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769B1 -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 - Google Patents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769B1
KR102558769B1 KR1020230027232A KR20230027232A KR102558769B1 KR 102558769 B1 KR102558769 B1 KR 102558769B1 KR 1020230027232 A KR1020230027232 A KR 1020230027232A KR 20230027232 A KR20230027232 A KR 20230027232A KR 102558769 B1 KR102558769 B1 KR 102558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guide
coil spring
vehicle suspens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1020230027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3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 B60G11/3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and also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2Woun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판스프링의 완충 지지를 위한 코일스프링이 스프링 가이드에 의해 지지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루게 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층 형태를 이루는 판스프링(10)과 차체 프레임(20) 사이에 코일 스프링(30)이 연결 구성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0)의 중앙 상부에는 코일 스프링(30)의 지지를 위한 브라켓(40)이 안착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40) 상부에는 코일 스프링(30)의 하단부가 가이드 되어질 수 있는 가이드홈(51)이 형성된 스프링 가이드(5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40) 및 스프링 가이드(50)에는 상호간에 나사 체결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숫나사부(42) 및 암나사부(5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50)에는 가이드홈(51)에 안착된 코일 스프링(30)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Plate spring buffer structure of a vehicle suspension system equipped with a detachable spring guide}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스프링의 완충력 향상을 위해 구성되는 코일 스프링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이탈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판스프링 완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상기 차량의 차체와 차륜 사이에 지면으로부터 상기 차량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현가장치에 구비된다.
차량 중에서 비교적 중량이 많이 나가는 차량에서는 통상적으로 복수의 강판을 겹쳐 제작한 판스프링이 적용된다. 상기 판스프링이 적용된 현가장치는 주로 트럭이나 버스와 같이 차량의 중량이 많이 나가거나, 많은 승객이 탑승하는 차량에 적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판스프링이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차체 프레임(1)에 다층 형태로 적층된 판스프링(3)의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판스프링(3)에 바퀴축(2)이 연결되는 현가장치는 주로 디젤차량이나 대형차량에 적용되어 지면에 의한 바퀴의 상하 유동력을 해소하여 차체에 그 진동이 미세하게 전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이 적용된 차량의 현가장치는 비교적 큰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완충력 향상을 위해 판스프링(3)과 차체 프레임(1) 사이에 보조 완충용 코일 스프링을 연결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은 측방으로 이탈하는 힘에 대한 제약이 없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이 발생함과 함께 설치 과정에서 높이 조절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726377호(2017.04.06.등록)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0353458호(2004.06.04.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판스프링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코일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함과 함께 설치 작업시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판스프링 완충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적층 형태를 이루는 판스프링과 차체 프레임 사이에 코일 스프링이 연결 구성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중앙 상부에는 코일 스프링의 지지를 위한 브라켓이 안착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 상부에는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가 가이드 되어질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스프링 가이드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 및 스프링 가이드에는 상호 간에 나사 체결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숫나사부 및 암나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에는 가이드홈에 안착된 코일 스프링의 고정을 위한 고정나사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판스프링의 완충 지지를 위한 코일스프링이 스프링 가이드에 의해 지지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루게 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특히, 스프링 가이드가 브라켓과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는 분리형 구조를 이룸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코일스프링의 차체 밀착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판스프링 설치 상태 개략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 가이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프링 가이드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프링 가이드 조립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프링 가이드가 판스프링을 완충 지지하는 설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 가이드 부분 절개 부품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요부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나사 체결부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를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는 적층 형태를 이루는 판스프링(10)과 차체 프레임(20) 사이에 코일 스프링(30)이 연결 구성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에 적용되어지게 된다.
즉, 판스프링(10)의 중앙 상부에는 코일 스프링(30)의 지지를 위한 브라켓(40)이 안착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40) 상부에는 코일 스프링(30)의 하단부가 가이드 되어질 수 있는 가이드홈(51)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스프링 가이드(5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40) 및 스프링 가이드(50)에는 상호 간에 나사 체결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숫나사부(42) 및 암나사부(5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50)에는 가이드홈(51)에 안착된 코일 스프링(30)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로 고정나사(53)가 체결된다.
이때, 가이드홈(51)은 일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나사(53)는 스프링 가이드(50)의 측벽을 관통하여 가이드홈(51)과 연통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1은 차체 프레임(20)과의 밀착을 위해 코일 스프링(30) 상단부에 연결된 상부 지지블럭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판스프링 완충구조체의 차량 현가장치 조립 설치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판스프링(10)과 차체 프레임(20) 사이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브라켓(40)이 판스프링(10)의 중앙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프링 가이드(50) 및 코일 스프링(30)의 조립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브라켓(40) 상부에 스프링 가이드(50)가 숫나사부(42)와 암나사부(52) 상호 간의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며, 스프링 가이드(50) 상부에는 코일 스프링(30)의 하단부가 가이드홈(51)에 삽입되는 지지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스프링 가이드(50) 측면에는 고정나사(53)를 체결하여 가이드홈(51)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3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부 지지블럭(31)은 별도의 브라켓 등과 같은 지지부재에 의해 차체 프레임(20)에 연결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30)의 하단부가 가이드홈(51)에 삽입된 지지 구조를 이룸으로써 가이드홈(51) 내에서 측방향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코일 스프링(30)의 이탈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프링 가이드(50)가 브라켓(40)과 나사 체결 방식의 체결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높이 조절에 따른 코일 스프링(30)의 차체 프레임(20) 밀착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필요에 따라 스프링을 절단해야 하는 불편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스프링의 완충 지지를 위한 코일스프링이 스프링 가이드에 의해 지지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루게 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특히, 스프링 가이드가 브라켓과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는 분리형 구조를 이룸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코일스프링의 차체 밀착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스프링 가이드(5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51)은 일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차 감소하는 나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가이드홈(51)에 안착되는 코일 스프링(30)의 선단부가 끼워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나선형 가이드홈(51)의 끝단부에 끼움홈(51a)이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코일 스프링(30)이 나선형 가이드홈(51)에 안착이 이루어짐과 함께 끼움홈(51a)에 선단부가 끼워져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나사(53) 체결을 통한 더욱 안정적인 스프링 지지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고정나사(53)의 선단부에는 코일 스프링(30)과의 마찰력 증대 및 손상 방지를 위한 보호층(53a)이 코팅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층(53a)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30중량%, 페닐에테르 1~10중량%, 사이클로옥틸아민 5~20중량%, 실리콘수지 10~30중량%,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10~20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10중량%, 황산바륨 1~10중량%, 세리사이트 분말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보호층(53a)의 형성으로 인해 고정나사(53) 선단부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코일 스프링(30)에 대한 고정력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보호층(53a)에는 페닐에테르 및 사이클로옥틸아민 성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변형이 방지됨과 함께 마찰력이 증대되어질 수 있게 되고,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은 실리콘 수지에 대한 촉매 기능을 수행하여 탄력성이 유지되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내열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추가 첨가된 황산바륨 및 세리사이트 분말은 각각 보호층(53a)의 변색을 방지함과 함께 밀도 향상에 따른 내구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판스프링 완충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스프링 가이드가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이룰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판스프링 20 : 차체 프레임
30 : 코일 스프링 31 : 상부 지지블럭
40 : 브라켓 42 : 숫나사부
50 : 스프링 가이드 51 : 가이드홈
52 : 암나사부 53 : 고정나사

Claims (5)

  1. 적층 형태를 이루는 판스프링(10)과 차체 프레임(20) 사이에 코일 스프링(30)이 연결 구성되는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0)의 중앙 상부에는 코일 스프링(30)의 지지를 위한 브라켓(40)이 안착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40) 상부에는 코일 스프링(3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51)이 나선 형상으로 일정 깊이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스프링 가이드(5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40) 및 스프링 가이드(50)에는 상호간에 나사 체결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숫나사부(42) 및 암나사부(5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50)에는 가이드홈(51)에 안착된 코일 스프링(30)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프링 가이드(50)의 측벽에 관통 체결되어 코일 스프링(30)을 고정시키는 고정나사(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51)은 일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차 감소하는 나선 형상을 이루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가이드홈(51)의 끝단부에는 코일 스프링(30)의 선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51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53)의 선단부에는 코일 스프링(30)과의 마찰력 증대 및 손상 방지를 위한 보호층(53a)이 코팅 형성되되, 상기 보호층(53a)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페닐에테르, 사이클로옥틸아민, 실리콘수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황산바륨, 세리사이트 분말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
KR1020230027232A 2023-02-28 2023-02-28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 KR102558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232A KR102558769B1 (ko) 2023-02-28 2023-02-28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232A KR102558769B1 (ko) 2023-02-28 2023-02-28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769B1 true KR102558769B1 (ko) 2023-07-24

Family

ID=8742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7232A KR102558769B1 (ko) 2023-02-28 2023-02-28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7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458B1 (ko) 1996-06-05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압전형스텝모터
JP2004216922A (ja) * 2003-01-09 2004-08-0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5313731A (ja) * 2004-04-28 2005-11-10 Isuzu Motors Ltd 車高調整装置
WO2007100312A2 (en) * 2005-02-09 2007-09-07 Ud Technology Corporation Conformable ballistic resitant and protective composite materials composed of shear thickening fluids reinforced by fillers such as fibers
KR101726377B1 (ko) 2016-11-10 2017-04-12 이상욱 자동차용 현가장치
KR20220005109A (ko) * 2020-07-06 2022-01-13 김범수 서스펜션 스프링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458B1 (ko) 1996-06-05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압전형스텝모터
JP2004216922A (ja) * 2003-01-09 2004-08-0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5313731A (ja) * 2004-04-28 2005-11-10 Isuzu Motors Ltd 車高調整装置
WO2007100312A2 (en) * 2005-02-09 2007-09-07 Ud Technology Corporation Conformable ballistic resitant and protective composite materials composed of shear thickening fluids reinforced by fillers such as fibers
KR101726377B1 (ko) 2016-11-10 2017-04-12 이상욱 자동차용 현가장치
KR20220005109A (ko) * 2020-07-06 2022-01-13 김범수 서스펜션 스프링 보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100B1 (ko) 자동차시트의 람버서포트
KR101122980B1 (ko) 자동차 시트용 람버서포트
EP1037756B1 (en) Tapered convolute leaf spring for truck suspensions
US10723369B2 (en) Bogie with a motor mount for a linear induction motor
JP2005231512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20080258361A1 (en) Suspension spring mount
US11155282B2 (en) Bogie frame, bogie assembly and rail vehicle
KR102558769B1 (ko) 분리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
KR102558771B1 (ko) 일체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
GB2503493A (en) Shock absorption in powerboat seats
KR20120078871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1417370B1 (ko) 우레탄 스토퍼가 적용된 티엠마운트
KR101766067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KR200498038Y1 (ko) 화물차량용 보조 쇽업소버의 완충캡
CN112477906A (zh) 一种钢簧结构、转向架及具有该转向架的轨道车辆
KR102417402B1 (ko)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
KR20210115363A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CN202608501U (zh) 一种分离缓冲型减振器支柱及汽车
KR101880568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KR102258322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하부패드
KR200497640Y1 (ko) 화물차량용 보조 쇽업소버의 베이스기구
CN210680316U (zh) 一种车辆及其悬架系统
CN110834506B (zh) 一种悬架二级限位装置、悬架限位结构及油气悬架
KR20080021408A (ko) 차량용 현가장치
US20240011538A1 (en) Anti-vibration mo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