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767B1 -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 Google Patents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767B1
KR101655767B1 KR1020160040129A KR20160040129A KR101655767B1 KR 101655767 B1 KR101655767 B1 KR 101655767B1 KR 1020160040129 A KR1020160040129 A KR 1020160040129A KR 20160040129 A KR20160040129 A KR 20160040129A KR 101655767 B1 KR101655767 B1 KR 101655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gas
jacket
polluted ga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상철
Original Assignee
에코위자드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위자드 (주) filed Critical 에코위자드 (주)
Priority to KR1020160040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은 오염된 가스가 포집되어 일정 속도로 유입되는 배플 구조의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를 통과한 오염된 가스가 하부로 이송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오염 가스가 통과하는 충진재층과 상기 충진재층을 통과한 오염 가스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스크러버와 스크러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가스에서 수분을 제거하도록 작용하는 수분 제거층으로 구성되어 오염 물질을 1차로 제거하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부를 통과하여 세정부 상부로 이송된 오염가스가 세정부 상측면에 구성된 구분벽을 통하여 하부로 이송되고 구분 벽 일측에 의하여 하부로 이송된 오염 가스는 구분벽 타측을 통하여 상부로 이송되며 세정부 하부에 고인 세정수를 자켓부의 섹션 단면부의 세정수 홀로 이송하기 위한 펌프가 구비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 상부로 이송된 오염 가스는 다수의 섹션으로 구성되고 각 섹션 내부에는 UV 램프가 구성되어 상기 오염 가스가 자켓부 일측의 상부 홀을 통하여 유입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며 자켓부의 하부 홀을 통하여 다른 섹션으로 이송되며 다른 섹션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오염 물질을 산화시켜 2차로 처리하는 것으로 자켓부의 섹션 단면을 통과한 세정수를 배출하는 세정수 배출구를 구비한 광산화부와 상기 광산화부의 마지막 섹션에 구성되는 다공판부와 동공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 홀을 통과한 오염 가스를 균등화시키기 위한 제2이송부와, 제2이송부를 통과한 균등화된 오염 가스를 제3차 처리 과정을 이행하기 위하여 입자상 활성탄 또는 섬유상 활성탄으로 충진되는 흡착부와, 흡착부에서 처리된 가스를 외기로 배출하는 유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UV Deodorization System with Washung Part and Jacket Part}
현재는 지구의 환경 악화로 인하여 대기 중에는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 바이러스가 분포되어 있으며, 또한 불특정의 다양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어서 불쾌감을 줄 때가 많으며 공장지대, 도시 또는 농약 살포가 심한 농촌 등과 같은 공기의 오염 지역에서 탈취 및 살균 시스템을 설치하거나, 빌딩의 공조기 출구 등에 상기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심한 악취를 제거하고 깨끗한 공기로 정화하여 배출하도록 하면 위생적인 생활 환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반도체 공장, 화학약품 처리 공장 또는 하수 처리장과 같이 유해가스 또는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장소에는 UV 탈취 시스템을 설치하여 악취를 제거하고 가스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949797호(2010. 03. 30. 공고)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탈취 및 살균장치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탈취 및 살균장치는 이중 필터(110), 자외선램프(120), 플라스마 발생기(130), 하우징(140), 보호망(140a), 제어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이중 필터(110)는 오염 기체에 함유된 조대 먼지와 미세 먼지를 순차적으로 걸러내며, 오염 기체에 함유된 미세 먼지를 걸러내는 제1필터 및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한 오염 기체에 함유된 미세 먼지를 걸러내는 제2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램프(120)는 상기 이중 필터(110)를 통과한 오염 기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 처리하며, 바람직하게는 UV-C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고,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사용되고 상기 플라스마 발생기(130)는 입체적으로 분산된 좁고 동일한 개방된 공간에서 플라스마와 오염 기체를 실시간으로 접촉시키는 개방된 이중 원통 구조로서, 바람직하게는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통과 외부통 각각의 외면 전체에 통기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이중 원통 구조이며, 상기 자외선램프(120)에 의해 살균처리된 오염 기체가 유입되어 통과하는 동일한 개방된 공간에서 플라스마를 발생하고 발생한 플라스마와 오염기체를 접촉시켜 탈취 및 살균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라스마 발생기(130)의 내부통은 플라스마 발생용 전압이 공급되며, 양측이 개방되고 외면 전체에 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라스마 발생기(130)의 외부통은 상기 내부통에 공급되는 전압과 반대 극성의 플라스마 발생용 전압이 인가되며, 양측이 개방되고 외면 전체에 통기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통을 수용하며, 내면에 상기 내부통과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통과 반대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내부통과 외부통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스트리머 방전(streamer discharge)을 통해 플라스마를 발생하는 방전침들이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플라스마 발생기(130)의 지지대는 관체 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내부통의 일단이 삽입되고, 외면중앙부에 형성된 플랜지에 상기 외부통의 일단이 걸리도록 일단이 상기 외부통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통과 상기 외부통의 방전침들이 간극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40)은 상기 이중 필터(110)와 자외선램프(120), 플라스마 발생기(130)를 수용하는 것이다. 또한 보호망(140a)은 상기 플라스마 발생기(130)의 후단에 배치되어 외부 이물질이 상기 플라스마 발생기(130)의 후방으로 투입되어 상기 플라스마 발생기(130)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금속 재질로서 표면이 광촉매제로 코팅 처리되어 있어 상기 플라스마 발생기(130)를 통과한 오염 기체에 대한 광촉매 반응을 유도하여 오염 기체를 최종적으로 탈취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우징(140)과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자외선램프(120)의 온/오프 작동과 상기 플라스마 발생기(130)의 플라스마 발생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탈취 및 살균장치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가 필수적이고 플라즈마 발생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가 필수적으로 구축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및 설치 비용이 저렴한 탈취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냄새 유발 물질 및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은 오염된 가스가 포집되어 일정 속도로 유입되는 배플 구조의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를 통과한 오염된 가스가 하부로 이송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오염 가스가 통과하는 충진재층과 상기 충진재층을 통과한 오염 가스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스크러버와 스크러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가스에서 수분을 제거하도록 작용하는 수분 제거층으로 구성되어 오염 물질을 1차로 제거하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부를 통과하여 세정부 상부로 이송된 오염가스가 세정부 상측면에 구성된 구분벽을 통하여 하부로 이송되고 구분 벽 일측에 의하여 하부로 이송된 오염 가스는 구분벽 타측을 통하여 상부로 이송되며 세정부 하부에 고인 세정수를 자켓부의 섹션 단면부의 세정수 홀로 이송하기 위한 펌프가 구비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 상부로 이송된 오염 가스가 다수의 섹션으로 구성되고 각 섹션 내부에는 UV 램프가 구성되어 상기 오염 가스가 자켓부 일측의 상부 홀을 통하여 유입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며 자켓부의 하부 홀을 통하여 다른 섹션으로 이송되며 다른 섹션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오염 물질을 산화시켜 2차로 처리하는 것으로 자켓부의 섹션 단면을 통과한 세정수를 배출하는 세정수 배출구를 구비한 광산화부와 상기 광산화부의 마지막 섹션에 구성되는 다공판부와 동공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 홀을 통과한 오염 가스를 균등화시키기 위한 제2이송부와, 제2이송부를 통과한 균등화된 오염 가스를 제3차 처리 과정을 이행하기 위하여 입자상 활성탄 또는 섬유상 활성탄으로 충진되는 흡착부와, 흡착부에서 처리된 가스를 외기로 배출하는 유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스크러버에서 분사된 세정수는 세정부 하부에 모이게 되고 펌프를 통하여 자켓부 내부로 유입되며 자겟부에 구성되는 UV 램프에 의하여 가열되고 가열된 세정수는 자켓부에 구성된 세정수 유출관을 통하여 저류 탱크로 이송되는 구조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저류 탱크에 이송된 가열된 세정수는 증기 터빈을 이용하여 발전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은 오염 물질을 다단계로 처리함으로써 대상 가스로부터 오염 물질 및 악취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다수의 섹션으로 구성되고 오염 가스의 상하 이송을 통하여 UV 램프와의 접촉 시간을 늘림으로써 오염물질 및 악취를 능률적으로 제거하고 산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탈취 및 살균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3의 B-B"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3의 C-C" 단면 구성도,
도 7은 도 3의 D-D" 단면 구성도,
도 8은 도 3의 E-E" 단면 구성도,
도 9는 도 3의 F-F"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을 도 2와 도 9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전체 사시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은 몸체부 일측에 구성되며 오염된 가스가 포집되어 일정 속도로 유입되는 배플 구조의 유입부(10)와, 유입부로 유입된 대상가스로부터 오염 물질을 1차로 제거하는 세정부(20)와 세정부를 통과한 대상 가스를 상부로 이송하고 세정부 하부에 고인 세정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가 구성되는 제1이송부(30)와, 대상 가스가 자켓부를 상하로 통과하도록 하면서 오염 물질을 산화하는 방식으로 오염 물질을 2차로 처리하고 세정수가 각 섹션 단면으로 순환한 후 배출되도록 하는 광산화부(40)와 상기 광산화부의 마지막 섹션에 연결 구성되고 오염 가스를 균등화시키기 위한 제2이송부(50)와, 제2이송부를 통과한 균등화된 대상 가스로부터 잔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제3차 처리과정을 이행하며 입자상 활성탄 또는 섬유상 활성탄으로 충진되는 흡착부(60)로 구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타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흡착부에서 처리된 가스를 외기로 배출하는 유출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은 오염된 가스가 포집되어 일정 속도로 유입되는 배플 구조의 유입부(10)와, 상기 유입부를 통과한 오염된 가스가 하부로 이송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오염 가스가 통과하는 충진재층(22)과 상기 충진재층을 통과한 오염 가스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스크러버(24)와 스크러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가스에서 수분을 제거하도록 작용하는 수분 제거 층(26)으로 구성되어 오염 물질을 1차로 제거하는 세정부(20)와 상기 세정부를 통과하여 세정부 상부로 이송된 오염가스가 세정부 상측면에 구성된 구분벽을 통하여 하부로 이송되고 하부로 이송된 오염 가스는 구분벽 타측을 통하여 상부로 이송되도록 구성되고 세정부 하부에 고안 세정수를 자켓부의 섹션 단면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33)가 구성되는 제1이송부(30)와, 상기 제1이송부 상부로 이송된 오염 가스가 다수의 섹션으로 구성되고 각 섹션 내부에는 UV 램프(41)가 구성되며 상기 오염 가스가 섹션 일측면의 상부 홀(42)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며 섹션 일측면의 하부 홀(44)을 통하여 다음 섹션으로 이송되고 다음 섹션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오염 물질을 산화시켜 2차로 처리하는 것으로 자켓부의 섹션 단면을 통과하여 가온된 세정수를 저류탱크로 이송하기 위한 세정수 배출구(47)가 구성된 광산화부(40)와 상기 광산화부의 후단에 구성되는 다공판부와 동공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마지막 섹션의 상부 홀을 통과한 오염 가스를 균등화시켜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부(50)와, 제2이송부를 통과한 균등화된 오염 가스로부터 제3차 처리 과정을 이행하기 위하여 입자상 활성탄 또는 섬유상 활성탄으로 충진되는 흡착부(60)와, 흡착부에서 처리된 가스를 외기로 배출하는 유출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세정부(20)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이 50~60% 정도가 제거되고 황산화부에서는 상기 암모니아, 황화수소를 포함한 알드하이드 및 VOC(휘발성 유기 화합물) 처리가 90 ~ 95% 정도 이루어지고 제3차 처리 단계에서는 오염 물질의 잔류량을 줄이기 위하여 잔여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정화하는 것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자켓부 일측에는 상부에 오염된 대상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상부 홀(42)이 다수 형성되고 펌프(33)에 의하여 세정부 하부에 고인 세정수를 자켓부의 섹션 단면 내부로 이송하기 위한 메인 홀(43)이 형성된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5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산화부를 구성하는 자켓부(45)의 섹션에는 상부 홀(42)을 통과한 대상 가스를 다음 섹션의 하부로 이송하고 자켓부 다음 섹션에 구성되는 하부 홀(44)을 통과한 대상 가스가 다시 상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 상태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도 5에서 섹션 상단면에 구성된 다수의 소공들은 세정수가 통과하는 세정수 홀(48)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은 도 3의 C-C"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6에서 하부 홀(44)을 통과한 대상 가스가 다음 섹션의 상부로 이동되고 상부로 이송된 대상 가스는 다음 섹션에 형성된 상부 홀(42)을 통과하여 다시 하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도 6에서도 나타나는 자겟부 섹션의 상단면에 구성된 다수의 소공들은 세정수가 통과하는 세정수 홀(48)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7은 도 3의 D-D"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7은 상기도 6에서 하부로 이송된 대상 가스가 다음 섹션에 구성된 하부 홀(44)을 통과하여 다시 상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다음 섹션의 하부에 다수의 하부 홀이 구성된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도 7에서도 본 섹션을 구성하는 상단면에 다수의 소공 형태의 세정수 홀(48)이 구성된 것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8은 도 3의 E-E"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8은 상기도 7에서 하부 홀을 통과한 대상 가스가 상부로 이송되고 오염 물질이 제거된 대상 가스는 자켓부의 마지막 섹션에 형성된 상부 홀(42)을 통과하는 구조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도 8은 자켓부의 마지막 섹션의 상단면에 구성된 세정수 배출구(47)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자켓부의 섹션 단면을 통과한 세정수가 세정수 배출구(47)를 통하여 저류 탱크(미도시)로 이송되는 구조이며 또한 상기 세정수는 UV 램프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가열되고 저류 탱크로 이송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가온된 세정수는 증기 터빈이 구성된 발전기(미도시)로 이송되어 전력 생산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도 3의 F-F"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9에서 자켓부의 마지막 섹션에 형성된 상부 홀(42)을 통과한 정화된 대상 가스는 다수의 소공이 균일하게 형성된 다공판부(52)와 동공(54)으로 구성된 제2이송부(50)를 통과하면서 균등화되어 흡착부(60)로 유입되고 흡착부를 통과한 대상 가스는 유출부(7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흡착부(60)는 입자상 활성탄 또는 섬유상 활성탄으로 구성되어 대상 가스에 포함된 미량의 잔류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유입부, 20 : 세정부,
30 : 제1이송부, 40 : 광산화부,
50 : 제2이송부, 60 : 흡착부,
70 : 유출부, 80 : 몸체부

Claims (7)

  1. 삭제
  2. 산업 시설에서 생성되는 오염 가스로부터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은,
    몸체부 일측에 구성되며 오염된 가스가 포집되어 일정 속도로 유입되는 유입부(10)와;
    유입부로 유입된 대상가스로부터 오염 물질을 1차로 제거하는 세정부(20)와;
    세정부를 통과한 대상 가스를 상부로 이송하고 세정부 하부에 고인 세정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가 구성되는 제1이송부(30)와;
    상기 제1이송부 상부로 이송된 오염 가스가 다수의 섹션으로 구성되고 각 섹션 내부에는 UV 램프(41)가 구성되며 상기 오염 가스가 섹션 일측면의 상부 홀(42)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며 섹션 일측면의 하부 홀(44)을 통하여 다음 섹션으로 이송되고 다음 섹션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오염 물질을 산화시켜 2차로 처리하는 것으로 자켓부의 섹션 단면을 통과하여 가온된 세정수를 저류탱크로 이송하기 위한 세정수 배출구(47)가 구성된 광산화부(40)와;
    상기 광산화부의 마지막 섹션에 구성되고 오염 가스를 균등화시키기 위한 제2이송부(50)와;
    제2이송부를 통과한 균등화된 대상 가스로부터 잔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제3차 처리 과정을 이행하며 입자상 활성탄 또는 섬유상 활성탄으로 충진되는 흡착부(60);
    및 흡착부 타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흡착부에서 처리된 가스를 외기로 배출하는 유출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유입부를 통과한 오염된 가스가 하부로 이송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오염 가스가 통과하는 충진재층(22)과;
    상기 충진재층을 통과한 오염 가스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스크러버(24);
    및 스크러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가스에서 수분을 제거하도록 작용하는 수분 제거 층(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제2이송부는,
    광산화부의 후단에 구성되는 다공판부와 동공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마지막 섹션의 상부 홀을 통과한 오염 가스를 균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입자상 활성탄 또는 섬유상 활성탄으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은,
    세정수 배출구를 통하여 가온된 세정수가 유입 저장되는 저류 탱크;
    및 상기 저류 탱크의 세정수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7. 산업 시설에서 생성되는 오염 가스로부터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은,
    오염된 가스가 포집되어 일정 속도로 유입되는 배플 구조의 유입부(10)와;
    상기 유입부를 통과한 오염된 가스가 하부로 이송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오염 가스가 통과하는 충진재층(22)과 상기 충진재층을 통과한 오염 가스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스크러버(24)와 스크러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가스에서 수분을 제거하도록 작용하는 수분 제거 층(26)으로 구성되어 오염 물질을 1차로 제거하는 세정부(20)와;
    상기 세정부를 통과하여 세정부 상부로 이송된 오염가스가 세정부 상측면에 구성된 구분벽을 통하여 하부로 이송되고 하부로 이송된 오염 가스는 구분벽 타측을 통하여 상부로 이송되도록 구성되고 세정부 하부에 고인 세정수를 자켓부의 섹션 단면 내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33)가 구성되는 제1이송부(30)와;
    상기 제1이송부 상부로 이송된 오염 가스가 다수의 섹션으로 구성되고 각 섹션 내부에는 UV 램프(41)가 구성되며 상기 오염 가스가 섹션 일측면의 상부 홀(42)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며 섹션 일측면의 하부 홀(44)을 통하여 다음 섹션으로 이송되고 다음 섹션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오염 물질을 산화시켜 2차로 처리하는 것으로 자켓부의 섹션 단면을 통과하여 가온된 세정수를 저류탱크로 이송하기 위한 세정수 배출구(47)가 구성된 광산화부(40)와;
    상기 광산화부의 후단에 구성되는 다공판부와 동공 형태로 구성되어 마지막 섹션의 상부 홀을 통과한 오염 가스를 균등화시켜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부(50)와;
    제2이송부를 통과한 균등화된 오염 가스로부터 제3차 처리 과정을 이행하기 위하여 입자상 활성탄 또는 섬유상 활성탄으로 충진되는 흡착부(60);
    및 흡착부에서 처리된 가스를 외기로 배출하는 유출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KR1020160040129A 2016-04-01 2016-04-01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KR101655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29A KR101655767B1 (ko) 2016-04-01 2016-04-01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29A KR101655767B1 (ko) 2016-04-01 2016-04-01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767B1 true KR101655767B1 (ko) 2016-09-08

Family

ID=5695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29A KR101655767B1 (ko) 2016-04-01 2016-04-01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7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0879A (zh) * 2018-08-23 2018-12-18 上海钛米机器人科技有限公司 智能消毒装置及消毒方法
CN109985269A (zh) * 2019-04-10 2019-07-09 朱化儒 一种疾病预防用消毒装置
KR20190095785A (ko) * 2018-02-07 2019-08-16 한성크린텍주식회사 개질활성탄을 이용한 악취제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021A (ko) * 2005-04-06 2006-10-13 조영봉 악취 및 유해 공기 오염물질의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80027058A (ko) * 2006-09-22 2008-03-26 권상동 폐열 활용가능한 냄새 탈취장치
KR20120011462A (ko) * 2010-07-29 201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세식 방지시설의 비수용성 유기물 전처리 시스템
KR20150145832A (ko) * 2014-06-19 2015-12-31 김부열 풍력발전 기능이 내장된 살균, 탈취 및 산화질소, 양자에너지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021A (ko) * 2005-04-06 2006-10-13 조영봉 악취 및 유해 공기 오염물질의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80027058A (ko) * 2006-09-22 2008-03-26 권상동 폐열 활용가능한 냄새 탈취장치
KR20120011462A (ko) * 2010-07-29 201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세식 방지시설의 비수용성 유기물 전처리 시스템
KR20150145832A (ko) * 2014-06-19 2015-12-31 김부열 풍력발전 기능이 내장된 살균, 탈취 및 산화질소, 양자에너지 발생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785A (ko) * 2018-02-07 2019-08-16 한성크린텍주식회사 개질활성탄을 이용한 악취제거 시스템
KR102135142B1 (ko) 2018-02-07 2020-07-17 한성크린텍주식회사 개질활성탄을 이용한 악취제거 시스템
CN109010879A (zh) * 2018-08-23 2018-12-18 上海钛米机器人科技有限公司 智能消毒装置及消毒方法
CN109985269A (zh) * 2019-04-10 2019-07-09 朱化儒 一种疾病预防用消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956B1 (ko) 탈취장치
KR200468971Y1 (ko) 복합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0585223B1 (ko) 자외선살균램프가 구비된 악취제거장치
KR100986245B1 (ko) 무동력혼화공급장치를 이용한 고효율 약액세정식 탈취장치 및 그 방법
KR102191776B1 (ko) 습식 공기정화장치
KR101663962B1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KR102145364B1 (ko) 공기 청정기
KR101787402B1 (ko) 산업용 탈취기
KR101655767B1 (ko) 세정부와 자켓부를 포함하는 uv 탈취시스템
KR101401992B1 (ko) 다단 멀티필터형 회절식 탈취기
KR20170003286A (ko) 공기정화기를 갖는 버스정류장
KR100930987B1 (ko) 오존발생부가 내장된 고효율 탈취 조합 스크러버 시스템을 이용한 통합형 악취처리장치
KR102269669B1 (ko)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0407830Y1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KR101463216B1 (ko) 효율이 향상된 악취제거장치
KR20070046281A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KR102120470B1 (ko)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전처리 시스템
KR101793497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KR101813843B1 (ko) 하수슬러지 건조시 발생하는 분진제거장치
KR101823139B1 (ko) 터널식 오존 세정 악취 제거 장치
KR100936440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탈취방법 및 그 탈취기
JP2005205094A (ja) 空気浄化システム
KR101667235B1 (ko) 오존 활성화 반응존을 갖는 탈취 유니트
KR101657188B1 (ko) 친환경 오존 및 광촉매 살균장치
KR101806404B1 (ko) 공기정화 및 악취제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