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383B1 - 차량 첨단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첨단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383B1
KR102557383B1 KR1020220012308A KR20220012308A KR102557383B1 KR 102557383 B1 KR102557383 B1 KR 102557383B1 KR 1020220012308 A KR1020220012308 A KR 1020220012308A KR 20220012308 A KR20220012308 A KR 20220012308A KR 102557383 B1 KR102557383 B1 KR 102557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upport
center
wheel
install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남식
Original Assignee
고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남식 filed Critical 고남식
Priority to KR1020220012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4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 B60W50/045Monitoring control system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074Details, e.g. roller construction, vehicle restrai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경보시스템이나 차로 이탈경고시스템 등의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의 검사 시 정확도 높은 검사를 위해 차륜을 정렬하여 일렬로 배열시켜 주기 위한 차륜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면적을 갖는 지지패널(10);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중앙롤러 설치공간(21)이 형성되며, 중앙롤러 설치공간(21)의 전후방측에는 중앙롤러 설치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각각 일정 각도로 경사진 지지롤러 설치공간(23)이 형성된 롤러지지부(20); 상기 중앙롤러 설치공간(21)에 지면과 수평하게 측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 상태로 자유회동되도록 설치되고, 표면에 타이어의 하부가 접촉지지되는 중앙롤러(30); 상기 지지롤러 설치공간(23)에 일정 각도 경사지게 측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 상태로 자유회동되도록 설치되고, 표면에 타이어의 전방측과 후방측 표면이 접촉지지되는 지지롤러(40);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 중앙부에 이동수단(60)에 의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앙롤러(30)와 지지롤러(40)에 지지된 차륜의 측면을 가압하여 차륜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정렬시켜 주는 한 쌍의 정렬유도구(50);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 중앙부에 상기 정렬유도구(50)를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해 설치되는 이동수단(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지지부(20)에 설치된 상기 중앙롤러(30)와 지지롤러(40)는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첨단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Wheel position device for test of ADAS}
본 발명은 차량 충돌경보시스템이나 차로 이탈경고시스템 등의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의 검사 시 정확도 높은 검사를 위해 차륜을 정렬하여 일렬로 배열시켜 주기 위한 차륜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운전자의 주행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최근에는 차량의 전후방 주행상황을 감시하여 운전을 보조하도록 하는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이 장착되어 있다.
첨단운전보조시스템은 운전 중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을 차량이 스스로 인지하여 적절한 장치와 기능을 컨트롤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미처 대처하지 못하는 위험상황을 능동적으로 대처해주도록 하는 시스템이며, 차량 내부 및 외부는 물론 운전자의 상태까지 정확히 분석하는 카메라, 사물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다목적 센서, 비상 상황을 인식하는 네트워크 알고리즘 기술 등에 기반을 두고 있다.
첨단운전보조시스템에는 차량의 충돌경보 시스템, 자동비상브레이크 시스템(Automatic Emergency Brake, AEB),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Smart Cruise control, SCC) 및 차로 이탈 경고시스템(Lane Departure Warning, LDWS) 등이 포함된다.
첨단운전보조시스템의 정확도 높은 기능 수행을 위해, 차량 제조과정 또는 출고 후 검사과정에서 차량의 차륜을 정렬해 준 상태에서 레이더 및 센서 등의 설치상태 및 작동성능에 대해 점검 및 검사하게 된다.
종래에는 차량의 차륜 정렬을 위해 통상 차륜이 구동롤러 위에 안착되게 한 후 구동롤러를 구동시켜 정위치에 정렬시켜 주고 있다.
차륜 정렬을 위한 구조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4735호(스티어링휠 자동 조정 시스템 및 그 방법)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는 2개의 구동롤러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고, 2개의 구동롤러의 사이공간으로 차륜이 인입되어 타이어의 하부 전면과 후면 일부가 각각의 구동롤러에 접촉 지지된 상태로 차량이 위치되어 진다.
그러나 종래기술과 같이 차량 검사를 위해 구동롤러의 사이에 차륜이 지지되게 차량을 위치시키는 경우, 운전자가 차량을 정위치로 진입시켜야 주어야 함은 물론 핸들링을 통해 스티어링휠을 일렬로 배열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차량을 정위치에 정확하게 진입시켜 정렬시켜 주어야 하는데 사실상 정확한 위치에 진입시키는 것 자체가 어렵고 약간의 오차 발생시에는 첨단운전보조시스템의 성능에 상당한 영향에 미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는 결국 주행시 안전에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있는 요인이 된다.
또한, 종래에는 차륜이 구동롤러에 지지되어 그 사이에 위치될 경우, 차량이 실제 지면에 지지된 채로 주행하는 높이와 다르게 더 낮은 상태로 위치됨은 물론, 나아가 차량의 차륜 크기 즉, 휠 크기 및 장착된 타이어의 크기(직경)에 따라서도 차이가 발생됨에 따라 검사시 일정수치만큼의 오차가 발생되었으며, 검사시 이를 감안하여 대략적으로 수치보정을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정확하지 않음에 따라 오차발생으로 인한 첨단운전보조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차량 검사를 위해 차량을 정위치로 진입시키지 못한 경우라도 차륜을 정렬시켜 차량이 정위치에 위치되게 배열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검사당시의 차륜 높이와 실제 주행시의 차륜높이 간 오차발생을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0614호(2020.1.3. 차량 레이더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9400호(2020.2.27. 차량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차륜을 정렬하여 일렬로 배열되게 함으로써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의 검사 시 오차없이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여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차륜의 높이가 실제 지면에 지지된 채로 주행하는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함으로써 오차발생을 최소화 또는 없애줄 수 있도록 한 차량 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일정면적을 갖는 지지패널(10);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중앙롤러 설치공간(21)이 형성되며, 중앙롤러 설치공간(21)의 전후방측에는 중앙롤러 설치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각각 일정 각도로 경사진 지지롤러 설치공간(23)이 형성된 롤러지지부(20); 상기 중앙롤러 설치공간(21)에 지면과 수평하게 측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 상태로 자유회동되도록 설치되고, 표면에 타이어의 하부가 접촉지지되는 중앙롤러(30); 상기 지지롤러 설치공간(23)에 일정 각도 경사지게 측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 상태로 자유회동되도록 설치되고, 표면에 타이어의 전방측과 후방측 표면이 접촉지지되는 지지롤러(40);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 중앙부에 이동수단(60)에 의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앙롤러(30)와 지지롤러(40)에 지지된 차륜의 측면을 가압하여 차륜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정렬시켜 주는 한 쌍의 정렬유도구(50);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 중앙부에 상기 정렬유도구(50)를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해 설치되는 이동수단(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지지부(20)에 설치된 상기 중앙롤러(30)와 지지롤러(40)는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롤러(30)의 길이는 상기 지지롤러(40)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면서도 100㎜ 이내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롤러(40)의 경사각도는 40~55°의 각도범위에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수단(60)은,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 중앙부에 좌우측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61)과, 상기 안내레일(61)에 결속되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정렬유도구(50)가 설치된 제1이동판(63) 및 제2이동판(64)과, 상기 제1이동판(63)과 제2이동판(64)의 사이에 위치되고 중앙부가 상기 지지패널(10)에 회동축(65a)으로 결합되어 회동되게 설치되는 이동안내편(65)과, 상기 이동안내편(65)의 양단부와 좌우측에 설치된 제1이동판(63)과 제2이동판(64)의 일측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로드(67)와, 상기 제1이동판(63)과 제2이동판(64) 중 하나와 결합되어 제1이동판(63)과 제2이동판(64)을 이동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 또는 공압이나 유압으로 동작되는 실린더(68)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수단(60)의 동작에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이동수단(60)의 높이보다 더 돌출되게 커버 지지대(70)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60)의 상측에는 상기 커버 지지대(70)에 지지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60)과 정렬유도구(50)를 커버해주도록 상부커버(75)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부 좌우측에는 차륜 진입을 유도해주도록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일측 테두리부가 상기 롤러지지부(20)의 가장자리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진출입안내판(8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 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에 따르면, 차륜을 정렬하여 일렬로 배열시켜 줌으로써 오차없는 정확한 검사를 통해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그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발생을 줄이거나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차륜을 정렬하는 중앙롤러와 지지롤러가 측면방향에서 바라볼 경우 ''형태로 배열됨으로써 검사시 차륜의 크기에 변화가 있더라도 일정 범위내에서는 지지된 차륜의 위치가 실제 주행하는 위치와 동일하거나 그와 최대한 유사한 조건으로 검사할 수 있어 오차발생을 최소화 또는 없애줄 수 있게 되며, 오차로 인해 발생되는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의 성능저하 문제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의 평면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상측에 상부커버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롤러와 지지롤러가 설치된 롤러지지부의 발췌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롤러와 지지롤러가 설치된 롤러지지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롤러와 지지롤러에 안착 지지되는 차륜의 지지상태도,
도 6은 도 5의 차륜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차륜이 안착 지지되는 상태도.
도 7은 차량 운전보조시스템 검사를 위해 차량의 전륜을 본 발명의 차륜 정렬장치에 올려 안착시켜 놓은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는 지지패널(10), 롤러지지부(20), 중앙롤러(30), 지지롤러(40), 정렬유도구(50) 및 이동수단(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패널(10)는 일정 두께의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보강을 위해 바닥면에 복수개의 프레임이나 리브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패널(10)은 본 발명의 차륜 정렬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지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롤러지지부(20)의 전체적인 설치높이를 조절해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러지지부(20)는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부에는 중앙부와 전후방측에 각각 중앙롤러 설치공간(21)과 지지롤러 설치공간(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롤러지지부(20)는 지지패널(10)에 직접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높이조절볼트 등의 높이조절수단으로 고정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앙롤러 설치공간(21)과 지지롤러 설치공간(23)은 상기 중앙롤러와 지지롤러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각각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중앙롤러와 지지롤러가 배열되게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롤러지지부(20)의 중앙부(상부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중앙롤러 설치공간(21)은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롤러 설치공간(21)의 전후방측에 형성되는 지지롤러 설치공간(23)은 중앙롤러 설치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각각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롤러 설치공간(21)에는 복수개의 중앙롤러(30)가 측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설치되며, 지면과 수평하게 배열된 상태로 자유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롤러 설치공간(23)에는 복수개의 지지롤러(40)가 측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앙롤러(30)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자유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롤러지지부(20)에 설치된 상기 중앙롤러(30)와 지지롤러(40)는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중앙롤러(30)에는 타이어의 하부가 접촉되며, 상기 지지롤러(40)에는 타이어의 전방측과 후방측이 접촉된다.
따라서, 차량 검사를 위해 차륜이 롤러지지부(20)로 진입하게 되면, 타이어의 하부가 상기 중앙롤러(30)의 표면에 접촉 지지되고 타이어의 전방측과 후방측 표면이 지지롤러(40)에 지지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중앙롤러 설치공간(21)을 형성하여 중앙롤러를 지지롤러보다 낮게 설치한 이유는, 차량의 실제 주행시 엔진룸 등의 무게로 인해 타이어가 지면에 눌러지면서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차량의 뒤쪽에 비해 앞쪽이 약간 내려간 상태로 주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실제 주행시와 최대한 동일 유사한 조건으로 검사하기 위해 지지롤러의 사이에 지지롤러보다 낮게 중앙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중앙롤러에 타이어의 최하부 표면이 밀착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타이어의 최하부 표면이 중앙롤러에 지지된 상태로 차량의 첨단운전보조시스템을 검사하게 됨에 따라, 차량의 앞쪽 높이가 실제 주행시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최대한 근접되게 한 상태로 검사할 수 있게 있음으로써 오차발생을 최소화하여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타이어의 최하부 표면이 상기 중앙롤러에 지지된 상태에서 타이어의 전후방측이 지지롤러에 지지됨으로써 지지롤러가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차륜 정렬시 앞뒤로의 흔들림없이 원활하게 정렬시켜 줄 수 있게 되며, 특히 앞서 설명하였듯이 중앙롤러가 타이어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구조임에 따라 차량 검사시 차륜의 크기에 차이가 있더라도 일정범위내에서는 오차발생이 거의 없거나 최소화한 상태로 차량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로서, 15인치 휠을 갖는 소형차량의 차륜은 타이어의 하부가 중앙롤러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차량 하중에 의해 타이어 표면이 일정량 눌러진 후 타이어의 전후방측이 지지롤러의 표면에 일부 접촉되면서 지지되어 진다.
그리고 20인치 휠을 갖는 대형차량의 차륜은 15인치 휠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기 때문에 타이어의 하부가 중앙롤러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타이어의 전후방측이 지지롤러의 표면에도 함께 접촉되어 지며, 차량의 하중에 의해 타이어의 하부는 물론 전후방측 표면이 중앙롤러와 지지롤러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눌러져 지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휠의 크기에 차이가 있더라도 일정 범위내에서는 작은 크기의 휠이나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휠이라도 타이어의 하부가 중앙롤러에 접촉 지지된 상태로 지지롤러에 전후방측이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타이어의 최하부가 아래쪽으로 내려가거나 위쪽으로 올라가는 현상없이 타이어의 하부 접촉위치가 큰 차이없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본 발명에서 중앙롤러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절할 경우에 휠 크기별 차륜 위치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은 차이를 발생하게 된다.
예로서, 15인치 휠을 갖는 차륜은 중앙롤러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더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지고, 그 상태에서 타이어의 전후방측 표면이 지지롤러에 접촉된 상태로 차량의 하중에 의해 눌러져 지지됨으로써 중앙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더 아래쪽에 위치되어 진다.
이 경우, 차륜이 지면보다 많이 아래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실제 차량 주행시의 차륜 높이와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결국 그만큼의 오차발생으로 인해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의 성능에 문제가 발생되며, 자칫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 또한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20인치 휠을 갖는 차륜은 중앙롤러가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그 크기에 의해 타이어의 전후방측이 지지롤러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됨으로써 더 이상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대적으로 15인치 휠을 갖는 차륜에 비해 더 위쪽에 위치된 상태로 검사가 진행된다.
이 경우, 차륜의 최하부지점은 작은 휠을 갖는 차량보다 더 위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실제 차량의 주행시의 차륜 높이와 차이가 발생하여 결국 그만큼의 오차발생으로 인해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의 성능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중앙롤러가 존재할 경우에는 휠크기별 차륜의 최하부 위치가 비슷하고, 중앙롤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휠크기별 차륜의 최하부 위치가 달라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앙롤러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는 차륜 크기별로 각각 차륜 정렬장치를 제작하여야 오차발생을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며, 하나의 차륜 정렬장치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작업자 임의로 오차범위를 줄이도록 일정수치만큼 보정을 해주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롤러의 사이에 중앙롤러를 구비시켜 줌으로써 일정 범위내에서 차륜의 위치를 큰 오차발생 없이 지지시켜 준 상태로 차량의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을 검사할 수 있는 것이며, 검사시 발생되는 오차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륜 크기별 차륜 정렬장치를 각각 제작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작업자 임의로 일정수치만큼 보정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임의보정에 따라 발생되는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의 성능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중앙롤러(30)의 길이는 상기 지지롤러(40)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면서도 100㎜ 이내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롤러(40)의 경사각도는 40~55°의 각도범위에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롤러의 길이를 지지롤러보다 작고 100㎜ 이내의 길이로 형성하는 이유는, 중앙롤러의 길이가 너무 길면 차륜이 진입한 경우에 큰 휠은 그래도 크게 지장을 받지 않게 되나 작은 휠(예로서 15인치 휠)의 경우 중앙롤러에 지지된 상태로 차량 하중에 의해 눌러진다고 하더라도 타이어의 전후측방이 지지롤러에 지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지지롤러의 경사각도가 40°이내로 너무 완만하면 작은 휠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고, 경사각도가 55°를 초과하여 너무 급경사를 이루게 되면 큰 휠의 지지가 어려움은 물론 큰 휠을 갖는 차륜의 진입시 타이어의 하부가 중앙롤러에 접촉 지지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정렬유도구(50)는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부 중앙 양측에 한쌍이 구비되어 있고, 이동수단(60)에 의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간 폭이 좁아지거나 늘어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정렬유도구(50)는 이동수단(60)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롤러지지부(20)로 인입되어 중앙롤러(30)와 지지롤러(40)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차륜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반듯하게 일렬로 배열되도록 정렬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정렬유도구(50)는 차륜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차륜을 인위적으로 밀어주어 정렬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차륜을 구성하는 휠이나 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질이나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정렬유도구(50)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이동수단(60)은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정렬유도구(50)를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수단(60)은 안내레일(61)과, 제1이동판(63) 및 제2이동판(64)과, 이동안내편(65)과, 연결로드(67)와, 실린더(68)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레일(61)은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 중앙부에 좌우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이동판(63) 및 제2이동판(64)은 상기 안내레일(61)에 결속되어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는 것이고, 상부 일측에 상기 정렬유도구(5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편(65)은 상기 제1이동판(63)과 제2이동판(6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고, 중앙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2)에 회동축(65a)으로 결합되어 회동되게 설치되어 진다.
상기 연결로드(67)는 2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이동안내편(65)의 양단부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타단부는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이동판(63) 및 제2이동판(64)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로드(67)는 상기 이동안내편(65)과 상기 제1이동판(63) 및 제2이동판(64)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로드(67)에 의해 상기 제1이동판(63)과 제2이동판(64) 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게 되면 나머지 하나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68)는 공압 또는 유압동작되는 실린더로서, 로드 단부가 상기 제1이동판(63)과 제2이동판(64) 중 하나와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해당 이동판을 이동시켜 줌으로써 제1이동판(63)과 제2이동판(64)을 모두 이동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실린더(68)는 전동실린더 즉,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수단의 높이보다 더 높이 돌출되게 커버 지지대(70)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60)의 상측에는 이동수단을 커버해주기 위해 상기 커버 지지대(70)에 지지 고정되게 상부커버(75)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 지지대(70)는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이동수단(60)의 동작에 간섭되지 않은 복수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상부커버(75)는 커버 지지대(7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이동수단(60)과 정렬유도구(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해주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부 좌우측 전후방에는 각각 차량 진출입시 차륜의 진출입을 안내해주도록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진출입안내판(8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출입안내판(80)은 일측 테두리부가 상기 롤러지지부(20)의 가장자리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 검사를 위해 해당 검사위치에 차량이 진입하면, 진입된 차량의 차륜을 정렬하여 일렬로 배열시켜 줌으로써 오차없는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게 되며, 특히 차량검사시 차륜의 높이가 실제 주행하는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와 최대한 유사한 높이에 위치된 채로 검사함으로써 오차발생을 최소화 또는 없애주어 오차로 인해 발생되는 첨단운전보조시스템(ADAS)의 성능저하 문제를 없앨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발생을 줄이거나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 지지패널
20: 롤러지지부 21: 중앙롤러 설치공간
23: 지지롤러 설치공간 30: 중앙롤러
40: 지지롤러 50: 정렬유도구
60: 이동수단 61: 안내레일
63: 제1이동판 64: 제2이동판
65: 이동안내편 65a: 회동축
67: 연결로드 68: 실린더
70: 커버 지지대 75: 상부커버
80: 진출입안내판

Claims (4)

  1. 일정면적을 갖는 지지패널(10);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중앙롤러 설치공간(21)이 형성되며, 중앙롤러 설치공간(21)의 전후방측에는 중앙롤러 설치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각각 일정 각도로 경사진 지지롤러 설치공간(23)이 형성된 롤러지지부(20);
    상기 중앙롤러 설치공간(21)에 지면과 수평하게 측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 상태로 자유회동되도록 설치되고, 표면에 타이어의 하부가 접촉지지되는 중앙롤러(30);
    상기 지지롤러 설치공간(23)에 일정 각도 경사지게 측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 상태로 자유회동되도록 설치되고, 표면에 타이어의 전방측과 후방측 표면이 접촉지지되는 지지롤러(40);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 중앙부에 이동수단(60)에 의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앙롤러(30)와 지지롤러(40)에 지지된 차륜의 측면을 가압하여 차륜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정렬시켜 주는 한 쌍의 정렬유도구(50);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 중앙부에 상기 정렬유도구(50)를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해 설치되는 이동수단(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지지부(20)에 설치된 상기 중앙롤러(30)와 지지롤러(40)는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롤러(30)의 길이는 상기 지지롤러(40)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면서도 100㎜ 이내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롤러(40)의 경사각도는 40~55°의 각도범위에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60)은,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 중앙부에 좌우측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61)과,
    상기 안내레일(61)에 결속되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정렬유도구(50)가 설치된 제1이동판(63) 및 제2이동판(64)과,
    상기 제1이동판(63)과 제2이동판(64)의 사이에 위치되고 중앙부가 상기 지지패널(10)에 회동축(65a)으로 결합되어 회동되게 설치되는 이동안내편(65)과,
    상기 이동안내편(65)의 양단부와 좌우측에 설치된 제1이동판(63)과 제2이동판(64)의 일측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로드(67)와,
    상기 제1이동판(63)과 제2이동판(64) 중 하나와 결합되어 제1이동판(63)과 제2이동판(64)을 이동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 또는 공압이나 유압으로 동작되는 실린더(6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수단(60)의 동작에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이동수단(60)의 높이보다 더 돌출되게 커버 지지대(70)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60)의 상측에는 상기 커버 지지대(70)에 지지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60)과 정렬유도구(50)를 커버해주도록 상부커버(75)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패널(10)의 상부 좌우측에는 차륜 진입을 유도해주도록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일측 테두리부가 상기 롤러지지부(20)의 가장자리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진출입안내판(8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
KR1020220012308A 2022-01-27 2022-01-27 차량 첨단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 KR102557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308A KR102557383B1 (ko) 2022-01-27 2022-01-27 차량 첨단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308A KR102557383B1 (ko) 2022-01-27 2022-01-27 차량 첨단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383B1 true KR102557383B1 (ko) 2023-07-18

Family

ID=8742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308A KR102557383B1 (ko) 2022-01-27 2022-01-27 차량 첨단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3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650A (ko) * 2005-10-10 2007-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륜정렬장치
KR20190019400A (ko) 2017-08-17 2019-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0614A (ko) 2018-06-25 2020-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레이더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650A (ko) * 2005-10-10 2007-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륜정렬장치
KR20190019400A (ko) 2017-08-17 2019-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0614A (ko) 2018-06-25 2020-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레이더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336B1 (ko) 차량용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검사 장치
US6016695A (en) Tire uniformity testing system
US6354426B1 (en) Device for positioning vehicles standing on their own wheels in a manner which is suitable for automation and for vehicles of different types
EP2612109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ringerung eines keilfehlers
EP1655593B1 (en) Vehicle positioning apparatus
GB2522368B (en) Assembly method for vehicle body and assembly device for same
KR101648977B1 (ko) 특장차 적재함의 플로어 프레임 조립용 지그 장치
JP6280385B2 (ja) 自動車入庫装置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JPH05154522A (ja) 圧延スタンドの下部作動ロールの上縁を合わせる装置
KR102557383B1 (ko) 차량 첨단운전보조시스템 검사용 차륜 정렬장치
EP0685724A1 (en) Car stability measuring equipment and stability regulation method
JPH10180378A (ja) トランスファフィーダのリフト、クランプ装置
US4498243A (en) Motor vehicle centering system
KR102052135B1 (ko) 사이드 듀얼 그립퍼 구동방식의 θ축 얼라인 조정이 가능한 AOI 검사 장비
JPH09104543A (ja) 調整装置
CN220810912U (zh) 板材上料设备及钢结构生产线
JPH0920273A (ja) 車両検査装置
CN220765706U (zh) 钢结构生产线上料装置及钢结构生产线
KR102570929B1 (ko) 상하이동식 슬립바를 포함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테스터 장치
CN216104562U (zh) 一种消融线上料预定位机构
CN214444323U (zh) 履带输送定位装置
CN1050900C (zh) 一种测定机动车的铰链连接件间的间隙和测量转向角的装置
JP6678383B2 (ja) 車両検査装置
KR20150136871A (ko) 자동차 위치 결정을 위한 센터링 장치
JP2000061531A (ja) 歪矯正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