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782B1 - 통신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782B1
KR102553782B1 KR1020220031188A KR20220031188A KR102553782B1 KR 102553782 B1 KR102553782 B1 KR 102553782B1 KR 1020220031188 A KR1020220031188 A KR 1020220031188A KR 20220031188 A KR20220031188 A KR 20220031188A KR 102553782 B1 KR102553782 B1 KR 102553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e
wireless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618A (ko
Inventor
타카시 모리야
켄이치로 스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3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1Device related settings, e.g. IP address, Name,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computing resources, e.g. memory, 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4Automatic configuration, e.g. by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6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5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장치는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단말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의 통신 모드와, 상기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지 않고 통신 장치가 마스터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하여 단말장치와 직접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2의 통신 모드를 실행하는 통신 유닛과, 상기 통신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에서는, 상기 통신 유닛은, 제1의 주파수 대역과, 특정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2의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상기 제2의 통신 모드에서는,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제1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상기 특정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통신을 행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제어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통신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휴대형의 정보단말이 보급되고 있다. 정보단말을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 유저는, 정보단말을 전기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회선이나 채널에,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회선 또는 채널로서, 통신 캐리어가 제공하는 3G/LTE 등의 모바일 통신이나, 무선 LAN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무선 LAN에 관해서는, 2.4GHz, 혹은 5GHz 주파수가 이용된다. 2.4GHz 주파수는, 무선 LAN이 보급되기 시작했을 때부터 많은 기기로 서포트되어 있었지만, 초기에는 5GHz 주파수를 서포트하는 기기가 적었다.
그러나, 2.4GHz 주파수에 대해서는, 전자레인지나 보안 카메라 등의 다른 기기와의 전파 간섭에 의한 통신 속도 저하 등의 문제가 종래부터 계속해서 지적되고 있었다. 동영상을 비롯한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의 기회가 많아지기 시작한 최근에 있어서는, 2.4GHz보다 다른 기기와의 전파 간섭이 적고 고속 통신이 가능한 5GHz에서의 통신이 주류가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시판되어 있는 무선 LAN의 기기,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 스마트폰, 및 태블릿 기기에서는, 2.4GHz 대역뿐만 아니라 5GHz 대역도 표준적으로 서포트되어 있다. 특히, 액세스 포인트에 관해서는, 2.4GHz 대역과 5GHz 대역의 상이한 주파수에서 복수의 네트워크를 독립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기기가 서포트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응한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파수가 다른 네트워크 기기 간의 통신이라도, 액세스 포인트가 통신(주파수 간)을 브리지할 때, 기기 간의 통신 접속성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5GHz 대역의 이용에 관해서는 DFS(Dynamic Frequency Selection:동적 주파수 선택)에 주의한다. 5GHz 대역은 기상 레이다 등이 사용하는 대역과 중복하고 있다. 그 때문에, 무선 기지국 또는 프린터 등의 디바이스를 액세스 포인트(Wi-Fi Direct® Group Owner, 또는 소프트웨어 AP)로서 동작시켜서 P2P 통신을 행할 때, 액세스 포인트는, 그 무선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통신이 기상 레이다 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사용하고 있는 채널의 간섭파를 항상 감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AP는, 프린터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디바이스 내장의 무선 칩을 사용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또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무선 통신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간섭파가 검출된 경우에, 채널은 조속히 다른 이용가능한 채널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0-278825호에서는, 5GHz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으로, 기상 레이다 등의 각종 레이다의 전파를 무선기지국으로 검출했을 때, 소정시간 통신을 중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채널을 이용가능한 채널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은 DFS다. 또한, DFS뿐만 아니라, TPC(Transmit Power Control)이라고 하는 전파 간섭의 회피 기능도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주의가 필요하다. 5GHz 대역에는, W52, W53, W56, W58 등이 있어, 나라나 지역마다 이용 가능한 대역이 법률로 규제되어 있다. 이들 중, DFS가 W53과 W56 대역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W52 대역(5.2GHz 대역(5,150~5,250 MHz), W53 대역(5.3GHz 대역(5,250~5,350 MHz)), 및 W56 대역(5.6GHz 대역(5,470~5,725 MHz))이 5GHz 대역에서 이용 가능한 대역으로서 규정되어 있고, W52 대역만이 DFS에 의한 간섭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면, W52 대역에서는, 채널 36, 40, 44, 및 48을 사용한다.
일본 특허 제5279151호에서는, 주파수 대역의 이용에 제약을 가진 단말장치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기술이 검토되어 있다.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및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정보를 기지국 사이에서 송신함으로써 기지국과 종속국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기술이 검토되어 있다.
프린터 등의 통신 장치에 관해서도, 다른 기기와의 접속성은 중요한 요소이다. 5GHz 대역 및 2.4GHz 대역의 양쪽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이러한 통신 장치가,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드를 실행 가능할 경우, 무선 칩 세트의 제약에 의해,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한정될 수 있다.
발명은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드를 이용 가능한 기기에 있어서, 적절한 주파수의 설정을 실현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단말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의 통신 모드와, 상기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지 않고 통신 장치가 마스터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직접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2의 통신 모드를 실행 가능한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에서는, 상기 통신 수단은, 제1의 주파수 대역과, 특정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2의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상기 제2의 통신 모드에서는,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제1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통신을 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다른 측면에 의하면,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단말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의 통신 모드와, 상기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지 않고 프린터가 마스터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하여 단말장치와 직접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2의 통신 모드를 실행 가능한 통신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통신 수단의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에 근거해서 인쇄를 실행시키는 인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프린터가 제공되고,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에서는, 상기 통신 수단은, 2.4GHz 대역과, DFS(Dynamic Frequency Selection) 기능이 적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5GHz 대역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상기 제2의 통신 모드에서는,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2.4GHz 대역을 사용해서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상기 DFS기능이 적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통신을 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드를 이용 가능한 기기에 있어서, 적절한 주파수의 설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 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MFP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MFP의 조작 표시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MFP의 조작 표시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MFP의 조작 표시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MFP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7은 모드 A(소프트웨어 AP 모드)의 무선 검색 시퀸스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8은 모드 B(WFD 모드)의 무선 검색 시퀸스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9는 모드 C(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무선 검색 시퀸스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10은 MFP의 초기 기동시에 인터페이스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MFP의 초기 기동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2개의 통신 모드와 관련된 주파수 대역의 조합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P2P 설정의 전환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4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설정의 전환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5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수동 셋업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6a 및 16b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자동 셋업(전반)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7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자동 셋업(후반)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8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2개의 통신 모드에 관한 주파수 대역의 조합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P2P 설정의 전환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설정의 전환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1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수동 셋업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2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자동 셋업(후반)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3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2개의 통신 모드에 관한 주파수 대역의 조합을 도시한 타이블이다.
도 24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수동 셋업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5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자동 셋업(후반)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6은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2개의 통신 모드에 관한 주파수 대역의 조합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27은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수동 셋업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8은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자동 셋업(후반)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제1 실시예>>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요소의 상대 배치, 표시 화면 등은,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시스템 구성>
우선,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 인쇄장치(MFP), 및 액세스 포인트(무선 기지국이라고도 부른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는, 무선 LAN(WLAN) 통신부, 즉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단말장치(정보처리장치)이다.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개인정보단말,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등이어도 된다. 인쇄장치(MFP)(300)는,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와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 장치이며, 판독기능(스캐너), FAX 기능, 및 전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는, 프린터뿐만 아니라, 팩시밀리 장치, 스캐너 장치, 프로젝터, 휴대 단말, 스마트폰, 노트북 PC, 태블릿 단말, PDA, 디지털 카메라, 음악 재생 디바이스, 텔레비젼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로서 판독기능과 인쇄 기능을 가지는 MFP(Multi Function Printer)을 예로 들고 있다.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 및 MFP(300)와는 별도로 설치된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400)는, WLAN 통신부를 포함하고, 액세스 포인트에의 접속을 허가한 장치끼리의 통신을 중계함으로써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통신을 제공한다.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와 MFP(300)는 그들의 WLAN 통신부를 이용해서 액세스 포인트(400)를 통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무선 통신을 행해도 되고, 또는 Wi-Fi Direct®이나 소프트웨어 AP 모드에 의해 P2P 통신(Peer-to-Peer 통신)을 행해도 된다. 각 모드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사용해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또한,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 및 MFP(3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WLAN을 통해서 복수의 인쇄 서비스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 가능하다.
도 2는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을 예로 들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 전화의 기능 이외에, 카메라, 웹브라우저, 전자우편 기능 등을 탑재한 다기능형의 휴대전화다.
WLAN 유닛(201)은 WLAN으로 통신을 행하는 데 사용되는 유닛이다. WLAN 유닛(201)은, 예를 들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시리즈(IEEE 802.11a, IEEE 802.11b 등)에 준거한 WLAN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패킷)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본 예에서는, WLAN 유닛(201)은, 2.4GHz 대역과 5GHz 대역 양쪽에서 통신 가능하다. 또한, WLAN 유닛(201)을 사용한 무선 통신에서는, Wi-Fi Direct(WFD)®에 의거한 통신, 소프트웨어 AP 모드에서의 통신, 및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의 통신 등이 가능하다. 각 모드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표시부(202)는, 예를 들면, LCD 방식의 표시 기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다. 조작부(203)는, 터치 패널 방식의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유저에 의한 조작을 검출한다. 대표적인 조작 방법으로서는, 표시부(202)가 버튼 아이콘과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표시하고, 유저가 그것들을 접촉할 때, 조작 이벤트를 검출한다. 전원 키(204)는 전원의 온/오프에 사용하는 하드 키다.
도 3은 MFP(3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고대(301)는, 스캐너(판독부)에 의해 판독되는 원고가 놓인 글래스형의 투명한 대다. 원고 덮개(302)는, 스캐너가 원고를 판독할 때에 원고를 누르고, 판독 시에 원고를 조사하는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외부에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이다. 인쇄 용지 삽입구(303)는 다양한 사이즈의 용지를 세트 가능한 삽입구다. 인쇄 용지 삽입구(303)에 세트된 용지는 한 장씩 인쇄부에 반송되고, 인쇄부에 의해 인쇄를 행한 후에 인쇄 용지 배출구(304)에서 배출된다. 조작 표시부(305)는, 문자 입력 키, 커서 키, 엔터 키, 및 취소 키 등의 키와, LED(Light Emitting Diode)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되고, 유저에 의해 MFP의 각종 기능의 기동이나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표시부(305)는 터치 패널로 형성되어도 된다. WLAN 안테나(306)에는, WLAN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매립되어 있다. MFP(300) 도 2.4GHz 대역과 5GHz 대역의 양쪽에서 통신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MFP의 조작 표시부(305)의 화면표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MFP가 전원 온되고 인쇄나 스캔 등의 동작을 하지 않고 있는 상태(아이들 상태)를 나타내는 홈 화면이다. 키 조작이나 터치 패널 조작에 의해, 카피나 스캔 동작이 행해질 수 있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한 클라우드 기능의 메뉴 표시로부터, 각종 설정이 행해질 수 있고,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4a에 나타낸 홈 화면에서 키 조작이나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심리스로(seamlessly) 도 4a에 나타낸 것과 다른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b는, 프린트 및 포토 기능의 실행과 LAN 설정의 변경이 가능한 화면의 예이다. 도 4c는, 도 4b에 나타낸 화면에 있어서, LAN 설정을 선택했을 때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이 화면을 통해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유효/무효(활성/비활성) 설정과, WFD나 소프트웨어 AP 모드 등의 P2P 모드의 유효/무효 설정 등 각종의 LAN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LAN의 주파수 대역이나 채널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제1의 통신 모드라고 부르고, P2P 모드를 제2의 통신 모드라고 부를 것이다.
●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의 구성
도 5는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는, 장치 자신의 메인 제어를 행하는 메인 보드(501)와, WLAN 통신을 행하는 WLAN 유닛(201)을 포함한다. 메인 보드(501)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502)는, 시스템 제어부이며,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의 전체를 제어한다. 이후에 나타내는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의 처리는 CPU(502)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R0M(503)은, CPU(502)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임베디드(embedded) 오퍼레이팅 시스템(OS)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R0M(503)에 기억되어 있는 각 제어 프로그램은 R0M(503)에 기억되어 있는 임베디드 OS의 관리 하에서, 스케줄링과 태스크 스위치(태스크 스위치) 등의 소프트웨어 제어를 행한다.
RAM(504)은, SRAM(Static RAM) 등으로 구성되고, 프로그램 제어 변수 등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유저가 등록한 설정 값과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의 관리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각종 워크용 버퍼 영역이 설치된다.
화상 메모리(505)는, DRAM(Dynamic RAM) 등의 메모리로 구성되고, WLAN 유닛(201)을 통해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와, 데이터 축적부(513)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CPU(502)로 처리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불휘발성 메모리(512)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메모리로 구성되고, 전원이 오프되어도 데이터를 계속해서 기억한다. 한편, 메모리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유념한다. 예를 들면, 화상 메모리(505)와 RAM(504)이 메모리를 공유해도 되고, 또는 데이터 축적부(513)에 데이터를 백업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메모리(505)로서 DRAM을 사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나 불휘발성 메모리 등의 다른 기억매체를 사용해도 되기 때문에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변환부(506)는,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의 해석과, 색 변환 및 화상 변환 등의 데이터 변환을 행한다. 전화부(507)는, 전화 회선을 제어하고, 스피커부(514)를 통해서 입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전화에 의한 통신을 실현하고 있다. 조작부(203)는, 조작부(203)(도2)의 신호를 제어한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509)는,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의 현재의 위도와 경도 등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표시부(202)는, 표시부(202)(도 2)의 표시 내용을 전자적으로 제어하고 있어, 각종 입력 조작이나, MFP(300)의 동작 상황, 스테이터스 상황의 표시 등을 행할 수 있다.
카메라부(511)는, 렌즈를 통해서 입력된 화상을 전자적으로 기록해서 부호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카메라부(511)에서 촬영된 화상은 데이터 축적부(513)에 보존된다. 스피커부(514)는 전화 기능을 위한 음성을 입력 또는 출력하는 기능과, 또한, 알람 통지 등의 기능을 실현한다. 전원부(515)는, 휴대 가능한 전지이며, 장치에의 전력 공급 제어를 행한다. 전원상태에는, 전지에 잔량이 없는 전지 떨어짐 상태, 전원 키(204)를 누르지 않은 전원 오프 상태, 보통 장치를 기동하고 있는 기동 상태, 및 장치를 기동하고 있지만 전력 절약 모드로 되어 있는 전력 절약 상태가 있다.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는 WLAN으로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는, MFP 등의 다른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이 통신부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변환하고, 다른 디바이스에 패킷 송신을 행한다. 반대로, 통신부는 외부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패킷을, 원래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데이터를 CPU(502)에 송신한다. WLAN 유닛(201)은 버스 케이블(516)을 통해서 메인 보드(501)에 접속되어 있다. WLAN 유닛(201)은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다. WLAN 유닛(201)은, 2개의 통신 모드를 제공하는데, 즉 제1의 통신 모드로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제2의 통신 모드로서 P2P 모드를 제공한다. 다만, 각 통신 모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는, 하드웨어의 기능 혹은 성능으로부터 제한되어 있는 것도 있다. 메인 보드(501)의 각종 구성요소(503 내지 515 및 201 내지 203)는, CPU(502)가 관리하는 시스템 버스(518)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 MFP의 구성
도 6은 MFP(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MFP(300)는, 장치 자신의 메인 제어를 행하는 메인 보드(601)와, WLAN 통신을 행하는 WLAN 유닛(616)을 갖는다.
메인 보드(601)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602)는, 시스템 제어부이며, MFP(300)의 전체를 제어한다. 이후의 MFP(300)의 처리는 CPU(602)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R0M(603)은, CPU(602)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임베디드 오퍼레이팅 시스템(OS)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R0M(603)에 기억되어 있는 각 제어 프로그램은, R0M(603)에 기억되어 있는 임베디드 OS의 관리 하에서, 스케줄링과 태스크 스위치 등의 소프트웨어 제어를 행한다. RAM(604)은, SRAM(Static RAM) 등으로 구성되고, 프로그램 제어 변수 등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유저가 등록한 설정 값과 MFP(300)의 관리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각종 워크용 버퍼 영역이 설치된다.
불휘발성 메모리(605)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로 구성되고, 전원이 오프되어도 데이터를 계속해서 기억한다. 화상 메모리(606)는, DRAM(Dynamic RAM) 등의 메모리로 구성되고, WLAN 유닛을 통해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 부호화/복호화 처리부(611)로 처리한 화상 데이터 등을 축적한다. 또한,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의 메모리 구성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메모리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변환부(608)는,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의 해석, 화상 데이터로부터 인쇄 데이터로의 변환 등을 행한다.
판독 제어부(607)는, 판독부(609)(예를 들면, CIS 이미지 센서(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제어하여,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한다. 다음에, 이 판독한 화상을 전기적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해서 얻은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화상 신호에 대해 2치화(binarization) 처리와 중간조(halftone) 처리 등의 각종 화상처리를 실행하고나서, 그 결과의 데이터를 출력해도 된다.
조작 표시부(305)는, 도 3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305)에 대응한다. 부호화/복호화 처리부(611)는, MFP(300)로 취급하는 화상 데이터(JPEG, PNG 등)의 부호화/복호화 처리와 확대 축소 처리를 행한다. 급지부(613)는 인쇄를 위한 용지를 홀드한다. 인쇄 제어부(614)의 제어 하에서 급지부(613)로부터 용지를 급지할 수 있다. 특히, 급지부(613)는, 복수 종류의 용지를 하나의 장치에 홀드하기 위해서, 복수의 급지부를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 제어부(614)는, 어느 급지부에서 급지를 행할지를 제어할 수 있다.
인쇄 제어부(614)는, 인쇄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스무딩(smoothing) 처리, 인쇄 농도 보정처리, 색 보정 등의 각종 화상 처리를 실행하고 나서 그 결과의 데이터를 인쇄부(612)에 출력한다. 인쇄부(612)는, 예를 들면 잉크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잉크를 프린트 헤드로부터 토출시켜서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터를 채용 가능하다. 인쇄 제어부(614)는 인쇄부(612)의 정보를 정기적으로 판독하고, RAM(604)의 정보를 갱신하는 역할도 한다. 구체적으로, 인쇄 제어부(614)는 잉크 탱크의 잔량과 프린트 헤드의 상태 등의 스테이터스 정보를 갱신한다.
MFP(300)에도,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와 마찬가지로 WLAN 유닛(616)이 탑재되어 있고, 기능이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의 WLAN 유닛(201)과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WLAN 유닛(616)은 버스 케이블(615)을 통해서 메인 보드(60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 및 MFP(300)는 WFD에 근거한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소프트웨어 AP) 기능을 가지고 있다.
메인 보드(601)의 각종 구성요소(블록 602 내지 614과 616 및 블록 617, 619)은, CPU(602)가 관리하는 시스템 버스(618)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P2P(Peer-to-Peer) 방식>
WLAN 통신에 있어서 P2P(외부의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지 않고 장치끼리가 다이렉트로 무선 LAN에 의해 서로 통신하는 방식)을 실현하는 방식으로서, 복수의 모드가 고려된다. 각각의 모드에서는 탐색측의 기기가 동일한 기기 탐색 코맨드(예를 들면, Probe Request 프레임)을 사용해서 통신 상대가 되는 기기(통신 상대 장치 또는 대향기라고 한다)를 탐색해서, 장치를 발견한다. MFP(300)를 P2P 모드에서 기동할 경우, 5GHz 또는 2.4GHz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P2P 모드에 2.4GHz 대역만을 설정해서 MFP(300)를 기동했을 경우, 예를 들면, 휴대형 통신 단말(200) 등의 탐색측의 기기가 5GHz 대역에서 탐색 코맨드를 송신해도, MFP(300)는 응답하지 않는다. P2P 모드의 모드로서, 이하의 2개의 모드가 고려된다.
· 모드 A(소프트웨어 AP 모드)
· 모드 B(Wi-Fi Direct(WFD)® 모드)
각각의 모드에 대해서는, 대응하고 있는 기기와 대응하지 않는 기기가 있고, 어플리케이션들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하, 각 모드에 있어서의 무선 기기 탐색 시퀸스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Wi-Fi Direct®에 의한 통신기능을 갖는 기기는, 그 조작부에서, 그 통신기능을 실현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한다. 그리고, Wi-Fi Direct ® 기기는 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의 화면에서의 조작에 의거하여 Wi-Fi Direct®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 소프트웨어 AP 모드의 기기 탐색 시퀸스
도 7은 모드 A(소프트웨어 AP 모드)의 무선 기기 탐색 시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소프트웨어 AP 모드에서는, 서로 통신하는 기기(예를 들면,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와 MFP(300))들 사이에서, 한 기기(예를 들면,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는 각종 서비스를 의뢰하는 클라이언트(슬레이브 스테이션(아이국))로서의 역할을 하고, 다른 기기(예를 들면, MFP(300))는 WLAN에 있어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소프트웨어 설정에 의해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AP(마스터 스테이션(부모국))로서의 역할을 한다.
소프트웨어 AP 모드에서는, 클라이언트는, 기기 탐색 리퀘스트(701)에 의해 소프트웨어 AP로서 기능하는 기기를 탐색한다. 기기 탐색 리퀘스트(701)를 수신한 소프트웨어 AP는 기기 탐색 응답(702)을 회신한다. 이 교환 동작에 의해, 클라이언트는 소프트웨어 AP로서 기능하는 MFP(300)를 발견한다. 한편, 클라이언트와 소프트웨어 AP와의 사이에서 무선 접속을 실현하는 경우에 송수신되는 코맨드와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Wi-Fi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코맨드와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여기에서는 그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 WFD 모드의 기기 탐색 시퀸스
도 8은 모드 B(WFD 모드)에서의 무선 기기 탐색 시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WFD 모드에서는, 기기 탐색 리퀘스트(801)에 의해 통신 상대가 되는 기기가 탐색된다. 기기 탐색 리퀘스트(801)는 WFD 속성을 가지고 있어, 탐색의 대상이 WFD 모드의 통신 기기인 것을 특정할 수 있다. 기기 탐색 리퀘스트(801)를 수신하면, MFP(300)는 기기 탐색 응답(802)을 회신한다. 그러면, 클라이언트는, P2P 통신 상대인 MFP(300)을 검출한다. P2P 그룹 오너와, P2P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결정한 후에, 나머지의 무선 접속 처리를 행한다. 이 역할 결정 처리는, 예를 들면 P2P에서는 GO Negotiation에 대응한다. 그러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WFD 모드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무선 칩 세트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모드에서의 채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MFP(300)는 WFD 모드에서의 Autonomous Group Owner(마스터 스테이션(부모국)에 대응)로서 고정적으로 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역할을 결정하기 위해서 GONegotiation의 통신이 불필요하다. MFP(300)는 WFD 모드에서의 그룹 오너로서 기동될 때에는, MFP(300)가 마스터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하여 주파수 대역과 채널을 결정한다. 5GHz, 혹은 2.4GHz 주파수 대역 및 채널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 AP 모드 및 WFD 모드를 포함하는 P2P 모드를, 본 예에서는 제2의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제2의 통신 모드라고 부르는 것도 있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도 9는 모드 C(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의 무선 기기 탐색 시퀸스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는, 서로 통신하는 기기(예를 들면,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와 MFP(300))는,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 400)와 접속되고,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서로 통신한다. 즉,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는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가 구축한 네트워크를 통해서 기기끼리가 서로 통신하는 모드이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는, 휴대형 통신 단말기기(200)는, 기기 탐색 리퀘스트(901)를 이용해서 액세스 포인트(400)를 탐색한다. 액세스 포인트(400)가 기기 탐색 응답(902_을 회신하면, 액세스 포인트가 발견된다. 휴대형 통신 단말기기(200)와 MFP(300)의 각각이 액세스 포인트를 발견하고, 그것에 접속하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이들 디바이스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는, MFP(300)는 클라이언트(즉, 슬레이브 스테이션(아이국))로서 기능하여 외부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접속한다. 한편, 기기와 액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에서 무선 접속을 실현하는 경우에 송수신되는 코맨드와 파라미터로서는, Wi-Fi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코맨드와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여기에서는 그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본 예에서는 제1의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제1의 통신 모드라고 부르는 것도 있다.
< 주파수 대역의 제약과 셋업 방법>
본 실시예의 MFP(300)는, 유저 경험을 충분히 고려함으로써 복수의 통신 모드를 동시에 (병렬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는 무선 장치의 통신 모드를 전환하는 번거로운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즉, MFP(300)와 휴대형 통신 단말장치(200)는, 제1 및 제2의 통신 모드를 실행 가능하다.
이렇게, 2개의 통신 모드를 실행할 경우, 어느 쪽의 모드에서도, 5GHz 및 2.4GHz 대역의 양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1대의 무선 디바이스로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동시 병행하여 동작 가능하고, 또한, 저비용의 무선 칩 세트의 하드웨어에, 기능상 또는 성능상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유저의 편리성을 손상하지 않고 무선 통신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세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의 전제가 되는 제약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무선 칩 세트가 이용하는 CPU와 안테나는 1개만 채용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동작시키면, 펌웨어가 복잡화해지기 때문에, 무선 통신의 이용상에 제약이 부과될 수도 있다. 즉, 1대의 장치 내에서 복수의 통신 모드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에는, 무선 칩 세트의 제약에 의해,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한정될 수 있다. 특히, 성능이 비교적 낮은 저비용의 무선 칩 세트의 경우에는,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제약이 부과되는 경우가 있다.
제1의 제약으로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에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에서 각각 이용하는 채널(및 주파수 대역)은 어떤 경우에는 매칭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무선 칩 세트의 성능으로서, 무선 칩 세트가 1개의 CPU와 1개의 안테나에 의해 동작하므로, 복수의 채널을 동시에 대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에, 제2의 제약으로서, P2P 모드(그룹 오너 또는 소프트웨어 AP)에서는, 5GHz 대역에서의 DFS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장치가 무선기지국으로서 5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항상 기상 레이다에 의해 지정된 레이다파가 사용하는 대역을 감시해서 간섭파를 검출해야 한다. 간섭파가 검출된 경우에는, 바로 채널을 이동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이 DFS 기능이다. 그렇지만, 무선 칩 세트에 따라서는, P2P 모드에서의 DFS가 그 무선 칩 세트의 성능을 초과할 수 있는데, 이것은 제2의 제약을 부과한다. 이 제약은, 장치가 P2P 모드에서 마스터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고, DFS 기능의 마스터 스테이션의 듀티(duty)로서, 레이다파가 사용하는 대역을 감시하며, 간섭파를 검출했을 경우에 채널을 회피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부과된다.
즉, 무선 칩 세트에 제1 및 제2의 제약이 있을 경우, 각 무선 인터페이스의 설정(예를 들면, 단독 IF/복수 IF) 상태에 따라,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2.4GHz 또는 5GHz 대역)이 무선 인터페이스별로 한정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과, 복수 인터페이스의 동시 이용에 대해서 트레이드 오프(trade-off)의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제약을 무선 디바이스 내부의 제어에 의해 회피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의 유저 편리성을 손상하지 않고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의 제약과 제2의 제약을 회피하기 위해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에는, 장치가 통신 모드(즉, 어느 것의 통신 모드든) 전체에 걸쳐 2.4GHz 대역에서만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만 동작하는 경우에는, 장치가 접속지(connection destination)로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따라 5GHz 및 2.4GHz 대역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P2P 모드만 동작하는 경우에는, 장치가 2.4GHz 대역에서만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설정 방법으로서는, 초기 셋업, LAN 설정에 의한 IF의 유효/무효 전환, 무선 통신의 수동 셋업,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 등의 방법이 있으므로, 이것에 대해서는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 초기 기동시의 셋업>
MFP(300)는, 본체를 구입한 유저가 처음으로 전원을 투입했을 때에, 공장 출하 상태(착하 상태)에서 초기 설정을 행하기 위해서, 통상의 처리 시퀀스와는 다른 초기 기동시 전용의 처리 시퀸스(초기 셋업)를 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MFP(300)의 공장에서의 출시시, MFP(300)는 인쇄부(612)에, 잉크 탱크나 프린트 헤드 등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시된다. 따라서, 유저가 처음으로 조작한 초기 기동 직후에, 같이 패키징된 잉크 탱크와 프린트 헤드 등을 장착하는 처리를 유저에게 재촉하는 것에 의해, MFP(300)를 사용 가능하게 준비할 필요가 있다. 현재 상태가 공장 출하 상태를 나타내는 초기 기동 상태인지의 여부는, 불휘발성 메모리(605)에 보존된 플래그(초기 기동 플래그)를 사용해서 제어된다. 유저가 사용하기 위한 MFP(300)의 준비가 완료하면, 초기 기동 플래그의 상태가 변경되고, 이후, 초기 기동시 전용의 처리 시퀸스는 기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MFP(300)에서는 초기 기동시에 특유의 처리를 행하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초기 기동시에 행해진 처리에, 무선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포함시킨다. MFP(300)의 초기 기동시에 행해진 IF 설정 처리 시퀸스에 대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초기 기동 시에는 IF 설정 이외의 초기 셋업 시퀸스도 처리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 직접 관계가 없는 시퀸스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고 있다. 도 11은, MFP(300)의, 특히 CPU(6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다.
MFP(300)의 CPU(602)는,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 S1101에서 불휘발성 메모리(605)에 보존되어 있는 초기 기동 플래그를 참조하여, 현재 상태가 초기 기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초기 기동 플래그는, MFP(300)의 공장 출시 시에 특정한 값으로 미리 세트되어 있다.
스텝 S1101에서 현재 상태가 초기 기동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112에서, CPU(602)은, 불휘발성 메모리에 보존된 IF의 유효/무효 설정에 따라 IF의 유효화를 행한다. 그 후에, 스텝 S1113에서, 도 4a에 나타낸 일반적인 기동 대기 화면을 표시해서 유저의 조작을 기다린다. 스텝 1112 및 스텝 S1113은, 유저에 의한 통상 사용시의 기동 처리에 해당하는 시퀸스다.
스텝 S1102 이후의 스텝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 시퀸스에 해당한다. 스텝 S1101에서 현재 상태가 초기 기동 상태라고 판정되면, 스텝 S1102에서, CPU(602)는, 도 10에 나타낸, 유저가 사용하는 IF를 선택하는 화면을 조작 표시부(305)에 표시한다. 유저는, 이 화면이 표시되면, 자신이 사용할 예정의 IF를 화면에 표시된 항목으로터 선택한다.
스텝 S1103에서, CPU(602)는, 유저 조작에 의해 무선 LAN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선 LAN이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가 스텝 S1110로 진행된다. 스텝 S1110에서, CPU(602)는, 유선 LAN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어떤 유선 LAN도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처리가 스텝 S1114로 진행된다. 여기에서, 처리가 스텝 S1114로 진행되는 경우는, 무선 LAN도 유선 LAN도 선택되지 않고, USB이 선택된 경우에 해당한다. 스텝 S1114에서, CPU(602)는, USB을 유효화하고, 초기 기동시의 IF 설정 처리를 끝낸다. 여기에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인터페이스 선택을 포함하는 착하 처리 시퀸스의 모두를 끝내면, 불휘발성 메모리(605)에 보존되어 있는 초기 기동 플래그의 값을, 초기 기동 상태로부터 비초기 기동 상태로 변경한다. 그 후에, 초기 기동 처리 시퀸스는 기동하지 않게 된다.
스텝 S1110에서, CPU(602)는, 유선 LAN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하면, 스텝 S1111에서, CPU(602)는, 유선 LAN을 유효화하는 처리를 행한다. 유선 LAN이 유효화됨에 따라, 설정은, 불휘발성 메모리(605)에 보존되고, 보통 기동시에, 유효화하는 IF로서 참조된다.
한편, 스텝 S1103에서, 유저 조작에 의해 무선 LAN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 S1104에서 CPU(602)는, 케이블리스 셋업 모드(cableless setup mode)를 기동한다. 케이블리스 셋업 모드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무선 설정이 가능한 전용 모드다. 케이블리스 셋업 모드의 MFP(300)는, 액세스 포인트(마스터 스테이션)와 동일한 동작을 하는 소프트웨어 AP 모드에서 기동한다. 그 때문에, PC,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의 외부기기는, 클라이언트(슬레이브 디바이스)로서 MFP(300)와 간단하게 접속될 수 있고, MFP(300)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케이블리스 셋업 시에 있어서의 주파수 대역으로서는 2.4GHz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케이블리스 셋업 모드에서는, 소프트웨어 AP 모드뿐만 아니라 WFD 모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한다. 다만, WFD 모드에서는, 표준 규격상, 무선 파라미터인 SSID에 랜덤 생성 값의 문자열을 포함하게 할 필요가 있고, 소프트웨어 AP 모드가 예약된 SSID를 사용하는 케이블리스 셋업에는 더 적합하다. PC,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의 외부기기상에서 동작하는 LAN 설정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LAN에 관한 지식이 거의 없는 유저라도, 용이하게 MFP(300)에 접속할 수 있다. LAN 설정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 내용의 상세를 알지 못해도, 액세스 포인트의 특정에 필요한 정보나, 접속을 위한 시큐리티 정보가 소프트웨어 AP인 MFP(300)에 전달된다.
케이블리스 셋업 모드에서는, 스텝 S1105에서, CPU(602)은, 주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의 접속에 필요한 설정을 접수한다. PC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외부기기는 MFP(300)와 접속된 후,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설정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MFP(300)에 송신한다.
MFP(300)가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설정 정보는, 유저가 참가하고 싶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의 SSID, 해당 외부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 암호방식, 및 인증 방식 등을 포함한다. 외부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은, 5GHz 대역 또는 2.4GHz 대역일 수도 있다. 무선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로서는,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과 관련이 있는 무선 채널 값이 포함되어도 된다. 무선 설정 정보를 수신한 MFP(300)는, 그 후에 소프트웨어 AP 모드를 정지하고,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무선 설정 처리를 실행한다.
설정을 수신하면, 스텝 S1106에서 CPU(602)는, 케이블리스 셋업 모드를 종료한다. 스텝 S1107에서는, CPU(602)는, 스텝 S1105에서 수신한 LAN 설정 값에 따라,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통신을 기동하고,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400)에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유효화(기동)됨에 따라, 불휘발성 메모리(605)에 설정을 보존한다.
스텝 S1108에서는, CPU(602)는 무선 칩 세트의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제2의 제약에 따라,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유효/무효 판정을 행한다. 이때, 외부기기로부터 송신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주파수 대역(주파수 대역과 관련되는 무선 채널 값이 송신되어도 된다.)에 따라, MFP(300)에서 설정되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즉, 스텝 S1105에서 지시된 LAN 설정 값에 포함되고 외부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에 의거해서, MFP(300)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각각의 유효/무효를 판정한다. 외부기기로부터 무선 채널 값이 송신되는 경우에는, MFP(300)는, 무선 채널을 주파수 대역(2.4GHz 혹은 5GHz)으로 변환하고,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각각의 유효/무효를 판정한다. 스텝 S1105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주파수 대역으로서 5GHz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가 송신되고, 스텝 S1107에서 5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접속지로서 설정함으로써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기동된 경우에는(스텝 S1108에서 YES), 처리가 P2P 모드를 무효로 한 채, 스텝 S1114로 진행되어, USB를 유효화한다. 공장 출시 시의 설정의 초기값(디폴트)으로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도 P2P 모드도 모두 무효(비활성)인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는 점에 유념한다. 한편, 스텝 S1105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주파수 대역으로서 2.4GHz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가 송신되고, 스텝 S1107에서 2.4GHz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기동된 경우에는(스텝 S1108에서 NO), P2P 모드를 2.4GHz 주파수 대역에서 기동하고, P2P 모드를 유효화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1109). MFP(300)가 마스터 스테이션으로서 기능하여 P2P 모드를 기동하면, 비콘(beacon)이 송신되고, 호스트 단말 장치로부터 검출 가능해진다. P2P 모드가 유효(활성)로 설정되면, 불휘발성 메모리(605)에 설정을 보존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가 동시에 동작 가능한 프린터에서는, 초기 기동시의 셋업 시퀀스 내에 있어서, 유저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만을 선택한 경우에는, 프린터가 그 자신의 판단에 의거해 P2P 모드도 유효화하여, 자동으로 양쪽 모드가 동시 동작 상태로 셋업된다는 것에 주의한다. 즉, P2P 모드를 유효화하고 설정을 보존하는 처리는, 이전의 스텝 S1105에 있어서, P2P 모드를 유효화하는 설정이 수신되었는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행해진다. 다만,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5GHz 대역의 외부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된 경우에만,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약에 의해, P2P 모드가 무효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에, 유선 LAN이 선택된 경우와 무선 LAN이 선택된 경우의 어느 쪽의 경우도, 스텝 S1114에서 USB IF를 유효화하여, 초기 기동시의 IF 설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처리 시퀀스에 있어서는, 초기 기동시에 본체 조작부의 조작으로 WLAN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의한 통신으로서 2.4GHz 대역 내의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의 통신과, P2P 모드(Wi-Fi Direct® 또는 소프트웨어 AP)에서의 통신의 동시 통신이 유효화된다. 한편,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의한 통신으로서 5GHz 대역 내의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면, P2P 모드(Wi-Fi Direct® 또는 소프트웨어 AP)에 의한 통신은 무효화되고,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만이 유효화된다. 즉, 5GHz 대역이 설정되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의 통신과, P2P 모드에서의 통신은 동시(병행하여)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통신 모드에서 동일 대역의 동일 채널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는 제1의 제약과, P2P 모드에서는 DFS가 기능하지 않고, 5GHz 대역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 제2의 제약에 입각한 설정이, MFP의 사용을 시작하는 초기 셋업 시에 가능해진다.
<LAN 설정에 의한 IF의 유효/무효 전환>
다음에, IF의 유효/무효 전환 시에 있어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설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MFP 본체의 조작 표시부(305)는, 도 4c에 나타낸 본체 조작 화면 혹은 케이블리스 셋업을 통해서, 사용하는 IF의 유효/무효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선 LAN과 무선 LAN의 사용은 배타적이다. 유선 LAN을 유효하게 한 상태에서, 동시에 무선 LAN을 유효하게 할 수는 없다. 반대로, 무선 LAN이 유효한 상태에서, 동시에 유선 LAN을 유효하게 할 수도 없다. 유선 LAN과 무선 LAN을 동시에 무효로 하는 것은 가능하다. USB IF는 유저에 의해 무효화될 수 없지만, USB IF는 기동시에는 항상 유효화되고, 유선 LAN 혹은 무선 LAN과 동시에 사용 가능하다. 무선 LAN에 대해서는, P2P 모드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설정되고, 각 모드는 개별적으로 유효/무효로 설정될 수 있다. P2P 모드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동시에 유효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때, MFP(300)는, P2P 통신과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된다. 설정한 유효/무효의 상태는 불휘발성 메모리(605)에 보존되고, 다음번의 기동시에도 참조되어서, 보존된 정보에 근거해 각 IF가 유효화된다. 본체의 LAN 설정 항목을 초기화할 때는, P2P 모드 및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는 무효화된다. 또한 유선 LAN도 무효화되고, 유선 LAN도 무선 LAN도 사용되지 않는다. LAN 설정을 초기화한 유저는, 원하는 IF의 설정을 개별적으로 유효화된 설정으로 변경하고, 그 IF를 사용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IF의 전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LAN 설정 값으로서, 통신 모드와 주파수 대역의 설정 가능한 조합을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통신 모드 설정을 위해 3종류의 조합이 있다. 그렇지만,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설정과 조합해서 통신 모드 설정 1로부터 통신 모드 설정 4까지의 4종류의 설정을 취득할 수 있다.
통신 모드 설정 1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유효로, P2P 모드가 무효로 설정된 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LAN 무효 상태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외부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셋업을 행하고, 2.4GHz 대역 내의 주파수 대역에서 외부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완료했을 때의 무선 설정을 보존한다.
통신 모드 설정 2는, 통신 모드 설정 1과 마찬가지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유효로, P2P 모드가 무효로 설정된 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LAN 무효상태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외부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셋업을 행하고, 5GHz 대역 내의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완료했을 때의 무선 설정을 보존한다. 초기 기동시에 도 11의 스텝 S1105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지정하고, 스텝 S1108에서 5GHz 대역의 외부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한 경우에는, 통신 모드 설정 2가 보존된다.
통신 모드 설정 3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무효로, P2P 모드가 유효 로 설정된 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LAN 무효 상태에서, 도 4c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에서, P2P 모드를 무효 설정으로부터 유효 설정으로 전환하면, 통신 모드 설정 3가 보존된다.
통신 모드 설정 4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유효로, P2P 모드가 유효 로 설정된 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드 설정 1에서, 도 4c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에서 P2P 모드를 무효 설정으로부터 무효 설정으로 전환하면, 통신 모드 설정 4가 보존된다. 도 11의 스텝 S1105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LAN 설정 값으로서 지정하고, 스텝 S1108에서 2.4GHz 대역 내의 주파수 대역에서 접속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1109에서 P2P 모드가 2.4GHz 대역에서 기동하고, 통신 모드 설정 4가 보존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허용되는 무선 통신의 설정에서는, 5GHz 대역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만 사용되고, P2P 모드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게다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동일하다. MFP(300)의 초기 기동 시에, 도 11에 나타낸 순서로 설정되는 통신 모드는, 스텝 S1105에서 5GHz 대역이 지정되었을 경우에는, 통신 모드 설정 2와 같고, 2.4 GHz 대역이 지정되었을 경우에는 통신 모드 설정 4과 같다.
● P2P 모드의 유효화
무선 칩 세트의 제약이, IF 전환의 장벽이 되는 패턴으로서는, 통신 모드 설정 2로부터 다른 통신 모드 설정으로의 전환이 있다. 통신 모드 설정 2의 상태에서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대해서 5GHz 대역이 설정되고, 도 4c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에서, P2P 모드를 무효 설정으로부터 유효 설정으로 전환하면, 무선 칩 세트의 제1 및 제2의 제약이 장벽이 된다. 즉 제1의 제약에 의해, 두 개의 모드를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채널/주파수 대역에 따라 P2P 모드도 5GHz 대역에서 기동해야 한다. 그렇지만, 제2의 제약에 의해, P2P 모드에서는 5GHz 대역의 DFS 기능이 사용될 수 없고, 그 때문에 2.4GHz 대역에서만 P2P 모드가 기동할 수 있다. 도 13은, 유저가 명시적으로 설정한 P2P 모드로의 설정 변경을 우선하여, P2P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모드 설정 3으로 설정을 전환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MFP(300)의, 특히 CPU(6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다.
도 13의 스텝 S1301에서, CPU(602)는, 도 4c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에 있어서의 유저 조작을 수신하면, P2P 모드를 무효 설정으로부터 유효 설정으로 전환하는 지시를 실행한다. 스텝 S1302에서, CPU(602)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설정의 유효/무효를 판정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설정이 무효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306로 진행된다. 스텝 S1306에서, CPU(602)는, P2P 모드를 2.4GHz 대역의 채널을 지정해서 기동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설정이 유효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303로 진행되고, CPU(602)는, LAN 설정으로서 이미 보존되어 있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대해서 설정한 주파수 대역이 5GHz 대역 내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정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대역 설정이 5GHz 대역 내인 경우에는, 유저가 명시적으로 설정한 P2P 모드로의 설정 변경을 우선하여, CPU(602)는, P2P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모드 설정 3으로 설정을 전환한다. 그 때문에, CPU(602)는, 스텝 S1304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무효하게 되는 것을, 예를 들면, 경고 메시지를 표시 등에 의해 출력해서 경고한 후에, 스텝 S1305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무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S1306에서, CPU(602)는, 원하는 P2P 모드를 2.4GHz 대역에서 기동한다. 스텝 S1303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설정에서 2.4GHz 대역이 설정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307로 진행되고,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동일한 채널 및 2.4GHz 대역 내의 주파수 대역을 P2P 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처리가 스텝 1306으로 진행되어 P2P 모드를 기동한다.
상기 순서에 의해, P2P 모드를 유효화할 때에, 제1 및 제2의 제약을 충족시킨 후에, P2P 모드의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유효화
무선 칩 세트의 제약이, IF 전환의 장벽이 되는 패턴으로서, 통신 모드 설정 3으로부터 5GHz 대역을 사용하는 다른 통신 모드 설정으로 변경하는 경우가 있다. 통신 모드 설정 3의 상태에서는, P2P 모드에 대해서 2.4GHz 대역이 설정되고, 도 4c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에서, 과거에 5GHz 대역에서 셋업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무효 설정으로부터 유효 설정으로 전환하면, 무선 칩 세트의 제1 및 제2의 제약이 장벽이 된다. 즉, 제1의 제약에 의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를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채널/주파수 대역에 따라 P2P 모드를 5GHz 대역에서 기동해야 한다. 그렇지만, 제2의 제약에 의해, P2P 모드에서는 5GHz 대역의 DFS 기능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2.4GHz 대역에서만 P2P 모드를 기동할 수 있다. 도 14는 유저가 명시적으로 설정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의 설정 변경을 우선하여, 설정을 통신 모드 설정 2로 전환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MFP(300)의, 특히 CPU(6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다.
도 14의 스텝 S1401에서, CPU(602)는, 도 4c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에 있어서의 유저 조작을 수신하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무효 설정으로부터 유효 설정으로 전환하는 지시를 실행한다. 스텝 S1402에서, CPU(602)는, P2P 모드 설정의 유효/무효를 판정한다. P2P 모드가 무효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406로 진행된다. 스텝 S1406에서, CPU(602)는, 보존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과 채널을 지정해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기동한다. 도 12에 나타낸 통신 모드 설정 3과 같이 P2P 모드가 유효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403로 진행되고, LAN 설정으로서 이미 보존되어 있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이 5GHz 대역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대역 설정이 5GHz 대역인 경우에는, 유저가 명시적으로 설정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의 설정 변경을 우선한다. 설정을 통신 모드 설정 2로 전환하기 위해서, 스텝 S1404에서 CPU(602)는, P2P 모드가 무효하게 되는 것을, 예를 들면, 경고 메시지를 표시 등에 의해 출력해서 경고한 후에, 스텝 S1405에서 P2P 모드 설정을 무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S1406에서, CPU(602)는, 원하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5GHz 대역에서 기동한다. 스텝 S1403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대해 2.4GHz 대역이 설정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407로 진행되고,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동일한 2.4GHz 대역의 주파수 대역과 채널을 P2P 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스텝1406에서, CPU(602)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기동한다.
상기 순서에 의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유효화할 때에, 제1 및 제2의 제약을 충족시킨 후에,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 무선 통신의 수동 셋업>
다음에, 무선 통신의 수동 셋업 시에 있어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설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MFP(300)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수동 셋업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수동 셋업에서는, 유저 지시에 의해 검색된 주위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이 MFP의 조작 표시부(305)에 표시되고, 유저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그 검색 결과로부터 수동으로 선택한다. 도 15는, MFP(300)의, 특히 CPU(6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다.
스텝 1501에서, CPU(602)는, MFP(300)의 조작 표시부(305)에의 유저 조작을 수신하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수동 셋업의 지시를 실행한다. MFP(300)가 무선 LAN 무효 상태인 경우에는, 아직 무선 IF가 기동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스텝 S1502에서, CPU(602)는, 무선 IF를 기동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순서에서, 유선 LAN 또는 USB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MFP(300)가 무선 LAN 무효 상태로 설정된다.
스텝 1503에서는, CPU(602)는, WLAN 유닛(616)을 사용해서 주위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한다. 도 9에서는, MFP(300)는 기기 탐색 리퀘스트(903)를 송신하고, 주위에 존재하는 외부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는 기기 탐색 응답(904)이 응답된다. 기기 탐색 리퀘스트는, 코맨드 내에서 ESSID 또는 BSSID를 지정하지 않고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함으로써, 주위에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검출된다. 5GHz 및 2.4GHz 대역 양쪽에 대해서, 모든 이용 가능한 채널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브로드캐스트 검색이 행해진다. 이때, 2.4GHz 대역 및 5GHz 대역의 오름차순으로 또는 5GHz 대역과 2.4GHz 대역의 내림차순으로 채널을 검색해도 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400)로부터 회신되는 기기 탐색 응답(904)에는, ESSID, BSSID, 채널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정보를 근거로, MFP의 조작 표시부(305)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 결과를 일람 표시한다.
스텝 S1504에서는, 검색 결과의 일람 표시로부터, 유저가 원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고, CPU(602)는 그 선택 결과를 접수한다. 검색 결과의 일람표시로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ESSID를 식별자로서 표시하는 것은 알기 쉽다. 암호정보(WPA2, WPA, WEP 등), BSSID, 채널, 주파수 대역, 전파 강도 등의 정보를 추가로 표시해도 된다.
스텝 S1505에서는, CPU(602)는, 선택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MFP(300)로부터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접속을 행한다. CPU(602)는, 이미 P2P 설정이 유효하게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스텝 S1506에서 판정한다. 이미 P2P 설정이 유효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CPU(602)는, 5GHz 대역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했는지 아닌지를 스텝 S1507에서 판정한다. 2.4GHz 대역에서 접속한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취득한 채널에 따라 스텝 S1508에서 CPU(602)는, P2P 모드를 유효화한다. 5GHz 대역에서 접속한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는, CPU(602)는 스텝 S1509에서 P2P 모드가 무효하게 되는 것을, 예를 들면, 경고 메시지를 표시 등에 의해 출력해서 경고를 나타낸 후에, 스텝 S1510에서 P2P 모드를 무효화한다.
이렇게, 제1 실시예에서는, 무선 칩 세트에 제1 및 제2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2.4GHz 대역을 우선해서 접속하는 것으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동시 이용을 저해하지 않고 유저가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5GHz 대역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한 경우에는, 유저에게 경고를 표시한 후에, P2P 모드를 무효로 하는 것으로, 제약을 회피한 LAN 설정이 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의 탐색 기능을 이용해서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했을 경우에도, 제약을 회피해서 이용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2.4GHz 대역 우선)>
다음에,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 시에 있어서 2.4GHz 대역을 우선할 때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설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자동 셋업은, 접속지로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푸시 버튼(push button)이나 PIN 코드 방식으로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 셋업이라고 부른다. 구체적으로, WPS(Wi -Fi Protected Setup)®, AOSS®, 및 Easy wireless start® 등의 방법이 있다.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 시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취득한 무선 파라미터의 주파수 정보 중에서, 2.4GHz 대역과 5GHz 대역 중 하나를 우선한 순번으로 접속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무선 칩 세트에 제2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2.4GHz 대역의 우선 접속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동시 이용의 조건을 충족시킬 가능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우선 2.4GHz 대역의 우선 접속을 시도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6a, 도 16b, 및 도 17은 MFP(300)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자동 셋업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6a의 스텝 S1601에서, MFP(300)는, 유저의 키 조작 등에 의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자동 셋업 모드로 이행한다. 도 16a, 도 16b 및 도 17은, MFP(300)의, 특히 CPU(6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다.
스텝 S1602에서, MFP(300)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자동 셋업 시의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400)와 접속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MFP(300)가 액세스 포인트(400)에 접속된 경우에는(스텝 S1602에서 YES), 스텝 S1603에서 액세스 포인트(400)로부터 n개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을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n은 양의 정수). 1개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은, "SSID", "주파수", "인증 방식", "암호방식", 및 "패스프레이즈(passphrase)"로부터 형성된 정보다.
한편, MFP(300)가 액세스 포인트(40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602에서 NO), 스텝 S1605에서 소정의 타임아웃이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타임아웃이 발생한 경우에는(스텝 S1605에서 YES), MFP(300)는 조작 표시부(305)에 에러 화면을 표시하고,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자동 셋업을 종료한다. 한편, 타임아웃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605에서 NO), 처리가 스텝 S1602로 되돌아와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자동 셋업 시의 액세스 포인트(400)와 접속되는 것을 기다린다.
액세스 포인트(400)로부터 n개(즉,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을 수신한 경우에는(스텝 S1603에서 YES), MFP(300)가 스텝 S1604에서 무선 접속 프로파일 카운터 변수 m을 "1"로 초기화한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400)로부터 n개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603에서 NO), 스텝 S1606에서 소정의 타임아웃이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타임아웃이 발생한 경우에는(스텝 S1606에서 YES), MFP(300)는 조작 표시부(305)에 에러 화면을 표시하고,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자동 셋업을 종료한다. 한편, 타임아웃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606에서 NO), 처리가 스텝 S1603로 되돌아와서, 계속해서 액세스 포인트(400)로부터 n개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이 송신되는 것을 기다린다.
스텝 S1607에서, m번째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의 주파수가 2.4GHz 대역 내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주파수가 2.4GHz 대역 내인 경우(스텝 S1607에서 YES), 스텝 S1608에서, MFP(300)의 RAM(604)의 2.4GHz 대역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에, m번째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을 보존한다.
한편, 주파수가 2.4GHz 대역 내에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607에서 NO), 스텝 S1611에서 m번째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의 주파수가 5GHz 대역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주파수가 5GHz 대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스텝 S1611에서 YES), 스텝 S1612에서 MFP(300)의 RAM(604)의 5GHz 대역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에, m번째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을 보존한다. 한편, 주파수가 5GHz 대역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611에서 NO),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케이스 2에서).
스텝 S1609에서, 무선 접속 프로파일 카운터 변수 m을 1개 증분한다. 스텝 S1610에서, n(무선 접속 프로파일 수)과 m(무선 접속 프로파일 카운터 변수)의 대소관계를 판정한다. n(무선 접속 프로파일 수)이 m(무선 접속 프로파일 카운터 변수)보다 작은 경우에는(스텝 S1610에서 YES), 처리가 도 17의 스텝 S1717로 진행된다. MFP(300)의 RAM(604)의 2.4GHz 대역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에, 무선 접속 프로파일이 보존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한편, n(무선 접속 프로파일 수)이 m(무선 접속 프로파일 카운터 변수)보다 큰 경우, 혹은 n(무선 접속 프로파일 수)과 m(무선 접속 프로파일 카운터 변수)이 같은 경우에는(스텝 S1610에서 NO), 처리가 스텝 S1607로 되돌아온다. m번째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의 주파수가 2.4G Hz 대역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후, 스텝 S1610에서 YES가 될 때까지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1608에서 MFP(300)의 RAM(604)의 2.4GHz 대역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에 m번째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을 보존할 때, 예를 들면, 인증 방식, 암호방식의 강도순으로 프로파일을 보존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또한, 스텝 S1612에서 MFP(300)의 RAM(604)의 5GHz 대역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에 m번째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을 보존할 때도, 예를 들면, 인증 방식, 암호방식의 강도순으로 프로파일을 보존해도 된다.
도 17의 스텝 S1717에서, MFP(300)의 RAM(604)의 2.4GHz 대역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에 무선 접속 프로파일이 보존되어 있는지 아닌지 판정한다. 무선 접속 프로파일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717에서 YES), 스텝 S1718에서 2.4GHz 대역의 접속 정보를 지정해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 이 접속 처리에서, MFP(300)는, 테이블의 상위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로부터 순차적으로 무선 접속 프로파일에 대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719에서, 2.4GHz 대역에서 접속이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접속이 성공한 경우에는(스텝 S1719에서 YES), 스텝 S1720에서 MFP(300)의 불휘발성 메모리(605)로부터 P2P 모드 설정을 로드(load)하고, 설정이 유효한지 무효한지 판정한다. P2P 모드 설정이 유효한 경우에는(스텝 S1720에서 YES), MFP(300)는 스텝 S1721에서 P2P 모드를 기동한다. 한편, P2P 모드 설정이 무효한 경우에는(스텝 S1720에서 NO), 처리가 그대로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717에서 MFP(300)의 RAM(604)의 2.4GHz 대역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에 무선 접속 프로파일이 보존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717에서 NO), 처리가 스텝 S1722로 분기된다.
스텝 S1722에서, MFP(300)의 RAM(604)의 5GHz 대역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에 무선 접속 프로파일이 보존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무선 접속 프로파일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722에서 YES), 스텝 S1723에서 5GHz 대역의 접속 정보를 지정해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 이 접속 처리에서, MFP(300)는, 테이블의 상위의 무선 접속 프로파일로부터 순차적으로 무선 접속 프로파일에 대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
한편, 무선 접속 프로파일이 보존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722에서 NO), 스텝 S1720에서 MFP(300)의 불휘발성 메모리(605)로부터 P2P 모드 설정을 로드하고, 설정이 유효한지 무효한지 판정한다. P2P 모드 설정이 유효한 경우에는(스텝 S1720에서 YES), MFP(300)는 스텝 S1721에서 P2P 모드를 기동한다. 한편, P2P 모드 설정이 무효한 경우에는(스텝 S1720에서 NO), 처리가 그대로 종료한다.
스텝 S1724에서, 5GHz 대역에서의 접속이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접속이 성공한 경우에는(스텝 S1724에서 YES), 스텝 S1725에서 MFP(300)의 불휘발성 메모리(605)로부터 P2P 모드 설정을 로드하고, 설정이 유효한지 무효한지 판정한다. P2P 모드 설정이 유효한 경우에는(스텝 S1725에서 YES), MFP(300)는, 스텝 S1726에서 P2P 모드가 무효하게 되는 것을, 예를 들면, 경고 메시지를 조작 화면에 표시 등에 의해 출력해서 유저에게 경고한 후에, 스텝 S1727에서 P2P 모드 설정을 무효화한다. 조작 화면상에서 유저에게 경고하는 내용으로서는, 유저 조작과 직접 관계가 없는 P2P 모드 설정이 자동으로 무효화되는 점을 유저에게 통지해야 한다. P2P 모드 설정이 무효한 경우에는(스텝 S1725에서 NO), 처리가 그대로 종료한다.
한편, 접속이 실패한 경우에는(스텝 S1724에서 N0), MFP(300)는 조작 표시부(305)에 에러 화면을 표시하고,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자동 셋업을 종료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WPS(Wi-Fi Protected Setup), AOSS, Easy wireless start®와 공통인 처리 플로우를 사용하여, 2.4GHz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셋업을 실현한다. 무선 셋업 완료시의 주파수 대역이 보존 영역에 기억되고, 2.4GHz 대역과 5GHz 대역 중 하나가 고정되어 있다. 2.4GHz 대역과 5GHz 대역의 양쪽에 대해서 액세스 포인트를 발견했을 경우에는, 2.4GHz 대역의 우선 접속을 행함으로써 P2P 모드와의 동시 이용의 기회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무선 통신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재접속 후에, 의도하지 않게 무선 칩 세트의 제1 혹은 제2의 제약으로 인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혹은 P2P 모드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5GHz 대역 우선)>
다음에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 시에 있어서 5GHz 대역을 우선할 때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설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 시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취득한 무선 파라미터의 주파수 정보 중에서, 2.4GHz 대역과 5GHz 대역 중의 하나를 우선한 순서로 접속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2.4GHz 대역의 우선의 예에서는, 무선 칩 세트에 제2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2.4GHz 대역의 우선 접속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동시 이용의 조건을 충족시킬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2.4GHz 대역의 우선 접속을 행한다. 그렇지만,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동시 이용보다도, 5GHz의 주파수 대역의 이용을 우선하고 싶은 유저도 존재한다. 여기에서는 5GHz 대역을 우선해서 접속을 시도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5GHz 대역의 우선 접속을 행할 경우,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2.4GHz 대역 우선)>에서 설명한 도 16a 및 16b의 스텝 S1601 내지 S1616과 마찬가지로, 무선 접속 프로파일의 수신과 보존 처리를 행한다. 다만, 5GHz 대역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스텝 S1607, S1608, 및 S1613에서 2.4GHz 대역의 처리를 5GHz 대역의 처리로 교체한다. 또한, 스텝 S1611, S1612, 및 S1615에서 5GHz 대역의 처리를 2.4GHz 대역으로 교체하여 5GHz 대역을 우선으로 한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5GHz 대역의 우선 접속을 행할 경우,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2.4GHz 대역 우선)>에서 설명한 도 17의 스텝 S1717 내지 S1727와 같이, 보존된 무선 접속 프로파일에 따라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 다만, 5GHz 대역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스텝 S1717 및 S1718에서 2.4GHz 대역의 처리를 5GHz 대역의 처리로 교체한다. 또한, 스텝 S1722 및 S1723에서 5GHz 대역의 처리를 2.4GHz 대역의 처리로 교체해서 5GHz 대역을 우선으로 한다.
스텝 S1726의 경고 표시 처리는 5GHz 대역 전용이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된다. 대신에, 5GHz 대역의 처리에 있어서, 스텝 S1721 직전의 타이밍에서 경고 표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텝 S1721에서는 P2P 모드를 무효화하고, 스텝 S1727에서는 P2P 모드를,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같은 대역 및 채널에서 기동한다. 즉, 스텝 S1719 내지 S1721은 2.4GHz 대역에서 접속이 성공한 후의 처리로서 세트로 수행된다. 스텝 S1725 내지 S1727은 5GHz 대역에서 접속이 성공한 후의 처리로서 세트로 수행된다.
이상의 처리 시퀀스에 의해, 무선 칩 세트에 제약이 있을 때에,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통신 모드)의 동시 이용보다도, 5GHz의 주파수 대역의 이용을 우선하고 싶은 경우에 자동 셋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통신 모드들 중의 하나를 무효화하기 위해서, 간단히 무효화 대상의 통신 모드에서의 통신을 정지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 경우에, 무효화된 통신 모드에 관한 설정은 그대로 보존된다. 이것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같다.
상술한 구성 및 순서에 의해,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두 개의 통신 모드를 서포트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하드웨어 제한에 기인하는 대역 제약을 충족시키도록 각 모드의 대역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유저가 그 설정을 지정한 경우에는, 그 지정을 가능한 한 존중한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1대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동시에 동작 가능하고, 또 저비용의 무선 칩 세트에 하드웨어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유저의 편리성을 손상하지 않고 무선 통신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무선 칩 세트가 이용하는 CPU와 안테나를 1개만 채용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동작시키면 펌웨어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이들 무선 인터페이스의 이용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저비용의 무선 칩 세트에의 제1의 제약으로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에서 각각 이용하는 채널(및 주파수 대역)은 매칭될 필요가 있다.
저비용의 무선 칩 세트에의 제2의 제약으로서, P2P 모드(그룹 오너 혹은 소프트웨어 AP)에서는 5GHz 대역의 DFS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즉, 무선 칩 세트에 제1 및 제2의 제약이 있는 경우, 각 무선 인터페이스 설정(예를 들면, 단독 IF/복수 IF)의 상태에 따라,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2.4GHz 혹은 5GHz 대역)이 무선 인터페이스별로 한정될 수도 있다. 이용가능한 주파수 대역과, 복수의 인터페이스의 동시 이용에 대해서 트레이드 오프(trade-off)의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제약을 무선 디바이스 내부의 제어에 의해 회피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5GHz 대역의 이용은, P2P 모드가 무효일 경우에,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대해서 허용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2개의 통신 모드를 동시에 이용할 경우에는, 양쪽 모두에 대해서 2.4GHz 대역을 설정함으로써, 2.4GHz 대역의 이용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두 개의 제약에 따라, 양쪽 통신 모드에서 같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동시에, DFS를 기능시키지 않고 5GHz 대역을 이용하는 사태를 방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5GHz 대역은, DFS로 규정되어 있는 대역(예를 들면, W53 및 W56)과, DFS를 필요로 하지 않는 대역(예를 들면, W52)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DFS가 필요한 대역을 회피하면, P2P 모드에서 5GHz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W52 대역(5.2GHz 대역(5,150 내지 5,250MHz), W53 대역(5.3GHz 대역(5,250 내지 5,350MHz)), 및 W56 대역(5.6GHz 대역(5,470 내지 5,725MHz))이 5GHz 대역에서 이용 가능한 대역으로서 규정되어 있고, W52 대역만 DFS에 의한 간섭파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 유념한다. 예를 들면, W52 대역은, 채널 36, 40, 44, 48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의 제약과 제2의 제약을 회피하기 위해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에, 장치는, DFS로 규정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 이외 5GHz 대역(W53 및 W56 이외의 대역. 예를 들면 W52 대역 등) 혹은 2.4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만 동작하는 경우에는, 장치는 접속지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따라 5GHz 및 2.4GHz 대역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는, DFS 기능에 관한 제약은 없기 때문에, 이 경우 5GHz 대역의 어느 대역이든 선택해도 된다. P2P 모드만 동작하는 경우에는, 장치는 DFS로 규정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 이외 5GHz 대역 혹은 2.4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설정 방법의 구체적인 예로서, LAN 설정에 의한 IF의 유효/무효 전환 방법, 무선 통신의 수동 셋업 방법, 및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 방법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도면 및 그것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과 각 장치의 구성, 및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및 P2P 모드의 기본적인 설명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그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LAN 설정에 의한 IF의 유효/무효>
본체 조작부는, 도 4c에 나타낸 본체 조작 화면 혹은 케이블리스 셋업을 통해서, 사용하는 IF의 유효/무효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선 LAN의 사용과 무선 LAN의 사용은 배타적이다. 유선 LAN을 유효하게 한 상태에서는, 동시에 무선 LAN를 유효하게 할 수 없다. 반대로, 무선 LAN이 유효한 상태에서는, 동시에 유선 LAN을 유효하게 할 수도 없다. 유선 LAN 과 무선 LAN을 동시에 무효하게 하는 것은 가능하다. USB IF는 유저에 의해 무효화될 수 없지만, USB IF는 기동시에 항상 유효화될 수 있고, 유선 LAN 혹은 무선 LAN과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무선 LAN에 대해서는, P2P 모드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설정되고, 각 모드는 개별적으로 유효/무효화될 수 있다. P2P 모드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동시에 유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MFP(300)는, P2P 통신과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설정한 유효/무효의 상태는 불휘발성 메모리(605)에 보존되고, 다음번의 기동시에 참조되어서, 보존된 정보에 근거해 각 IF가 유효화된다.
본체의 LAN 설정 항목을 초기화할 때는, P2P 모드 및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는 무효하게 된다. 유선 LAN도 무효하게 되고, 유선 LAN도 무선 LAN도 사용되지 않는다. LAN 설정을 초기화한 유저는, 원하는 IF의 설정을 개별적으로 유효 설정으로 변경해서 IF를 사용한다.
●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모드 설정
도 18을 참조하여, IF의 전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LAN 설정 값으로서, 통신 모드와 주파수 대역의 설정 가능한 조합을 나타낸다. 통신 모드 설정 1 및 2의 각각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유효로, P2P 모드가 무효로 설정된 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LAN 무효 상태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셋업을 행하고, 2.4 GHz 대역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 완료했을 때의 무선 설정을 보존한 경우에는, 통신 모드 설정 1이 취득된다. 통신 모드 설정 1 및 2에 관해서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LAN 설정(유효/무효)은 같지만, 무선 접속에 성공한 결과, 보존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은 다르기 때문에, 테이블에서는 통신 모드 설정 1 및 2가 명시적으로 구별되어 있다.
통신 모드 설정 3 및 4의 각각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무효로, P2P 모드가 유효로 설정된 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LAN 무효 상태에서, 도 4c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에서, P2P 모드를 무효 설정으로부터 유효 설정으로 전환하면, 통신 모드 설정 3이 보존된다. P2P 모드가 5GHz 혹은 2.4GHz 대역에서 동작하는지 여부의 설정을 유저가 변경할 수 있게 해도 된다. 통신 모드 설정 4에서 선택할 수 있는 P2P 모드의 주파수 대역은, DFS의 이용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대역에 한정된다.
무선 칩 세트에의 제약이 IF의 전환의 장벽이 되는 패턴으로서, 통신 모드 설정 2로부터 다른 통신 모드 설정으로의 전환이 있다. 통신 모드 설정 2의 상태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대해서 5GHz 대역이 설정되고, 도 4c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에서, P2P 모드를 무효 설정으로부터 유효 설정으로 전환하면,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1 및 제2의 제약이 장벽이 된다. 즉, 제1의 제약에 의해, 2개의 모드를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해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채널/주파수 대역에 따라 P2P 모드도 5GHz 대역에서 기동해야만 한다. 그렇지만, 제2의 제약에 의해, P2P 모드에서는 5GHz 대역의 DFS 기능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2.4GHz 대역에서만 P2P 모드를 기동할 수 있다. 도 19는 유저가 명시적으로 설정한 P2P 모드로의 설정 변경을 우선하여, P2P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통신 모드 설정으로 설정을 전환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MFP(300)의, 특히 CPU(6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다.
도 19의 스텝 S1901에서, 도 4c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를 통해 유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수신하면, P2P 모드를 무효 설정으로부터 유효 설정으로 전환하는 지시가 실행된다. 스텝 S1902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설정의 유효/무효 판정을 행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무효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906로 진행된다. 스텝 S1906에서, P2P 모드를, 출하 시에 설정된 혹은 유저에 의해 설정된 2.4GHz 혹은 5GHz 대역의 채널에서 기동한다. P2P 모드에서 5GHz 대역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DFS의 이용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채널이 선택되고, 설정된 채널을 사용해서 P2P 모드를 기동한다. 다만, P2P 모드의 유효화와 함께 채널이 유저 등에 의해 재차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906에서는, DFS의 이용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대역의 채널을 다시 설정해서 P2P 모드를 기동한다. 선택 화면에는 제약이 있을 수 있으므로 DFS의 이용이 규정되어 있는 대역(DFS 밴드)의 채널을 P2P 모드에서 선택할 수 없다. 또는, DFS 밴드가 유저에 의해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미리 등록되어 있고 DFS의 이용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대역의 채널을 설정하도록, 설정을 변경해도 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유효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903로 진행되고, LAN 설정으로서 이미 보존되어 있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설정의 주파수 대역이 5GHz의 DFS 기능으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이후, DFS 이용 밴드라고 부른다)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설정이 5GHz 대역의 DFS 이용 밴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유저가 명시적으로 설정한 P2P 모드로의 설정 변경을 우선하여, P2P 모드를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모드 설정 3 또는 4로 전환한다. 스텝 S1904에서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무효하게 되는 것을 경고한 후에, 스텝 S1905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설정을 무효로 한다. 스텝 S1906에서, 원하는 P2P 모드를 기동한다. 다만, 5GHz 대역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DFS 이용 밴드 이외의 밴드가 설정된다.
스텝 S1903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설정에서 DFS 이용 밴드 이외 5GHz 대역 혹은 2.4GHz 대역이 설정되는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907로 진행되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같은 채널 및 주파수 대역을 P2P 모드로 설정해서 스텝 S1906에서 P2P 모드를 기동한다.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약이 IF 전환의 장벽이 되는 패턴으로서, 통신 모드 설정 4(5GHz 대역의 P2P 모드)로부터,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유효화해서 2.4GHz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모드 설정으로 변경하는 경우가 있다. 즉,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설정이 변경된다.
통신 모드 설정 4의 상태에서, P2P 모드에 대해서는 DFS 이용 밴드를 제외하는 5GHz 대역이 설정되어 있다. 도 4c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에서, 과거에 5GHz 대역에서 접속하도록 셋업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무효 설정으로부터 유효 설정으로 전환하면,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1 및 제2의 제약이 장벽이 된다. 즉, 제1의 제약에 의해, 2개의 모드를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채널/주파수 대역에 따라 P2P 모드도 5GHz 대역에서 기동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제2의 제약에 의해, P2P 모드에서는 5GHz 대역의 DFS 기능의 DFS 이용 밴드를 사용할 수 없다. 도 20은, 유저가 명시적으로 설정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의 설정 변경을 우선하여, 통신 모드 설정 1 혹은 2로 설정을 전환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MFP(300)의, 특히 CPU(6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다.
도 20의 스텝 S2001에서, 도 4c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를 통한 유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수신하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무효 설정으로부터 유효 설정으로 전환하는 지시가 실행된다. 스텝 S2002에서는, P2P 모드 설정의 유효/무효 판정을 행한다. P2P 모드가 무효한 경우에는, 스텝 S2006로 진행되고, 과거에 설정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과 채널을 지정해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기동한다. 한편, 통신 모드 설정 4와 같이 P2P 모드가 유효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2003로 진행되고, 과거에 보존되어 있는 무선 인프라 설정의 주파수 대역이 5GHz 대역의 DFS 이용 밴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DFS 이용 밴드가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유저가 명시적으로 설정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의 설정 변경을 우선한다. 통신 모드 설정 1 또는 2로 설정을 전환하기 위해서, 스텝 S2004에서 P2P 모드가 무효하게 되는 것을 경고한 후에, 스텝 S2005에서 P2P 모드 설정을 무효로 한다. 스텝 S2006에서는, 원하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5GHz 혹은 2.4GHz 대역에서 기동한다. 스텝 S2003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설정의 주파수 대역이 DFS 이용 밴드 이외 5GHz 대역 혹은 2.4GHz 대역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2007로 진행되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같은 채널 및 주파수 대역을 P2P 모드로 설정해서, 스텝 2006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기동한다.
< 무선 통신의 수동 셋업>
도 21은 MFP(300)가 실행하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수동 셋업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MFP(300)의, 특히 CPU(6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다. 수동 셋업에서는, 유저 지시에 의해 검색된 주위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이 MFP의 조작 표시부(305)에 표시되고, 유저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 결과로부터 수동으로 선택하기 때문에, 수동 셋업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2101 내지 S2106의 처리는, 제1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의 수동 셋업>의 스텝 S1501 내지 S1506과 같은 처리다.
스텝 S2106에서 이미 P2P 설정이 유효하게 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5GHz 대역의 DFS 이용 밴드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했는지 아닌지를 스텝 S2107에서 판정한다. DFS이용 밴드 이외 5Hz 대역 또는 2.4GHz 대역에서 접속한 경우에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취득한 채널에 따라, 스텝 2108에서 P2P 모드를 유효화한다. 5GHz 대역의 DFS 이용 밴드에서 접속을 행한 경우에는, 스텝 S2109에서 경고를 표시한 후에, 스텝 S2110에서 P2P 모드를 무효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1 및 제2의 제약은, DFS 이용 밴드에서 접속을 행한 경우 이외에,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주파수대를 매칭해서 접속을 행함으로써 유저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동시 이용을 저해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5GHz 대역의 DFS 이용 밴드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한 경우에는, 유저에게 경고를 표시한 후에, P2P 모드를 무효로 함으로써, 제약을 회피한 LAN 설정이 되도록 유도한다.
<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 시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취득한 무선 파라미터의 주파수 정보 중에서 2.4GHz 대역과 5GHz 대역 중 하나를 우선한 순서로 접속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무선 칩 세트에 제2의 제약이 있지만, DFS이용 밴드 이외에 5GHz 대역에서 접속을 행하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동시 이용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5GHz 대역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우선하고, 또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를, 최대한 주파수 대역을 맞춰서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5GHz 대역의 우선 접속을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행할 경우에,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5GHz 대역 우선)>의 설명에 따라, 도 16a 및 16b의 스텝 S1601 내지 S1616와 마찬가지로 무선 접속 프로파일의 수신과 보존 처리를 행한다. 그 후의 처리에 대해서,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MFP(300)의, 특히 CPU(6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다. 도 22의 스텝 S2201 내지 S2204에서의 처리는, 도 17의 스텝 S1717 내지 S172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5GHz 대역 우선)>의 5GHz 대역의 접속 처리와 같다.
5GHz 대역에서 무선 접속에 성공한 경우에는(스텝 S2203에서 YES), 스텝 S2204에서 MFP(300)의 불휘발성 메모리(605)로부터 P2P 모드 설정을 로드하고, 설정이 유효한지 무효한지 판정한다. P2P 모드 설정이 유효한 경우에는(스텝 S2204에서 YES), DFS 이용 밴드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했는지 아닌지를 스텝 S2205에서 판정한다.
DFS 이용 밴드에서 접속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MFP(300)는, 스텝 S2206에서 유저에게 조작 화면상에서 경고를 표시한 후에, 스텝 S2207에서 P2P 모드 설정을 무효로 한다. 유저에게 조작 화면상에서 경고하는 내용으로서는, 유저 조작과는 직접 관계가 없는 P2P 모드 설정이 자동으로 무효화되는 점을 유저에게 통지해야 한다. P2P 모드 설정이 무효한 경우에는(스텝 S2204에서 NO), 처리가 그대로 종료한다.
도 22의 스텝 S2208 내지 S2210에서의 처리는, 도 17의 스텝 S1722 내지 S1724을 참조해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5GHz 대역 우선)>의 2.4GHz 대역의 접속 처리와 같다. 그렇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1의 제약과 제2의 제약을 회피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에는, 장치가, DFS로 규정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 이외에 5GHz 대역 혹은 2.4GHz에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스텝 S2211 또는 S2204에서 P2P 모드가 유효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채널/주파수 대역에 따라 스텝 S2212에서 P2P 모드를 기동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의 채널이 제약에 의해 P2P 모드에서 이용될 수 없는 경우에는, P2P 모드는, 경고를 발한 후에(스텝 S2206), 무효화된다(스텝 S2207).
이상의 방법에 의해, WPS(Wi-Fi Protected Setup), AOSS, Easy wireless start®와 공통인 처리 시퀀스를 사용하여, 2.4GHz 혹은 5GHz 대역의 무선 셋업을 실현한다. 무선 셋업 완료시의 주파수 대역을 보존 영역에 기억해 두고, 2.4GHz 대역과 5GHz 대역 중 하나를 고정한다. 그것에 의해서 무선 통신이 비접속되었을 때의 재접속 후에, 의도하지 않게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1의 제약 혹은 제2의 제약으로 인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혹은 P2P 모드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DFS 이용 밴드를 회피해서 5GHz 대역의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P2P 모드에서도 5GHz 대역을 이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2의 제약에 적합하면서, 대역에 관한 선택의 여지가 증가하여, 더 효율적인 대역을 선택해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2개의 통신 모드(P2P 모드 및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동일한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제1의 제약에도 적합하다.
<< 제3 실시예>>
1대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가 동시에 동작가능하고, 또 저비용의 무선 칩 세트에 하드웨어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유저의 편리성을 손상하지 않고 무선 통신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기재된 제1의 제약은,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칩 세트의 CPU 구성 및 안테나 구성을 증가시키는 등의 추가 비용을 부가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다. 그 결과,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에도,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에서 독립적인 채널(및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는 제1의 제약은 없다. 다만, 각 구성을 증가시키는 만큼, 무선 칩 세트에 추가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저비용의 제품에 무선 칩 세트를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저비용의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2의 제약으로서는, P2P 모드(그룹 오너 혹은 소프트웨어 AP)에서는 5GHz 대역의 DFS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점을 전제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의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서, P2P 모드를, DFS로 규정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 이외에 5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그 결과, 단일 인터페이스 동작/복수 인터페이스 동작에 관계없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는, 접속지로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따라 5GHz 및 2.4GHz 대역 중의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단일 인터페이스 동작/복수 인터페이스 동작에 관계없이, P2P 모드는, DFS로 규정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 이외에 5GHz 대역 혹은 2.4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설정 방법의 구체적인 예로서, LAN 설정에 의한 IF의 유효/무효 전환 방법, 무선 통신의 수동 셋업 방법, 및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 방법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각 실시예와 공통되는 도면 및 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시스템의 구성 및 각 장치의 구성과,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및 P2P 모드의 기본적인 설명 등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LAN 설정에 의한 IF의 유효/무효>
본체 조작부는, 도 4c에 나타낸 본체 조작 화면 혹은 케이블리스 셋업을 통해서, 사용하는 IF의 유효/무효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선 LAN의 사용과 무선 LAN의 사용은 배타적이다. 유선 LAN을 유효하게 한 상태에서, 동시에 무선 LAN을 유효하게 할 수 없다. 반대로 무선 LAN이 유효한 상태에서, 동시에 유선 LAN을 유효하게 할 수도 없다. 유선 LAN과 무선 LAN을 동시에 무효로 하는 것은 가능하다. USB IF는 유저에 의해서 무효로 될 수 없지만, USB IF는 기동시에 항상 유효화될 수 있고, 유선 LAN 혹은 무선 LAN과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무선 LAN에 대해서는, P2P 모드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설정되고, 각 모드가 개별적으로 유효/무효화될 수 있다. P2P 모드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동시에 유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때, MFP(300)는, P2P 통신과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설정한 유효/무효의 상태는 불휘발성 메모리(605)에 보존되고, 다음번의 기동시에도 참조되어서, 보존된 정보에 근거해 각 IF가 유효화된다.
본체의 LAN 설정 항목을 초기화할 때는, P2P 모드 및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는 무효가 된다. 유선 LAN도 무효가 되고, 유선 LAN과 무선 LAN은 사용되지 않는다. LAN 설정을 초기화한 유저는, 원하는 IF의 설정을 개별적으로 유효 설정으로 변경해서 IF를 사용한다.
도 23을 참조하여, IF의 전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LAN 설정 값으로서, 통신 모드와 주파수 대역의 설정 가능한 조합을 나타낸다.
통신 모드 설정 1 및 2의 각각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유효로, P2P 모드가 무효로 설정된 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LAN 무효 상태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셋업을 행하고, 2.4GHz 대역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완료했을 때의 무선 설정을 보존한 경우에는, 통신 모드 설정 1이 취득된다. 통신 모드 설정 1 및 2에 관해서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LAN 설정(유효/무효)은 같지만, 무선 접속에 성공한 결과, 보존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이 다르기 때문에, 테이블에서는 통신 모드 설정 1 및 2가 명시적으로 구별되어 있다.
통신 모드 설정 3 및 4의 각각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무효로, P2P 모드가 유효로 설정된 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LAN 무효 상태에서, 도 4c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상에서, P2P 모드를 무효 설정으로부터 유효 설정으로 전환하면, 통신 모드 설정 3이 보존된다. 유저는, P2P 모드가 5GHz 혹은 2.4GHz 대역에서 동작하는지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약이 IF 전환의 장벽이 되는 패턴은 없다.
P2P 모드를, 2.4GHz, 또는 5GHz 대역에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대역을 DFS 이용 밴드 이외의 대역으로 한정해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면 된다.
< 무선 통신의 수동 셋업>
도 24는 MFP(300)가 실행하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수동 셋업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4는, MFP(300)의, 특히 CPU(6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다. 수동 셋업에서는, 유저 지시에 의해 검색된 주위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이 MFP의 조작 표시부(305)에 표시되고, 유저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 결과로부터 수동으로 선택하기 때문에, 수동 셋업이라고 부르고 있다. 흐름도 전반(first half)의 스텝 S2401 내지 S2405의 처리는, 제1 실시예의 <무선 통신의 수동 셋업>에서 설명한 도 15의 스텝 S1501 내지 S1505와 같다.
스텝 S2406에서 이미 P2P 설정이 유효하게 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2407에서 DFS 이용 밴드 이외 5Hz 대역 또는 2.4GHz 대역을 P2P 모드로 설정하고, 스텝 2408에서 P2P 모드를 유효화한다. 스텝 S2406에서 P2P 설정이 무효하게 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는,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1의 제약은 없다. 이 때문에,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주파수 대역과 채널을 매칭할 필요가 없다. 다만, 제2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P2P 모드를 DFS 이용 밴드 이외 5GHz 대역 또는 2.4GHz 대역에서 기동한다.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 시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취득한 무선 파라미터의 주파수 정보 중에서, 2.4GHz 대역 및 5GHz 대역 중 하나를 우선한 순서로 접속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2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DFS 이용 밴드 이외에 5GHz 대역에서 접속을 행하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동시 이용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5GHz 대역에서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접속을 우선하고, 또 P2P 모드를 DFS 이용 밴드 이외 5GHz 대역에서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5GHz 대역을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우선 접속할 경우에,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5GHz 대역 우선)>의 설명에 따라, 도 16a 및 16b의 스텝 S1601 내지 S1616과 같이, 무선 접속 프로파일의 수신과 보존 처리를 행한다. 그 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MFP(300)의, 특히 CPU(6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
도 25의 스텝 S2501 내지 S2504이 처리는, 도 17의 스텝 S1717 내지 S172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5GHz 대역 우선)>의 5GHz 대역의 접속 처리와 같다.
5GHz 대역에서 무선의 접속에 성공한 경우에는(스텝 S2503에서 YES), 스텝 S2504에서 MFP(300)의 불휘발성 메모리(605)로부터 P2P 모드 설정을 로드하고, 설정이 유효한지 무효한지 판정한다. P2P 모드 설정이 유효한 경우에는(스텝 S2504에서 YES), DFS 이용 밴드 이외의 대역에서 P2P 모드를 기동한다(스텝 S2505). 이때,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1의 제약은 없기 때문에,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주파수 대역과 채널을 매칭할 필요는 없다. P2P 모드 설정이 무효한 경우에는(스텝 S2504에서 NO),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도 25의 스텝 S2506 내지 S2508은, 도 17의 스텝 S1722 내지 S1724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5GHz 대역 우선)>의 2.4GHz 대역의 접속 처리와 같다. 스텝 S2504 및 S2505의 P2P 모드 기동 처리는, 2.4GHz 혹은 5GHz 대역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과의 접속이 성공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공통의 처리이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WPS(Wi-Fi Protected Setup), AOSS, Easy wireless start®와 공통인 처리 시퀀스를 사용하여, 2.4GHz 혹은 5GHz 대역에 대한 무선 셋업을 실현한다.
무선 셋업 완료시의 주파수 대역을 보존 영역에 기억해 두고, 2.4GHz 대역 및 5GHz 대역 중 하나가 고정되어 있다. 다만,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무선 통신이 비접속되었을 때의 재접속 후에, 의도하지 않게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약으로 인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혹은 P2P 모드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반드시 무선 셋업 완료시의 주파수 대역을 보존 영역에 기억해 두고, 2.4GHz 대역 및 5GHz 대역 중 하나를 고정할 필요는 없다.
도 16a 및 16b의 스텝 S1601 내지 S1616과 마찬가지로, 무선 접속 프로파일의 수신과 보존 처리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MFP(300)의 RAM(604)의 5GHz 대역 및 2.4GHz 대역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에 무선 접속 프로파일이 존재한다. 무선 셋업 완료시의 주파수 대역으로서는, 아래의 주파수 설정 중의 하나를 불휘발성 메모리(605)에 보존할 수 있다.
A: 2.4 GHz
B: 5 GHz
C: 2.4 GHz + 5 GHz
C의 조합은, P2P 모드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특정 통신 모드에서 사용된 특정 주파수에 따라 2가지의 프로파일로 더 나누어질 수 있다. 무선 칩 세트가 2.4GHz 및 5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고, 또 제1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재접속지 액세스 포인트의 주파수 대역에 의존해서 의도하지 않게 P2P 모드가 제1의 제약으로 인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접속지에 따라 "A: 2.4GHz" 또는 "B: 5GHz"을 고정해서 보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무선 칩 세트가 2.4GHz 및 5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고, 또 제1의 제약이 없는 경우에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접속지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의도하지 않게 P2P 모드가 제1의 제약으로 인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모드마다(즉, 무선 인터페이스마다) 주파수 대역을 설정한 "C: 2.4GHz + 5GHz"를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5GHz 대역 혹은 2.4GHz 대역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이 비접속되었을 때의 접속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이 5GHz 대역의 DFS 이용 밴드 혹은 DFS 이용 밴드 이외의 주파수 대역에서 재접속되었더라도, P2P 모드는 무효화되지 않고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DFS 이용 밴드를 회피해서 5GHz 대역의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P2P 모드에서도 5GHz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역에 관한 선택의 여지가 증가하여, 더 효율적인 대역을 선택해서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제4 실시예>>
1대의 무선 디바이스에 복수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고, 또 저비용의 무선 칩 세트에 하드웨어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유저의 편리성을 손상하지 않고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동시에 동작하지 않는 예(즉, 복수의 통신 모드의 각각이 단독으로 동작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기재된 제1의 제약이 통신상의 실질적인 제약이 되는 일은 없다. 저비용의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2의 제약으로서, P2P 모드(그룹 오너 혹은 소프트웨어 AP)에서는 5GHz 대역의 DFS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점을 전제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각 실시예와 공통되는 도면 및 그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및 각 장치의 구성과,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및 P2P 모드의 기본적인 설명 등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LAN 설정에 의한 IF의 유효/무효>
본체 조작부는, 도 4c에 나타낸 본체 조작 화면 혹은 케이블리스 셋업을 통해서, 사용하는 IF의 유효/무효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선 LAN의 사용과 무선 LAN의 사용은 배타적이다. 유선 LAN을 유효하게 한 상태에서, 동시에 무선 LAN을 유효하게 할 수는 없다. 반대로, 무선 LAN이 유효한 상태에서, 동시에 유선 LAN을 유효하게 할 수도 없다. 유선 LAN과 무선 LAN을 동시에 무효하게 하는 것은 가능하다. USB IF는 유저에 의해 무효하게는 될 수 없지만, USB IF는 기동시에 항상 유효화될 수 있고, 유선 LAN 혹은 무선 LAN과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무선 LAN에 대해서는, P2P 모드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설정되고, 각 모드는 개별적으로 유효/무효화될 수 있다. 다만, P2P 모드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동시에 유효하게 할 수는 없다. 설정한 유효/무효의 상태는 불휘발성 메모리(605)에 보존되고, 다음번의 기동시에 참조되어서, 보존된 정보에 근거해 각 IF가 유효화된다. 본체의 LAN 설정 항목을 초기화할 때는, P2P 모드 및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는 무효가 된다. 유선 LAN도 무효가 되고, 유선 LAN과 무선 LAN은 사용되지 않는다. LAN 설정을 초기화한 유저는, 원하는 IF의 설정을 개별적으로 유효 설정으로 변경해서 IF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유효화했을 경우에, 다른 통신 모드가 유효화되면, 다른 통신 모드를 무효화하고 나서, 유효화 대상의 통신 모드를 유효화한다. 제2의 제약을 충족시키기 위해, P2P 모드에서는, 2.4GHz 대역의 이용은 허용하지만, 5GHz 대역의 이용은 허용하지 않는다.
도 26을 참조하여, IF의 전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LAN 설정 값으로서, 통신 모드와 주파수 대역의 설정 가능한 조합을 나타낸다. 통신 모드 설정 1 및 2의 각각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유효로, P2P 모드가 무효로 설정된 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LAN 무효 상태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셋업을 행하고, 또 2.4GHz 대역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완료했을 때의 무선 설정을 보존한 경우에는, 통신 모드 설정 1이 취득된다. 통신 모드 설정 1 및 2에 관해서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의 LAN 설정(유효/무효)이 같지만, 무선 접속에 성공한 결과, 보존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테이블에서는 통신 모드 설정 1 및 2가 명시적으로 구별되어 있다.
통신 모드 설정 3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무효로, P2P 모드가 유효 로 설정된 패턴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LAN 무효 상태에서, 도 4c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에서, P2P 모드를 무효 설정으로부터 유효 설정으로 전환하면, 통신 모드 설정 3이 보존된다. P2P 모드는 DFS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2.4GHz 대역을 고정해서 동작시킨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가 배타적으로 동작하고, 또 P2P 모드에서 2.4GHz 대역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약이 IF의 전환의 장벽이 되는 패턴은 없다.
< 무선 통신의 수동 셋업>
도 27은 MFP(300)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수동 셋업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MFP(300)의, 특히 CPU(6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다. 수동 셋업에서는, 유저 지시에 의해 검색된 주위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일람이 MFP의 조작 표시부(305)에 표시되고, 유저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 결과로부터 수동으로 선택하기 때문에, 수동 셋업이라고 부르고 있다. 흐름도 전반의 스텝 S2701 내지 S2705의 처리는, 제1 실시예의 <무선 통신의 수동 셋업>에서 설명한 도 15의 스텝 S1501 내지 S1505의 처리와 같다.
스텝 S2706에서 이미 P2P 설정이 유효하게 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707에서 MFP의 조작 표시부(305)상에서 경고 화면을 표시한다.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가 배타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가 유효하게 되면, P2P 모드가 스텝 S2708에서 무효화된다. 스텝 S2706에서 P2P 설정이 무효하게 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P2P 모드가 배타적으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1의 제약은 관계 없게 된다.
<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 시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취득한 무선 파라미터의 주파수 정보 중에서, 2.4GHz 대역 및 5GHz 대역 중 하나를 우선한 순서로 접속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제4 실시예에서는, 무선 칩 세트에 제2의 제약이 있고, 이 제2의 제약을 회피하기 위해서 2.4GHz 대역을 고정해서 P2P 모드를 동작시킨다. 여기에서는 5GHz 대역의 무선 인프라 접속을 우선하고, 또 2.4GHz 대역을 고정해서 P2P 모드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5GHz 대역을 우선해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경우에,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5GHz 대역 우선)>의 설명에 따라, 도 16a 및 16b의 스텝 S1601 내지 S1616과 마찬가지로, 무선 접속 프로파일의 수신과 보존 처리를 행한다. 그 후의 처리에 대해서,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MFP(300)의, 특히 CPU(6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낸다.
도 28의 스텝 S2801 내지 S2804의 처리는, 도 17의 스텝 S1717 내지 S172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5GHz 대역 우선)>의 5GHz 대역의 접속 처리와 같다.
5GHz 대역에서 무선의 접속에 성공한 경우에는(스텝 S2803에서 YES), 스텝 S2804에서 MFP(300)의 불휘발성 메모리(605)로부터 P2P 모드 설정을 로드하고, 설정이 유효한지 무효한지 판정한다. P2P 모드 설정이 유효한 경우에는(스텝 S2804에서 YES), 모드들이 배타적으로 동작하도록 스텝 S2805에서 P2P 모드를 무효화한다. P2P 모드 설정이 무효한 경우에는(스텝 S2804에서 NO),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도 28의 스텝 S2806 내지 S2808의 처리는, 도 17의 스텝 S1722 내지 S1724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의 자동 셋업(5GHz 대역 우선)>의 2.4GHz 대역의 접속 처리와 같다. 스텝 S2804 내지 S2805의 P2P 모드 무효화 처리는, 2.4GHz 대역 혹은 5GHz 대역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과의 접속이 성공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공통적인 처리이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WPS(Wi-Fi Protected Setup), AOSS, 및 Easy wireless start®와 공통인 처리 시퀀스를 사용하여, 2.4GHz 혹은 5GHz의 무선 셋업을 실현한다.
무선 셋업 완료시의 주파수 대역을 보존 영역에 기억해 두고, 2.4GHz 대역 및 5GHz 대역 중 하나를 고정한다. 다만,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무선 통신이 비접속되었을 때의 재접속 후에, 의도하지 않게 무선 칩 세트에 대한 제약으로 인해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혹은 P2P 모드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반드시 무선 셋업 완료시의 주파수 대역을 보존 영역에 기억해 두고, 2.4GHz 대역 및 5GHz 대역 중 하나를 고정할 필요는 없다.
도 16a 및 16b의 스텝 S1601 내지 S1616과 마찬가지로, 무선 접속 프로파일의 수신과 보존 처리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MFP(300)의 RAM(604)의 5GHz 및 2.4GHz 대역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에 무선 접속 프로파일이 존재한다. 무선 셋업 완료시의 주파수 대역으로서 이하의 주파수 설정 중 하나를 불휘발성 메모리(605)에 보존할 수 있다.
A: 2.4 GHz
B: 5 GHz
C: 2.4 GHz + 5 GHz
무선 칩 세트가 2.4GHz 및 5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고, 또 제1의 제약이 없는 경우에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재접속지 액세스 포인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의도하지 않게 P2P 모드가 제1의 제약으로 인해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접속지에 따라 "A:2.4GHz" 또는 "B:5GHz"을 고정해서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본 실시예와 같이, 무선 칩 세트가 2.4GHz 및 5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고, 모드들이 배타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제1의 제약이 관계없는 경우에는,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의 접속지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의도하지 않게 P2P 모드가 제1의 제약으로 인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C:2.4GHz + 5GHz"을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5GHz 혹은 2.4GHz 대역의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이 비접속되었을 때의 접속에서,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이 5GHz 대역의 DFS 이용 밴드 혹은 DFS 이용 밴드 이외의 주파수 대역에서 재접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순서에서는 P2P 모드에서의 접속을 유지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 때문에, P2P 모드를 무효화하고 나서, 도 27 및 도 28의 각각에 나타낸 처리를 시작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P2P 모드의 유효성을 테스트하는 스텝과, 그 스텝의 결과에 따라 P2P 모드를 무효화하는 스텝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P2P 모드에서는, DFS를 이용하지 않는 채널에 한정해서 설정을 허용하면, P2P 모드를 5GHz 대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2개의 통신 모드, 즉, P2P 모드와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의 동시 이용을 제한하고, P2P 모드에서는 DFS를 이용하는 대역의 설정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2개의 제약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의 실시예]
상술한 실시예의 각각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예로서, 2.4GHz 대역과 5GHz 대역의 예를 제시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는, 또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무선 LAN 통신 규격의 추가 및 변경 등에 의해 상술한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 대역이 사용 가능하게 되었을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고,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및/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제1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및 DFS(Dynamic Frequency Selection) 기능이 필요하게 되는 특정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2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각각 실행 가능한 통신 장치로서,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단말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의 통신 모드에서 사용하는 사용 채널과, 상기 통신 장치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단말장치와 직접 무선 통신하는 마스터 스테이션이 되는 제2의 통신 모드에서 사용하는 사용 채널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통신이 제1의 통신 모드의 사용 채널로서 제1의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사용하여 행해지는 경우, 제2의 통신 모드의 채널은 제1의 통신 모드의 사용 채널에 근거하여 설정되며,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사용 채널로서 특정의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제1의 통신 모드의 통신을 행하는 경우, 상기 제2의 통신 모드의 통신은 실행되지 않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통신이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사용 채널로서 상기 특정의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2의 통신 모드의 통신은 상기 제2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특정의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와 제2의 통신 모드의 통신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2의 통신 모드의 사용 채널로서,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사용 채널과 동일한 채널이 설정되는,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와 제2의 통신 모드가 확립되는 경우,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통신이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사용 채널로서, 상기 제2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특정의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실행된다면, 상기 제2의 통신 모드의 통신은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사용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 모드가 확립되고,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사용 채널로서 상기 특정의 주파수 대역의 채널이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통신 모드가 확립되는 경우,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통신은 실행되지 않고, 상기 제2의 통신 모드의 통신은 상기 특정의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 모드가 확립되고,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사용 채널로서 상기 특정의 주파수 대역의 채널이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통신 모드가 확립되는 경우,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통신은 실행되지 않고, 상기 제2의 통신 모드의 통신은, 상기 제2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특정의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통신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와 제2의 통신 모드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소정의 통지가 출력되는, 통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와 제2의 통신 모드의 통신은 IEEE 802.11 시리즈에 근거하여 실행되고;
    상기 제1의 통신 모드는,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단말장치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가 구축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모드이며;
    상기 제2의 통신 모드는, 상기 통신 장치의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AP 모드 및 상기 통신 장치가 Wi-Fi Direct의 그룹 오너(Group Owner)로서 기능하는 Wi-Fi 다이렉트 모드 중 하나의 모드인, 통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통신이 상기 특정의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실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2의 통신 모드의 통신은 상기 제2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특정의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통신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통신이 상기 특정의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실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2의 통신 모드의 통신은 실행되지 않는, 통신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주파수 대역은 2.4GHz 대역이며, 상기 제2의 주파수 대역은 5GHz 대역인, 통신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설정 정보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으로부터 취득되고;
    상기 외부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은 확립되고,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통신은 상기 취득한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실행되는, 통신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식별 정보를 포함한 응답 정보가, 상기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외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취득되고;
    상기 취득한 응답 정보에 근거하여, 통신 장치의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식별 정보로부터 선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이 확립되고,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통신이 실행되는, 통신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통신 모드의 통신은, 상기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5GHz 대역 또는 2.4GHz 대역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통신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사용 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인쇄 수단을 더 구비하는, 통신 장치.
  17. 제1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및 DFS(Dynamic Frequency Selection) 기능이 필요하게 되는 특정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제2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각각 실행 가능한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단말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의 통신 모드에서 사용하는 사용 채널과, 상기 통신 장치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단말장치와 직접 무선 통신하는 마스터 스테이션이 되는 제2의 통신 모드에서 사용하는 사용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사용 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통신이 제1의 통신 모드의 사용 채널로서 제1의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사용하여 행해지는 경우, 제2의 통신 모드의 채널은 제1의 통신 모드의 사용 채널에 근거하여 설정되며,
    상기 제1의 통신 모드의 사용 채널로서 특정의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제1의 통신 모드의 통신을 행하는 경우, 상기 제2의 통신 모드의 통신은 실행되지 않는, 제어 방법.
KR1020220031188A 2017-08-10 2022-03-14 통신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553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55887A JP6552563B2 (ja) 2017-08-10 2017-08-10 印刷装置
JPJP-P-2017-155887 2017-08-10
KR1020180092146A KR102375528B1 (ko) 2017-08-10 2018-08-08 통신 장치 및 프린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46A Division KR102375528B1 (ko) 2017-08-10 2018-08-08 통신 장치 및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618A KR20220038618A (ko) 2022-03-29
KR102553782B1 true KR102553782B1 (ko) 2023-07-10

Family

ID=631739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46A KR102375528B1 (ko) 2017-08-10 2018-08-08 통신 장치 및 프린터
KR1020220031188A KR102553782B1 (ko) 2017-08-10 2022-03-14 통신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46A KR102375528B1 (ko) 2017-08-10 2018-08-08 통신 장치 및 프린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521165B2 (ko)
EP (3) EP4325996A3 (ko)
JP (1) JP6552563B2 (ko)
KR (2) KR102375528B1 (ko)
CN (1) CN1093917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6301B1 (en) * 2014-02-13 2021-07-27 Marvell Asia Pte, Ltd. Multi-mode network access device
JP7179520B2 (ja) * 2018-07-31 2022-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36243B2 (ja) * 2018-10-15 2023-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56641B2 (ja) * 2018-12-28 2023-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0145557A (ja) * 2019-03-05 2020-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7031691B2 (ja) * 2019-04-05 2022-03-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78090B2 (ja) * 2019-05-24 2021-12-08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無線lan通信装置、無線lan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83275B2 (ja) * 2019-07-04 2023-05-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と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I693838B (zh) * 2019-09-25 2020-05-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通信裝置及其測試方法
KR20210070581A (ko) * 2019-12-05 202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743358B1 (en) * 2019-12-11 2020-08-1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edicated TDLS link in off-channel 5 GHz band using RSDB
KR102450686B1 (ko) * 2019-12-30 2022-10-0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복수의 단말들간의 무선 연결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EP4136807A1 (en) * 2020-04-17 2023-02-22 Signify Holding B.V. Network node for operation under non-availability of application control hub
JP2024014515A (ja) * 2022-07-22 2024-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2640A1 (en) * 2012-03-22 2013-09-26 Thomas Kenney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intelligent wideband digital frequency selection scannin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3468B2 (ja) * 2008-06-12 2013-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JP5279151B2 (ja) 2009-05-25 2013-09-04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端末装置、及び、通信装置
JP4886814B2 (ja) 2009-05-29 2012-02-29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12015778A (ja) * 2010-06-30 2012-01-19 Toshiba Corp 通信処理装置、及び通信処理方法
EP3716599A1 (en) * 2011-12-12 2020-09-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activating wi-fi direct
JP2013141170A (ja) * 2012-01-06 2013-07-18 Ricoh Co Ltd 通信装置
JP2013183378A (ja) 2012-03-02 2013-09-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003237A1 (en) * 2012-06-29 2014-01-02 Thomas J. Kenney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wireless devices in dynamic frequency selection (dfs) bands
JP6087556B2 (ja) * 2012-09-25 2017-03-01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周波数帯切替方法
JP6216149B2 (ja) 2013-04-26 2017-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54075B2 (ja) 2013-04-26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42241B2 (ja) 2013-04-26 2017-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35437B2 (ja) 2013-04-26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16509B2 (en) 2013-05-22 2016-12-06 Intel IP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in radar transmission channels
US9955505B2 (en) * 2013-12-06 2018-04-24 Apple Inc. Peer-to-peer communications on restricted channels
KR102210956B1 (ko) * 2014-01-06 2021-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이동단말장치 및 이동단말장치의 구동방법
JP6451977B2 (ja) 2014-08-01 2019-01-16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JP6582406B2 (ja) * 2014-12-25 2019-10-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JP2016158032A (ja) 2015-02-23 2016-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316241B2 (ja) * 2015-06-10 2018-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スポイント探索装置、アクセスポイントの探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332314A (zh) 2015-06-15 2017-01-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用于避免设备上不同无线连接间信道重叠的方法及装置
CN106488514B (zh) 2015-08-27 2019-08-02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动态频率选择方法及电子装置
JP6897566B2 (ja) * 2015-11-19 2021-06-30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装置及び方法
KR102444897B1 (ko) * 2016-01-05 2022-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6800647B2 (ja) 2016-07-29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2640A1 (en) * 2012-03-22 2013-09-26 Thomas Kenney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intelligent wideband digital frequency selection scan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91742A (zh) 2019-02-26
EP4325996A3 (en) 2024-03-06
EP3442303A1 (en) 2019-02-13
US20200081665A1 (en) 2020-03-12
CN109391742B (zh) 2020-07-28
EP4325996A2 (en) 2024-02-21
EP3442303B1 (en) 2021-11-10
JP2019036793A (ja) 2019-03-07
KR102375528B1 (ko) 2022-03-17
US10521165B2 (en) 2019-12-31
JP6552563B2 (ja) 2019-07-31
US10949144B2 (en) 2021-03-16
KR20190017672A (ko) 2019-02-20
EP3968732A1 (en) 2022-03-16
EP3968732B1 (en) 2023-12-27
US20190050175A1 (en) 2019-02-14
KR20220038618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3782B1 (ko) 통신 장치 및 제어 방법
EP3209065B1 (en) Transmission of wlan configuration via blutooth
KR102128911B1 (ko)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005560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13938569B (zh) 通信设备和由通信设备执行的控制方法
US980758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CN110784855B (zh) 通信装置和控制方法
US1196326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JP7307789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7212502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264693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7135722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17135766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2023176541A (ja) 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7135770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17135599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