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280B1 -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280B1
KR102553280B1 KR1020210144951A KR20210144951A KR102553280B1 KR 102553280 B1 KR102553280 B1 KR 102553280B1 KR 1020210144951 A KR1020210144951 A KR 1020210144951A KR 20210144951 A KR20210144951 A KR 20210144951A KR 102553280 B1 KR102553280 B1 KR 102553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unit
fixing
skin
fixing part
mold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629A (ko
Inventor
윤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44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280B1/ko
Priority to US18/049,254 priority patent/US20230131654A1/en
Priority to CN202211327057.3A priority patent/CN116021781A/zh
Priority to DE102022128477.8A priority patent/DE102022128477A1/de
Publication of KR2023006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25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applied by a die matching with the profile of the surface of resilient articles, e.g. cushions, sea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73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of non-flat surfaces, e.g. curved, prof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0Remov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47Preventing air-incl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7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using vacuum to hold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 B29C2043/3605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63/0008Registering, centering the lining material on th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는, 제1 성형면을 갖는 제1 금형 유닛; 및 제1 성형면에 대향하며 코어가 탑재되도록 구성되는 제2 성형면을 갖는 제2 금형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금형 유닛은 제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금형 유닛은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제1 금형 유닛 및 제2 금형 유닛 사이에서 스킨의 테두리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IOR MATERIA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코어에 스킨을 압착하여 코어와 스킨이 일체화된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내장재의 고급화가 이뤄지면서 내장재 성형방법으로 인 몰드 그레이닝(In Mold Graining, IMG)이 도입되고 있다. IMG 성형은 전기 주조를 통해 정교한 패턴이나 질감이 구현된 금형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고급스러운 내장재의 표면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리얼 스티치는 자동차 내장재의 고급스러움을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리얼 스티치가 아닌 스티치 모양이 표현된 내장재도 등장하고 있다.
종래 리얼 스티치가 구현된 내장재를 위한 제조 공정은 "① IMG 금형으로 스킨을 프리포밍, ② 프리포밍된 스킨에 리얼 스티치 봉재 작업, ③ 리얼 스티치가 봉재 작업된 스킨과 코어의 가접착, ④ 압착 금형으로 가접착된 스킨과 코어를 압착"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스킨과 코어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금형과 스킨 사이에 위치 편차가 발생함에 따라 스킨과 코어의 압착 공정이 완료된 후 스킨에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킨과 코어의 가접착 후 스킨과 코어를 압착함에 따라, 가접착 장비와 압착 장비의 두개의 장비가 필요하여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금형은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으로 구성되며, 상부 금형의 하면에 코어 또는 스킨이 탑재된다. 따라서, 상부 금형의 하면에 코어 또는 스킨을 탑재하기 위해서는 상부 금형이 소정의 높이로 상승한다음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상부 금형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는 공정이 추가로 소요됨에 따라,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공정이 복잡해지고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형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지 않고도 코어 및 스킨을 금형 내에 장착한 후 코어 및 스킨을 압착할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어 및 스킨을 압착할 때 스킨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는, 제1 성형면을 갖는 제1 금형 유닛; 및 제1 성형면에 대향하며 코어가 탑재되도록 구성되는 제2 성형면을 갖는 제2 금형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금형 유닛은 제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금형 유닛은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제1 금형 유닛 및 제2 금형 유닛 사이에서 스킨의 테두리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는, 제1 고정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고정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는 제1 탄성 부재보다 작은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탄성 부재는 제1 지지 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제1 고정부에 동시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탄성 부재는 제2 지지 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제2 고정부에 동시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고정부는 제2 금형 유닛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스킨의 상측 테두리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고정부는 제1 고정 부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스킨의 하측 테두리와 접촉하여 지지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고정 부재는 각각 복수의 제1 로드를 통하여 제1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동시에 스킨을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고정 부재는 각각 복수의 제2 로드를 통하여 제2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동시에 스킨을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방법은, 제1 성형면을 갖는 제1 금형 유닛과, 제1 성형면에 대향하며 코어가 탑재되도록 구성되는 제2 성형면을 갖는 제2 금형 유닛을 포함하고, 제1 금형 유닛 및 제2 금형 유닛은 제1 금형 유닛 및 제2 금형 유닛 사이에 스킨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1 성형면에 코어를 탑재하는 단계; (b) 제2 고정 부재 상에 스킨을 안착시키는 단계; (c) 제1 고정 부재를 제2 고정 부재로 이동시켜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 사이에서 스킨을 가압 지지하는 단계; 및 (d) 제1 성형면 및 제2 성형면을 밀착시켜 코어 및 스킨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금형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지 않고도 코어 및 스킨을 금형 내에 장착한 후 코어 및 스킨을 압착할 수 있으므로,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코어 및 스킨을 압착할 때 스킨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스킨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키며 불량율을 낮춰 원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를 작동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는 코어(C) 및 스킨(S)을 압착하여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차량용 내장재는 크래쉬 패드, 도어 트림, 콘솔 박스, 암 레스트, 헤드 레스트, 헤드 라이너, 글러브 박스, 대시 보드, 도어 패널 등일 수 있다.
코어(C) 및 스킨(S)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접착제는 코어(C)에 도포되거나 스킨(S)에 도포될 수 있다.
스킨(S)에는 리얼 스티치가 봉재 작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리얼 스티치는 재봉기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리얼 스티치는 스킨(S)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스킨(S)에는 소정의 형태의 폼이 부착될 수 있다. 폼은 코어(C) 및 스킨(S)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폼은 폴리프로필렌 폼, 폴리우레탄 폼,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폼일 수 있으며, 또는, 나일론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계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코어(C)는 경질의 합성수지 사출물일 수 있으며, 일 예로 폴리아마이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수지 사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는 제1 금형 유닛(10), 제2 금형 유닛(20), 공기 조절 유닛(30)을 포함한다.
제1 금형 유닛(10)은 도시되지 않은 승강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금형 유닛(10)은 승강 장치에 의해 제2 금형 유닛(20)에 인접하는 방향 또는 제2 금형 유닛(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금형 유닛(20)은 도시되지 않은 베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제2 금형 유닛(20)은 제1 금형 유닛(10)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금형 유닛(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 금형 유닛(20)이 제1 금형 유닛(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금형 유닛(10) 및 제2 금형 유닛(20)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금형 유닛(10)은 제1 성형부(11), 제1 고정부(12), 제1 지지부(13)를 포함한다.
제1 성형부(11)는 블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성형부(11)는 제2 금형 유닛(20)에 대향하는 제1 성형면(111)을 갖는다. 코어(C) 및 스킨(S)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제1 성형면(111)에는 스킨(S)이 접촉되어 가압될 수 있다. 제1 성형면(111)은 코어(C) 및 스킨(S)을 소정의 형태로 압축하도록 형성된다.
제1 고정부(12)는 스킨(S)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스킨(S)을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2)는 제1 고정 부재(121), 제1 연결 부재(122), 제1 로드(123)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부재(121)는 제2 금형 유닛(20)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고정 부재(121)는 스킨(S)의 테두리와 접촉하여 스킨(S)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금형 유닛(10)이 제2 금형 유닛(20)을 향하여 이동하면, 제1 고정 부재(121)는 제1 성형부(11)와 함께 제2 금형 유닛(20)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12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고정 부재(121)는 제1 연결 부재(12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고정 부재(121)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고정 부재(121)가 동시에 스킨(S)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고정 부재(121)가 스킨(S)을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 로드(123)는 제1 고정 부재(121)와 제1 연결 부재(122)를 연결한다. 제1 로드(123)는 제1 성형부(11)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로드(123)가 제1 성형부(11)를 관통하여 배치되므로, 제1 고정 부재(121)가 제1 금형 유닛(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3)는 제1 탄성 부재(131) 및 제1 지지 부재(132)를 포함한다.
제1 탄성 부재(131)는 제1 연결 부재(122)에 연결된다. 제1 탄성 부재(131)는 제1 연결 부재(122) 및 제1 로드(123)를 통하여 제1 고정 부재(121)로 탄성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제1 고정 부재(121)가 스킨(S)의 테두리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제1 탄성 부재(131)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고정 부재(121)가 스킨(S)의 테두리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13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탄성 부재(131)는 제1 지지 부재(13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탄성 부재(131)는 제1 고정부(12)(복수의 제1 고정 부재(121))에 동시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12)(복수의 제1 고정 부재(121))가 스킨(S)을 보다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금형 유닛(20)은 제2 성형부(21), 제2 고정부(22), 제2 지지부(23)를 포함한다.
제1 성형부(11)는 블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성형부(21)는 제1 금형 유닛(10)에 대향하는 제2 성형면(211)을 갖는다. 코어(C) 및 스킨(S)을 압축하는 과정 이전의 준비 과정에서 제2 성형면(211)에는 코어(C)가 탑재된다. 코어(C) 및 스킨(S)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코어(C)가 제2 성형면(211)에 가압될 수 있다.
제1 성형면(111) 및 제2 성형면(211)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코어(C) 및 스킨(S)은 제1 성형면(111) 및 제2 성형면(21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코어(C) 및 스킨(S)은 제1 성형면(111) 및 제2 성형면(211) 사이에서 소정의 형태로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성형면(111) 및 제2 성형면(211) 사이에 정의되는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차량용 내장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2)는 제1 고정부(12)와 함께 스킨(S)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스킨(S)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고정부(22)는 제2 고정 부재(221), 제2 연결 부재(222), 제2 로드(223)를 포함한다.
제2 고정 부재(221)는 제1 금형 유닛(10)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고정 부재(221) 상에는 스킨(S)의 테두리가 탑재(안착)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221)는 스킨(S)의 테두리와 접촉하여 스킨(S)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고정 부재(221) 상에 스킨(S)이 안착되면, 제1 금형 유닛(10) 및 제2 금형 유닛(20) 사이에서 스킨(S)이 제2 고정 부재(2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고정 부재(221)는 스킨(S)을 제1 성형면(111) 및 제2 성형면(211)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스킨(S)은 제2 고정 부재(221) 자중에 의해 안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고정 부재(221) 상에 흡착홀이 형성될 수 있고, 흡착홀을 통한 공기의 흡입에 의해 스킨(S)이 제2 고정 부재(221) 상에 흡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 고정 부재(221) 상에 접착성 또는 점착성 부재가 탑재될 수 있고, 접착성 또는 점착성 부재에 의해 스킨(S)이 제2 고정 부재(221)에 탑재될 수 있다.
제1 금형 유닛(10)이 제2 금형 유닛(20)을 향하여 이동하면, 제1 고정 부재(121)는 제1 성형부(11)와 함께 제2 금형 유닛(20)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 부재(121) 및 제2 고정 부재(221) 사이에 스킨(S)이 개재된 상태에서 제1 고정 부재(121) 및 제2 고정 부재(221)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킨(S)이 제1 고정 부재(121) 및 제2 고정 부재(221)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스킨(S)이 제1 고정 부재(121) 및 제2 고정 부재(22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는, 스킨(S)이 제1 성형면(111) 및 제2 성형면(211)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22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 고정 부재(221)는 제2 연결 부재(22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2 고정 부재(221)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2 고정 부재(221)가 동시에 스킨(S)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2 고정 부재(221)가 스킨(S)을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로드(223)는 제2 고정 부재(221)와 제2 연결 부재(222)를 연결한다. 제2 로드(223)는 제2 성형부(21)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로드(223)가 제2 성형부(21)를 관통하여 배치되므로, 제2 고정 부재(221)가 제2 금형 유닛(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는 제2 탄성 부재(231) 및 제2 지지 부재(232)를 포함한다.
제2 탄성 부재(231)는 제2 연결 부재(222)에 연결된다. 제2 탄성 부재(231)는 제2 연결 부재(222) 및 제2 로드(223)를 통하여 제2 고정 부재(221)로 탄성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제2 고정 부재(221)가 스킨(S)의 테두리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제2 탄성 부재(231)의 탄성력에 의해, 제2 고정 부재(221)가 스킨(S)의 테두리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23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 탄성 부재(231)는 제2 지지 부재(23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2 탄성 부재(231)는 제2 고정부(22)(복수의 제2 고정 부재(221))에 동시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정부(22)(복수의 제2 고정 부재(221))가 스킨(S)을 보다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231)의 탄성 계수는 제1 탄성 부재(131)의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2 탄성 부재(231)는 동일 힘에 대한 변형률이 제1 탄성 부재(131)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탄성 부재(131)의 강도가 제2 탄성 부재(231)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금형 유닛(10)이 제2 금형 유닛(20)을 가압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제2 탄성 부재(231)가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1 금형 유닛(10)이 제2 금형 유닛(20)을 가압할 때, 제1 탄성 부재(131)가 제1 고정 부재(121)로 적절하게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스킨(S)의 테두리의 양측(도면에서 상하 양측)이 제1 고정 부재(121) 및 제2 고정 부재(221)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도 4 참조).
특히, 스킨(S)이 제1 금형 유닛(10)(즉, 제1 성형면(111)) 또는 제2 금형 유닛(20)(즉, 제2 성형면(211))에 부착되지 않고 제1 고정 부재(121) 및 제2 고정 부재(221)에 의해 제1 금형 유닛(10) 및 제2 금형 유닛(20)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킨(S)을 부착하기 위해 제1 금형 유닛(10) 또는 제2 금형 유닛(20)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는 과정을 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에 따르면, 제1 금형 유닛(10) 또는 제2 금형 유닛(20)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지 않고도 코어(C) 및 스킨(S)을 제1 금형 유닛(10) 및 제2 금형 유닛(20) 사이에 장착한 후 코어(C) 및 스킨(S)을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공기 조절 유닛(30)은 공기 통로(31), 공기 공급부(32), 공기 배출부(33)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공기 통로(31)는 제2 금형 유닛(20)의 제2 성형부(21) 내에 형성된다. 공기 통로(31)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통로(31)는 공기 공급부(32) 및 공기 배출부(33)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 공급부(32)는 공기 펌프 또는 압축기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33)는 진공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를 작동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형 유닛(20)의 제2 성형부(21)의 제2 성형면(211) 상에 코어(C)를 탑재한다. 이 과정에서, 공기 배출부(33)가 작동되어 공기 통로(31)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 통로(31)에 부압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성형면(211) 상에 코어(C)가 흡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22)의 제2 고정 부재(221) 상에 스킨(S)을 탑재한다. 이 과정에서, 제2 성형면(211) 상에 코어(C)가 흡착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2)의 제1 고정 부재(121)가 제2 고정 부재(221)를 향하여 이동하여 스킨(S)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1 금형 유닛(10) 및 제2 금형 유닛(20)의 사이에서 스킨(S)이 제1 고정 부재(121) 및 제2 고정 부재(22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금형 유닛(10) 및 제2 금형 유닛(20)의 사이에서 스킨(S)이 제1 고정 부재(121) 및 제2 고정 부재(221)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므로, 스킨(S)을 제1 금형 유닛(10)의 제1 성형부(11)의 제1 성형면(111)에 부착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금형 유닛(10)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는 공정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삭제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형 유닛(10)이 제2 금형 유닛(20)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스킨(S)이 코어(C)에 접촉한다(프리 압착 과정). 이 과정에서, 제1 탄성 부재(131)에 비하여 탄성 계수가 작은 제2 탄성 부재(231)가 제1 탄성 부재(131)에 비하여 더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형 유닛(10)이 제2 금형 유닛(20)을 향하여 더 이동함에 따라, 제1 성형면(111)이 스킨(S)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코어(C) 및 스킨(S)이 제1 성형면(111) 및 제2 성형면(211) 사이에서 소정의 형태로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C) 및 스킨(S)이 제1 성형면(111) 및 제2 성형면(211) 사이에 정의되는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압착될 수 있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형 유닛(10)이 제2 금형 유닛(20)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착된 코어(C) 및 스킨(S)이 제1 금형 유닛(10) 및 제2 금형 유닛(20)으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2 탄성 부재(23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 고정 부재(221)가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착된 코어(C) 및 스킨(S)이 제2 성형면(2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압착된 코어(C) 및 스킨(S)이 제1 금형 유닛(10) 및 제2 금형 유닛(20)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방법은, 제2 성형면(211)에 코어(C)를 탑재하는 단계(S10), 제2 고정 부재(221) 상에 스킨(S)을 안착시키는 단계(S20), 제1 고정 부재(121) 및 제2 고정 부재(221) 사이에 스킨(S)을 가압 지지하는 단계(S30), 스킨(S)이 제1 성형면(111)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코어(C) 및 스킨(S)을 밀착시키는 단계(S50), 제1 성형면(111) 및 제2 성형면(211)을 밀착시켜 코어(C) 및 스킨(S)을 압착하는 단계(S60), 코어(C) 및 스킨(S)을 취출하는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성형면(211)에 코어(C)를 탑재하는 단계(S10)에서, 공기 통로(31)에 부압이 형성되어, 제2 성형면(211) 상에 코어(C)가 흡착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221) 상에 스킨(S)을 안착시키는 단계(S20)에서, 스킨(S)은 자중, 흡착, 접착 또는 점착 등의 방식으로 제2 고정 부재(221)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121) 및 제2 고정 부재(221) 사이에 스킨(S)을 가압 지지하는 단계(S30)에서, 제1 고정 부재(121)가 제2 고정 부재(221)를 향하여 이동하여 스킨(S)과 접촉할 수 있다.
삭제
스킨(S)이 제1 성형면(111)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코어(C) 및 스킨(S)을 밀착시키는 단계(S50)에서, 제1 금형 유닛(10)이 제2 금형 유닛(20)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스킨(S)이 코어(C)에 접촉한다(프리 압착 과정). 이 과정에서, 스킨(S)이 제1 성형면(111)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코어(C)에 밀착되므로, 스킨(S)이 자유도를 가지면서 코어(C)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스킨(S)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코어(C) 및 스킨(S)을 제1 성형면(111) 및 제2 성형면(211)에 압착하는 단계(S60)에서, 제1 금형 유닛(10)이 제2 금형 유닛(20)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1 탄성 부재(131)에 비하여 탄성 계수가 작은 제2 탄성 부재(231)가 제1 탄성 부재(131)에 비하여 더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코어(C) 및 스킨(S)이 제1 성형면(111) 및 제2 성형면(211) 사이에 정의되는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압착될 수 있다.
삭제
코어(C) 및 스킨(S)을 취출하는 단계(S80)에서, 제2 탄성 부재(23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 고정 부재(221)가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착된 코어(C) 및 스킨(S)이 제2 성형면(2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압착된 코어(C) 및 스킨(S)이 제1 금형 유닛(10) 및 제2 금형 유닛(20)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제1 금형 유닛(10) 또는 제2 금형 유닛(20)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지 않고도 코어(C) 및 스킨(S)을 제1 금형 유닛(10) 및 제2 금형 유닛(20) 사이에 장착한 후 코어(C) 및 스킨(S)을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 제1 금형 유닛
11: 제1 성형부
12: 제1 고정부
13: 제1 지지부
20: 제2 금형 유닛
21: 제2 성형부
22: 제2 고정부
23: 제2 지지부
30: 공기 조절 유닛

Claims (14)

  1. 제1 성형면을 갖는 제1 금형 유닛과; 상기 제1 성형면에 대향하며 코어가 탑재되도록 구성되는 제2 성형면을 갖는 제2 금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 유닛은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 유닛은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금형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유닛 사이에서 스킨의 테두리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2 금형 유닛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대향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킨이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탑재되고,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탑재된 상기 스킨을 상기 제1 성형면 및 상기 제2 성형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금형 유닛은 탄성력을 상기 제2 고정부에 상기 제1 고정부를 향해 인가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금형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유닛이 인접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가 함께 인접되어 탑재된 상기 스킨의 상기 테두리가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의해 가압, 고정된 후,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제1 고정부에 밀려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압축시키면서 후퇴되어 고정된 상기 스킨과 탑재된 상기 코어가 접촉된 다음 상기 제1 성형면 및 상기 제2 성형면에 의해 압착되고,
    상기 코어와 상기 스킨의 압착 후 상기 제1 금형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유닛이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복원력으로 복귀되어 상기 스킨과 압착된 상기 코어가 상기 제2 성형면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가 이격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 유닛은 제1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탄성력을 상기 제1 고정부에 상기 제2 고정부를 향해 인가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에 비해 작은 탄성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제1 지지 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2 고정부를 향하는 탄성력을 상기 제1 고정부에 동시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제2 지지 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고정부를 향하는 탄성력을 상기 제2 고정부에 동시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각각 복수의 제1 로드를 통해 제1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가 인접되면 탑재된 상기 스킨의 상기 테두리를 동시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각각 복수의 제2 로드를 통해 제2 연결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가 인접되면 탑재된 상기 스킨의 상기 테두리를 동시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 성형면을 갖는 제1 금형 유닛 및 제2 성형면을 갖는 제2 금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형 유닛이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 유닛이 제2 고정부 및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가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가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가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청구항 1의 장치를 사용하여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코어를 상기 제2 성형면에 탑재하는 단계와;
    (b) 스킨을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탑재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금형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유닛을 인접시킴으로써,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인접시켜 탑재된 상기 스킨의 테두리를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고정 부재에 의해 가압, 고정한 후, 상기 제2 고정부를 상기 제1 고정부로 밀어서 후퇴시켜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압축시키면서 고정된 상기 스킨과 탑재된 상기 코어를 접촉시킨 다음 상기 제1 성형면 및 상기 제2 성형면에 의해 압착하는 단계와;
    (d) 상기 코어와 상기 스킨의 압착 후 상기 제1 금형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유닛을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제2 고정부를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복원력으로 복귀시켜 상기 스킨과 압착된 상기 코어를 상기 제2 성형면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10144951A 2021-10-27 2021-10-27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553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951A KR102553280B1 (ko) 2021-10-27 2021-10-27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
US18/049,254 US20230131654A1 (en) 2021-10-27 2022-10-24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ior material for vehicle
CN202211327057.3A CN116021781A (zh) 2021-10-27 2022-10-25 车辆用内饰材料的制造装置及方法
DE102022128477.8A DE102022128477A1 (de) 2021-10-27 2022-10-27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Innenraummaterial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951A KR102553280B1 (ko) 2021-10-27 2021-10-27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629A KR20230060629A (ko) 2023-05-08
KR102553280B1 true KR102553280B1 (ko) 2023-07-10

Family

ID=8579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951A KR102553280B1 (ko) 2021-10-27 2021-10-27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31654A1 (ko)
KR (1) KR102553280B1 (ko)
CN (1) CN116021781A (ko)
DE (1) DE10202212847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6571A (ja) 1999-09-30 2001-04-10 Toyoda Gosei Co Ltd 表皮層を有する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JP2010264669A (ja) 2009-05-15 2010-11-25 Panasonic Corp 射出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金型装置
JP2011104962A (ja) * 2009-11-20 2011-06-02 Nissha Printing Co Ltd 射出成形用金型及び複合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7829A (en) * 1987-01-16 1989-09-19 Takashimaya Nippatsu Kogyo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interior vehicular trim
JPH0516245A (ja) * 1991-07-15 1993-01-26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内装部品におけるスラツシユ成形表皮材の圧着方法
JPH07101030A (ja) * 1993-09-30 1995-04-18 Nippon Plast Co Ltd 表皮材貼着方法とそれに用いる装置
JPH10146861A (ja) * 1996-11-18 1998-06-02 Honda Motor Co Ltd 表皮材と基材との一体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3755864B2 (ja) * 2000-04-13 2006-03-15 河西工業株式会社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US10076856B2 (en) * 2015-06-15 2018-09-18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Manufacture of an article having a decorative cover sheet overlying a substrate
US11693109B2 (en) 2019-05-10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amework and method for acknowledging multiple messages in UWB communication and ranging systems
KR20210006747A (ko) * 2019-07-09 2021-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를 성형하는 성형 금형
KR102274392B1 (ko) * 2019-11-27 2021-07-07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를 성형하는 성형 금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6571A (ja) 1999-09-30 2001-04-10 Toyoda Gosei Co Ltd 表皮層を有する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JP2010264669A (ja) 2009-05-15 2010-11-25 Panasonic Corp 射出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金型装置
JP2011104962A (ja) * 2009-11-20 2011-06-02 Nissha Printing Co Ltd 射出成形用金型及び複合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128477A1 (de) 2023-04-27
US20230131654A1 (en) 2023-04-27
CN116021781A (zh) 2023-04-28
KR20230060629A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681B1 (ko) 자동차 내장재를 성형하는 성형 금형
CA2158967C (en) Method of molding a vehicle door panel with a soft arm rest
KR20210153590A (ko) 자동차 내장재를 성형하는 성형 금형
US20010042946A1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a plastic injection molding laminated with textile fabric, non-woven or the like
EP33425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trim component having a molded rim at an edge thereof
KR102323092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553280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165285B1 (ko) 리얼 스티치가 형성된 내장재의 인서트 사출 공법
KR102553281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553282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066509B1 (ko) 리얼 스티치가 스킨과 코어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장재 제조방법
JP3755864B2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JPH07195430A (ja) 複合表皮一体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21777B2 (ko)
CN112208186A (zh) 成型车辆内装材料的成型模具及其成型方法
US20220055321A1 (en)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composite component
JPH058301A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KR102250797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성형방법 및 이에 의한 자동차 내장재
JPH09314678A (ja) 車内装部材の製造方法
KR0145140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JP7447742B2 (ja) 成形体の製造方法
JP2933299B2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3253056B2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JP2689868B2 (ja) 表皮材とパッド材との一体成形方法及び一体成形型
KR100217564B1 (ko)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센터트림 부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