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643A - 장애인용 쇼핑카트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쇼핑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643A
KR20110071643A KR1020090128265A KR20090128265A KR20110071643A KR 20110071643 A KR20110071643 A KR 20110071643A KR 1020090128265 A KR1020090128265 A KR 1020090128265A KR 20090128265 A KR20090128265 A KR 20090128265A KR 20110071643 A KR20110071643 A KR 20110071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rame
basket
shopping cart
dis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관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송재관
김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관, 김현진 filed Critical 송재관
Priority to KR102009012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1643A/ko
Publication of KR20110071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Adaptations for moving the carts by wheel chair users or other disabl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쇼핑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휠체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아울러, 휠체어에 연결한 상태에서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어서, 장애인도 카트를 이용해 쇼핑할 수 있게 하는 장애인용 쇼핑카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100), 바스켓(200), 바퀴(300) 및 손잡이(400)로 구성되는 쇼핑카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저부에 바퀴(300)를 장착한 하부프레임(110)과 바스켓(200)을 고정한 상부프레임(120)을 상하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20)을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배면측 상부에 지지 고정되게 하고, 상기 바스켓(200)은, 상면(210)과 정면(212)이 개구된 박스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측면(220)의 높이가 배면측에서 정면측으로 향하며 점차 낮아지게 하고, 정면측의 저면에는 배면 방향으로 파인 절개부(211)을 조성하며, 정면측 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정면측 단부보다는 정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고정하며,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정면 끝단에는 휠체어(2)와 탈착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500)를 더욱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장애인이 휠체어(2)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간편하게 착탈 연결하여 매장코너를 이동할 수 있고, 물건을 편리하게 담을 수 있으며, 휠체어(2)에 탑승한 상태에서 공간부(13) 쪽으로 발을 뻗어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장애인, 카트, 휠체어, 쇼핑카트, 착탈

Description

장애인용 쇼핑카트{shopping cart for the disabled}
본 발명은 장애인용 쇼핑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휠체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아울러, 휠체어에 연결한 상태에서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어서, 장애인도 카트를 이용해 쇼핑할 수 있게 하는 장애인용 쇼핑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쇼핑카트는 그 사용 환경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한 구조를 갖지만, 대체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0)의 상부에 손잡이 또는 손잡이 튜브(50)가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30)가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중앙부에 화물이나 물품을 담을 수 있는 바스켓(40)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유아용 의자(20)를 보조 프레임(42, 44)에 고정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쇼핑카트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계되어,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구조를 하고 있다. 즉, 바스켓(40)의 높이가 너무 높아 물건을 담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바퀴(30)를 지지하는 프레임(10)이 손잡이(50)보다 전방에 위 치하고, 바스켓(10)이 빈 공간 없이 막혀 있어서 상시 휠체어를 타고 다녀야하는 장애인들은 쇼핑카트를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것으로, 휠체어를 착탈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하여서,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매장코너를 이동 할 수 있고, 휠체어 탑승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바스켓 및 프레임의 형성하여 휠체어 탑승자가 편리하게 쇼핑을 할 수 있는 장애인용 쇼핑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쇼핑카트는 저부에 바퀴(300)을 장착하고 정면에 손잡이(400)를 장착한 프레임(100)의 상부에 바스켓(200)이 장착되며, 휠체어(2)를 탁찰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한 장애인용 쇼핑카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저부에 바퀴(300)를 장착한 하부프레임(110)과 바스켓(200)을 고정한 상부프레임(120)을 상하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20)을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배면측 상부에 지지 고정되게 하고, 상기 바스켓(200)은, 상면(210)과 정면(212)이 개구된 박스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측면(220)의 높이가 배면측에서 정면측으로 향하며 점차 낮아지게 하고, 정면측의 저면에는 배면 방향으로 파인 절개부(211)을 조성하며, 정면측 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정면측 단부보다는 정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고정되되,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정면 끝단에는 휠체어(2)와 탈착가능 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500)가 더욱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500)는, 반원호 형상의 중공관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511)이 마련되며, 일측 단부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512)을 돌출되게 조성하고, 타측 단부의 외측면에는 제1축결합부(551)와 제2축결합부(552)가 조성된 기어연결부(550)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조성한 체결부(510); 외측면에 기어날(521)이 조성되고 일측 단부의 외측면에 걸림턱(522)을 돌출되게 조성한 반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측 단부부터 수용공간(511)의 타측 입구에 삽입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종동기어(520); 외주면에 기어날(541)이 조성된 원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의 기어날(541)이 상기 종동기어(520)의 기어날(521)과 맞물리게 된 상태로 상기 제1축결합부(551)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변환기어(540); 외주면에 기어날(531)이 조성된 원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의 기어날(531)이 상기 변환기어(540)의 기어날(541)과 맞물리게 된 상태로 상기 제2축결합부(552)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원동기어(530); 상기 원동기어(530)의 회전축에 고정된 레버(560); 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510)의 표면 중에서 내측에는 고무부재(57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쇼핑카트는 휠체어(2)를 탈착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500)를 구비하여서, 휠체어(2)를 착탈 연결이 가능하며, 장애인이 휠체 어(2)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간편하게 착탈 연결하여 매장코너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바스켓(200)의 높이를 낮추어 휠체어(2)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물건을 편리하게 담을 수 있고, 상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10)의 사이에 공간부(130)를 형성하여 휠체어(2)에 탑승한 상태에서 공간부(13) 쪽으로 발을 뻗어 지지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쇼핑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쇼핑카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은 본 발 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쇼핑카트의 연결부(500)의 단면을 나타내는 상세도 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후술하는 손잡이(400)이 장착된 방향은 정면이라 하고 그 반대쪽의 면을 배면이라 하여 설명함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애인용 쇼핑카트는, 바퀴(300)를 저면에 장착하고 물건을 담는 바스켓(200)을 상면에 장착한 프레임(100)과, 상기 바스켓(200) 및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되게 정면 측에 구비되는 손잡이(400)로 구성되어, 일반 쇼핑카트에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쇼핑카트의 상기 프레임(100)은, 저부에 바퀴(300)를 장착한 하부프레임(110)과 바스켓(200)을 고정한 상부프레임(120)을 상하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20)을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배면측 상부에 지지 고정되는 구조를 하고 있으며, 상기 바스켓(200)은, 상면(210)과 정면(212)이 개구된 박스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측면(220)의 높이가 배면측에서 정면측으로 향하며 점차 낮아지게 하고, 정면측의 저면에는 배면 방향으로 파인 절개부(211)을 조성하며, 정면측 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정면측 단부보다는 정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고정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쇼핑카트는, 상부프레임(120)의 정면 끝단에 저면측으로 돌출된 지지바(121)에 결합되며 휠체어(2)를 탈착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부(50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저부에 바퀴(300)를 장착한 하부프레임(110)과 바스켓(200)을 고정한 상부프레임(120)을 상하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20)을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지지시키되, 배면 방향으로 편향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바(121)를 하부프레임(110)과 상부프레임(120)의 사이에 세워서, 상부프레임(120)를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 지지시킨다. 이로써, 상기 상부프레임(120)과 상기 하부프레임(110) 사이에는 빈 공간의 공간부(130)가 형성되게 되고, 정면측에 후술할 휠체어(2)가 연결될 경우에, 상기 휠체어(2)를 상부프레임(120)의 끝단까지 밀착하여 연결하더라도 휠체어(2) 탑승자의 다리에 걸리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정면 방향 끝단에는 지면(700)을 향해 돌출되는 연결지지바(122)가 포함된다. 상기 연결지지바(122)에는 후술할 연결부(500)가 외삽되어 회전결합된다.
상기 바스켓(200)은 상면과 정면이 개구된 박스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측면(220)의 높이가 배면측에서 정면측으로 향하며 점차 낮아지게 하고, 정면측의 저면에는 배면 방향으로 파인 절개부(211)을 조성하며, 정면측 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정면측 단부보다는 정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200)의 측면(220) 높이가 배면측에서 정면측으로 향하여 점차 낮아지고 정면이 개구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앉아 있는 상태 에서도 물건을 상기 바스켓(200)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바스켓(200)의 바닥면(210)에는 정면측에서 배면 방향으로 파인 절개부(211)가 형성되어, 휠체어(2)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는 몸을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절개부(211) 사이에 몸을 밀착시켜 본 발명의 장애인용 쇼핑카트에 몸을 지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500)는 체결부(510), 종동기어(520), 변환기어(540), 원동기어(530) 및 레버(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510)는, 반원호 형상의 중공관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511)이 마련되고, 일측 단부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512)이 돌출되게 조성하고, 타측 단부의 외측면에는 기어연결부(550)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조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어연결부(550)는, 후술하는 변환기어(540)가 축결합되는 제1 축결합부(551)를 상기 체결부(510)에 연결되는 부위에 구비하고, 후술하는 변환기어(540)가 축결합되는 제2 축결합부(551)를 끝단에 구비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체결부(510)는, 상부프레임(120) 정면측 끝단의 연결지지바(122)와 결합되는 원형의 지지부재(501)에 돌출되게 형성된 연장바(502)에 장착되되, 외측면이 상기 연장바(502)의 끝단에 고정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501)는 상기 연결지지바(121)에 외삽시켜서 회전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기어(520)는, 외측면에 기어날(521)을 조성하고, 상기 기어날(521)이 조성된 일측 단부의 외측면에 걸림턱(522)을 돌출되게 조성한 반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측 단부부터 상기 수용공간(511)의 타측 입구에 삽입하는 형태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520)는 일측 부분이 상기 수용공간(511)의 타측 입구 밖으로 노출된 형태로 상기 수용공간(511)에 삽입되어서, 후술하는 변환기어(540)에 치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변환기어(540)는, 외주면에 기어날(541)이 조성된 원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의 기어날(541)이 상기 종동기어(520)의 기어날(521)과 맞물리게 된 상태로 상기 기어연결부(550)의 제1 축결합부(551)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상기 원동기어(530)는, 외주면에 기어날(531)이 조성된 원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의 기어날(531)이 상기 변환기어(540)의 기어날(541)과 맞물리게 된 상태로 상기 기어연결부(550)의 제2 축결합부(552)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상기 레버(560)는, 상기 원동기어(530)의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어서 타단을 손잡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510)의 바깥면 중에서 내측면에는 고무부재(57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연결부(500)는 도 4의 (a)에 도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560)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키면, 도 4의 (b)의 상태로 된다.
즉, 상기 레버(560)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면, 상기 레버(560)와 연결된 원동기어(530)에 힘이 전달되어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상기 원 동기어(530)의 기어날(531)과 맞물려 있는 변환기어(540)의 기어날(541)에 전달되어, 변환기어(540)가 회전되게 된다. 동시에 변환기어(540)의 기어날(541)은 종동기어(520)의 기어날(521)과 맞물려 회전하여 종동기어(520)는 체결부(510)의 수용공간(511)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520)와 상기 수용공간(511)의 형상이 서로 대응되는 원호 형상이기 때문에 원호를 그리며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레버(560)를 계속 회전시키면, 상기 종동기어(520)의 걸림턱(522)이 상기 체결부(510)의 걸림돌기(512)에 도달하게 되므로, 상기 레버(560)를 더이상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56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동기어(530)가 역회전하게 되어서, 종동기어(520)가 체결부(510)의 수용공간(511)으로 들어가게 되어 상기 도 4의 (a) 상태로 된다.
한편, 상기 종동기어(520)와 원동기어(530)의 기어비는 1:1이 바람직하며, 변환기어(540)는 단순히 회전방향을 변경시켜주는 역할을 하므로, 기어비에는 의미가 없으나, 연결부(50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상기 종동기어(520)와 상기 원동기어(530)와의 기어비가 1:10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부재(570)는, 휠체어(2)의 팔걸이부(3)가 체결부(510)와 종동기어(52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빈 공간을 없애주어 상기 팔걸이부(3)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2)에 연결하기 전의 상태의 측면도이며,사용자는 휠체어(2)를 본 발명의 장애인용 쇼핑카트(1)와 동일한 평면의 지면(700)에 위치시킨 다음 본 발명의 장애인용 쇼핑카트(1)에 접근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장애인용 쇼핑카트(1)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휠체어(2)를 본 발명의 장애인용 쇼핑카트(1)에 최대한 밀착시킨 후, 연결부(500)의 레버(560)를 회전시켜, 휠체어(2)의 팔걸이부(3)와의 간격을 맞춘다. 간격을 맞춘 상태에서 팔걸이부(3)가 체결부(510)의 원호형상에 들어가도록, 즉, 체결부(510) 내측에 고무부재(570)와 밀착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레버(560)를 회전시켜, 전술한 도 4의 (b)와 같이 상기 휠체어(2)의 팔걸이부(3)를 결합시킨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장애인용 쇼핑카트(1)와 휠체어(2)가 결합된 상태에서 공간부(130) 쪽으로 발을 뻗어 지지할 수도 있으며, 휠체어(2)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가고자 하는 매장코너를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쇼핑카트의 측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쇼핑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쇼핑카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쇼핑카트의 연결부(500)의 단면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쇼핑카트가 휠체어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쇼핑카트와 휠체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연결부(500) 단면의 상세도.
*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프레임 110 : 하부프레임 120 : 상부프레임
121 : 지지바 200 : 바스켓 210 : 상면
220 : 측면 300 : 바퀴 400 : 손잡이
500 : 연결부 510 : 체결부 520 : 종동기어
530 : 원동기어 560 : 레버

Claims (3)

  1. 저부에 바퀴(300)을 장착하고 정면에 손잡이(400)를 장착한 프레임(100)의 상부에 바스켓(200)이 장착되며, 휠체어(2)를 탁찰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한 장애인용 쇼핑카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저부에 바퀴(300)를 장착한 하부프레임(110)과 바스켓(200)을 고정한 상부프레임(120)을 상하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20)을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배면측 상부에 지지 고정되게 하고,
    상기 바스켓(200)은,
    상면(210)과 정면(212)이 개구된 박스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측면(220)의 높이가 배면측에서 정면측으로 향하며 점차 낮아지게 하고, 정면측의 저면에는 배면 방향으로 파인 절개부(211)을 조성하며, 정면측 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정면측 단부보다는 정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고정되되,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정면 끝단에는 휠체어(2)와 탈착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500)가 더욱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쇼핑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00)는,
    반원호 형상의 중공관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511)이 마련되며, 일측 단부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512)을 돌출되게 조성하고, 타측 단부의 외측면에는 제1축결합부(551)와 제2축결합부(552)가 조성된 기어연결부(550)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조성된 체결부(510);
    외측면에 기어날(521)이 조성되고 일측 단부의 외측면에 걸림턱(522)을 돌출되게 조성한 반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측 단부부터 수용공간(511)의 타측 입구에 삽입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종동기어(520);
    외주면에 기어날(541)이 조성된 원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의 기어날(541)이 상기 종동기어(520)의 기어날(521)과 맞물리게 된 상태로 상기 제1축결합부(551)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변환기어(540);
    외주면에 기어날(531)이 조성된 원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의 기어날(531)이 상기 변환기어(540)의 기어날(541)과 맞물리게 된 상태로 상기 제2축결합부(552)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원동기어(530);
    상기 원동기어(530)의 회전축에 고정된 레버(56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쇼핑카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510)의 표면 중에서 내측에는 고무부재(57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쇼핑카트.
KR1020090128265A 2009-12-21 2009-12-21 장애인용 쇼핑카트 KR20110071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265A KR20110071643A (ko) 2009-12-21 2009-12-21 장애인용 쇼핑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265A KR20110071643A (ko) 2009-12-21 2009-12-21 장애인용 쇼핑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643A true KR20110071643A (ko) 2011-06-29

Family

ID=44402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265A KR20110071643A (ko) 2009-12-21 2009-12-21 장애인용 쇼핑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16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5767A (zh) * 2014-06-16 2014-09-03 陈科 设有升降篮的购物车
KR101532733B1 (ko) * 2015-01-19 2015-07-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용 보조 의자
KR102353550B1 (ko) 2021-08-10 2022-01-21 주식회사 유디센터 휠체어 결합형 쇼핑 카트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5767A (zh) * 2014-06-16 2014-09-03 陈科 设有升降篮的购物车
KR101532733B1 (ko) * 2015-01-19 2015-07-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용 보조 의자
KR102353550B1 (ko) 2021-08-10 2022-01-21 주식회사 유디센터 휠체어 결합형 쇼핑 카트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427B2 (en) Suitcase with foldable chair
US9259370B2 (en) Wheelchair and a method for producing said wheelchair
US20100301574A1 (en) Apparatus for a convertible wheeled patient aid
KR101013566B1 (ko) 착석 및 기립 보조기구
JP2005087415A (ja) 杖兼用の車椅子
KR200486351Y1 (ko) 보행안정성이 향상된 의자겸용 보행보조장치
JP7303998B2 (ja) 電動車両
JP3215892U (ja) 排泄可能な折り畳み式車椅子
JP7272178B2 (ja) 電動車両
CN107468438B (zh) 折叠式电动轮椅车
KR20110071643A (ko) 장애인용 쇼핑카트
KR100883421B1 (ko) 전동 휠체어
JP2628568B2 (ja) 介護用バス
JP4822190B2 (ja) 歩行補助装置
US11951053B2 (en) Wheel chair with lifting function
JP3201241U (ja) 介護用ベッド
CN213588782U (zh) 折叠式轮椅
JP6093832B1 (ja) 車椅子
KR100816873B1 (ko) 자동기립보조부를 구비한 좌변기
KR20200039158A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CN214565478U (zh) 可折叠式老人推车
JP2015029679A (ja) 車椅子
CN211067523U (zh) 一种防后翻的轮椅
JP2014030700A (ja) 入浴用車椅子
CN217408633U (zh) 一种轻小起身马桶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