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693B1 -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및 이 알루미늄 데크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및 이 알루미늄 데크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693B1
KR102208693B1 KR1020200061325A KR20200061325A KR102208693B1 KR 102208693 B1 KR102208693 B1 KR 102208693B1 KR 1020200061325 A KR1020200061325 A KR 1020200061325A KR 20200061325 A KR20200061325 A KR 20200061325A KR 102208693 B1 KR102208693 B1 KR 102208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binding member
plate
deck plat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순용
Original Assignee
지산투수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산투수개발(주) filed Critical 지산투수개발(주)
Priority to KR1020200061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83Piercing the side 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로써,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가 구비되고, 이 웨브에 등간격으로 2개 이상의 구멍이 천공된 데크 플레이트;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웨브 일부를 "ㄷ" 형상으로 절개하고, 이 절개부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구성된 간격 유지부; 상기 구멍에 끼워져 데크 플레이트를 엮어 조립하는 결속부재;로 구성된 데크 조립체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고, 일측 단부가 브라켓에 끼워져 고정된 상기 결속부재를 구멍에 끼운 다음, 결속부재 당겨 타측 단부를 브라켓에 고정하는 것으로 데크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및 이 알루미늄 데크의 시공방법{Prefabricated aluminum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is aluminum deck}
본 발명은 공원, 등산로, 탐방통로 및 건축물의 테라스 등 근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데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데크 단위부재를 성형하고, 이 단위부재를 결속부재로 결속시켜 데크를 구성하는 것으로, 다른 재질의 데크에 비해 강도와 경도가 강하고 장기간 사용될 수 있으며, 부식의 우려가 없고, 특히 시공되는 지면의 변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자유 변위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및 이 알루미늄 데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공원이나 탐방통로, 등산로의 계단 또는 인도교의 보행로, 자전거 통로, 건축물의 테라스 등에 데크 플레이트가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데크 플레이트는 환경 미화에 도움을 주고, 보행자가 편안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며, 보행로를 구분하고 등산로에서는 등산객의 안전을 도모함과 아울러 등산로의 훼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데크 플레이트는 목재, 합성목재 등으로 제작되며, 데크 플레이트의 측면 간을 끼워맞춤하여 시공하거나, 나사못으로 장선(가로보)에 고정시켜 시공한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특허 10-1442195호의 보행통로 및 인도교용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는 장선의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보강패널; 이웃한 한 쌍의 보강패널의 사이에 장착되는 데크 플레이트; 상기 보강패널을 장선에 고정시키는 피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보강패널은 일정 폭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피스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플랜지; 상기 하부 플랜지의 중앙에 수직으로 입설된 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하부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보강패널의 하부 플랜지와 결합되는 하부 결합턱; 하부 양쪽 형성되고, 상기 피스(16)의 머리부가 위치되는 피스위치용 홈통;을 포함하고, 상기 장선은 세로보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세로보는 기초에 지지되는 기둥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보강패널은 복부의 상단에 하부 플랜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하부 플랜지와 수평되게 형성된 상부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상면 양쪽에 형성되는 상부 결합턱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플랜지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일정 간격마다 수결합요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수결합요소와 끼움 결합되는 암결합요소가 형성된 구성으로 피스와 끼워맞춤 방식으로 조립되는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체는 시공 전 기초와 기둥 그리로 이 기둥에서 설치되는 세로보가 수평이 맞추어진 다음에 끼워맞춤 시공이 가능한 단점이 있고, 시공 후에는 비, 눈에 의해 지면이 유실되거나 굴곡이 생기는 등 지형이 변화하면 기초가 흔들리면서 피스가 헐거워지고 끼워맞춤이 뒤틀려 이탈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데크 플레이트는 목재나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그러나 목재는 강도가 약하고 뒤틀림이 심한 문제가 있으며 제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합성수지는 제작은 용이하나 고가이고, 사용 후 산업 페기물이 발생하며 아울러 소성 변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5-0060012호는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알루미늄 데크패널이다.
데크패널은 시공면 상에서 다수 개가 연이어 측방향으로 배치되게 체결되는 조립방식의 알루미늄 데크패널에 있어서,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시공면의 상부 위치에 수평배치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일측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단부에는 끼움돌기편이 돌출형성된 제1연결부; 및 상기 상판부의 타측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외향 연장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향 절곡되면서 연장형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내측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끼움돌기편이 이웃된 알루미늄 데크패널의 끼움홈에 끼움삽입된 상태에서 측면이 상기 탄성편의 측면에 지지되면서 제2연결부에 가압되며 탄성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은 데크 패널은, 다른 종래 데크와 달리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성형하여 구성함으로써 부식이 없고 강도 및 경도가 크고, 장시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데크 패널이 무거워 다루기 쉽지 않고 조립성이 떨어지며, 패널과 패널이 겹쳐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시공된 지면에 굴곡이 생기면 패널 전체가 들뜨거나 빠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가늘고 긴 형상의 데크 단위부재가 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취급이 용이하고, 단위부재를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제작이 편리한 알루미늄 데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위부재를 결속부재로 묶어 구성함으로써, 시공되는 지면에 따라 또는 시공 후 눈이나 비,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지형에 변화가 있을 때도 자연스럽게 데크의 형태가 변형되는 알루미늄 데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로써,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가 구비되고, 이 웨브에 등간격으로 2개 이상의 구멍이 천공된 데크 플레이트;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웨브 일부를 "ㄷ" 형상으로 절개하고, 이 절개부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구성된 간격 유지부; 상기 구멍에 끼워져 데크 플레이트를 엮어 조립하는 결속부재;로 구성된 데크 조립체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고, 일측 단부가 브라켓에 끼워져 고정된 상기 결속부재를 구멍에 끼운 다음, 결속부재 당겨 타측 단부를 브라켓에 고정하는 것으로 데크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데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써,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성형하여 데크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성형 단계;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웨브 일부를 "ㄷ"형상으로 절개하고, 이절개부를 절곡하여 간격유지부를 구성하는 간격유지부 절곡 단계;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웨브에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 시공 바닥을 고르고, 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베이스부를 일렬로 배치한 다음 앵커볼트로 베이스부를 고정하는 베이스부 시공단계; 각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직각으로 배열되는 받침대 시공 단계; 상기 받침대와 베이스부에 고정 클립을 끼워, 이 고정 클립의 탄성력으로 받침대와 베이스부를 결속시키는 고정 시공단계;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상기 받침대 상면에 배치하고, 결속부재의 일단은 최 외곽에 배치된 데크 플레이트에 구비된 브라켓에 끼워져 고정한 다음, 타단은 각 데크 플레이트의 구멍을 관통시켜 끼우는 결속부재 끼움 단계; 상기 결속부재를 당겨 데크 플레이트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결속부재를 브라켓에 고정하여 데크 조립체를 조립하는 조립 단계; 및 상기 데크 조립체의 외곽에 틀을 끼워 시공을 완료하는 단계;에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첫째, 취급이 용이하고,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데크는 여러 개의 데크 단위부재를 결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 단위부재가 가늘고 긴 형상으로 구성되어 취급이 용이하고,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이들 단위부재를 엮는 형태로 조립되어 조립이 간편한 발명이다.
둘째, 본 발명의 데크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어 부식의 염려가 없고, 강도 및 경도가 강하며, 압출 제작으로 제작이 용이한 것은 물론이고, 다양한 색상을 연출하여 외관이 미려한 효과를 갖는 발명이다.
셋째, 본 발명은 데크를 구성하는 단위부재가 와이어를 기본구성으로 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와이어의 유연성 또는 플레시블한 성질에 따라 데크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시공된 지면에 따라 만곡 또는 파형으로 굴곡됨으로써, 지형 변화에 따른 데크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 알루미늄 데크 및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알루미늄 데크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3a, b는 본 발명 알루미늄 데크 조립체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알루미늄 데크 조립체를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알루미늄 데크 플레이트의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닥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닥 유닛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을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중복되거나 발명의 의미를 한정적으로 해석되게 할 수 있는 부가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상에 비록 단수적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국어 사용에 있어서 단수/복수를 명확하게 구분 짓지 않고 사용되는 환경과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용어 사용 환경에 비추어, 발명의 개념에 반하지 않고 해석상 모순되거나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었거나 기재될 수 있는 '포함한다', '갖는다', '구비한다',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구성요소 또는 그들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데크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압출 성형된 다수의 데크 플레이트를 결속시켜 데크 조립체를 구성하고, 이 데크 조립체를 안착시키는 바닥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바닥 유닛이 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 데크는 건축물의 테라스 및 바닥, 공원, 등산로 또는 탐방로 및 인도교의 보행로, 자전거 통로 등 어디에도 시공될 수 있다.
하나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알루미늄 데크는 데크 플레이트와 이 데크 플레이트를 엮어 데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성형하여 데크 플레이트를 제작하는 성형 단계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웨브 일부를 "ㄷ"형상으로 절개하고, 이절개부를 절곡하여 간격유지부를 구성하는 간격유지부 절곡 단계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웨브에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와, 시공 바닥을 고르고, 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베이스부를 일렬로 배치한 다음 앵커볼트로 베이스부를 고정하는 베이스부 시공단계; 각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직각으로 배열되는 받침대 시공 단계; 상기 받침대와 베이스부에 고정 클립을 끼워, 이 고정 클립의 탄성력으로 받침대와 베이스부를 결속시키는 고정 시공단계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상기 받침대 상면에 배치하고, 결속부재의 일단은 최 외곽에 배치된 데크 플레이트에 구비된 브라켓에 끼워져 고정한 다음, 타단은 각 데크 플레이트의 구멍을 관통시켜 끼우는 결속부재 끼움 단계와 상기 결속부재를 당겨 데크 플레이트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결속부재를 브라켓에 고정하여 데크 조립체를 조립하는 조립 단계 및 상기 데크 조립체의 외곽에 틀을 끼워 시공을 완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 알루미늄 데크 및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알루미늄 데크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이며, 도 3a, b는 본 발명 알루미늄 데크 조립체의 정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 알루미늄 데크 조립체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알루미늄 데크 플레이트의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닥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닥 유닛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알루미늄 데크(10)는 데크 조립체(100)와, 이 데크 조립체(100)가 안착 시공되는 바닥 유닛(200)으로 구성된다.
데크 조립체(100)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조립체(100)는, 최소 단위를 구성하는 데크 플레이트(120)와, 데크 플레이트(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140)와, 다수의 데크 플레이트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16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120)는,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성형하여 구성한 것으로, "I" 형상으로 중앙에 웨브(126)를 구비하고, 이 웨브(126)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플렌지(122)(124)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상기 상부 및 하부플렌지(122)(124) 각각 또는 어느 일면에는 보행에 도움을 주는 미끄럼 방지 기능 및 여러 형상으로 디자인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논슬립 돌기(128)가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120)는 기본적으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 합성수지 및 목재에 비해 강도 및 경도가 강하고 따라서 가늘고 길게 구성하여 취급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표면에 인쇄층을 구비하여 다양한 색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120)는 알루미늄 재질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비철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간격 유지부(140)는 데크 플레이트가 조립되었을 때, 인접한 데크 플레이트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나아가 데크 플레이트가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간격 유지부(160)는 상게 웨브(126)의 절개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3면 즉 웨브를 "ㄷ"자 형식으로 절개한 다음 이 절개편을 90도 절곡하여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간격 유지부(140)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간격 유지부(140)는 적어도 2개, 데크 플레이트의 길에 따라서는 3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간격 유지부(140)와 인접하게 후술하는 결속부재(160)가 끼워지는 구멍(162)이 천공되는 구성으로, 이 구멍도 최소 2개 이상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간격 유지부(140)의 다른 실시 예로, 간격 유지부(140)는 별도로 구비하여 융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 형 또는 "┗" 형태 등 웨브에 밀착되는 판재와 이 판재에서 직각으로 세워지는 간격 유지판이 있는 것이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웨브(126)에 맞대어 용접을 하거나, 구멍을 판재와 웨브 각각에 천공하여 볼트를 체결하여 조립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재(160)는 상기 웨브(126)에 형성된 구멍(162)에 끼워져 데크 플레이트(120)를 묶어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 결속부재(160)는 와이어 로프, 철사, 끈, 철근,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구멍(162)에 끼워진 상태에서 양끝을 고정하는 데크 플레이트를 결속하여 데크 조립체를 완성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와이어 로프는 강도 및 경도면에서 우수하고, 여기에 데크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시공된 지면에 따라 자유롭게 휘어지며 만곡 또는 파형으로 굴곡됨으로써, 지형 변화에 따른 데크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 부호 164는 브라켓이다. 이 브라켓은 와이어 로프 즉 결속부재의 양쪽 끝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은 원형봉, 각봉 또는 6면체 등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 결속부재(160)가 끼워지는 삽입공이 마련되고, 이 삽입공과 직교로 탭이 형성된 구성으로, 결속부재를 삽입공에 끼운 다음 탭에 볼트를 체결하여 결속부재를 볼트로 눌러 고정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 180은 지지틀이다. 이 지지틀은 데크 플레이트 조립 후 상부에서 데크 플레이트의 외곽에 씌워지는 것으로, 데크 플레이트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나아가 후술하는 바닥 유닛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데크 조립체(100)는, 시공 범위에 따라 데크 플레이트의 갯수와 길이를 결정한다. 웨브(126)에서 돌출된 간격 유지부(140)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인접한 데크 플레이트를 받쳐주도록 하되, 간격 유지부의 돌출 방향으로 최 외곽에 위치한 데크 플레이트는 외부로 간격 유지부가 돌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데크 유지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다만, 결속 부재가 끼워지는 구멍(162)에 연이어 다른 제2구멍을 형성될 수 있다. 이 제2구멍의 안쪽으로 상기 브라켓(164)이 위치하는 구성이다. 제2구멍의 안쪽 다시 말해, 최외관 데크 플레이트와 인접한 데크 플레이트 사이에 브라켓(164)이 위치하고, 결속부재(160)의 한쪽 끝을 제2구멍에 끼워 상기 브라켓에 고정한 다음 다른 끝부분을 각 웨브에 형성된 구멍에 순차적으로 끼우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멍(162)이 도면과 같이 2개인 경우 결속부재는 "U" 형태로 끼워지나 2개 이상인 경우 지그재그 형태로 끼워지는 것이다. 결속부재를 끼운 다음 작업자 또는 기계적인 힘으로 결속부재를 당겨 데크 플레이트를 밀착시키고 브라켓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조립이 완성된다.
바닥 유닛(200)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유닛(200)은, 상기 데크 조립체()가 안착됨과 아울러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으로, 베이스부(220)와 받침대(240) 그리고 이들 및 상기 데크 조립체를 고정시키는 고정 클립(2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220)는, 도면과 같이 각파이프 형태로 성형되는 알루미늄 파이프, 스테인리스, 탄소강 파이프 또는 합성수지 파이프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도면과 같이 설계 및 형태 변경이 용이한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부(220)는 길이 방향으로 양측 각각 또는 어느 일측에 등간격으로 고정판(222)이 구비되고, 이 고정판(222)에 형성된 볼트구멍(224)에 앵커 볼트를 끼워 지면에 박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대(240)는, 상기 베이스부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압출 성형되는 각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스테인리스, 탄소강 파이프 또는 합성수지 파이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대(240)는 기본적으로 베이스부와 직각으로 배치되고, 후술하는 고정 클립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베이스부에 연결 고정되는 것이나 이는 하나의 실 예이고, 다른 방식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유닛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 6은 볼트를 이용한 결합 방법이다. 받침대(240)의 일측 또는 도면과 같이 양측 하단에 고정 플랜지(242)를 구비하고, 이 고정 플랜지(242)에 통공을 형성한 다음, 베이스부(220)의 상면에는 탭(Tap)을 형성하여 볼트를 체결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반드시 베이스부(220), 받침대(240) 그리고 받침대 상면에 상기 데크 조립체(100)가 놓이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베이스부 상면에 데크 조립체(100)가 놓이고, 이 데크 조립체의 지지틀(180)에 받침대와 같이 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와 같이 볼트 체결 또는 후술하는 도 7 내지 도 10의 방법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물론 데크 조립체만으로 독립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며, 지지틀 역시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고정 클립(260)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대(240)에는 플랜지(242)가 구비되고 베이스부(220)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 클립(260)이 끼워지는 홈부(226)를 마련하되, 이 홈부는 도면과 같이 상면에 클립의 이탈을 방자하는 걸림턱(228)이 양측을 구비된 형상이다.
또한 상기 고정 클립(260)은 홈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플랜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이편(262)이 갖추어진 구성이다.
도 8은 상기 고정 클립(260a)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면과 같이 "ㄷ"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 클립(260a)은, 받침대가 베이스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받침대에 형성된 플랜지(242)와 베이스부의 홈부에 구비된 걸림턱(228)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베이스부와 받침대를 탄력적으로 결속시켜 고정하는 구성이다.
도 9는 또 다른 형태의 바닥 유닛이다.
이 실시 예의 베이스부(220)는 상기와 마찬 가지로 상부에 홈부(226)가 마련되고, 이 홈부(226)에 고정 클립(260b)의 끼움판(264b)이 끼워지며, 이 끼움판(264b)에 구비된 탄편(266b)에 상기 받침대(240)가 끼워져 고정되는 구성이다.
상기 고정 클립(260b)의 탄편(266b)은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탄편은 반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받침대(240)의 저면에는 이 탄편이 끼워지는 끼움홈(24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홈부(226)에 고정 클립의 끼움판을 끼우고, 받침대의 끼움홈을 탄편에 맞춰 누르면 탄편이 오므려지면서 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으로, 베이스부와 받침대를 조립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바닥 유닛이다.
이 실시 예는 고무 패킹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면과 같이 패널(282)의 상면에 고무 패킹(284)을 구비하고, 받침대(240)에는 이 고무 패킹이 끼워지는 통공(248)이 마련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220)에는 홈부(226)가 마련되어 상기 패널이 끼워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 패널을 홈부에 끼운 상태에서 고무 패킹과 통공을 맞춰 끼우면 고무 패킹이 오므려지며 통공에 끼워지고 복원되며 받침대가 조립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틀이 직접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의 지지틀에는 끼움홈 또는 플랜지가 마련될 수 있고, 이 플랜지에 통공을 형성하여 고무 패킹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알루미늄 데크 100 : 데크 조립체
120 : 데크 플레이트 140 : 간격 유지
160 : 결속부재 200 : 바닥 유닛
220 : 베이스부

Claims (7)

  1.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로써,
    시공 바닥에 등간격 또는 불규칙 간격으로 시공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데크 조립체가 안착되는 받침대;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받침대를 결속시켜 고정시키는 고정 클립;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시공되는 데크 조립체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가 구비되고, 이 웨브에 등간격으로 2개 이상의 구멍이 천공된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웨브 일부를 "ㄷ" 형상으로 절개하고, 이 절개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간격 유지부와,
    상기 구멍에 끼워져 데크 플레이트를 엮어 조립하는 결속부재;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웨브에 형성된 구멍은 등간격으로 2개 이상이 형성되고, 이들 구멍에 끼워지는 결속부재는 "U"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데크 플레이트를 결속하며,
    상기 결속부재는 와이어 로프로 구성되어, 데크 플레이트가 만곡 또는 파형으로 굴곡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받침대의 저면에는 반원형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베이스부의 홈부에 끼워지는 끼움판을 구비하며, 이 끼움판의 상면에 탄편을 구비하되, 이 탄편은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탄편은 반원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받침대의 끼움홈을 탄편에 맞춰 누르면 탄편이 오므려지면서 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고, 일측 단부가 브라켓에 끼워져 고정된 상기 결속부재를 구멍에 끼운 다음, 결속부재 당겨 타측 단부를 브라켓에 고정하는 것으로 데크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의 각각 또는 어느 하나의 면에 논슬립 돌기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61325A 2020-05-22 2020-05-22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및 이 알루미늄 데크의 시공방법 KR102208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325A KR102208693B1 (ko) 2020-05-22 2020-05-22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및 이 알루미늄 데크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325A KR102208693B1 (ko) 2020-05-22 2020-05-22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및 이 알루미늄 데크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693B1 true KR102208693B1 (ko) 2021-01-28

Family

ID=7423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325A KR102208693B1 (ko) 2020-05-22 2020-05-22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및 이 알루미늄 데크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6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7226A (ja) * 2008-05-28 2009-12-10 Ihi Corp 合成床版とその補強方法
KR101879791B1 (ko) * 2018-01-04 2018-07-18 주식회사 포유텍 가변형 조립식 복공판
KR20200021963A (ko) * 2020-02-11 2020-03-02 송기현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7226A (ja) * 2008-05-28 2009-12-10 Ihi Corp 合成床版とその補強方法
KR101879791B1 (ko) * 2018-01-04 2018-07-18 주식회사 포유텍 가변형 조립식 복공판
KR20200021963A (ko) * 2020-02-11 2020-03-02 송기현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8345B2 (en) Extruded deck board with finishing material insert
US8322114B2 (en) Cladding assembly and method of cladding posts
US20020056238A1 (en) Deck plank extrusion and retaining clip
US7090201B2 (en) Modular vinyl fencing system
US20110290588A1 (en) Temporary viewing platforms
CA2752934A1 (en) Connector for boardwalk system
US10106986B2 (en) Curved pathway
CN110494616A (zh) 藤架建筑系统和支架
KR100987143B1 (ko)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EP0701033B1 (en) Architectural panel
JP4709592B2 (ja) まくら木の連結構造
KR101120544B1 (ko) 슬립 방지 기능 및 연결 구조가 개선된 데크 및 이를 이용한 확장 데크 구조물
US20060192190A1 (en) Modular vinyl fence system
KR102208693B1 (ko)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및 이 알루미늄 데크의 시공방법
US20050160686A1 (en) Interlocking conformable retainer wall system
US20070145341A1 (en) Modular vinyl fencing system
KR102139094B1 (ko)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KR100832403B1 (ko) 대나무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68264B1 (ko) 데크의 연결장치
KR101021832B1 (ko) 확장 인도용 바닥 패널
WO1997040243A1 (en) Cladding element
CA2854945C (en) Extruded deck board with finishing material insert
KR102630113B1 (ko) 'ㄷ'자 브라켓이 구비된 난간용 기둥
KR102553272B1 (ko) 데크 고정 클립
KR102560861B1 (ko) 연결구를 이용한 데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