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878B1 -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878B1
KR102557878B1 KR1020230004708A KR20230004708A KR102557878B1 KR 102557878 B1 KR102557878 B1 KR 102557878B1 KR 1020230004708 A KR1020230004708 A KR 1020230004708A KR 20230004708 A KR20230004708 A KR 20230004708A KR 102557878 B1 KR102557878 B1 KR 102557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arbon nanotubes
composition
biocomposition
calcium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4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부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마그네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마그네슘 filed Critical (주)코리아마그네슘
Priority to KR1020230004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고내열성, 고강도, 공기정화,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구현하고 친환경적인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활용 플라스틱 0 초과 60 이하 중량%; 탄소나노튜브 0 초과 5 이하 중량%;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 0 초과 5 이하 중량%; 콜로이드 실버 0 초과 3 이하 중량%; 및 나머지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BIO COMPOSITION COMPRISING RECYCLED PLASTIC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노트북, 아이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주도하고 있는 소형화와 고집적화, 데이터의 대용량화, 고속화 등으로 인하여 전자파 장애(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이하 'EMI'라 함) 차폐 기능을 갖는 제품들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선진 외국 경쟁업체들의 국내시장 진입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고 이에 대한 국내시장 및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재료의 국산화, 대체 제품의 개발 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종래의 전자파 차폐재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에 금속류(철, 구리, 니켈 등)를 첨가하여 도전성 메쉬, 도전성 섬유, 도전성 고무 등의 형태로 제작되었는데, 이러한 형태는 전자파를 차폐 또는 반사시켜 전자파로부터의 직접적인 영향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전자파 환경이 지속되며 폴리에스테르에 구리, 니켈 등을 도금한 전자파 차폐재의 경우에는 감전의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외부로 방출시키면서 전자파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전자파를 흡수하여 열로 변환, 소멸시키는 특성을 접목한 방열-흡수, 흡수-차폐 등과 같은 두 가지 특성을 동시에 갖는 제품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04-0033257호에는 "연자성 금속 분말을 베이스 중합체 중에 분산시킨 전자파 흡수층과 전기절연성의 열전도성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 중에 분산시킨 열전도층을 적층한 전자파 흡수성 열전도성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2-076683호에는 "전자파 흡수층과 방열층이 적층된 적층체로 이루어진 전자파 흡수성 방열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공개특허 제2009-28281호에는 "2액형 액상 실리콘 수지, 액상 실리콘오일, 구상(球狀) 알루미나 분말, 구상(球狀) 수산화알루미늄 분말, 및 편상(片狀) 또는 불규칙 형상의 니켈-아연 페라이트(Ni-Zn ferrite) 또는 망간-아연 페라이트(Mn-Zn ferrite)를 포함하는 방열 및 전자파 차폐/흡수 특성이 우수한 복합 시트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과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바이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내열성, 고강도, 살균 및 탈취 기능이 우수한 바이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바이오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활용 플라스틱 0 초과 60 이하 중량%; 탄소나노튜브 0 초과 5 이하 중량%;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 0 초과 5 이하 중량%; 콜로이드 실버 0 초과 3 이하 중량%; 및 나머지 마그네슘; 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미드(Polyamides, PA),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PU),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의 함량은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의 중량비는 5:1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전자파 차폐 장치, 생활용품, 파이프, 공기청정기, 욕실용품, 자외선차단 플라스틱 제품, 음식물처리운반통 및 주방용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성물 내 소재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조성물의 전자파 차폐율을 현저히 높임과 동시에 조성물의 높은 열전도도를 구현하여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빠르게 방출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버려지고 있는 굴껍질과 폐기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요구되는 질소나 SF6 등의 가스의 투입 없이도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재활용 플라스틱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고내열성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탈취로 인한 불쾌한 냄새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더욱 우수한 살균 및 공기정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의 범위는, 상기 용어의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 값과 상한 값으로 포함하는 수치의 범위를 나타낸다. 임의의 수치범위의 상한과 하한으로의 수치 값이 각각 복수 개로 개시된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수치의 범위는 복수의 하한 값 중 임의의 하나의 값 및 복수의 상한 값 중 임의의 하나의 값을 각각 하한 값 및 상한 값으로 하는 임의의 수치의 범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활용 플라스틱 0 초과 60 이하 중량%; 탄소나노튜브 0 초과 5 이하 중량%;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 0 초과 5 이하 중량%; 콜로이드 실버 0 초과 3 이하 중량%; 및 나머지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지만 탄산칼슘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분산성이 충분히 우수하지 못하여 응집체를 형성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파 차폐율, 인장강도 및 열전도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못할 수 있다. 탄산칼슘을 포함하지만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분산성이 우수할 수는 있지만, 탄소나노튜브의 부재로 인해 조성물의 인강강도, 열전도도 및 전자파 차폐율이 충분히 높아지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과 탄소나노튜브를 조합함으로써, 조성물 내 소재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조성물의 전자파 차폐율을 현저히 높임과 동시에 조성물의 높은 열전도도를 구현하여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빠르게 방출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과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버려지고 있는 굴껍질과 폐기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과 탄소나노튜브를 조합함으로써,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요구되는 질소나 SF6 등의 가스의 투입 없이도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의 존재로 인해 탄소나노튜브가 조성물 내에서 효과적으로 분산됨으로써, 재활용 플라스틱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고내열성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탈취로 인한 불쾌한 냄새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반적인 은 나노입자 대신, 은 초미립자가 콜로이드 상태로 분산된 콜로이드 실버를 사용함으로써, 전자파 차폐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고, 우수한 살균 및 공기정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재활용 플라스틱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조성물은 버려지는 폐기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비중이 낮고 강도가 높은 제품을 구현하기 위해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미드(Polyamides, PA),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PU)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의 함량은 상기 바이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초과 60 이하 중량%, 10 내지 60 중량%, 15 내지 60 중량%, 20 내지 60 중량%, 25 내지 60 중량%, 30 내지 60 중량%, 35 내지 60 중량%, 40 내지 60 중량%, 45 내지 60 중량%, 50 내지 60 중량%, 51 내지 60 중량%, 53 내지 60 중량%, 55 내지 60 중량%, 57 내지 60 중량%, 또는 59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 미만일 경우 바이오 조성물로 제조된 제품의 강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못할 수 있고 상기 수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조성의 함량이 낮아지게 되어 조성물 내 분산성이 떨어지거나 고내열성이 충분히 구현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의 제조방법은 폐기 플라스틱을 분쇄한 분쇄물을 용융압출장치를 통해 용융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물을 냉각 롤을 통하여 냉각시킨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냉각수조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융압출장치의 온도는 폐기 플라스틱의 융점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바이오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를 높이고, 전도성 및 전자파 차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바이오 조성물은 고내열성을 구현하고 탈취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초과 5 이하 중량%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 1 내지 4 중량%, 1 내지 3 중량%, 또는 1 내지 2.5 중량%; 또는 2 내지 5 중량%, 2 내지 4 중량%, 2 내지 3 중량% 또는 2 내지 2.5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전자파 차폐 기능, 전도성 및 강도가 충분히 향상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수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조성물 내 소재의 분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 Tube; SWCNT),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조합될 경우 조성물의 전자파 차폐율, 열전도도 및 인장강도 성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직경이 0.6 내지 2.0nm이고 길이가 1.0 내지 3.0㎛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직경이 30 내지 50nm이고 길이가 3 내지 5㎛인 것일 수 있다.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바이오 조성물은 조성물 내 소재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며 전자파 차폐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을 이용함으로써, 버려지는 굴껍질을 자원으로서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의 함량은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초과 5 이하 중량%, 0.5 내지 5.0 중량%, 0.5 내지 4.0 중량%, 0.5 내지 3.0 중량%, 0.5 내지 2.5 중량%, 0.5 내지 2.0 중량%, 0.5 내지 1.5 중량%, 또는 0.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 미만일 경우 조성물 내 응집체 구조를 형성하여 분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수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조성의 함량이 감소하여 조성물의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지만 탄산칼슘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분산성이 충분히 우수하지 못하여 응집체를 형성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이 캐스팅 성형 과정이 어려워져 전자파 차폐율, 인장강도 및 열전도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못할 수 있다. 탄산칼슘을 포함하지만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분산성이 우수할 수는 있지만, 탄소나노튜브의 부재로 인해 조성물의 인강강도, 열전도도 및 전자파 차폐율이 충분히 높아지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과 탄소나노튜브를 조합함으로써, 조성물 내 소재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조성물의 전자파 차폐율을 현저히 높임과 동시에 조성물의 높은 열전도도를 구현하여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빠르게 방출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을 사용함으로써 버려지고 있는 굴껍질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과 탄소나노튜브를 조합함으로써,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요구되는 질소나 SF6 등의 가스의 투입 없이도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의 중량비(탄소나노튜브: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는 5:1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의 중량비가 상기 수치 범위 내를 만족할 때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요구되는 질소나 SF6 등의 가스의 투입 없이도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의 제조방법은 폐기 굴껍질을 800℃의 온도에서 항량이 되도록 가열하여 산화칼슘이 주성분인 소성 굴껍질을 제조하는 단계; 소성 굴껍질 1.4 g을 질산용액(60%) 5 cm3와 반응하여 완전히 녹이고 증류수로 묽히는 단계; 증류수로 묽혀진 용액을 거름종이로 걸러 미용해 입자를 제거한 후 전체 용액이 250 cm3 되도록 희석하여 0.1 M 질산칼슘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탄산나트륨 2.65 g을 증류수에 녹여 전체 용액이 250 cm3 되도록 희석하여 0.1 M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라이신 0.37 g(소성 굴껍질 몰수의 0.1배)을 증류수 100 cm3에 녹여 라이신 수용액을 만든 후 0.1 M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혼합하는 단계; 항온조에 담겨 있는 1000 cm3 비이커에 라이신이 첨가된 0.1 M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옮기는 단계; 회전교반기를 사용하여 내부를 600 rpm으로 교반하는 단계; 용액 온도가 20℃에 도달하면 항온조에 담가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같은 온도로 유지된 굴껍질 0.1 M 질산 용액 250 cm3을 혼합하는 단계; 탄산칼슘 입자의 생성을 확인하면서 반응을 1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 탄산칼슘 결정이 포함된 모액을 0.2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및 2차례 증류수로 세척한 후 60℃ 건조로에서 48 시간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탄산칼슘 결정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산칼슘 결정은 탄산칼슘 결정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바테라이트(Vaterite) 형 결정을 80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바테라이트(Vaterite) 형 결정은 크기가 가장 작고 원형이므로 분산성이 양호하며 조대 응집체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합금 조성물 내 소재의 분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산칼슘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25㎛, 2 내지 20㎛, 3 내지 15㎛, 5 내지 10㎛, 또는 6 내지 7㎛일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의 평균 입경이 상기 수치 범위 내를 만족함으로써, 합금 조성물 내 소재의 분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콜로이드 실버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도성을 높이고 전자파 차폐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콜로이드 실버(Colloidal silver)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콜로이드 실버는 직경 5 내지 15nm의 은 나노입자가 증류수 내에 분산된 현탁액(Suspension)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반적인 은 나노입자 대비 현탁액 상태의 콜로이드 실버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어떠한 약제와 반응을 하지 않고 단세포 미생물인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대한 강력한 살균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반적인 은 나노입자 대비 현탁액 상태의 콜로이드 실버를 사용함으로써, 조성물의 열전도도와 전자파 차폐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콜로이드 실버의 함량은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초과 3 이하 중량%, 1 내지 3 중량%, 1.5 내지 3 중량%, 2 내지 3 중량%, 2 내지 2.5 중량% 또는 2 내지 2.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콜로이드 실버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 미만일 경우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대한 강력한 살균력이 충분히 구현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수치 범위를 초과할 경우 조성물 내 분산성과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콜로이더 실버 내에 함유된 은의 농도는 1 내지 5ppm, 1 내지 4ppm, 2 내지 4 ppm, 3 내지 4ppm 또는 3 내지 3.5 ppm일 수 있다. 상기 콜로이더 실버 내에 함유된 은의 농도가 상기 수치 범위 내를 만족할 때,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대한 강력한 살균력이 충분히 구현됨과 동시에 조성물의 열전도도와 전자파 차폐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마그네슘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조성물은 상술한 조성을 제외한 나머지의 함량을 갖는 마그네슘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그네슘은 조성물의 비중을 낮추어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이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초과 50 이하 중량%, 10 내지 50 중량%, 15 내지 50 중량%, 20 내지 50 중량%, 25 내지 50 중량%, 30 내지 50 중량%, 30 내지 45 중량%, 30 내지 40 중량%, 또는 30 내지 3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바이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마그네슘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 내를 만족할 때, 바이오 조성물의 경량화가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상용되는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 캐스팅(Die casting)은 용융 금속을 강철 금형에 주입하는 공정으로 우수한 내식성, 높은 강도와 경도, 높은 열전도율, 높은 전기전도성과 높은 전자파 차폐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에는 상술한 조성으로 인해 질소 및/또는 SF6 등의 가스가 투입되는 단계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의 투입 공정이 생략되는 이점이 제공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2.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의 응용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전자파 차폐 장치, 생활용품, 파이프, 공기청정기, 욕실용품, 자외선차단 플라스틱 제품, 음식물처리운반통 및 주방용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청구대상은 상기 장치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조준비예 1: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의 제조]
굴껍질은 고성 지역의 굴 양식장에서 수집한 폐기 굴껍질이 사용되었다. 폐기 굴껍질의 화학성분은 Al2O3 0.26%, CaO 50.93%, MgO 1.13%, Na2O 0.15%, 강열 감량(Loss of ignition)은 47.53%이다. 상기 폐기 굴껍질을 800℃의 온도에서 항량이 되도록 가열하여 산화칼슘이 주성분인 소성 굴껍질을 제조하였다. 소성 굴껍질 1.4 g을 질산용액(60%) 5 cm3와 반응하여 완전히 녹이고 증류수로 묽혔다. 증류수로 묽혀진 용액을 거름종이로 걸러 미용해 입자를 제거한 후 전체 용액이 250 cm3 되도록 희석하여 0.1 M 질산칼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탄산나트륨 2.65 g을 증류수에 녹여 전체 용액이 250 cm3 되도록 희석하여 0.1 M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라이신 0.37 g(소성 굴껍질 몰수의 0.1배)을 증류수 100 cm3에 녹여 라이신 수용액을 만든 후 0.1 M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혼합하였다. 항온조에 담겨 있는 1000 cm3 비이커에 라이신이 첨가된 0.1 M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옮긴다. 회전교반기를 사용하여 내부를 6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용액 온도가 20℃에 도달하면 항온조에 담가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같은 온도로 유지된 굴껍질 0.1 M 질산 용액 250 cm3을 혼합하였다. 탄산칼슘 입자의 생성을 확인하면서 반응을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탄산칼슘 결정이 포함된 모액을 0.2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였다. 2차례 증류수로 세척한 후 60℃ 건조로에서 48 시간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평균입경이 6.8 μm인 탄산칼슘 결정을 제조하였다.
[제조준비예 2: 재활용 플라스틱의 제조]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폐기물을 1 내지 15nm의 크기로 분쇄한 분쇄물을 용융압출장치를 통해 200℃의 온도에서 직경 20 내지 30mm의 굵기로 용융 압출하였다. 상기 압출물을 냉각 롤을 통하여 냉각시킨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냉각수조에 20 내지 30초 동안 침지하였다. 이후 공기를 통해 냉각 공정을 거친 다음 1 내지 3mm의 크기로 분쇄된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따른 조성을 용해하여 용탕을 형성한 후, 다이 캐스팅(Die casting) 방법으로 상기 용탕을 금형에 고압으로 강제 주입하여 조성물을 주조하였다.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상기 용탕에 질소 및 SF6 가스를 주입하였지만, 비교예 3,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상기 용탕에 질소 및 SF6 가스를 주입하지 않았다.
구분
(단위: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Mg 35 35 35 35 35
재활용 플라스틱(제조준비예 2) 60 60 60 60 60
SWCNT1) 3 - 2.5 2.5 1
MWCNT2) - - - - 1
굴껍질 유래 CaCO3 3) - 3 0.5 0.5 1
콜로이드 실버5) 2 2 - 2 2
은 나노입자6) - - 2 - -
전체 합 100 100 100 100 100
1) 직경이 0.6 내지 2.0nm이고 길이가 2.0㎛인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2) 직경이 30 내지 50nm이고 길이가 4.3㎛인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3) 제조준비예 1

5) 은의 농도가 3ppm인 콜로이드 실버(Colloidal silver)
6) 평균입도가 80nm인 은 나노입자
[실험예: 조성물의 평가]
상기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 및 2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전자파 차폐율, 인장강도 및 열전도도를 하기의 측정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 내열성(열분해온도 T d )
상기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조성물로 각각 제조된 용기들의 내열성을 확인하기 위해, METTLER TOLEDO 社의 TGA/DSC 1를 사용하여 30℃내지 700℃의 온도 범위 및 20℃의 승온 속도에서 상기 용기의 전체 100 중량부 중 5 중량부가 분해되는 열분해온도를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2) 전자파 차폐율
상기 전자파 차폐율은 ASTM D 4935 시험규격에 따라 직경이 133 mm인 측정시료를 준비하고, 회로망분석기(Agilent N1996A Spectrum Analyzer, Agilent, USA)를 이용하여 30 MHz 내지 1 GHz 범위의 주파수 대역에서 dB 단위로 측정되었다.
3) 인장강도
만능재료시험기(Instron 5982)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4) 열전도도
열전도도는 ASTM D 5470 시험규격에 따라 가로 및 세로가 각각 50 mm인 정사각형 모양의 시편을 준비하고 W/m·K 단위로 측정되었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열분해온도(Td) 220 200 249 250 260
전자파 차폐율(dB) 103 90 107 120 130
인장강도(Mpa) 225 210 249 250 260
열전도도(W/m·K) 175 160 180 200 210
질소 및 SF6 가스 사용 여부 O O X X X
상기 표 2에서 탄소나노튜브와 탄산칼슘과의 조합 관점에서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및 2를 서로 비교하면,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 1 및 2 대비 탄산칼슘과 탄소나노튜브를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전자파 차폐율을 현저히 높임과 동시에 높은 열전도도를 구현하여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빠르게 방출하는 효과를 구현하며 고내열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 1 및 2 대비 탄산칼슘과 탄소나노튜브를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조성물의 인장강도를 높여 기계적 물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지만 탄산칼슘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은 조성물 내 소재의 분산성이 충분히 우수하지 못하여 응집체를 형성하는 문제점을 나타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예 1은 전자파 차폐율, 내열성, 인장강도 및 열전도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탄산칼슘을 포함하지만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는 조성물 내 소재의 분산성이 우수할 수는 있지만 탄소나노튜브의 부재로 인해 인강강도와 열전도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못하며, 내열성 및 전자파 차폐율도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 표 2에서 탄소나노튜브의 조성 관점에서 실시예 1 및 2를 비교하면,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조합하였을 때, 전자파 차폐율, 열전도도 및 인장강도 성능이 더욱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2에서 제조공정의 관점에서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및 2를 서로 비교하면,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과 탄소나노튜브를 조합함으로써,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요구되는 질소나 SF6 등의 가스의 투입 없이도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의 효율을 높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2에서 콜로이드 실버 및 은 나노입자의 조성 관점에서 비교예 3 및 실시예 1을 비교하면, 콜로이드 실버를 사용하는 실시예 1은 은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비교예 3 대비 전자파 차폐율이 더욱 높아지며 열전도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구현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험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과 탄소나노튜브를 조합함으로써, 조성물 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조성물의 전자파 차폐율을 현저히 높임과 동시에 조성물의 높은 열전도도를 구현하여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빠르게 방출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과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회수하고 버려지고 있는 굴껍질과 폐기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과 탄소나노튜브를 조합함으로써,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요구되는 질소나 SF6 등의 가스의 투입 없이도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재활용 플라스틱 0 초과 60 이하 중량%;
    탄소나노튜브 0 초과 5 이하 중량%;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 0 초과 5 이하 중량%;
    콜로이드 실버 0 초과 3 이하 중량%; 및
    나머지 마그네슘; 을 포함하고
    상기 콜로이드 실버는 직경 5 내지 15nm의 은 나노입자가 증류수 내에 분산된 현탁액인,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미드(Polyamides, PA),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PU),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인,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의 함량은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인,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굴껍질에서 유래된 탄산칼슘의 중량비는 5:1 내지 2:1인,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230004708A 2023-01-12 2023-01-12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102557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708A KR102557878B1 (ko) 2023-01-12 2023-01-12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708A KR102557878B1 (ko) 2023-01-12 2023-01-12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878B1 true KR102557878B1 (ko) 2023-07-21

Family

ID=8742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4708A KR102557878B1 (ko) 2023-01-12 2023-01-12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87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426A (ko) * 2006-07-03 2006-07-24 코카(주) 바이오 급이기
JP2010059278A (ja) * 2008-09-02 2010-03-18 Toyota Central R&D Labs Inc カーボンナノ複合体、それを用いた分散液および樹脂組成物、並びにカーボンナノ複合体の製造方法
KR101538492B1 (ko) * 2014-07-29 2015-07-23 최영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건축용 각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6086133A (ja) * 2014-10-28 2016-05-19 シヤチハタ株式会社 電波吸収材、並びにその電波吸収材を具備する電子機器、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車載レーダー装置
KR20210022829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이 있는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22267A (ko) * 2019-01-24 2021-10-08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무할로겐 열가소성 재활용품의 안정화 방법, 플라스틱 조성물, 안정화제 조성물 및 안정화제 조성물의 용도
JP2021172818A (ja) * 2020-04-28 2021-11-01 南亞塑膠工業股▲分▼有限公司Nan Ya Plastics Corporation 黒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49095A (ko) * 2019-03-26 2021-12-08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활용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안정화된 플라스틱 조성물, 성형 화합물 및 이로부터 생산된 성형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426A (ko) * 2006-07-03 2006-07-24 코카(주) 바이오 급이기
JP2010059278A (ja) * 2008-09-02 2010-03-18 Toyota Central R&D Labs Inc カーボンナノ複合体、それを用いた分散液および樹脂組成物、並びにカーボンナノ複合体の製造方法
KR101538492B1 (ko) * 2014-07-29 2015-07-23 최영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건축용 각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6086133A (ja) * 2014-10-28 2016-05-19 シヤチハタ株式会社 電波吸収材、並びにその電波吸収材を具備する電子機器、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車載レーダー装置
KR20210122267A (ko) * 2019-01-24 2021-10-08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무할로겐 열가소성 재활용품의 안정화 방법, 플라스틱 조성물, 안정화제 조성물 및 안정화제 조성물의 용도
KR20210149095A (ko) * 2019-03-26 2021-12-08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활용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 안정화된 플라스틱 조성물, 성형 화합물 및 이로부터 생산된 성형품
KR20210022829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이 있는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172818A (ja) * 2020-04-28 2021-11-01 南亞塑膠工業股▲分▼有限公司Nan Ya Plastics Corporation 黒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a et al. Multifunctional fireproof electromagnetic shielding polyurethane films with thermal management performance
Zhang et al. A facile approach to constructing efficiently segregated conductive networks in poly (lactic acid)/silver nanocomposites via silver plating on microfibers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JP6678999B2 (ja) 六方晶窒化ホウ素粉末、その製造方法、樹脂組成物及び樹脂シート
CN1181139C (zh) 树脂组合物和挠性印刷电路板
Wang et al. Controllable synthesis of uniform ZnO nanorods and their enhanced dielectric and absorption properties
WO2004010439A1 (ja) 導電性薄片状化合物及び導電性組成物
JP2019167521A (ja) 樹脂成形体
WO2015080524A1 (ko) 도전성 패턴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한 도전성 패턴 형성 방법과, 도전성 패턴을 갖는 수지 구조체
KR102557878B1 (ko)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JP6515181B2 (ja) 導電性パターン形成用組成物および導電性パターンを有する樹脂構造体
Lin et al. Multifunctional nanofibrillated cellulose/ZnO@ rGO composite films for thermal conductivity, electrical insulation, and antibacterial applications
JP4672125B2 (ja) 導電性板状チタニア及び導電性組成物
JP6496109B2 (ja) 電気絶縁性熱伝導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6245472A (ja) 電磁波吸収体
KR101621595B1 (ko) 열가소성 전자파 차폐 조성물, 탄소소재 강화된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
JP2001200096A (ja)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1742974B1 (ko) 전자파 차폐성과 흡수능을 갖는 고분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42973B1 (ko) 전자파흡수성과 열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4315761A (ja) 放熱体
KR101657338B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과 제조 방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
KR102585806B1 (ko) 탄산칼슘의 분산 원리를 이용한 Mg 고강도 경량 합금
KR102585807B1 (ko) 탄산칼슘의 분산원리, 그래핀 및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JP2013023581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シート材
JP6410675B2 (ja) 熱伝導性フィ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02659B1 (ko) 구리계 화합물 미립자가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 용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