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426A - 바이오 급이기 - Google Patents

바이오 급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426A
KR20060084426A KR1020060062809A KR20060062809A KR20060084426A KR 20060084426 A KR20060084426 A KR 20060084426A KR 1020060062809 A KR1020060062809 A KR 1020060062809A KR 20060062809 A KR20060062809 A KR 20060062809A KR 20060084426 A KR20060084426 A KR 20060084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colloidal
coating
silv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코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카(주) filed Critical 코카(주)
Priority to KR102006006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4426A/ko
Publication of KR2006008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에 사용되는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급이기는 스텐레스강 또는 플라스틱으로 재질로서, 원판, 사각 및 타원형 등의 급이기 밑면과 그 주위를 둘러싼 급이기 둘레부, 둘레부 내부를 따라 돼지가 각각 구분되게 먹을 수 있게 만든 칸막이들로 구성되되, 사료가 담기는 그릇 내면에는 테프론 코팅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이기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스텐레스강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급이기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되, 코팅층은 콜로이드 실버, 콜로이드 백금 또는 콜로이드 금과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급이기로서 급이기의 재질에 항균, 살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등이 발생되는 재료를 코팅함으로써 항상 위생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있게 되고 음이온,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바이오 급이기에 대한 것이다.
급이기, 테프론 코팅, 콜로이드 실버, 콜로이드 백금, 콜로이드 금, 바이오 급이기, 음이온, 원적외선, 살균효과

Description

바이오 급이기{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이오 급이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급이기 12 : 급이기 밑면
14 : 급이기 둘레부 20 : 칸막이
30 : 코팅층
일반적으로 가축들도 사료와 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급이기와 급수기가 있어야 한다. 급이기와 급수기는 주로 스테인리스강이나 플라스틱을 재료로 구조를 형성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가축들은 주로 배합사료를 섭취하게 되는데 배합사료에는 곡물, 분유, 당밀(설탕찌꺼기), 동물성지방(우지,돈지,어유)과 식물성 지방 등으로 혼합되어있다. 배합사료 원료들이 그러하다보니(주로 어린돼지들의 경우) 사료를 섭취할 때 급이기에 가축들이 흘리는 침과 입에 묻은 물등으로 사료가 용기에 올라붙게 된다. 용기 에 올라붙은 사료는 원료들의 점성으로 건조가 되면서 밀착되게 된다. 그것은 아스팔트에 붙은 껌을 떼어내는 것보다 더 어렵다. 그래도 이것을 청소하지 않으면 각종 대장균, 바이러스가 번식을 하게 되며 이를 섭취하게 되면 설사등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그래서 며칠에 한번씩 또는 매일 청소를 해주어야 하는데 그 숫자가 각 농장마다 몇십개에서 몇백개씩 되니, 보통 번거로운 것이 아니다.
돼지의 경우 모돈과 비육돈의 경우에 급이기는 주로 고정되어 있는데 마찬가지로 사료가 많이 올라붙는다.
그래서 꼭 세척을 해야 하는데 방법은 주로 큰 드럼통 같은 물통에 물을 가득 채운다음, 급이기를 담구어 몇 시간씩 불렸다가 고압세척기로 구석구석을 씻어내는 경우도 있고, 물걸레로 구석구석을 닦아내는 방법이 있는데 둘다 물을 많이 사용해야하고, 또 이것은 폐수로 흘려보내게 된다. 일손도 많이 들어가게 되며 폐수처리 비용도 만만치가 않다.
따라서, 상기 기술된 급이기에 붙은 사료를 세척하는데 있어 물의 자원낭비, 폐수량 증가, 인력소모등 여러 가지 불편한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급이기에 테프론 코팅을 함으로써 사료가 부착되지 않아 청소가 용이하고 때가 끼지 않아 청결이 항상 유지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어 하자발생율이 극히 적은 급이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종래의 급이기의 재질에 항균, 살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등이 발생되는 재료를 코팅함으로써 항상 위생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있게 되고 음이온, 원적외 선이 방사되는 급이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은 축사에 사용되는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급이기는 스텐레스강 또는 플라스틱으로 재질로서, 원판, 사각 및 타원형 등의 급이기 밑면과 그 주위를 둘러싼 급이기 둘레부, 둘레부 내부를 따라 돼지가 각각 구분되게 먹을 수 있게 만든 칸막이들로 구성되되, 사료가 담기는 그릇 내면에는 테프론 코팅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이기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에 사용되는 급이기의 코팅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이기 소재를 탈피하는 단계; 탈지액제거단계; 탈지액이 제거된 소재를 에칭하는 단계; 에칭에 사용된 탈청액을 제거하는 1차수세단계 및 2차 수세단계; 건조단계; 소재의 면을 코팅하는 단계; 코팅이 끝난 소재를 소성(燒成)하는 단계 ; 다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이기의 코팅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탈지액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수산화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이기의 코팅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에칭용 탈청액은 화학연마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이기의 코팅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스텐레스강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급이기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되, 코팅층은 콜로이드 실버와,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급이기이다.
상기 콜로이드 실버 대신에 콜로이드 백금 또는 콜로이드 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콜로이드 실버 대신에 황토, 벤토나이트, 제오라이트, 바이오 세라믹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테프론에는 거의 모든 물질이 달라붙지 않는다. 접착성이 아주 강한 재료의 경우에도 대부분 쉽게 분리된다. 테프론의 마찰계수는 부하, 미끄러지는 속도, 사용된 테프론 코팅 종류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0.05 내지 0.2. 정도이다.
테프론을 코팅한 표면은 물이나 기름이 잘 묻지 않기 때문에 청소가 용이하며 많은 경우 자동적으로 청결이 유지된다.
테프론 코팅은 최고 290℃ 까지 연속 사용이 가능하며 적절한 통풍조건하에서는 최고 315℃까지도 간헐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테프론은 광범위한 주파수대에 걸쳐 높은 절연성, 낮은 손실률 및 높은 표면 저항을 가지고 있다. 또한 특수 기술로서 도전성을 부여하여 정전기 방지용 코팅제도 있다.
테프론 코팅은 극히 낮은 온도에서도 물리적 특성을 잃지 않는다. 테프론은 일반적으로 화학적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급이기는 먼저 코팅을 하기 위한 소재입고단계를 갖는다. 소재는 주로 스텐레스강 또는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소재입고단계는 사양서와 사이즈 그리고 업체별 급이기의 코팅목적에 따라 분류한다. 다음단계는 탈지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기름성분을 제거한다.
탈지액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한다. 그 농도는 15 내지 20%이고 사용온도는 35 내지 45 ℃이다. 탈지 시간은 15 내지 20분이다. 탈지단계가 끝나면 탈지액을 제거한다. 수세액은 물을 사용한다. 탈지액의 사용온도는 20 내지 30℃이다. 그리고 그 시간은 1 내지 2분이다.
수세다음 단계는 에칭단계이다. 에칭은 녹과 스케일 등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에칭용 탈청액은 화학연마제를 사용한다. 그 농도는 5 내지 10%이다. 사용온도는 50 내지 60℃미며 사용시간은 3 내지 5분이다.
다시 탈청액을 제거하는 1차수세단계를 거친다. 앞 단계와 마찬가지로 수세액은 물이고 사용온도는 20 내지 30분이다.
다시 2차 수세단계를 거친다. 2차 수세단계는 1차 수세단계와 동일한 수세액과 사용온도 그리고 동일한 수세시간이다.
상기 2차수세가 끝나면 건조단계를 거친다. 건조단계는 열풍건조기등을 사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건조가 끝나면 다음 테프론 1차 코팅을 한다. 소재의 앞면에 코팅을 하는 것으로서 스프레이 타입으로 한다. 그 건조도막 두께는 15마이크론 이상이다.
1차 테프론 코팅이 완료되면 다시 180 내지 190℃에서 10분 정도 건조시킨다. 건조된 소재를 2차 코팅을 위해 냉각시킨다. 이때는 소재온도가 60 내지 70℃ 정도로 한다.
냉각이 끝난 소재는 다시 2차 코팅을 하게된다. 이때는 소재의 뒷면을 코팅한다. 그 건조도막 두께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15마이크론 이상이며 스프레이 타입 으로 한다.
2차코팅이 끝난 소재는 소성(燒成)을 한다. 이 경우 290℃ 정도에서 20분간 소성한다. 소성이 끝난 소재는 다시 냉각공정을 거친다. 이 단계에서는 자연냉각이나 에어팬을 이용한 강제냉각 방식을 이용한다. 그리고 냉각이 끝난 소재는 포장을 하며 코팅 표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게 개별포장이 필요하다.
한편 소재가 PP, PE와 같은 플라스틱류일 경우에도 소성 온도는 보다 저온이고 그 공정은 스텐레스강일때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급이기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은은 가장 강력한 자연 항생제이다.
은(銀)은 단세포 동물(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류 등)이 그들의 산소소화대사 작용을 하는 특수한 효소에 작용하여 무력화시킴으로써 균들이 질식케하거나 아사케 하는 촉매(Catalyst)제로, 대부분의 병균은 은 이온(Ag+)의 전기적 충격에 의하여 원형질이 파괴되거나 세포분열을 하는 생식 기관이 녹는다.
콜로이드 실버(은, Ag)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범용적인 항생재로서 세균을 비롯한 균류 및 바이러스 등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으면서도 부작용은 전혀 없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은이 극미세의 입자(1-100nm)로 분산되어진 콜로이드 실버 용액의 경우, 은 미립자가 쉽게 세포내로 침투하여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균류 등이 호흡할 때 필요한 효소의 기능을 정지시켜 질식시킴으로써 이들을 죽게 한다. 이는 은이 병균의 신진대사를 막아 살균함과 더불어 금속의 은이 방출하는 은의 전기적 부하가 병균의 생식 기능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일반 항생제의 경우 그 기능이 5-6 종류에 국한되는 데에 반해 콜로이드 은 은 박테리아, 곰팡이균 등은 물론 일반 항생제가 전혀 작용을 하지 않는 바이러스를 포함하여 약 650 여종의 각종 병원체에 대하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콜로이드 실버는 전기분해법, 액상환원법, grinding 등의 방법에 의해 물에 분산되어진 형태로 제조되어진다.
수분산의 경우 기존에는 주로 전기분해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는 순수한 은을 전기 분해를 통해 증류수의 물에 분산시켜 건강 보조식품으로 음용하거나 화장수 등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농도가 낮아 공업적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고농도의 나노 크기의 은이 분산된 콜로이드 실버가 선호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탁월한 효능을 지닌 콜로이드 은을 사용하기 위하여 주로 전기 분해에 의해 얻어진 부하를 지닌 순수한 은을 증류수에 분산시켜 얻어진 은용액을 음용하거나 미세 입자의 은이 함유되어진 비누, 화장수, 화장팩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은의 항균 효과성은 입자의 사이즈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입자의 사이즈가 감소함에 따라 항균성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은의 함량과 항균성과의 관계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균성이 비례적으고 증가하는데, 은은 귀금속 중의 하나로써 비교적 고가이므로 경제성을 갖기 위해서는 소량으로써도 큰 효과를 나타내어야 한다.
유기 용매에 분산된 실버 콜로이드는 polyol 공정을 사용하면 얻어질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다. 이 경우는 질산은 중의 은이온을 안정제가 포함된 에틸렌글리콜 용매하에서 120℃에서 reflux하여 얻어진 은미립자를 원심분리 등을 통해 분 리하여 얻은 다음 이를 알코올 용매에 분산시켜 평균 20∼30nm 분포를 갖는 은미립자가 분산된 콜로이드 실버를 제조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PVP 등의 안정제는 분산의 효과와 더불어 입자 크기를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백금은 어느 합성의약품보다 항균효과가 월등하다. 백금 나노 기술의 장점은 무게에 비해 부피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각 단위가 갖고 있는 에너지를 동일면적에 동일효과로 발생시킨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백금 1g를 나노 처리하면 180만 km의 선을 그을 수 있는 부피가 발생한다.
나노 금속의 가장 큰 장점은 전기적 특성은 물론 어떤 유기계 항균약품보다 탁월한 항균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실제 한국원사직물시험연구원의 연구결과, ml당 14만 마리의 세균이 함유된 물에 10ppm 농도로 20nm 크기의 금, 은,백금, 나노 분말을 투입했을 때 99.9% 이상의 항균력을 보인 것으로 증명됐으며, 이중에서도 나노 백금의 경우 어느 합성의약품보다도 항균, 탈취 효과가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노 백금도 1 내지 30 nm 크기의 나노 입자 분말형태, solution으로 생산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은 높은 항균력과 항곰팡이 및 살균 탈취효과 전기적 전도성 및 원적외선 방사율 등이 탁월하여 인체 친화상품에 적용되며 각종 산업재 연구용으로 활용되는데, 신경안정작용과 해독작용, 이온작용,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작용이 있다.
또한, 금은 일반적으로 마음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해독을 하는 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이 없고 산화 현상이 없다.
금속콜로이드의 제조방법은 이것을 대별하여 물리적방법과 화학적방법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물리적방법은 연소법으로 일컬어지는 방법으로, 연소법은 금속이온용액을 수소가스중 또는 인 등에 투입하여 환원반응을 발생시키고, 그후, 연소에 의해 가열하여 반응을 촉진시켜서, 생성된 금속미립자를 액체분산매 중에 받아들이고, 환원종료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금속콜로이드를 안정화시키는 처리를 하는 방법이다.
이것에 대하여, 화학적방법은 침전법(금속염 환원반응법)이라고도 불리며,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금속이온용액으로부터 금속산화물이나 금속의 침전을 생성시킨 후,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금속콜로이드를 얻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금속콜로이드로서 콜로이드 실버와 콜로이드 금과 콜로이드 백금을 사용하되, 이미 시중에 상기 콜로이드 실버와 콜로이드 금과 콜로이드 백금의 제법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황토는 아주 가는 모래가 모여 만들어진 흙으로 황토에는 탄산칼슘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쉽게 부서지지 않는다. 물을 섞으면 찰흙으로 변하는 것도 이 탄산칼슘 때문이다.
황토 입자의 크기는 0.02∼0.05mm 이며, 석영·장석·운모·방해석등 다양한 광물 입자로 구성되어 있고, 황토의 화학적 조성을 보면 SiO2 50∼60%, Al2O3 20∼30%, Fe2O3 5~10%, 기타(MgO, CaO, K2O, CuO, ZnO, TiO2) 5~10% 등이다.
한편 황토 한 스푼에는 약 2억 마리의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흔히들 황토를 일컬어 "살아 있는 생명체"라고 하는데, 이처럼 황토가 살아 있는 생명체라는 사실은 황토가 그만큼 인간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황토 속에 있는 이끼, 곰팡이, 방사균, 세균 등의 미생물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유기물은 식물의 영양공급원이 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약품으로도 활용된다.
또한 황토 속에는 다양한 효소들이 들어 있어서 순환작용을 하는데 그 몇 가지를 살펴보면 황토가 인간에게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이해할 수 있다.
우선 지표의 약 10%를 덮고 있는 황토는 다량의 탄산칼슘(CaCO3)을 가지고 있고 이 탄산칼슘에 의해 황토는 쉽게 부서지지 않는 점력을 지니게 되며 물을 가하면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다. 또한 황토는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철분, 마그네슘(Mg),나트륨(Na), 칼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성분비와 다양한 효소들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동·식물의 성장에 꼭 필요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므로 일명 황토를 살아있는 생명체라 부르는 것이다.
황토는 표면이 넓은 벌집구조로 수많은 공간이 복층구조를 이루고 있고 이 스폰지같은 구멍 안에는 원적외선이 다량흡수, 저장되어 있어 열을 받으면 발산하여 다른 물체의 분자활동을 자극한다. 즉 황토는 유수한 세월동안 태양에너지를 흡수해 온 규소성 광물로서 쉽게 말해 '태양에너지 저장고'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황토는 중국 대륙에서 수십만 년을 날아온 황사로 이루어져 있고, 황토의 효소 성분에는 카탈라아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의 4 가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효소들은 각기 독소 제거, 분해력, 비료 요소, 정화 작용의 역할을 하고 있다.
황토의 효소인 카탈라아제는 현재 흙의 효소 가운데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생물에게 독소를 제공하는 과산화수소를 제거하여 생물이 살아갈 적절한 토양 환경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인체 내에서 대사작용 과정 중 과산화지질이라는 독소가 발생하면 노화현상이 오게 되는데 양질의 황토 속에 몸을 넣고 있으면 흙의 강한 흡수력으로 체내 독소인 과산화지질이 중화·희석될 수 있으므로 황토는 인간에게 노화를 억제하고, 젊음을 유지시켜 주는 효능을 발휘한다.
황토의 효소 중 두 번째는 디페놀 옥시다아제로 이 또한 흙의 산화력, 분해력을 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황토의 효소 중 세 번째는 사카라제인데, 황토와 흑토를 비교 실험한 결과 황토가 흑토보다 사카라제 활성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고 한다. 그런데 황토를 벼나 보리농사에 써보았을 때 비료의 요소에 걸맞은 결과를 가져왔다. 우리나라에서 황토가 많은 남도 지방에서 벼나 보리농사를 많이 하는 것도 이와 관련이 깊다 하겠다.
황토의 효소 중 네 번째는 프로테아제로 이 프로테아제는 단백질 속의 질소가 무기화할 때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시키는 효소이다. 즉, 죽은 동물의 시체 속의 단백질이 포함하고 있는 질소가 가수분해를 거쳐 아미노산으조 무기질화하는 것과 같이 일종의 분해작용으로 흙 속을 정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따 라서 살아 있는 생물체의 경우에는 암이나 종기, 기타 부패한 세포를 흙 속의 효소인 프로테아제의 도움으로 분해시킬 수 있으며, 민간요법에서 곪은 상처나 체내의 독소 해독을 위해 황토를 활용하는 것도 이 같은 근거에서 나온 것이다.
이밖에도 황토 속에는 여러 효소가 있어 스스로 활동을 하며, 그 결과 인간에게 이로운 작용을 한다.
황토의 효능을 정리해 보면, 황토는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하고, 관절염, 근육통, 요통, 자율신경 실조증(교통사고 후유증)에 좋으며, 체내노폐물을 분해하고 자정능력이 있어 피부미용에 좋고, 체내독소를 제거하여 통증을 완화시킴은 물론, 염증을 제거하며 비세포(암)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고 마음을 진정시켜 심신을 튼튼하게 하는 등의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급이기 코팅층에 사용되는 제오라이트는 나트륨, 칼륨의 알칼리 금속과 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을 함유하고 또한 결정수를 함유한 알루미늄의 규산염 광물이며 그 종류는 매우 많으나 보편적으로 분포하는 것은 클리놉틸롤라이트와 모우더나이트의 2종류가 있다.
천연적으로 암석이나 점토로 산출되는 제오라이트는 응회암이 변질한 것이어서 합성 제오라이트에는 못 미치나 강력한 흡착, 흡장작용과 함께 염기치환용량을 가지고 있다. 이 교환작용은 수중에서 제오라이트가 전리하여 다른 전해질의 이온으로 치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모든 비석군은 침상, 주상, 능면체 및 추상이 많고 무색 또는 백색 때로는 연한 색을 띤다. 비중은 2∼2.4(2.7), 경도는 3.5∼5.5, 저온에서 용해가 가능하고 가열하면 쉽게 수분이 방출하나 그 속에는 비석수가 존재 한다.
천연 제오라이트는 가축용 사료의 첨가제로 사용하여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토양에 배합하여 농작물 수확을 높이고, 건축용 벽돌로 사용하여 계절의 변화에 관계없이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도 응용된다.
제오라이트의 구조는 Al2O3와 SiO2 사면체로 된 삼차원 입체구조이고, 구조내에 Pore와 Channel 등을 가지며 이온교환이 가능한 금속이온을 가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적 특성 때문에 수처리제, Molecular sieve, 촉매 및 촉매담체, 세제첨가제 등 응용적 용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급이기의 코팅층에 사용되는 벤토나이트는 태초지구 생성기에 화산 폭발로 인한 화산재와 용암 등이 오랜 세월 바다 속에 퇴적되어 있다가 지각변동에 의해 육지로 올라와서 생성된 광물로, 일명 몬모리노나이트 라고도 하는데 벤토나이트의 광범위한 명칭이다.
미국 FDA에서는 모든 벤토나이트(몬모리노나이트)는 GRAS 부문으로 분류하며 벤토나이트는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각종 질병(알레르기, 치주염, 식도의 연쇄상 구균, 위궤양, 메슥거림, 항문직장출혈, 설사, 말벌한테 쏘임, 무좀치료, 상처, 여드름, 부스럼, 여성의 효모균, 비듬, 어린이 발열, 가려움증 등)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피를 맑게 하며 신경계통의 스트레스를 덜어주어 신진대사의 촉진과 활력을 보강하며, 피부미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광물이다.
(1)환경친화, 안전하고 안정된 광물
무기질이기 때문에 유기질과 같이 썩지 않고, 열에도 강하며 약 700도까지 안정하다.
(2)팽윤성
벤토나이트는 매우 물에 친숙하고, 물을 접하면 물을 흡수해 젤리 상처럼 원래의 체적의 수배∼수십 배까지 부풀어 오르며, 또한 스스로 수중에 넣은 물을 저장하여 밖에 나오는 것을 막는다.
(3)흡수력
물은 물론, 기름·오물·냄새 등도 흡수할 수가 있다.
(4)Sol / Gel 형성능력
벤토나이트는 소량을 물에 첨가하는 것만으로 Sol을 만들 수 있는데, 이 Sol은 방치하면 Gel과 같이 굳어진다.
(5)얇은 막을 만들어 보호한다.
벤토나이트의 액은, 매끈매끈한 막을 만들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콜로이드 실버 용액은 실버가 50 내지 500 ppm 함량이 포함된 것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상기 콜로이드 실버와 접착성 수지의 혼합비율은 접착성 수지를 10g을 섞고 그 다음에 콜로이드 실버 용액을 5 g 정도를 섞는데, 그 이유는 실버가 500 ppm 함량이 포함된 콜로이드 실버를 사용할 경우, 혼합비율이 10% 이하로 미소할 때에는 원하는 효과가 미약하고 콜로이드 실버의 혼합비율이 70% 이상으로 많이 섞으면 제작경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급이기에 코팅층을 형성할 때 접착성 수지 성분에 콜로이 드 실버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콜로이드 실버 대신에 콜로이드 백금과 콜로이드 금을 접착성 수지 성분에 혼합하여 급이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도 콜로이드 실버를 섞어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그 제작방법에 관한 자세한 실시예는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접착성 수지 성분과의 혼합비율도 동일하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콜로이드 실버와 클로이드 백금과 콜로이드 금을 플라스틱 성분과 2종류 또는 3종류를 동시에 혼합하여 사출성형하여 급이기를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황토의 입자크기는 1000 메쉬에서 3000 메쉬가 적합하나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입자크기의 황토를 첨가하여 급이기 코팅층을 제작한다.
제오라이트와 벤토나이트도 1000 메쉬에서 3000 메쉬 정도의 입자크기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옥과 게르마늄과 맥반석 등의 인체에 유익한 세라믹인 바이오세라믹 입자를 첨가하여 급이기 코팅층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은의 나노 입자를 첨가하여 급이기 코팅층을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우유만 부어주는 용기와 급수기(Water Cup)도 가축의 입에서 떨어진 사료와 침등으로 급수기 내부 벽에 오염물질이 올라붙게 되고 항상 물이 바닥에 조금씩 고여 있기 때문에, 물이 부패되기 쉽다. 그래서 급이기와 같은 방법으로 코팅처리를 하여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축사용 급이기에 테프론 코팅을 함으로써 사료가 부착되지 않아 청소가 용이하고 때가 끼지 않아 청결이 항상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효율적인 코팅 공정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어 하자발생율이 극히 적게되어 제품의 제작원가가 낮아지고 제품의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급이기의 재질에 항균, 살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등이 발생되는 재료를 코팅함으로써 급이기의 상태가 항상 위생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있게 되고 음이온, 원적외선 등이 발산되어 가축에 이로운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급이기의 코팅방법에 있어서, 스텐레스강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면을 테프론 코팅하는 단계; 코팅이 끝난 소재를 소성(燒成)하는 단계 ; 다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이기의 코팅방법
  2.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급이기(10)는 스텐레스강 또는 플라스틱으로 재질로서, 원판의 급이기 밑면(12)과 그 주위를 둘러싼 급이기 둘레부(14), 둘레부 내부를 따라 돼지가 각각 구분되게 먹을 수 있게 만든 칸막이(20)들로 구성되되, 사료가 담기는 그릇 내면에는 테프론 코팅층(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이기
  3. 급이기에 있어서, 스텐레스강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급이기의 표면에는 코팅층(30)이 형성되되, 코팅층은 콜로이드 실버와,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급이기.
  4.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급이기는 플라스틱과 콜로이드 실버를 섞어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급이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콜로이드 실버 대신에 콜로이드 백금 또는 콜로이드 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급이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콜로이드 실버 대신에 황토, 벤토나이트, 제오라이트, 바이오 세라믹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급이기.
KR1020060062809A 2006-07-03 2006-07-03 바이오 급이기 KR20060084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809A KR20060084426A (ko) 2006-07-03 2006-07-03 바이오 급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809A KR20060084426A (ko) 2006-07-03 2006-07-03 바이오 급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426A true KR20060084426A (ko) 2006-07-24

Family

ID=3717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809A KR20060084426A (ko) 2006-07-03 2006-07-03 바이오 급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44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743B1 (ko) * 2007-05-18 2008-04-17 홍정표 애완동물용 자동먹이공급장치
KR102557878B1 (ko) * 2023-01-12 2023-07-21 (주)코리아마그네슘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743B1 (ko) * 2007-05-18 2008-04-17 홍정표 애완동물용 자동먹이공급장치
WO2008143425A1 (en) * 2007-05-18 2008-11-27 Jong-Pyo Ho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oviding pet with food
KR102557878B1 (ko) * 2023-01-12 2023-07-21 (주)코리아마그네슘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바이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47243B (zh) 纳米防火驱虫橱柜板材及其制造方法
KR101508438B1 (ko) 친환경 기능성 도배풀 조성물
CN1911042A (zh) 一种固态季铵盐消毒除臭组合物及制备方法
KR101184480B1 (ko)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항균생리대
CN108782305A (zh) 宠物清洁球
CN106894605A (zh) 纳米仿木地板及其制造方法
KR101237700B1 (ko) 탈취·제습·항균기능을 갖는 다기능성의 기공성 구상 소성체
KR19990012115A (ko) 황토, 불석 및 분쇄볏짚의 3성분함유 조성물 및 그 사용
KR20050106363A (ko) 바이오 의치
KR20060084426A (ko) 바이오 급이기
KR100807239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는 식음료 용기용 플라스틱수지 조성물
KR101246849B1 (ko) 미네랄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165053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702087B1 (ko) 티트리, 명반 및 맥반석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295706B1 (ko) 항균성 신발깔창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 신발깔창
KR101138285B1 (ko) 친환경 황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10342A (ko) 신체 기능 활성화용 볼 조성물
CN202051583U (zh) 食物农残净化装置
KR101941205B1 (ko) 팽창성 광물을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KR20050088526A (ko) 원적외선과 회전전자파를 동시에 방출하는 활성탄소합성물 및 그 활성탄소 합성물의 제조방법
KR100746694B1 (ko)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200326158Y1 (ko) 탄소성형체 패널을 이용한 침대
KR102593859B1 (ko)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식기
KR100808127B1 (ko) 생체 및 식물에 활성화 기능을 부여하는 무기물 소성체
KR102631662B1 (ko) 항균성 및 탈취성이 우수한 기능성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