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480B1 - 센서 장치 및 저장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장치 및 저장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480B1
KR102559480B1 KR1020217010908A KR20217010908A KR102559480B1 KR 102559480 B1 KR102559480 B1 KR 102559480B1 KR 1020217010908 A KR1020217010908 A KR 1020217010908A KR 20217010908 A KR20217010908 A KR 20217010908A KR 102559480 B1 KR102559480 B1 KR 10255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voltage
node
electrical energ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796A (ko
Inventor
타마스 라프
베네데크 포어
후바 네메스
Original Assignee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5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8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eparate charg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위한 센서 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의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기준 전압 노드(10)와 제1 출력 단자(31) 또는 제2 출력 단자(3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제1 출력 단자(31) 또는 제2 출력 단자(32)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소비자(8, 9)로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전기에너지 저장 유닛(3)을 포함한다. 센서 장치는, 기준 전압 노드(10)와 인접한 저장 유닛(3)들 간의 노드 사이의 하나 이상의 전압, 적어도 저장 유닛(3)들의 서브셋(subset) 양단에서의 하나 이상의 전압 강하, 제1 출력 단자(31) 및/또는 제2 출력 단자(32)를 통과하는 전류 및 저장 유닛(3)의 온도의 물리량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저장 유닛의 충전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센서 유닛(2, 4, 5, 6, 1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 장치 및 저장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리던던트(redundant)] 전기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센서 장치와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안전 관련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위한 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점점 더 많은 차량 구성요소들, 심지어는 특히 자율 주행과 연계되는 제동 또는 조향과 같은 필수 안전 기능을 위한 차량 구성요소들도 전기 구동식 구성요소로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필수 안전 시스템은 높은 안전 레벨의 리던던트 전력 관리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한 명백한 솔루션은 [예컨대, 모든 구성요소를 이중화(doubling)하는 것에 의해] 전기에너지 저장 회로를 포함하는 리던던트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항상 가능하지도 않고 요망되지도 않는다. 추가로, 배터리 관리는 그 전기화학적 거동으로 인해 다양한 추가의 문제점을 일으킨다.
종래의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US 2018/241226에 개시되어 있고, 이 경우 완충 증폭기(buffer amplifier)가 주어진 배터리 셀에 연결되고, 다른 증폭기에 의해 전압이 별도로 측정된다. 다른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AU 2017/272188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측정 유닛이 저장 유닛들의 서브셋(subset) 양단에서의 전압 강하를 결정한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시스템은 여러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자동차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필요한 리던던트 관리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동차 분야에서 안전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리던던시(redundancy)를 제공하는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적합한 다른 센서 장치가 요구된다.
이들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는 청구항 1의 센서 장치 및 청구항 11에 따른 방법에 의해 극복된다. 종속 청구항은 독립 청구항의 보호 대상의 추가의 유리한 구현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위한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기준 전압 노드와 제1 및/또는 제2 출력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제1 또는 제2 출력 단자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비자에게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전기에너지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센서 장치는 다음 물리량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저장 유닛의 충전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 기준 전압 노드와 인접한 저장 유닛들 간의 노드 사이의 하나 이상의 전압,
- 적어도 저장 유닛들의 서브셋 양단에서의 하나 이상의 전압 강하
- 제1 및/또는 제2 출력 단자를 통과하는 전류,
- 저장 유닛들 중 적어도 일부의 온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는 단순히 정해진 차량 저장 시스템 - 센서 장치의 부분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음 - 내에 포함되기에 적합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 이해된다. 기준 전압 노드는 접지 노드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정해진 전압/전류/온도는 직접 측정될 수도 있고, 다른 물리량으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은 기준 전압 노드와 인접한 저장 유닛들 간의 노드 사이에 배치되는 전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센서 유닛은 저장 유닛들의 서브셋에 병렬로 배치되는 추가의 전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전압 센서는 연산 증폭기일 수도 있고, 연산 증폭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산 증폭기는 이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특히 적합한데, 그 이유는 연산 증폭기가 귀중한 에너지를 거의 소비하지 않으면서 유효 전압 측정값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차량 저장 시스템은 제1 출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 사이의 전류 경로를 또는 저장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에 병렬인 전류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 밸런싱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은 제1 또는 제2 출력 단자와 저장 유닛 사이에 직렬로 배열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전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밸런싱 유닛은 2개의 전류 센서들 사이의 노드에 커플링되어, 제1 또는 제2 출력 단자를 통과하는 그리고 충전 밸런싱 유닛을 통과하는 전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밸런싱 유닛은 상이한 레벨의 충전 상태를 밸런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배터리 밸런싱은 저장 유닛의 가용 용량 및 수명을 증가시킨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한 쌍의 전류 센서는 제1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제1 쌍의 전류 센서와,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제2 쌍의 전류 센서를 포함한다. 밸런싱 유닛은 제1 쌍의 2개의 전류 센서와 제2 쌍의 2개의 전류 센서 사이의 노드에 커플링된다.
선택적으로, 센서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저장 유닛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저장 유닛 내에 또는 저장 유닛 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센서 유닛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리던던트 측정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 하나 이상의 저장 유닛에 대한 전압,
- 출력 단자 및/또는 충전 밸런싱 유닛을 통과하는 전류,
- 하나 이상의 저장 유닛의 온도.
가장 단순한 경우, 이러한 리던던트 측정은 일부 센서 또는 모든 센서를 이중화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차량, 특히 상용차를 위한 리던던트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기준 전압 노드와 제1 또는 제2 출력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제1 또는 제2 출력 단자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비자에게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전기에너지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는, 전술한 리던던트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지닌 차량, 특히 상용차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실시예는 직렬 연결된 복수 개의 저장 유닛, 적어도 제1 및 제2 출력 단자, 제1 출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 사이의 (하나 이상의 저장 유닛에 병렬인) 전류 경로를 제공하는 충전 밸런싱 유닛을 지닌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상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아래 물리량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기준 전압 노드와 직렬 연결된 저장 유닛들 중 인접한 저장 유닛들 간의 노드 사이의 하나 이상의 전압,
- 적어도 저장 유닛들의 서브셋 양단에서의 하나 이상의 전압 강하,
- 제1 및/또는 제2 출력 단자를 통과하는 및/또는 충전 밸런싱 유닛을 통과하는 전류,
- 저장 유닛의 온도.
이 방법 또는 이 방법의 부분은 또한 소프트웨어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단계들의 순서는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소프트웨어나 ECU 내의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 시스템에 비해 유리한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모든 신호를 측정하고 저장 시스템(배터리, 커패시터 또는 기타 저장 요소)의 상세 상태를 제공하는 완벽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추가로, 실시예는 더욱이 전기에너지 저장부의 상태를 추정하기 위해 모든 필요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전압 레벨의 모니터링은 임의의 시기에 그리고 각각의 전기에너지 저장부에서 하중 및 충전 밸런싱 전류를 모니터링할 가능성과 함께 실시된다.
시스템 및/또는 방법에 관한 일부 예가 단지 예로써 그리고 첨부 도면에 관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던던트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위한 센서 장치를 보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던던트)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위한 센서 장치를 보여준다. 센서 장치는 저장 유닛(3)의 컨택트(예컨대, 양극 컨택트)와 기준 전압 노드(10)(예컨대, 접지부)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전압 센서(2)를 포함한다. 접지부가 음극 컨택트에 할당되는 경우, 전압 센서(2)는 접지부와 저장 유닛(3)의 각각의 양극 컨택트 사이에 접속되지만, 극성은 스위칭될 수도 있다. 저장 유닛(3)은 배터리 셀 또는 예시적인 접지 단자(10)와 단부 노드(13)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임의의 기타 유형의 저장 유닛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전압 센서(2)는 이웃하는 배터리 셀(3)들과 접지 단자(10) 사이에 마련되며, 이에 따라 접지부(또는 임의의 기타 기준 전압)와 비교되는 인접한 배터리 셀(3)들 사이의 전압 레벨을 측정한다. 전력은, 예컨대 단부 노드(13)와 접속되는 차량 전력 및 통신망(1)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저장 시스템의 관리는 이 망(1)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의 전압 센서(12)가 배터리 셀(3)들 중 하나 이상에 병렬로 배열되어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3) 양단의 전압 강하(들)를 직접 측정한다.
저장 시스템은 전력이 공급되는 차량 구성요소(예컨대, 제동 또는 조향용 액추에이터)와 같은 소비자(8, 9)를 위한 제1 및 제2 출력 단자(31, 32)를 더 포함한다. 전류 센서(5, 6)가 인접한 배터리 셀(3)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또는 단부 노드(13)에] 직렬 접속되도록 마련되어, 예시적인 소비자(8, 9)로의 전류를 측정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쌍의 전류 센서(51, 61)가 제1 출력 단자(31)와 배터리 셀(3)[배터리 셀(3)들 중 2개 사이의 노드] 사이에 직렬 접속되도록 마련된다. 추가로, 제2 쌍의 전류 센서(52, 62)가 제2 출력 단자(32)와 배터리 셀(3)의 단부 노드(13) 사이에 직렬 접속되도록 마련된다.
더욱이, (활성) 충전 밸런싱 회로(7)가 2개의 직렬 센서(5, 6)들 사이에 있는 노드에 마련되어, 제1 출력 단자(31)와 제2 출력 단자(32) 사이에 전류 경로를 제공하고, 2개의 출력 단자(31, 32) 사이에 충전 밸런싱을 가능하게 한다. 전류 센서(5, 6)는 이에 따라 각각의 소비자(8, 9)로의 그리고 추가로 충전 밸런서(7)를 통과하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추가로, 각각의 배터리 셀(3) 또는 일부 배터리 셀(3)은 개별 배터리 셀(들)(3)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선택적인 온도 센서(4)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4)는 배터리 셀(3)에 포함될 수도 있고, 배터리 셀의 표면 상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 장점을 제공한다:
임의의 시기에 저장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전기에너지 저장 관리가 가능하며, 이것은 특히 안전 관련 소비자(8, 9)에게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배터리 모니터링은 통상적으로 직접 측정에 의해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소위 상태 관찰자에 의해서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는, 전기에너지 저장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다수의 물리량을 입력으로서 필요로 하는, 배터리를 위한 상이한 전기화학 모델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다.
측정 대상 제1 물리량은 배터리의 출력 전압으로, 이 출력 전압은 실시예에 따라 기준 전압 노드(10)와 인접한 배터리 셀(3)들 간의 노드 사이에 배열되는 전압 센서(2)에 의해 측정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주어진 배터리 셀의 출력 전압을 반드시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배터리 셀들의 서브셋 또는 모두의 양단의 직렬 전압을 측정하기만 하면 된다. 주어진 배터리 셀의 양단의 개별 전압 강하는 최종적으로 전압 센서(2)를 사용하여 2개 이상의 전압 측정값의 뺄셈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예컨대 연산 증폭기를 추가의 전압 센서(12)로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배터리에 대한 전압차를 직접 결정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전기화학 모델을 위해 사용되는 제2 물리량은 측정된 부하 전류(들)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에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전류 측정 유닛(6)이 예시적인 2개의 소비자(8, 9)로부터 상류에 배치된다. 부하 전류뿐만 아니라, 충전 전류도 또한 이들 전류 센서(5, 6)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다른 2개의 전류 측정 모듈(5)이 활성 충전 밸런싱 유닛(7)의 엔드포인트에 위치하고, 부하 관련 전류 모두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기화학 모델을 위해 사용되는 제3 물리량은, 예컨대 각각의 배터리 셀(3)의 표면 상에 장착되거나, 개별 배터리 셀(3)의 전기 출력 극에 접속되는 전용 온도 센서(4)에 의해 각각의 배터리 셀(3) 또는 일부 배터리 셀(3)에 대해 측정된 전기에너지 저장부(3)의 온도(들)이다.
선택적으로, 센서들 중 하나 또는 몇몇이 고장나더라도, 신뢰성 있는 결과가 여전히 얻어질 수 있도록 안전 관련 소비자들도 또한 모니터링하기 위해 모든 센서들을 (가장 간단한 경우로 모든 센서들을 이중화하는 것에 의해) 리던던트하게 배치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는 아래의 보호 대상에 관한 것이다:
- 특히 상용차를 위한 리던던트 전기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센서 장치로서, 전기에너지 저장부 전압(최종값은 뺄셈에 의해 계산될 수 있음)이 직렬 커플링된 배터리(셀 또는 배터리 팩)의 양극 노드와 접지부 사이에서 측정되는 것인 센서 장치;
- 특히 상용차를 위한 리던던트 전기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센서 장치로서, 전기에너지 저장부 전압이 직렬 커플링된 배터리(셀 또는 배터리 팩)들의 양극 노드와 음극 노드 사이에서 별도로 측정되는 것인 센서 장치;
- 전술한 센서 장치로서, 소비자 관련 전류가 활성 충전 밸런싱 유닛(7)의 상류 및 하류에 있는 각 회로의 2개의 전류 센서(5, 6)에 의해 측정되는(따라서, 로딩 및 활성 밸런싱으로부터의 전류 모두가 계산됨) 것인 센서 장치;
- 전술한 센서 장치로서, 에너지 저장부 온도 센서(표면 장착되거나 출력 극에 접속됨)에 의해 모니터링이 완료되는 것인 센서 장치;
- 전술한 센서 장치로서, 상기 센서가, 예컨대 동일한 측정을 위해 센서를 이중화하는 것에 의해 리던던트하게 배치되는 것인 센서 장치.
설명 및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원리를 예시할 뿐이다. 이에 따라, 당업자라면 여기에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개시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을 안출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더욱이, 각각의 실시예는 그 자체가 별개의 예일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규정된 피쳐(feature)들이 상이하게 조합될 수 있는데, 즉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정 피쳐가 다른 실시예에서도 또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해야만 한다. 상기한 조합은 특정 조합이 의도되지 않는다고 언급되지 않는 한, 본 개시에 의해 커버된다.
1 : 차량 전력 및/또는 통신망
2 : 전압 센서
3 : 저장 유닛
4 : 온도 센서
5, 6 : 전류 센서
7 : 충전 밸런싱 유닛
8, 9 : 소비자(차량 구성요소)
10 : 기준 전압 노드(예컨대, 접지부)
12 : 추가의 전압 센서(예컨대, 연산 증폭기)
13 : 단부 노드
31, 32 : 출력 단자(들)

Claims (11)

  1. 차량의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위한 센서 장치로서, 차량의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기 에너지를 위한 복수 개의 저장 유닛(3)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저장 유닛(3)은 기준 전압 노드(10)와 제2 출력 단자(3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저장 유닛(3)의 일부는 기준 전압 노드(10)와 제1 출력 단자(31)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제1 또는 제2 출력 단자(31, 32)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비자(8, 9)로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인, 센서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센서 유닛(2, 4, 5, 6, 12)이 저장 유닛(3)에 인접한 2개의 노드 각각과 기준 전압 노드(10)의 사이에서 연결되는 전압 센서(2)를 포함하고, 전압 센서(2)는, 복수의 저장 유닛(3) 각각에 인접한 2개의 노드 중 하나와 기준 전압 노드(10) 사이의 제1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그리고 복수의 저장 유닛(3) 각각에 인접한 2개의 노드 중 다른 하나와 기준 전압 노드(10) 사이의 제2 전압을 더 측정함으로써, 그리고 제1 전압과 제2 전압 사이의 전압차를 결정함으로써, 저장 유닛(3)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고,
    차량의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저장 유닛(3)들 중 적어도 하나에 병렬이고 제1 출력 단자(31)와 제2 출력 단자(32) 사이에 있는 전류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 밸런싱 유닛(7)을 더 포함하고,
    센서 유닛(2, 4, 5, 6, 12)은 제1 또는 제2 출력 단자(31, 32)와 저장 유닛(3) 사이에 직렬로 배열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전류 센서(5, 6)를 포함하며, 충전 밸런싱 유닛(7)은 제1 또는 제2 출력 단자(31, 32)를 통과하는 그리고 충전 밸런싱 유닛(7)을 통과하는 전류 측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2개의 전류 센서(51, 61; 52, 62)들 사이의 노드에 커플링되는 것인 센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센서 유닛(2, 4, 5, 6, 12)은, 전압의 측정에 추가적으로,
    제1 및 제2 출력 단자(31, 32)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는 전류, 및
    저장 유닛(3)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량을 측정함으로써 저장 유닛(3)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센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전류 센서(5, 6)는, 충전 밸런싱 유닛(7)이 제1 쌍의 2개의 전류 센서(51, 61) 사이의 노드와 제2 쌍의 2개의 전류 센서(52, 62)사이의 노드에 커플링되도록 제1 쌍의 전류 센서(51, 61)와 제2 쌍의 전류 센서(52, 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센서 유닛(2, 4, 5, 6, 12)은 저장 유닛(3) 내에 또는 저장 유닛(3) 상에 형성되는 온도 센서(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5.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서, 전기 에너지를 위한 복수 개의 저장 유닛(3)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저장 유닛(3)은 기준 전압 노드(10)와 제2 출력 단자(3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복수 개의 저장 유닛(3)의 일부는 기준 전압 노드(10)와 제1 출력 단자(31)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제1 또는 제2 출력 단자(31, 32)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비자(8, 9)로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인,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센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
  6. 차량에 있어서,
    제5항의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기준 전압 노드(10)와 제2 출력 단자(32) 사이에서 직렬 연결된 복수 개의 저장 유닛(3)으로서, 저장 유닛(3)들 중 일부는 기준 전압 노드(10)와 제1 출력 단자(31) 사이에서 직렬로 연결되는 것인, 저장 유닛(3), 저장 유닛(3)에 인접한 2개의 노드 각각과 기준 전압 노드(10) 사이에서 연결된 전압 센서(2), 적어도 제1 출력 단자(31) 및 제2 출력 단자(32), 제1 출력 단자(31)와 제2 출력 단자(32) 사이의 전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충전 밸런싱 유닛(7)을 지닌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상태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전류 경로는 저장 유닛(3)들 중 적어도 하나에 병렬이고, 적어도 한 쌍의 전류 센서(5, 6)는 제1 또는 제2 출력 단자(31, 32)와 저장 유닛(3) 사이에 직렬로 배열되고, 충전 밸런싱 유닛(7)은 제1 또는 제2 출력 단자(31, 32)를 통과하는 그리고 충전 밸런싱 유닛(7)을 통과하는 전류 측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2개의 전류 센서(51, 61; 52, 62)들 사이의 노드에 커플링되는 것인,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전압 센서(2)에 의해, 복수의 저장 유닛(3) 각각에 인접한 2개의 노드 중 하나와 기준 전압 노드(10) 사이의 제1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그리고 복수의 저장 유닛(3) 각각에 인접한 2개의 노드 중 다른 하나와 기준 전압 노드(10) 사이의 제2 전압을 더 측정함으로써, 그리고 제1 전압과 제2 전압 사이의 전압차를 결정함으로써, 저장 유닛(3)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상태 모니터링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17010908A 2018-09-18 2019-09-04 센서 장치 및 저장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KR102559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95075.9 2018-09-18
EP18195075.9A EP3627170B1 (en) 2018-09-18 2018-09-18 A senso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storage system
PCT/EP2019/073596 WO2020057978A1 (en) 2018-09-18 2019-09-04 A senso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storag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796A KR20210057796A (ko) 2021-05-21
KR102559480B1 true KR102559480B1 (ko) 2023-07-24

Family

ID=6364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908A KR102559480B1 (ko) 2018-09-18 2019-09-04 센서 장치 및 저장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99074B2 (ko)
EP (1) EP3627170B1 (ko)
JP (1) JP7331109B2 (ko)
KR (1) KR102559480B1 (ko)
CN (1) CN112740057B (ko)
WO (1) WO2020057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7170B1 (en) * 2018-09-18 2023-03-2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A senso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storage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3025A (ja) * 2008-01-29 2009-08-13 Hitachi Ltd 車両用電池システム、車載用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セルコントローラ
US20140097787A1 (en) * 2012-10-09 2014-04-10 Yi-Ming Lin Active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a battery pack
JP5839047B2 (ja) * 2011-12-21 2016-01-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および車両
WO2016174828A1 (ja) * 2015-04-27 2016-11-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管理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9047B2 (ja) * 1975-09-04 1983-08-27 株式会社クボタ ネツカソセイジユシカンノ ガイシユウメンニオウトツジヨウオケイセイスルホウホウ
JP2003032908A (ja) 2001-07-19 2003-01-31 Nisshinbo Ind Inc キャパシタ組電池、その制御方法、その制御装置及び自動車用蓄電システム
CN101529646B (zh) 2006-07-19 2012-07-11 A123系统公司 用于监控和平衡电池组中的电池的方法和系统
CN101165507A (zh) * 2006-10-17 2008-04-23 上海博能同科燃料电池系统有限公司 基于网络监控的燃料电池电压扫描系统
JP2009042071A (ja) 2007-08-09 2009-02-26 Nissan Motor Co Ltd 電圧センサ診断装置および組電池の制御装置
JP5486780B2 (ja) 2008-07-01 2014-05-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池システム
JP5386155B2 (ja) * 2008-11-28 2014-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装置
US8739298B2 (en) 2009-11-19 2014-05-2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enforcing a license dependency rule for a software application
DE102009054820A1 (de) * 2009-12-17 2011-06-22 Robert Bosch GmbH, 70469 Energiespeichersystem und Verfahren zu dessen Betreiben
US8710800B2 (en) * 2011-07-26 2014-04-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battery with cell balancing current paths and method of charging the same
US9166416B2 (en) 2011-09-02 2015-10-20 Boston-Power, Inc. Method for balancing cells in batteries
US9145059B2 (en) * 2011-09-09 2015-09-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cell resistances within a vehicle battery
WO2013038762A1 (ja) 2011-09-14 2013-03-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圧測定装置
CN102969755B (zh) 2012-11-06 2015-03-04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电池组智能管理电路及电池组智能管理系统
US10106038B2 (en) * 2012-12-28 2018-10-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Dual function battery system and method
US9267996B2 (en) * 2013-03-14 2016-02-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voltage of a battery element
US9770997B2 (en) 2013-06-11 2017-09-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tection of imbalance across multiple battery cells measured by the same voltage sensor
FR3013460B1 (fr) * 2013-11-21 2018-01-05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Procede de detection d'un dysfonctionnement d'un systeme de controle de batterie
DE102013112923A1 (de) * 2013-11-22 2015-05-28 H-Tech Ag Batteriemanagementsystem zur Steuerung einer Energiespeicheranordnung und Verfahren zum Laden und Entladen einer Energiespeicheranordnung
JP2017096628A (ja) 2014-03-28 2017-06-0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流検出装置、電源システム
US9472977B2 (en) 2014-05-08 2016-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cell state of charge estimation
GB2528290A (en) 2014-07-16 2016-01-20 John Leslie Gordon Hardy Battery management
CA2963392A1 (en) * 2014-10-03 2016-04-07 Elitise Llc Battery module architecture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expandability
JP6624782B2 (ja) 2014-12-25 2019-12-25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電池電圧の測定方法
CN204479719U (zh) 2015-02-15 2015-07-15 天津晓奇科技发展有限公司 聚合物锂电池用的检测报警装置
CN106160239B (zh) * 2015-03-31 2018-11-02 徐夫子 具阻尼功能的储电装置
US9931960B2 (en) * 2015-09-11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or hybrid vehicle battery pack voltage measurement functional assessment and redundancy
DE102015219828A1 (de) * 2015-10-13 2017-04-13 Robert Bosch Gmbh Fortbewegungsmitte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Spannung einer Zelle eines Strangs mehrerer in Reihe geschalteter Zellen eines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s
US10330715B2 (en) 2016-12-11 2019-06-25 Keysigh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self-discharge current characteristic of a storage cell
US10574076B2 (en) * 2016-12-20 2020-02-25 Maxwel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cell balancing and cell failure detection
AU2017272188B2 (en) 2017-01-10 2020-07-09 Megatronic Power Systems Pty Ltd Electronic Monitoring of Battery Banks
EP3627170B1 (en) * 2018-09-18 2023-03-2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A senso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storag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3025A (ja) * 2008-01-29 2009-08-13 Hitachi Ltd 車両用電池システム、車載用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セルコントローラ
JP5839047B2 (ja) * 2011-12-21 2016-01-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および車両
US20140097787A1 (en) * 2012-10-09 2014-04-10 Yi-Ming Lin Active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a battery pack
WO2016174828A1 (ja) * 2015-04-27 2016-11-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管理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31109B2 (ja) 2023-08-22
US11899074B2 (en) 2024-02-13
US20220026502A1 (en) 2022-01-27
KR20210057796A (ko) 2021-05-21
EP3627170B1 (en) 2023-03-22
JP2022500676A (ja) 2022-01-04
CN112740057B (zh) 2024-04-12
WO2020057978A1 (en) 2020-03-26
EP3627170A1 (en) 2020-03-25
CN112740057A (zh)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74352B (zh) 电池控制装置
US8635038B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e of a battery
US9267998B2 (en) Protective circuit for a rechargeable battery pack
KR102436418B1 (ko) 배터리 팩의 전류 측정 방법
EP1391962A1 (en) Voltage measuring circuit of battery pack
JP4942438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US9097770B2 (en) Battery voltage detection device, assembled battery management system
EP3379279B1 (en) Current measurement apparatus using shunt resistor
US20150229144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CN103364611A (zh) 冗余地确定流经蓄电池的极的蓄电池电流的装置和方法
KR20160080207A (ko) 전류 추정 방법 및 장치
KR20160057399A (ko) 축전지의 셀의 노화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
KR102559480B1 (ko) 센서 장치 및 저장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US9759780B2 (en) System for power balance monitoring in an energy storage battery
KR20110095877A (ko)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지 소자의 전압 모니터링 방법
JP6018169B2 (ja) 蓄電装置の故障判定方法
KR20190042340A (ko) 차량 탑재용 충전기의 제어를 통한 배터리 팩의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0396A (ko) 배터리 이상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17009465A (ja) 電池監視ユニット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US20240012059A1 (en) Sensor with self supplied negative rail for battery pack measurement
JP2014134488A (ja) 電池監視装置
JP6969307B2 (ja) 管理装置、蓄電システム、蓄電素子の残存容量を均等化する方法、蓄電素子の内部状態を推定する方法
WO2022107349A1 (ja) 蓄電池管理システム及び蓄電池管理方法
KR20230064927A (ko) 배터리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KR20210104457A (ko) 배터리 장치 및 전류 센서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