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021B1 -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1021B1 KR102551021B1 KR1020200128882A KR20200128882A KR102551021B1 KR 102551021 B1 KR102551021 B1 KR 102551021B1 KR 1020200128882 A KR1020200128882 A KR 1020200128882A KR 20200128882 A KR20200128882 A KR 20200128882A KR 102551021 B1 KR102551021 B1 KR 1025510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er convex
- magnetic body
- unprocessed
- lead
- convex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9000006249 magnetic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34 phen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6287 phenoxy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ARXJGSRGQADJSQ-UHFFFAOYSA-N 1-methoxypropan-2-ol Chemical compound COCC(C)O ARXJGSRGQADJS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EJRWHAVMIAJKC-UHFFFAOYSA-N 4-Butyrolactone Chemical compound O=C1CCCO1 YEJRWHAVMIAJK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89 perm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LLHKCFNBLRBOGN-UHFFFAOYSA-N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Chemical compound COCC(C)OC(C)=O LLHKCFNBLRBOG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AVARTIQQDZFNT-UHFFFAOYSA-N 1-(1-methoxypropan-2-yloxy)propan-2-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OCC(C)OCC(C)OC(C)=O LAVARTIQQDZFN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RLRGHZJOQGQEC-UHFFFAOYSA-N 2-(2-methoxypropoxy)prop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OC(C)COC(C)COC(C)=O DRLRGHZJOQGQ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CAHUFWKIQLBNB-UHFFFAOYSA-N 3-(3-methoxypropoxy)propan-1-ol Chemical compound COCCCOCCCO QCAHUFWKIQLB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976 Electric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8458 Si—C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CZFLPPCFOHPNI-UHFFFAOYSA-N alumane;iron Chemical compound [AlH3].[Fe] KCZFLPPCFOHPN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15 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2]C([*:1])=O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23 met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595 mu-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702 sendus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15 superm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56 surface treatme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08 thixotrop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5—Magnetic cores made from part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71—Pancake co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46—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by moulding or by pressing powd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미가공체를 구성하는 자성체부의 접합 강도가 높고, 또한 코일 도체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미가공체와 미가공체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도체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이며, 미가공체는, 코일 도체의 권회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제1 내지 제4 측면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이고, 미가공체는, 제1 자성체부와, 제1 자성체부의 주면에 마련된 제2 자성체부를 포함하고, 코일 도체는, 권회부와, 미가공체의 어느 측면에 인출된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를 구비하고, 제1 자성체부는, 그 주면에 있어서, 권회부의 외측에 마련된 외측 볼록부와, 권회부의 내측에 마련된 내측 볼록부를 갖고,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1개의 측면 또는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는 코일 부품.
미가공체와 미가공체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도체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이며, 미가공체는, 코일 도체의 권회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제1 내지 제4 측면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이고, 미가공체는, 제1 자성체부와, 제1 자성체부의 주면에 마련된 제2 자성체부를 포함하고, 코일 도체는, 권회부와, 미가공체의 어느 측면에 인출된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를 구비하고, 제1 자성체부는, 그 주면에 있어서, 권회부의 외측에 마련된 외측 볼록부와, 권회부의 내측에 마련된 내측 볼록부를 갖고,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1개의 측면 또는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는 코일 부품.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일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코일 도체의 상부 및 하부에 자성체 시트를 압박하여 일체화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몰드 수지로 권취선을 밀봉한 몰드 코일에 있어서, 권취선 단말의 적어도 일부에 단면이 커지는 도체가 성형되고, 권취선과 적어도 일부가 전기적으로 접합되고, 도체 형성부의 적어도 일부가 몰드 코일 내에 매설된 몰드 코일 성형체에 있어서, 도체 형성부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몰드 코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몰드 코일은, 하부 성형 재료와, 권취선과, 상부 성형 재료를 압축에 의해 일체화함으로써 형성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코일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 코일 부품의 미가공체를 구성하는 하부 성형 재료와 상부 성형 재료의 접합 강도를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코일 부품 내에서의 코일 도체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도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가공체를 구성하는 자성체부의 접합 강도가 높고, 또한 코일 도체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코일 부품의 미가공체의 내부에 있어서, 미가공체를 구성하는 제1 자성체부와 제2 자성체부의 사이에 특정한 형상의 요철을 마련함으로써, 미가공체를 구성하는 자성체부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코일 도체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1 요지에 따르면, 미가공체와, 미가공체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도체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이며,
미가공체는, 코일 도체의 권회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권회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권회축과 직교하고, 또한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이고,
미가공체는,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부와, 제1 자성체부의 주면에 마련된,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부를 포함하고,
코일 도체는, 권회부와, 미가공체의 어느 측면에 인출된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를 구비하고,
제1 자성체부는, 그 주면에 있어서, 권회부의 외측에 마련된 외측 볼록부와, 권회부의 내측에 마련된 내측 볼록부를 갖고,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1개의 측면 또는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는, 코일 부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요지에 따르면, 미가공체와, 미가공체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도체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이며,
미가공체는, 코일 도체의 권회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권회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권회축과 직교하고, 또한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이고,
미가공체는,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부와, 제1 자성체부의 주면에 마련된,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부를 포함하고,
코일 도체는, 권회부와,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를 구비하고,
제1 자성체부는, 그 주면에 있어서, 권회부의 외측에 마련된 4개의 외측 볼록부를 갖고,
제1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1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2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1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고, 제2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는, 코일 부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요지에 따르면, 미가공체와, 미가공체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도체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이며,
미가공체는, 코일 도체의 권회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권회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권회축과 직교하고, 또한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이고,
미가공체는,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부와, 제1 자성체부의 주면에 마련된,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부를 포함하고,
코일 도체는, 권회부와,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를 구비하고,
제1 자성체부는, 그 주면에 있어서, 권회부의 외측에 마련된 4개의 외측 볼록부를 갖고,
제1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1 측면 및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2 측면 및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2 측면 및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1 측면 및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1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고, 제2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는, 코일 부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요지에 따르면, 상술한 어느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이며,
코일 도체의 권회부의 외형 치수에 대응하는 오목부와, 오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오목부로부터 연장되는 1개 또는 복수의 홈형의 오목부를 갖는 금형을 준비하는 공정,
금형에 코일 도체를 배치하는 공정이며, 코일 도체의 권회부의 적어도 일부는, 권회축이 오목부의 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오목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코일 도체의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일부는 홈형의 오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정,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 시트를 금형에 압박하여, 코일 도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자성체 시트에 매립하는 공정,
금형으로부터 코일 도체 및 제1 자성체 시트를 분리하는 공정,
제1 자성체 시트 및 코일 도체 상에,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 시트를 압박하여, 제1 자성체 시트와 제2 자성체 시트가 접합된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 그리고
적층체를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여 코일 부품을 얻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은, 미가공체를 구성하는 자성체부의 접합 강도가 높고, 또한 코일 도체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미가공체를 구성하는 자성체부의 접합 강도가 높고, 또한 코일 도체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 코일 부품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의 투과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의 코일 도체의 상면을 통과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의 (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도 3의 (a)), (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도 3의 (b)), (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도 3의 (c)) 및 (d)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도 3의 (d))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6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7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의 인출부의 단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코일 도체의 상면을 통과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의 (a)선에서의 단면에 있어서의 인출부의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의 (e)선에서의 단면에 있어서의 인출부의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의 (e)선에서의 단면에 있어서의 인출부의 위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금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의 코일 도체의 상면을 통과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의 (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도 3의 (a)), (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도 3의 (b)), (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도 3의 (c)) 및 (d)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도 3의 (d))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6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7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의 인출부의 단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코일 도체의 상면을 통과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의 (a)선에서의 단면에 있어서의 인출부의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의 (e)선에서의 단면에 있어서의 인출부의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의 (e)선에서의 단면에 있어서의 인출부의 위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금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 형태는 예시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 부품]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의 투과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의, 코일 도체(20)의 상면을 통과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의 (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2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의 (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의 (c)는, 도 2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의 (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의 (d)는, 도 2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의 (d)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은, 미가공체(10)와, 미가공체(10)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도체(2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은,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외부 전극(31)과, 코일 도체(20)의 제2 인출부(2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외부 전극(32)을 더 포함하고 있다. 단, 제1 외부 전극(31) 및 제2 외부 전극(32)은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은 제1 외부 전극(31) 및 제2 외부 전극(32)을 갖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14에 있어서, 제1 외부 전극(31) 및 제2 외부 전극(32)은 생략되어 있다.
미가공체(10)는, 코일 도체(20)의 권회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권회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10a) 및 제2 측면(10b)과, 권회축과 직교하고, 또한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3 측면(10c) 및 제4 측면(10d)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이다.
미가공체(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부(11)와, 제1 자성체부(11)의 주면에 마련된,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부(13)를 포함한다.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는, 코일 도체(20)를 상하로부터 끼움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코일 도체(20)는,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자성 입자 및 제2 자성 입자는 페라이트 입자 등의 세라믹 입자여도 되고, 금속 자성체 입자여도 된다. 제1 자성 입자 및 제2 자성 입자는, 그 표면에 코팅을 가져도 된다. 제1 자성 입자와 제2 자성 입자는, 동일한 조성 및/또는 평균 입경을 가져도 되고, 혹은 서로 다른 조성 및/또는 평균 입경을 가져도 된다. 제1 자성체부(11) 및 제2 자성체부(13)는, 자성 입자에 추가하여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는, 동일한 조성(제1 자성 입자 및 제2 자성 입자의 종류 및 배합량, 그리고 수지의 종류 및 배합량 등)을 가져도 되고, 혹은 서로 다른 조성을 가져도 된다.
코일 도체(20)는, 권회부와, 미가공체(10)의 어느 측면에 인출된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는 미가공체(10)의 제1 측면(10a)에 인출되어 있고, 제2 인출부(22)는 미가공체(10)의 제2 측면(10b)에 인출되어 있다.
도 3의 (a) 내지 도 3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성체부(11)는, 그 주면에 있어서, 권회부의 외측에 마련된 외측 볼록부(121)와, 권회부의 내측에 마련된 내측 볼록부(122)를 갖는다. 제1 자성체부(1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주면에 있어서 외측 볼록부(121)를 1개만 가져도 되고, 복수의 외측 볼록부(121)를 가져도 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제1 자성체부(11)는 4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갖는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4개의 외측 볼록부(121)는 모두, 코일 도체(20)의 권회부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지만, 외측 볼록부(121)의 높이는 권회부의 상면보다 낮아도 되고, 권회부의 상면보다 높아도 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4개의 외측 볼록부(121)는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갖고 있다. 단, 제1 자성체부(11)가 복수의 외측 볼록부(121)를 갖는 경우, 복수의 외측 볼록부(121)의 높이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달라도 된다.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1개의 측면 또는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외측 볼록부(121)는 모두, 미가공체(10)의 1개의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외측 볼록부(121)는 모두, 미가공체(10)의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서 노출되어 있다.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 또는 제2 인출부(22)는, 그 적어도 일부가 외측 볼록부(121)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인출부(21) 또는 제2 인출부(22)의 인출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전체가 외측 볼록부(121)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다.
제1 자성체부(11)의 내측 볼록부(122)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도체(20)의 권회부를 충전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내측 볼록부(122)는 코일 도체(20)의 권회부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지만, 내측 볼록부(122)의 높이는 권회부의 상면보다 낮아도 되고, 권회부의 상면보다 높아도 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내측 볼록부(122)의 높이는 외측 볼록부(121)의 높이와 동일하지만, 내측 볼록부(122)는 외측 볼록부(121)와 다른 높이를 가져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은, 미가공체(10)를 구성하는 제1 자성체부(11)가 상술한 바와 같은 외측 볼록부(121) 및 내측 볼록부(122)를 가짐으로써,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가 박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은, 코일 도체(20)의 권회부가 1 이상의 외측 볼록부(121)와 내측 볼록부(122) 사이에서 끼움 지지된 구조를 갖는다. 환언하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에 있어서, 코일 도체(20)의 권회부는, 1 이상의 외측 볼록부(121)와 내측 볼록부(122)로 눌러 넣어져 있다. 코일 부품(1)이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코일 부품(1)을 제조할 때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도체(20)의 권회부가 1 이상의 외측 볼록부(121)와 내측 볼록부(122)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미가공체(10) 전체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에 있어서,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 또는 제2 인출부(22)는, 그 적어도 일부가 외측 볼록부(121)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인출부(21) 또는 제2 인출부(22)의, 미가공체(10)의 측면에 있어서의 인출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성체부(11)가 복수의 외측 볼록부(121)를 갖는 경우,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의 양쪽이 각각, 적어도 일부가 외측 볼록부(121)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인출부(21)의 적어도 일부가 하나의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고, 제2 인출부(22)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은, 제1 자성체부(11)가 외측 볼록부(121) 및 내측 볼록부(122)를 가짐으로써,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사이에 비연속면(경계면)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비연속면이 존재함으로써, 코일 부품(1)의 직류 중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1 자성체부(11)가 내측 볼록부(122)를 갖지 않는 변형예에 있어서도, 제1 자성체부(11)가 복수의 외측 볼록부(121)를 가짐으로써,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사이에 비연속면(경계면)이 존재하게 되고, 그 결과, 코일 부품(1)의 직류 중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에 있어서, 제1 자성체부(11)는 4개의 외측 볼록부(제1 외측 볼록부, 제2 외측 볼록부, 제3 외측 볼록부 및 제4 외측 볼록부)(121)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촉 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합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제1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1 측면(10a)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2 측면(10b)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3 측면(10c)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4 측면(10d)에서만 노출되어 있다.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고, 제2 인출부(22)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코일 도체(20)의 권회부는 평면으로 보아 사방으로부터 4개의 외측 볼록부(121)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의 양쪽이 각각, 제1 외측 볼록부(121) 및 제2 외측 볼록부(121)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의 양쪽의 인출 위치를 한층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의 제1 변형예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1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외측 볼록부(121)의 배치가 다른 것 이외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주로 외측 볼록부(121)의 배치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고, 그 밖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과 마찬가지로, 미가공체(10)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에 있어서, 제1 자성체부(11)는 4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갖고 있다.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는, 미가공체(10)의 제3 측면(10c)에 인출되어 있고, 제2 인출부(22)는, 미가공체(10)의 제4 측면(10d)에 인출되어 있다. 제1 인출부(2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고, 제2 인출부(22)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의 양쪽이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음으로써,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의 인출 위치를 한층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에 있어서, 제1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1 측면(10a) 및 제3 측면(10c)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2 측면(10b) 및 제4 측면(10d)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2 측면(10b) 및 제3 측면(10c)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1 측면(10a) 및 제4 측면(10d)에서만 노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코일 도체(20)의 권회부는, 평면으로 보아 대각선형으로 사방으로부터 4개의 외측 볼록부(121)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촉 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합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에 있어서, 제1 자성체부(11)는, 4개의 외측 볼록부(121)에 추가하여 내측 볼록부(122)를 갖고 있지만, 제1 자성체부(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측 볼록부(122)를 갖지 않아도 되고, 4개의 외측 볼록부(121)만을 가져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촉 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합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의 제2 변형예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2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의 인출 위치가 다른 것 이외는 상술한 제1 변형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주로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의 인출 위치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고, 그 밖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도 4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과 마찬가지로, 미가공체(10)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에 있어서, 제1 자성체부(11)는 4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갖고 있다.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는, 미가공체(10)의 제1 측면(10a)에 인출되어 있고, 제2 인출부(22)는, 미가공체(10)의 제2 측면(10b)에 인출되어 있다. 제1 인출부(2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고, 제2 인출부(22)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의 양쪽이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음으로써,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의 인출 위치를 한층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에 있어서, 제1 자성체부(11)는, 4개의 외측 볼록부(121)에 추가하여 내측 볼록부(122)를 갖고 있지만, 제1 자성체부(11)는 내측 볼록부(122)를 갖지 않아도 되고, 4개의 외측 볼록부(121)만을 가져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촉 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합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의 제3 변형예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3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외측 볼록부(121)의 수가 다른 것 이외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주로 외측 볼록부(121)의 수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고, 그 밖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3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과 마찬가지로, 미가공체(10)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에 있어서, 제1 자성체부(11)는, 외측 볼록부(121)를 1개만 갖는다. 이 점에 있어서, 제3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제1 자성체부(11)가 복수의 외측 볼록부(121)를 갖는 도 2 내지 도 5의 코일 부품(1)과는 다르다. 이와 같이 제1 자성체부(11)가 외측 볼록부(121)를 1개만 갖는 경우라도, 외측 볼록부(121) 및 내측 볼록부(122)가 존재함으로써,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코일 도체(20)의 권회부가 외측 볼록부(121)와 내측 볼록부(122) 사이에 끼움 지지됨으로써,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더불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인출부(21)가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음으로써, 제1 인출부(21)의 인출 위치를 한층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의 제4 변형예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4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외측 볼록부(121)의 수가 다른 것 이외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주로 외측 볼록부(121)의 수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고, 그 밖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4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과 마찬가지로, 미가공체(10)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에 있어서, 제1 자성체부(11)는, 2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갖는다. 이 점에 있어서, 제4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제1 자성체부(11)가 4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갖는 도 2 내지 도 5의 코일 부품(1)과는 다르다. 이와 같이 제1 자성체부(11)가 2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갖는 경우라도, 외측 볼록부(121) 및 내측 볼록부(122)가 존재함으로써,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코일 도체(20)의 권회부가 외측 볼록부(121)와 내측 볼록부(122) 사이에 끼움 지지됨으로써,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더불어, 도 7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인출부(22)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의 양쪽이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음으로써,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의 인출 위치를 한층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2개의 외측 볼록부(121)는 각각, 미가공체(10)의 1개의 측면에서만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2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마련하는 위치는 도 7에 도시하는 구성예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의 제5 변형예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5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외측 볼록부(121)의 수가 다른 것 이외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주로 외측 볼록부(121)의 수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고, 그 밖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5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과 마찬가지로, 미가공체(10)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제5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에 있어서, 제1 자성체부(11)는, 3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갖는다. 이 점에 있어서, 제5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제1 자성체부(11)가 4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갖는 도 2 내지 도 5의 코일 부품(1)과는 다르다. 이와 같이 제1 자성체부(11)가 3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갖는 경우라도, 외측 볼록부(121) 및 내측 볼록부(122)가 존재함으로써,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코일 도체(20)의 권회부가 외측 볼록부(121)와 내측 볼록부(122) 사이에 끼움 지지됨으로써,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더불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인출부(22)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의 양쪽이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음으로써,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의 인출 위치를 한층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3개의 외측 볼록부(121) 중, 2개의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2개의 측면에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남은 1개의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1개의 측면에서만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3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마련하는 위치는 도 8에 도시하는 구성예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의 제6 변형예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6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제1 자성체부(11)가 내측 볼록부(122)를 갖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주로 상기 상위점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하고, 그 밖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6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과 마찬가지로, 미가공체(10)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제6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에 있어서, 제1 자성체부(11)는, 내측 볼록부(122)를 갖고 있지 않고, 4개의 외측 볼록부(121)만을 갖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제3 변형예에 있어서, 제1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1 측면(10a)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2 측면(10b)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3 측면(10c)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4 측면(10d)에서만 노출되어 있다. 제1 인출부(2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고, 제2 인출부(22)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성체부(11)가 내측 볼록부(122)를 갖지 않는 경우라도, 코일 도체(20)의 권회부가 평면으로 보아 사방으로부터 4개의 외측 볼록부(121)로 눌러 넣어짐으로써, 코일 부품(1)을 성형할 때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성체부(11)가 4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가짐으로써, 내측 볼록부(12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의 제7 변형예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7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제1 자성체부(11)가 내측 볼록부(122)를 갖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도 4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주로 상기 상위점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하고, 그 밖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7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과 마찬가지로, 미가공체(10)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제7 변형예에 관한 코일 부품(1)에 있어서, 제1 자성체부(11)는, 내측 볼록부(122)를 갖고 있지 않고, 4개의 외측 볼록부(121)만을 갖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제7 변형예에 있어서, 제1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1 측면(10a) 및 제3 측면(10c)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2 측면(10b) 및 제4 측면(10d)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2 측면(10b) 및 제3 측면(10c)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121)는, 미가공체(10)의 제1 측면(10a) 및 제4 측면(10d)에서만 노출되어 있다.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는, 미가공체(10)의 제3 측면(10c)에 인출되어 있고, 제2 인출부(22)는, 미가공체(10)의 제4 측면(10d)에 인출되어 있다. 제1 인출부(21)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고, 제2 인출부(22)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성체부(11)가 내측 볼록부(122)를 갖지 않는 경우라도, 코일 도체(20)의 권회부가 평면으로 보아 사방으로부터 4개의 외측 볼록부(121)로 눌러 넣어짐으로써, 코일 부품(1)을 성형할 때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성체부(11)가 4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가짐으로써, 내측 볼록부(12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코일 부품(1)의 인출부의 위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의, 코일 도체(20)의 상면을 통과하는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의 (a)선에서의 단면에 있어서의 인출부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의 (e)선에서의 단면에 있어서의 인출부의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고,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의 (e)선에서의 단면에 있어서의 인출부의 위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 중 적어도 한쪽은, 그 단부면(도면에 있어서 각각 부호(211 및 221)로 나타냄)을 제외한 전체가, 제1 자성체부(11)의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구성예에 있어서는,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는, 그 단부면(211)을 제외한 전체가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다. 또한, 제1 인출부(21)의 단부면(211)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가공체(10)의 측면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 중 적어도 한쪽의 전체가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는 경우, 제1 인출부(21) 및/또는 제2 인출부(22)의 위치 어긋남의 발생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인출부와 외부 전극의 접속을 한층 더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코일 도체(20)의 제1 인출부(21) 및/또는 제2 인출부(22)는, 그 일부만이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인출부(22)는, 그 상면(및 단부면(221))을 제외한 부분이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어도 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구성예에 있어서, 코일 도체(20)의 제2 인출부(22)의 상면과, 외측 볼록부(121)의 상면은 편평하게 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다른 예에 있어서, 제2 인출부(22)는, 그 상면 및 측면의 일부(및 단부면(221))를 제외한 부분이 외측 볼록부(121)에 매설되어 있어도 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구성예에 있어서, 코일 도체(20)의 제2 인출부(22)는, 그 일부가 제1 자성체부(11)의 외측 볼록부(1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1)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자성체부(11) 및 제2 자성체부(13))
제1 자성체부(11) 및 제2 자성체부(13)에 포함되는 제1 자성 입자 및 제2 자성 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자성체 입자여도 된다. 금속 자성체 입자를 구성하는 금속 자성체는, 예를 들어 Fe-Si-Cr 합금, Fe(카르보닐), 전자 연철(Fe), 규소강(Fe-3Si), 철-알루미늄(Fe-3.5Al), 알펌(Fe-16Al), 퍼멘듀르(Fe-50Co-2V), 센더스트(Fe-9.5Si-5.5Al), 45 퍼멀로이(Fe-45Ni), 78 퍼멀로이(Fe-78.5Ni), 슈퍼멀로이(Fe-95Ni-5Mo), 뮤메탈(Fe-77Ni-2Cr-5Cu), 하드펌(Fe-79Ni-9Nb), 철기 아몰퍼스(Fe-5Si-3B) 및 Co기 아몰퍼스(Co81.8-Fe4.2-Ni4.2-Si10-B20)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재료여도 된다.
제1 자성체부(11) 및/또는 제2 자성체부(13)는, 추가로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자성체부(11) 및/또는 제2 자성체부(13)가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수지를 통하여 자성 입자(제1 자성 입자 및/또는 제2 자성 입자)끼리 결합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 자성체부(11) 및/또는 제2 자성체부(13)의 미가공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자성체부(11) 및/또는 제2 자성체부(13)가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를 수지를 통하여 접합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합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수지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및/또는 페녹시 수지여도 된다. 제1 자성체부(11) 및/또는 제2 자성체부(13)는, 자성 입자(제1 자성 입자 및/또는 제2 자성 입자) 및 수지에 추가하여, 경화제, 경화 촉진제, 필러, 난연재, 커플링제, 분산제, 표면 처리제, 레벨링제, 저탄성화 고무 성분, 저탄성 고무 입자, 밀착 부여제 및/또는 틱소제 등을 더 포함해도 된다.
외측 볼록부(121)는, 도 2 및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미가공체(10)의 측면에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외측 볼록부(12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의 (a), 도 3의 (c) 및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면으로 보아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어도 된다. 금형에 의한 가공성 등을 고려하면, 외측 볼록부(121)의 형상은, 단면으로 보아 점차 협폭으로 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반원형 등이어도 된다.
외측 볼록부(121)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자성체부(11)는 1 내지 9개의 외측 볼록부(121)를 구비해도 된다. 코일 도체(20)의 권회부를 둘러싸는 외측 볼록부(121)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2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플러스) 형상, 또는 도 4, 도 5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X자 형상, 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Y자 형상이어도 된다.
외측 볼록부(121)의 최대폭은, 코일 도체(20)의 권회부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볼록부(121)의 최대폭이 코일 도체(20)의 권회부의 폭보다 좁은 경우,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볼록부(121)의 최대폭은, 그 외측 볼록부(121)가 노출되어 있는 미가공체(10)의 측면에 있어서, 미가공체(10)의 폭의 1/4 이상 5/6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 도체(20)의 권회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자성체부(11)의 면적 전체에서 차지하는 외측 볼록부(121) 및 내측 볼록부(122)의 면적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97%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8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70% 이하이다.
(코일 도체(20))
코일 도체(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타원형 또는 원형이어도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코일 도체(20)는 α 감기의 코일이지만, 코일의 감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 도체(20)의 치수는, 예를 들어 코일 부품(1)의 치수가 1608사이즈인 경우, 긴 변 방향 1.3mm, 짧은 변 방향 0.5mm, 높이 방향 0.5mm여도 된다.
(제1 외부 전극(31) 및 제2 외부 전극(32))
제1 외부 전극(31) 및 제2 외부 전극(32)은, Ag, Cu, Ni 또는 Sn 등의 금속 도체로 구성되어도 되고, 유리를 더 포함해도 된다. 외부 전극(제1 외부 전극(31) 및 제2 외부 전극(32))은, 금속 도체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미가공체(10)에 도포하고, 베이킹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외부 전극의 표면에는 도금층을 더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아니라, 스퍼터링 또는 직접 도금에 의해 외부 전극을 형성해도 된다.
(절연체부)
미가공체(10)는,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사이에 절연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체부의 조성은, 원하는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체부로서, 제1 자성체부(11) 및 제2 자성체부(13)보다 투자율이 낮은 층을 마련함으로써, 코일 부품(1)의 직류 중첩 특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혹은,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사이에 절연체부로서 비자성 재료로 구성되는 층을 마련함으로써, 코일 부품(1)의 직류 중첩 특성을 더 높일 수도 있다. 혹은, 절연체부로서, 제1 자성체부(11) 및 제2 자성체부(13)보다 투자율이 높은 층을 마련함으로써, 코일 부품(1)의 인덕턴스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절연체부는, 단일 층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조성이 다른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절연체부로서, 제1 자성체부(11) 및 제2 자성체부(13)보다 수지의 함유량이 많은 자성체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접합 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자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자성체부(11) 및 제2 자성체부(13)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함유량을 높게 하고(즉 수지의 함유량을 낮게 하고), 제1 자성체부(11)와 제2 자성체부(13)의 사이에 수지 함유량이 높은 절연체부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높은 투자율과 보다 높은 접합 강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의 미가공체(10)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608사이즈, 2012사이즈 또는 2520사이즈 등이어도 된다.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코일 부품(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1)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 부품(1)의 제조 방법은, 소정 형상의 오목부를 갖는 금형을 준비하는 공정(금형 준비 공정), 금형에 코일 도체(20)를 배치하는 공정(코일 도체 배치 공정), 제1 자성체 시트를 금형에 압박하는 공정(제1 자성체 시트 압박 공정), 금형으로부터 코일 도체(20) 및 제1 자성체 시트를 분리하는 공정(분리 공정), 제1 자성체 시트 및 코일 도체(20) 상에 제2 자성체 시트를 압박하여 적층체를 얻는 공정(제2 자성체 시트 압박 공정), 그리고 적층체를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여 코일 부품(1)을 얻는 공정(절단 공정)을 포함한다.
(금형 준비 공정)
우선, 코일 도체(20)의 권회부의 외형 치수에 대응하는 오목부와, 오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오목부로부터 연장되는 1개 또는 복수의 홈형의 오목부를 갖는 금형을 준비한다. 도 15에 금형(100)의 일례를 도시한다. 금형(100)은 오목부(101)와 볼록부(103)를 갖는다. 금형(100)에는 미리 이형제 등을 도포해도 된다. 또한, 미가공체(10)가 절연체부를 포함하는 경우, 금형(100)에 미리 제3 자성체부로 되는 자성체 시트 등을 적용해 두어도 된다. 금형의 오목부(101)의 형상은, 코일 도체(20)의 형상 및 완성품의 코일 부품(1)에 있어서의 외측 볼록부(121)의 폭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볼록부(121)에 대응하는 오목부(101)의 깊이와, 내측 볼록부(122)에 대응하는 오목부(101)의 깊이는 달라도 된다. 또한, 코일 도체(20)에 대응하는 오목부(101)의 깊이가, 내측 볼록부(122)에 대응하는 오목부(101)의 깊이보다 깊은 경우, 코일 도체(20)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코일 도체 배치 공정)
다음에, 금형(100)에 코일 도체(20)를 배치한다. 코일 도체(20)의 권회부의 적어도 일부는, 권회축이 오목부의 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오목부(101)의 내부에 배치되며, 또한 코일 도체의 제1 인출부(21) 및 제2 인출부(22)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일부는 홈형의 오목부(101)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대략 수직」은 90°±10°의 범위 내인 것을 의미한다.
(제1 자성체 시트 압박 공정)
다음에,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 시트(111)를 금형(100)에 압박하여, 코일 도체(20)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자성체 시트(111)에 매립한다. 이 매립 시에 외측 볼록부 및 내측 볼록부를 형성한다.
제1 자성체 시트(111)는, 원료(제1 자성 입자, 수지 및 경화제 등의 첨가제)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시트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혼합 시에는, 추가로 용제를 첨가하여 점도를 조정해도 된다. 용제로서는 MEK(메틸에틸케톤),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PGM(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PMA(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DPM(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DPMA(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또는 γ-부티로락톤 등을 사용해도 된다. 시트형으로 성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지 성분이 미경화 상태(A 스테이지 상태)인 혼합물을, PET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재 상에 도포하여 가열함으로써, 지지 기재 상에 반경화 상태(B 스테이지 상태)의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자성체 시트(111)를 형성할 수 있다. 가열은 예를 들어 열풍 건조기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A 스테이지 상태의 수지 성분이란, 경화 반응이 진행되어 있지 않은 에폭시 수지 및 페녹시 수지를 포함하는 성분이다. 또한, B 스테이지 상태의 수지 성분이란, 에폭시 수지 및 페녹시 수지가 가열됨으로써, 에폭시 수지 및 페녹시 수지의 경화 반응이 일부 진행되어 있지만, 완전히는 경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수지를 포함하는 성분이다.
이러한 제1 자성체 시트(111)를 금형(100)에 압박하여, 코일 도체(20)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자성체 시트(111)에 매립한다. 이에 의해, 코일 도체(20)의 내부에 제1 자성체 시트(111)가 충전된다. 제1 자성체 시트(111)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자성체 시트(111)를 1장만 압박해도 되고, 복수매의 제1 자성체 시트(111)를 겹쳐서 압박을 행해도 된다. 이 압박 공정과 동시에 또는 압박 공정 후에 가열을 행하여, 제1 자성체 시트(111)를 경화시켜도 된다. 경화 조건은 수지의 종류 및 함유량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해도 된다.
(분리 공정)
다음에, 금형(100)으로부터 코일 도체(20) 및 제1 자성체 시트(111)를 분리한다. 금형(100)으로부터 취출한 제1 자성체 시트(111)의 표면에는, 외측 볼록부(121) 및 내측 볼록부(122)에 대응하는 볼록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자성체 시트 압박 공정)
다음에, 제1 자성체 시트(111) 및 코일 도체(20) 상에,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 시트(113)를 압박하여, 제1 자성체 시트(111)와 제2 자성체 시트(113)가 접합된 적층체를 형성한다(도 16). 이때, 절연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미가공체(1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자성체 시트(111)와 제2 자성체 시트(113)의 사이에 제3 자성체 시트(114)를 마련해도 된다. 제2 자성체 시트(113) 및 제3 자성체 시트(114)는, 제1 자성체 시트(111)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1 자성체 시트(111)의 코일 도체(20)를 매립한 측에 제2 자성체 시트(113)를 압박하여 압착시킴으로써, 제1 자성체 시트(111)와 제2 자성체 시트(113)가 접합된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자성체 시트(113)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자성체 시트(113)를 1장만 압박해도 되고, 복수매의 제2 자성체 시트(113)를 겹쳐서 압박을 행해도 된다. 이 압박 공정과 동시에 또는 압박 공정 후에 가열을 행하여, 제2 자성체 시트(113)를 경화시켜도 된다. 경화 조건은 수지의 종류 및 함유량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해도 된다.
(절단 공정)
다음에, 적층체를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여 코일 부품(1)을 얻는다. 절단은, 예를 들어 다이싱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개편화된 코일 부품(1)은, 치수 조정을 위해 배럴 연마 등의 연마를 실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코일 부품의 양 단부면(도 1에 도시하는 코일 부품(1)에 있어서는, 미가공체(10)의 제1 측면(10a) 및 제2 측면(10b))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베이킹함으로써 외부 전극(제1 외부 전극 및 제2 외부 전극)을 형성해도 된다. 외부 전극의 표면에 도금층을 추가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방법 대신에, 스퍼터링 또는 직접 도금에 의해 외부 전극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포함하지만, 이들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태 1)
미가공체와, 미가공체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도체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이며,
미가공체는, 코일 도체의 권회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권회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권회축과 직교하고, 또한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이고,
미가공체는,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부와, 제1 자성체부의 주면에 마련된,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부를 포함하고,
코일 도체는, 권회부와, 미가공체의 어느 측면에 인출된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를 구비하고,
제1 자성체부는, 그 주면에 있어서, 권회부의 외측에 마련된 외측 볼록부와, 권회부의 내측에 마련된 내측 볼록부를 갖고,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1개의 측면 또는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는, 코일 부품.
(양태 2)
제1 인출부 또는 제2 인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외측 볼록부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양태 1에 기재된 코일 부품.
(양태 3)
제1 자성체부는 그 주면에 있어서 복수의 외측 볼록부를 갖는, 양태 1 또는 2에 기재된 코일 부품.
(양태 4)
제1 자성체부는 4개의 외측 볼록부를 갖고,
제1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1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2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1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고, 제2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는, 양태 3에 기재된 코일 부품.
(양태 5)
제1 자성체부는 4개의 외측 볼록부를 갖고,
제1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1 측면 및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2 측면 및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2 측면 및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1 측면 및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1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고, 제2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는, 양태 3에 기재된 코일 부품.
(양태 6)
미가공체와, 미가공체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도체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이며,
미가공체는, 코일 도체의 권회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권회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권회축과 직교하고, 또한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이고,
미가공체는,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부와, 제1 자성체부의 주면에 마련된,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부를 포함하고,
코일 도체는, 권회부와,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를 구비하고,
제1 자성체부는, 그 주면에 있어서, 권회부의 외측에 마련된 4개의 외측 볼록부를 갖고,
제1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1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2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1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고, 제2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는, 코일 부품.
(양태 7)
미가공체와, 미가공체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도체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이며,
미가공체는, 코일 도체의 권회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권회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권회축과 직교하고, 또한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이고,
미가공체는,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부와, 제1 자성체부의 주면에 마련된,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부를 포함하고,
코일 도체는, 권회부와,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를 구비하고,
제1 자성체부는, 그 주면에 있어서, 권회부의 외측에 마련된 4개의 외측 볼록부를 갖고,
제1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1 측면 및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2 측면 및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2 측면 및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는, 미가공체의 제1 측면 및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1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고, 제2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는, 코일 부품.
(양태 8)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 중 적어도 한쪽은, 그 단부면을 제외한 전체가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어 있는, 양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코일 부품.
(양태 9)
제1 자성체부가 추가로 수지를 함유하는, 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코일 부품.
(양태 10)
제1 인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외부 전극과, 제2 인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외부 전극을 더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코일 부품.
(양태 11)
미가공체는, 제1 자성체부와 제2 자성체부의 사이에 절연체부를 더 포함하는, 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코일 부품.
(양태 12)
양태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이며,
코일 도체의 권회부의 외형 치수에 대응하는 오목부와, 오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오목부로부터 연장되는 1개 또는 복수의 홈형의 오목부를 갖는 금형을 준비하는 공정,
금형에 코일 도체를 배치하는 공정이며, 코일 도체의 권회부의 적어도 일부는, 권회축이 오목부의 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오목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코일 도체의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일부는 홈형의 오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정,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 시트를 금형에 압박하여, 코일 도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자성체 시트에 매립하는 공정,
금형으로부터 코일 도체 및 제1 자성체 시트를 분리하는 공정,
제1 자성체 시트 및 코일 도체 상에,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 시트를 압박하여, 제1 자성체 시트와 제2 자성체 시트가 접합된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 그리고
적층체를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여 코일 부품을 얻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법.
본 발명에 관한 코일 부품은, 코일 부품의 미가공체를 구성하는 제1 자성체부와 제2 자성체부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코일 부품
10: 미가공체
10a: 미가공체의 제1 측면
10b: 미가공체의 제2 측면
10c: 미가공체의 제3 측면
10d: 미가공체의 제4 측면
11: 제1 자성체부
121: 외측 볼록부
122: 내측 볼록부
13: 제2 자성체부
20: 코일 도체
21: 제1 인출부
211: 제1 인출부의 단부면
22: 제2 인출부
221: 제2 인출부의 단부면
31: 제1 외부 전극
32: 제2 외부 전극
100: 금형
101: 오목부
103: 볼록부
111: 제1 자성체 시트
112: 볼록부
113: 제2 자성체 시트
114: 제3 자성체 시트
10: 미가공체
10a: 미가공체의 제1 측면
10b: 미가공체의 제2 측면
10c: 미가공체의 제3 측면
10d: 미가공체의 제4 측면
11: 제1 자성체부
121: 외측 볼록부
122: 내측 볼록부
13: 제2 자성체부
20: 코일 도체
21: 제1 인출부
211: 제1 인출부의 단부면
22: 제2 인출부
221: 제2 인출부의 단부면
31: 제1 외부 전극
32: 제2 외부 전극
100: 금형
101: 오목부
103: 볼록부
111: 제1 자성체 시트
112: 볼록부
113: 제2 자성체 시트
114: 제3 자성체 시트
Claims (12)
- 미가공체와, 해당 미가공체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도체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이며,
상기 미가공체는, 상기 코일 도체의 권회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상기 권회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상기 권회축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갖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미가공체는,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부와, 해당 제1 자성체부의 주면에 마련된,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도체는, 권회부와, 상기 미가공체의 어느 측면에 인출된 제1 인출부 및 제2 인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자성체부는, 상기 주면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의 외측에 마련된 외측 볼록부와, 상기 권회부의 내측에 마련된 내측 볼록부를 갖고,
상기 외측 볼록부는, 상기 권회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미가공체의 1개의 측면 또는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부 또는 상기 제2 인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측 볼록부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코일 부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부는 상기 주면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외측 볼록부를 갖는, 코일 부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부는 4개의 상기 외측 볼록부를 갖고,
제1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1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2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고, 상기 제2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는, 코일 부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부는 4개의 상기 외측 볼록부를 갖고,
제1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고, 상기 제2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는, 코일 부품. - 미가공체와, 해당 미가공체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도체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이며,
상기 미가공체는, 상기 코일 도체의 권회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상기 권회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상기 권회축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갖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미가공체는,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부와, 해당 제1 자성체부의 주면에 마련된,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도체는, 권회부와,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자성체부는, 상기 주면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의 외측에 마련된 4개의 외측 볼록부를 갖고,
제1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1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2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고, 상기 제2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는, 코일 부품. - 미가공체와, 해당 미가공체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도체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이며,
상기 미가공체는, 상기 코일 도체의 권회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면 및 하면과, 상기 권회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상기 권회축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갖는 직사각형이고,
상기 미가공체는,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부와, 해당 제1 자성체부의 주면에 마련된,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도체는, 권회부와, 제1 인출부와, 제2 인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자성체부는, 상기 주면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의 외측에 마련된 4개의 외측 볼록부를 갖고,
제1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2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3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제4 외측 볼록부는, 상기 미가공체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에서만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1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고, 상기 제2 인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는, 코일 부품. -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 중 적어도 한쪽은, 그 단부면을 제외한 전체가 상기 외측 볼록부에 매설되어 있는, 코일 부품.
-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부가 또한 수지를 함유하는, 코일 부품.
-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외부 전극과, 상기 제2 인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외부 전극을 더 포함하는, 코일 부품.
-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가공체는, 상기 제1 자성체부와 상기 제2 자성체부의 사이에 절연체부를 더 포함하는, 코일 부품.
-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코일 도체의 상기 권회부의 외형 치수에 대응하는 오목부와, 해당 오목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해당 오목부로부터 연장되는 1개 또는 복수의 홈형의 오목부를 갖는 금형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금형에 상기 코일 도체를 배치하는 공정이며, 상기 코일 도체의 상기 권회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권회축이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대하여 90°±10°의 범위의 각도를 갖도록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코일 도체의 상기 제1 인출부 및 상기 제2 인출부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홈형의 오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정,
상기 제1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1 자성체 시트를 상기 금형에 압박하여, 상기 코일 도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자성체 시트에 매립하는 공정,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코일 도체 및 상기 제1 자성체 시트를 분리하는 공정,
상기 제1 자성체 시트 및 상기 코일 도체 상에, 상기 제2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제2 자성체 시트를 압박하여, 상기 제1 자성체 시트와 상기 제2 자성체 시트가 접합된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적층체를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여 코일 부품을 얻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9-186178 | 2019-10-09 | ||
JP2019186178A JP7327070B2 (ja) | 2019-10-09 | 2019-10-09 |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2251A KR20210042251A (ko) | 2021-04-19 |
KR102551021B1 true KR102551021B1 (ko) | 2023-07-05 |
Family
ID=7534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8882A KR102551021B1 (ko) | 2019-10-09 | 2020-10-06 |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791090B2 (ko) |
JP (1) | JP7327070B2 (ko) |
KR (1) | KR102551021B1 (ko) |
CN (1) | CN11265244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9129260B4 (de) * | 2019-10-30 | 2021-06-10 | Infineon Technologies Ag | Schaltung mit Transformator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
KR20220009212A (ko) * | 2020-07-15 | 2022-01-24 | 삼성전기주식회사 | 코일 부품 |
KR20240055526A (ko) | 2022-10-20 | 2024-04-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코일 부품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47272A (ja) | 2008-12-19 | 2010-07-01 | Toko Inc | モールドコイルの製造方法 |
JP2013110184A (ja) * | 2011-11-18 | 2013-06-06 | Toko Inc | 面実装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とその面実装インダ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200941515A (en) * | 2008-03-17 | 2009-10-01 | Cyntec Co Ltd | Inductor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
JP4714779B2 (ja) * | 2009-04-10 | 2011-06-29 | 東光株式会社 | 表面実装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とその表面実装インダクタ |
JP4685952B2 (ja) | 2009-06-19 | 2011-05-18 | 義純 福井 | 巻き線一体型モールドコイルおよび巻き線一体型モールドコイルの製造方法 |
JP6072443B2 (ja) * | 2011-08-04 | 2017-02-01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
KR102064027B1 (ko) | 2014-10-31 | 2020-01-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시트 타입 인덕터 |
US10049808B2 (en) * | 2014-10-31 | 2018-08-14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oil component assembly for mass production of coil components and coil components made from coil component assembly |
KR102138891B1 (ko) * | 2015-04-16 | 2020-07-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칩 부품 및 그 제조방법 |
JP6784014B2 (ja) | 2015-11-19 | 2020-11-11 | Tdk株式会社 | コイル装置 |
JP2018182209A (ja) * | 2017-04-19 | 2018-11-15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コイル部品 |
US11367556B2 (en) * | 2018-03-29 | 2022-06-21 | Tdk Corporation | Coil device |
-
2019
- 2019-10-09 JP JP2019186178A patent/JP7327070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9-22 US US17/028,128 patent/US11791090B2/en active Active
- 2020-09-30 CN CN202011058520.XA patent/CN112652446B/zh active Active
- 2020-10-06 KR KR1020200128882A patent/KR1025510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47272A (ja) | 2008-12-19 | 2010-07-01 | Toko Inc | モールドコイルの製造方法 |
JP2013110184A (ja) * | 2011-11-18 | 2013-06-06 | Toko Inc | 面実装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とその面実装インダ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2652446A (zh) | 2021-04-13 |
US20210110965A1 (en) | 2021-04-15 |
JP2021061376A (ja) | 2021-04-15 |
US11791090B2 (en) | 2023-10-17 |
KR20210042251A (ko) | 2021-04-19 |
CN112652446B (zh) | 2024-02-23 |
JP7327070B2 (ja) | 2023-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1021B1 (ko) |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157059B1 (ko) | 면실장 인덕터의 제조 방법 | |
US10998130B2 (en) | Coil component having resin walls | |
KR102019065B1 (ko) | 면실장 인덕터의 제조방법 | |
US7523542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magnetic element | |
KR101215837B1 (ko) | 코일 부품 | |
JP5619709B2 (ja) | 高インダクタンスを持つ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 |
JP3593986B2 (ja) |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 |
JP5450675B2 (ja) | 面実装インダクタとその製造方法 | |
US20120274433A1 (en) | Coil component | |
KR20170039719A (ko) | 표면 실장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064119B1 (ko) | 시트 타입 인덕터 | |
US11783999B2 (en) | Multilayer coil array | |
JP2017069460A (ja) |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 |
US12068102B2 (en) | 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 |
WO2016059918A1 (ja) | 電子部品 | |
JP7420034B2 (ja) | コイル部品 | |
CN106449012B (zh) | 定制化表面黏着型功率电感器及其制作方法 | |
JP2023150279A (ja) | インダクタ | |
JP2021170577A (ja) | コイル装置 | |
TWM364262U (en) | One-piece molded inductor made by inj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