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635B1 - 여과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정식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여과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정식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635B1
KR101040635B1 KR1020100117965A KR20100117965A KR101040635B1 KR 101040635 B1 KR101040635 B1 KR 101040635B1 KR 1020100117965 A KR1020100117965 A KR 1020100117965A KR 20100117965 A KR20100117965 A KR 20100117965A KR 101040635 B1 KR101040635 B1 KR 101040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ltraviolet
strainer
cleaning nozzles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구
Original Assignee
박홍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구 filed Critical 박홍구
Priority to KR1020100117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04UV 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향해 하방으로 물을 분사시켜 상기 공기를 세정하는 다수의 세정노즐이 내부에 마련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 내의 하부 영역에 저장되는 물과 상기 세정노즐들을 연결하는 관로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을 상기 세정노즐들 쪽으로 펌핑하는 펌프; 및 상기 관로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에 마련되어 상기 세정노즐들로 향하는 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트레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물이 장치본체의 내부로 순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여과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정식 집진장치{Scrubber having filtering and sterilizing functions}
본 발명은, 여과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정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이 걸러지고 살균된 물이 장치본체의 내부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 세정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체 속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모아 제거하는 장치로서 집진장치(또는 집진기)가 존재한다. 종전만 하더라도 집진장치는 보일러의 연도 가스 속에 함유된 재(ash)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데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는 공장의 굴뚝에서 나오는 매연과 그 밖의 미립자를 막기 위해 대부분 공장의 굴뚝에 적용되고 있다.
집진 방식으로는 중력에 의한 것, 여과한 것, 관성/원심력에 의한 것, 음파를 이용한 것, 세정에 의한 것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크게 나누어 기계식과 전기식이 있으며, 기계식은 다시 건식과 습식으로 나뉜다.
이러한 집진장치 중에서도 특히, 세정에 의한 집진장치를 세정식 집진장치, 혹은 영문 그대로 스크러버(scrubber)라고 한다. 세정식 집진장치는 현재 화학 공장을 비롯하여 일반 공장, 극장, 건물 등의 공기정화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세정식 집진장치는 실내의 악취나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gas)를 흡입한 다음, 장치본체 내에서 물에 의해 세정(샤워)되도록 한 후에 세정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정식 집진장치의 경우, 장치본체 내의 하부에 저장되는 물이 수증기의 배출 또는 일부 증발에 의해 소실되기 때문에 물탱크로부터 새로운 물이 약간씩 보충되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물이 순환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아래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즉 장치본체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당히 오염된 공기로서 유해한 먼지나 악취, 냄새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가 세정되는 과정에서 장치본체 내의 하부에 저장되는 물에 각종 분진이나 이물질이 포함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물을 오랜 기간 순환시켜 사용하면 대장균이나 각종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높다. 물론, 일정 시간 사용 후에는 클린(clean)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실제의 경우에는 클린 작업 없이 장기간 그대로 방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클린 작업 없이 오랜 기간 사용되는 물에는 각종 이물질이나 세균이 번식되어 있는 상태일 수밖에 없고, 이러한 물을 계속 순환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이물질에 의하여 펌프나 배관 노즐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사이트 글라스(sight glass)를 통해 내부 투시가 어려울 정도로 세정식 집진장치를 구성하는 필터 등의 많은 내장 부품에 이물질이 증착될 수 있으며, 특히 세정 후 배출되는 공기에 번식된 세균이 그대로 배출될 수 있어 외부 대기의 2차 오염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이 걸러진 물이 장치본체의 내부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 세정식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이 걸러지고 살균 처리된 물이 장치본체의 내부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 세정식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향해 하방으로 물을 분사시켜 상기 공기를 세정하는 다수의 세정노즐이 내부에 마련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 내의 하부 영역에 저장되는 물과 상기 세정노즐들을 연결하는 관로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을 상기 세정노즐들 쪽으로 펌핑하는 펌프; 및 상기 관로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에 마련되어 상기 세정노즐들로 향하는 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트레너를 포함하는 세정식 집진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트레너는, 상기 분기관으로부터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스트레너 몸체; 및 상기 스트레너 몸체의 내부에서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트레너에 연결되는 제1 연결관과 상기 관로에 연결되는 제2 연결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레너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물을 살균 처리하는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는, 상기 제1 연결관과 연결되는 살균관이 결합되는 살균기본체; 및 상기 살균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관을 따라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시키는 자외선 살균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의 말단인 공기배출부 하부에는 다수개의 자외선 살균램프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이 걸러진 물이 장치본체의 내부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관로의 막힘 현상과 수많은 내장 부품에 이물질이 증착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세균에 의해 오염된 공기 및 수증기가 대기로 방출됨에 따라 대기의 2차 오염을 유발시키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이 걸러지고 살균 처리된 물이 장치본체의 내부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관로의 막힘 현상과 수많은 내장 부품에 이물질이 증착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세균에 의해 오염된 공기 및 수증기가 대기로 방출됨에 따라 대기의 2차 오염을 유발시키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식 집진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트레너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의 확대도,
도 4는 물 유동라인을 제외한 도 3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자외선 살균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정식 집진장치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여과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정식 집진장치는, 장치본체(100)에 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트레너(150)와, 이물질이 걸리진 물을 자외선으로 살균 처리하는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20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도 1의 형태가 이상적이기는 하지만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200) 없이 스트레너(150)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장치본체(100)는 오염된 공기를 물에 의해 세정하는 세정 작용이 실질적으로 진행되는 장소이다. 굴뚝형의 타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본체(100)의 형태는 하나의 예일 뿐,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장치본체(100)가 사용될 수 있다.
장치본체(100)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의 냄새나 악취 등의 오염된 공기가 장치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블로워(102, blower)가 마련된다. 블로워(102)는 축류팬 타입으로서 많은 양의 오염 공기가 장치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장치본체(100)의 내부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세정노즐(104)이 마련된다. 다수의 세정노즐(104)은 장치본체(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는 관로(110)에 다수 개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세정노즐(104)들이 장치본체(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2단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다. 따라서 세정노즐(104)들은 1단으로, 혹은 3단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세정노즐(104)들을 통해서는 물이 하방으로 분사되어 오염 공기를 샤워시켜 세정한다.
장치본체(100)의 하부 영역에는 물탱크(120)가 결합된다. 물탱크(120)는 장치본체(100)의 내부에 물이 소진될 경우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장치본체(100)의 내부에는 도시 않은 볼 밸브가 마련되어 일정 수위의 물이 장치본체(100) 내의 하부에 저장되도록 하며, 이 물은 펌프(122)에 의해 관로(110)를 통해 각 세정노즐(104)들로 향한다.
세정노즐(104)들의 주변에는 일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 팩킹(130)이 마련된다. 팩킹(130)은 다수의 폴 링(pall ring)으로 적층되어 있어 그 공극 사이로 오염 공기가 통과되면서 세정되도록 한다.
세정노즐(104)들의 상부 영역에는 더미스터(132)가 구비된다. 더미스터(132)는 마치 철 수세미와 같은 형태의 망 구조를 가지며, 이를 통해 큰 물방울들이 탈락된 후 수증기와 세정 공기들이 상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장치본체(100)의 상부 영역에는 세정이 완료된 깨끗한 공기가 대기로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134)가 형성된다. 공기 배출부(134)에 인접된 장치본체(100)의 측면 일측에는 공기의 질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홀(136)이 마련되고, 테스트 홀(136)의 하부 영역에서 장치본체(100)의 측벽에는 내부의 관찰을 위한 사이트 글라스(138, sight glass)가 마련된다. 그리고 장치본체(100)의 상단부 영역에는 작업을 위한 사다리부(140)가 마련된다.
이에, 오염된 외부 공기는 블로워(102)를 통해 장치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압에 의해 공기 배출부(134) 쪽의 상부로 향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오염 공기는 팩킹(130)을 통과하면서 세정노즐(104)들에 의해 세정(샤워)이 반복되고, 이어 더미스터(132)에 의해 큰 물방울들이 탈락된 후 최종적으로 수증기와 세정이 완료된 공기들이 상부의 공기 배출부(134)를 통해 대기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작용 중에, 오염 공기는 세정노즐(104)들에 의해 세정되는데, 이때는 펌프(122)에 의해 장치본체(100) 내의 하부 영역에 저장된 물이 펌핑되어 사용된다. 물론, 장치본체(100) 내의 물이 줄게 되면 물탱크(120)에서 보충되지만, 보편적으로는 장치본체(100) 내의 물이 계속 순환되면서 오염 공기를 세정한다.
이 경우, 별도의 클린 작업 없이 장치본체(100) 내의 물을 반복해서 사용하다 보면, 오랜 기간 사용되는 물에는 각종 이물질이나 세균이 번식되어 있는 상태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펌프(122)나 관로(110), 혹은 세정노즐(104)들이 막히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고, 심한 경우에는 사이트 글라스(138)를 통해 내부 투시가 어려울 정도로 세정식 집진장치를 구성하는 많은 내장 부품에 이물질이 증착될 수 있으며, 특히 세정 후 배출되는 공기에 번식된 세균이 그대로 배출될 수 있어 외부 대기의 2차 오염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클린 작업을 주기적으로 진행하지 못한다면, 장치본체(100) 내의 물 속에 잔존 가능한 이물질을 걸러 내야하고, 더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물을 자외선 살균 처리하면 더욱 좋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집진장치의 장치본체(100)에 스트레너(150)와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200)가 더 결합된다. 또한 테스트 홀(136)의 하부 영역, 즉 장치본체(100)의 말단인 공기 배출부(134) 하단에는 다수의 살균램프(149)가 마련되어 마지막으로 배출되는 공기와 수증기를 살균 처리한다.
스트레너(150)는 관로(110)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145)에 마련되어 세정노즐(104)들로 향하는 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레너(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145)으로부터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151a)와,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51b)를 구비하는 스트레너 몸체(151)와, 스트레너 몸체(151)의 내부에서 교차되게 배치되어 유입부(151a)를 통해 유입되는 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153)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망(153)은 그 노출 단부의 커넥터(153a)가 나사식 결합에 의해 스트레너 몸체(1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더러워진 여과망(153)은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이에, 유입부(151a)를 통해 도 2의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배출부(151b) 쪽으로 물, 증기 및 공기 등이 함께 유동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즉 슬러지(sludge)는 여과망(153)에 여과되어 커넥터(153a) 쪽의 화살표 B 방향으로 걸러질 수 있다.
한편, 스트레너(150)에 의해 물 속의 이물질이 걸러졌다 하더라도 그 물이 살균된 깨끗한 물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200)가 마련된다.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200)는 스트레너(150)의 배출부(151b) 쪽에 연결되는 제1 연결관(148a)과 관로(110)에 다시 연결되는 제2 연결관(148b) 사이에 배치되어 스트레너(150)에 의해 물 속의 이물질이 걸러진 물을 자외선에 의해 살균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관(220)이 결합되는 살균기본체(210), 자외선 살균 유닛(230), 물 유동라인(250), 유량계(255), 그리고 살균기본체(210)에 결합되는 컨트롤 패널(260)을 구비할 수 있다.
살균기본체(210)는 본 실시예의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이다. 살균기본체(210)의 전면 중앙 영역에는 컨트롤 패널(260)이 결합된다.
살균관(220)은 살균기본체(210)의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관으로서 그 내부에는 스트레너(150)에 의해 물 속의 이물질이 걸러진 물이 흐른다. 살균관(22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다수의 밸브 콕(221~223)이 마련된다.
살균관(220)의 내부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살균관(220)에는 물 유동라인(250)이 연결된다. 물 유동라인(2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관(220)으로 물이 유입되되 제1 연결관(148a)과 연결되는 유입라인(251)과, 살균관(220)으로부터 물이 배출되되 제2 연결관(148b)과 연결되는 배출라인(252)과, 유입라인(251)과 배출라인(252)을 연결하는 연결라인(253)을 구비한다. 이러한 물 유동라인(250)의 구조에서 유량계(255)는 배출라인(252)의 일측에 마련되어 물의 유량값을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유량계(255)는 선택 사항이며, 반드시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유입라인(251), 배출라인(252) 및 연결라인(253)에는 해당 라인(251,252,25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내지 제3 밸브(251a,252a,253a)가 마련될 수 있다.
자외선 살균 유닛(2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살균관(2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살균관(220)을 따라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5처럼 유닛 단위로 마련될 수 있는 자외선 살균 유닛(230)은 자외선의 조사 기능 외에 자외선 강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살균 유닛(230)은,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다수의 자외선램프(233)와, 다수의 자외선램프(233)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조사되는 자외선의 강도를 감지하는 다(多) 방향 자외선센서(미도시)와, 상호간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231,232)와, 제1 및 제2 플레이트(231,232)를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봉(238)을 구비할 수 있다.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233)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1 석영관(233a)에 의해 보호되는데, 이러한 제1 석영관(233a)은 제1 및 제2 플레이트(231,232)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지지된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231,232)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4개의 제1 석영관(233a)이 배치될 수 있다.
조사되는 자외선의 강도를 감지하는 자외선센서 역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2 석영관(235a)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데, 이때의 제2 석영관(235a)은 제1 및 제2 플레이트(231,232) 사이의 중앙 영역에서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자외선램프(233)들 사이의 중앙에 자외선센서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자외선의 강도값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면 자외선의 강도값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을 수는 있지만 경우에 따라 자외선센서는 구성상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231,232)는 다수의 연결봉(238)에 의해 외곽의 다수의 제1 석영관(233a)과 중앙의 제2 석영관(235a)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동일한 형태와 구조로 제1 및 제2 플레이트(231,232)를 마련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231,232)의 구조와 형상이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하고 있다.
제1 플레이트(231)에는 제1 및 제2 석영관(233a,235a)들의 일측을 지지하는 램프 캡(231a)이 더 사용된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232)에는 다수의 통공(232a)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석영관(233a,235a)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고무 실링부재(239)가 더 마련된다. 고무 실링부재(239)는 도 5의 확대 그림처럼 제2 플레이트(232)와 석영관(233a,235a)들 사이에 개재되어 석영관(233a,235a)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석영관(233a,235a)들이 손상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석영관(233a,235a)들의 외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영관(233a,235a)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석영관(233a,235a)들의 외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유닛(270)이 더 마련된다.
세척유닛(270)은 석영관(233a,235a)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석영관(233a,235a)들의 외표면을 닦아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세척유닛(270)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세척유닛(270)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펌프(271)와, 수압펌프(271)로부터의 동력을 제공받아 세척유닛(270)을 이동시키는 유닛구동부(272)가 마련된다. 유닛구동부(272)는 실린더 혹은 피스톤이 될 수 있는데, 다수의 세척유닛(270)을 하나의 유닛구동부(272)에 의해 동작시키기 위해 다수의 세척유닛(270)들은 별도의 브래킷(275)에 의해 지지된 다음 유닛구동부(272)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봉(238)은 제1 및 제2 플레이트(231,232)를 이격되게 연결 지지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연결봉(238)의 표면에는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 코팅층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를 코팅하게 되면 살균 효율이 더 좋아지게 된다.
컨트롤 패널(26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기본체(210)에 결합되어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100)에, 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트레너(150)와, 이물질이 걸리진 물을 자외선으로 살균 처리하는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200)가 연결되는 구조로 집진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이물질이 걸러지고 살균 처리된 물이 장치본체(100)의 내부로 순환될 수 있어 이물질에 의한 관로(110)의 막힘 현상과 수많은 내장 부품에 이물질이 증착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집진장치의 말단부인 공기 배출부의 하부에는 다수의 자외선 살균램프(149)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세균이 포함된 공기나 수증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대기의 2차 오염을 유발시키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장치본체 102 : 블로워
104 : 세정노즐 110 : 관로
120 : 물탱크 122 : 펌프
130 : 팩킹 132 : 더미스터
134 : 공기 배출부 136 : 테스트 홀
138 : 사이트 글라스 140 : 사다리부
150 : 스트레너 200 :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

Claims (5)

  1.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향해 하방으로 물을 분사시켜 상기 공기를 세정하는 다수의 세정노즐, 상기 다수의 세정노즐 주변에 배치되는 팩킹 및 상기 다수의 세정노즐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더미스터를 포함하는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 내의 하부 영역에 저장되는 물과 상기 세정노즐들을 연결하는 관로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을 상기 세정노즐들 쪽으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세정식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로의 일측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에 마련되어 상기 세정노즐들로 향하는 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트레너; 및
    상기 스트레너에 연결되는 제1 연결관과 상기 관로에 연결되는 제2 연결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레너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물을 살균 처리하는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를 포함하며,
    상기 관로형 자외선 살균기는,
    상기 제1 연결관과 연결되는 살균관이 결합되는 살균기본체; 및
    상기 살균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관을 따라 흐르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시키는 자외선 살균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살균 유닛은,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다수의 자외선램프;
    상기 다수의 자외선램프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조사되는 상기 자외선의 강도를 감지하는 자외선센서;
    상호간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봉을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센서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석영관에 의해 보호되되 상기 자외선램프가 수용된 석영관들은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지지되고 상기 자외선센서가 수용된 석영관은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중앙 영역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식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너는,
    상기 분기관으로부터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스트레너 몸체; 및
    상기 스트레너 몸체의 내부에서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을 포함하는 세정식 집진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말단인 공기 배출부 하부에는 다수개의 자외선 살균램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식 집진장치.
KR1020100117965A 2010-11-25 2010-11-25 여과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정식 집진장치 KR101040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965A KR101040635B1 (ko) 2010-11-25 2010-11-25 여과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정식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965A KR101040635B1 (ko) 2010-11-25 2010-11-25 여과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정식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635B1 true KR101040635B1 (ko) 2011-06-10

Family

ID=4440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965A KR101040635B1 (ko) 2010-11-25 2010-11-25 여과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정식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6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890B1 (ko) * 2014-08-27 2015-08-06 (주)삼성케미텍 에어 챔버를 포함하는 습식 스크러버
CN105169855A (zh) * 2015-10-09 2015-12-23 武汉大学 一种雾霾空气雾化净化装置
CN105396399A (zh) * 2015-12-25 2016-03-16 新兴铸管股份有限公司 一种硫铵粉尘吸收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3536A1 (en) * 2000-06-21 2004-08-26 Baudat Ned P. Direct turbine air chiller/scrubber system
KR20040105424A (ko) * 2003-06-09 2004-12-16 주식회사 청우네이처 자외선램프를 구비한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3536A1 (en) * 2000-06-21 2004-08-26 Baudat Ned P. Direct turbine air chiller/scrubber system
KR20040105424A (ko) * 2003-06-09 2004-12-16 주식회사 청우네이처 자외선램프를 구비한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890B1 (ko) * 2014-08-27 2015-08-06 (주)삼성케미텍 에어 챔버를 포함하는 습식 스크러버
CN105169855A (zh) * 2015-10-09 2015-12-23 武汉大学 一种雾霾空气雾化净化装置
CN105396399A (zh) * 2015-12-25 2016-03-16 新兴铸管股份有限公司 一种硫铵粉尘吸收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772B1 (ko) 공기 청정기
KR100663635B1 (ko) 가압 탈취용액운회전식 탈취장치
CN207137663U (zh) 一种VOCs有机废气处理设备
KR101502615B1 (ko) 탈취장치
KR101443157B1 (ko) 오염가스 정화장치
CN205700029U (zh) 一种废气净化环保装置
KR102040399B1 (ko) 물흡착식 공기필터
KR101040635B1 (ko) 여과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정식 집진장치
CN108775657A (zh) 一种人造石生产厂房用通风净化装置
KR20080001082U (ko)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환기유닛
KR101086728B1 (ko) 4차 여과식 공기 여과 장치
KR20070048563A (ko) 공기 정화 장치
KR100925165B1 (ko)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CN209348345U (zh) 一种工业锅炉废气处理装置
KR101611538B1 (ko) 가스 처리용 와류 발생 분사 구조의 집진기
WO2018068246A1 (zh) 一种废气净化处理装置
KR101160622B1 (ko) 수막형 공기정화시스템
KR101655767B1 (ko)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CN207371268U (zh) 一种商标布生产车间废水除尘净化装置
KR102091526B1 (ko) 공기 집진기
CN109519999B (zh) 水箱喷雾式除油烟机
CN113983613B (zh) 一种水洗空气消毒净化机
KR20160081297A (ko) 친환경 오존 및 광촉매 살균장치
CN105413419B (zh) 垃圾填埋场臭气处理装置
KR200406028Y1 (ko) 공기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