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316A - 수레 - Google Patents

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316A
KR20130127316A KR1020120051147A KR20120051147A KR20130127316A KR 20130127316 A KR20130127316 A KR 20130127316A KR 1020120051147 A KR1020120051147 A KR 1020120051147A KR 20120051147 A KR20120051147 A KR 20120051147A KR 20130127316 A KR20130127316 A KR 20130127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ar
hydraulic jack
pair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12005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7316A/ko
Publication of KR2013012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레에 관한 것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며 바퀴가 장착된 제1 측부, 제2 측부 및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 및 상기 제2 측부 사이에 적재 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의 저면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상기 적재 홀에 위치하고 운반물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적재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유압잭 및 상기 유압잭의 작동로드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적재바의 타측 후방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 연결부를 포함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잭의 작동로드 승강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적재부는 회전하며, 상기 작동로드 상승 시 상기 한 쌍의 적재부는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와 각각 수직 상태를 이루고, 상기 유압잭의 작동로드 하강 시 상기 한 쌍의 적재부는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와 각각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수레{handcart}
본 발명은 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레는 짐을 실어 운반하는 것으로, 창고, 제조 공장, 건설 현장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수레는 짐을 실을 수 있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바퀴로 이루어져 있다.
수레에 짐을 실어 운반할 때, 작업자는 운반하고자 하는 짐을 본체에 실은 다음 수레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본체에 실은 짐을 다시 내려야 했다.
본체에 실은 짐의 종류에 따라 본체에서 짐을 내리는 시간이 달라진다. 예컨대 벽돌을 본체에 실어 운반할 경우 벽돌을 하나씩 내려야 하므로 신속하게 내리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벽돌과 같은 작은 단위로 이루어진 대상물을 운반할 때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5887호 (2011.05.04.) 등록특허 제10-1118730호 (2012.02.14.)
본 발명은 적재된 운반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내릴 수 있는 수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레는,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며 바퀴가 장착된 제1 측부, 제2 측부 및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 및 상기 제2 측부 사이에 적재 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의 저면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상기 적재 홀에 위치하고 운반물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적재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유압잭 및 상기 유압잭의 작동로드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적재부의 타측 후방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 연결부를 포함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잭의 작동로드 승강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적재부는 회전하며, 상기 작동로드 상승 시 상기 한 쌍의 적재부는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와 각각 수직 상태를 이루고, 상기 유압잭의 작동로드 하강 시 상기 한 쌍의 적재부는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와 각각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상기 한 쌍의 적재부는 각각,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의 저면에 장착된 지지축 및 일측이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적재 홀에 위치하여 상기 운반물을 지지하는 적재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바는, 바 몸체 및 상기 바 몸체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돌출되고 상기 바 몸체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승강 연결부가 직선 이동부와 경사 이동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승강 연결부를 구부리는 승강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잭의 작동로드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승강 연결부의 일측이 고정된 로드 연결바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는, 상기 로드 연결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 지지축, 상기 회전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승강 연결부가 감기어 통과하는 가이드 치차, 그리고 상기 회전 지지축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치차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승강 연결부가 상기 가이드 치차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적재바 타측 후방에는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는 적재 안전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적재 안전바를 지지하는 안전고리 및 상기 안전고리에 장착되어 있고 자력에 상기 안전고리의 회전 위치를 고정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바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있는 확장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구동부의 조작으로 적재바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면서 적재부의 적재바에 적재된 운반물을 바닥면에 쉽게 내릴 수 있다. 즉, 회전 구동부의 유압잭 작동로드 하강 시 운반물을 지지하고 있던 적재바가 지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운반물을 내려놓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적재 홀에 위치한 운반물을 간편하게 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부의 적재바에 결합된 확장 패널이 적재 홀의 하부 공간을 조절하게 되어 다양한 형태의 운반물을 적재 홀에 위치시켜 운반물을 운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레의 이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협소한 건축현장에서 벽돌과 같은 운반물을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어 운반물 운반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 가이드부의 가이드로 유압잭의 작동로드와 적재부를 연결하는 승강 연결부가 직선 이동부와 경사 이동부로 이루어져 작동로드에 부하가 적게 걸린다. 이에 따라 작동로드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구동부의 조작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 장치가 적재부의 승강 가이드부를 잡고 있어 운반물 운반 중 승강 연결부가 파손될 경우 안전장치가 적재부를 잡아주게 되어 적재부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반물 운반 중 승강 연결부가 파손되더라도 운반물은 쏟아지지 않고 그대로 적재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레의 적재 홀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적재부와 회전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적재부와 회전 구동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적재부와 회전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회전 구동부의 유압잭 작동로드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적재부에 안전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레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레의 적재 홀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적재부와 회전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적재부와 회전 구동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적재부와 회전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회전 구동부의 유압잭 작동로드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레(1)는 본체(10), 한 쌍의 적재부(20), 그리고 회전 구동부(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수레(1)의 기초 골조로서 원형 골조와 원형 골조에 결합된 패널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본체는 제1 측부(11), 제2 측부(12), 연결부(13), 바퀴(15), 그리고 손잡이(14)를 포함한다.
제1 측부(11), 제2 측부(12), 그리고 연결부(13)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다.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서로 마주한다. 연결부(13)는 서로 떨어져 있는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를 일측에서 연결한다.
제1 측부(11), 제2 측부(12), 그리고 연결부(13)가 연결되면 본체(1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고 전방이 개방된 적재 홀(10a)이 형성된다. 적재 홀(10a)에는 운반하고자 하는 벽돌, 시멘트 포대 따위의 운반물(B)이 위치할 수 있다. 운반물(B)을 벽돌, 시멘트 포대 따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운반물(B)의 종류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퀴(15)는 수레(1)를 간편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의 외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바퀴(15)에는 모터, 엔진 따위의 원동기(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다. 원동기의 동력에 의하여 바퀴(15)는 회전할 수 있다. 원동기의 동력이 바퀴(15)에 전달되면 수레(1)의 이동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14)는 연결부(13)에서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손잡이(14)의 양단부가 연결부(13)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손잡이(14)를 잡고 작업자는 수레(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체(10)를 금속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한 쌍의 적재부(20)는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의 저면에 각각 위치하여 적재 홀(10a)에 위치하는 운반물(B)을 지지하게 된다. 한 쌍의 적재부(20)는 각각 지지축(21)및 적재바(23)를 포함한다.
지지축(21)은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의 저면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축(21)은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로부터 떨어진 지지축(21)은 축 연결 프레임(211)으로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의 원형 골조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지지축(21)과 축 연결 프레임(211)은 생략될 수 있다.
적재바(23)는 지지축(21)에 연결되어 적재 홀(10a)의 양측에 위치한다. 적재 홀(10a) 양측에 위치한 적재바(23)는 운반물(B)을 지지한다. 적재바(23)는 바 몸체(231), 바 플랜지(232)를 포함한다.
바 몸체(231)는 지지축(21)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 몸체(231)는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이와 같은 바 몸체(231)에는 운반물(B)이 올려질 수 있다. 운반물(B)의 중량에 의하여 바 몸체(231)가 휘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바 몸체(2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 플랜지(232)가 형성되어 있다. 바 플랜지(232)는 바 몸체(231)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지지축(21)과 마주하는 바 플랜지(232)에는 부싱 베어링(22)이 결합되어 있다. 부싱 베어링(22)은 지지축(21)에 결합되어 있다. 즉, 적재바(23)의 일측이 부싱 베어링(22)으로 지지축(21)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부싱 베어링(22)에 의하여 적재바(23)는 지지축(21)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재바(23)는 그 중량에 의하여 부싱 베어링(22)의 회전으로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그러나 적재바(23)의 타측을 지지하면 적재바(23)는 제1 측부(11) 및 제2 측부(12)와 수직한 상태가 되어 적재 홀(10a)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적재바(23)는 운반물(B)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지지축(21)이 생략된 경우 부싱 베어링(22)은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의 원형 골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바(23)에는 확장 패널(25)이 설치되어 있다. 확장 패널(25)은 적재바(2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확장 패널(25)이 적재바(23)에서 인출되면 적재 홀(10a)의 하부 공간을 막거나 좁히게 된다. 확장 패널(25)이 적재바(23)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는 적재부(20)에 시멘트 포대, 공사 현장의 각종 포대 따위를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30)는 적재 홀(10a)에 위치한 운반물(B)을 지지하거나 내려 놓을 수 있도록 적재부(20)를 동작 시키는 것으로, 유압잭(31), 승강 연결부(33), 그리고 승강 가이드부(34)를 포함한다.
유압잭(31)은 연결부(13)의 하부측에 위치한다. 이때 유압잭(31)은 연결부(13)의 원형 골조에 장착된다. 유압잭(31)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 통상의 유압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유압잭(31)의 작동로드(311)에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로드 연결바(32)가 장착되어 있다. 로드 연결바(32)는 작동로드(311)의 끝단에서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를 향하여 양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승강 연결부(33)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한 쌍의 승강 연결부(33)는 유압잭(31)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다. 이러한 승강 연결부(33)의 일측은 로드 연결바(32)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적재바(23)의 타측 후방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 연결부(13)는 와이어, 체인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승강 연결부(13)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유압잭(31)의 작동로드(311)가 유압잭(31)의 하우징(312)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는 승강 연결부(33)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적재바(23)는 적재 홀(10a)에 위치하여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와 수직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적재부(20)는 적재 홀(10a)에 위치하는 운반물(B)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잭(31)의 작동로드(311)가 유압잭(31)의 하우징(312)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승강 연결부(33)는 느슨한 상태가 된다. 이때 적재바(23)는 자중에 의하여 지지축(21)을 기준으로 바닥면 방향으로 회전된다. 적재바(23)가 바닥면 방향으로 회전되면 적재바(23)는 적재 홀(10a)을 벗어나 제1 측부(11)및 제2 측부(12)와 동일 평면상에서 위치한다. 이렇게 되면 적재바(23)는 운반물(B)을 내려 놓은 상태가 된다.
승강 가이드부(34)는 승강 연결부(33)를 가이드 하는 것으로, 회전 지지축(341), 가이드 치차(342), 그리고 가이드 브래킷(343)을 포함한다.
회전 지지축(341)는 유압잭(31)의 양측에 위치하여 연결부(13)의 원형 골조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지지축(341)은 로드 연결바(32)의 양단부 하부측에 위치한다.
가이드 치차(342)는 회전 지지축(3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치차(342)는 유압잭(31)의 하우징(312)과 작동로드(311)를 사이에 두고 마주한다. 이러한 가이드 치차(342)를 승강 연결부(33)가 반쯤 감기어 통과 한다. 가이드 치차(342)는 승강 연결부(33)의 구조에 따라 풀리 또는 스프라켓 따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치차(342)에 의하여 로드 연결바(32)와 가이드 치차(342) 사이의 승강 연결부(33)는 직선 이동한다. 그러나 가이드 치차(342)와 적재바(23) 사이의 승강 연결부(33)는 작동로드(311)의 승강 위치에 따라 가이드 치차(342)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이동한다.
작동로드(311) 승강 시 승강 연결부(33)의 이동 위치가 달라지면 승강 연결부(33)가 작동로드(311)를 양측에서 당기게 되므로 작동로드(311)에 많은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작동로드(311)와 가이드 치차(342) 사이의 승강 연결부(33)가 직선 이동 상태가 되므로 작동로드(311)에 많은 부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치차(342)에 의하여 승강 연결부(33)가 직선 이동과 회전 이동을 하게 되어 유압잭(31)의 작동로드(311)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압잭(31)의 작동로드(311) 상승 시 작동로드(311)의 승강이 용이해질 수 있다.
가이드 브래킷(343)은 가이드 치차(342) 주변에 위치하여 양단부가 회전 지지축(21)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브래킷(343)은 승강 연결부(13)가 가이드 치차(34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회전 구동부(30)가 운반물(B)을 지지하는 적재바(23)의 후방이 운반물(B)의 하중에 의하여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의 전방에는 적재부(20)의 전방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 장치는 적재부(20)의 전방이 운반물(B)의 하중에 의하여 처지지 않도록 제2 부분(232)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레(1)는 운반물(B)을 지지한 적재바(23)가 운반물(B)의 하중에 의하여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안전 장치(40)는 연결부(13)의 하부측에 위치한다. 이때 안전 장치(40)는 가이드 레일(131)과 이웃하게 배치된다. 안전 장치(40)는 안전고리(41) 및 영구자석(42)을 포함한다.
안전고리(41)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안전고리(41)은 일측은 연결부(13)의 원형 골조에 힌지 따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안전고리(41)의 타측은 반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와 같은 안전고리(41)의 타측은 적재바(23)의 타측 후방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적재 안전바(24)에 걸린다. 이때 안전고리(41)의 타측과 적재 안전바(24)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감싸고 있다. 안전고리(41)은 강도를 갖는 금속 따위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영구자석(42)은 안전고리(41)의 타측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영구자석(42)은 자기력에 의하여 금속 따위로 만들어지는 연결부(13)의 원형 골조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구자석(42)은 안전고리(41)의 회전 위치를 고정한다. 그러나 안전 장치(4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다시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수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적재바(23)는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으로부터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유압잭(31)의 작동로드(311)를 상승시킨다. 작동로드(311)의 상승으로 승강 연결부(33)가 팽팽해지면서 적재바(23)는 제1 측부(11)와 제2 측부(12)으로부터 수직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안전 장치(40)가 설치된 경우 안전 장치(40)의 안전고리(41)의 타측을 적재 안전바(24)에 건다. 안전고리(41)는 영구자석(42)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이송할 운반물(B)의 대상에 따라 적재바(23)의 적재바(23)의 폭이 변경 될 수 있다. 벽돌과 같은 운반물(B)을 이송할 경우 확장 패널(25)은 적재바(23)에서 인출되지 않는 상태로 사용한다. 그러나 시멘트 포대와 같은 자루를 이송할 경우 확장 패널(25)을 적재바(23)에서 인출하여 적재 홀(10a)의 하부 공간을 좁히거나 막는다.
적재 홀(10a)의 하부 공간이 조절되면 적재부(20)에 운반물(B)을 적재한다. 운반물(B)의 양측은 적재바(23)에 걸쳐지게 된다. 운반물(B)을 적재바(23)가 지지하게 되면 적재바(23)는 운반물(B)의 하중에 의하여 처질 수 있다. 이때 승강 연결부(33)가 팽팽하게 유지되며 승강 연결부(33)의 연결로 적재바(23)는 더 이상 처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적재 홀(10a)에서 적재바(23)에 적재된 운반물(B)은 본체(10)의 제1 측부(11), 제2 측부(12), 그리고 연결부(13)에 의해 지지되어 쏟아지지 않게 된다.
적재 홀(10a)에 운반물(B)이 적재되면 작업자는 수레(1)를 이동시켜 운반물(B)을 운반한다. 운반물(B)을 내리는 장소에 수레(1)가 위치하면 작업자는 안전고리(41)를 제치어 안전고리(41)의 타측이 적재 안전바(24)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적재 안전바(24)에서 벗어난 안전고리(41)는 영구자석(42)의 자력에 의하여 연결부(13)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잭(31)의 작동로드(311)가 하우징(312) 내부로 인입 되도록 유압잭(31)의 조작부를 조작한다. 작동로드(311)가 하우징(312) 내부로 인입되면 작동로드(311)와 적재바(23)를 연결하고 있는 승강 연결부(33)가 느슨한 상태가 된다. 이때 적재바(23)에 운반물(B)의 하중이 가해지면서 적재바(23)가 지지축(2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측부(11)및 제2 측부(12)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적재바(23)가 부싱 베어링(22)에 의하여 지지축(21)을 기준으로 바닥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적재바(23)를 바닥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가 적재바(23)에 연결된 경우 적재바(23)는 바닥면 방향으로 신속하게 회전할 수 있다. 적재바(23)의 회전으로 적재바(23)가 지지하고 있던 운반물(B)이 바닥면에 내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회전 구동부(30)의 조작으로 적재바(23)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면서 적재바(23)에 적재된 운반물을 바닥면에 쉽게 내릴 수 있다. 즉, 회전 구동부(30)의 유압잭(31) 작동로드(311) 하강 시 운반물(B)을 지지하고 있던 적재바(23)가 지지축(2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운반물을 내려놓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적재 홀(10a)에 위치한 운반물(B)을 간편하게 내릴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수레
10: 본체 10a: 적재 홀
11: 제1 측부 12: 제2 측부 13: 연결부 14: 손잡이 15: 바퀴
20: 적재부
21: 지지축 211: 축 연결 프레임 22: 부싱 베어링 23: 적재바 231: 바 몸체 232: 바 플랜지 24: 적재 안전바 25: 확장 패널
30: 회전 구동부
31: 유압잭 311: 작동로드 312: 하우징 32: 로드 연결바 33: 승강 연결부 34: 승강 가이드부 341: 회전 지지축 342: 가이드 치차 343: 가이드 브래킷
40: 안전 장치
41: 안전고리 42: 영구자석
B: 운반물

Claims (7)

  1.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며 바퀴가 장착된 제1 측부, 제2 측부 및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 및 상기 제2 측부 사이에 적재 홀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의 저면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상기 적재 홀에 위치하고 운반물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적재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 외측에 배치된 유압잭 및 상기 유압잭의 작동로드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적재부의 타측 후방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 연결부를 포함하는 회전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잭의 작동로드 승강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적재부는 회전하며, 상기 작동로드 상승 시 상기 한 쌍의 적재부는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와 각각 수직 상태를 이루고, 상기 유압잭의 작동로드 하강 시 상기 한 쌍의 적재부는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와 각각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수레.
  2.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적재부는 각각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제2 측부의 저면에 장착된 지지축 및
    일측이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적재 홀에 위치하여 상기 운반물을 지지하는 적재바
    를 포함하는
    수레.
  3. 제2항에서,
    상기 적재바는,
    바 몸체 및
    상기 바 몸체의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돌출되고 상기 바 몸체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바 플랜지
    를 포함하는
    수레.
  4. 제1항에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승강 연결부가 직선 이동부와 경사 이동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승강 연결부를 구부리는 승강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수레.
  5. 제4항에서,
    상기 유압잭의 작동로드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승강 연결부의 일측이 고정된 로드 연결바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승강 가이드부는
    상기 로드 연결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 지지축,
    상기 회전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승강 연결부가 감기어 통과하는 가이드 치차, 그리고
    상기 회전 지지축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치차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승강 연결부가 상기 가이드 치차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브래킷
    을 포함하는
    수레.
  6. 제2항에서,
    상기 한 쌍의 적재바 타측 후방에는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는 적재 안전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적재 안전바를 지지하는 안전고리 및
    상기 안전고리에 장착되어 있고 자력에 상기 안전고리의 회전 위치를 고정하는 영구자석
    을 포함하는
    수레.
  7. 제2항에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바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있는 확장 패널
    을 더 포함하는
    수레.
KR1020120051147A 2012-05-14 2012-05-14 수레 KR20130127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147A KR20130127316A (ko) 2012-05-14 2012-05-14 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147A KR20130127316A (ko) 2012-05-14 2012-05-14 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316A true KR20130127316A (ko) 2013-11-22

Family

ID=4985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147A KR20130127316A (ko) 2012-05-14 2012-05-14 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73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6879A (zh) * 2018-06-23 2018-09-21 王红红 一种电动运砖车
CN108791380A (zh) * 2018-06-23 2018-11-13 王红红 一种电动运砖车的构造
KR20200133972A (ko)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성월드코리아 콘크리트 인력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6879A (zh) * 2018-06-23 2018-09-21 王红红 一种电动运砖车
CN108791380A (zh) * 2018-06-23 2018-11-13 王红红 一种电动运砖车的构造
KR20200133972A (ko)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성월드코리아 콘크리트 인력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23659B (zh) 立式氧化炉炉体半自动装卸装置
KR102043875B1 (ko) 물품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물품 수납 설비
JP5110051B2 (ja) 昇降機構付き軌道走行台車
KR101100331B1 (ko) 포크리프트용 컨베이어 파렛트
KR101707202B1 (ko) 자동 이송대차
KR101055521B1 (ko) 크레인
KR20130127316A (ko) 수레
JP6128085B2 (ja) 昇降装置および補助駆動ユニット
KR20220124337A (ko) 건설 자재 하역장치
CN106698209B (zh) 车载吊运装置
JP4899989B2 (ja) スペアタイヤ移載装置
JP4520454B2 (ja) 建築部材用貨物昇降機
KR20140122488A (ko)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JP2018003506A (ja) トンネル用の鉄筋組立装置
JP4085637B2 (ja) 物品移載装置
JP2009269729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7330620B2 (ja) 運搬装置
KR101416543B1 (ko) 접이식 대차형 인양장치
JP2825802B2 (ja) 電動リフト装置
JP7483313B2 (ja) 資材運搬システム
CN216336326U (zh) 一种建筑机械运输装置
JP7446505B1 (ja) 部材運搬装置、及び部材運搬方法
CN108859913A (zh) 一种砖料运输车
KR101185733B1 (ko) 반도체 제조 장비용 튜브 이송 장치
KR101118730B1 (ko) 수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