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912B1 - 구강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912B1
KR102554912B1 KR1020200108340A KR20200108340A KR102554912B1 KR 102554912 B1 KR102554912 B1 KR 102554912B1 KR 1020200108340 A KR1020200108340 A KR 1020200108340A KR 20200108340 A KR20200108340 A KR 20200108340A KR 102554912 B1 KR102554912 B1 KR 10255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djustment
bracket
support uni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149A (ko
Inventor
정일도
조인환
윤원상
임혜정
박진영
김어빈
Original Assignee
(주)큐라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라움 filed Critical (주)큐라움
Priority to PCT/KR2020/0115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40454A2/ko
Publication of KR2021002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2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장착되는 구강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장치는, 구강 장치에 있어서, 윗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상부 유닛;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상부 유닛와 맞물리는 하부 유닛;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조정 브래킷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정 브래킷의 슬라이딩량을 조정하여 상기 상부 유닛에 대한 상기 하부 유닛의 전방 이동량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이 맞닿으며,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제1 지지유닛; 및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에 맞닿으며,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유닛이 설치된 위치에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 장치{ORAL APPLIANCE}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장착되는 구강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면 중의 호흡장애는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수면호흡장애(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증상으로 코골이와 수면후호흡증이 있다.
이러한 코골이는 흡기시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흡기시 이러한 좁아진 부위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현상이며, 아울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인두벽과 기도 주위 연조직이 지나치게 이완되어 연조직이 인두벽과 밀접되어 상기도가 좁아짐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일부 차단되면서 기도가 일시적으로 막힘에 따라 공기가 폐에 일시적으로 흐르지 못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자주 깨는 것에 의하여 수면의 질이 저하되고, 반복적인 저 산소증에 의하여 낮에 만성적인 피로 증상과 만성 두통 증상을 보이며, 신경 인지적인 기능 장애를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많은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면무호흡증과 동맥성 고혈압, 관상 동맥 질환 사이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으며, 수면 무호흡 상태를 반복하다보면 혈액속에 저산소증을 초래하여 부정맥 및 심한 경우에는 심부전으로 돌연사에 이르는 불행한 경우도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소아의 코골이의 경우에는 성장 장애와 학습 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수면 중의 호흡장애 증상인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완화, 치료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호흡장치나 수술법에 의한 개선도 시도되고 있으나, 호흡장치는 그 장치의 설치 및 착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고 수술법은 고통이 따르며 항구적인 치료 결과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수면 중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강 장치들에 제시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하악 위치를 조정시키는 구강 장치의 조정 구성들이 사용자의 구강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상기 구강 장치에 음식물의 협착이 발생되거나 사용자가 과도하게 이물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구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을 하기 위해서는 수면 검사를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0463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구강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구강 환경에 조정 구성의 노출이 최소화되는 구강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구강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구강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구강 장치는, 구강 장치에 있어서, 윗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상부 유닛;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상부 유닛와 맞물리는 하부 유닛;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조정 브래킷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정 브래킷의 슬라이딩량을 조정하여 상기 상부 유닛에 대한 상기 하부 유닛의 전방 이동량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이 맞닿으며,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제1 지지유닛; 및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에 맞닿으며,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유닛이 설치된 위치에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은,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조정스크류 삽입홀이 형성되는 조정유닛 하우징과, 상기 조정 브래킷을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조정 스크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브래킷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측에는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조정 브래킷의 타측에는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정유닛측 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유닛측 가압면과 바라보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일부 부분에는, 조정유닛측 가압면과 평행하며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가압면이 접촉되는 지지유닛측 가압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브래킷은,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일측이 결합되는 조정 브래킷의 스크류 고정홀이 형성되는 조정 브래킷 몸체와, 상기 제1 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타측에는 나선이 형성되는 나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선부는 상기 조정 스크류 삽입홀에 나선 결합되고,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일측에는 상기 조정 브래킷의 상기 스크류 고정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연결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이 상기 조정 브래킷의 상기 스크류 고정홀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연결부보다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나선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 사이에는, 외주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의 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조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 고정홀은,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스크류 고정홀은,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일 측면으로 개구되며, 상기 스크류 고정홀에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회전연결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스토퍼부 및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일면과 이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은, 일측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재 삽입홈에 끼워지며, 타측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의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재 삽입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은,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정유닛 고정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유닛 고정브래킷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이 결합되는 제1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와, 상기 제1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제2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의 후방측 양 단부에는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의 몸체부를 기준으로 측면으로 돌출되는 조정유닛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은 상기 조정유닛 고정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상기 조정 브래킷 및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일부는 상기 조정유닛 고정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은,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외형을 형성되는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제2 지지 유닛 몸체를 각각 포함하고, 후방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일부가 접촉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조정유닛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지지유닛측 가압면이 형성되고, 전방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전면과, 상기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상면 사이에는 라운드 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유닛은, 구강의 상태와 수면상태 및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 유닛에는 상기 제1 지지 유닛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유닛은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의 유닛 몸체의 전방부에 매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 유닛은, 외형을 제2 지지 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며 제1 측면의 중앙에는 함몰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2 지지 유닛 몸체와,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배터리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수납공간 내벽에는 상기 배터리 캡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몸체측 가이드유닛 및 상기 배터리 캡부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캡부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캡부 몸체 및 상기 캡부 몸체의 내면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공간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측 가이드유닛에 회전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캡부측 가이드유닛 및 상기 잠금유닛이 걸리는 잠금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에 대하여 상기 배터리 캡부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캡부의 잠금 상태 또는 열림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캡부의 상기 캡부측 가이드유닛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몸체측 가이드 유닛의 단부와 접촉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배터리 캡부를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 측으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에 각각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 브래킷 및 제2 결합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은 체결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에 체결되며,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및 제2 결합브래킷의 일부가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에 매설되어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은,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이 결합되는 제1 결합 브래킷 몸체 및 제2 결합 브래킷 몸체와,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몸체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 몸체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매설되는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 및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와, 상기 제1 결합브래킷 고정부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브래킷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브래킷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또는 상기 제2 지지 유닛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유닛 또는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고정되는 돌출 고정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구강 장치의 상부 유닛에 대한 하부 유닛의 상대적인 이동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상부 유닛에 대한 하부 유닛의 전방 인출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강 장치의 상부 유닛 및 하부 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구강 장치의 하부 유닛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구강 장치의 제1 지지 유닛 및 제1 결합 브래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구강 장치의 제2 지지 유닛 및 제2 결합 브래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2 지지 유닛의 제2 지지 유닛 몸체 및 배터리 캡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도 8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의 구성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X-X 선도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을 이용한 조정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에 의하여 상부 유닛에 대한 하부 유닛의 이동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될 수 있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며,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인바,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실제 발명의 구현모습에 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구강 장치의 상부 유닛 및 하부 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구강 장치의 하부 유닛의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로, 사용자의 수면 상태 중,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구강에 착용하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구강 장치(1)는 상부 유닛(100)과, 상부 유닛(200)에 정합되는 하부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이 상호 간에 맞물리도록 조립한 다음, 상부 유닛(100)을 사용자의 상부 치아, 즉 윗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끼우고, 하부 유닛(100)은 사용자의 하부 치아, 즉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끼운다. 이때, 상부 유닛(100)에 대하여 하부 유닛(200)이 기설정된 길이만큼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정하면, 사용자의 하악이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과정에서,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유닛(200)이 상부 유닛(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는 거리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병변 상태(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발생 빈도) 등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사용자의 병변 상태, 예시적으로 코골이, 수면 무호흡 증 발생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한 종류(예시적으로, 음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수면 중 사용자의 병변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먼저 기설정된 제1 거리만큼, 하부 유닛(200)이 상부 유닛(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강 장치(1)를 착용하고 수면을 시작한다. 구강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이 발생되는 경우, 구강 장치(1)는 해당 병변의 발생 빈도를 기록하고, 실시간 또는 사용자의 착용이 종료된 상태에서, 상기 발생 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미도시)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사용자 또는 의료진은 상기 발생 빈도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부 유닛(200)이 상부 유닛(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를 상기 제1 거리 이외에 다른 거리로 변경하여, 상기 병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하부 유닛(200)이 전방 또는 후방 이동이 미세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상부 유닛(100)과, 하부 유닛(200)과,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과, 제1 지지 유닛(400)과, 제2 지지 유닛(500)과, 제1 결합 브래킷(600)과, 제2 결합 브래킷(700)과, 케이블 유닛(8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은 사용자의 치아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불편함 및 상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실리콘 등과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유닛(100)은 상부 유닛 몸체(110)를 포함하고, 상부 유닛 몸체(11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상부 치아에 대응되는 상부 치아 삽입 공간(111)이 형성된다.
하부 유닛(200)은,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상부 유닛(100)의 상부 유닛 몸체(110)와 맞물린다. 하부 유닛(200)은 사용자의 하부 치아에 대응되는 하부 유닛 몸체(210)를 포함하고, 하부 유닛 몸체(210)의 상면은 상부 유닛 몸체(110)의 하면이 맞닿으며, 하부 유닛몸체(210)의 하면에는 사용자의 하부 치아에 대응되는 하부 치아 삽입 공간(212) 이 형성된다. 하부 유닛 몸체(210)의 상면 및 상부 유닛 몸체(110)의 하면은 상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은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조정 브래킷(32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조정 브래킷(320)의 슬라이딩 량을 조정하여 상부 유닛(100)에 대한 하부 유닛(200)의 전방 이동량을 조정 가능하게 한다. 이때, 한 쌍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은 상부 유닛(100)의 후방 측에,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은 상부 유닛(100)의 후방 측 양 단부에 고정되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조정 브래킷(320)은 상부 유닛(100)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부 유닛(100)의 전방은 사용자의 어금니에서 앞니가 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부 유닛(100)은 후방 측 양 단부에 배치되며, 상부 유닛 몸체(110)를 기준으로 측면으로 돌출되며,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의 일부가 고정된 상태로 매설되는 조정유닛 고정부(12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제1 지지 유닛(400)에는, 구강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미도시)와 상기 센서부(미도시)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지지 유닛(400)은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 중 어느 하나의 조정 브래킷(320)의 일면이 맞닿으며,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 중 다른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유닛(200)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지지 유닛(500)에는, 제1 지지 유닛(400)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미도시)가 배치된다. 제2 지지 유닛(500)은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 중 다른 하나의 조정 브래킷(320)의 일면에 맞닿으며,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 중 다른 하나, 본 실싱예에서는 하부 유닛(200)측에 설치되고, 제1 지지 유닛(100)이 설치된 위치에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케이블 유닛(800)은, 제1 지지 유닛(400) 및 제2 지지 유닛(500)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며,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 중 다른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유닛(200)의 하부 유닛 몸체(210)의 전방부에 매설된다. 케이블 유닛(800)은 예시적으로 FPC(Flexible Printed Circuit) 케이블 일 수 있으며, 케이블 유닛(800)이 하부 유닛(200)에 매설된 상태로 제공됨에 따라서, 외력에 의한 파단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이 상부 유닛(100)에 배치되며, 제1 지지 유닛(400), 제2 지지 유닛(500) 및 케이블 유닛(800)이 하부 유닛(200)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이 하부 유닛(200)에 배치되며, 제1 지지 유닛(400), 제2 지지 유닛(500) 및 케이블 유닛(800)이 상부 유닛(100)에 배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1 지지 유닛(40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구강 장치의 제1 지지 유닛 및 제1 결합 브래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지지 유닛(400)은, 제1 지지 유닛(400)의 외형을 형성되는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와,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모듈 및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케이블 유닛(800)의 일단이 접속되는 제1 지지유닛측 기판(45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유닛(400)의 후방을 바라보는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의 후면에는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일부가 접촉되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지지유닛측 가압면(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을 바라보는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의 전면과,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의 상면 사이에는 라운드 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413)가 형성된다. 라운드부(413)의 곡률 반경은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의 다른 모서리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라운드부(413)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입 안에 접촉될 때, 사용자의 불편감을 최소화시키며 장기 착용에 대한 상해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제1 지지 유닛(410)을 하부 유닛(2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 브래킷(600)을 더 포함한다.
제1 지지 유닛(400)은 제1 체결유닛(미도시)에 의하여 제1 결합 브래킷(600)에 체결되며, 제1 결합 브래킷(600)의 일부가 하부 유닛(200)에 매설되어, 하부 유닛(200)에 결합된다.
제1 결합 브래킷(600)은, 제1 지지 유닛(400)이 결합되는 제1 결합 브래킷 몸체(620)와, 제1 결합 브래킷 몸체(620)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하부 유닛(200)에 매설되는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610)와, 제1 결합브래킷 고정부(6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브래킷(630, 640)들을 포함한다. 이때, 제1 결합 브래킷(600)의 제1 결합브래킷 몸체(620) 및 제1 결합브래킷 고정부(610)의 외형은 제1 지지 유닛(400)의 평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브래킷(630, 640)에는 적어도 하나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관통홀(631)이 형성된다. 즉, 실리콘 또는 레진 등과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 유닛(200)의 성형 과정에서, 하부 유닛(200)이 완전하게 굳기 전에, 하부 유닛(200)에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610) 및 연장브래킷(630, 640)이 매설된다. 이때, 연장브래킷(630, 640)의 관통홀(631)에 하부 유닛(200)을 형성하는 재료가 유입된 상태에서 굳어져, 제1 결합 브래킷(600)이 보다 견고하게 하부 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610)에는 제1 지지 유닛(400)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지지 유닛(400)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고정되는 돌출 한 쌍의 고정유닛(6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610)와 제1 지지 유닛(40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을 통하여 케이블 유닛(8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을 통하여 제1 지지 유닛(400)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유닛측 기판(450)의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발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 유닛 몸체(410)의 상기 전면의 테두리에는 케이블 유닛(800)의 일단이 제1 지지유닛측 기판(450)에 접속되기 위한 제1 케이블 접속부(418)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지지 유닛(400)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지지 유닛(5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구강 장치의 제2 지지 유닛 및 제2 결합 브래킷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2 지지 유닛의 제2 지지 유닛 몸체 및 배터리 캡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지지 유닛(500)은, 제2 지지 유닛(500)의 외형을 형성되는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와,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케이블 유닛(800)의 타단이 접속되는 제2 지지유닛측 기판(550)과, 제2 지지유닛측 기판(550)과 제2 지지 유닛 몸체(510) 사이에 수납되는 배터리 유닛(560)을 포함한다. 제2 지지 유닛(500)의 후방을 바라보는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후면에는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일부가 접촉되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제2 지지유닛측 가압면(511) 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을 바라보는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전면과,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상면 사이에는 라운드 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513)가 형성된다. 라운드부(513)의 곡률 반경은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다른 모서리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라운드부(513)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입 안에 접촉될 때, 사용자의 불편감을 최소화시키며 장기 착용에 대한 상해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제2 지지 유닛(500)을 하부 유닛(2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 브래킷(700)을 더 포함한다.
제2 지지 유닛(500)은 제2 체결유닛(미도시)에 의하여 제2 결합 브래킷(700) 에 체결되며, 제2 결합 브래킷(700)의 일부가 하부 유닛(200)에 매설되어, 하부 유닛(200)에 결합된다.
제2 결합 브래킷(700)은, 제2 지지 유닛(500)이 결합되는 제2 결합 브래킷 몸체(720)와, 제2 결합 브래킷 몸체(720)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하부 유닛(200)에 매설되는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710)와, 제2 결합브래킷 고정부(7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브래킷(730, 740)들을 포함한다. 이때, 제2 결합 브래킷(700)의 제2 결합브래킷 몸체(720) 및 제2 결합브래킷 고정부(710)의 외형은 제1 지지 유닛(500)의 평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브래킷(730, 740)에는 적어도 하나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관통홀(741) 이 형성된다. 즉, 실리콘 또는 레진 등과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 유닛(200)의 성형 과정에서, 하부 유닛(200)이 완전하게 굳기 전에, 하부 유닛(200)에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710) 및 연장브래킷(730, 740)이 매설된다. 이때, 연장브래킷(730, 740)의 관통홀에 하부 유닛(200)을 형성하는 재료가 유입된 상태에서 굳어져, 제1 결합 브래킷(700)이 보다 견고하게 하부 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 브래킷 몸체(720)와, 제2 결합 브래킷 몸체(72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단차에 의하여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710)와 제2 지지 유닛(50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을 통하여 케이블 유닛(8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을 통하여 제2 지지 유닛(500)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550)의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발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상기 전면의 테두리에는 케이블 유닛(800)의 타단이 접속되기 위한 제2 케이블 접속부(미도시)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유닛측 가압면(511)에는 연장브래킷(740)의 일부가 수용되는 함몰부(518)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 유닛(500)의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중앙에는 함몰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공간(520)이 형성되며, 제2 지지 유닛(500)은, 배터리 수납 공간(52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배터리 캡부(530)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 유닛(560)은 배터리 수납공간(520)에 수납되며, 배터리 수납공간(520)과 제2 결합 브래킷(700) 사이에는 제2 지지유닛측 기판(550)이 배치된다. 제2 지지유닛측 기판(550)의 일측은 제2 지지유닛측 몸체(510)에 고정되며 제2 지지유닛측 기판(550)의 타측은 제2 결합 브래킷(700)에 고정된다. 이때, 배터리 유닛(560)은 예시적으로 납작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수납공간(52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 캡부(530)는 배터리 수납공간(5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캡부(530)는 배터리 수납공간(520)에 배터리(미도시)가 삽입된 상태에서, 배터리 수납공간(520)을 외부에 대하여 차폐함으로써, 상기 배터리가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배터리 수납공간(520)에 배터리 캡부(530)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하여, 제2 지지 유닛(500)의 배면 측이 노출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 수납공간(520)을 둘러싸는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의 수납공간 내벽에는 배터리 캡부(530)의 결합을 제1 가이드하는 몸체측 가이드유닛(521) 및 제2 가이드 유닛(522)과, 배터리 캡부(53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유닛(523)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터리 캡부(530)는, 배터리 수납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캡부 몸체(531) 및 캡부 몸체(531)의 내면에서 배터리 수납공간(52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삽입부(532)를 포함한다.
삽입부(532)의 외면에는 제2 몸체측 가이드유닛(522)에 회전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캡부측 가이드유닛(535)과, 잠금유닛(523)이 걸리는 잠금홈(533)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에 대한 배터리 캡부(52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에 대한 배터리 캡부(520)의 잠금 상태 또는 열림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캡부측 가이드유닛(535)은 제2 몸체측 가이드 유닛(522)와 제1 몸체측 가이드 유닛(521)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몸체측 가이드 유닛(521) 및 제2 몸체측 가이드 유닛(522)이 제2 지지 유닛 몸체(510)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하나의 가이드 유닛 만이 설치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캡부(520)의 캡부측 가이드유닛(535)에는, 선택적으로 몸체측 가이드 유닛(522)의 단부와 접촉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배터리 캡부(530)를 제2 지지 유닛 몸체(510) 측으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부(534)가 형성된다. 즉, 배터리 캡부(530)가 제2 지지 유닛 몸체(510)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배터리 캡부(530)의 경사부(534)가 제1 몸체측 가이드 유닛(521) 또는 제2 몸체측 가이드 유닛(522)의 단부에 접촉되어, 회전 진행에 따라 배터리 캡부(530)가 제2 지지 유닛 몸체(510) 측으로부터 돌출, 즉 팝업(Pop-up)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배터리 캡부(520)를 제2 지지 유닛 몸체(5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강 장치(1)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은, 도 8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의 구성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의 X-X 선도에 따른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은, 상부 유닛(100) 및 하부 유닛(200) 중 어느 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 유닛(100),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조정스크류 삽입홀이 형성되는 조정유닛 하우징(310)과, 조정유닛 하우징(310)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정유닛 하우징(3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조정 브래킷(320)과, 조정 브래킷(320)을 조정유닛 하우징(310)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조정 스크류 유닛(34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조정 브래킷(320)의 일측에는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일측이 결합되며, 조정 브래킷(320)의 타측에는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정유닛측 가압면(322)이 형성된다. 조정유닛측 가압면(322)과 바라보는 제1 지지 유닛(400)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500)의 일부 부분에는, 조정유닛측 가압면(322)과 평행하며 적어도 일부에 제1 가압면이 접촉되는 지지유닛측 가압면(411, 511)이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유닛측 가압면(322) 및 지지 유닛측 가압면(411, 511)은 구강 장치(1)의 전방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다.
본 실시예에서, 조정유닛측 가압면(322) 및 지지 유닛측 가압면(411, 511) 서로 경사진 상태로 접촉됨에 따라, 보다 넓은 면적이 접촉되며, 조정 스크류 유닛(340)을 회전 시키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상부 유닛(100)에 대한 하부 유닛(200)의 전후방 이동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정 브래킷(320)은,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일측이 결합되는 조정 브래킷(320)의 스크류 고정홀(324)이 형성되는 조정 브래킷 몸체(321)와, 조정유닛측 가압면(322)이 형성되며 조정 브래킷 몸체(321)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328)를 포함한다. 이때, 가압부(328)는 조정 브래킷 몸체(321)의 중앙을 기준으로 편심됨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한편,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타측에는 나선이 형성되는 나선부(341)가 형성되며, 나선부(341)는 조정유닛 하우징(310)의 상기 조정 스크류 삽입홀에 나선 결합된다. 그리고,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일측에는 조정 브래킷(320)의 스크류 고정홀(324)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연결부(344)와, 회전연결부(344)의 단부에 형성되며 조정 스크류 유닛(340)이 조정 브래킷(320)의 스크류 고정홀(324)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연결부(344)보다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345)가 형성된다.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나선부(341) 및 회전연결부(344) 사이에는, 외주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의 조정홈(343)이 형성되고 나선부(341) 및 회전연결부(34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조정부(342)가 형성된다.
조정 브래킷(320)의 스크류 고정홀(324)은, 조정 브래킷 몸체(32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위치되며, 스크류 고정홀(324)은, 조정 브래킷 몸체(321)의 일 측면으로 개구된다. 스크류 고정홀(324)에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회전연결부(344)가 삽입된 상태에서,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스토퍼부(345) 및 조정부(342)는, 조정 브래킷 몸체(321)의 일면과 이면에 지지된다.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은, 한 쌍의 가이드부재(350) 및 조정유닛 고정브래킷(330)를 더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부재(350)는, 일측은 조정유닛 하우징(3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재 삽입홈에 끼워지며, 타측은 조정유닛 하우징(310)의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조정 브래킷(32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재 삽입홈(325) 에 끼워진다. 가이드부재(350)는 조정 스크류 유닛(34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350)가 조정 스크류 유닛(340)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하나의 가이드부재(350)가 설치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350)에는 별도의 나선이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부재(350)는 예시적으로 원통형상의 샤프트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정유닛 고정브래킷(330)은 상부 유닛(100)에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을 고정시킨다. 조정유닛 고정브래킷(330)은, 조정유닛 하우징(310)이 결합되는 제1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331)와, 제1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331)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홀(333)들이 형성되는 제2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332)를 포함한다. 조정유닛 고정브래킷(330)의 제2 조정 유닛 고정 브래킷 몸체(332)가 제1 조정유닛 고정 브래킷 몸체(331)에 비하여, 상부 유닛(100) 측으로 매몰되는 방향으로 위치됨으로써,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조정 브래킷(322)의 이동이 조정유닛 고정브래킷(330)에 의하여 간섭받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유닛(100)에는 조정유닛 고정부(120)가 형성되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조정유닛 하우징(310)은 조정유닛 고정부(120)의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의 조정 브래킷(320) 및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일부는 상부 유닛(100)의 조정유닛 고정부(1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즉,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에서 일부 만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에 이물질 간섭등이 발생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300)에 의하여 상부 유닛(100)에 대한 하부 유닛(200)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도 8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을 이용한 조정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8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에 의하여 상부 유닛에 대한 하부 유닛의 이동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1를 참조하면,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의 조정 유닛 하우징(310)에 대한 조정 브래킷(320)의 상대적인 인입/인출량을 조정하여, 상부 유닛(100)에 대한 하부 유닛(200)의 전방 이동량을 조정하는 경우, 노출된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조정부(342)에 형성된 조정홈(343)에 조정 수단(900)의 일단을 끼운다. 그리고, 원하는 길이만큼 조정 브래킷(320)을 조정유닛 하우징(310)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시키기 위하여, 조정 수단(900)을 이용하여 조정 스크류 유닛(34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조정 유닛 하우징(310)에 스크류 결합된 조정 스크류 유닛(34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조정 스크류 유닛(340)의 일단에 배치되는 조정 브래킷(32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12(A)를 참조하면,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300)의 조정 브래킷(320)의 조정유닛측 가압면(322)은, 제1 지지유닛(400)의 지지유닛측 가압면(411)과 맞닿은 상태로 배치된다.
그 다음, 도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정 스크류 유닛(340)을 회전시켜, 조정 브래킷(320)을 조정 유닛 하우징(310)으로부터 제1 거리(d1)만큼 인출 시키면, 하부 유닛(200)에 고정되는 제1 지지 유닛(400)이 조정 브래킷(320)에 의하여 가압되어, 하부 유닛(200)은 상부 유닛(100)에 대하여 제2 거리(d2) 만큼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는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1)는 스크류 회전을 이용하여, 상부 유닛(100)에 대한 하부 유닛(20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거리가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 유닛(100)에 대한 하부 유닛(200)의 전방 인출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 유닛(400)은 온도 및/또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며, 구강 장치(1)는 상기 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구강 장치(1)의 착용 상태, 사용자의 병변 발생 여부, 사용자의 수면 상태 등을 체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6)

  1. 구강 장치에 있어서,
    윗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상부 유닛;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상부 유닛와 맞물리는 하부 유닛;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조정 브래킷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정 브래킷의 슬라이딩량을 조정하여 상기 상부 유닛에 대한 상기 하부 유닛의 전방 이동량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이 맞닿으며,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제1 지지유닛; 및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에 맞닿으며,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유닛이 설치된 위치에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은,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조정스크류 삽입홀이 형성되는 조정유닛 하우징과, 상기 조정 브래킷을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조정 스크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브래킷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은,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정유닛 고정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유닛 고정브래킷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이 결합되는 제1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와, 상기 제1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제2 조정유닛 고정브래킷 몸체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측에는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조정 브래킷의 타측에는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정유닛측 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유닛측 가압면과 바라보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일부 부분에는, 상기 조정유닛측 가압면과 평행하며 적어도 일부에 상기 조정유닛측 가압면이 접촉되는 지지유닛측 가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브래킷은,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일측이 결합되는 조정 브래킷의 스크류 고정홀이 형성되는 조정 브래킷 몸체와, 상기 조정유닛측 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타측에는 나선이 형성되는 나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선부는 상기 조정 스크류 삽입홀에 나선 결합되고,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일측에는 상기 조정 브래킷의 상기 스크류 고정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연결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이 상기 조정 브래킷의 상기 스크류 고정홀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연결부보다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나선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 사이에는, 외주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의 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조정부가 형성되는 구강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고정홀은,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스크류 고정홀은,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일 측면으로 개구되며,
    상기 스크류 고정홀에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회전연결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상기 스토퍼부 및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정 브래킷 몸체의 일면과 이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은, 일측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재 삽입홈에 끼워지며, 타측은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의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재 삽입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강 장치.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의 후방측 양 단부에는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의 몸체부를 기준으로 측면으로 돌출되는 조정유닛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상기 조정유닛 하우징은 상기 조정유닛 고정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상기 조정 브래킷 및 상기 조정 스크류 유닛의 일부는 상기 조정유닛 고정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강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은,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외형을 형성되는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제2 지지 유닛 몸체를 각각 포함하고,
    후방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일부가 접촉되며, 상기 전후방 이동량조정유닛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지지유닛측 가압면이 형성되고,
    전방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전면과, 상기 제1 지지 유닛 몸체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상면 사이에는 라운드 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11. 구강 장치에 있어서,
    윗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상부 유닛;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상부 유닛와 맞물리는 하부 유닛;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조정 브래킷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정 브래킷의 슬라이딩량을 조정하여 상기 상부 유닛에 대한 상기 하부 유닛의 전방 이동량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이 맞닿으며,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제1 지지유닛; 및
    상기 전후방 이동량 조정유닛의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조정 브래킷의 일면에 맞닿으며,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유닛이 설치된 위치에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유닛에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구강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 유닛에는 상기 제1 지지 유닛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유닛은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다른 하나의 유닛 몸체의 전방부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유닛은, 제2 지지 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며 제1 측면의 중앙에는 함몰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2 지지 유닛 몸체와,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배터리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수납공간을 둘러싸는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의 수납공간 내벽에는 상기 배터리 캡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몸체측 가이드유닛 및 상기 배터리 캡부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캡부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캡부 몸체 및 상기 캡부 몸체의 내면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공간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측 가이드유닛에 회전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캡부측 가이드유닛 및 상기 잠금유닛이 걸리는 잠금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에 대하여 상기 배터리 캡부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에 대한 상기 배터리 캡부의 잠금 상태 또는 열림 상태가 결정되는 구강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캡부의 상기 캡부측 가이드유닛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몸체측 가이드 유닛의 단부와 접촉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배터리 캡부를 상기 제2 지지 유닛 몸체 측으로부터 탈거시키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에 각각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 브래킷 및 제2 결합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은 체결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에 체결되며,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및 제2 결합브래킷의 일부가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에 매설되어 상기 상부 유닛 또는 상기 하부 유닛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은, 상기 제1 지지 유닛 및 상기 제2 지지 유닛이 결합되는 제1 결합 브래킷 몸체 및 제2 결합 브래킷 몸체와,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몸체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 몸체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유닛 및 상기 하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매설되는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 및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와, 상기 제1 결합브래킷 고정부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브래킷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브래킷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고정부 및 상기 제2 결합 브래킷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지지 유닛 또는 상기 제2 지지 유닛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유닛 또는 상기 제2 지지 유닛을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고정되는 돌출 고정유닛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장치.
KR1020200108340A 2019-08-29 2020-08-27 구강 장치 KR102554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1540 WO2021040454A2 (ko) 2019-08-29 2020-08-28 구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19 2019-08-29
KR20190106719 2019-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149A KR20210027149A (ko) 2021-03-10
KR102554912B1 true KR102554912B1 (ko) 2023-07-13

Family

ID=7514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340A KR102554912B1 (ko) 2019-08-29 2020-08-27 구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9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576B1 (ko) 2011-09-14 2013-06-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CN104825268A (zh) 2015-06-05 2015-08-12 吴东轶 一种抑制打鼾的口腔设备
KR101722640B1 (ko) 2015-10-13 2017-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악 전진 장치
CN207562030U (zh) * 2017-03-08 2018-07-03 邹孟真 止鼾牙套
CN208677687U (zh) 2018-02-27 2019-04-02 谢静钗 止鼾牙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463B1 (ko) 2008-12-04 2011-11-04 정진우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576B1 (ko) 2011-09-14 2013-06-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CN104825268A (zh) 2015-06-05 2015-08-12 吴东轶 一种抑制打鼾的口腔设备
KR101722640B1 (ko) 2015-10-13 2017-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악 전진 장치
CN207562030U (zh) * 2017-03-08 2018-07-03 邹孟真 止鼾牙套
CN208677687U (zh) 2018-02-27 2019-04-02 谢静钗 止鼾牙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149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6744B2 (en) Device for moving lower jaw forward
RU27035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вижения вперед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и способ и комплек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EP2091476B1 (en)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EP2988812B1 (en) Patient interface device
KR101080463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JP5026797B2 (ja) 下顎の下に支持される患者界面装置組立体
EP2359888A1 (en) Fitting tool for use in wearing breathing mask, and breathing mask
KR10178209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US20210093236A1 (en) Monitoring blood oxygen saturation levels of a patient interface
KR102053985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기구
JP2015523185A (ja) いびき防止装置
US20170273819A1 (en) Temporomandibular joint correction apparatus with exchangeable adjustor
EP3773156A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with spaced apart sets of electrical components
US20220117777A1 (en) Sleep monitoring device
KR102554912B1 (ko) 구강 장치
US20160354231A1 (en) Device and system for improved breathing
JP6431192B2 (ja) フレーム/ヘッドギアの調節組立体
JP5834162B2 (ja) 関節接合する前額部パッド取り付け具を有する患者インターフェイスシステム
JP7145939B2 (ja) カスタマイズ可能なマスク及びそのサイズを合わせる方法
US20220331065A1 (en) Sleep apnea and anti-snoring system
KR101959537B1 (ko)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WO2021040454A2 (ko) 구강 장치
KR20200104274A (ko) 의료용 기도유지기
KR102170497B1 (ko) 양압기용 마스크
US20240099877A1 (en) Tongue stabilization device with frontal stabi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