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974B1 - 유압기계 - Google Patents

유압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974B1
KR102554974B1 KR1020217003260A KR20217003260A KR102554974B1 KR 102554974 B1 KR102554974 B1 KR 102554974B1 KR 1020217003260 A KR1020217003260 A KR 1020217003260A KR 20217003260 A KR20217003260 A KR 20217003260A KR 102554974 B1 KR102554974 B1 KR 102554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line
neutral position
pilot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156A (ko
Inventor
전만석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1002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2Flow-dividers; Priority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39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two or more pumps with cross-as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2Systems using center bypass type changeover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5Pilot-operated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1/17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using two or mo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76Systems with pumps with multipl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15B2211/3056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 F15B2211/3059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having multiple valves for multiple output members
    • F15B2211/30595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having multiple valves for multiple output members with additional valves between the groups of valves for multiple outpu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2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329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55Pilot press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1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 F15B2211/7142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the output members being arranged in multipl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유압기계는, 제1유압원 및 제2유압원(33)과; 상기 제2유압원(33)과 소통되는 제1주행제어밸브(6) 및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와; 상기 제1유압원과 소통되고, 합류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유압원으로부터 온 유체가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로 흐르도록 하는 합류제어밸브(3)와; 상기 합류제어밸브(3)에 연결되는 제1신호라인(28)과; 상기 합류제어밸브(3)에 연결되는 제1파일럿라인(Pi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주행제어밸브(6)가 비중립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가 제1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신호라인(28) 내에 제1신호압력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신호압력은 상기 합류제어밸브(3)를 합류포지션으로 절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파일럿라인(Pi3) 내에 제1파일럿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1파일럿압력은 상기 합류제어밸브(3)를 상기 합류포지션으로 절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기계
본 개시물은 유압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류제어밸브를 갖는 유압기계에 관한 것이다.
유체의 압력을 공급하여 파워를 얻는 다양한 기계들이 건설 현장, 산업 현장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이러한 기계들은 압유(Pressurized Fluid)를 액츄에이터에 공급하고, 액츄에이터는 그 압유의 압력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유압기계에는,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원들이 복수 개가 제공되고, 각각의 유압원은 대응되는 액츄에이터들에 압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어떠한 유압기계에서는, 합류제어밸브를 두어, 합류제어밸브에 대응되는 유압원으로부터 공급된 압유를 다른 유압원에 대응되는 액츄에이터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압기계에서는, 상기 다른 유압원에 대응되는 둘 이상의 액츄에이터들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경우라도 이들 둘 이상의 액츄에이터들에 충분한 압유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물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압기계는 제1유압원 및 제2유압원과; 상기 제2유압원과 소통되는 제1주행제어밸브 및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와; 상기 제1유압원과 소통되고, 합류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유압원으로부터 온 유체가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로 흐르도록 하는 합류제어밸브와; 상기 합류제어밸브에 연결되는 제1신호라인과; 상기 합류제어밸브에 연결되는 제1파일럿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주행제어밸브가 비중립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가 제1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신호라인 내에 제1신호압력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신호압력은 상기 합류제어밸브를 합류포지션으로 절환시키고, 상기 제1파일럿라인 내에 제1파일럿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1파일럿압력은 상기 합류제어밸브를 상기 합류포지션으로 절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압기계의 유압회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압기계의 유압회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유압기계의 제1신호라인 내의 압력의 크기와 합류제어밸브의 절환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의 유압기계의 제1파일럿라인 내의 압력의 크기와 합류제어밸브의 절환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압기계의 유압회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물의 유압기계가 건설기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물의 유압기계는 유압을 이용하여 파워를 얻어 작업을 수행하는 다양한 기계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제1유압원(34) 및 제2유압원(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압원(34) 및 제2유압원(33)은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일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제2유압원(33)과 소통되는 제1주행제어밸브(6)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1주행제어밸브(6)는 중립포지션과 비중립포지션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비중립포지션은 2개의 비중립포지션들을 포함하고, 제1주행제어밸브(6)는 중립포지션과 상기 2개의 비중립포지션들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다. 제1주행제어밸브(6)는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2유압원(33)으로부터 온 압유를 탱크리턴라인(T1)을 통하여 탱크(미도시)로 귀환시킬 수 있다. 제1주행제어밸브(6)는 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2유압원(33)으로부터 온 압유를 주행액츄에이터(미도시)로 보내고, 주행액츄에이터로부터 온 압유를 탱크리턴라인(T1)을 통하여 탱크로 귀환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주행액츄에이터는 유압모터일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제2유압원(33)과 소통되는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는 중립포지션과 제1비중립포지션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는 중립포지션과 제1비중립포지션과 제2중립포지션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다.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가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는 제2유압원(33)으로부터 온 압유를 탱크리턴라인(T1)을 통하여 탱크로 귀환시킬 수 있다.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가 제1비중립포지션 또는 제2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는 제2유압원(33)으로부터 온 압유를 어태치먼트액츄에이터로 보내고, 어태치먼트액츄에이터로부터 온 압유를 탱크리턴라인(T1)을 통하여 탱크로 귀환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어태치먼트액츄에이터는 붐, 암, 버킷과 같은 어태치먼트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1주행제어밸브(6)가 중립포지션에 있고,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가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2유압원(33)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제1주행제어밸브(6) 및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뒤 탱크리턴라인(T1)을 통하여 탱크로 복귀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제1유압원(34)과 소통되는 합류제어밸브(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합류제어밸브(3)는 중립포지션과 비중립포지션인 합류포지션 사이에서 절환될 수 있다. 합류제어밸브(3)는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1유압원(34)으로부터 온 압유를 탱크리턴라인(T1)을 통하여 탱크로 귀환시킬 수 있다. 합류제어밸브(3)가 합류포지션에 있을 때, 합류제어밸브(3)는 제1유압원(34)으로부터 온 압유를 라인(19)를 통하여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합류제어밸브(3)에 연결되는 제1신호라인(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주행제어밸브(6)가 비중립포지션에 있고,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가 제1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1신호라인(28) 내에 제1신호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신호압력은 합류제어밸브(3)를 합류포지션으로 절환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합류제어밸브(3)에 연결되는 제1파일럿라인(Pi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파일럿라인(Pi3) 내에 제1파일럿압력이 형성되면, 제1파일럿압력은 합류제어밸브(3)를 합류포지션으로 절환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에 연결되는 제2파일럿라인(a3) 및 제3파일럿라인(b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파일럿라인(a3) 내에 제2파일럿압력이 형성되면, 제2파일럿압력은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를 제2비중립포지션으로 절환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2파일럿라인(a3)과 제1파일럿라인(Pi3)은 소통될 수 있다. 제3파일럿라인(b3) 내에 제3파일럿압력이 형성되면, 제3파일럿압력은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를 제1비중립포지션으로 절환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3파일럿라인(b3)과 제1파일럿라인(Pi3)은 소통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2 및 제3 파일럿라인(a3, b3)과 제1파일럿라인(Pi3)의 사이에는 체크 밸브가 개재되어, 제2 및 제3 파일럿라인(a3, b3)으로부터 제1파일럿라인(Pi3)으로의 일방향 흐름만이 허용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제1드레인라인(Dr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가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1신호라인(28)은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를 통하여 제1드레인라인(Dr4)과 소통되어 제1신호라인(28) 내에는 제1신호압력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가 제1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1신호라인(28)으로부터 제1드레인라인(Dr4)으로의 유체의 흐름은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가 제1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1드레인라인(Dr4)으로부터 제1신호라인(28)으로의 유체의 흐름은 허용될 수 있다.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가 제2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1신호라인(28)은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를 통하여 제1드레인라인(Dr4)과 소통되어 제1신호라인(28) 내에는 제1신호압력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보조밸브(22), 제2신호라인(13) 및 제2드레인라인(Dr2)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밸브(22)가 개방포지션에 있을 때, 제1신호라인(28)은 보조밸브(22)를 통하여 제2드레인라인(Dr2)과 소통되어, 제1신호라인(28) 내에는 제1신호압력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주행제어밸브(6)가 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2신호라인(13) 내에는 제2신호압력이 형성되고, 제2신호압력은 보조밸브(22)를 폐쇄포지션으로 절환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제3드레인라인(Dr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주행제어밸브(6)가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2신호라인(13)은 제1주행제어밸브(6)를 통하여 제3드레인라인(Dr3)과 소통되어, 제2신호라인(13) 내에는 제2신호압력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파일럿유압원(35)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일럿유압원(35)으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일부는 라인(25), 제2신호라인(13), 제1주행제어밸브(6) 및 제3드레인라인(Dr3)을 거쳐 탱크로 흐를 수 있다. 또한, 파일럿유압원(35)으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일부는 라인(25), 제1신호라인(28),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 및 제1드레인라인(Dr4)을 거쳐 탱크로 흐를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파일럿유압원(35)은 유압펌프일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합류제어밸브(3)에 연결되는 제4드레인라인(Dr1)을 포함할 수 있다.
탱크리턴라인(T1)에는 기본적으로 대유량 유체가 흐르고 또한 역류 방지 기능으로 인하여 탱크리턴라인(T1) 내에는 배압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1신호라인(28) 및 제2신호라인(13)이 탱크리턴라인(T1)과 소통되도록 구성된다면, 배압은 각종 센서의 오작동을 야기하고, 제1주행제어밸브(6) 및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 중 적어도 하나가 중립포지션에 있음에도 의도하지 않게 합류제어밸브(3)를 절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물의 어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신호라인(28) 및 제2신호라인(13)이 탱크리턴라인(T1)과 소통되는 대신, 제1드레인라인(Dr4), 제2드레인라인(Dr2) 및 제3드레인라인(Dr3)과 소통되게 구성함으로써, 탱크리턴라인(T1)의 배압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압기계의 유압회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제3유압원(32)과 제3유압원(32)과 소통되는 제2주행제어밸브(5)와 제2어태치먼트제어밸브(4)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와 제2어태치먼트제어밸브(4)가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1신호라인(28) 내의 유체는 제2어태치먼트제어밸브(4) 및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를 지나 상기 제1드레인라인(Dr4)으로 흐를 수 있다.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가 제1비중립포지션에 있거나, 및/또는 제2어태치먼트제어밸브(4)가 제3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1드레인라인(Dr4)과의 소통은 차단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1주행제어밸브(6)가 중립포지션에 있고, 제2주행제어밸브(5)가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2신호라인(13) 내의 유체는 제2주행제어밸브(5) 및 제1주행제어밸브(6)를 지나 제3드레인라인(Dr3)으로 흐를 수 있다. 제1주행제어밸브(6)가 비중립포지션에 있거나 및/또는 제2주행제어밸브(5)가 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2신호라인(13) 내에는 제2신호압력이 형성되고, 제2신호압력은 보조밸브(22)를 폐쇄포지션으로 절환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유압기계는 제2어태치먼트제어밸브(4)에 연결되는 파일럿라인(a7, b7)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일럿라인(a7, b7) 내에 파일럿압력이 형성되면, 파일럿압력은 제2어태치먼트제어밸브(4)를 비중립포지션으로 절환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파일럿라인(a7, b7)은 제1파일럿라인(Pi3)과 소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파일럿라인(a7, b7)과 제1파일럿라인(Pi3)의 사이에는 체크 밸브가 개재되어, 파일럿라인(a7, b7)으로부터 제1파일럿라인(Pi3)으로의 일방향 흐름만이 허용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2유압원(33)과 소통되는 제3어태치먼트제어밸브(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 제2어태치먼트제어밸브(4) 및 제3어태치먼트제어밸브(8)가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1신호라인(28) 내의 유체는 제2어태치먼트제어밸브(4),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7) 및 3어태치먼트제어밸브(8)를 지나 상기 제1드레인라인(Dr4)으로 흐를 수 있다. 제3어태치먼트제어밸브(8)가 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1신호라인(28)과 제1드레인라인(Dr4) 사이의 소통은 차단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비중립포지션은 두 개의 비중립포지션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일럿라인(a4) 또는 파일럿라인(b4) 내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어 제1주행제어밸브(6)가 비중립포지션에 있거나 및/또는 파일럿라인(a5) 또는 파일럿라인(b3) 내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어 제2주행제어밸브(5)가 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제3드레인라인(Dr3)으로의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어 제2신호라인(13) 내에는 제2신호압력이 형성되어 보조밸브(22)는 폐쇄포지션으로 절환된다. 보조밸브(22)가 폐쇄포지션에 있을 때, 파일럿라인(b3), 파일럿라인(a7) 및 파일럿라인(a2 또는 b2) 중 적어도 하나에 파일럿압력이 인가되면, 대응되는 어태치먼트제어밸브(7, 4, 8)는 비중립포지션으로 절환된다. 이때, 제1신호라인(28) 내에는 제1신호압력이 형성되어 합류제어밸브(3)를 합류포지션으로 절환시킬 수 있다. 반면, 파일럿라인(a3) 및/또는 파일럿라인(b7) 내에 파일럿압력이 형성되더라도, 유체는 제1드레인라인(Dr4)을 통하여 드레인 되므로, 제1신호압력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2의 유압기계의 제1신호라인(28) 내의 압력의 크기와 합류제어밸브(3)의 절환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도 2의 유압기계의 제1파일럿라인(Pi3) 내의 압력의 크기와 합류제어밸브(3)의 절환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신호라인(28) 내의 압력은 제3어태치먼트제어밸브(8) 및 제1주행제어밸브(6)의 절환에 따라 일시에 급격하게 상승하여 합류제어밸브(3)를 합류포지션으로 절환시킨다. 따라서, 제3어태치먼트제어밸브(8)에 대응되는 어태치먼트에 충격을 줄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제1파일럿라인(Pi3) 내의 압력은 운전자의 입력부(예컨대 조이스틱) 조작량에 따라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상승하여 어태치먼트에 충격이 야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4)

  1. 제1유압원 및 제2유압원과;
    상기 제2유압원과 소통되는 제1주행제어밸브 및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와;
    상기 제1유압원과 소통되고, 합류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유압원으로부터 온 유체가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로 흐르도록 하는 합류제어밸브와;
    상기 합류제어밸브에 연결되는 제1신호라인과;
    상기 합류제어밸브에 연결되는 제1파일럿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주행제어밸브가 비중립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가 제1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신호라인 내에 제1신호압력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신호압력은 상기 합류제어밸브를 합류포지션으로 절환시키고,
    상기 제1파일럿라인 내에 제1파일럿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1파일럿압력은 상기 합류제어밸브를 상기 합류포지션으로 절환시키고,
    제1드레인라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가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신호라인은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를 통하여 상기 제1드레인라인과 소통되는,
    유압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에 연결되는 제2파일럿라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2파일럿라인 내에 제2파일럿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2파일럿압력은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를 절환시키고,
    상기 제2파일럿라인과 상기 제1파일럿라인은 소통되는,
    유압기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가 상기 제1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신호라인으로부터 상기 제1드레인라인으로의 유체의 흐름은 차단되고,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가 제2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신호라인은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를 통하여 상기 제1드레인라인과 소통되는,
    유압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가 상기 제1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드레인라인으로부터 상기 제1신호라인으로의 유체의 흐름은 허용되는,
    유압기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에 연결되는 제2파일럿라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2파일럿라인 내에 제2파일럿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2파일럿압력은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를 상기 제2비중립포지션으로 절환시키고,
    상기 제2파일럿라인과 상기 제1파일럿라인은 소통되는,
    유압기계.
  7. 제1항에 있어서,
    보조밸브, 제2신호라인 및 제2드레인라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보조밸브가 개방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신호라인은 상기 보조밸브를 통하여 상기 제2드레인라인과 소통되고,
    상기 제1주행제어밸브가 상기 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2신호라인 내에는 제2신호압력이 형성되고, 상기 제2신호압력은 상기 보조밸브를 폐쇄포지션으로 절환시키는,
    유압기계.
  8. 제7항에 있어서,
    제3드레인라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주행제어밸브가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2신호라인은 상기 제1주행제어밸브를 통하여 상기 제3드레인라인과 소통되는,
    유압기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류제어밸브에 연결되는 제4드레인라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유압기계.
  10. 제1항에 있어서,
    탱크와 상기 탱크에 연결되는 탱크리턴라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주행제어밸브가 중립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가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2유압원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상기 제1주행제어밸브 및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뒤 상기 탱크리턴라인을 통하여 상기 탱크로 복귀하는,
    유압기계.
  11. 제1항에 있어서,
    제3유압원과;
    상기 제3유압원과 소통되는 제2주행제어밸브와 제2어태치먼트제어밸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유압기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와 상기 제2어태치먼트제어밸브가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신호라인 내의 유체는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와 상기 제2어태치먼트제어밸브를 지나 상기 제1드레인라인으로 흐르고,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가 상기 제1비중립포지션에 있거나, 및/또는 상기 제2어태치먼트제어밸브가 제3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드레인라인과의 소통은 차단되는,
    유압기계.
  13. 제11항에 있어서,
    보조밸브, 제2신호라인, 제2드레인라인 및 제3드레인라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보조밸브가 개방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신호라인은 상기 보조밸브를 통하여 상기 제2드레인라인과 소통되고,
    상기 제1주행제어밸브가 중립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2주행제어밸브가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2신호라인 내의 유체는 상기 제1주행제어밸브 및 상기 제2주행제어밸브를 지나 상기 제3드레인라인으로 흐르고,
    상기 제1주행제어밸브가 상기 비중립포지션에 있거나 및/또는 상기 제2주행제어밸브가 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2신호라인 내에는 제2신호압력이 형성되고, 상기 제2신호압력은 상기 보조밸브를 폐쇄포지션으로 절환시키는,
    유압기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압원과 소통되는 제3어태치먼트제어밸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가 중립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어태치먼트제어밸브가 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신호라인 내의 유체는 상기 제1어태치먼트제어밸브 및 상기 제3어태치먼트제어밸브를 지나 상기 제1드레인라인으로 흐르고,
    상기 제3어태치먼트제어밸브가 비중립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신호라인과 상기 제1드레인라인 사이의 소통은 차단되는,
    유압기계.
KR1020217003260A 2018-07-12 2018-07-12 유압기계 KR102554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7894 WO2020013358A1 (en) 2018-07-12 2018-07-12 Hydraulic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156A KR20210020156A (ko) 2021-02-23
KR102554974B1 true KR102554974B1 (ko) 2023-07-11

Family

ID=6914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260A KR102554974B1 (ko) 2018-07-12 2018-07-12 유압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71537B2 (ko)
EP (1) EP3821136B1 (ko)
KR (1) KR102554974B1 (ko)
CN (1) CN112469906B (ko)
WO (1) WO202001335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072B1 (ko) * 2005-12-28 2013-05-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복합동작 제어용 유압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846B2 (ja) * 1988-12-19 1995-10-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パワーショベルのサービス弁回路
US7559197B2 (en) * 2005-08-31 2009-07-14 Caterpillar Inc. Combiner valv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8607557B2 (en) * 2009-06-22 2013-12-17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excavator
EP2719902A4 (en) * 2011-06-09 2015-06-17 Volvo Constr Equip Ab HYDRAULIC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6015157B2 (ja) 2011-07-01 2016-10-2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KR101893611B1 (ko) 2011-12-28 2018-08-3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 주행 연비 절감 시스템
JP5859857B2 (ja) * 2012-01-20 2016-02-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2013249849A (ja) * 2012-05-30 2013-12-12 Kobe Steel Ltd 作業機械の油圧制御装置
JP2014122654A (ja) * 2012-12-20 2014-07-03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油圧回路
KR102156447B1 (ko) * 2014-04-21 2020-09-1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유압시스템
JP6671753B2 (ja) * 2016-04-01 2020-03-25 ヤンマー株式会社 油圧作業車の油圧回路
JP6732650B2 (ja) * 2016-12-22 2020-07-2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072B1 (ko) * 2005-12-28 2013-05-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복합동작 제어용 유압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1136A4 (en) 2022-02-16
EP3821136B1 (en) 2023-06-07
EP3821136C0 (en) 2023-06-07
WO2020013358A1 (en) 2020-01-16
CN112469906A (zh) 2021-03-09
US20210239141A1 (en) 2021-08-05
CN112469906B (zh) 2023-06-20
US11371537B2 (en) 2022-06-28
EP3821136A1 (en) 2021-05-19
KR20210020156A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6159B2 (ja) 油圧作業機の油圧駆動装置
KR970000247B1 (ko) 백호우장치의 유압회로구조
JP6231949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6676827B2 (ja) 作業機械
CN113677852B (zh) 液压机械
US10844886B2 (en) Hydraulic system
JP2013249954A (ja) 油圧制御ブロック、油圧システム及び油圧制御ブロックを備えた建設機械
JP6163138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KR101265342B1 (ko) 굴삭기의 수평 다림질 및 법면 작업성 개선장치
JP2021032314A (ja) 建設機械の油圧システム
EP3064654A1 (en) Flow control valve for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floating function
KR20110072719A (ko) 건설기계의 급선회 방지용 유압시스템
KR102554974B1 (ko) 유압기계
US11885099B2 (en) Drift-prevention valve device, blade device, and working machine
US20110083762A1 (en) Hydraulic system having a backpressure control valve
CA2893575C (en)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s
KR100701031B1 (ko) 굴삭기의 붐 비상 하강장치
KR100402231B1 (ko) 굴삭기의 옵션장치 유압제어회로
JP3244257B2 (ja) 作業機械の作業機制御回路
CN113677857B (zh) 液压机械
JP5934669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KR20230105387A (ko) 건설기계의 플로팅 제어 시스템
KR100412937B1 (ko) 중장비제어장치및방법
JP2014196662A (ja) 作業機械
IT201900005056A1 (it) Circuito idraulico di azionamento per macchina operatrice con articolazione meccanica dotata di funzione flott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