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080B1 - 접이식 경사로 - Google Patents

접이식 경사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080B1
KR102553080B1 KR1020220115550A KR20220115550A KR102553080B1 KR 102553080 B1 KR102553080 B1 KR 102553080B1 KR 1020220115550 A KR1020220115550 A KR 1020220115550A KR 20220115550 A KR20220115550 A KR 20220115550A KR 102553080 B1 KR102553080 B1 KR 102553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d
folding guide
ramp
coupled
bill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916A (ko
Inventor
이동광
김희섭
김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이치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이치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이치티엔씨
Priority to US18/032,65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918521B2/en
Priority to PCT/KR2022/013763 priority patent/WO2023043212A1/ko
Publication of KR2023004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등과 같이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이동수단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접이식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상시 광고판 거치대로 사용하며, 경사로로 이용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접이식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경사로{FOLDABLE RAMP}
본 발명은 휠체어 등과 같이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이동수단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접이식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상시 광고판 거치대로 사용하며, 경사로로 이용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접이식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란 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수단으로,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에 고정된 좌석부, 전방차륜과 주차륜 및 조향핸들 등으로 구성되고, 보호자 조작타입과 이용자 조작타입으로 구별할 수 있으며, 또한 동력주행타입과 보호자 또는 이용자 구동타입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러한 휠체어는 모두 사람을 한 명 태운 상태로 전방차륜 및 주차륜의 구동에 의해 도로나 인도 또는 실내 등을 주행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주차륜은 그 크기가 크게 형성되어 있으나, 전방차륜은 주행 중 조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개 작은 지름의 바퀴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인도 또는 실내 등에서 주행 중 둔턱 또는 단차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타고 넘어가기 위해 많은 힘이 들게 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얕은 계단이나 단턱 등과 같은 장애물을 만나게 되는 경우에는 휠체어가 이를 올라가거나 또는 내려갈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접이식 경사로가 소개되어 있으나, 평상시 접힌 상태로 별도의 보관소에 보관해야 하므로, 유지관리가 힘들다는 문제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0001) 국내등록특허 제10-0992110호 (0002) 국내등록특허 제10-123358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과 보관이 용이함은 물론, 평상시 광고판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접이식 경사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접이식 경사로는, 미 사용시 접어둔 상태로 보관하고, 사용시 펼쳐진 상태로 단턱이 형성된 장소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접이식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접힘가이드부; 일측이 상기 접힘가이드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힘가이드부와 함께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경사부; 일측이 상기 제1 경사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제1 지지부; 일측이 상기 접힘가이드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힘가이드 및 제1 경사부와 함께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경사부; 및 일측이 제2 경사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턱 상부에 지지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접힘 시 상기 접힘가이드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힘가이드부,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통해 광고표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가 상기 접힘가이드부,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바닥에 지지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힘가이드부, 상기 제1 경사부,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2 지지부가 접힌 상태로 삽입되어 지지되며, 하부에 이송수단이 배치된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접이식 몸체로 구성되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광고표시부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안내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보강부를 통해 경사로를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경사 각도에 맞춰 용이하게 높이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를 구비하여 접이식 경사로의 보관 및 운반이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인 접이식 경사로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을 거치부에서 분리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을 일 실시례에 따라 단턱이 형성된 바닥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보강부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표시부와 경사판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광고표시부가 장착된 경사판을 거치부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접이식 경사로의 일 실시례에 따른 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을 거치부에서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면인 접이식 경사로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편의상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부분을 '경사판'이라 칭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접이식 경사로는 크게 전술한 경사판과 거치부(80)로 구성될 수 있다. 미 사용시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을 접어둔 상태로 거치부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을 펼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은 접힘가이드부(10), 제1 경사부(20), 제1 지지부(30), 제2 경사부(40) 및 제2 지지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힘가이드부(10)는 경사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경사판의 접힘 시 접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부(20)는 일측이 접힘가이드부(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펼침 시 접힘가이드부(10)와 함께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지지부(30)는 제1 경사부(2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펼침시 설치할 바닥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제2 경사부(40)는 일측이 접힘가이드부(1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펼침시 접힘가이드부(10) 및 제1 지지부(30)와 함께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지지부(50)는 제2 경사부(4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하되며, 펼침시 설치할 단턱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전술한 경사판은 접힘 시 접힘가이드부(10)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접혀서 거치부(80)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펼쳐서 단턱 등이 형성된 장소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사판에는 다수 개의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홀(H)을 통해 물이 배수될 수 있으며, 홀(H)을 통해 후술할 광고표시부를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홀(H)을 통해 블록형경사판(6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블록형경사판(60)에도 경사판에 형성된 다수 개의 홀(H)에 대응되는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형경사판(60)과 경사판 상호간은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이나 블록형경사판 자체에 형성된 끼움돌기(미도시) 등을 경사판에 형성된 홀(H)에 끼워 장착할 수 있다. 블록형경사판(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판을 여러 개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하거나, 미도시 하였으나 큰 판, 예컨데 접힘가이드부(10), 제1 경사부(20), 제1 지지부(30), 제2 경사부(40) 및 제2 지지부(50) 각각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블록형경사판(60)에 형성된 홀(H)은 미끄럼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접힌 경사판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거치부(80)의 하부에는 이송수단(85)이 배치될 수 있다. 이송수단(85)을 통해 경사판을 결합한 상태로 사용할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송수단(85)에는 스토퍼를 구성하여 위치 이동이 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거치부(80)의 중심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수홀(8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홀(82)을 통해 빗물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을 일 실시례에 따라 단턱이 형성된 바닥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보강부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경사판에는 양 측면에도 다수 개의 홀(도면 번호 미기재)이 형성될 수 있다. 형성된 홀에는 경사판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파지할 수 있는 가이드 프레임(GF)을 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힘가이드부(10), 제1 경사부(20) 및 제2 경사부(4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보강부(70)를 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강부(70) 역시 경사판의 양 측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강부(70)는 경사판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사판으로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경사판이 휘는 것을 방지하고, 경사판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부(70)에는 높이조절수단(71)이 구비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71)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끼움홀(도면 번호 미기재)에 체결지지되는 끼움돌기(도면 번호 미기재)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높이조절수단(71)을 이용하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할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보강부(7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30)의 바닥(1)에 접촉지지되는 부위와 제2 지지부(30)의 단턱(2) 상부 바닥에 지지되는 부위에는 우레탄 재질의 미끄럼방지패드(31, 51)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우레탄 재질은 전술한 블록형경사판(60)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패드(31, 51)를 통해 소정의 접촉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경사판 사용시 경사판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도시 하였으나, 보강부(70)의 바닥에 접촉지지되는 부위에도 전술한 미끄럼방지패드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표시부와 경사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광고표시부가 장착된 경사판을 거치부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광고표시부(90)는 경사판에 형성된 홀(H)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경사판을 미 사용시 접힌 상태로 거치부(80)에 거치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경사판에 형성된 홀(H)에 광고표시부(90)를 끼워 광고표시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고표시부(90)는 광고판(91)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케이스(92), 파지홈(93) 및 체결돌기(9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광고판(91)은 일반적인 홍보용 광고 표지부터 안내글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안내표시의 글이나 그림,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케이스(92)는 광고판(91)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고판(91)이 끼워지도록 상부에 끼움홀(도면 번호 미기재)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된 광고판(91)을 식별할 수 있도록 수납케이스(92)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고판(91)을 수납 및 수납된 광고판(91)을 파지하여 꺼낼 수 있도록 수납케이스(91)의 일측면 상부에는 파지홈(9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케이스(92)의 타측면에는 경사판에 형성된 홀(H)에 끼워져 지지되는 체결돌기(94)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데 체결돌기(94)는 수납케이스(92)의 타측면 모서리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광고표시부(90)를 장착한 경사판 사용시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을 거치부(8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홈(81)에 삽입하여 지지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경사판에는 전술한 광고표시부(90)가 장착된 상태이며, 이송수단(85)을 이용하여 거치부(80)를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거치부(80)에는 전원연결부재(8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연결부재(83)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거치부(80)나 경사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등(미도시)이나 스피커(미도시) 등을 장착하고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거치부(80)에는 내측에 형성된 빈 공간과 연통되는 환풍구(8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미도시 하였으나, 거치부(80)의 네 측면 둘레부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방식의 개폐도어를 형성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관성, 휴대성 및 이동성이 우수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경사로 시설물을 설치하지 않고도 경사로를 이용할 수 있으며, 평상시 광고판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 및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바닥 2: 단턱
10: 접힘가이드부 20: 제1 경사부
30: 제1 지지부 31: 미끄럼방지패드
40: 제2 경사부 50: 제2 지지부
51: 미끄럼방지패드 60: 블록형경사판
70: 보강부 71: 높이조절수단
80: 거치부 81: 지지홈
82: 배수홀 83: 전원연결부재
84: 환풍구 85: 이송수단
90: 광고표시부 91: 광고판
92: 수납케이스 93: 파지홈
94: 체결돌기
H: 홀 GF: 가이드 프레임
GP: 손잡이

Claims (5)

  1. 평상시 광고판 거치대로 사용하고, 경사로로 이용시 펼쳐서 단턱이 형성된 장소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접이식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접힘가이드부;
    일측이 상기 접힘가이드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힘가이드부와 함께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경사부;
    일측이 상기 제1 경사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닥에 지지되며, 상기 바닥에 지지되는 부위에는 미끄럼방지패드가 결합된 제1 지지부;
    일측이 상기 접힘가이드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힘가이드 및 제1 경사부와 함께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경사부;
    일측이 제2 경사부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턱 상부에 지지되며, 상기 단턱 상부에 지지되는 부위에는 미끄럼방지패드가 결합된 제2 지지부;
    상부가 상기 접힘가이드부,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바닥에 지지되며, 높이가 조절되는 보강부; 및
    상기 접힘가이드부, 상기 제1 경사부,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2 지지부가 접힌 상태로 삽입되어 지지되며, 하부에 이송수단이 배치된 거치부를 포함하며,
    접힘 시 상기 접힘가이드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접히고,
    상기 접힘가이드부,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을 통해 광고표시부가 결합되며,
    상기 광고표시부는,
    상부에 광고판이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일측면 상부에 상기 광고판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상기 광고판을 파지하여 꺼낼 수 있도록 파지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홀에 체결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된 수납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배수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연결부재;
    상기 전원연결부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스피커; 및
    내측에 형성된 빈 공간과 연통되는 환풍구를 포함하는 접이식 경사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15550A 2021-09-16 2022-09-14 접이식 경사로 KR102553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32,654 US11918521B2 (en) 2021-09-16 2022-09-15 Foldable ramp
PCT/KR2022/013763 WO2023043212A1 (ko) 2021-09-16 2022-09-15 접이식 경사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23889 2021-09-16
KR1020210123889 2021-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916A KR20230040916A (ko) 2023-03-23
KR102553080B1 true KR102553080B1 (ko) 2023-07-07

Family

ID=8579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550A KR102553080B1 (ko) 2021-09-16 2022-09-14 접이식 경사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0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7416A1 (en) * 2007-04-05 2010-08-05 Edward Brown Artificial ski slope assembly
KR102145258B1 (ko) 2019-08-14 2020-08-18 주식회사 유디센터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경사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7040B1 (en) * 2001-12-07 2002-09-10 Christopher W. Young, Sr. Combination tailgate/ramp apparatus for a pickup truck
KR100992110B1 (ko) 2008-10-20 2010-11-04 한국산재의료원 휠체어
KR101233585B1 (ko) 2011-08-17 2013-02-15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물 승월이 가능한 휠체어
KR20210000628A (ko) * 2019-06-25 2021-01-05 이찬구 조립식 구조를 갖는 무대 경사로 구조체
KR102325075B1 (ko) * 2019-11-07 2021-11-12 주식회사에이치티엔씨 계단 승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7416A1 (en) * 2007-04-05 2010-08-05 Edward Brown Artificial ski slope assembly
KR102145258B1 (ko) 2019-08-14 2020-08-18 주식회사 유디센터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경사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916A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9015B2 (en) Transporting device with panel truck
KR940007089B1 (ko) 프레임 분리형 개조식 퍼스널차량
US6412795B1 (en) Assembly of nestable wheelchairs and wheelchair for use in such an assembly
EP3578154B1 (en) Indoor and outdoor mobility device system
US4312417A (en) Hand truck employing wheel units having multiple wheels
US7887085B2 (en) Folding and fixing structure of a people-carrying vehicle
KR102553080B1 (ko) 접이식 경사로
US20110219529A1 (en) Commode Chair
US11918521B2 (en) Foldable ramp
US20040207240A1 (en) Collapsible wheeled dual-chair
EP0874577B1 (en) Mobile portable playyard system
WO2017146559A1 (es) Carretilla de carga con aletas
US20060145436A1 (en) Shopping cart mounted step stool
US20140068854A1 (en) Nursing Care Support Device
US20050212267A1 (en) Carrier device
JP2000316619A (ja) 椅子付キャリーバッグ
EP4209203A1 (fr) Dispositif d'aide aux personnes à mobilité réduite
KR20110071643A (ko) 장애인용 쇼핑카트
FR2784022A1 (fr) Ensemble utilitaire pour personnes a mobilite reduite
AU2005100261A4 (en) Mobility solution
KR20200039158A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KR20230040937A (ko) 계단 이송 리프트장치
US202201261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balancing exercises
KR200432269Y1 (ko) 의자 겸용 사다리
FR2784292A1 (fr) Ensemble utilitaire pour personnes a mobilite redu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