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360B1 -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360B1
KR102559360B1 KR1020200034202A KR20200034202A KR102559360B1 KR 102559360 B1 KR102559360 B1 KR 102559360B1 KR 1020200034202 A KR1020200034202 A KR 1020200034202A KR 20200034202 A KR20200034202 A KR 20200034202A KR 102559360 B1 KR102559360 B1 KR 102559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net
blocking net
insect screen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137A (ko
Inventor
김성이
문종배
Original Assignee
케이엠텍 주식회사
(주)인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3655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94155B1/ko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엠텍 주식회사, (주)인익스 filed Critical 케이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3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wound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창문틀에 설치되는 방충망틀에 결속되며, 일정 크기 이상의 실내 유입물들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일정 공극들이 형성된 방충망; 실내에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방충망의 공극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 개의 공극들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망;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권취하여 상기 방충망틀의 실외측 상부에 설치되며, 작동에 따라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 방향으로 권출시켜 상기 권출된 미세먼지 차단망이 상기 창문틀의 창문을 커버하도록 하는 차단망 권출기; 상기 방충망틀의 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결합되며, 상기 차단망 권출기로부터 권출되는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는 안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단망틀;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상기 권출되는 미세먼지 차단망에 하중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이 하중에 의해 권출되는 형태를 유지되도록 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권출 방향이 유지되도록 하는 리드 바; 및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솔라셀 모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먼지 차단망을 롤스크린 타입으로 제공함은 물론, 그 구동 전원을 솔라셀 모듈을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미세먼지 차단망의 설치 및 설치 해제 과정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Fine Dust Barrier and screen Assembly}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먼지 차단망을 창문틀에 권취식으로 설치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그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미세먼지 차단망을 용이하게 설치 및 설치 해제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실내의 환기와 채광을 위한 창호가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는 개방 시 실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해충을 막기 위한 방충망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방충망은 외기의 유입을 크게 저해하지 않으면서 이물질 또는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공극이 큰 메쉬 형태로 설치되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황사나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는 없다. 이에 방충망을 대체하거나 방충망과 별도 또는 함께 사용되는 이중 구조의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망이 설치되는 추세이다.
다만,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망은 미세먼지 등을 차단하기 위해 공극이 매우 작게 형성되어 오염, 소재 자체의 내구성, 통기율, 가시성 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국내에서 미세먼지에 의해 대기가 나빠지는 날은 제한적(연중 30일 전후)이므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망을 일반적인 방충망과 같이 창호에 부착 또는 고정식으로 설치하는 것은 창호의 환기 및 채광의 기본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를 필요에 따라 설치 및 설치 해제되게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주기적 또는 간헐적인 설치를 위해 설치 및 설치 해제 과정이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6327호』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망을 용이하게 설치 및 설치 해제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문틀에 설치되는 방충망틀에 결속되며, 일정 크기 이상의 실내 유입물들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일정 공극들이 형성된 방충망; 실내에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방충망의 공극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 개의 공극들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망;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권취하여 상기 방충망틀의 실외측 상부에 설치되며, 작동에 따라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 방향으로 권출시켜 상기 권출된 미세먼지 차단망이 상기 창문틀의 창문을 커버하도록 하는 차단망 권출기; 상기 방충망틀의 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결합되며, 상기 차단망 권출기로부터 권출되는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는 안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단망틀;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상기 권출되는 미세먼지 차단망에 하중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이 하중에 의해 권출되는 형태를 유지되도록 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권출 방향이 유지되도록 하는 리드 바; 및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솔라셀 모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미세먼지 차단망을 롤스크린 타입으로 제공함은 물론, 그 구동 전원을 솔라셀 모듈을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미세먼지 차단망의 설치 및 설치 해제 과정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상술한 솔라셀 모듈을 차단망 권출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탈착가능하게 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면, 목적에 따라 솔라셀 모듈을 더 추가할 수 있으며, 솔라셀 모듈의 위치가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 솔라셀 모듈이 태양광을 지향하게 할 수 있다.
셋째, 권출되는 미세먼지 차단망의 자유단에 리드 바를 설치하면, 차단망의 권출 과정이 거스름 없이 실시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의 전체 구성이 개략적으로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단망 권출기의 세부 구성이 나타난 부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솔라셀 모듈의 세부 구성이 나타난 부분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드 바의 세부 구성이 나타난 부분도이다.
도 5는 도 1의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가 창문틀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과정이 나타난 상태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100)의 전체 구성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고, 도 2에는 차단망 권출기(130)의 세부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100)는, 방충망틀(110), 미세먼지 차단망(120), 차단망 권출기(130), 솔라셀 모듈(140), 차단망틀(150) 및 리드 바(160)를 포함한다.
방충망틀(110)은 방충망(111)을 결속하기 위하여 창문틀(미도시)의 실외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실내측 창문틀 또는 이중 구조의 창문틀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식 또는 여닫이 창호인 경우 창문틀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개폐식일 수 있다. 방충망(111)은 일정 크기 이상의 실내 유입물들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일정 공극들을 포함하여 방충망틀(110)에 결속된 상태로 창문(미도시)을 커버한다.
미세먼지 차단망(120)은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의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그물망으로, 방충망(111)의 공극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 개의 공극들을 포함하여 차단망 권출기(130)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며, 후술될 차단망 권출기(130)의 구동 동작에 따라 권출되어 창문을 커버한다.
차단망 권출기(130)는 내부에 미세먼지 차단망(120)을 권취하여 보관하며, 사용자의 작동 동작에 따라 권취되어 있던 미세먼지 차단망(120)을 방충망틀(110)의 하부로 권출시켜 미세먼지 차단망(120)이 창문을 커버하게 하는 것으로, 권출기 하우징(131), 권출 샤프트(132), 모터(133) 및 권출홈(134)을 포함한다.
권출기 하우징(131)은 내부 수용공간에 미세먼지 차단망(120)을 수용하는 것으로, 장방형의 육면체로 형성되어, 방충망틀(110)의 실외측에 본딩, 볼팅 또는 끼움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제작 시 방충망틀(110)과 조립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설치면(131a), 걸림고리(131b) 및 끼움홈(131c)을 포함한다. 설치면(131a)은 솔라셀 모듈(140)의 안착 및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솔라셀 모듈(140)이 태양광의 입사방향을 지향하도록 권출기 하우징(131)의 실외측 상부가 함몰된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경사각도는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1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일조량을 가장 많이 확보할 수 있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고리(131b)는 설치면(131a)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상부 방향으로 굴절되되 고리 형상으로 굴절되어 후술될 솔라셀 모듈(140)의 일측과 걸림결합되어 솔라셀 모듈(140)을 지지한다. 끼움홈(131c)은 설치면(131a)의 상부에서 점차 넓어지는 함몰된 구조이되, 설치면(131a)의 상측으로 인입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역시 후술될 솔라셀 모듈(140)의 타측과 끼움결합됨으로써, 솔라셀 모듈(140)의 타측을 지지한다.
권출 샤프트(132)는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100)를 권취 또는 권출하기 위한 회전체로, 상기 권출기 하우징(131)의 수용공간 내에서 권출기 하우징(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권출기 하우징(131)의 길이방향 양단과 축결합된다. 모터(133)는 권출 샤프트(13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 내 구비되어 상술한 권출 샤프트(13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축결합되어 권출 샤프트(132)를 회전시킨다. 권출홈(134)은 미세먼지 차단망(120)이 권출기 하우징(131)으로부터 권출 또는 권취되는 출입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권출기 하우징(131)의 하부가 개구되어 권출기 하우징(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솔라셀 모듈(140)은 모터(133)의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솔라셀(141) 및 솔라셀 수용체(142)를 포함한다. 솔라셀(141)은 태양광 발전을 위한 것으로, 그 구성과 기능은 익히 널리 알려진 기술임을 감안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발전된 전원을 저장하는 축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솔라셀 수용체(142)는 솔라셀(141)을 수용하여 권출기 하우징(131)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설치면(131a)에 슬라이딩 또는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솔라셀 모듈(140)의 세부 구성과 설치 과정은 후술될 도 3에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단망틀(150)은 상술한 미세먼지 차단망(120)의 권출 경로를 안내함은 물론, 후술될 리드 바(160)를 안착시켜 미세먼지 차단망(120)이 방충망(111)과 동일하게 창문을 커버하게 하는 것으로, 가이드 프레임(151), 안내홈(152), 안착 프레임(153) 및 안착홈(154)을 포함한다.
가이드 프레임(151)은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100)의 측부를 지지함은 물론, 권출되는 미세먼지 차단망(120)을 창문틀의 하부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대칭된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 일단이 상술한 권출기 하우징(131)의 하부와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 즉 권출되는 미세먼지 차단망(120)을 바라보는 방향에 각각 리드 바(160)의 양단을 수용하기 위한 인입된 구조의 한 쌍의 안내홈(152)이 형성되어 미세먼지 차단망(120)의 권출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프레임(151)의 각 일단이 권출기 하우징(131)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방충망틀(110)의 상부에 설치 프레임(미도시)가 설치되고, 권출기 하우징(131)이 설치 프레임의 실외측에 설치된 구조에서, 가이드 프레임(151)의 각 일단이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설치 프레임의 역할을 권출기 하우징(131)이 대체하여 차단망틀(150)을 형성한다.
안착 프레임(153)은 가이드 프레임(151)의 하단을 연결하여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100)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권출되는 미세먼지 차단망(120)을 바라보는 방향인 상부 방향으로 안착혼(154)이 형성되어 하향 이동되는 리드 바(16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한다.
리드 바(160)는 그 형태가 자유로이 변화하는 권출된 미세먼지 차단망(120)에 하중을 부가하여 그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미세먼지 차단망(120)이 가이드 프레임(151)을 따라 안내되도록 하는 것으로, 리드 바(160)의 구성과 그 구성에 따른 기능은 후술될 도 4에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는, 솔라셀 모듈(140)의 세부 구성과 그 세부 구성들이 협력하여 창출하는 기능들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솔라셀 모듈(1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솔라셀(141) 및 솔라셀 수용체(142)를 포함하며, 솔라셀 수용체(142)는 솔라셀(141)을 수용하여 권출기 하우징(131)에 설치되게 하는 것으로, 파지부(142a), 걸림돌기(142b) 및 끼움돌기(142c)를 포함한다.
파지부(142a)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되 양단이 고리형상으로 각각 굴절되어 솔라셀(141)의 폭방향 양단을 가압함으로써, 파지부(142a)가 형성하는 공간 내 솔라셀(141)을 수용 및 고정한다. 걸림돌기(142b)는 솔라셀 수용체(142)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되, 상술한 걸림고리(131b)의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걸림고리(131b)에 걸림결합됨으로써, 솔라셀 수용체(142)의 일측을 지지한다. 끼움돌기(142c)는 솔라셀 수용체(142)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돌출되되 상술한 끼움홈(131c)의 구조에 대응되도록 점차 그 너비가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끼움홈(131c)에 끼워짐으로써, 솔라셀 수용체(142)의 타측을 지지한다. 솔라셀 수용체(142)는 권출기 하우징(131)의 길이방향으로 진입하여 걸림돌기(142b)가 걸림고리(131b)에 끼움돌기(142c)가 끼움홈(131c)에 삽입 및 슬라이딩됨으로써 권출기 하우징(131)에 설치된다.
여기서, 솔라셀 수용체(142)가 설치된 구조를 살펴보면, 권출기 하우징(131)의 걸림고리(131b)가 설치면(131a)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굴절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걸림돌기(142b)가 걸림고리(131b)에 대응하는 구조, 즉, 파지부(142a)의 폭방향 일측에서 돌출되되 걸림고리(131b)와 대칭된 고리 형상으로 굴절되어 걸림고리(131b)에 끼워짐으로써, 설치면(131a)의 하부에서 돌출된 걸림고리(131b)의 위치에 의해 솔라셀 수용체(142)의 폭방향 하부를 지지하여 솔라셀 수용체(142)가 설치면(131a)을 따라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대응되는 각 고리형상을 통해 솔라셀 수용체(142)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권출기 하우징(131)의 끼움홈(131c)이 설치면(131a)의 상부에서 점차 넓어지는 함몰된 구조이며, 그 함몰된 방향이 설치면(131a)의 더 상측을 향해 형성되는 상태에서, 끼움돌기(142c)가 끼움홈(131c)에 대응하는 구조, 즉, 파지부(142a)의 폭방향 타측에서 점차 넓어지는 구조로 돌출된 구조이되, 상기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끼움홈(131c)에 끼워짐으로써, 대응되는 끼움홈(131c)과 끼움돌기(142c)의 형상에 의해 솔라셀 수용체(142)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결합구조가 권출기 하우징(13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구조의 파손 및 멸실을 방지하며, 권출기 하우징(131)의 부피를 경감할 수 있다.
아울러, 걸림돌기(142b)가 파지부(142a)의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끼움돌기(142c)는 파지부(142a)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두 돌기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권출기 하우징(131)의 걸림고리(131b)와 끼움홈(131c)은 권출기 하우징(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됨으로써, 설치면(131a)에 슬라이딩되어 설치된 솔라셀 수용체(142)가 상술한 슬라이딩 기능을 이용하여 권출기 하우징(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솔라셀 수용체(142)는 권출기 하우징(131)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그 위치를 달리할 수 있어, 그 위치에 따른 보다 효율적인 태양광의 집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창호의 방향에 따른 태양광의 각도는 물론, 여타 인접한 건물과 같은 장애물에 의한 조사되는 태양광의 각도에 따라 솔라셀 모듈(140)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태양광의 집광이 가능하다.
더불어, 태양광 집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솔라셀 모듈(140)은 권출기 하우징(131)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되거나, 연장형성되는 일체화된 하나의 솔라셀 모듈(140)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일체화된 하나의 솔라셀 모듈(140)이 설치될 때에는 자연히 하나의 솔라셀 수용체(142)에 솔라셀(141)이 수용되어 설치되며, 복수 개로 설치될 때에는 각 솔라셀(141)이 복수의 솔라셀 수용체(142)에 각각 수용되어 설치되거나, 하나의 솔라셀 수용체(142)에 복수의 솔라셀(141)이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역시, 복수 개로 설치될 때에는 각 솔라셀 수용체(142)의 이동에 따라 솔라셀(141)의 위치 역시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래에서는, 리드 바(160)의 세부 구성과 그 세부 구성들이 협력하여 창출하는 기능들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드 바(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태가 자유로이 변화하는 권출된 미세먼지 차단망(120)에 하중을 부가하여 그 형태가 유지되도록 함은 고정된 형태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차단망(120)을 가이드 프레임(151)을 따라 안내하는 것으로, 리드바 몸체(161), 몸체 캡(162) 및 안내돌기(163)를 포함한다.
리드바 몸체(161)는 미세먼지 차단망(120)에 길이방향 하중을 인가하는 것으로, 권출기 하우징(13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미세먼지 차단망(120)의 자유단에 폭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때, 리드바 몸체(161)의 하부는 상부에 비해 그 두께가 보다 두텁게 형성되어 무게에 의한 하중을 형성함은 물론, 미세먼지 차단망(120)이 지면을 기준으로 하는 전후 방향의 유동을 억제한다.
몸체 캡(162)은 리드바 몸체(161)의 양단을 마감하는 것으로, 리드바 몸체(161)의 각 양단에 끼워지되, 리드바 몸체(161)보다 높이와 너비가 더 크게 형성되어 가이드 프레임(151)의 측면을 지지한다.
안내돌기(163)는 상술한 가이드 프레임(151)의 안내홈(152)에 끼워져 리드 바(1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몸체 캡(162)으로부터 리드바 몸체(161)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돌출된다. 이때, 안내돌기(163)는 미세먼지 차단망(120)의 권출방향인 하부로 연장될수록 그 폭이 좁아지되며, 연장되는 방향이 실외보다 실내측에 더 가깝게 형성되되 실외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구조로 형성된다.(d2 > d1)
본 발명의 권출되는 미세먼지 차단망(120)은 권출 샤프트(132)의 회전에 의해 권출 샤프트(132)로부터 풀려 권출되는 것으로, 미세먼지 차단망(120)의 자유단은 리드 바(160)에 의한 하중만이 형성될 뿐 권출에 의한 하중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안내돌기(163)가 권출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안내홈(152)과 이격됨으로써, 미세먼지 차단망(120)의 자유단인 끝단이 마찰력에 의해 이동이 억제되는 것을 경감한다. 미세먼지 차단망(120)이 권취될 때에는 권취력이 미세먼지 차단망(120)의 자유단에 전달되므로, 안내돌기(163)는 권취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져 안내홈(152)에 밀착됨으로써, 권출 또는 권취되는 미세먼지 차단망(120)의 전후방향의 유동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드바 몸체(161)는 하부가 상부보다 두텁게 형성되되, 하부가 상부에 비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몸체 캡(162) 역시 그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결합된 미세먼지 차단망(120)에 하중을 부가함은 물론,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5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밀착됨으로써, 미세먼지 차단망(120)의 지면을 기준으로 하는 좌우방향의 유동을 억제한다.
이하에서는,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100)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망(120)의 설치 및 설치 해제과정을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100)는 창문틀의 실외측에 차단망 권출기(130)와 차단망틀(150)으로 설치되며, 솔라셀 모듈(140)을 이용하여 그 구동 전원을 제공받아 저장한다.
사용자가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100)를 구동하면, 차단망 권출기(130)에서 미세먼지 차단망(120)이 권출된다. 이때, 미세먼지 차단망(120)은 자유단에 결합된 리드 바(160)가 가이드 프레임(151)에 의해 안내되어 창문틀의 하부로 권출되며, 창문틀의 하부에서 리드 바(160)가 안착 프레임(153)에 안착되어 개방된 창문을 커버한다. 아울러, 권취 과정은 권출 과정의 역순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100)는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 차단망(120)의 권출 또는 권취 동작이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차단망 권출기(130)는 사용자의 구동 신호와 별개로, 측정되는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권출 또는 권취 동작이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가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차단망 권출기(130)는 미세먼지 차단망(120)을 권출하며, 그 설정된 수치 미만인 경우, 미세먼지 차단망(120)을 권취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100)에는 창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창호동작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창문의 개방동작에 따라 차단망 권출기(130)의 동작이 실시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호동작 센서에 의해 창호가 개방된 것이 측정된 경우, 차단망 권출기(130)는 미세먼지 차단망(120)을 권출하며, 창호가 폐쇄된 것이 측정된 경우, 미세먼지 차단망(120)을 권취할 수 있다.
아울러, 창호동작 센서에 의한 차단망 권출기(130)의 구동 동작은 미세먼지 센서와 연계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미세먼지의 농도가 설정된 수치 이상이며, 창호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차단망 권출기(130)는 미세먼지 차단망(120)을 권출하며, 이와 달리 미세먼지의 농도가 설정된 수치 미만이거나, 창호가 폐쇄된 경우, 차단망 권출기(130)는 미세먼지 차단망(120)을 권취한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 차단망(120)의 파손을 경감함은 물론, 창호의 기본 목적인 환기 및 채광 기능을 온전히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110 : 방충망틀 111 : 방충망
120 : 미세먼지 차단망 130 : 차단망 권출기
131 : 권출기 하우징 131a : 설치면
131b : 걸림고리 131c : 끼움홈
132 : 권출 샤프트 133 : 모터
134 : 권출홈 140 : 솔라셀 모듈
141 : 솔라셀 142 : 솔라셀 수용체
142a : 파지부 142b : 걸림돌기
142c : 끼움돌기 150 : 차단망틀
151 : 가이드 프레임 152 : 안내홈
153 : 안착 프레임 154 : 안착홈
160 : 리드 바 161 : 리드바 몸체
162 : 몸체 캡 163 : 안내돌기

Claims (11)

  1. 창문틀에 설치되는 방충망틀에 결속되며, 일정 크기 이상의 실내 유입물들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일정 공극들이 형성된 방충망;
    실내에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방충망의 공극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 개의 공극들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망;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권취하여 상기 방충망틀의 실외측 상부에 설치되며, 작동에 따라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 방향으로 권출시켜 상기 권출된 미세먼지 차단망이 상기 창문틀의 창문을 커버하도록 하는 차단망 권출기;
    상기 방충망틀의 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결합되며, 상기 차단망 권출기로부터 권출되는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는 안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단망틀;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상기 권출되는 미세먼지 차단망에 하중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이 하중에 의해 권출되는 형태를 유지되도록 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권출 방향이 유지되도록 하는 리드 바; 및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솔라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솔라셀 모듈은,
    상기 차단망 권출기의 상부에 상기 차단망 권출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결합되고,
    상기 차단망 권출기는,
    내부에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수용하며, 상기 솔라셀 모듈이 태양광의 입사 방향을 지향하도록, 상기 솔라셀 모듈이 설치되는 부분이 경사를 갖는 설치면과, 고리 형상을 가지는 걸림고리와, 함몰된 구조를 가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권출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설치면의 하부가 돌출되어 굴절되되 고리 형상으로 상기 설치면의 상부 방향으로 굴절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설치면의 상부에 점차 폭이 넓어지는 함몰된 구조이되, 함몰된 방향이 상기 설치면의 상부를 향하는 창호용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망 권출기는,
    내부에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수용하며, 하부에 개구된 구조의 권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권출기 하우징;
    상기 권출기 하우징 내 설치되며, 상기 권출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양단이 상기 권출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지지하여 회전되는 권출 샤프트; 및
    상기 권출 샤프트의 양단 또는 어느 하나의 일단에 축결합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권출 샤프트를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창호용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창문틀에 설치되는 방충망틀에 결속되며, 일정 크기 이상의 실내 유입물들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일정 공극들이 형성된 방충망;
    실내에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방충망의 공극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 개의 공극들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망;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권취하여 상기 방충망틀의 실외측 상부에 설치되며, 작동에 따라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 방향으로 권출시켜 상기 권출된 미세먼지 차단망이 상기 창문틀의 창문을 커버하도록 하는 차단망 권출기;
    상기 방충망틀의 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결합되며, 상기 차단망 권출기로부터 권출되는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는 안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단망틀;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상기 권출되는 미세먼지 차단망에 하중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이 하중에 의해 권출되는 형태를 유지되도록 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권출 방향이 유지되도록 하는 리드 바; 및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솔라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솔라셀 모듈은,
    상기 차단망 권출기의 상부에 상기 차단망 권출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결합되고,
    상기 차단망 권출기는,
    내부에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수용하며, 상기 솔라셀 모듈이 태양광의 입사 방향을 지향하도록, 상기 솔라셀 모듈이 설치되는 부분이 경사를 갖는 설치면과, 고리 형상을 가지는 걸림고리와, 함몰된 구조를 가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권출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솔라셀 모듈은,
    솔라셀; 및
    폭방향의 양측단이 고리형상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연장된 각 끝단이 상기 솔라셀을 폭방향 양측부를 가압하여 상기 솔라셀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고리의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걸림돌기와, 상기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의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솔라셀 수용체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걸림고리와 상기 끼움홈에 상기 권출기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끼워짐으로써,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탈착되고,
    상기 걸림고리와 상기 끼움홈은 상기 권출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솔라셀 수용체는,
    상기 권출기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와 상기 끼움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동됨으로써, 상기 차단망 권출기의 상부에서 위치가 조정되는 창호용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솔라셀은,
    하나의 상기 솔라셀 수용체에 복수 개로 수용되어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탈착되거나, 복수 개의 상기 솔라셀 수용체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탈착되는 창호용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7. 창문틀에 설치되는 방충망틀에 결속되며, 일정 크기 이상의 실내 유입물들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일정 공극들이 형성된 방충망;
    실내에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방충망의 공극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 개의 공극들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망;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권취하여 상기 방충망틀의 실외측 상부에 설치되며, 작동에 따라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 방향으로 권출시켜 상기 권출된 미세먼지 차단망이 상기 창문틀의 창문을 커버하도록 하는 차단망 권출기;
    상기 방충망틀의 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결합되며, 상기 차단망 권출기로부터 권출되는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방충망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하단을 연결하는 안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단망틀;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상기 권출되는 미세먼지 차단망에 하중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이 하중에 의해 권출되는 형태를 유지되도록 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권출 방향이 유지되도록 하는 리드 바; 및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솔라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솔라셀 모듈은,
    상기 차단망 권출기의 상부에 상기 차단망 권출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결합되고,
    상기 차단망 권출기는,
    내부에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수용하며, 상기 솔라셀 모듈이 태양광의 입사 방향을 지향하도록, 상기 솔라셀 모듈이 설치되는 부분이 경사를 갖는 설치면과, 고리 형상을 가지는 걸림고리와, 함몰된 구조를 가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권출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솔라셀 모듈은,
    솔라셀; 및
    폭방향의 양측단이 고리형상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연장된 각 끝단이 상기 솔라셀을 폭방향 양측부를 가압하여 상기 솔라셀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고리의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걸림돌기와, 상기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의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솔라셀 수용체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걸림고리와 상기 끼움홈에 상기 권출기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끼워짐으로써, 상기 차단망 권출기에 탈착되고,
    상기 솔라셀은,
    상기 파지부에 복수 개로 끼워져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거나, 상기 권출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일체화된 구조로 설치되는 창호용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8.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청구항 6,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리드 바의 양단을 수용하는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권출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리드 바는,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자유단과 결합되는 리드바 몸체; 및
    양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에 수용되며,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의 권출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권출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창호용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드 바 몸체는,
    하부가 상부보다 더 두텁게 형성되며,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권출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되 실외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구조인 창호용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10.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5, 청구항 6,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망 권출기는,
    상기 미세먼지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권출 또는 권취 동작되도록 설정되어, 미세먼지 농도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권출하며,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권취하는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는 창호동작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망 권출기는,
    상기 창호동작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창문의 개방동작에 따라 작동되도록 설정되되, 상기 미세먼지 센서와 연계되어 설정됨으로써, 미세먼지가 설정값 이상이며 상기 창문의 개방이 감지된 경우,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권출하며, 미세먼지가 설정값 미만이거나 상기 창문의 폐쇄가 감지된 경우,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을 권취하는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KR1020200034202A 2019-10-30 2020-03-20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KR102559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202A KR102559360B1 (ko) 2019-10-30 2020-03-20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550A KR102094155B1 (ko) 2019-10-30 2019-10-30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KR1020200034202A KR102559360B1 (ko) 2019-10-30 2020-03-20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550A Division KR102094155B1 (ko) 2019-10-30 2019-10-30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137A KR20210053137A (ko) 2021-05-11
KR102559360B1 true KR102559360B1 (ko) 2023-07-26

Family

ID=8742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202A KR102559360B1 (ko) 2019-10-30 2020-03-20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87U (ko) 2021-10-14 2023-04-21 (주)대한솔루션 창호용 방충망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262U (ko) * 2007-10-04 2009-04-08 남이식 권취식 방충망의 자석 장착구조
KR101573058B1 (ko) * 2013-08-13 2015-11-30 주식회사 비엔엘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동식 블라인드
KR102108066B1 (ko) 2013-09-02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91841A (ko) * 2016-02-01 2017-08-1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창문 개폐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94389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차본 안전 방충망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137A (ko)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155B1 (ko)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US20040154243A1 (en) Automatic blinder-type display assembly
KR20180012452A (ko) 미세먼지 차단망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KR101871766B1 (ko) 방진 기능이 구비된 롤 타입 방충망
KR102559360B1 (ko)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KR20130104388A (ko) 슬라이딩 창호용 롤 방충망 장치
AU2010304194B2 (en) Screen apparatus
KR101614400B1 (ko) 발전 및 세척 기능을 갖는 배전반
EP3959408B1 (en) External screening arrangement with side covers
KR20140061249A (ko) 롤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개방 루프 구조체
JP2009034411A (ja) 物干し用カバー
JP2001090451A (ja) 採光調節装置
JP2005264450A (ja) 防花粉兼用網戸
JPH11166379A (ja) 日除け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窓用シャッター
KR20110004320A (ko) 복합기능 방충창
KR200453932Y1 (ko) 장력유지구 및 이러한 장력유지구가 장착된 차양막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어셈블리.
US7950436B1 (en) Room darkening system and method
JP2021031949A (ja) スクリーン装置
JP2012097492A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2015030974A (ja) 遮蔽ユニット
KR102398523B1 (ko) 폴딩형 창호를 기반으로 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H037513Y2 (ko)
JP2012207481A (ja) オーニング装置兼用開閉装置
CN218028522U (zh) 一种单侧遮光通风天窗
CN211980049U (zh) 一种室外显示配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