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497B1 - 양압기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양압기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497B1
KR102170497B1 KR1020180143767A KR20180143767A KR102170497B1 KR 102170497 B1 KR102170497 B1 KR 102170497B1 KR 1020180143767 A KR1020180143767 A KR 1020180143767A KR 20180143767 A KR20180143767 A KR 20180143767A KR 102170497 B1 KR102170497 B1 KR 102170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ask
nose
coupled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8985A (ko
Inventor
김돈한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Priority to KR102018014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4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05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 A61M16/0616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with face sealing means comprising a flap or membrane projecting inwards, such that sealing increases with increasing inhalation gas pressure
    • A61M16/0622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with face sealing means comprising a flap or membrane projecting inwards, such that sealing increases with increasing inhalation gas pressure having an underlying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66Nasal cannulas or tu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83Holding devic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의 주변으로 복수개의 배기홀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삽입홀에 관통 삽입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단턱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되는 안착부재가 일체를 이루되, 중앙에는 중공의 공기 유입홀이 형성된 회전 커넥터; 상기 회전 커넥터와 결합되며, 공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홀로 안내하는 앵글 커넥터; 전부에는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는 결속부재가 구비되고, 후부에는 사용자의 콧방울 경계라인에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되되, 상기 밀착면은 사용자의 콧방울과 대응되는 입체 형상을 이루며 사용자의 콧방울을 감싸는 입체면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체면에는 상기 공기 유입홀로 공급된 공기를 비강으로 안내하는 비강 안내홀이 형성된 비강호스가 구비된 마스크 쿠션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며, 상기 마스크 쿠션부를 사용자의 콧방울에 밀착 지지하는 탄성 스트랩; 및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탄성 스트랩에 형성된 절개선을 통해 상기 탄성 스트랩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 스트랩을 지지 고정하는 스트랩 고정부를 포함하는 양압기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압기용 마스크{POSITIVE AIRWAY PRESSURE MASK}
본 발명은 양압기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고, 구조가 단순한 양압기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주로 유전적인 요인, 비만 등 다양한 이유로 수면 중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혀 호흡이 어려울 수 있는 코골이 환자나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증상을 가진 환자는 양압 치료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양압 치료는 코를 감싸고 있는 마스크로 공기를 공급하고, 마스크로 공급된 공기는 환자의 목구멍으로 불어 넣어짐으로써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양압 치료에는 크게 지속 양압(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치료, 이중 양압(BiPAP, Bi-Level Positive Airway Pressure) 치료 및 자동 양압(APAP, Automatic Positive Airway Pressure) 치료 등이 있다.
지속 양압 치료는 일정 압력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불어넣어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억제하는 치료로, 이러한 지속 양압 치료는 들숨과 날숨에 관계없이 동일한 공기 압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중 양압 치료는 들숨 시의 압력과 날숨 시의 압력을 각각 설정하고, 들숨과 날숨시 설정된 공기 압력을 불어넣어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억제하는 치료이다.
자동 양압 치료는 호흡을 할 때마다 센서로 감지하여, 설정된 압력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압력 조정이 이루어지며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억제하는 치료이다. 이러한 자동 양압 치료는 기도가 충분히 확보되면 최소 공기 압력을 유지하고,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면 최대 공기 압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양압기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는 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마스크를 통해 기도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양압기용 마스크는 환자의 코를 비롯한 얼굴의 다양한 부위에도 함께 접촉되는 구조로, 마스크 착용에 불편함이 있다. 즉, 양압기용 마스크와 환자 얼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면 넓어질수록 사용자의 불편함은 커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양압기용 마스크는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및 분해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양압기용 마스크의 세척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착용상 불편함을 줄이고,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조립이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양압기용 마스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100485호(2008.11.1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조립이 간편하고, 구조가 단순한 양압기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의 주변으로 복수개의 배기홀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삽입홀에 관통 삽입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단턱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되는 안착부재가 일체를 이루되, 중앙에는 중공의 공기 유입홀이 형성된 회전 커넥터; 상기 회전 커넥터와 결합되며, 공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홀로 안내하는 앵글 커넥터; 전부에는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는 결속부재가 구비되고, 후부에는 사용자의 콧방울 경계라인에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되되, 상기 밀착면은 사용자의 콧방울과 대응되는 입체 형상을 이루며 사용자의 콧방울을 감싸는 입체면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체면에는 상기 공기 유입홀로 공급된 공기를 비강으로 안내하는 비강 안내홀이 형성된 비강호스가 구비된 마스크 쿠션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며, 상기 마스크 쿠션부를 사용자의 콧방울에 밀착 지지하는 탄성 스트랩; 및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탄성 스트랩에 형성된 절개선을 통해 상기 탄성 스트랩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 스트랩을 지지 고정하는 스트랩 고정부를 포함하는 양압기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안착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 회전 커넥터 및 앵글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안착홈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돌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앵글 커넥터에는 상기 돌기부재와 대응되는 돌기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돌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쿠션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사용자의 얼굴 촬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입체면이 사용자의 콧방울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 결합되는 제1 다리부재; 상기 제1 다리부재와 이격되며, 상기 탄성 스트랩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다리부재; 및 상기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탄성 스트랩의 절개선을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쿠션부가 사용자의 콧방울에 밀착될 시, 상기 제2 다리부재의 일단부는 사용자의 코 주위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다리부재의 타단부는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다리부재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다리부재의 일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 사이에 삽입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마스크 쿠션부와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와 이웃하게 배치된 결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 쿠션부의 전부에는 상기 결속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속부재와, 상기 결속부재와 단턱을 이루며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와 마스크 쿠션부의 결합시,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 쿠션부와 바디부의 결합 부위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양압기용 마스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압기용 마스크의 마스크 쿠션부는 콧방울 부위만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양압기용 마스크는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양압기용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서 뒤척이더라도 침구류와의 부딪힘 및 접촉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수면시 마스크의 착용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압기용 마스크는 구조가 단순하며, 각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압기용 마스크의 각 부품을 분해한 상태에서 각 부품별로 세척을 할 수 있다. 이에, 양압기용 마스크는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압기용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방에서 바라본 양압기용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방에서 바라본 양압기용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부, 회전 커넥터 및 앵글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와 마스크 쿠션부과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고정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압기용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방에서 바라본 양압기용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방에서 바라본 양압기용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부, 회전 커넥터 및 앵글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와 마스크 쿠션부과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고정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압기용 마스크(1000)는 바디부(100), 회전 커넥터(200), 앵글 커넥터(300), 마스크 쿠션부(400), 탄성 스트랩(500) 및 스트랩 고정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00)는 양압기용 마스크(1000)의 다양한 구성품들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바디부(100)에는 삽입홀(101)이 형성되고, 삽입홀(101)의 주변으로는 복수개의 배기홀(102)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기홀(102)은 사용자가 코로 날숨을 쉴 시, 사용자의 코에서 나오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바디부(100)의 후부측에는 체결부재(1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체결부재(110)는 마스크 쿠션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디부(100)와 마스크 쿠션부(400)의 자세한 결합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회전 커넥터(200)는 돌출부재(210), 고정부재(220) 및 안착부재(230)를 포함하며, 돌출부재(210), 고정부재(220) 및 안착부재(23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커넥터(200)의 중앙에는 중공의 공기 유입홀(201)이 형성된다. 이에, 앵글 커넥터(3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 유입홀(201)을 통해 바디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앵글 커넥터(300)는 공기 공급장치(미도시)에 구비된 연결호스와 결합되어, 공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 유입홀(201)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재(210)는 삽입홀(101)에 관통 삽입된다. 이러한 돌출부재(210)는 회전 커넥터(200)와 결합된다. 여기서 돌출부재(210)의 외주면에는 돌기부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재(211)는 구체적으로 돌출부재(2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 공급홀(301)이 형성된 앵글 커넥터(300)의 내측면에는 돌기부재(211)가 삽입되는 돌기부재(21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돌기 결합홈(3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재(211)와 돌기 결합홈(302)의 결합을 통해 회전 커넥터(200)와 앵글 커넥터(300)는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재(210)가 앵글 커넥터(3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돌기부재(211)를 돌기 결합홈(302)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돌기부재(211)가 돌기 결합홈(302)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앵글 커넥터(300)는 일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돌기부재(211)는 돌기 결합홈(302)에 삽입되며, 회전 커넥터(200)와 앵글 커넥터(300)는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재(211)와 돌기 결합홈(302)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 커넥터(200)와 앵글 커넥터(300)의 결합시, 회전 커넥터(200)와 앵글 커넥터(300)는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에, 앵글 커넥터(300)의 회전시, 회전 커넥터(200)도 앵글 커넥터(30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재(220)는 돌출부재(210)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고정부재(220)는 회전 커넥터(200)와 앵글 커넥터(300)의 결합시, 앵글 커넥터(300)의 단부가 맞닿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부재(220)는 앵글 커넥터(300)의 흔들림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회전 커넥터(200)와 앵글 커넥터(300)의 결합 과정에서 돌기부재(211)와 돌기 결합홈(302)이 정확히 얼라인 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는 앵글 커넥터(300)의 단부를 고정부재(220)에 맞댄 상태에서 회전 커넥터(200) 또는 앵글 커넥터(300)를 회전시킴으로써, 돌기부재(211)와 돌기 결합홈(302)을 결합할 수 있다. 이에, 회전 커넥터(200)와 앵글 커넥터(300)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재(230)는 고정부재(220)와 단턱을 이루며 고정부재(220)의 외측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안착부재(230)는 회전 커넥터(200)와 앵글 커넥터(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바디부(100)에 형성된 안착홈(103)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회전 커넥터(200)와 앵글 커넥터(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안착부재(230)는 안착홈(103)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바디부(100), 회전 커넥터(200) 및 앵글 커넥터(300)는 결합이 이루어진다. 예로, 앵글 커넥터(300)에 일정의 힘이 가해져서 앵글 커넥터(300)가 회전되는 경우, 안착홈(103)에 안착된 안착부재(230)의 안착면은 안착홈(103)과 슬라이딩되며 회전 커넥터(200)는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재(230)의 안착면에는 안착홈(103)과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안착 돌기(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안착면에 안착 돌기가 형성된 경우, 앵글 커넥터(300)는 더욱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마스크 쿠션부(400)는 바디부(100)에 구비된 체결부재(110)와 결합되며, 공기 유입홀(201)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사용자의 비강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스크 쿠션부(400)는 사용자의 콧방울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제조된다.
예를 들어, 마스크 쿠션부(400)는 X선 촬영 데이터, CT 촬영 데이터, MRI 영상 데이터 및 3D 스캔 데이터 등의 다양한 촬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콧방울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제조된다. 즉, 마스크 쿠션부(4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고유의 얼굴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모델을 추출한 후, 역설계를 통해 3D 모델링 작업을 통해 제조된다. 이때, 3D 모델링 작업은 3D 프린팅을 이용한 작업일 수 있다.
이와 같이, 3D 모델링 작업으로 제조되는 마스크 쿠션부(40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마스크 쿠션부(400)를 착용함에 있어, 거부감 발생이 최소화되고,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바디부(100)는 금형을 통해 미리 정해진 규격으로 양산(ABS 재질)되는 구성이고, 마스크 쿠션부(400)는 3D 모델링 작업을 통해 사용자별로 맞춤 형태로 제작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마스크 쿠션부(400)는 바디부(100)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기에, 마스크 쿠션부(400)의 관리 및 세정 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조된 마스크 쿠션부(400)는 양압기용 마스크(1000)의 착용시 코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양압기용 마스크(1000)의 착용시, 마스크 쿠션부(400)와 사용자의 코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코에 밀착되는 마스크 쿠션부(400)의 밀착도는 매우 우수하다.
이러한 마스크 쿠션부(400)의 전부(前部)에는 결속부재(410)가 구비되고, 이와 같은 결속부재(410)는 체결홈(401)과 연결된다. 그리고 바디부(100)에는 체결부재(110)와 체결부재(110)와 단턱을 이루며 이웃하게 배치된 결속홈(10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바디부(100)와 마스크 쿠션부(400)의 결합시, 결속부재(410)는 바디부(100)에 형성된 결속홈(104)에 삽입되고, 체결부재(110)는 마스크 쿠션부(400)에 형성된 체결홈(401)에 밀착 결합된다.
따라서, 바디부(100)와 마스크 쿠션부(4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바디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바디부(100)와 마스크 쿠션부(400)가 결합된 결합 부위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마스크 쿠션부(40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짐이 따라 바디부(100)와 마스크 쿠션부(400)의 결합시 실링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마스크 쿠션부(400)의 후부(後部) 테두리에는 사용자의 콧방울의 경계라인에 밀착되는 밀착면(420)이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면(420)은 사용자의 콧방울을 감싸도록 입체 형성된 입체면(43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입체면(430)은 사용자가 양압기용 마스크(1000)를 착용할 시, 사용자의 콧방울에 밀착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밀착면(420)과 입체면(43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 촬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콧방울에 맞도록 맞춤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입체면(430)에는 비강호스(4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비강호스(440)는 사용자가 양압기용 마스크(1000)를 착용할 시, 사용자의 비강으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비강호스(440)에는 비강 안내홀(441)의 형성되어, 공기 유입홀(201)로 공급된 공기는 비강 안내홀(441)을 통해 사용자의 비강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비강 안내홀(441)이 형성된 비강호스(440)는 X선 촬영 데이터, CT 촬영 데이터, MRI 영상 데이터 및 3D 스캔 데이터 등의 다양한 촬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콧구멍 모양에 대응되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비강 안내홀(441)이 형성된 비강호스(440)는 사용자의 비강내에 정확히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스크 쿠션부(400)의 밀착면(420)과 입체면(430)은 사용자의 콧방울 부위만을 감싸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양압기용 마스크의 착용상 불편함은 최소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양압기용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부위가 최소화됨에 따라 착용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탄성 스트랩(500)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며, 마스크 쿠션부(400)를 사용자의 콧방울에 밀착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성 스트랩(500)은 스트랩 고정부(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랩 고정부(600)는 제1 다리부재(610), 제2 다리부재(620) 및 연결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리부재(610)는 바디부(100)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105)에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다리부재(620)는 제1 다리부재(610)와 이격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다리부재(620)는 탄성 스트랩(500)에 형성된 절개선(501)을 통해 탄성 스트랩(500)의 내부로 삽입되며, 탄성 스트랩(500)의 착용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또한, 제2 다리부재(620)는 양압기용 마스크(10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탄성 스트랩(500)의 꼬임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스트랩 고정부(600)는 사용자가 양압기용 마스크(10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2 다리부재(620)의 일단부는 사용자의 코 주위에 위치되고, 제2 다리부재(620)의 타단부는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탄성 스트랩(500)은 제2 다리부재(620)를 따라 사용자의 코 주위에서 사용자의 귀에 걸쳐진 후 후두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다리부재(620)는 사용자의 코부터 귀까지 탄성 스트랩(500)을 안내함과 동시에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기에, 사용자가 수면중에 뒤척이는 과정에서 탄성 스트랩(500)이 꼬이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2 다리부재(620)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폭이 넓게 형성된 제2 다리부재(620)의 일단부는 탄성 스트랩(500)의 고정 지지력을 높이고, 폭이 좁게 형성된 제2 다리부재(620)의 타단부는 제2 다리부재(620)를 탄성 스트랩(500)의 내부로 삽입함에 있어, 삽입 과정이 수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연결부재(630)는 이격된 제1 다리부재(610)와 제2 다리부재(620)를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재(630)는 절개선(501)을 통해 제2 다리부재(620)가 탄성 스트랩(5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절개선(501)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630)는 제2 다리부재(620)의 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제1 다리부재(610)와 제2 다리부재(620)를 연결하여, 제1 다리부재(610)와 제2 다리부재(620) 사이에 삽입 공간부(601)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 스트랩(5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절개선(501)도 탄성 스트랩(500)의 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스트랩 고정부(600)에 결합된 탄성 스트랩(500)은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탄성 스트랩(500)의 단부로부터 절개선(501)까지의 부분은 제2 다리부재(620)의 단부로부터 연결부재(630)까지의 부분과 걸림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스트랩 고정부(600)에 결합된 탄성 스트랩(500)은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양압기용 마스크(1000)는 사용자가 각 구성품을 손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는 세척이 필요한 구성품을 선택적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세척할 수 있다. 이에, 양압기용 마스크(1000)는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디부 101: 삽입홀
102: 배기홀 103: 안착홈
104: 결속홈 105: 고정홈
110: 체결부재 200: 회전 커넥터
201: 공기 유입홀 210: 돌출부재
211: 돌기부재 220: 고정부재
230: 안착부재 300: 앵글 커넥터
301: 공기 공급홀 302: 돌기 결합홈
400: 마스크 쿠션부 401: 체결홈
410: 결속부재 420: 밀착면
430: 입체면 440: 비강호스
441: 비강 안내홀 500: 탄성 스트랩
501: 절개선 600: 스트랩 고정부
601: 삽입 공간부 610: 제1 다리부재
620: 제2 다리부재 630: 연결부재
1000: 양압기용 마스크

Claims (7)

  1.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의 주변으로 복수개의 배기홀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삽입홀에 관통 삽입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단턱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되는 안착부재가 일체를 이루되, 중앙에는 중공의 공기 유입홀이 형성된 회전 커넥터;
    상기 회전 커넥터와 결합되며, 공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홀로 안내하는 앵글 커넥터;
    전부에는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는 결속부재가 구비되고, 후부에는 사용자의 콧방울 경계라인에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되되, 상기 밀착면은 사용자의 콧방울과 대응되는 입체 형상을 이루며 사용자의 콧방울을 감싸는 입체면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체면에는 상기 공기 유입홀로 공급된 공기를 비강으로 안내하는 비강 안내홀이 형성된 비강호스가 구비된 마스크 쿠션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며, 상기 마스크 쿠션부를 사용자의 콧방울에 밀착 지지하는 탄성 스트랩; 및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탄성 스트랩에 형성된 절개선을 통해 상기 탄성 스트랩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 스트랩을 지지 고정하는 스트랩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재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돌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앵글 커넥터에는 상기 돌기부재와 대응되는 돌기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회전 커넥터와 앵글 커넥터는 함께 회전되도록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앵글 커넥터의 단부에 맞닿아 상기 앵글 커넥터의 흔들림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바디부에 슬라이딩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인 양압기용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안착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 회전 커넥터 및 앵글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안착홈을 따라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기용 마스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쿠션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사용자의 얼굴 촬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입체면이 사용자의 콧방울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기용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 결합되는 제1 다리부재;
    상기 제1 다리부재와 이격되며, 상기 탄성 스트랩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다리부재; 및
    상기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탄성 스트랩의 절개선을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쿠션부가 사용자의 콧방울에 밀착될 시, 상기 제2 다리부재의 일단부는 사용자의 코 주위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다리부재의 타단부는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다리부재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기용 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다리부재의 일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다리부재와 제2 다리부재 사이에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기용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마스크 쿠션부와 결합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와 이웃하게 배치된 결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 쿠션부의 전부에는 상기 결속홈에 삽입 결합되는 상기 결속부재와, 상기 결속부재와 단턱을 이루며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와 마스크 쿠션부의 결합시,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마스크 쿠션부와 바디부의 결합 부위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기용 마스크.
KR1020180143767A 2018-11-20 2018-11-20 양압기용 마스크 KR102170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67A KR102170497B1 (ko) 2018-11-20 2018-11-20 양압기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67A KR102170497B1 (ko) 2018-11-20 2018-11-20 양압기용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985A KR20200058985A (ko) 2020-05-28
KR102170497B1 true KR102170497B1 (ko) 2020-10-28

Family

ID=7092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767A KR102170497B1 (ko) 2018-11-20 2018-11-20 양압기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4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052B1 (ko) * 2012-03-22 2013-08-29 주식회사세운메디칼 의료용 양압 조절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47457A (en) 2006-03-24 2012-12-14 Teijin Pharma Ltd Nasal respiration mask
JP6588333B2 (ja) * 2012-07-27 2019-10-09 レスメド・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患者インタフェースおよび該患者インタフェース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KR102039676B1 (ko) * 2016-12-30 2019-11-01 주식회사 넥스트코어 스트랩 없이 안면 밀착이 가능한 양압기용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052B1 (ko) * 2012-03-22 2013-08-29 주식회사세운메디칼 의료용 양압 조절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985A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0194B2 (en)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US20210330921A1 (en) Respiratory mask
JP6797066B2 (ja) 鼻マスクシステム
JP6023711B2 (ja) 二重y支持構造を有するフレーム組立体を備える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6720186B2 (ja) 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デバイス
JP6270478B2 (ja) 自動調節クッションを備える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CN101683545B (zh) 通气口组件和具有该通气口组件的鼻面罩
US20160317776A1 (en) Adjustable nasal prong and headgear assembly
EP3254721A1 (en) Face mask
US20100236549A1 (en) Elbow assembly
EP2345447A1 (en) Nasal mask and cushion
JP2015530209A (ja) フレーム及びクリップを備える患者インタフェース装置
TWI614039B (zh) 呼吸面罩
JP2013523203A (ja) 浮動調節アームを用いる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EP3095478A1 (en) Respiratory mask with improved cushion
EP2954921B1 (en) Respiratory mask with an anti-rotation system
KR102170497B1 (ko) 양압기용 마스크
AU2016202801B2 (en)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EP3275493A1 (en) Respiratory mask with anti-rotation system and misalignment indic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