내측 벽면에 격벽을 구비하고, 내부에 잔류된 유해가스와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격벽에 안내되면서 흄후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며, 실험공간 내부에 유해가스의 잔류 및 와류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험실용 흄후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공간(S)이 형성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며, 상기 실험공간(S)의 일측을 개방하도록 개구부(110)가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실험공간(S)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실험공간(S)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200);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개구부(110)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도어(300); 상기 개구부(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30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도어개폐수단(400); 상기 실험공간(S)의 내측 벽면에 부착되어 실험공간(S)의 내부 공기와 상기 개구부(11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이동을 안내해주며 공기의 와류(渦流)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유체가이드부(500); 상기 개구부(110)의 하측에는 상기 도어(300)가 상기 개구부(110)를 밀폐하는 경우 상기 실험공간(S)의 내부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공기를 상기 실험공간(S)으로 유입시키는 유량조절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이드부(500)는 상기 실험공간(S)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110)의 상측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배출수단(200)으로 안내하는 상부격벽(510); 상기 실험공간(S)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험공간(S)의 내측에 유체이동로(W)가 형성되도록 상기 실험공간(S)을 구획하며, 외부공기와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를 상기 배출수단(200)으로 안내하는 다수개의 하부격벽(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싱기 상부격벽(510)은 일측이 상기 본체(100)의 전방 내측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배출수단(200)을 향하도록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는 안내플레이트(511); 상기 안내플레이트(511)의 경사각도를 유지시키는 고정브라켓(5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격벽(520)은 상단이 상기 상부격벽(510)과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실험공간(S)에 제1 유체이동로(W1)를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메인플레이트(521); 상기 상부격벽(510)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상기 제1 유체이동로(W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일측이 상기 메인플레이트(52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격벽(510)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는 상부 보조플레이트(522); 상단이 상기 메인플레이트(521)의 하단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되, 상기 메인플레이트(521)의 하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실험공간(S)에 제2 유체이동로(W2)를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하부 보조플레이트(523); 상기 메인플레이트(521), 상부 보조플레이트(522), 하부 보조플레이트(523)를 상기 실험공간(S)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브라켓(5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플레이트(521)는 가상의 수평선(L1)을 기준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고, 상기 하부보조플레이트(523)는 상기 실험공간(S)에 제2 유체이동로(W2)를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제1 하부플레이트(523-1); 상단이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523-1)의 하단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523-1)와 이격되어 제3 유체이동로(W3)를 구획하는 제2 하부플레이트(523-2); 상단이 상기 제2 하부플레이트(523-2)의 하단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하부플레이트(523-2)와 이격되어 제4 유체이동로(W4)를 구획하는 제3 하부플레이트(523-3);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523-1), 제2 하부플레이트(523-2), 제3 하부플레이트(523-3)는 가상의 수평선(L2)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배출수단(200)은 상기 실험공간(S)의 상측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배출하우징(210); 상기 배출하우징(2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실험공간(S)과 연통되며 흡입력이 제공되는 송풍구(220); 상기 송풍구()와 상기 실험공간(S) 사이에 구비되며 흡입되는 내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231)를 포함하는 필터하우징(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흡입구의 흡입력을 분산시키도록 실험공간에 유체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유해가스의 발생근원지 주변과 실험공간에 분포된 유체를 동시에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으며, 다량의 유해가스가 발생하거나 유해가스의 비중이나 종류에 관계없이 배출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고 유체가이드부의 다른실시예를 표현한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본체 내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하부격벽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본체 내부의 실험공간을 수직방향으로 절개하여 실험공간 내부의 유체의 속도 및 잔류량을 나타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본체 내부의 실험공간을 수평방향으로 절개하여 실험공간 내부의 유체의 속도 및 잔류량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험실용 흄후드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고 유체가이드부의 다른실시예를 표현한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본체 내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하부격벽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본체 내부의 실험공간을 수직방향으로 절개하여 실험공간 내부의 유체의 속도 및 잔류량을 나타낸 도면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실험공간(S)이 형성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는 본체(100)가 구비된다. 즉, 본체(100)는 본체 바닥판(101)과 본체 바닥판(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한쌍의 본체 측판(102), 본체 측판(102) 사이에 형성되는 본체 후면판(103) 및 본체 후면판(103)과 마주보되, 상기 본체 바닥판(101)과 일정간격 상방향으로 이격되는 본체 전측판(10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체(100)의 내부에는 실험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체 전측판(104)에는 작업공간(S)과 연통되며 실험공간(S)을 본체(100)의 외부공간으로 개방하는 개구부(110)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개구부(110)는 본체 바닥판(101)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상단에는 배출수단(200)이 구비된다. 배출수단(200)은 실험공간(S)의 내부 공기를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배출수단(200)은 배출하우징(210), 송풍구(220) 및 필터하우징(230)을 포함한다.
배출하우징(210)은 본체(100)의 상측 즉, 실험공간(S)의 상측을 밀폐시키도록 본체(100)의 상측의 개방된 면적을 완전히 덮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단면적이 적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구(220)는 배출하우징(210)의 상단에 설치된다. 송풍구(220)는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도록 실험공간(S)과 연통되며 내부에 송풍팬 등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성이 추가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230)은 송풍구(220)와 실험공간(S) 사이에 구비되고, 바람직하게는 송풍구(220)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송풍구(22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송풍구(220)에서 흡입되는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는 필터하우징(230)을 통과한 후 송풍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필터하우징(230)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231)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터하우징(230)을 인출하여 상기의 필터(231)를 교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체 전측판(104)에는 도어(300)가 형성된다 도어(200)는 개구부(110)를 개폐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어(300)는 본체 전측판(104)의 배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도어(300)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개구부(110)를 개폐한다. 이때, 도어(300)가 하강하는 경우에도 실험공간(S)의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개구부(110)의 상측에는 도어(30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도어개폐수단(400)이 구비된다. 도어개폐수단(400)은 도어(300)를 상방향으로 견인하거나, 도어(300)를 하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개구부(110)의 개방면적을 조절한다.
즉, 도어(300)는 일정중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없는데, 도어개폐수단(400)이 도어(300)의 중량과 동일한 힘 또는 도어(300)의 중량보다 작은 힘으로 상방향 견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도어(3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실험공간(S)의 내측 벽면 중 상기 본체 후면판(103) 또는 본체 측판(102)에 부착되어 실험공간(S)의 내부 공기와 개구부(11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이동을 안내해주는 유체가이드부(500)가 형성된다. 유체가이드부(500)는 개구부(11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이동을 안내해주며 공기의 와류(渦流)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실험공간(S)의 내부에 설치된다.
유체가이드부(500)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실험공간(S)을 구획하고, 개구부(110)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다수개 배치된다. 따라서, 유체가이드부(500)가 개구부(110)의 하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배출수단(200)으로 안내 및 구획해줌으로써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와 본체(100)의 외부공기가 만나면서 발생하는 공기의 와류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개구부(110)의 하단에는 유량조절부(600)가 더 구비된다. 유량조절부(600)는 실험공간(S)과 연통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배출수단(200)의 송풍구(220)의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외부 공기를 실험공간(S)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유량조절부(600)가 개구부(110)의 하단, 즉, 본체(100)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가 배출수단(200)으로 배출될 때 실험공간(S)의 바닥이나 구석에 정체되어 잔류하는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개구부(110)로 유입되는 공기와 실험공간(S) 내부에 잔류하는 유체가 만나면서 유체의 난류(亂流)현상이 발생하여 배기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공기를 상기 실험공간(S)으로 유입시키면서 도어(300)가 개구부(110)를 밀폐하는 경우 실험공간(S)의 내부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입되는 외부공기의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개구부(110)의 개방면적또는 실험공간(S)의 실험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유체가이드부(500)는 상부격벽(510) 및 하부격벽(520)을 포함한다. 상부격벽(510)은 실험공간(S)의 상측, 즉 배출하우징(210)의 하면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개구부(11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배출수단(200)으로 안내하는 목적을 갖는다.
즉, 상부격벽(510)은 개구부(110)의 상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실험공간(S)의 정체된 내부공기와 만나면서 발생하는 와류현상으로 인해 외부공기와 내부공기가 배출수단(200)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하부격벽(520)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실험공간(S)을 구획하되, 실험공간(S)의 내측, 즉 본체 측판(102) 또는 본체 후면판(103)에 고정되면서 실험공간(S)의 내측에 유체이동로(W)를 형성한다.
하부격벽(520)은 개구부(110)의 하단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및 유량조절부(60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와 함께 배출수단(200)으로 안내 및 이동시킨다. 그리고 실험공간(S)을 다수개로 분할하여 구획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면서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상부격벽(510)은 안내플레이트(511)와 고정브라켓(512)을 포함한다. 먼저 안내플레이트(511)는 일측이 본체(100)의 전방 즉 본체 전측판(104)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배출수단(200)을 향하도록 일정각도 경사를 이룬다. 그리고, 안내플레이트(511)에는 실험공간(S)의 내부에 일정량의 빛을 조사하도록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실내조명부(5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512)은 일측이 안내플레이트(511)의 상면에 부착되고, 타측이 본체 전측판(104)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안내플레이트(511)을 지지함과 동시에 안내플레이트(511)가 이루는 경사각도를 유지시킨다.
도 4 를 참조하면 하부격벽(520)은 메인플레이트(521), 상부 보조플레이트(522) 하부 보조플레이트(523) 및 브라켓(524)을 갖는다. 메인플레이트(521)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실험공간(S)에 제1 유체이동로(W1)를 구획한다.
즉, 제1 유체이동로(W1)는 세워진 메인플레이트(521)와 본체 후면판(103) 사이에 형성된다. 제1 유체이동로(W1)는 실험공간(S)의 하측에 분포된 내부공기를 흡입 및 안내하기 위한 이동로에 해당한다.
이때, 메인플레이트(521)의 상단은 상기의 상부격벽(510)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이격된 사이로 개구부(110)의 상측으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부 보조플레이트(522)는 메인플레이트(52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부격벽(510)과 동일한 각도 또는 상부격벽(510)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지 않는 범위 내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부 보조플레이트(522)는 상부격벽(510)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제1 유체이동로(W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하부 보조플레이트(523)는 메인플레이트(521)의 하측에 위치하며 다수개 형성된다. 하부 보조플레이트(523) 또한 메인플레이드(521)와 동일하게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실험공간(S)에 제2 유체이동로(W2)를 구획한다.
이때. 하부 보조플레이트(523)의 상단은 메인플레이트(521)의 하단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면서 메인플레이트(521)의 하단과 하부 보조플레이트(523)의 상단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이격된다. 이로써,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가 하부 보조플레이트(523)와 메인플레이트(521)의 이격된 사이를 지나 제1 유체이동로(W1)로 유입되고, 하부 보조플레이트(523)의 하측을 지나 제2 유체이동로(W2)로 동시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524)은 메인플레이트(521), 상부 보조플레이트(522)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523)를 실험공간(S)에 위치시키기 위해 일측이 메인플레이트(521), 상부 보조플레이트(522)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523)와 연결되고, 타측이 본체 측판(102) 또는 본체 후면판(103)에 고정되어 메인플레이트(521), 상부 보조플레이트(522) 및 하부 보조플레이트(523)를 실험공간(S)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메인플레이트(521)는 가상의 수평선(L1)을 기준으로 예각(θ)을 이루도록 경사진다. 이는 개구부(110)의 상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와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유체의 와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개구부(110)의 상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먼저 메인플레이트(521)에 접촉되고, 이후 상부격벽(510)에 접촉되면서 상부격벽(510)에 안내되어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메인플레이트(521)가 경사짐으로써, 개구부(110)의 상측으로부터 빠르게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완충시켜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하부 보조플레이트(523)는 제1 하부플레이트(523-1), 제2 하부플레이트(523-2) 및 제3 하부플레이트(523-3)를 포함한다.
제1 하부플레이트(523-1)는 실험공간(S)에 제2 유체이동로(W2)를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진다. 이때, 제1 하부플레이트(523-1)는 메인플레이트(521)와 본체 후면판(103)과 인접한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단이 메인플레이트(521)의 하단과 동일한 수평선을 유지하도록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하부플레이트(523-1)와 메인플레이트(521)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제2 하부플레이트(523-2)는 실험공간(S)에 제3 유체이동로(W3)를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진다. 즉, 상단이 제1 하부플레이트(523-1) 하단과 동일한 수평선을 유지하도록 이격되면서 제3 유체이동로(W3)를 형성한다.
또한, 제3 하부플레이트(523-3)도 실험공간(S)에 제4 유체이동로(W4)를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데, 이때, 제3 하부플레이트(523-3)의 상단이 제2 하부플레이트(523-2)의 하단과 동일한 수평선을 유지하면서 제4 유체이동로(W4)를 구획하며 이격된다.
하부 보조플레이트(523)는 제1 내지 제3 하부플레이트(523-1,2,3) 외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부플레이트(523-1), 제2 하부플레이트(523-2), 제3 하부플레이트(523-3)는 가상의 수평선(L2)을 기준으로 둔각(θ)을 이루도록 경사를 유지한다.
이는 제1 내지 제3 하부플레이트(523-1,523-2,523-3)의 각각 이격된 간격으로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와 외부공기가 통과하여 제1 내지 제4 유체이동로(W1,W2,W3,W4)로 유입되는데, 이때, 제1 내지 제3 하부플레이트(523-1,523-2,523-3)의 상단과 하단 사이를 유체가 통과할 때 발생하는 와류현상을 최소화 시키기 위함이다.
도 6 은 실험공간(S)의 수직방향으로 절개한 것이고, 도 7 은 실험공간(S)을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것으로써 상기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하부 보조플레이트(523)의 실시예와 하부 보조플레이트(523)을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 및 잔류량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제1 내지 제3 하부플레이트(523-1,523-2,523-3)가 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며 연장되어 제1 내지 제4 유체이동로(W1,W2,W3,W4)를 독립적으로 구획한 것에 대한 실험공간(S) 내부의 유체 흐름을 및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1 내지 제3 하부플레이트(523-1,523-2,523-3)가 제1 내지 제4 유체이동로(W1,W2,W3,W4)를 독립적으로 구획하면 각각의 유체이동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이동속도는 커지는 반면 실험공간(S)의 구석에 위치한 공기는 정체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각각의 제1 내지 제3 하부플레이트(523-1,523-2,523-3)의 상단과 하단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한 경우의 유체 흐름을 및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메인플레이트(521)의 하단에 유체의 정체구간이 발생하여 실험공간(S)의 중앙에 분포된 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제1 내지 제3 하부플레이트(523-1,523-2,523-3) 가상의 수평선(L2)을 기준으로 둔각방향으로 경사진 경우의 유체 흐름을 및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2에서 발생한 메인플레이트(521)의 하단에 유체의 정체구간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험공간(S) 내부의 공기와 외부공기가 적절하게 혼합되면서 배출수단(200)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실험공간(S)의 내측 하단에 정체된 내부공기도 원활하게 유체이동로로 흡입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험실용 흄후드장치는 실험공간(S) 내부의 유해가스의 발생근원지 및 그 주변에 분포된 유체를 동시에 흡입함으로써 유해가스의 발생량, 종류에 관계없이 배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본체 200 : 배출수단
300 : 도어 400 : 도어개폐수단
500 : 유체가이드부 510 : 상부격벽
511 : 안내플레이트 512 : 고정브라켓
520 : 하부격벽 521 : 메인플레이트
522 : 상부 보조플레이트 523 : 하부 보조플레이트

Claims (6)

  1. 실험공간(S)이 형성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며, 상기 실험공간(S)의 일측을 개방하도록 개구부(110)가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실험공간(S)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실험공간(S)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200);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개구부(110)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도어(300);
    상기 개구부(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30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도어개폐수단(400);
    상기 실험공간(S)의 내측 벽면에 부착되어 실험공간(S)의 내부 공기와 상기 개구부(11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이동을 안내해주며 공기의 와류(渦流)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유체가이드부(500);
    상기 개구부(110)의 하측에는 상기 도어(300)가 상기 개구부(110)를 밀폐하는 경우 상기 실험공간(S)의 내부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공기를 상기 실험공간(S)으로 유입시키는 유량조절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가이드부(500)는 상기 실험공간(S)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110)의 상측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배출수단(200)으로 안내하는 상부격벽(510);
    상기 실험공간(S)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험공간(S)의 내측에 유체이동로(W)가 형성되도록 상기 실험공간(S)을 구획하며, 외부공기와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를 상기 배출수단(200)으로 안내하는 다수개의 하부격벽(520);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격벽(520)은 상단이 상기 상부격벽(510)과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실험공간(S)에 제1 유체이동로(W1)를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메인플레이트(521);
    상기 상부격벽(510)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상기 제1 유체이동로(W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일측이 상기 메인플레이트(52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격벽(510)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는 상부 보조플레이트(522);
    상단이 상기 메인플레이트(521)의 하단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되, 상기 메인플레이트(521)의 하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실험공간(S)에 제2 유체이동로(W2)를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하부 보조플레이트(523);
    상기 메인플레이트(521), 상부 보조플레이트(522), 하부 보조플레이트(523)를 상기 실험공간(S)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브라켓(5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싱기 상부격벽(510)은
    일측이 상기 본체(100)의 전방 내측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배출수단(200)을 향하도록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는 안내플레이트(511);
    상기 안내플레이트(511)의 경사각도를 유지시키는 고정브라켓(5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521)는 가상의 수평선(L1)을 기준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고,
    상기 하부보조플레이트(523)는 상기 실험공간(S)에 제2 유체이동로(W2)를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제1 하부플레이트(523-1);
    상단이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523-1)의 하단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523-1)와 이격되어 제3 유체이동로(W3)를 구획하는 제2 하부플레이트(523-2);
    상단이 상기 제2 하부플레이트(523-2)의 하단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하부플레이트(523-2)와 이격되어 제4 유체이동로(W4)를 구획하는 제3 하부플레이트(523-3);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523-1), 제2 하부플레이트(523-2), 제3 하부플레이트(523-3)는 가상의 수평선(L2)을 기준으로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200)은
    상기 실험공간(S)의 상측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배출하우징(210);
    상기 배출하우징(2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실험공간(S)의 내부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실험공간(S)과 연통되며 흡입력이 제공되는 송풍구(220);
    상기 송풍구(220)와 상기 실험공간(S) 사이에 구비되며 흡입되는 내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231)를 포함하는 필터하우징(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KR1020180056880A 2018-05-18 2018-05-18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KR101913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80A KR101913198B1 (ko) 2018-05-18 2018-05-18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80A KR101913198B1 (ko) 2018-05-18 2018-05-18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198B1 true KR101913198B1 (ko) 2018-10-30

Family

ID=6410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880A KR101913198B1 (ko) 2018-05-18 2018-05-18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1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8961A (zh) * 2021-04-01 2021-07-02 惠特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室防爆通风柜
WO2022145983A1 (en) * 2020-12-28 2022-07-07 Seegene, Inc. Mobile diagnostic structure
KR102459540B1 (ko) * 2022-06-15 2022-10-27 (주)유나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KR102459541B1 (ko) * 2022-06-15 2022-10-27 (주)유나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필터식 흄후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478B1 (ko) 2009-09-02 2010-03-17 주식회사씨애치씨랩 흄 후드의 외부공기 유입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478B1 (ko) 2009-09-02 2010-03-17 주식회사씨애치씨랩 흄 후드의 외부공기 유입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983A1 (en) * 2020-12-28 2022-07-07 Seegene, Inc. Mobile diagnostic structure
WO2022145985A1 (ko) * 2020-12-28 2022-07-07 주식회사 씨젠 이동형 진단 구조물
CN113058961A (zh) * 2021-04-01 2021-07-02 惠特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室防爆通风柜
KR102459540B1 (ko) * 2022-06-15 2022-10-27 (주)유나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순환식 흄후드
KR102459541B1 (ko) * 2022-06-15 2022-10-27 (주)유나 유해가스 정화가 가능한 필터식 흄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198B1 (ko) 실험실용 흄후드장치
CA2757939C (en) Laboratory fume cupboard
JP6228040B2 (ja) 排気の循環利用型安全キャビネット及び排気の循環利用型安全キャビネットを備えるクリーンルームの空気循環システム
US7217183B2 (en) Turbulence-free laboratory safety enclosure
KR101939624B1 (ko) 실험용 흄후드
WO2019071864A1 (zh) 通风柜
KR101347217B1 (ko) 흄후드
US6350194B1 (en) Fume hood with airflow control system
US20120322353A1 (en) Fume hood
US6506109B1 (en) Fume hood with air chamber
JP6978291B2 (ja) クリーンブース
WO2021005869A1 (ja) 安全キャビネット
KR101284705B1 (ko) 실험용 흄후드
KR100947478B1 (ko) 흄 후드의 외부공기 유입 구조
US20030027513A1 (en) Fume hood with air chamber and pressure pipe
CN217857912U (zh) 一种通风柜
CN217726587U (zh) 一种侧补风组件和通风柜
CN115318786B (zh) 一种通风柜
CN217726586U (zh) 一种导流结构和通风柜
CN117225855A (zh) 一种通风柜
GB2336667A (en) Fume cupboards
JP3533649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
CN107335672A (zh) 用于抗湍流气流控制的带有文丘里效应吸气装置的实验室通风柜
KR102607638B1 (ko) 공기정화용 조립식 실험실
CN101618388A (zh) 负压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