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272B1 - 데크 고정 클립 - Google Patents

데크 고정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272B1
KR102553272B1 KR1020230037459A KR20230037459A KR102553272B1 KR 102553272 B1 KR102553272 B1 KR 102553272B1 KR 1020230037459 A KR1020230037459 A KR 1020230037459A KR 20230037459 A KR20230037459 A KR 20230037459A KR 102553272 B1 KR102553272 B1 KR 102553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joist
fixing clip
connec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7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온피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온피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온피앤디
Priority to KR1020230037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1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111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not adjustable
    • E04F2015/02122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not adjustable with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선과 데크를 연결하는 연결구로 구성된 데크 고정 클립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장선 상측면에 지지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타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교차측부; 및 상기 교차측부의 상단 일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데크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지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크 고정 클립{CLIP FOR FIXING DECK}
본 발명은 데크 고정 클립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장선 상측에 데크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연결구가 구비되되, 한 쌍의 연결구는 서로 대칭되어 끼움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장선과 데크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연결구로도 데크의 설치가 가능하며, 동일한 형태의 한 쌍의 연결구만으로도 한 쌍의 데크를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연결구를 분리하거나 끼울 수 있어 교체가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데크 고정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 로드 구조는 전원주택이나 펜션 등의 테라스, 공원 내 차도를 따라 설치되는 산악보도나 산책로 등에 시공되는 것으로, 바닥 또는 바닥 상부에 베이스프레임(일명, '장선' 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장선의 상부에 데크를 교차된 방향으로 올려놓아 고정 설치한다.
이때, 장선에 데크를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상기 데크를 직결피스로 직접 관통하여 장선에 고정 설치하거나, 둘째,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데크 상호 간을 연결한 후 장선에 직결피스로 연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장선에 데크가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서술한 장선에 데크를 고정하는 첫 번째 방법은, 직결피스를 이용하여 장선에 데크를 직접 설치하는 방법으로, 데크는 재질의 특성상 기온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하게 되는데, 이때, 데크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되도록 체결된 직결피스는 데크의 수축과 팽창에 의해 데크 상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수영장이나 해수욕장 등 여름철 물놀이를 위해 신발을 신지 않은 상태에서 보행이 이루어지는 장소에서는 돌출된 직결피스에 사용자가 크게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서술한 장선에 데크를 고정하는 두 번째 방법은,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장선에 데크를 설치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수리 및 교체 등 유지보수시 장선으로부터 연결부재와 데크 모두를 분리시켜야 하므로 작업 난이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데크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와 데크 끝단에, 즉 하나의 데크와 장선을 연결하기 위한 다른 연결부재의 구성이 각각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67197호(2014.11.2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선 상측에 데크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연결구가 구비되되, 한 쌍의 연결구는 서로 대칭되어 끼움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장선과 데크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연결구로도 데크의 설치가 가능하며, 동일한 형태의 한 쌍의 연결구만으로도 한 쌍의 데크를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연결구를 분리하거나 끼울 수 있어 교체가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데크 고정 클립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동일한 형태의 연결구를 방향만 변경하여 설치함에 따라, 한 쌍의 데크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데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서로 다른 형태의 연결구를 각각 제조할 필요가 없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크 고정 클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바닥부가 데크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장선과 데크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수성이 우수하고, 충격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데크 고정 클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은 장선과 데크를 연결하는 연결구로 구성된 데크 고정 클립에 있어서, 연결구는 장선 상측면에 지지되는 바닥부; 바닥부의 타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교차측부; 및 교차측부의 상단 일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데크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지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 클립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장선 상측에 데크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연결구가 구비되되, 한 쌍의 연결구는 서로 대칭되어 끼움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장선과 데크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연결구로도 데크의 설치가 가능하며, 동일한 형태의 한 쌍의 연결구만으로도 한 쌍의 데크를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연결구를 분리하거나 끼울 수 있어 교체가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형태의 연결구를 방향만 변경하여 설치함에 따라, 한 쌍의 데크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데크를 고정시키기 위한 서로 다른 형태의 연결구를 각각 제조할 필요가 없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부가 데크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장선과 데크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수성이 우수하고, 충격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선에 연결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직결피스를 활용하되, 직결피스의 머리 부분이 연결구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금속이나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의 압출가공, 펀칭 절곡이 가능함으로써, 제조성이 우수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연결구의 정면 또는 배면에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측면마감부가 구비됨으로써, 장선의 상측에 연결구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측면마감부는 장선의 측면 일부분에 밀착되어 직결피스로 체결됨에 따라, 보다 강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일측면도와 타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에서 한 쌍의 연결구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에서 연결구가 장선 상측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에서 연결구가 장선 상측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은 장선(10) 상측에 데크(2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연결구(100)가 구비되되, 한 쌍의 연결구(100)는 서로 대칭되어 끼움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장선(10)과 데크(2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연결구(100)로도 설치가 가능하며, 한 쌍의 데크(2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서로 대칭되어 끼움결합된 한 쌍의 연결구(100)를 통해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동일한 형태의 연결구(100)만으로도 하나의 데크(20) 뿐만 아니라 한 쌍의 데크(20)를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연결구(100)를 분리하거나 끼울 수 있어 교체가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데크 고정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은 장선(10)에 다수 개의 데크(20)를 격자로 설치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형태의 연결구(100)를 장선(10)에 하나만 설치하거나 또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한 쌍으로 설치함에 따라, 장선(10)과 데크(20)가 연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데크(20)와 데크(20)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연결구(100)를 방향만 변경하여 끼움가능하므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장선(10), 상기 장선(10)의 상측에 격자로 설치되는 데크(20) 및 연결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장선(10)은 데크(20)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멍에나 기초의 상측에 구비되거나 또는 교량과 같이 별도의 구조물에 구비될 수 있다.
데크(20)는 장선(10)과 서로 직교하거나 또는 사선 방향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삽입홈(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데크(20)는 합성목재 또는 천연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 각각에 상기 데크(20)의 길이가 긴 방향을 따라 삽입홈(21)이 형성된다.
삽입홈(21)은 데크(20)와 데크(20)가 후술되는 연결구(1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구(100)의 일부분이 데크(20)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21)에 끼워진 후 장선(10)에 결합됨으로써, 데크(20)가 장선(10)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삽입홈(2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200)의 양측면 각각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일측면도와 타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에서 한 쌍의 연결구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에서 연결구가 장선 상측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연결구(100)는 데크(20)에 형성된 삽입홈(21)에 후술되는 삽입부(130)가 끼워져 장선(10)에 데크(20)가 연결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직결피스(200)가 관통하여 장선(10)에 체결됨으로써, 장선(10)에 데크(20)가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연결구(1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장선(10)의 상측에 데크(20)의 하측면 일부분을 지지하는 바닥부(110)가 구비되되, 바닥부(110)의 타측에 구비된 교차측부(120)는 데크(20)의 측면에 위치하며, 교차측부(120)의 상단에 일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삽입부(130)는 데크(20)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21)에 끼워짐에 따라, 연결구(100)에 의해 데크(20)가 장선(10)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구(100)는 금속 또는 비철금속의 압출가공 및 스틸 펀칭 절곡 작업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닥부(110), 교차측부(120) 및 삽입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부(110)는 장선(10)의 상측에 구비되며, 데크(20)의 하측면 일부분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직결피스(200)가 관통되어 장선(10) 상측면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공(11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체결공(111)은 바닥부(110)의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직결피스(200)의 몸체 부분은 관통되고, 머리 부분은 걸림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체결공(111)의 상측은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상광하협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체결공(111)을 관통한 직결피스(200)의 머리 부분이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공(111)을 관통한 직결피스(200)는 장선(10)의 상측면에 체결됨으로써, 연결구(10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나아가, 직결피스(200)의 머리 부분은 바닥부(110) 상단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성을 강화할 수 있다.
나아가, 바닥부(11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데크(20)의 하단면 일부분을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장선(10)과 데크(20)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수성이 우수하고,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교차측부(120)는 바닥부(110)의 타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단에 후술되는 삽입부(130)가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교차측부(120)는 장선(10)에 데크(20)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데크(20)의 측면에 인접하도록 위치함으로써, 바닥부(110)와 교차측부(120) 및 후술되는 삽입부(130)에 의해 데크(20)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교차측부(12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면 또는 배면측에 구비되어 하단은 바닥부(110)와 연결되며, 상단은 삽입부(130)가 연결되는 가이드부(121), 상기 가이드부(121)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안내부(122) 및 상기 바닥부(110)와 안내부(122) 사이에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진 절개홈(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121) 및 안내부(122)는 한 쌍의 연결구(100)가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끼움결합되는 과정에서 하나의 연결구(100)에 구비된 가이드부(121)와 다른 하나의 연결구(100)에 구비된 안내부(122)가 서로 교차하고, 하나의 연결구(100)에 구비된 안내부(122)와 다른 하나의 연결구(100)에 구비된 가이드부(121)가 서로 교차하여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끼움결합된 한 쌍의 연결구(100)는 교차측부(120)의 형태적 특성에 의해 데크(20)의 삽입홈(21)이 형성되는 장축 길이방향으로만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여,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며, 장축 길이방향 이외에는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칭되는 형태로 끼움결합이 이루어진 한 쌍의 연결구(100)에 의해 설치된 한 쌍의 데크(20)를 장선(10)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나아가, 가이드부(121)는 교차측부(120)의 정면 또는 배면측에 구비되며, 안내부(122)는 가이드부(121)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부(121)의 전,후측 폭(b1)과 안내부(122)의 전,후측 폭(b2)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내부(122)의 상,하측 높이(h1)는 바닥부(110)와 삽입부(130) 사이의 간격(h2) 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절개홈(123)의 전,후측 폭(b)은 가이드부(121)의 전,후측 폭(b1) 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절개홈(123)의 좌,우측 폭(d1)은 가이드부(121) 두께(d2) 또는 안내부(122) 두께(d2)의 2배 크기 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구(100)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끼움결합되는 과정에서 하나의 연결구(100)에 구비된 안내부(122)는 다른 하나의 연결구(100)에 구비된 가이드부(121)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끼워져 다른 하나의 연결구(100)에 구비된 바닥부(110)와 삽입부(13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구(100)에 구비된 안내부(122)는 하나의 연결구(100)에 구비된 가이드부(121) 타측면에 인접하도록 끼워져 하나의 연결구(100)에 구비된 바닥부(110)와 삽입부(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데크(20)에 형성된 삽입홈(21)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연결구(100)도 서로 끼움결합되되, 하나의 교차측부(120)와 다른 하나의 교차측부(120)가 서로 교차되어 맞물리게 됨으로써, 끼움결합된 한 쌍의 연결구(100)는 삽입홈(21)이 형성되는 장축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 이외에는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결구(10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장선(10)의 상측면에 지지되어 직결피스(200)에 의해 결합되며, 삽입부(130)는 데크(20)의 삽입홈(21)으로 끼워져 하나의 데크(20)가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한 쌍의 데크(20)를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구(100)는 장선(10) 상측에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끼움결합됨으써, 한 쌍의 삽입부(130)는 양측으로 서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 쌍의 데크(20)에 형성된 삽입홈(21) 각각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데크(20)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장선(10) 상측에 복수 개의 데크(20)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데크(20)의 시작점과 끝점에는 하나의 연결구(100)를 이용하여 데크(20)가 장선(10)에 결합되도록 하고, 복수 개의 데크(20) 사이사이에는 한 쌍의 연결구(100)가 서로 대칭되도록 끼움결합됨에 따라, 한 쌍의 데크(20)가 장선(1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즉 동일한 형태의 연결구(100)를 방향만 변경하여 데크(20)의 좌측 또는 우측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서로 다른 형태의 연결구를 다수 개 생산하여 데크를 설치하기 위한 복잡한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의 (a)에서와 같이, 교착측부(120)는 바닥부(110)의 좌측에 구비되며, 가이드부(121)와 안내부(122)는 각각 배면측과 정면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121) 상측에 삽입부(130)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져 삽입부(130) 또한 배면측에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도 2의 (b)에서와 같이, 가이드부(121)와 안내부(122)는 도 2의 (a)와 반대가 되도록 각각 정면측과 배면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121) 상측에 삽입부(130)가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져 삽입부(130) 또한 정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에서 연결구(100)의 구성은 동일한 형태의 연결구(100) 한 쌍을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끼움결합하여 양측으로 돌출된 삽입부(130)를 통해 한 쌍의 데크(2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연결구(100) 각각은 데크(20)에 형성된 삽입홈(21)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삽입홈(21)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연결구(100) 각각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교체 및 수리 등 유지보수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와 같은 특징은 가이드부(121), 안내부(122), 절개홈(123)을 포함하는 교차측부(120) 및 삽입부(130)의 형태적 특성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이드부(121), 안내부(122) 및 절개홈(123)이 형성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도 2의 (a) 또는 (b)에서와 같이, 가이드부(121), 안내부(122) 및 절개홈(123)가 형성되는 위치는 서로 반대가 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에서 명시될 본 발명의 제2~4실시예 또한 가이드부(121), 안내부(122) 및 절개홈(123)이 형성되는 위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우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은 바닥부(110) 일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형태를 갖는 절곡부(1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곡부(112)는 바닥부(110)의 일측과 타측 중 선택된 하나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며, 하단에 상측으로 개구된 형태의 절곡홈(112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0)의 일측과 타측 각각에 절곡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112)는 바닥부(110)의 강도를 증가시켜 쉽게 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나아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만큼 장선(10)으로부터 데크(20)가 설치되는 높이를 늘려 장선(10)과 데크(20)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장선(10)과 데크(20)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에 의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에서 연결구가 장선 상측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바닥부(110)의 정면 또는 배면에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측면마감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마감부(140)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장선(10)의 상측에 연결구(100)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장선(10)의 측면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때, 측면마감부(140)에 형성된 마감공(141)을 통해 직결피스(200)를 이용하여 장선(10)의 측면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장선(10)에 연결구(1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즉 바닥부(110)에 형성된 체결공(111)과 측면마감부(140)에 형성된 마감공(141)을 통해 직결피스(200)를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장선(10)과 연결구(100) 간 강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바닥부(110)에 형성된 체결공(111)과 측면마감부(140)에 형성된 마감공(141)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에만 직결피스(200)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장선(10)과 데크(20)가 서로 맞닿아 결합되는 위치, 즉 연결구(100)가 설치되는 위치와 같은 작업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체결공(111)에 직결피스(200)가 체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마감공(141)에 직결피스(200)가 체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체결공(111)과 마감공(141) 모두에 직결피스(200)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작업 현장 여건은 설치된 데크 고정 클립에서 체결공(111)에 직결피스(200)가 체결되어 있는 구조인 경우, 연결구(100)를 교체 및 수리하는 과정에서는 체결공(111)을 노출시켜야 하므로, 반드시 데크(20)를 먼저 분리하여야 하는데, 마감공(141)에만 직결피스(200)가 체결되어 있는 구조인 경우, 데크(20)를 분리하지 않고, 마감공(141)을 통해 장선(10)의 측면에 체결된 직결피스(200) 만을 분리함으로써, 장선(10)으로부터 데크(20)를 분리하지 않고 연결구(100)만을 분리시켜 교체 및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현장 여건을 설정하는 이유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데크(20) 하측에 구비되는 장선(10)이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설치되는 경우, 데크(20) 끝단과 맞닿는 장선(10)의 경우, 데크(10)를 장선(10)의 폭만큼 살짝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체결공(111)에 체결된 직결피스(200)의 분리가 용이하지만, 다수 개의 장선(10) 중 중간에 위치한 장선(10)의 경우, 데크(10)를 분리시키기 어려워 마감공(141)에만 직결피스(200)를 이용하여 연결구(100)를 고정시킴으로써, 데크(10)의 분리없이 연결구(100)를 장선(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측면마감부(140)는 연결구(10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조되어 바닥부(110)의 정면 또는 배면에 측면마감부(140)가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바닥부(110)와 측면마감부(140)의 부착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바닥부(110) 외측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측면마감부(140)를 관통하는 체결나사를 체결함으로써, 바닥부(110)에 측면마감부(140)가 부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절곡부(112)가 형성된 바닥부(110)의 정면 또는 배면에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측면마감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바닥부(110)에 형성된 체결공(111)과 측면마감부(140)에 형성된 마감공(141)을 통해 직결피스(200)를 이용하여 장선(10)에 연결구(100)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선(10)과 데크(20)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을 충분히 확보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데크 고정 클립은 장선(10) 상측에 데크(2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연결구(100)가 구비되되, 한 쌍의 연결구(100)는 서로 대칭되어 끼움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장선(10)과 데크(2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연결구(100)로도 설치가 가능하며, 동일한 형태의 한 쌍의 연결구(100)만으로도 한 쌍의 데크(20)를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연결구(100)를 분리하거나 끼울 수 있어 교체가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형태의 연결구(100)를 방향만 변경하여 설치함에 따라, 한 쌍의 데크(20)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데크(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서로 다른 형태의 연결구를 각각 제조할 필요가 없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부(110)가 데크(20)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장선(10)과 데크(20)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수성이 우수하고, 충격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선(10)에 연결구(100)를 설치하기 위하여 직결피스(200)를 활용하되, 직결피스(200)의 머리 부분이 연결구(1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이나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구(100)의 압출가공, 펀칭 절곡이 가능함으로써, 제조성이 우수하다.
또한, 연결구(100)의 정면 또는 배면에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측면마감부(140)가 구비됨으로써, 장선(10)의 상측에 연결구(100)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측면마감부(140)는 장선(10)의 측면 일부분에 밀착되어 직결피스(200)로 체결됨에 따라, 보다 강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장선
20 : 데크 21 : 삽입홈
100 : 연결구 110 : 바닥부
111 : 체결공 112 : 절곡부
112a : 절곡홈 120 : 교차측부
121 : 가이드부 122 : 안내부
123 : 절개홈 130 : 삽입부
140 : 측면마감부 141 : 마감공
200 : 직결피스

Claims (10)

  1. 장선(10)과 데크(20)를 연결하는 연결구(100)로 구성된 데크 고정 클립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0)는
    상기 장선(10)의 상측면에 지지되는 바닥부(110);
    상기 바닥부(110)의 타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교차측부(120); 및
    상기 교차측부(120)의 상단 일측에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데크(20)에 형성된 삽입홈(21)에 끼워지는 삽입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한 쌍의 연결구(100)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장선(10)의 상측면에 설치됨으로써, 양측으로 돌출된 각각의 삽입부(130)는 한 쌍의 데크(20) 각각에 형성된 삽입홈(21)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교차측부(120)는
    정면 또는 배면측에 구비되어 하단은 바닥부(110)와 연결되며, 상단은 삽입부(130)가 연결되는 가이드부(121);
    상기 가이드부(121)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안내부(122); 및
    상기 바닥부(110)와 안내부(122) 사이에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진 절개홈(1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0)는
    상,하측으로 관통되는 체결공(11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체결공(111)을 관통하여 장선(10)의 상측면에 체결되는 직결피스(200)의 머리 부분은 바닥부(110) 상단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 클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0)는
    일측과 타측 중 선택된 하나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며, 하단에 상측으로 개구된 형태의 절곡홈(112a)이 형성되는 절곡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 클립.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21)의 전,후측 폭(b1)과 안내부(122)의 전,후측 폭(b2)은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 클립.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22)의 상,하측 높이(h1)는 바닥부(110)와 삽입부(130) 사이의 간격(h2) 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 클립.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123)의 전,후측 폭(b)은 가이드부(121)의 전,후측 폭(b1) 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 클립.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0)는
    정면 또는 배면에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측면마감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측면마감부(140)는 장선(10)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 클립.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면마감부(140)는 전,후측으로 관통되는 마감공(14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마감공(141)을 관통하여 장선(10)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직결피스(200)의 머리 부분은 측면마감부(14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고정 클립.
KR1020230037459A 2023-03-22 2023-03-22 데크 고정 클립 KR102553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7459A KR102553272B1 (ko) 2023-03-22 2023-03-22 데크 고정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7459A KR102553272B1 (ko) 2023-03-22 2023-03-22 데크 고정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272B1 true KR102553272B1 (ko) 2023-07-07

Family

ID=8715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7459A KR102553272B1 (ko) 2023-03-22 2023-03-22 데크 고정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2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540A (ja) * 1999-10-12 2001-04-17 Eiwa Kogyo Kk 根太材と床材の固定金具及び床構造
KR101467197B1 (ko) 2014-01-28 2014-12-01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유동형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물 시공방법
KR101957157B1 (ko) * 2018-08-27 2019-04-01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데크 고정클립
KR102457434B1 (ko) * 2022-08-05 2022-10-21 주식회사 디자인남영 목재데크 파손 방지형 데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540A (ja) * 1999-10-12 2001-04-17 Eiwa Kogyo Kk 根太材と床材の固定金具及び床構造
KR101467197B1 (ko) 2014-01-28 2014-12-01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유동형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물 시공방법
KR101957157B1 (ko) * 2018-08-27 2019-04-01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데크 고정클립
KR102457434B1 (ko) * 2022-08-05 2022-10-21 주식회사 디자인남영 목재데크 파손 방지형 데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49892B (zh) 用于桥梁的上部结构
KR101702348B1 (ko) 바닥데크 구조시스템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200459049Y1 (ko) 분리형 구조에 의하여 데크의 유동이 방지되는 데크자재 연결구
KR102553272B1 (ko) 데크 고정 클립
KR100876098B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1078495B1 (ko) 시공이 간편한 조립식 펜스
KR102218887B1 (ko) 알루미늄바를 이용한 데크의 조립구조
KR102420341B1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101352280B1 (ko) 목재데크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체결구조
KR102560861B1 (ko) 연결구를 이용한 데크구조
KR101773040B1 (ko) 목재데크 상판 연결용 클립 브라켓
KR20130015926A (ko) 평판형 원형 수로관
KR20110009003U (ko) 조립식 안전휀스
KR102465315B1 (ko) 데크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93376B1 (ko)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
KR102598177B1 (ko)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데크 결합구조
KR101663825B1 (ko) 자석을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1616988B1 (ko) 외부 프리스트레싱 방식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강관 트러스 보
KR101021832B1 (ko) 확장 인도용 바닥 패널
KR102139094B1 (ko)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KR101754112B1 (ko) 목재데크 상판 측부 결합용 클립
KR20170118313A (ko) 연결이음재를 통한 전면/측면 마감재 절토부 콘크리트 패널
KR102208693B1 (ko)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및 이 알루미늄 데크의 시공방법
KR20210048672A (ko) 목재데크의 인접상판 측면부 결합용 슬라이드 삽입 데크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