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863B1 - 농산물 결속기 - Google Patents

농산물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863B1
KR102550863B1 KR1020210054250A KR20210054250A KR102550863B1 KR 102550863 B1 KR102550863 B1 KR 102550863B1 KR 1020210054250 A KR1020210054250 A KR 1020210054250A KR 20210054250 A KR20210054250 A KR 20210054250A KR 102550863 B1 KR102550863 B1 KR 102550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unit
module
agricultural products
work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298A (ko
Inventor
박철희
Original Assignee
박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희 filed Critical 박철희
Priority to KR102021005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8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는, 농산물을 결속하기 위한 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농산물이 결속되는 작업위치가 마련되는 농산물 결속기로서, 상기 테이프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어 일부가 커팅된 상기 테이프를 고정하는 세팅모듈, 상기 농산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슬라이딩모듈,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적어도 한 번 이상 교차시켜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는 밴딩모듈 및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밴딩모듈이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교차시키도록 상기 세팅모듈에 위치된 상기 테이프를 상기 밴딩모듈을 향해 이동시키는 승강모듈을 포함하는 농산물 결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산물 결속기{AGRICULTURAL PRODUCT BINDING DEVICE}
본 발명은 농산물 결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모듈을 통해서 이동되는 농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농산물을 결속할 수 있는 농산물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반복적인 생산과정에서 한 번의 동작의 다수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생산과정의 피로를 절감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고안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농산물을 묶어 포장하는 과정에서 농산물을 위치시키면 레일을 따라 농산물이 이동되고, 센서를 통해서 농산물을 인식한 포장기가 농산물에 테이핑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노동력을 절감하고, 농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피로를 절감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농산물을 묶어 포장하는 농산물 결속기의 경우,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테이프를 하강시켜 농산물을 밴딩하고, 농산물의 하부에서 테이프를 묶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와 같은 방식은 테이프가 하강되면서 농산물을 짓눌러 농산물의 품질이 저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압축하고 이후에 측면을 압축하기 때문에 농산물 결속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포장된 농산물이 흘러내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농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다수의 과정을 단순화하여 하나의 동작으로 다수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 활발하게 고안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슬라이딩모듈을 통해서 이동되는 농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농산물을 결속할 수 있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산물 결속기는, 농산물을 결속하기 위한 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농산물이 결속되는 작업위치가 마련되는 농산물 결속기로서, 상기 테이프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어 일부가 커팅된 상기 테이프를 고정하는 세팅모듈, 상기 농산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슬라이딩모듈,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적어도 한 번 이상 교차시켜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는 밴딩모듈 및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밴딩모듈이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교차시키도록 상기 세팅모듈에 위치된 상기 테이프를 상기 밴딩모듈을 향해 이동시키는 승강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팅모듈은, 상기 테이프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되어 상기 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유닛 및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에서 상기 테이프의 형태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부에 일부가 커팅된 상기 테이프가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테이프에 구비된 철사가 상기 고정유닛상에 고정되도록 자성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승강모듈이 상기 농산물을 우회하여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상기 밴딩모듈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상기 테이프의 이동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는 안착유닛 및 상기 안착유닛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착유닛을 감싸도록 돌출되는 격벽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장공 내측으로 손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착유닛의 일측을 감싸도록 안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상기 밴딩모듈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상기 테이프의 양단이 위치되는 한 쌍의 위치유닛, 한 쌍의 상기 위치유닛 사이로 연장되는 연장유닛 및 일측이 상기 연장유닛과 결합되고, 승강되면서 상기 위치유닛을 상기 밴딩모듈을 향해 이동시키는 실린더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유닛은, 상기 작업위치를 우회하여 상기 위치유닛이 상기 밴딩모듈로 이동되도록 중심부가 상기 위치유닛이 이동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밴딩모듈은,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승강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회전의 축을 형성하는 축 형성유닛, 길게 형성되어 상기 축 형성유닛에 축 결합되고,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향해 회전되어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걸쇠유닛 및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판넬이 상기 걸쇠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축 형성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걸쇠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파지하여 상기 축 형성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교차시키는 파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산물 결속기는 슬라이딩모듈을 통해서 이동되는 농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농산물을 결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테이프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고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에 사용되는 테이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슬라이딩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밴딩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승강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작동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승강모듈이 작동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가 동작되어 농산물을 결속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세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테이프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고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에 사용되는 테이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슬라이딩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밴딩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승강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는 하우징모듈(H), 세팅모듈(100), 슬라이딩모듈(200), 밴딩모듈(300), 승강모듈(400), 무게측정모듈(5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모듈(H)은 외관을 형성하며, 농산물이 결속되는 작업위치를 형성하며, 상부 하우징(H1)과 하부 하우징(H2), 테이프(T)가 거치되는 거치유닛(H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하우징(H1)에는 추후 상술하겠지만 상기 밴딩모듈(300)이 위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이 이동되어 상기 농산물이 결속되는 상기 작업위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H2)은 상기 승강모듈(400)이 위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하우징(H1)과 함께 상기 작업위치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 하우징(H2)에는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이 안착공간을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모듈(200)과 레일(R)을 통해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작업위치 및 상기 슬라이딩모듈(200)과 대향되는 방향의 후면에는 상기 테이프(T)가 거치되는 거치유닛(H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유닛(H3)은 상기 테이프(T)가 거치되는 공간을 마련하며, 상기 거치유닛(H3)에 구비된 상기 테이프(T)는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거치유닛(H3)과 결합되어 상기 세팅모듈(100)에 의해 자유 회전되면서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로 상기 테이프(T)가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팅모듈(100)은 상기 거치유닛(H3)에 거치된 상기 테이프(T)의 일부를 절단하여 상기 농산물을 결속할 수 있는 상기 테이프(T)를 기 설정된 길이만큼 구비하는 절단유닛(120),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에서 상기 테이프(T)가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절단유닛(120)에 의해 일부가 커팅된 상기 테이프(T)가 위치되어 형태가 유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유닛(140) 및 상기 거치유닛(H3)에서 상기 절단유닛(120)을 향해 상기 테이프(T)를 이동시켜 상기 작업위치로 상기 테이프(T) 이동될 수 있도록 작동되는 롤러유닛(1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유닛(120)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T)의 일부를 절단하며, 상기 테이프(T)의 이동경로상에 위치되고,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테이프(T)가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테이프(T)의 일부를 커팅하여 상기 농산물을 결속할 수 있는 기 설정된 길이의 상기 테이프(T)를 마련할 수 있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유닛(120)에는 일부가 커팅된 상기 테이프(T)의 일단부가 위치될 수 있는 일단부(12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팅된 상기 테이프(T)의 일단부가 구부러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추후 상술할 도면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상기 고정유닛(140)과 동일하게 상기 테이프(T)에 구비된 철사(F)에 의해 상기 테이프(T)의 형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성을 띄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유닛(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일부가 커팅된 상기 테이프(T)가 상부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가 커팅된 상기 테이프(T)는 상기 거치유닛(H3)에서 말아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고정유닛(140)상에서 구부러지면서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의 이동이 방해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유닛(140)의 상부에 상기 테이프(T)가 위치되고, 상기 테이프(T)가 상기 고정유닛(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철사(F)에 의해 상기 테이프(T)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자성을 띄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유닛(140)의 자성에 의해 상기 테이프(T)의 형태가 상기 고정유닛(140)상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테이프(T)의 형태를 상기 고정유닛(140)의 상부에서 고정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테이프(T)의 걸림사태로 인해 작업량이 줄어들거나 불편함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테이프(T)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상기 철사(F)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철사(F)가 상기 고정유닛(140)의 자성에 끌려 상기 고정유닛(140)에 부착되며 상기 테이프(T)의 형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농산물이 위치되는 안착유닛(220)이 형성되고, 상기 농산물과 함께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밴딩모듈(300)과 상기 승강모듈(40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은 상기 안착유닛(220)을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밴딩모듈(300)과 상기 승강모듈(400)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상기 테이프(T)에 의해 상기 농산물이 결속되는 동안 상기 세팅유닛(100)은 상기 테이프(T)를 상기 작업위치로 재차 이동시키고, 기 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테이프(T)가 구비되도록 상기 테이프(T)의 일부를 커팅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안착유닛(220)에는 상기 승강모듈(400)이 상기 밴딩유닛(300)을 향해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이프(T)의 이동방향을 따라 장공(S)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유닛(220)의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장공(S) 내부로 작업자의 손이 인입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안전부(222)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부(222)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유닛(220)의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작업자가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장공(S) 내부로 손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격벽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장공(S) 내부로 손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부재(222)에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안착유닛(220)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을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외측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은 상기 안착유닛(22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착유닛(220)에 적층되는 상기 농산물이 무너져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착유닛(220), 즉, 상기 안착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격벽을 형성하는 격벽유닛(24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유닛(240)은 상기 안착유닛(220)을 감싸는 형태로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공(S)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격벽유닛(240)은 상기 안착유닛(220)을 감싸면서도, 상기 장공(S)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안착유닛(220)에 적측되는 상기 농산물이 높이 또는 부피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안착유닛(220)이 상기 작업위치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H2)과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은 상기 레일(R)을 통해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의 내측, 상기 안착유닛(220)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에서 가장 전면에 위치한 부분에서 상기 장공(S)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부(D)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D)가 추후 상술할 도면에서 설명할 작동모듈(O)을 틸트시켜 상기 농산물을 결속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딩모듈(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위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회전의 축이 되는 축 형성유닛(320)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축 형성유닛(320)에 축 결합되고, 상기 테이프(T)를 향해 회전되어 상기 테이프(T)를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걸쇠유닛(340) 및 한 쌍의 판넬이 상기 걸쇠유닛(3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축 형성유닛(320)과 결합되고, 상기 걸쇠유닛(3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파지하는 파지유닛(3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 형성유닛(320)은 회전의 축을 형성하며,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이 인접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걸쇠유닛(340)을 우선 회전시키며, 상기 걸쇠유닛(340)에 의해 상기 걸쇠유닛(340)과 상기 파지유닛(360)으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테이프(T)를 꼬아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쇠유닛(34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걸어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양단이 회전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파지유닛(360)은 상기 걸쇠유닛(34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상기 걸쇠유닛(340)의 양단과 함께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쇠유닛(3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상기 걸쇠유닛(340)과 맞닿는 부분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쇠유닛(340)의 양단이 절곡되는 방향과 상기 파지유닛(360)이 상기 걸쇠유닛(340)의 양단과 접촉되는 부분이 돌출되는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이기 때문에 서로가 접촉되어 상기 테이프(T)를 파지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축 형성유닛(320)이 회전되면서 상기 테이프(T)를 적어도 한 번 이상 교차시켜 상기 농산물을 결속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모듈(4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이 위치되는 한 쌍의 상기 위치유닛(420)과 상기 위치유닛(420)에서 연장되어 한 쌍의 상기 위치유닛(420)의 사이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위치유닛(420)이 상기 농산물을 우회하여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중심부가 상기 위치유닛(420)이 승강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되는 연장유닛(440) 및 상기 위치유닛(420)이 상기 작업위치 상부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이 이동되도록 상기 연장유닛(440)을 승강시키는 실린더유닛(4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위치유닛(420)에는 일부가 커팅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이 각각 위치되고, 상기 연장유닛(460)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농산물을 우회하여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440)는 상기 위치유닛(420)이 승강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유닛(420)이 상기 농산물을 우회하여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에는 무게측정모듈(50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게측정모듈(500)은 상기 안착유닛(220) 상에 적층되는 상기 농산물의 무게를 측정하며,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농산물이 정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농산물을 결속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작동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의 승강모듈이 작동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가 동작되어 농산물을 결속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농산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상기 격벽부(240) 내측의 상기 안착유닛(220)에 상기 농산물을 위치시키고, 상기 작업위치로 상기 안착유닛(220)을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구동부(D)가 상기 작동모듈(O)을 틸트시키면서 상기 밴딩모듈(300) 및 상기 승강모듈(40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팅모듈(100)을 동작시킴을 통해서 상기 테이프(T)를 상기 작업위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고, 자성을 통해 상기 테이프(T)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모듈(O)은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구동부(D)와 상기 작동모듈(O)이 접촉되어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모듈(O)은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모듈(H)에 틸트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모듈(O)은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구동부(D)에 의해 슬라이딩방향을 향해 틸트되어 일련의 과정을 수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모듈(O)이 상기 구동부(D)에 의해 틸트되면, 상기 승강모듈(4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부(420)에 배치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테이프(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유닛(140)에 의해 상기 고정유닛(140)에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위치유닛(420)에 의해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이 상기 고정유닛(140)에서 이탈되어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유닛(440)은 상기 위치유닛(420)이 이동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곡률반경을 가지며 중심부가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위치유닛(420)은 곡률반경을 그리면서 승강되어 상기 농산물을 우회하여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농산물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 상기 테이프(T)양단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이 상기 농산물을 우회하여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된 경우, 상기 밴딩모듈(300)의 상기 걸쇠유닛(340)이 회전되면서 상기 파지유닛(360)과 함께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축 형성유닛(320)이 회전되면서 상기 테이프(T)가 꼬아지면 상기 농산물이 결속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T)에 의해 상기 농산물이 결속되면 상기 테이프(T)는 상기 고정유닛(120)을 이탈하여 상기 농산물과 밀착되고, 상기 고정유닛(120)의 상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롤러유닛(160)은 상기 테이프(T)를 상기 고정유닛(120)을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절단유닛(120)은 상기 테이프(T)의 일부를 커팅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모듈(400)이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상기 밴딩모듈(300)로 이동시키고, 상기 밴딩모듈(300)이 회전되면서 상기 농산물이 결속되고, 상기 고정유닛(120)에서 떨어진 상기 테이프(T)의 빈 자리를 채우도록 상기 롤러유닛(160)과 상기 절단유닛(120)에 의해 기 설정된 길이의 상기 테이프(T)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유닛(140)에 의해 상기 테이프(T)의 형태가 유지되는 일련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을 상기 작업위치로 상기 농산물을 이용자가 외력을 가해 밀어 넣으면서 상기 작동모듈(O)을 통해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상기 작동모듈(O)은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을 통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농산물을 인식하는 센서를 통해서도 동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은 상기 이용자가 외력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지만, 상기 슬라이딩모듈(200)에 모터 동작을 추가하여 하나의 버튼으로 자동동작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상기 승강모듈(400)은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승강되며,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이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고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설계하거나, 측면에서 상기 농산물을 포장하도록 측방으로 상기 승강모듈(400)이 이동될 수도 있으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농산물을 눌러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방식을 다르게 이용하여 순환시키며 작업하는 것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결속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모듈(200) 대신 회전모듈(6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외의 구성은 유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모듈(600)은 둘레를 따라 상기 격벽유닛(24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부(240)와 인접하게 상기 승강모듈(400)이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상기 농산물을 우회하여 이동될 수 있는 상기 장공(S)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격벽유닛(240)의 내측에는 상기 농산물이 위치되는 상기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안착유닛(2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회전모듈(600)이 회전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기 회전모듈(600)은 상기 농산물을 위치시키는 작업자와 포장된 상기 농산물을 꺼내 포장하는 작업자로 이루어져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농산물 결속기는 센서를 통해서 동작할 수도 있고,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모듈(O)을 통해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거나 상기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일련의 과정을 수행시키는 별도의 제어유닛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유닛(220)이 상기 회전모듈(5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농산물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순환시키고, 이를 통해서 여러 명의 동시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모듈(H)에는 상기 회전모듈(600)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모터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듈(600)을 자동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조작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버튼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이용자가 밟으면서 상기 회전모듈(600)이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모터를 동작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D: 구동부
F: 철사
H: 하우징모듈
H1: 상부 하우징
H2 : 하부 하우징
H3: 거치유닛
O: 작동모듈
R: 레일
S: 장공
T: 테이프
100: 세팅모듈
120: 절단유닛
140: 고정유닛
160: 롤러유닛
200: 슬라이딩모듈
220: 안착유닛
222: 안전부
240: 격벽유닛
300: 밴딩모듈
320: 축 형성유닛
340: 걸쇠유닛
360: 파지유닛
400: 승강모듈
420: 위치유닛
440: 연장유닛
460: 실린더유닛
500: 무게측정모듈

Claims (10)

  1. 농산물을 결속하기 위한 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농산물이 결속되는 작업위치가 마련되는 농산물 결속기로서,
    상기 테이프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어 일부가 커팅된 상기 테이프를 고정하는 세팅모듈;
    상기 농산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슬라이딩모듈;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적어도 한 번 이상 교차시켜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는 밴딩모듈; 및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밴딩모듈이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교차시키도록 상기 세팅모듈에 위치된 상기 테이프를 상기 밴딩모듈을 향해 이동시키는 승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상기 밴딩모듈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상기 테이프의 양단이 위치되는 한 쌍의 위치유닛, 한 쌍의 상기 위치유닛 사이로 연장되는 연장유닛 및 일측이 상기 연장유닛과 결합되고, 승강되면서 상기 위치유닛을 상기 밴딩모듈을 향해 이동시키는 실린더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농산물이 상기 안착공간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상기 테이프를 이동시켜 결속시키면서 상기 농산물이 상기 테이프에 의해 가압되며 발생되는 상기 농산물의 손상을 방지하며, 측면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상기 테이프의 결속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안착공간에 적층된 상기 농산물 내부에 빈 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작업위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위치유닛에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상기 실린더유닛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의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안착공간의 측면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상부를 향해 밀집되게 하여 상기 농산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농산물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모듈은,
    상기 테이프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되어 상기 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유닛; 및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에서 상기 테이프의 형태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결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부에 일부가 커팅된 상기 테이프가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테이프에 구비된 철사가 상기 고정유닛상에 고정되도록 자성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결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결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승강모듈이 상기 농산물을 우회하여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상기 밴딩모듈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상기 테이프의 이동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결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는 안착유닛; 및
    상기 안착유닛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착유닛을 감싸도록 돌출되는 격벽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결속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장공 내측으로 손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착유닛의 일측을 감싸도록 안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결속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유닛은,
    상기 작업위치를 우회하여 상기 위치유닛이 상기 밴딩모듈로 이동되도록 중심부가 상기 위치유닛이 이동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결속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모듈은,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승강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회전의 축을 형성하는 축 형성유닛;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축 형성유닛에 축 결합되고,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향해 회전되어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걸쇠유닛; 및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판넬이 상기 걸쇠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축 형성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걸쇠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파지하여 상기 축 형성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교차시키는 파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결속기.
KR1020210054250A 2021-04-27 2021-04-27 농산물 결속기 KR102550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50A KR102550863B1 (ko) 2021-04-27 2021-04-27 농산물 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50A KR102550863B1 (ko) 2021-04-27 2021-04-27 농산물 결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298A KR20220147298A (ko) 2022-11-03
KR102550863B1 true KR102550863B1 (ko) 2023-07-05

Family

ID=8404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50A KR102550863B1 (ko) 2021-04-27 2021-04-27 농산물 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8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240A (ja) * 2004-07-23 2006-02-09 Taiton Kk 結束ロボ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572B1 (ko) * 2001-08-01 2004-04-27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채소를 타원형으로 결속하기 위한 장치
KR20070020632A (ko) * 2005-08-16 2007-02-22 김용수 건조 잎담배 반자동 결속장치
JP6317120B2 (ja) * 2014-01-29 2018-04-25 高周波熱錬株式会社 線材の挿入装置、長尺ワークの巻取装置及び線材の挿入方法
KR102058782B1 (ko) * 2017-12-06 2019-12-23 박철희 자동 묶음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240A (ja) * 2004-07-23 2006-02-09 Taiton Kk 結束ロボ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298A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8374B2 (ja) エレベータの組付方法並びにその方法により組み付けられたエレベータ
KR101164151B1 (ko) 랩핑 기계, 탑 포일 랩핑 기계 및 랩핑 기계 또는 탑 포일 랩핑 기계를 보관 또는 운송하기 위한 방법
KR102550863B1 (ko) 농산물 결속기
CN109850825A (zh) 一种可移动式物料装卸升降装置
JP5094305B2 (ja) 駐車装置と昇降装置
CN102602859A (zh) 一种绳牵引墙壁提升载运并联机构
KR102463533B1 (ko) 농산물 결속장치
KR20210045076A (ko) 인서트 랩핑 장치
KR20110011902U (ko) 랩핑장치
KR102550851B1 (ko)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KR20110104692A (ko) 회전되는 선재용 밴딩장치
KR102218544B1 (ko) 열매 수확용 리프트 작업차
JP2004217422A (ja) ロープ巻取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ゴンドラ装置と養生ネット昇降装置
JP6854732B2 (ja) 荷物保持用のハンド部
CN208897099U (zh) 一种可升降货架的物流台车
JP3233584U (ja) 葉タバコ収穫機用リフター
KR102553351B1 (ko) 농산물 스트링 바인더
EP4001134A1 (en) Cutting and welding device for a wrapping machine
CN205903588U (zh) 一种羽毛球的自动钩线机
CN110466198A (zh) 一种包装袋烫底设备
KR102314849B1 (ko) 포장 백 봉입을 위한 클리핑 장치
CN218088707U (zh) 一种电机壳提举装置
CN219668065U (zh) 一种多工位车辆雨布覆盖机
CN216581180U (zh) 打包机
JPH085934Y2 (ja) 物品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