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899B1 - 음성 처리 방법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음성 처리 방법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899B1
KR102554899B1 KR1020217009406A KR20217009406A KR102554899B1 KR 102554899 B1 KR102554899 B1 KR 102554899B1 KR 1020217009406 A KR1020217009406 A KR 1020217009406A KR 20217009406 A KR20217009406 A KR 20217009406A KR 102554899 B1 KR102554899 B1 KR 102554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terface displayed
input
voice inpu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513A (ko
Inventor
후이쯔 한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2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은 음성 처리 방법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고, 여기서 방법은,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 처리 방법 및 이동 단말기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 발명은 2018년 8월 30일에 중국에서 제출한 출원 번호가 201811001519.6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이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인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은 음성 인식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처리 방법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음성 인식 기술은 점점 성숙해지고, 인식 정확도는 점점 높아지며, 점점 더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현재,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음성 인식에는 주로 음성 입력 모드 및 음성 제어 모드인 두 가지 모드가 있다.
음성 입력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는 수신된 음성을 텍스트 콘텐츠로 변환시켜 입력 박스에 입력한다. 상기 음성 입력 모드는 사용자가 텍스트 콘텐츠를 입력하고자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되는데, 특히 대량의 텍스트 콘텐츠를 입력하고자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됨으로써, 텍스트 콘텐츠를 입력하는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음성 제어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는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콘텐츠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가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음성 제어 모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기 불편한 시나리오에 적용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을 자유롭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이동 단말기는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할 경우 고정된 버튼만 제공하여 2개의 상이한 음성 인식 모드 사이의 전환을 트리거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 관련 기술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성 모드의 전환을 조작해야 하므로, 편의성이 부족하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관련 기술 중 음성 모드의 전환에서 모두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편의성이 부족한 문제를 해결하는 음성 처리 방법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은 하기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응용되는 음성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음성 처리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음성 처리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 처리 방법은,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만족시키는 조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음성 입력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 없이, 수신된 음성 입력을 대응되게 처리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성 모드를 전환시키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도면을 간단히 설명하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창조성 노동을 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식도 1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식도 2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식도 3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 모식도이다.
아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의 도면과 결부시켜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물론,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에 속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상기 음성 처리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응용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에서, 음성 입력을 수신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해야 할 경우, 음성을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음성 입력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 기능이 수행되는 상태일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음성 입력을 수신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음성 인식 기능은 가상 버튼을 통해 기능 수행을 트리거할 수 있고, 실체 버튼을 통해 기능 수행을 트리거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음성 인식 기능은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로 변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기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도록 지원하고,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입력된 음성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가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지원하기도 한다.
단계 102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한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텍스트 콘텐츠로 변환시켜 입력 박스에 추가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이 “오늘 날씨가 참 좋네요”라고 가정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문자 콘텐츠 “오늘 날씨가 참 좋네요”로 변환시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표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의 어조를 인식하여, 음성 입력으로부터 변환된 문자 콘텐츠와 결합하여 상기 입력 박스에 문장 부호를 추가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응하게, 이런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한다.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가 아닌 것일 수도 있다. 상응하게, 이런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가 아니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한다.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상응하게, 이런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지 않았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 중의 컴포넌트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 중의 컴포넌트를 획득한 다음,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 중의 컴포넌트가 타겟 컴포넌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되,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 중의 컴포넌트가 상기 타겟 컴포넌트를 포함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반대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 중의 컴포넌트가 상기 타겟 컴포넌트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타겟 컴포넌트는 “textfiled” 컴포넌트와 같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컴포넌트이다.
단계 103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이한 텍스트 콘텐츠는 상이한 명령에 대응되되,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음성 입력을 텍스트 콘텐츠로 변환시켜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에 대응되는 명령을 획득한 다음,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텍스트 콘텐츠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함을 이해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음성 콘텐츠는 상이한 명령에 대응되되,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음성 입력의 음성 콘텐츠에 대응되는 명령을 획득한 다음,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의 음성 콘텐츠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응하게, 이런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음성을 문자로 변환시키지 않고 입력하고자 함을 설명하므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지만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인 것일 수도 있다. 상응하게, 이런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지만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한 것일 수도 있다. 상응하게, 이런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아이콘을 상기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였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디지털 카메라 등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 처리 방법에서,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만족시키는 조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음성 입력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 없이 수신된 음성 입력을 대응되게 처리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성 모드를 전환시키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가 아니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가 아닌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가 아니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반대로,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상기 타겟 콘텐츠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지 않았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타겟 아이콘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 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아이콘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설정 조건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도 4에 도시된 아이콘(401)과 같은 타겟 아이콘을 표시하되, 사용자가 음성 제어 능력을 트리거하려면,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영역(40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타겟 아이콘을 상기 타겟 영역으로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지 않았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음성을 문자로 변환시키지 않고 입력하고자 함을 설명하므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을 이해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인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할 경우, 사용자는 음성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일부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해야 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음성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한 후 입력된 텍스트 콘텐츠를 송신해야 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로부터 나가거나 전환시켜야 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할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타겟 콘텐츠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상기 타겟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가 아니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입력 박스에서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고; 반대로, 상기 텍스트 콘텐츠가 상기 타겟 콘텐츠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이한 타겟 콘텐츠는 상이한 명령에 대응되되,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제1 타겟 콘텐츠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1 타겟 콘텐츠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제2 타겟 콘텐츠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2 타겟 콘텐츠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제1 타겟 콘텐츠(예를 들어, “송신”)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입력 컨트롤 중의 콘텐츠를 송신하고; 상기 텍스트 콘텐츠가 제2 타겟 콘텐츠(예를 들어, “나가기”또는 “전환”)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로부터 나가거나 전환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상기 제1 타겟 콘텐츠일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는 먼저 상기 입력 컨트롤 중의 콘텐츠가 비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입력 컨트롤 중의 콘텐츠가 비어 있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입력 컨트롤 중의 콘텐츠를 송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였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타겟 아이콘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 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아이콘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거나, 상기 제2 기설정 조건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한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도 4에 도시된 아이콘(401)과 같은 타겟 아이콘을 표시하되, 사용자가 음성 제어 능력을 트리거하려면,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영역(402))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타겟 아이콘을 상기 타겟 영역으로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였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타겟 아이콘은 음성 입력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이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도 4에 도시된 아이콘(401)을 표시하고, 아이콘에 “받아쓰기”를 표기하여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음성 모드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아이콘에 “받아쓰기”를 표기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영역은 미리 설정된 임의의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타겟 영역에 도 4에 도시된 문자 콘텐츠 “여기로 드래그하여 받아쓰기로부터 나가기”를 표기하여 사용자가 타겟 영역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어떻게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음성 입력 모드로부터 나가도록 할 것인지를 알 수 있고, 상기 타겟 영역에 어떠한 콘텐츠도 표기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아이콘(401) 및 타겟 영역(402)은 단지 예시적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음성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응용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01에서, 음성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단계 501은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단계 101과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502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면, 사용자가 음성을 문자로 변환시켜 상기 입력 컨트롤에 입력하고자 함을 설명하므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한다.
단계 503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단계 503은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단계 103과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 처리 방법에서,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음성 입력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 없이 수신된 음성 입력을 대응되게 처리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성 모드를 전환시키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601);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602);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603)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표시 모듈(6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표시 모듈(6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가 아니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표시 모듈(6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지 않았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고;
여기서, 상기 타겟 아이콘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 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아이콘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603)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603)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어 모듈(603)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였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여기서, 상기 타겟 아이콘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 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아이콘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만족시키는 조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음성 입력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 없이 수신된 음성 입력을 대응되게 처리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성 모드를 전환시키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7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는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 모식도이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700)는 무선 주파수 유닛(701), 네트워크 모듈(702), 오디오 출력 유닛(703), 입력 유닛(704), 센서(705), 표시 유닛(706), 사용자 입력 유닛(707), 인터페이스 유닛(708), 메모리(709), 프로세서(710) 및 전원(711) 등 부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도 7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구조는 이동 단말기를 한정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는 도시된 것 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재를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부재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팜톱 컴퓨터, 차량탑재 이동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및 계보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710)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710)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가 아니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710)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지 않았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타겟 아이콘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 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아이콘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710)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710)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710)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였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타겟 아이콘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 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아이콘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만족시키는 조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음성 입력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 없이 수신된 음성 입력을 대응되게 처리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성 모드를 전환시키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701)은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710)에 송신하여 처리하고; 또한,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함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7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다이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밖에, 무선 주파수 유닛(70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는 네트워크 모듈(702)을 통해 사용자에게 예컨대 사용자의 이메일 송수신, 웹 사이트 브라우징 및 스트리밍 미디어 접속 등 무선의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703)은 무선 주파수 유닛(701) 또는 네트워크 모듈(702)에 의해 수신되거나 메모리(7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음성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703)은 이동 단말기(700)와 함께 수행되는 특정 기능 관련 오디오 출력(예를 들어, 신호 수신 음성, 메시지 수신 음성 등의 호출)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703)은 스피커, 버저,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7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7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7041) 및 마이크(7042)를 포함할 수 있고, 그래픽 프로세서(7041)는 비디오 포획 모드 또는 이미지 포획 모드에서 이미지 포획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7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7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709)(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유닛(701) 또는 네트워크 모듈(702)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마이크(7042)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음성을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701)을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에 송신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700)는 예컨대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다른 센세 등 적어도 하나의 센서(7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환경광 센서는 환경광선의 명암에 따라 표시 패널(706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이동 단말기(700)가 귓가에 이동시 표시 패널(7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오프할 수 있다. 모션 센서의 한 가지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 방향에서의(일반적으로 3축임)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 자세(예를 들어, 가로 스크린과 세로 스크린의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를 인식할 수 있고, 관련 기능(예를 들어, 계보기, 노킹(knocking)) 등을 진동 인식할 수 있으며; 센서(7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표시 유닛(7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706)은 표시 패널(7061)을 포함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표시 패널(7061)을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7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707)은 터치 패널(7071) 및 기타 입력 기기(7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7071)은 터치 스크린으로 불리우기도 하는데, 터치 패널 또는 부근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동작(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 펜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부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7071) 또는 터치 패널(7071) 부근에서 진행한 동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7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컨트롤러인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동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며, 신호를 터치 컨트롤러에 송신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며, 이를 터치 포인트 좌표로 변환시킨 다음, 프로세서(710)에 송신하고, 프로세서(710)에 의해 송신된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이 밖에, 전기저항식, 전기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타입을 적용하여 터치 패널(7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7071) 이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707)은 기타 입력 기기(7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7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키(예를 들어, 음량 제어 버튼, 온/오프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패널(7071)은 표시 패널(7061)에 커버될 수 있고, 터치 패널(7071)이 터치 패널 또는 부근의 터치 동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710)에 송신하여 터치 이벤트의 타입을 결정하며, 그 후, 프로세서(710)는 터치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표시 패널(7061)에서 대응되는 시각 출력을 제공한다. 비록 도 7에서 터치 패널(7071)과 표시 패널(7061)이 2개의 독립적인 부재로서 이동 단말기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였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7071)과 표시 패널(7061)을 집적하여 이동 단말기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유닛(708)은 외부 장치와 이동 단말기(7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인식 모듈을 구비하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7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여 수신된 입력을 이동 단말기(700) 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이동 단말기(700)와 외부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7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음성 플레이 기능, 이미지 플레이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전화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 메모리(7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센터이고,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이동 단말기의 각 부분을 연결하며, 메모리(709)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메모리(709)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 대해 전체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7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프로세서(710)에는 응용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가 집적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응용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7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700)는 복수 개의 부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711)(예를 들어, 배터리)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선택 가능하게, 전원(7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7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으로써,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관리, 방전 관리 및 전력소모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한다.
이 밖에, 이동 단말기(700)는 일부 미도시된 기능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프로세서(710), 메모리(709), 및 메모리(7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710)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음성 처리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효과에 도달할 수 있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음성 처리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에 도달할 수 있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문에서, 용어 “포함”, “포괄” 또는 이의 임의의 다른 변형체 의미가 비배타성의 포함을 포괄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그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열거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고유하고 있는 요소도 포함하도록 한다. 더 많은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 어구 “하나의 ...을 포함”으로 한정된 요소는,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더 존재한다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
이상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와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조합하는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되,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경우에는 전자가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해보면, 본 개시의 기술적 해결수단이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며, 하나의 이동 단말기(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복수 개의 명령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는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개시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에서 공개된 기술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생각해낸 변형 또는 대체는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16)

  1. 이동 단말기에 응용되는 음성 처리 방법으로서,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킴 또는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킴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지 않았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였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아이콘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할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아이콘이며,
    상기 타겟 영역에는 문자가 표기되며, 상기 타겟 아이콘이 상기 타겟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음성 입력 모드에서 나가는 것인 음성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가 아니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 처리 방법.
  6. 이동 단말기로서,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1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킴 또는 제2 기설정 조건을 만족시킴을 확정하며,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지 않았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타겟 아이콘을 타겟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하였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겟 아이콘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할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아이콘이며,
    상기 타겟 영역에는 문자가 표기되며, 상기 타겟 아이콘이 상기 타겟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음성 입력 모드에서 나가는 것인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거나,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가 아니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에서의 입력 컨트롤 내에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입력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0.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이동 단말기.
  11.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성 처리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17009406A 2018-08-30 2019-07-16 음성 처리 방법 및 이동 단말기 KR102554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001519.6A CN109218526B (zh) 2018-08-30 2018-08-30 一种语音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201811001519.6 2018-08-30
PCT/CN2019/096087 WO2020042784A1 (zh) 2018-08-30 2019-07-16 语音处理方法及移动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513A KR20210052513A (ko) 2021-05-10
KR102554899B1 true KR102554899B1 (ko) 2023-07-11

Family

ID=6498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406A KR102554899B1 (ko) 2018-08-30 2019-07-16 음성 처리 방법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25376A1 (ko)
EP (1) EP3846426B1 (ko)
JP (1) JP7308929B2 (ko)
KR (1) KR102554899B1 (ko)
CN (1) CN109218526B (ko)
ES (1) ES2958814T3 (ko)
WO (1) WO2020042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8526B (zh) * 2018-08-30 2020-09-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语音处理方法及移动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49354A1 (en) * 2013-11-27 2015-05-28 Bank Of America Corporation Real-Time Data Recognition and User Interface Field Updating During Voice Entr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2751A (ja) 1999-09-24 2001-04-06 Casio Comput Co Ltd メッセージ送信方法およびメッセージ受信方法ならびに情報処理機器
JP2004234529A (ja) 2003-01-31 2004-08-19 Cross Culture Ltd キオスク端末
JP2010183244A (ja) 2009-02-04 2010-08-19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10540976B2 (en) * 2009-06-05 2020-01-21 Apple Inc. Contextual voice commands
KR101685364B1 (ko) 2010-01-05 201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20120089392A1 (en) * 2010-10-07 2012-04-12 Microsoft Corporation Speech recognition user interface
KR102022318B1 (ko) * 2012-01-11 2019-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 인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246648B (zh) * 2012-02-01 2016-04-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语音输入控制方法及装置
JP5796786B2 (ja) 2012-12-05 2015-10-21 日本電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218372A1 (en) 2013-02-05 2014-08-07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desktop environment
CN105988581B (zh) * 2015-06-16 2019-03-08 恒大法拉第未来智能汽车(广东)有限公司 一种语音输入方法及装置
KR20170046958A (ko) * 2015-10-22 201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음성 인식을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CN105957530B (zh) * 2016-04-28 2020-01-03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语音控制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10187512B2 (en) * 2016-09-27 2019-01-22 Apple Inc. Voice-to text mode based on ambient noise measurement
JP2018073067A (ja) 2016-10-27 2018-05-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608957A (zh) * 2017-09-06 2018-01-1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基于语音信息的文本修改方法、装置及其设备
CN108364644A (zh) * 2018-01-17 2018-08-03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语音交互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CN109218526B (zh) * 2018-08-30 2020-09-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语音处理方法及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49354A1 (en) * 2013-11-27 2015-05-28 Bank Of America Corporation Real-Time Data Recognition and User Interface Field Updating During Voice En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08929B2 (ja) 2023-07-14
KR20210052513A (ko) 2021-05-10
CN109218526A (zh) 2019-01-15
EP3846426A1 (en) 2021-07-07
JP2021536061A (ja) 2021-12-23
ES2958814T3 (es) 2024-02-15
CN109218526B (zh) 2020-09-25
EP3846426A4 (en) 2021-11-10
US20210225376A1 (en) 2021-07-22
EP3846426B1 (en) 2023-08-30
WO2020042784A1 (zh)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191B1 (ko) 정보 처리 방법 및 단말
CN110874147B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9407932B (zh) 一种图标移动方法及移动终端
CN110109604B (zh) 一种应用界面显示方法及移动终端
US11354017B2 (e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11026484A (zh) 一种应用分享方法、第一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1036603A1 (zh) 应用程序的控制方法及终端
CN110908759A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1309419A (zh) 一种分屏显示方法和电子设备
WO2020156119A1 (zh) 应用程序界面调整方法及移动终端
JP7221305B2 (ja) 対象物認識方法及び移動端末
CN110012151B (zh)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20210034668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단말
CN111475066B (zh) 应用程序的后台切换方法及电子设备
CN111443860B (zh) 触控方法和电子设备
WO2020192662A1 (zh) 操作方法及终端设备
EP3979099A1 (en) Edi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11240551B (zh) 应用程序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0333803B (zh) 一种多媒体对象选择方法及终端设备
KR102554899B1 (ko) 음성 처리 방법 및 이동 단말기
CN109739430B (zh) 一种显示方法及移动终端
CN110928462B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0780796B (zh) 一种截屏方法及电子设备
CN109885171B (zh) 文件操作方法及终端设备
CN108459789B (zh) 一种应用程序的管理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