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963A -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963A
KR20200021963A KR1020200016228A KR20200016228A KR20200021963A KR 20200021963 A KR20200021963 A KR 20200021963A KR 1020200016228 A KR1020200016228 A KR 1020200016228A KR 20200016228 A KR20200016228 A KR 20200016228A KR 20200021963 A KR20200021963 A KR 20200021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lip
rail
fit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285B1 (ko
Inventor
송기현
Original Assignee
송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현 filed Critical 송기현
Priority to KR102020001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2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94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명은,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시공되는 데크의 폭에 맞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바닥면에 다수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각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고, 상부에는 암요철 형태의 끼움레일이 형성되는 클립부재;와,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상기 끼움레일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렬 삽입되어 양방향으로 데크를 고정하는 한쌍의 데크고정부재; 및 양측면에는 상기 데크고정부재와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는 데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데크고정부재는 상기 끼움레일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끼움레일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데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데크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향으로 재차 연장되어 끼움부의 상부로 노출되게 돌출되는 간격부로 구성되고, 상기 간격부는 끼움부에 의해 고정된 데크와 인접한 데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과 더불어 도구를 통해 간격부를 일방향으로 타격하여 데크고정부재가 클립부재의 끼움레일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DECK ASSEMBLY FOR EASY CONSTRUCTION AND DISASSEMBLY}
본 발명은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를 조립하는데 있어, 데크와 데크의 간격을 정확히 셋팅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손쉽게 데크를 시공할 수 있는 뿐만 아니라 결합피스가 없기 때문에 데크를 분리하는데 있어서도 데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원주택이나 펜션 등의 테라스, 공원 내 차도를 따라 설치되는 산악보도나 산책로 등을 시공함에 있어 다양한 장점을 가진 데크를 이용하여 설치 시공하고 있다.
상기 데크를 설치하는 기존의 방법은, 바닥 또는 바닥 상부에 베이스프레임(일명, ‘장선’이라 함)을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데크를 교차된 방향으로 올려놓아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데크를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상기 데크를 직결피스로 직접 관통하여 베이스프레임에 고정 설치하거나 둘째, 우선적으로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데크 상호 간을 일체로 연결한 후 상기 연결부재와 베이스프레임을 직결피스로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양자의 고정방법은 공통적으로 직결피스를 이용한 체결작업을 반드시 시행하여야만 함으로써 설치시 복잡함은 물론 작업공수 및 불필요한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시공비가 증가하며, 나아가 이와 같은 합성목재 데크의 설치공사가 대부분 전기시설이 없는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여건상 별도의 이동식 발전기를 구비하여야만 원활하고 정상적인 피스작업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이동식 발전기를 구입하거나 임대하는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종래에 출원된 "데크의 설치구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15510호)"는 베이스프레임에 고정클립을 고정하는데 있어, 직결피스로 고정하기 때문에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직결피스가 전단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또한 베이스프레임에 고정클립을 일일이 직결피스로 고정하기 때문에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데크의 설치구조는 양측에 형성된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의 형상이 달라 어느 한방향으로만 설치해야 함으로, 이 또한 시공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데크를 분리할 경우에는 고정클립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데크를 해체하는 있어 고정클립의 걸림돌기가 펼쳐지게 손상되어 해체가 매우 어렵고, 또한 해체된 상기 고정클립을 재사용할 경에는 걸림돌기의 구속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155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데크를 조립하는데 있어, 데크와 데크의 간격을 정확히 셋팅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손쉽게 데크를 시공할 수 있는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설치된 데크와 데크의 사이에 위치한 간격부에 도구를 삽입하여 타격에 의해 간격부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데크고정부재를 레일부재의 끼움레일에서 이탈시키면, 레일부재에 대한 데크의 구속이 해제되는 바, 이 상태에서 데크를 들어올리면 상기 데크는 데크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로 데크의 손상없이 상향으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시공되는 데크의 폭에 맞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바닥면에 다수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각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외장되어 고정되는 클립부재;와, 하부는 상기 클립부재의 상부에 연설되고, 상부에는 암요철 형태의 끼움레일이 형성되는 레일부재;와,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상기 끼움레일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렬 삽입되어 양방향으로 데크를 고정하는 한쌍의 데크고정부재; 및 양측면에는 상기 데크고정부재와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는 데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데크고정부재는 상기 끼움레일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끼움레일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데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데크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향으로 재차 연장되어 끼움부의 상부로 노출되게 돌출되는 간격부로 구성되고, 상기 간격부는 끼움부에 의해 고정된 데크와 인접한 데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과 더불어 도구를 통해 간격부를 일방향으로 타격하여 데크고정부재가 레일부재의 끼움레일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클립부재는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는 클립몸체와, 상기 클립몸체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클립몸체에 결합되는 클립고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클립몸체는 베이스프레임의 3방면을 감싸지게 일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수직클립의 양단에 수평 절곡된 2개의 수평클립를 갖게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상기 클립고정판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직클립의 하부에 배치된 수평클립의 단부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진입가이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수직클립의 상부에 배치된 수평클립에는 제1걸림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클립고정판은 상기 각 수평클립이 벌어져 베이스프레임에서 이탈되어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에는 상기 제1걸림홈부에 결합되는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진입가이드부가 삽입되는 제2걸림홈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걸림후크와 제2걸림홈부의 사이에는 폭이 좁아지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클립고정판의 파지를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레일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클립몸체의 수평클립이 관통결합되어 연설될 수 있도록 결합관통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에 따르면, 데크를 조립하는데 있어, 데크와 데크의 간격을 정확히 셋팅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손쉽게 데크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된 데크와 데크의 사이에 위치한 간격부에 도구를 삽입하여 타격에 의해 간격부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데크고정부재를 레일부재의 끼움레일에서 이탈시키면, 레일부재에 대한 데크의 구속이 해제되는 바, 이 상태에서 데크를 들어올리면 상기 데크는 데크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로 데크의 손상없이 상향으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어 데크의 해체가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클립부재와 레일부재 및 데크고정부재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의 데크를 해체하기 위해 데크고정부재가 레일부재의 끼움레일에서 이탈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클립부재와 레일부재 및 데크고정부재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의 데크를 해체하기 위해 데크고정부재가 레일부재의 끼움레일에서 이탈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크를 조립하는데 있어, 데크와 데크의 간격을 정확히 셋팅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손쉽게 데크를 시공할 수 있는 뿐만 아니라 결합피스가 없기 때문에 데크를 분리하는데 있어서도 데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100)는 크게 5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베이스프레임(10)과, 클립부재(20)와, 레일부재(30)와, 데크고정부재(40) 및 데크(5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데크(50)를 뜬바닥 시공하기 위해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병렬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면에 다수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각 베이스프레임(10)의 간격은 데크(50)의 폭에 따라 달리된다.
상기 클립부재(20)는 베이스프레임(10)에 외장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각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상기 레일부재(30)는 데크고정부재(4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는 상기 클립부재(20)의 상부에 연설되고, 상부에는 데크고정부재(40)를 슬라이딩 결합시킬 수 있도록 암요철 형태의 끼움레일(31)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레일부재(30)의 하부에는 클립부재(20)가 관통결합되어 연설될 수 있도록 결합관통구(32)가 더 형성되어 상호 간 결합피스 없이 링크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클립부재(20)는 크게 클립몸체(21) 및 클립고정판(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몸체(21)는 베이스프레임(10)의 3방면을 감싸지게 일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수직클립(211)의 양단에 수평 절곡된 2개의 수평클립(212)을 갖는 것으로 단면이 "ㄷ"자 형태를 취한다,
이 때 상기 수직클립(211)의 하부에 배치된 수평클립(212)의 단부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베이스프레임(10)으로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진입가이드부(213)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립몸체(21)는 상부에 배치된 수평클립(212)은 레일부재(30)의 결합관통구(32)에 삽입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부위에 제1걸림홈부(214)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클립고정판(22)은 상기 각 수평클립(212)이 벌어져 베이스프레임(10)에서 이탈되거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립고정판(22)은 상단에 상기 제1걸림홈부(214)에 결합되는 걸림후크(22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진입가이드부(213)가 삽입되는 제2걸림홈부(222)가 더 형성되어 상기 클립몸체(21)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또한 상기 클립고정판(22)의 걸림후크(221)와 제2걸림홈부(222)의 사이에는 폭이 좁아지는 손잡이(223)가 형성되어 파지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고정판(22)은 클립몸체(21)가 베이스프레임(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걸림홈부(222)를 클립몸체(21)의 진입가이드부(213)에 1차 삽입한 후, 2차로 클립고정판(22)을 직립시켜 걸림후크(221)를 클립몸체(21)의 제1걸림홈부(214)에 걸쳐지게 삽입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클립고정판(22)은 진입가이드부(213)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진입가이드부(213)가 삽입된 제1걸림홈부(214)는 진입가이드부(213)의 경사진 부분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클립고정판(22)을 해체할 경우에는 1차로 제2걸림홈부(222)를 진입가이드부(213)에서 분리한 후, 2차로 걸림후크(221)를 제1걸림홈부(214)에서 이탈시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립몸체(21)의 수평클립(212)과 수직클립(211)은 내부로 다수의 스파이크(미도시)를 형성시켜 베이스프레임(10)에서 그 위치가 고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데크고정부재(40)는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상기 끼움레일(31)에 직렬로 한쌍이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데크고정부재(40)는 하나의 레일부재(30)의 끼움레일(31)에 2쌍이 서로 다른(대칭) 방향으로 직렬 삽입되는 구성으로, 양방향으로 데크(5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각 데크고정부재(40)는 상기 끼움레일(3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41)와, 상기 삽입부(41)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끼움레일(31)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42)와, 상기 수직부(42)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데크(50)와 끼움결합되는 끼움부(43)를 통해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데크(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데크(50)는 양측면으로 상기 데크고정부재(40)의 끼움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는 끼움홈(5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 데크고정부재(40)는 상기 수직부(42)에서 상향으로 재차 연장되어 끼움부(43)의 상부로 노출되게 돌출되는 간격부(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간격부(44)는 끼움부(43)에 의해 고정된 데크(50)와, 인접한 데크(5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과 더불어 도 5와 같이, 도구(미도시)를 통해 간격부(44)를 일방향으로 타격하여 데크고정부재(40)가 레일부재(30)의 끼움레일(31)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의 시공방법 및 해체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의 시공방법:
건물의 바닥면에 병렬로 고정된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클립부재(20)를 고정하는데, 먼저 클립부재(20)의 수평클립(212)을 레일부재(30)의 결합관통구(32)에 연결시켜 레일부재(30)와 일체화시킨다.
이 후 레일부재(30)가 결합된 상태로 클립몸체(21)를 베이스프레임(10)에 외장시켜 조립한다.
그리고 클립부재(20)의 클립고정판(22)에 형성된 손잡이(223)를 잡고 제2걸림홈부(222)를 클립몸체(21)의 진입가이드부(213)에 1차 삽입한 후, 2차로 클립고정판(22)을 직립시켜 걸림후크(221)를 클립몸체(21)의 제1걸림홈부(214)에 걸쳐지게 삽입하여 클립부재(2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 때 클립고정판(22)은 진입가이드부(213)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진입가이드부(213)가 삽입된 제1걸림홈부(214)는 진입가이드부(213)의 경사진 부분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데크(50)를 결합시키기 위한 한쌍의 데크고정부재(40) 삽입부(41)를 레일부재(30)에 형성된 끼움레일(31)에 서로 다른(대칭) 방향으로 직렬로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그러면 데크고정부재(40)의 끼움부(43)는 끼움레일(31)의 상부로 노출되는 수직부(42)에 의해 끼움레일(31)과의 사이에 데크(50)의 하부를 결합할 수 있는 "갭"이 형성되는 바, 이러한 갭(G)을 통해 데크(50)의 하부를 끼움결합시키고, 동시에 데크(50)의 끼움홈(51)은 끼움부(43)에 삽입되어 2중으로 엇갈리게 고정된다.
이 때 상기 간격부(44)는 데크고정부재(40)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고정된 2개의 데크(50) 사이에 위치된다.
이 후 설치된 데크(50)의 양측에 인접한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된 레일부재(30)에 데크고정부재(40)를 설치하여 고정되지 않은 데크(50) 단부를 일련을 과정을 거쳐 데크(50)의 양방향을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손쉽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의 해체방법:
데크(50)와 데크(50)의 사이에 위치한 간격부(44)에 도 5와 같이, 도구(미도시)를 삽입하여 타격에 의해 간격부(44)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데크고정부재(40)를 레일부재(30)의 끼움레일(31)에서 이탈시키면, 레일부재(30)에 대한 데크(50)의 구속이 해제되는 바, 이 상태에서 데크(50)를 들어올리면 도 6과 같이, 상기 데크(50)는 데크고정부재(40)가 결합된 상태로 데크(50)의 손상없이 상향으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베이스프레임
20: 클립부재 21: 클립몸체 211: 수직클립
212: 수평클립 213: 진입가이드부
214: 제1걸림홈부 22: 클립고정판
221: 걸림후크 222: 제2걸림홈부
223: 손잡이
30: 레일부재 31: 끼움레일 32: 결합관통구
40: 데크고정부재 41: 삽입부 42: 수직부
43: 끼움부 44: 간격부
50: 데크 51: 끼움홈
G: 갭
100: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Claims (5)

  1. 시공되는 데크(50)의 폭에 맞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바닥면에 다수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10);
    상기 각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외장되어 고정되는 클립부재(20);
    하부는 상기 클립부재(20)의 상부에 연설되고, 상부에는 암요철 형태의 끼움레일(31)이 형성되는 레일부재(30);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상기 끼움레일(31)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렬 삽입되어 양방향으로 데크(50)를 고정하는 한쌍의 데크고정부재(40); 및
    양측면에는 상기 데크고정부재(4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따라 끼움홈(51)이 형성되는 데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데크고정부재(40)는 상기 끼움레일(3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41)와, 상기 삽입부(41)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끼움레일(31)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42)와, 별도의 결합피스 없이 데크(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42)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데크(50)의 끼움홈(5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43)와, 상기 수직부(42)의 단부에서 상향으로 재차 연장되어 끼움부(43)의 상부로 노출되게 돌출되는 간격부(44)로 구성되고,
    상기 간격부(44)는 끼움부(43)에 의해 고정된 데크(50)와 인접한 데크(5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과 더불어 도구를 통해 간격부(44)를 일방향으로 타격하여 데크고정부재(40)가 레일부재(20)의 끼움레일(31)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20)는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되는 클립몸체(21)와, 상기 클립몸체(21)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클립몸체(21)에 결합되는 클립고정판(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몸체(21)는 베이스프레임(10)의 3방면을 감싸지게 일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수직클립(211)의 양단에 수평 절곡된 2개의 수평클립(212)를 갖게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상기 클립고정판(22)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직클립(211)의 하부에 배치된 수평클립(212)의 단부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진입가이드부(213)가 더 형성되고, 상기 수직클립(211)의 상부에 배치된 수평클립(212)에는 제1걸림홈부(21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고정판(22)은 상기 각 수평클립(212)이 벌어져 베이스프레임(10)에서 이탈되어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에는 상기 제1걸림홈부(214)에 결합되는 걸림후크(22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진입가이드부(213)가 삽입되는 제2걸림홈부(222)가 더 형성되되,
    상기 걸림후크(221)와 제2걸림홈부(222)의 사이에는 폭이 좁아지는 손잡이(223)가 형성되어 클립고정판(22)의 파지를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30)의 하부에는 상기 클립몸체(21)의 수평클립(212)이 관통결합되어 연설될 수 있도록 결합관통구(3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KR1020200016228A 2020-02-11 2020-02-11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KR102249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228A KR102249285B1 (ko) 2020-02-11 2020-02-11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228A KR102249285B1 (ko) 2020-02-11 2020-02-11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963A true KR20200021963A (ko) 2020-03-02
KR102249285B1 KR102249285B1 (ko) 2021-05-06

Family

ID=6980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228A KR102249285B1 (ko) 2020-02-11 2020-02-11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2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693B1 (ko) * 2020-05-22 2021-01-28 지산투수개발(주)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및 이 알루미늄 데크의 시공방법
KR102315850B1 (ko) * 2021-04-13 2021-10-21 서부금속산업 주식회사 데크설치용 패널고정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675A (ko) * 2004-07-07 2006-01-11 김윤섭 연결지지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US20070186498A1 (en) * 2003-09-05 2007-08-16 Claude Buzon Floor
KR101815510B1 (ko) 2016-09-02 2018-01-05 주식회사 다정하이테크 데크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6498A1 (en) * 2003-09-05 2007-08-16 Claude Buzon Floor
KR20060003675A (ko) * 2004-07-07 2006-01-11 김윤섭 연결지지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KR101815510B1 (ko) 2016-09-02 2018-01-05 주식회사 다정하이테크 데크의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693B1 (ko) * 2020-05-22 2021-01-28 지산투수개발(주) 조립식 알루미늄 데크 및 이 알루미늄 데크의 시공방법
KR102315850B1 (ko) * 2021-04-13 2021-10-21 서부금속산업 주식회사 데크설치용 패널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285B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1963A (ko)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US9435134B2 (en) Self-raking fence panel and rail, kit of parts, and method of assembly and installation
BR112015029074B1 (pt) Sistema de plataforma de trabalho para implementação em relação a uma estrutura e método de implementação de um sistema de plataforma de trabalho em relação a uma estrutura
RU2357059C2 (ru)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раздвижных и складывающихся дверей
KR200455273Y1 (ko) 천장패널의 고정구조
KR100876098B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20130092227A (ko) 합성목재 난간 결합구조
KR20150088123A (ko)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
KR101815510B1 (ko) 데크의 설치구조
KR101387296B1 (ko)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KR20090003854U (ko) 천장 구조
KR101775645B1 (ko) 교량 점검용 통로
KR101993454B1 (ko) 처짐을 방지하고 확장성을 높인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JP5591727B2 (ja) ウッドデッキ
KR101897472B1 (ko) 스페이서와 데크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체
KR100665573B1 (ko) 난간연결구조
KR102241670B1 (ko) 슬라이딩 회전 고정방식 데크로드 시스템
KR102241675B1 (ko) 목재데크 팽창 방지형 데크로드 시스템
JP2006200169A (ja) 巾木固定用金具及び枠組み足場
KR101000316B1 (ko) 교각 안전점검로
KR100627976B1 (ko) 공동주택 및 일반건축용 난간 보강구조
KR200449569Y1 (ko) 파티션 연결용 커넥터
KR102153654B1 (ko) 체결구를 이용한 데크로드 설치구조 및 데크로드 시공방법
KR20110100835A (ko) 계단 난간의 핸드레일과 동자기둥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핸드레일과 동자기둥의 조립 연결 방법
KR20080002071U (ko) 특수족장설비의 안전용 핸드레일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