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982B1 -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982B1
KR102552982B1 KR1020220104652A KR20220104652A KR102552982B1 KR 102552982 B1 KR102552982 B1 KR 102552982B1 KR 1020220104652 A KR1020220104652 A KR 1020220104652A KR 20220104652 A KR20220104652 A KR 20220104652A KR 102552982 B1 KR102552982 B1 KR 102552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fermented extract
extract
skin elasticity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성
이소헌
차소윤
황승필
신송석
강현수
임미진
박상주
최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22010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소엽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 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SKB1234, 수탁번호: KCCM12450P)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고, UVB 손상으로 억제된 제17형 콜라겐 발현을 증강시키며, 전염증성 케모카인(proinflammatory chemokine)인 IL-8(Interleukin 8)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개선 및 피부 염증 증상을 완화함으로써, 피부 상태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용이하게 이용가능하다.

Description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grown using a red LED light source for skin elasticity enhancement or inhibiting photoaging}
본 발명은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600 ~ 680 nm 파장을 갖는 적색 LED 광원 하에서 재배한 자소엽을 추출물로 제조한 후, 상기 추출물을 유산균,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 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SKB1234, 수탁번호: KCCM12450P) 균주로 발효한 것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광노화 억제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탄력과 윤기를 잃어가며 각질화가 되어 두꺼워지고 거칠어지게 된다. 피부의 노화는 주름 증가와 건조함, 탄력감소, 색소 침착 등의 여러 형태로 나타나는데 피부 노화는 여러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피부 노화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나이에 따른 자연적인 노화인 내적 요인과 외부환경으로 인한 외적 요인이다. 내적 요인은 대사 과정에서 일어나는 무작위적인 세포 손상, 염증 발생, 스트레스 등이 있고 외적 요인으로는 자외선, 열, 공해, 온도, 흡연, 음주 등이 있다. 특히, 최근 대기오염, 미세먼지, 지구온난화 등으로 인해 지상에 도달되는 자외선 양이 증가하고, 지구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는 피부의 온도도 상승되어 피부 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 분야에서 자외선이나 열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피부는 우리 몸을 둘러싸고 있는 가장 크고 복잡한 조직으로서 외부의 자극이나 균의 침입을 막고 체온을 조절하고 수분을 유지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피와 진피 사이에는 피부 기저막 (basement membrane) 이란 특별한 구조가 표피와 진피를 구분 짓고 있다. 기저막은 피부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가장 중요한 역할은 표피와 진피를 단단히 고정시켜 피부의 강직함과 견고함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 이외에 표피와 진피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세포 사 이나 세포와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 ECM) 사이의 물리적인 장벽 역할, 표피와 진피 두 층 간의 선택적인 투과 기능 및 커뮤니케이션의 조절, 그리고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성분으로는 collagen type IV, laminin 332 (laminin 5), collagen type XVII 등이며, 이런 성분들이 서로 그물 형태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피부 노화는 여러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매우 복잡한 과정으로 피부 노화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나이에 따른 자연적인 노화인 내적 요인과 외부환경으로 인한 외적 요인이다. 내적 요인은 대사 과정에서 일어나는 무작위적인 세포 손상, 염증 발생, 스트레스 등이 있고 외적 요인으로는 자외선, 열, 공해, 온도, 흡연, 음주 등이 있다. 특히, 최근 대기오염, 미세먼지, 지구온난화 등으로 인해 지상에 도달되는 자외선 양이 증가하고, 지구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는 피부의 온도도 상승되어 피부 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사람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탄력과 윤기를 잃어가며 각질화가 되어 두꺼워지고 거칠어지게 되는데, 대표적인 피부 노화 현상은 주름 형성 및 탄력 감소이다. 피부 주름의 증가와 탄력 감소는 진피 내에 존재하는 세포외기질의 변형 및 감소로 인해 발생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표피와 진피 사이에 존재하는 기저막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 또한 피부 노화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한 피부노화 및 손상을 방지하여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피부 속을 활성화 하여 주름 생성을 저해시키고, 피부를 탄탄하게 해주는 구성 성분들의 생성을 도와줄 수 있는 소재를 개발 연구하고 있다.
자소엽(Perillae Herba)은 꿀풀과의 차즈기(Perilla frutescens, 또는 차조기)의 줄기와 잎을 주로 생약으로 사용하며, 주로 잎과 가지 끝을 말린 부위를 생약으로 사용한다. 페릴알데히드, 사이아닌, 카페인산 따위를 함유하고 있고, 발한, 해열, 이뇨, 진해, 건위를 치료하는 데 쓰인다.
스마트팜 (smart farm) 시스템은 작물 재배에 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 ICT)을 접목하여 만들어진 지능화된 시설로서, 원격 및 자동으로 작물의 생육 환경을 적절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설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팜 시스템은 생육 환경을 유지 및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로 광 (lighting), 온도, CO2, 습도, 양액 (nutrient solution) 등의 생육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조건을 자동으로 수집하여 환경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팜 시스템은 자동 및 원격으로 냉난방기를 구동하고, 창문을 개폐하는 등 상기 조건을 조절하여 생육 환경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식물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팜 시스템에서의 재배 시험이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적색 LED 광원 하에서 재배된 자소엽을 추출 및 유산균 발효하여 얻은 발효 추출물이 외부자극에 의해 증가된 MMP-1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느슨해진 표피와 진피 사이를 견고하게 만들어 피부 속을 탄탄하게 해주는 collagen type I과 collagen type XVII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3072호 (발명의 명칭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SKB1102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기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출원인 : 현대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등록일 : 2019년02월2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3041호 (발명의 명칭 : 생약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출원인 : 김인 외 1인, 공개일 : 2009년10월0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8670호 (발명의 명칭 : 자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출원인 : 주식회사 땡큐파머, 등록일 : 2020년02월12일) 중국공개특허 제113692273호 (발명의 명칭 : Method and of producing a conjugate derived from a mineral of molten rock seawater and a nucleotide originating from a skin microorganism, and a functional skin microbial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conjugate, 출원인 : HYUNDAI BIOLAND CO., LTD, 공개일 : 2021년11월23일) 중국공개특허 제114072128호 (발명의 명칭 : Method for preparing dermobiotics block composition having skin moisturizing and skin regeneration functions, 출원인 : HYUNDAI BIOLAND CO., LTD, 공개일 : 2021년01월14일) 중국공개특허 제113350232호 (발명의 명칭 :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protection or skin irritation relief,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portulaca oleracea, folium artemisiae argyi, and rhodiola rosea as an active ingredient, 출원인 : HYUNDAI BIOLAND CO., LTD, 공개일 : 2021년09월0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600 ~ 680 nm 파장을 갖는 적색 LED 광원 하에서 재배한 자소엽을 추출물로 제조한 후, 상기 추출물을 유산균,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 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SKB1234, 수탁번호: KCCM12450P) 균주로 발효한 것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광노화 억제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적색 LED 광원은 600 ~ 680 nm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유산균으로 발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SKB1234(Lactobacillus plantarum SKB1234, 수탁번호: KCCM12450P)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콜라겐분해효소인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은 MMP-1의 유전자 발현을 1㎍/㎖에서 50% 이상, 3㎍/㎖에서 70% 이상 저해하는 효능이 있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제1형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 증강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 추출물은 제1형 콜라겐의 유전자 발현을 1㎍/㎖에서 150% 이상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광노화 억제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UVB 손상으로 억제된 제17형 콜라겐 발현을 증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 추출물은 제17형 콜라겐 발현을 1㎍/㎖에서 130% 이상, 2㎍/㎖에서 150% 이상, 3㎍/㎖에서 170% 이상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항염증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UVB 손상으로 피부 세포에서 증가된 전염증성 케모카인(proinflammatory chemokine)인 IL-8(Interleukin 8)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IL-8 유전자 발현을 3㎍/㎖에서 50% 이상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세포는 인간섬유아세포 또는 인간각질형성세포 중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시료로 사용하는 자소엽은 온도 15 ~ 25℃, 습도 60% 미만, CO2 농도 350 ~ 700 ppm으로 조절시스템 내의 600 ~ 680 nm의 적색광 LED 하에서 재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은 상기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을 용매 추출하여 얻은 자소엽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이 때, 발효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자소엽 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SKB1234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발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발효를 위해, 유산균 배양은 30~40℃, pH 4.0~6.5, 24~48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산균 균주는 추출물에 107 ~ 109 CFU/㎖인 배양액 상태로 추출물의 1~10 부피%가 되도록 접종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배양액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SKB1234 균주를 엠알에스 배지(MRS Broth)에 배양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 추출물 또는 발효 원료로 사용된 추출물은 여과 또는 농축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 때, 메시크기 0.1 ~ 10 ㎛, 바람직하게는 250 mesh ~ 1.0 ㎛의 메시크기의 필터 여과기로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여과한 후 필요에 따라 농축할 수 있다. 농축과정은 통상의 약품, 식품 또는 화장료 원료의 제조시 사용하는 농축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감압농축 방법을 이용하여 농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용매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은 발효 이후에 살균 또는 멸균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110℃에서 20~30분간 열을 가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료 시료로 사용되는 식물은 차즈기 또는 차조기라 불리며, 이의 전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줄기 또는 잎, 줄기와 잎의 혼합물, 뿌리 등을 모두 원료로 사용가능하다. 통상, 차즈기의 잎을 생약명으로 자소엽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 발효 원료의 추출용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콘,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자소엽 사용 중량 기준 1~40배의 부피(1kg 기준 1~40ℓ) 또는 중량(1kg 기준 1~40kg)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40배 부피 또는 중량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온도는 20~100℃이고, 추출시간은 30분~48시간일 수 있다. 이 과정은 1~4번까지 반복할 수 있다. 다만 이 조건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당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에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분획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제조시, 추출액을 여과할 때, 상기 여과는 추출액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면, 나일론, 종이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한외여과,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렇게 제조된 추출물은 열풍건조, 감압건조, 동결건조, 진공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최종 건조된 추출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01~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보다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그 첨가량을 화장료 조성물 고유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6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자소엽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 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SKB1234, 수탁번호: KCCM12450P)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고, UVB 손상으로 억제된 제17형 콜라겐 발현을 증강시키며, 전염증성 케모카인(proinflammatory chemokine)인 IL-8(Interleukin 8)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개선 및 피부 염증 증상을 완화함으로써, 피부 상태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용이하게 이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적색광으로 재배된 자소엽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의 제조>
온도 15 ~ 25℃, 습도 60% 미만, CO2 농도 350 ~ 700 ppm으로 조절시스템 내의 600 ~ 680 nm의 적색광 LED 하에서 재배된 차즈기의 잎인 자소엽을 5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자소엽 추출액을 획득하였다. 다음, 1.0 ㎛의 메시크기를 가진 여과기로 자소엽 추출액을 여과하였다. 여과된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먼저 제거하고, 물이 남은 농축액에 유산균 수 107 ~ 109 CFU/ml인 유산균 스타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SKB1234 배양액을 5 부피%로 추 접종한 후 37℃에서 24시간 혐기 발효시켜 유산균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자소엽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을 110℃에서 15분간 열을 가한 후, 이를 여과하여 1,3-Butylene Glycol을 첨가하여 실험용 시료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1. 적색광으로 재배된 자소엽 추출물의 제조>
온도 15 ~ 25℃, 습도 60% 미만, CO2 농도 350 ~ 700 ppm으로 조절시스템 내의 600 ~ 680 nm의 적색광 LED 하에서 재배된 차즈기의 잎인 자소엽을 5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자소엽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다음, 메시크기 1.0 ㎛의 메시크기를 가진 여과기로 자소엽 추출물을 여과하였다. 여과된 여과액 내 에탄올 및 물을 감압농축하여 제거한 농축액에 1,3-Butylene Glycol을 첨가하여 자소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청색광으로 재배된 자소엽 추출물의 제조>
온도 15 ~ 25℃, 습도 60% 미만, CO2 농도 350 ~ 700 ppm으로 조절되는 시스템 내의 400~480nm 범위의 청색광 LED 하에서 재배된 차즈기의 잎인 자소엽을 5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자소엽 추출액을 획득하였다. 다음, 1.0 ㎛의 메시크기를 가진 여과기로 자소엽 추출액을 여과하였다. 여과된 여과액 내 에탄올 및 물을 감압농축하여 제거한 농축액에 1,3-Butylene Glycol을 첨가하여 자소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야생에서 재배된 자소엽 추출물의 제조>
야생에서 재배된 차즈기의 잎인 자소엽을 5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자소엽 추출액을 획득하였다. 다음, 1.0 ㎛의 메시크기를 가진 여과기로 자소엽 추출액을 여과하였다. 여과된 여과액 내 에탄올 및 물을 감압농축하여 제거한 농축액에 1,3-Butylene Glycol을 첨가하여 자소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SKB1234 배양물의 제조>
MRS 배양액에 유산균 수 107 ~ 109 CFU/ml인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SKB1234 스타터를 5 부피%로 추 접종한 후 37℃에서 24시간 혐기 발효시켜 유산균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자소엽의 유산균 발효 추출물을 110℃에서 15분간 열을 가한 후, 이를 여과하여 1,3-Butylene Glycol을 첨가하여 실험용 시료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5. 표준 균주의 발효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발효물을 제조하되, 발효용 유산균으로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2116 균주를 사용하였다.
한편, 각 배양물, 추출물, 발효 추출물의 농도는 용매 또는 수분을 제거한 농축물을 1,3-Butylene Glycol에 희석하거나 배지에 포함되었을 때의 최종값으로 환산하여 기재하였다.
<실험예 1.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5에 해당하는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질형성세포(HaCaT)에서 MTT Assay를 통해 독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24 well plate에 각질형성세포를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무혈청(serum-free) 배지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에 2.5 mg/ml의 MTT 용액을 10배 희석시킨 배지로 교체하여 반응시킨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 1 ml을 첨가하여 생성된 MTT-formazan 결정체를 용해시켜 ELISA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대조군은 용해 용매로 DMSO (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였다. 세포 독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흡광도의 백분율로 나타냈다.
Sample conc. (μg/ml) Avg. (%) Stdev. p-value
Control (untreated) 100.0 3.88 1.000
실시예 1 0.1 96.3 2.89 0.196
0.5 91.2 1.11 0.018
1 90.3 3.53 0.022
2 90.2 3.92 0.048
3 89.7 4.57 0.041
비교예 1 0.1 95.7 2.83 0.194
0.5 90.6 1.08 0.016
1 89.5 3.48 0.025
2 91.2 3.88 0.051
3 89.4 4.48 0.036
비교예 2 0.1 96.5 3.21 0.233
0.5 93.0 2.27 0.031
1 90.6 2.15 0.011
2 93.0 2.30 0.032
3 88.6 1.38 0.004
비교예 3 0.1 96.9 1.47 0.247
0.5 93.1 2.81 0.062
1 95.1 2.33 0.122
2 95.6 5.07 0.295
3 92.3 0.51 0.023
비교예 4 0.1 102.1 2.23 0.026
0.5 102.3 2.24 0.023
1 97.2 3.40 0.034
2 95.0 2.42 0.026
3 103.2 1.02 0.012
비교예 5 0.1 102.5 1.66 0.034
0.5 101.2 1.34 0.012
1 100.1 1.11 0.031
2 98.2 2.62 0.024
3 97.1 2.30 0.004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표 1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실시예 1과 비교예 1~5에 대한 각 시료의 세포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험예 2. 인간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5에 해당하는 각 시료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간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MTT Assay를 통해 독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24 well plate에 인간 섬유아세포를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무혈청(serum-free) 배지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에 2.5 mg/ml의 MTT 용액을 10배 희석시킨 배지로 교체하여 반응시킨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 1 ml을 첨가하여 생성된 MTT-formazan 결정체를 용해시켜 ELISA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대조군은 용해 용매로 DMSO (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였다. 세포 독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흡광도의 백분율로 나타냈다.
Sample conc. (μg/ml) Avg. (%) Stdev. p-value
Control (untreated) 100.0 0.54 1.000
실시예 1 0.1 95.1 1.92 0.021
0.5 96.4 1.66 0.009
1 97.4 2.68 0.281
2 100.9 0.71 0.016
3 101.8 4.12 0.667
비교예 1 0.1 95.7 1.90 0.020
0.5 95.2 1.62 0.008
1 98.2 2.60 0.297
2 102.0 0.66 0.016
3 101.1 4.08 0.656
비교예 2 0.1 94.0 2.25 0.019
0.5 94.5 1.38 0.010
1 96.5 6.59 0.425
2 107.5 0.63 0.002
3 103.4 0.66 0.025
비교예 3 0.1 100.8 1.61 0.482
0.5 98.6 1.25 0.167
1 104.0 4.04 0.162
2 97.2 1.09 0.018
3 103.8 1.85 0.027
비교예 4 0.1 101.4 1.56 0.023
0.5 100.5 1.33 0.004
1 99.2 0.44 0.042
2 98.3 0.52 0.002
3 96.4 1.63 0.044
비교예 5 0.1 103.8 2.52 0.055
0.5 101.3 1.23 0.022
1 101.0 5.63 0.039
2 94.2 2.28 0.072
3 91.5 3.10 0.034
인간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표 2 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실시예 1과 비교예 1~5의 시료에 대한 세포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험예 3. MMP-1 발현 저해 효과>
주름 생성 저해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MMP-1 유전자 발현 실험을 수행하였다. 60 mm culture dish (corning) 에 인간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1일 (37℃, CO2 5%) 배양한 뒤 HBSS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Gibco)로 washing 한 뒤, 피부의 탄력을 저해하는 조건 및 피부 주름 생성 조건에 두기 위해 각 세포들을 42℃의 HBSS에 30분간 배양한다. 이 후, Serum-free 배지(IMDM, welgene)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 CO2 5% incubator에 배양한다. 배양 후 세포를 QIAzol™ Lysis Reagent (Qiagen) 로 모아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RNA를 분리한. 분리된 RNA를 정량한 뒤 1 μg의 RNA로 cDNA를 합성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한다. PCR에 사용된 MMP-1, β-Actin primer 는 코스모진텍사 (Korea)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으며 primer sequence 는 표 3에, 실험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염기서열
MMP-1 Forward 5'- GTT CAG GGA CAG AAT GTG CTA CAC -3’
(서열번호 1)
Reverse 5'- TCT AGG GAA GCC AAA GGA GCT -3'
(서열번호 2)
β-Actin Forward 5'-GGC ACC CAG CAC AAT GAA G -3'
(서열번호 3)
Reverse 5'-CCG ATC CAC ACG GAG TAC TTG -3'
(서열번호 4)
temperature Sample Conc. (μg/ml) Average (%) Stdev. p-value
Negative Control
(untreated, 37℃)
31.6 2.08 0.000
42℃ Positive Control 100.0 0.00 1.000
42℃ EGCG (1㎍/㎖) 48.7 4.46 0.000
실시예 1 1 49.9 4.76 0.000
2 42.7 0.59 0.000
3 29.3 1.21 0.000
비교예 1 1 63.2 4.91 0.000
2 57.9 0.60 0.000
3 52.6 1.14 0.000
비교예 2 1 80.1 7.19 0.009
2 56.5 4.82 0.000
3 61.0 1.51 0.000
비교예 3 1 65.4 0.70 0.000
2 58.7 3.29 0.000
3 55.4 5.35 0.000
비교예 4 1 72.2 2.33 0.006
2 59.2 4.20 0.003
3 56.3 3.52 0.004
비교예 5 1 62.0 0.45 0.000
2 59.1 1.25 0.003
3 58.2 4.32 0.000
확인 결과, 실시예 1 처리군은 비교예 1~5 대비 뛰어난 MMP-1 저해 효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주름을 유발하는 MMP-1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시킴으로서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Collagen type I 발현 증가 효과>
탄력 증가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Collagen type I 유전자 발현 실험을 수행하였다. 60 mm culture dish (corning) 에 인간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1일 (37℃, CO2 5%) 배양한 뒤 Serum-free 배지(IMDM, welgene)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 CO2 5% incubator에 배양한다. 배양 후 세포를 QIAzol™ Lysis Reagent (Qiagen) 로 모아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RNA를 분리한. 분리된 RNA를 정량한 뒤 1 μg의 RNA로 cDNA를 합성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한다. PCR에 사용된 Collagen type I, β-Actin primer 는 코스모진텍사 (Korea)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으며 primer sequence 는 표 5에, 실험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염기서열
Collagen type I Forward 5'- AGC AAG AAC CCC AAG GAC AA -3’
(서열번호 5)
Reverse 5'- CGA ACT GGA ATC CAT CGG TC -3’
(서열번호 6)
β-Actin Forward 5'-GGC ACC CAG CAC AAT GAA G -3’
(서열번호 7)
Reverse 5'-CCG ATC CAC ACG GAG TAC TTG -3’
(서열번호 8)
Sample Conc. (μg/ml) Average (%) Stdev. p-value
Control (untreated) 100.0 0.00 1.000
Vitamin C (100 ㎍/㎖) 126.2 3.43 0.000
실시예 1 1 151.6 2.61 0.001
2 154.8 2.45 0.000
3 161.2 6.22 0.001
비교예 1 1 124.8 2.48 0.000
2 129.3 2.38 0.000
3 131.1 6.15 0.001
비교예 2 1 120.9 7.67 0.009
2 120.2 5.19 0.003
3 118.9 0.62 0.000
비교예 3 1 116.3 3.88 0.002
2 116.3 1.18 0.000
3 118.3 4.22 0.002
비교예 4 1 103.3 3.69 0.006
2 118.3 2.30 0.003
3 119.3 1.46 0.004
비교예 5 1 114.2 1.12 0.000
2 125.2 4.63 0.000
3 131.9 2.63 0.001
확인 결과, 실시예 1 처리군은 비교예 1~5 대비 효과적으로 Collagen type I 유전자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지지체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인 Collagen type I 의 발현량을 높임으로, 피부를 탄탄하게 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진 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Collagen type XVII 발현 증가 효과>
노화로 인해 느슨해진 표피와 진피 사이를 견고하게 하여 피부를 회복시키고 재생시켜주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Collagen type XVII 단백질 발현 실험을 수행하였다. 60 mm culture dish (corning) 에 인간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HaCaT)를 1일 (37℃, CO2 5%) 배양한 뒤 HBSS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Gibco)로 washing 한 뒤, HBSS 하에서 UVB 50 mJ/cm2을 조사하였다. 이 후, Serum-free 배지(DMEM, genedirex))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 CO2 5% incubator에 배양한다. 배양 후 세포를 스크래퍼(scrapper)를 이용하여 긁어낸 후, 원심분리를 통해 pellet을 가라앉혔다. 이후, 단백질추출용액 (protein extraction solution)을 넣고 인큐베이션한 뒤, QubitTM fluoromet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정량한 단백질에 로딩 버퍼 (loading buffer)를 첨가한 후, SDS-PAGE에 loading하였다.
iBlot Dry Blotting 시스템을 이용하여 transfer 한 후, blocking하였다. 이후, Collagen type XVII 및 β-actin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1차 항체와 2차 (GAM-HRP) 항체를 처리하였다. 항체 처리 후, west save cold ECL 용액을 처리한 후, chemi doc LuminoGraphⅡ (ATTO)로 밴드를 촬영하고 이를 수치화 한 값을 정량하여 표 7에 나타냈다.
Sample Conc. (μg/ml) Collagen Type XVII (%)
Control (untreated)   100.0
UVB 50 mJ/㎠   74.5
UVB 50 mJ/㎠ 실시예 1 1 102.1
2 114.4
3 129.3
비교예 1 1 79.9
2 81.4
3 83.8
비교예 2 1 76.5
2 78.5
3 90.9
비교예 3 1 78.8
2 81.9
3 85.8
비교예 4 1 74.2
2 86.6
3 85.2
비교예 5 1 81.5
2 95.1
3 94.0
확인 결과, 실시예 1 처리군은 UVB 조사군 대비 감소한 Collagen type XVII 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비교예 1~5 와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1 처리군이 가장 좋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표피와 진피 사이 기저막에 존재하면서 피부 탄력과 재생에 관여하는 인자인 Collagen type XVII 의 발현량을 높임으로서, 피부를 전체적으로 회복시키고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진 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항염증 효능 확인>
60 mm culture dish (corning)에 인간 각질형성세포(HaCaT)를 1일 (37℃, CO2 5%) 배양한 뒤 HBSS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Gibco)로 washing 한 뒤, HBSS 하에서 UVB 50 mJ/cm2을 조사하였다. 이 후, Serum-free 배지(DMEM, genedirex))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 CO2 5% incubator에 배양한다. 배양 후 세포를 스크래퍼(scrapper)를 이용하여 긁어낸 후, 원심분리를 통해 pellet을 가라앉혔다. 이후, 단백질추출용액 (protein extraction solution)을 넣고 인큐베이션한 뒤, QubitTM fluoromet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정량한 단백질에 로딩 버퍼 (loading buffer)를 첨가한 후, SDS-PAGE에 loading하였다.
iBlot Dry Blotting 시스템을 이용하여 transfer 한 후, blocking하였다. 이후, IL-8 및 β-actin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1차 항체와 2차 (GAM-HRP) 항체를 처리하였다. 항체 처리 후, west save cold ECL 용액을 처리한 후, chemi doc LuminoGraphⅡ (ATTO)로 밴드를 촬영하고 이를 수치화 한 값을 정량하여 표 8에 나타냈다.
Sample Conc. (μg/ml) IL-8 (%)
Control (untreated)   100.0
UVB 50 mJ/㎠   232.2
UVB 50 mJ/㎠ 실시예 1 1 162.5
2 150.2
3 113.0
비교예 1 1 184.2
2 179.4
3 173.1
비교예 2 1 191.0
2 180.2
3 175.4
비교예 3 1 210.2
2 204.4
3 192.1
비교예 4 1 215.2
2 202.4
3 194.0
비교예 5 1 182.5
2 173.2
3 169.3
확인 결과, 실시예 1 처리군이 각질형성세포에서 UVB 조사를 통해 증가된 전염증성 케모카인인 IL-8의 단백질 발현을 현저하게 증강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지만, 다른 시료의 처리군은 이와 같은 효과가 매우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이 피부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각종 원인으로부터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성물임을 확인할 수 있다.
<화장품 제조예 1. 화장수>
실시예 1의 발효 추출물을 2.0wt%가 되게 용해한 것을 원료로 하여, 제형예 1의 화장수(스킨로션)를 하기 표 9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정제수에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방부제를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켜 혼합액을 얻었다.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를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향료를 투입하여 용해한 후 상기 혼합액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시예 1의 발효 추출물의 2.0wt% 수용액, 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색소를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켰다.
원료 wt%
1 실시예 1 발효 추출물의 2wt% 수용액 2
2 글리세린 3
3 부틸렌글리콜 2
4 프로필렌글리콜 2
5 폴리옥시에칠렌 강화파마자유 1
6 에탄올 1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To 100
<화장품 제조예 2. 영양로션>
실시예 1의 발효 추출물을 2.0wt%가 되게 용해한 것을 원료로 하여 영양로션을 하기 표 10과 같은 조성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폴리머, 방부제, 정제수를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밀랍,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유동 파라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스테아린산,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을 80 ~ 85℃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향료를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색소를 투입하고 35℃에 실시예 1 추출물의 2wt% 수용액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원료 wt%
1 실시예 1 발효 추출물의 2wt% 수용액 2
2 밀랍 1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트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클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
10 프로필렌글리콜 3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 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To 100
<화장품 제조예 3. 영양크림>
실시예 1의 발효 추출물을 2.0wt%가 되게 용해한 것을 원료로 하여 영양크림을 하기 표 11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정제수를 혼합 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스테아린산, 세틸알콜,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왁스,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를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트리에탄올아민을 투입 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실시예 1의 발효 추출물의 2wt% 수용액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하였다.
원료 wt%
1 실시예 1 발효 추출물의 2wt% 수용액 2
2 스테아린산 2
3 세틸알콜 2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
8 왁스 1
9 유동파라핀 4
10 스쿠알란 4
1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13 부틸렌글리콜 5
14 글리세린 3
15 트리에탄올아민 0.5
16 정제수 To 100
<화장품 제조예 4. 마사지크림>
실시예 1 발효 추출물의 2wt% 수용액 조성물을 함유한 마사지크림을 하기 표 12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방부제, 정제수를 혼합, 교반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밀랍,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유동파리핀, 스쿠알란,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을 80~5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후, 향료를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색소를 투입하고 35℃까지 냉각되면 상기 실시예 1 발효 추출물의 2wt% 수용액을 투입한 후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하였다.
원료 wt%
1 실시예 1 발효 추출물의 2wt% 수용액 2
2 밀랍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5 유동파라핀 40
6 스쿠알란 5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
8 카르복시 비닐 폴리스 0.2
9 부틸렌 글리콜 6
10 글리세린 6
11 트리에탄올아민 0.2
12 방부제 미량
13 색소 미량
14 향료 미량
15 정제수 To 100
<화장품 제조예 5. 유화형 파운데이션>
실시예 1 발효 추출물의 2wt% 수용액을 함유한 유화형 파운데이션을 하기 표 13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트리에탄올아민,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게이트, 안료, 방부제, 정제수를 혼합, 교반하면서 50~5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밀랍, 사이크로메치콘,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스테아린산,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마카데미아 오일을 50~5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45℃까지 냉각한 뒤 향료를 투입하고, 35℃까지 냉각한 뒤 상기 실시예 1 발효 추출물의 2wt% 수용액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하여 숙성하였다.
원료 wt%
1 실시예 1 발효 추출물의 2wt% 수용액 2
2 밀랍 2
3 사이크로메치콘 2
4 유동파라핀 5
5 스쿠알란 5
6 스테아린산 2
7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
8 마카데미아 오일 4
9 글리세린 4
10 프로필렌글리콜 3
11 부틸렌글리콜 3
12 트리에탄올아민 1
13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5
14 안료 12
15 방부제 미량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To 100

Claims (10)

  1.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발효 추출물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SKB1234, 수탁번호: KCCM12450P) 균주로 발효한 것이 특징인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콜라겐분해효소인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제1형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 증강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광노화 억제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UVB 손상으로 억제된 제17형 콜라겐 발현을 증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항염증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UVB 손상으로 피부 세포에서 증가된 전염증성 케모카인(proinflammatory chemokine)인 IL-8(Interleukin 8)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포는 인간섬유아세포 또는 인간각질형성세포 중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04652A 2022-08-22 2022-08-22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2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652A KR102552982B1 (ko) 2022-08-22 2022-08-22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652A KR102552982B1 (ko) 2022-08-22 2022-08-22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982B1 true KR102552982B1 (ko) 2023-07-06

Family

ID=8718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652A KR102552982B1 (ko) 2022-08-22 2022-08-22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9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1091A (ja) * 2004-08-27 2006-03-09 Toyo Shinyaku:Kk シソの葉から得られる発酵物
KR20090103041A (ko) 2008-03-27 2009-10-01 김인 생약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3072B1 (ko) 2018-11-09 2019-02-27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skb1102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기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8670B1 (ko) 2018-11-29 2020-02-19 주식회사 땡큐파머 자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1091A (ja) * 2004-08-27 2006-03-09 Toyo Shinyaku:Kk シソの葉から得られる発酵物
KR20090103041A (ko) 2008-03-27 2009-10-01 김인 생약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3072B1 (ko) 2018-11-09 2019-02-27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skb1102 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기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8670B1 (ko) 2018-11-29 2020-02-19 주식회사 땡큐파머 자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2020, 제101권, 페이지 240-252* *
중국공개특허 제113350232호 (발명의 명칭 :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protection or skin irritation relief, comprising a mixed extract of portulaca oleracea, folium artemisiae argyi, and rhodiola rosea as an active ingredient, 출원인 : HYUNDAI BIOLAND CO., LTD, 공개일 : 2021년09월07일)
중국공개특허 제113692273호 (발명의 명칭 : Method and of producing a conjugate derived from a mineral of molten rock seawater and a nucleotide originating from a skin microorganism, and a functional skin microbial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conjugate, 출원인 : HYUNDAI BIOLAND CO., LTD, 공개일 : 2021년11월23일)
중국공개특허 제114072128호 (발명의 명칭 : Method for preparing dermobiotics block composition having skin moisturizing and skin regeneration functions, 출원인 : HYUNDAI BIOLAND CO., LTD, 공개일 : 2021년01월14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3082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of the skin comprising phaseolus radiatus seed extracts by fermentation and enzyme treatment
CN106821948B (zh) 将利用银耳菌丝体的松萝发酵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KR102137252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넘 j2k- 27 균주를 이용한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혼합 발효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그 혼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4818B1 (ko)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90091162A (ko) 녹차잎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및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8268366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lt-fermented extract of natural materials
KR10118442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1016B1 (ko) 피부보습,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성 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37940B1 (ko) 발효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32001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품
KR20100013357A (ko)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5455A (ko) 갈대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1842A (ko) 쪽동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2552982B1 (ko) 적색 led 광원을 이용하여 재배한 자소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7965B1 (ko) 옥수수수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9679A (ko) 콩 발효액으로 발효시킨 한방약재 추출물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230119344A (ko) 발효균을 이용한 참당귀 추출물 제조방법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CN111447919B (zh) 包含花津浦芽孢杆菌的培养物或其提取物的用于皮肤美白的组合物
KR102054100B1 (ko) 뿌리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622B1 (ko) 수수새싹 추출액의 발효액 또는 이의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21457B1 (ko)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회화나무열매 발효액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39471B1 (ko)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메셈브리안테뭄속 아이스플랜트와 콜라겐의 혼합 발효물, 발효 용해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99330B1 (ko) 콤부차로부터 분리된 균주의 복합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67606B1 (ko) 예덕나무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