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942B1 -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942B1
KR102549942B1 KR1020180040937A KR20180040937A KR102549942B1 KR 102549942 B1 KR102549942 B1 KR 102549942B1 KR 1020180040937 A KR1020180040937 A KR 1020180040937A KR 20180040937 A KR20180040937 A KR 20180040937A KR 102549942 B1 KR102549942 B1 KR 102549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barcode reader
handler
rotator
recogni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955A (ko
Inventor
허정무
하성원
황재혁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18004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942B1/ko
Priority to TW108106439A priority patent/TWI750458B/zh
Priority to TW109124374A priority patent/TWI750739B/zh
Priority to CN201910159346.9A priority patent/CN110363038B/zh
Publication of KR2019011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sensing of data fields affixed to objects or articles, e.g. coded lab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 처리에 사용하는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인식장치는 반도체소자의 테스트를 지원하는 테스트핸들러용 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정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자부품에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 및 상기 바코드 인식기가 상기 전자부품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각각 모두 인식하거나 선택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바코드 인식기를 180도로 정역 회전시키는 회전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부품을 개별 관리하면서도 장비의 비대화나 생산단가의 상승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BAR CODE RECOGNITION DEVICE OF HANDLER FOR PROCESSING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다루는 핸들러에 적용되어서 전자부품에 인자 또는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핸들러에서 랏(LOT) 단위로 전자부품에 대한 정보들을 관리하여 왔다.
대개의 경우 핸들러는 서로 다른 랏의 물량들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랏의 물량을 기준으로 1회 가동된다. 그런데,전자부품이 수 십개씩 탑재된 모듈램과 같은 대형 전자부품은 최종 생산 제품에 특화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1랏의 물량이 적다. 이로 인해 여러 개의 랏 물량을 다루기 위해서는 핸들러가 여러 번 가동되어야 하고, 이는 핸들러의 가동률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근래에는 전자부품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해당 전자부품들의 이력(생산 공장 또는 생산 라인, 랏 정보 등)과 테스트 결과를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추세에 있다. 이를 위해 핸들러에 따라서는 바코드를 읽을 수 있는 바코드 인식기를 구비하게 되었다. 그러한 경우 핸들러는 전자부품들의 특정 일면에 위치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바코드 인식기를 구비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바코드 인식기를 전자부품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시킨다.
그런데, 최종 생산제품에 특화된 전자부품들의 경우 바코드의 위치가 반대 면에 위치되는 경우를 배제시킬 수는 없다. 이러한 경우 반대 면에 위치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핸들러를 별도로 사용해야만 한다. 이러한 점은 핸들러의 소비자에게 비용부담으로 작용하고, 공간 활용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그러한 핸들러가 여러 랏의 물량을 처리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핸들러의 1회 가동으로 바코드의 위치가 서로 다른 면에 있는 랏들을 처리하는 것은 불가하기 때문에 그만큼 가동률이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08703호(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 및 출원번호 10-2017-0040270호(이하 '선행기술2'이라 함)를 통해 바코드 인식기가 전자부품의 양면에 있는 바코드를 선택적으로 모두 읽을 수 있는 기술들을 제안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핸들러 내에서 전자부품의 이동은 픽킹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이동셔틀에 의해 이동되어진다. 선행기술1에서는 픽킹장치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 있는 전자부품의 바코드를 읽는 예를 보여주고 있고, 선행기술2에서는 이동셔틀에 적재된 상태에 있는 전자부품의 바코드를 읽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선행기술1은 전자부품의 양면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바코드를 선택적으로 모두 읽을 수 있도록, 픽킹장치에 의해 파지된 전자부품의 개수보다 2배 더 많은 개수의 바코드 인식기를 구비시킨다. 이러한 경우 픽킹장치에 의해 파지된 전자부품 간의 간격이 충분히 넓어야만 하기 때문에 픽킹장치를 이루는 개별 픽커들 간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픽킹장치의 전체 크기를 늘려야하거나 개별 픽커들 간의 간격을 조절해야 하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요인과 장비 내 픽킹장치의 공간 점유율을 확보해야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 픽킹장치의 크기로 인해 그 이동 경로의 간섭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설계의 번거로움이나 장비 자체의 비대화와 구동수단의 구비 및 바코드 인식기의 개수 증가로 인한 생산단가의 상승을 수반하게 된다. 물론, 선행기술1에서는 반사경을 이용해 개별 픽커들 간의 간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예도 제시하고 있으나, 이 또한 픽킹장치의 크기를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카메라 개수의 증가에 따른 생산단가의 상승이라는 부담은 그대로 가지고 있다.
한편, 선행기술2는 바코드 인식기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서 전자부품의 양면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바코드를 선택적으로 모두 읽을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2에 따르면 바코드 인식기의 인식 방향이 경사를 가지게 됨으로써 해독률이 다소 떨어질 수 있어서 고가의 바코드 인식기가 요구되고, 바코드의 부착 위치(바코드가 상측 또는 하측에 부착되는지의 여부)에도 불구하고 모두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자부품들 간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선행기술1과 같은 문제점들을 상당 부분 공유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앞선 선행기술1 및 2를 더욱 발전적으로 개량하여 장비의 비대화나 생산단가의 상승을 최소화시키고 그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바코드 인식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바코드의 부착 위치가 어느 면이든(좌측이든 우측이든 양 측이든), 또한 바코드의 구비 높이가 달라도 모두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는 일정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자부품에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 및 상기 바코드 인식기가 상기 전자부품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각각 모두 인식하거나 선택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바코드 인식기를 180도로 정역 회전시키는 회전기; 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기가 설치되는 베이스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과 상기 베이스판은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에는 걸림단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판에 회전할 시에 상기 걸림단이 상기 스토퍼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판의 회전 정도가 설정된다.
상기 회전기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가 회전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의 회전 위치를 교정하는 교정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코드 인식기가 구비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를 회전시키는 경우 전자부품과 바코드 인식기가 대응되도록 전자부품을 이동시키는 픽킹장치의 위치 이동이 수반된다.
상기 바코드 인식기는 복수개이고, 상기 회전기가 상기 복수개의 바코드 인식기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바코드 인식기의 대응 순서를 변경시킨다.
상기 회전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를 회전시키는 경우 전자부품과 바코드 인식기가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기를 편축 회전시키거나 상기 회전기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비의 비대화나 생산단가의 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바코드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코드 인식장치에 적용된 회전판과 베이스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바코드 인식장치에 적용된 회전기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회전기에 적용된 설치부재 부위를 발췌한 발췌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바코드 인식장치에 적용된 교정기에 대한 발췌도이다.
도 6은 전자부품과 바코드 인식기의 대응 관계 및 대응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7은 전자부품과 바코드 인식기의 대응 순서의 변경을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함에 따른 참조도이다.
도 8은 바코드 인식기의 회전에 따른 전자부품과 바코드 인식기의 대응 관계 및 대응 순서를 프로그램적으로 제어하는 경우 이루어지는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바코드 인식장치의 구성에 대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100, 이하 '바코드 인식장치'라 약칭 함)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의 바코드 인식장치(100)는 4개의 바코드 인식기(110), 높이조절기(120) 및 반사경(130)과 설치판(140), 회전판(150), 회전기(160), 베이스판(170) 및 교정기(180)를 포함한다.
4개의 바코드 인식기(110)는 픽킹장치에 의해 일정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자부품(D)에 있는 바코드를 각각 인식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코드 인식기(110)로 카메라를 고려하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통상적인 바코드 리더기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바코드 인식기(110)에 의해 전자부품(D)의 역삽입 여부도 확인할 수 있으며, 카메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이물질 부착 여부나 바코드 불량 여부의 확인도 가능하다.
참고로, 바코드에는 생산 이력, 테스트 이력 등의 각종 정보들이 담길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테스터나 핸들러의 PC로 전송됨으로써 전자부품(D)의 핸들링이나 테스트 시에 필요한 장비의 제어에 참고 될 수 있다.
높이조절기(120)는 바코드 인식기(110)가 구비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바코드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기(120)에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을 형성시키고, 장착볼트(B)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바코드 인식기(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바코드 인식기(11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나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으며, 모터 등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도 얼마든지 고려될 수 있다.
반사경(130)은 빛을 90도로 꺾어서 전자부품(D)에 있는 바코드의 이미지를 경통(MT)의 하방에 있는 바코드 인식기(110)로 보내기 위해 구비된다. 즉, 픽킹장치가 파지한 전자부품(D)들은 픽킹장치가 전자부품(D)들을 하강시키면 적어도 바코드가 있는 부위가 반사경(130)들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바코드 인식기(110)들은 각각의 반사경(130)들을 경유하여 온 바코드의 상을 읽게 된다.
설치판(140)은 경통(MT)을 게재하여 반사경(130) 및 바코드 인식기(110)를 설치하기 위해 마련된다.
회전판(150)은 설치판(140)과 경통(MT)을 게재하여 궁극적으로 반사경(130) 및 바코드인식기(11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설치판(140)과 회전판(150)은 간격유지봉(GR)을 통해 일정 높이 이격되게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판(150)이 회전하면 설치판(140)도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고, 설치판(140)에 설치된 반사경(130)과 바코드 인식기(110)도 회전판(150)의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판(150)을 적용함으로써 복수개의 바코드 인식기(110)가 하나의 회전기(160)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그리고 회전판(150)에는 도 2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회전판(150)의 회전 정도가 180도의 회전량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양 측에 2개의 걸림단(151)이 구비되어 있으며, 위치 교정을 위한 2개의 교정구멍(152a, 152b)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단(151)이 베어링으로 구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걸림단(151)과 교정구멍(152a, 152b)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회전기(160)는 회전판(150)을 180도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기(160)에 의해 회전판(150) 및 궁극적으로 회전판(150) 상에 설치된 바코드 인식기(110)가 회전판(150)의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정역으로 180도 회전됨으로써, 바코드 인식기(110)가 전자부품(D)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각각 모두 인식하거나 선택적으로 인식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회전기(160)는 도 3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구동실린더(161), 회전벨트(162), 결합블럭(163), 제1 풀리(164a), 제2 풀리(164b), 회전부재(165), 기준부재(166), 조절부재(167) 및 설치부재(168)를 포함한다.
구동실린더(161)는 회전판(150)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회전벨트(162)는 구동실린더(161)의 직선 구동력을 제1 풀리(164a)와 제2 풀리(164b)의 회전력으로 전달한다.
결합블럭(163)은 구동실린더(161)의 진퇴로드(FB)를 회전벨트(162)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구동실린더(161)가 동작하면 회전벨트(162)가 양 풀리(164a, 164b)를 회전 전환점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제1 풀리(164a)와 제2 풀리(164b)는 회전벨트(162)를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1 풀리(164a)와 제2 풀리(164b)는 회전벨트(162)의 회전 전환점을 제공하며, 회전벨트(16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회전부재(165)는 제2 풀리(164b)와 결합되어 있어서 제2 풀리(164b)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며, 이러한 회전부재(165)에 회전판(150)이 결합되어 있어서 회전부재(165)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판(150)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구동실린더(161)가 동작하면 회전벨트(162)가 양 풀리(164a, 164b)를 회전 전환점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 때 제2 풀리(164b)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부재(165)가 회전하면서 회전판(15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기준부재(166)는 베이스판(170)에 결합되어서 설치부재(168)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다.
조절부재(167)는 기준부재(166)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 및 통과되어서 그 끝단이 설치부재(168)에 닿는다. 따라서 조절부재(167)를 회전시키면 나사 감김이나 나사 풀림에 의해서 조절부재(167)가 이동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설치부재(168)가 이동하면서 설치부재(168)의 위치가 조절된다.
설치부재(168)는 제1 풀리(164a)를 설치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설치부재(168)는 도 4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베이스판(17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설치부재(168)에는 이동 방향으로 긴 장공(LH)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볼트(JB)가 장공(LH)을 통과하여 베이스판(170)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설치부재(168)가 다소간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부재(168)는 터파기에 의해 베이스판(170)에 형성된 이동홈(MG)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부재(168)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한 이유는 회전벨트(162)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회전벨트(162)는 결합된 물체의 무게나 사용에 의한 늘어짐 또는 계절별 온도 등으로 장력이 변동되는 데, 이러한 경우 회전벨트(162)에 의한 회전판(150)의 정교한 회전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부재(167)를 이용해 설치부재(168)를 이동시킴으로써 회전벨트(162)의 장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회전판(150)의 회전이 정교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생산단가의 절감을 위해 구동실린더(161)를 이용하여 회전판(150)을 회전시키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정역 회전모터에 의해서 간단하게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베이스판(170)에는 회전기(160)가 설치된다. 이러한 베이스판(170)에는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걸림단(151)이 걸릴 수 있는 스토퍼(171)가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판(150)이 회전할 시에 베어링으로 구비된 걸림단(151)이 스토퍼(171)에 올라타듯이 걸림으로써 회전판(150)의 회전 정도가 180도의 회전량 정도만 가질 수 있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판(170)과 회전판(150)은 소정 간격(G) 이격되어 있어서 회전판(150)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교정기(180)는 바코드 인식기(110)가 회전하면 바코드 인식기(110)의 회전 위치를 교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물론, 기 언급한 걸림단(151)과 스토퍼(171)에 의해 회전판(150) 및 바코드 인식기(110)의 회전량이 비교적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180도 회전이 완료된 후 더 정교한 교정을 위해 교정기(180)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이를 위해 교정기(180)는 도 54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교정핀(181)과 교정실린더(182)를 포함한다.
교정핀(181)은 회전판(150)의 교정구멍(152a, 152b)에 삽입되거나 탈거됨으로써 회전판(150)의 회전 위치를 교정하거나 회전판(150)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게 한다.
교정실린더(182)는 교정핀(181)을 승강시켜서 교정핀(181)이 교정구멍(152a, 152b)에 삽입되게 하거나 탈거되게 한다. 즉, 바코드가 전자부품의 어느 면 측에 구비되느냐에 따라서 회전판(150)의 회전 상태에 따라서 교정핀(181)이 부호 152a의 교정구멍에 삽입되거나, 부호 152b의 교정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황별 정렬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단(151)과 스토퍼(171)에 의해 회전판(150) 및 바코드 인식기(110)의 회전 위치가 1차적으로 교정되고, 교정기(180)에 의해 2차적으로 정교하게 교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코드 인식장치의 작동에 대한 설명>
1. 제1 작동예
전자부품(D)의 일 측면에 바코드가 있는 경우 반사경(130)이 전자부품(D)의 일 측면과 대향되도록 된 상태에서 핸들러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처리될 전자부품(D)의 종류가 바뀌는 등으로 인해 전자부품(D)의 타 측면에 바코드가 있게 된 경우, 회전기(160)가 작동하여 회전판(150) 및 바코드 인식기(110) 등을 180도 회전시키고, 교정기(180)에 의해 회전판(150)의 위치를 정교하게 교정한다. 이러한 회전판(150)의 위치 교정에 의해 바코드 인식기(110)의 위치도 교정된다. 그리고 회전판(150)의 위치 교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바코드가 타 측면에 있는 전자부품(D)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2. 제2 작동예
본 작동예는 전자부품(D)의 양 면에 바코드가 모두 있고, 양 바코드의 판독이 모두 필요한 경우에 적용된다. 먼저 픽킹장치가 전자부품(D)의 일 측면에 반사경(130)이 대향되도록 한 후, 일 측면의 바코드에 대한 인식이 종료되면 전자부품(D)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전자부품(D)이 상승된 상태에서 바코드 인식기(110)가 180도 회전하고, 픽킹장치가 전자부품을 하강시켜서 전자부품(D)의 타 측면에 반사경(130)이 대향되도록 한 후, 타 측면의 바코드에 대한 인식이 이루어진다.
<추가적인 고려 사항>
1. 픽킹장치와의 관계
일반적으로 픽킹장치는 다수의 전자부품(D)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다수의 픽커를 가진다. 각각의 픽커는 각각 하나의 전자부품(D)을 파지한다. 이 때, 도 6의 참조도에서와 같이 바코드 인식기(110)들이 중심축(O)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도 6의 (a) 상태에서 도 6의 (b) 상태로 되면, ④의 전자부품(D)에 대한 바코드(C)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바코드 인식기(110)들이 각각 전자부품(D)의 바코드(C)에 대향될 수 있도록 도 6의 (c) 상태가 되도록 해야 한다. 도 6의 (a) 상태에서 도 6의 (c) 상태로 적절히 전환되는 기술로서 2가지가 고려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는 바코드 인식기(110)들을 편축 회전시키거나 회전기(160)를 수평 이동시키는 기술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는 픽킹장치(PA)에 기본적으로 부여되어 있는 이동성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적인 이동 제어를 통해 픽킹장치(PA)를 이동시키는 기술을 고려할 수 있다.
설계자에 따라서 위의 첫 번째 기술이나 두 번째 기술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바코드 인식기(110)들을 편축 회전시키거나 회전기(160)를 수평 이동시킬 경우 픽킹장치(PA)의 수평 이동은 고려할 필요가 없지만, 바코드 인식기(110)의 편축 회전이나 회전기(160)의 수평 이동을 위한 공간이 더 필요하고, 기구적으로 복잡하다. 따라서 픽킹장치(PA)에 기본적으로 부여된 이동성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통한 이동 제어에 의해 픽킹장치(PA)의 수평 이동을 수반(화살표 'K' 참조)시킴으로써 도 6의 (a) 상태에서 도 6의 (c)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 권장될 수 있다.
2. 바코드 인식기와 전자부품 간의 대응 관계
한편, 도 6의 (a) 및 (c)를 계속해서 더 참조해보면, 도 6의 (a) 상태에서의 바코드 인식기(110)들과 전자부품(D)들의 대응관계(①-ⓐ, ②-ⓑ, ③-ⓒ, ④-ⓓ)와 도 6의 (c) 상태에서의 바코드 인식기(110)들과 전자부품(D)들의 대응 순서(①-ⓓ, ②-ⓒ, ③-ⓑ, ④-ⓐ)가 서로 다르다.
즉, 회전이 없는 기본 모드인 제1 모드에서 바코드 인식기(110)들과 전자부품(D)들 간의 대응관계는 바코드 인식기(110)들의 회전이 이루어진 제2 모드에서 바코드 인식기(110)들과 전자부품(D) 간의 대응관계로 바뀌게 되고, 이는 양 모드에서 바코드 인식기(110)들과 전자부품(D)들 간의 대응순서가 서로 반대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드에서는 바코드 인식기(110)들의 순서가 바뀌었음을 정정함으로써. ①, ②, ③, ④의 전자부품이 ⓓ, ⓒ, ⓑ, ⓐ의 바코드 인식기(110)의 순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순서를 변경하는 기술로서 2가지가 고려될 수 있다.
첫 번째는 도 7 (a)와 (b)에서와 같이 바코드 인식기(11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T)들에게 순서를 부여하여 바코드 인식기(110)들이 회전하더라도 바코드 인식기(110)들의 순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두 번째는 프로그램적으로 바코드 인식기(110)들의 회전 상태에서 따라서 그 순서를 변경하는 기술이다.
본 사항에서도 기구적 구현의 번거로움 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적으로 바코드 인식기(110)들의 순서를 변경하는 기술이 보다 바람직하게 권장될 수 있다.
도 8은 위와 같은 바코드 인식기(110)들과 픽킹장치(PA)와의 관계나 전자부품 간의 대응관계를 프로그램적으로 구현을 할 경우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핸들러의 관리자가 고객트레이에 실린 전자부품(D)들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바코드(C)의 구비 위치가 일면인가? 또는 타면인가?를 확인한다<S800>. 바코드(C)의 구비 위치가 일면인 경우에는 바코드 인식기(110)들의 회전이 없는 기본 모드인 제1 모드로서 핸들러가 동작해야 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핸들러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기본 모드인 제1 모드로 동작할 것을 선택<S811>한 후, 전자부품(D)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로딩 스택커에 투입<S813>하고, 동작을 실행시킨다. 이에 따라 픽킹장치(PA)가 동작하여 고객트레이에 있는 전자부품(D)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면서 바코드(C)의 인식 작업<S814>이 이루어진다.
한편, 바코드(C)의 구비 위치가 타면인 경우에는 바코드 인식기(110)들이 180도 회전하는 제2 모드로서 핸들러가 동작해야 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핸들러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변경 모드인 제2 모드로 동작할 것을 선택<S821>한다. 이러한 경우, 핸들러는 회전판(150)을 회전시킴으로써 바코드 인식기(110)들을 180도로 회전시키고, 전자부품(D)들에 대응하는 바코드 인식기(110)들의 대응 순서를 변경<S822>한다. 그리고 관리자는 전자부품(D)이 실린 고객트레이를 로딩 스택커에 투입<S823>하고, 동작을 실행시킨다. 이에 따라 픽킹장치(PA)가 동작하여 고객트레이에 있는 전자부품(D)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되, 전자부품(D)들이 바코드 인식기(110)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픽킹장치(PA)의 수평 이동을 수반시킴으로써 바코드(C)의 인식 작업<S824>이 이루어진다.
물론, 바코드(C)가 전자부품(D)의 양면에 모두 부착되어 있고, 양 측 바코드(C)에 대한 판독이 모두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바코드(C)의 인식 때마다 위의 제1 모드와 제2 모드의 전환이 필요하다.
위의 설명들에서와 같은 바코드 인식장치(100)는 복수개의 픽커를 구비한 픽킹장치(PA)가 전자부품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바코드(C)의 판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므로, 핸들러는 바코드 인식장치(100)와 픽킹장치(PA)를 구비하여야 하고, 프로그램적인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용 프로그램이 탑재된 제어부를 통해 전자부품(D)들과 바코드 인식기(110)들의 대응 순서나 바코드 인식기(110)들의 회전에 따른 픽킹장치(PA)의 위치 이동이 수반되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110 : 바코드 인식기
120 : 높이조절기
150 : 회전판
151 : 걸림단 152 : 교정구멍
160 : 회전기
170 : 베이스판
171 : 스토퍼
180 : 교정기

Claims (8)

  1. 일정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자부품에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
    상기 바코드 인식기가 상기 전자부품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각각 모두 인식하거나 선택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바코드 인식기를 180도로 정역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회전기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가 회전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의 회전 위치를 교정하는 교정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기가 설치되는 베이스판;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에는 걸림단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할 시에 상기 걸림단이 상기 스토퍼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판의 회전 정도가 설정되는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2. 일정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전자부품에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
    상기 바코드 인식기가 상기 전자부품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각각 모두 인식하거나 선택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바코드 인식기를 180도로 정역 회전시키는 회전기; 및
    상기 회전기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가 회전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의 회전 위치를 교정하는 교정기; 를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인식기는 복수개이고,
    상기 회전기가 상기 복수개의 바코드 인식기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바코드 인식기의 대응 순서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바코드 인식기의 회전이 없는 기본 모드인 제1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바코드 인식기와 전자부품들 간의 대응관계는 상기 복수의 바코드 인식기의 회전이 이루어진 제2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바코드 인식기와 전자부품들 간의 대응관계로 바뀌어서 양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바코드 인식기와 전자부품들 간의 대응순서가 서로 반대되는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과 상기 베이스판은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기가 설치되는 베이스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과 상기 베이스판은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기가 설치되는 베이스판;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에는 걸림단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판에 회전할 시에 상기 걸림단이 상기 스토퍼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판의 회전 정도가 설정되는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코드 인식기가 구비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기; 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를 회전시키는 경우 전자부품과 바코드 인식기가 대응되도록 전자부품을 이동시키는 픽킹장치의 위치 이동이 수반되는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8.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코드 인식기를 회전시키는 경우 전자부품과 바코드 인식기가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기를 편축 회전시키거나 상기 회전기를 수평 이동시키는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KR1020180040937A 2018-04-09 2018-04-09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KR102549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37A KR102549942B1 (ko) 2018-04-09 2018-04-09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TW108106439A TWI750458B (zh) 2018-04-09 2019-02-26 電子部件處理用分選機的條碼辨識裝置
TW109124374A TWI750739B (zh) 2018-04-09 2019-02-26 電子部件處理用分選機的條碼辨識裝置
CN201910159346.9A CN110363038B (zh) 2018-04-09 2019-03-04 电子部件处理用分选机的条码识别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37A KR102549942B1 (ko) 2018-04-09 2018-04-09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55A KR20190117955A (ko) 2019-10-17
KR102549942B1 true KR102549942B1 (ko) 2023-07-03

Family

ID=6821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937A KR102549942B1 (ko) 2018-04-09 2018-04-09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49942B1 (ko)
CN (1) CN110363038B (ko)
TW (2) TWI7507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0790B2 (en) 2019-05-22 2023-08-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training image deep learning model and device thereof
CN117404577B (zh) * 2023-10-25 2024-05-17 济南二机床固德自动化有限公司 一种用于冲压线端拾器更换的识别系统及识别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1632A (ja) * 2004-04-09 2005-10-27 Pioneer Electronic Corp バーコード読取装置及びバーコード読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7635B2 (ja) * 1994-02-24 1998-04-0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バーコードラベル読取装置
NL1010088C2 (nl) * 1998-09-14 2000-03-15 Scantech Bv Inrichting voor het lezen van streepjescodes.
CN100377160C (zh) * 2004-02-13 2008-03-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条码自动扫描系统及方法
KR100950329B1 (ko) * 2008-04-18 2010-03-31 (주)테크윙 테스트핸들러용 테스트트레이 위치교정기 및 언로딩장치
KR101025291B1 (ko) * 2009-12-15 2011-03-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바코드 스케닝 장치
TW201241449A (en) * 2011-04-01 2012-10-16 Askey Computer Corp Test auxiliary device
TWI547881B (zh) * 2011-12-30 2016-09-0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機場行李監控系統及方法
KR102043632B1 (ko) * 2013-05-16 2019-11-13 (주)테크윙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의 트레이 적재장치
CN103745189B (zh) * 2014-02-13 2016-11-02 广东旭龙物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方位高速激光条码扫描装置
CN203899959U (zh) * 2014-06-26 2014-10-29 昆山谛镨科自动化科技有限公司 自动读条码机
KR102656451B1 (ko) * 2016-03-18 2024-04-12 (주)테크윙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TWI623741B (zh) * 2016-06-23 2018-05-11 由田新技股份有限公司 光學檢測系統
CN206224497U (zh) * 2016-08-26 2017-06-06 黑龙江省烟草公司哈尔滨市公司 防错式条烟识别器
CN205968407U (zh) * 2016-08-31 2017-02-22 滨州盟威戴卡轮毂有限公司 一种汽车轮毂机器人自动生产线上料一维码定位装置
CN206162610U (zh) * 2016-09-28 2017-05-10 深圳市骄冠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航空行李标签信息识读装置
CN206757663U (zh) * 2017-03-31 2017-12-15 天津先达恒业条码技术有限公司 条码管理系统以及生产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1632A (ja) * 2004-04-09 2005-10-27 Pioneer Electronic Corp バーコード読取装置及びバーコード読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63038B (zh) 2023-07-18
KR20190117955A (ko) 2019-10-17
TWI750458B (zh) 2021-12-21
TW202045267A (zh) 2020-12-16
TW201945088A (zh) 2019-12-01
CN110363038A (zh) 2019-10-22
TWI750739B (zh)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942B1 (ko) 전자부품 처리용 핸들러의 바코드 인식장치
KR100245452B1 (ko) 기판 이송장치 및 방법
CN106272497B (zh) 部件内部卡持装置
CN108417879A (zh) 一种机器人用双模组自适应夹具
US5072495A (en) Installation for automatic assembly of socket-bracket
CN103426786B (zh) 晶圆载环总成的角度定位方法以及实施该方法的机构
CN104501849A (zh) 可翻转式台板和用于pcba测试的机器人上下料系统
KR102166343B1 (ko) 스토커
CN114047393A (zh) 测试设备
CN108340338A (zh) 工件支撑装置及工位器具
KR20190129670A (ko) 렌즈 조립 자동화 장치
CN204286475U (zh) 可翻转式台板和用于pcba测试的机器人上下料系统
KR100901977B1 (ko) 핸들러,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및테스트트레이 이송방법
KR101849351B1 (ko) 듀얼 기판 소팅장치 및 방법
KR102582219B1 (ko) 딥러닝을 이용한 멀티 바코드 리딩 시스템
CN108172535A (zh) 分板机
KR102234767B1 (ko) 스토커
KR100566821B1 (ko) 트레이 이송장치
KR19990081673A (ko) 수평식 핸들러의 냉각챔버내에서의 테스트 트레이 이송장치
US3410401A (en) Substrate rework control circuit for a chip positioning machine
KR102302518B1 (ko) 피치 가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픽업장치
KR102272262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KR20120138602A (ko)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CN220011254U (zh) 码垛自动上下料系统及其自动补偿式机械手
CN209157583U (zh) 一种锁帽安装结构及水冷固定环组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