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805B1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805B1
KR102549805B1 KR1020220091085A KR20220091085A KR102549805B1 KR 102549805 B1 KR102549805 B1 KR 102549805B1 KR 1020220091085 A KR1020220091085 A KR 1020220091085A KR 20220091085 A KR20220091085 A KR 20220091085A KR 102549805 B1 KR102549805 B1 KR 102549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t area
vertical
area
horizontal
d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141A (ko
Inventor
오세원
김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0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141A/ko
Priority to KR102023007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Abstract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바닥면(bottom area)과 상기 바닥면에서 연장된 측벽면(sidewall area)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며, 복수의 광원을 실장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홀을 포함하는 반사시트; 및 상기 반사시트의 전면에 위치한 광학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며 복수의 렌즈홀이 배치된 제1 시트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홀은, 상기 제1 시트영역의 외곽에 배치된 제1 그룹과, 상기 제1 그룹의 내측에 배치된 제2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의 렌즈홀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위에는 제2 도트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시트에 도트영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반사시트에 도트영역이 형성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면(bottom area)과 상기 바닥면에서 연장된 측벽면(sidewall area)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며, 복수의 광원을 실장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홀을 포함하는 반사시트; 및 상기 반사시트의 전면에 위치한 광학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며 복수의 렌즈홀이 배치된 제1 시트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홀은, 상기 제1 시트영역의 외곽에 배치된 제1 그룹과, 상기 제1 그룹의 내측에 배치된 제2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의 렌즈홀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위에는 제2 도트영역이 형성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트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홀을 적어도 1회 일주(一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트영역은, 상기 제2 그룹의 렌즈홀에 교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그룹의 렌즈홀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적어도 다른 영역과 다른 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트영역은,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요철(凹凸,uneven portion)일 수 있다.
상기 제2 도트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트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어도 다른 하나와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2 도트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트 중, 임의의 어느 두 도트 간의 제1 거리와, 임의의 다른 두 도트 간의 제2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되며 제1 도트영역이 형성된 제2 시트영역을 더 포함하며,상기 제1 도트영역은, 상기 반사시트의 복수의 장변과 복수의 단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을 따라 형성된 제1 도트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트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트는, 상기 반사시트의 내측에 위치한 제1 도트의 크기보다, 상기 반사시트 외측에 위치한 제2 도트의 크기가 더 클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측벽면 상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되며 제1 도트영역이 형성된 제2 시트영역과, 상기 제2 시트영역에서 연장되되 상기 측벽면 상에 접촉된 제3 시트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시트영역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패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트영역은, 상기 제1 도트영역과 상기 제3 시트영역의 사이에, 상기 도트가 존재하지 않는 비도트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되며 제1 도트영역이 형성된 제2 시트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도트영역은, 상기 복수의 장변 각각을 따라 형성된 가로도트영역과, 상기 복수의 단변 각각을 따라 형성된 세로도트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도트영역의 크기, 형상, 색상, 간격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세로도트영역의 크기, 형상, 색상, 간격 중 적어도 하나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가로도트영역과 상기 세로도트영역 사이에 마련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서 연장된 접힘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트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홀과의 위치에 따라, 어느 한 영역과 다른 한 영역에서, 상기 제1 도트영역을 구성하는 도트의 밀도, 크기, 형상, 색상, 간격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바닥면(bottom area)과 상기 바닥면에서 연장된 측벽면(sidewall area)을 포함하는 프레임; 복수의 광원을 실장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의 전면에 위치한 반사시트; 상기 반사시트의 전면에 위치한 광학시트; 및 상기 광학시트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며 복수의 렌즈홀이 배치된 제1 시트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홀은, 상기 제1 시트영역의 외곽에 배치된 제1 그룹과, 상기 제1 그룹의 내측에 배치된 제2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의 렌즈홀 중 적어도 하나의 주위에는 제2 도트영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트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홀을 적어도 1회 일주(一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트영역은, 상기 제2 그룹의 렌즈홀에 교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그룹의 렌즈홀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적어도 다른 영역과 다른 반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반사시트에 도트영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내지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와 주변 구성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도트(dot)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렌즈홀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서포터홀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커팅부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인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20)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 후방의 백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제 1 장변(LS1)으로부터 제 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즉 제 2 방향(DR2)으로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백 커버(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단변(SS1),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S2) 및 제 1, 2 단변(SS1, SS2)에 인접하고 제 1 단변(SS1)과 제 2 단변(SS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장변(LS1)으로부터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백 커버(150)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백 커버(150) 및/또는 그에 인접한 다른 구조물에는 돌출부, 슬라이딩부, 결합부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론트 커버(105), 디스플레이 패널(110), 백라이트 유닛(120), 프레임(130), 백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과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중앙이 비어있는 사각형의 액자 형상일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의 중앙이 비어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화상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05)는,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측에 위치하는 전면커버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측에 위치하는 측면커버로 구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는 따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커버와 측면커버 중 어느 한쪽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려한 디자인 등의 목적으로, 전면커버는 존재하지 않고 측면커버만 존재하는 경우가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in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 (front substrate) 및 후면 기판(rear 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기판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후면 기판은,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기판은 화소전극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액정층의 분자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 차에 상응하여 배열을 변화할 수 있다. 액정층은 백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전면 기판에 전달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의 광원은, 직하형 또는 엣지형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120)인 경우에, 도광부(light guide panel)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프레임(140)의 전면측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light source)이 프레임(140)의 전면측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경우 직하형 백라이트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전체 구동 방식 또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20)은, 광학 시트(125, optical sheet)와 광학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광원의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25d)가 존재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결합부(125d)는,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 상에 결합된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105) 및/또는 백 커버(150)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학층(123)은, 광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23)의 구체적인 구성은 해당하는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유닛(120) 등의 구성이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디스플페이 장치(1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내부의 구성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백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130) 및/또는 프론트 커버(105)에 결합될 수 있다. 백 커버(150)는, 레진(resion) 재질의 사출물일 수 있다.
도 4는, 광학 시트(125) 등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30) 상부에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이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은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에서 프레임(130)과 결합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은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에 직접 안착될 수 있다. 즉,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의 외주가 프레임(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의 가장자리 상부면은 제1 가이드 패널(117)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은 프레임(130)의 가장자리와 제1 가이드 패널(117)의 플랜지(117a)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전면(前面) 측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는 제1 가이드 패널(117)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1 가이드 패널(1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前面) 중 가장자리 영역은 프론트 커버(105)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제1 가이드 패널(117)과 프론트 커버(105) 사이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100), 제2 가이드 패널(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은, 제2 가이드 패널(11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레임(130)에 제2 가이드 패널(113)이 결합되고, 제2 가이드 패널(113)에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이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가이드 패널(113)은, 프레임(130)과 다른 재질일 수 있다. 프레임(130)은, 제1,2 가이드 패널(117, 113)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 장치(100)는, 프론트 커버(105)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105)의 일 끝단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및 도 6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20)은, 기판(122),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 반사시트(126) 및 확산판(129)을 포함하는 광학층(123)과, 광학층(123)의 전면 측에 위치하는 광학 시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2)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트랩(strap)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2)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될 수 있다. 기판(122)은 어댑터와 광 어셈블리(124)를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2)에는 광 어셈블리(124)와 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유리,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2)은 적어도 하나의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122)에는,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광 어셈블리(124)가 배치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의 직경은 기판(122)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즉, 기판(122)의 제2 방향 길이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 어셈블리(124)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일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는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 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유색 LED는 적색LED, 청색 LED 및 녹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에 포함된 광원(light source)는, COB(Chip On Board) 타입일 수 있다. COB 타입은, 기판(122)에 광원인 LED 칩을 직접 결합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저항을 낮출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열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즉, 광 어셈블리(124)의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COB 타입은, 좀더 밝은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COB 타입은, 종래보다 얇고 가볍게 구현될 수 있다.
기판(122)의 전면 측에, 반사시트(126)가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기판(122)의 광 어셈블리(124)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반사시트(126)에는, 복수의 통공(23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사시트(126)는,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된 빛을 전면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시트(126)는 확산판(129)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다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반사물질인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및 이산화 티타늄(TiO2)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및/또는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기판(122) 상에 증착 및/또는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잉크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열증착법, 증발법 또는 스퍼터링법과 같은 진공 증착법을 사용한 증착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에는, 프린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실크 스크린법을 사용한 코팅층 및/또는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와 확산판(129) 사이에는, 에어 갭(air gap)이 위치할 수 있다. 에어 갭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넓게 퍼질 수 있는 버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어에 갭을 유지하기 위하여, 반사시트(126)와 확산판(129) 사이에는, 서포터(200)가 위치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 및/또는 반사시트(126) 상에 레진이 증착될 수 있다. 레진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확산판(129)은, 광 어셈블리(124)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부로 확산시킬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확산판(129)의 전면 측에 위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의 후면은 확산판(129)에 밀착되고, 광학 시트(125)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광학 시트(125)는 하나 이상의 프리즘 시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확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125)에 포함된 복수의 시트들은 접착 및/또는 밀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광학 시트(125)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시트(125)는, 제1 내지 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125a)는 확산 시트의 기능을 가지며, 제 2, 3 광학 시트(125b, 125c)는 프리즘 시트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의 개수 및/또는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산 시트인 제1 광학시트(125a)와 프리즘 시트인 제2 광학 시트(125b)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확산 시트는 확산판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의 휘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확산시트로부터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수직하게 광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제1 내지3 광학 시트(125a 내지 125c)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125d)는, 광학 시트(125)의 장변 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에 형성된 결합부(125d)는 비대칭(asymmetric)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 측의 결합부(125d)와 제2 장변 측의 결합부(125d)의 위치 및/또는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130) 상에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트랩으로 구성된 기판(122)이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기판(122)은 일측 끝이 배선전극(232)과 연결될 수 있다.
배선전극(232)은 제 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선전극(232)은 제 2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판(122)의 일측 끝과 연결될 수 있다. 배선전극(232)을 통해, 기판(122)이 어댑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122)상에 제 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광 어셈블리(124)가 실장될 수 있다. 광 어셈블리(124)의 직경은 기판(122)의 제2 방향으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어셈블리(124)의 외측영역은, 기판(122)이 제공되지 않는 영역으로 넘어갈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203)은, COB 타입일 수 있다. COB 타입일 수 있다. COB타입의 광원(203)은, 발광층(135)과, 제 1,2 전극(147, 149)과, 형광층(13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135)은, 기판(12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발광층(135)은 블루, 레드, 그린 중 어느 하나의 색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층(135)은 Firpic, (CF3ppy)2Ir(pic), 9, 10-di(2-naphthyl)anthracene(AND), Perylene, distyrybiphenyl, PVK, OXD-7, UGH-3(Blue)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 전극(147, 149)은, 발광층(135) 하부면의 양 측 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2 전극(147, 149)은, 외부의 구동신호를 발광층(135)에 전달할 수 있다.
형광층(137)은, 발광층(135) 및 제 1, 2 전극(147, 149)를 덮을 수 있다. 형광층(137)은, 발광층(135)으로부터 발생된 스펙트럼의 광을 백색광으로 변환하는 형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형광층(137)의 상측에서, 발광층(135)의 두께는 균일할 수 있다. 형광층(137)은, 1.4 내지 2.0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OB 타입의 광원(203)은, 기판(122) 상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광 어셈블리(124)의 사이즈가 줄어들 수 있다.
광원(203)이 기판(122) 상에 위치하여 방열이 우수하기 때문에 고전류로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광원(203)의 개수를 줄일 수 있따.
광원(203)이 기판(122) 상에 실장됨으로 인하여, 와이어 본딩 공정이 필요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정의 단순화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203)의 발광은, 제1 발광범위(EA1)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면측인 제2 발광범위(EA2)와 측면측인 제3,4 발광범위(EA3, EA4)를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POB 타입을 포함하는 종래의 광원이 제2 발광범위(EA2)에서 발광하였다는 점과 다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203)은, 광원(203)의 측면을 포함한 폭 넓은 범위로 빛을 방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와 주변 구성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126)는, 프레임(130)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30) 내측에 형성된 안착부(132)에 반사시트(126)가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사시트(126)에는, 가로결합부(HH) 및/또는 세로결합부(VH)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의 장변 및/또는 단변을 따라 일부 영역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로결합부(HH) 및/또는 세로결합부(VH)는, 프레임(130)에 형성된 가로돌기(130H) 및/또는 세로돌기(130V)에 삽입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 상에는, 가이드패널(GP)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패널(GP)은, 사출된 플라스틱 재질 또는 프래스가공된 금속 재질일 수 있다. 가이드패널(GP)은, 가로돌기(130H) 및/또는 세로돌기(130V)에 결합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 상에 가이드패널(GP)이 결합되면, 반사시트(126)가 프레임(130)과 가이드패널(GP)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가이드패널(GP)이 장변 및 단변을 따라 분리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장변측과 단변측이 결합된 형태도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130)에 안착되는 반사시트(126)는, 안착부(132)의 형상에 대응된 입체적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126)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구성된 경우에도 최적의 반사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 전반에 걸쳐 고르게 빛을 반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사시트(126)는, 백라이트유닛(도 5의 12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을 수 있다. 반사시트(126)와 프레임(130)의 사이에는, 광원(203)이 실장된 기판(122)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기판(122)은, 복수 개가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기판(12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 등에 연결된 신호라인(121)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신호라인(121)은, 프레임(13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복수의 렌즈홀(23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홀(235)은, 기판(222) 상의 광원(203)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203)에 대응되도록 가로 방향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렌즈홀(235)에는, 렌즈(124b)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24b)가 렌즈홀(235)을 통해 광원(203) 상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사시트(126)는, 복수의 서포터홀(205)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홀(205)에는, 서포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200)는, 반시시트(126) 전면에 위치한 확산판(129) 및/또는 광학 시트(125)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반사시트(126)와 확산판(129) 및/또는 광학 시트(125) 사이가 일정한 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사시트(126)는, 복수의 고정핀홀(206)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홀(260)에는, 고정핀(202)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핀(202)은, 프레임(130)에 형성된 프레임홀(204)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202)은, 반사시트(126)가 프레임(1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126)는, 프레임(130) 내측 영역에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프레임(130)에 안착된 반사시트(126)는, 프레임(130)의 형상에 따라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30)은, 제1 내지 3 프레임영역(130a 내지 13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영역(130a)은, 프레임(130)의 바닥면일 수 있다. 제2 프레임영역(130a)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X-Y 평면상에 위치한 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프레임영역(130b)은, 제1 프레임영역(130a)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면일 수 있다. 제2 프레임영역(130b)은, Z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거나 Z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어진 방향일 수 있다. 프레임(130)의 측벽 역할을 하는 제2 프레임영역(130b)에 의하여, 프레임(130)의 내부에 안착부(도 10의 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임영역(130c)은, 제2 프레임영역(130b)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된 면일 수 있다. 제3 프레임영역(130c)은, 실질적으로 제1 프레임영역(130a)과 나란할 수 있다. 즉, 제2 프레임영역(130b)에 의하여 제1 프레임영역(130a)과 높이는 다르지만, 제1 프레임영역(130a)과 같이 평탄한 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프레임영역(130c)에는, 돌출된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제3 프레임영역(130c)에는, 별도의 공정에 의하여 형성한 돌출물이 결합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30c)의 돌출영역 및/또는 돌출물에는, 반사시트(126)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의 제3 시트영역(130c)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3 프레임(130c)의 돌출영역 및/또는 돌출물에는, 광학시트(도 5의 125)가 결합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제1,2,3 프레임영역(130a 내지 130c)에 의하여 형성된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는, 고정핀(202)에 의하여 제1 프레임영역(130a)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핀(202)에 의하여 반사시트(126)의 일부가 제1 프레임영역(130a)에 결합되면, 반사시트(126)의 일부는 자연스럽게 프레임(130)에 접촉될 수 있다.
고정핀(202)을 통해 반사시트(126)와 프레임(130)이 결합되면, 반사시트(126)의 형상이 자연스럽게 프레임(1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화될 수 있다. 즉, 자연스럽게 라운드된 제2 시트영역(126b)이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사시트(126)의 챔퍼(chamfer)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어, 작업성 개선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제1 내지 3 시트영역(126a 내지 126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반사시트(126)와 프레임(130) 간의 접촉여부 등에 따라, 반사시트(126)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는 프레임(130)과 접촉하는 접촉영역과,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시트영역(126a, 126b)은, 고정핀(202)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시트영역(126b)은 고정핀(202)에서 제3 프레임(130c) 영역에 접촉되는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2 시트영역(126a, 126b)은, 프레임(130)의 제1 영역(130a)과의 접촉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시트영역(126b)은, 반사시트(126) 자체의 물성 내지 탄성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프레임(130)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핀(202)에 의하여 제1 시트영역(126b)이 프레임(130)에 결합되면, 제2 시트영역(126b)은 자중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곡면을 형성하며 프레임(130)에서 이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시트영역(126b)과 프레임(130) 간에는 이격공간(130d)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시트영역(126b)에서, 반사시트(126)와 프레임(130)의 바닥면이 이루는 각도는 점차 증가될 수 있다. 즉, 비접촉영역 내에서, 반사시트(126)가 2차원 곡선 형태로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시트영역(126b)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프레임(130)에서 이격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제3 시트영역(126c)은, 제3 프레임영역(130c)에 안착될 수 있다. 제3 시트영역(126c)은 제3 프레임영역(130c)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3 시트영역(126c)은 제3 프레임영역(130c) 상에 자연스럽게 올려져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즉, 곡면으로 이룬 제2 시트영역(126c)으로 인한 Z 방향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제3 시트영역(126c)이 제3 프레임영역(130c)에 접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빛(L)은, 렌즈(124b)를 통해서 발산될 수 있다. 즉, 광원(203)에서 발생된 빛은, 렌즈(124b)를 통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렌즈(124b)를 통해 발산된 빛(L)은, 다양한 경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빛(L) 중 일부는 렌즈(124b)의 측면 방향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측방향 경로의 빛(L) 중 일부는, 제2 시트영역(126b)을 향할 수 있다. 광원(203)에서 발생된 빛 중 적어도 일부는, 렌즈(124b) 내부에서 전반사 되며 제 2 시트영역(126b)을 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 시트영역(126b) 중에서도 상측영역으로 향하는 빛(L)이 하측영역으로 향하는 빛(L) 보다 많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반사시트(130)로 전달되는 빛(L)의 양 및/또는 밀도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빛(L)의 양 및/또는 밀도가 불균일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그 차이를 인지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트영역(126b)의 하측영역에 비해 상측영역에 빛(L)이 더 입사되는 경우, 상측영역에서 반사된 빛(L)으로 인하여 해당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밝게 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시트영역(126a)과 제2 시트영역(126b)의 경계에서부터 제2 시트영역(126b)과 제3 시트영역(126c)의 경계까지의 연장선과 X 방향과 나란한 두 직선 사이의 각도를 A라 할 수 있다. 제2 시트영역(126b)은, 각도 A의 직선과의 교점인 P를 기점으로 하여 기울어진 각도가 커질 수 있다. 즉, 교점 P를 지나며 X 방향과의 각도가 급격히 커짐을 의미한다.
교점 P를 지나며 제2 시트영역(126b)의 각도가 커짐으로 인하여, 렌즈(도 11의 124b)로부터 발산된 빛(L)의 단위 면적당 밀도는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더 밟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빛이 불균일하다고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반사시트(126)에서 빛이 균일하게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빛의 불균일을 못 느끼거나 덜 느낄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반사시트(126)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도트(DT)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트(DT)는, 다른 영역과 다른 패턴이 부가된 영역일 수 있다. 도트(DT)는, 반사시트(126) 상에 형성된 요철(凹凸,uneven portion, concave-convex portion)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어두운 색상인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흑색 또는 회색의 영역일 수 있다. 도트(DT)는, 반사시트(126)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채색된(colored) 영역일 수 있다. 도트(DT)는, 요철과 채색이 혼합된 영역일 수 있다. 도트(DT)는, 형상, 크기, 위치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트(DT)는 반사시트(126) 상에 형성된 원형, 타원, 사각형, 막대형태,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 중 하나 및/또는 다양한 형사의 조합일 수 있다.
도트(DT)는, 해당 영역의 반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도트(DT)는, 빛의 반사율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트(DT)는, 크기, 형상, 위치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빛의 반사도를 낮출 수 있다. 도트(DT)는, 복수의 도트(DT)가 모인 도트영역(DA)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트영역(DA)은, 도트(DT)의 집합일 수 있다. 즉, 형상, 크기, 위치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거나 다른 복수의 도트(DT)가 형성된 특정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트영역(126b)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도트영역(D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시트영역(126b)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울어져 있는 배치형태 상 단위면적 당 빛의 밀도가 높을 수 있다. 도트영역(DA)은, 제2 시트영역(126b)에 입사된 빛의 반사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해, 단위면적 당 입사되는 빛의 밀도는 높지만, 반사되는 빛의 밀도를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시트영역(126b)에 대응된 부분의 명암이 다른 부분과 달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트영역(DA)의 존재로 인하여, 반사시트(126) 전반에서 광이 일정하게 반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도트영역(NDA)가 더 반사시트(126) 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비도트영역(NDA)은, 도트(DT)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비도트영역(NDA)은, 반사시트(126)의 다양한 영역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도트영역(NDA)은, 제1,2 비도트영역(NDA1, ND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비도트영역(NDA2)은, 제2 시트영역(126b)과 제3 시트영역(126c) 경계영역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제2 비도트영역(NDA2)은, 제2 시트영역(126b)과 제3 시트영역(126c) 경계에서 제2 시트영역(126b)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비도트영역(NDA2)은, 제2 시트영역(126b)의 최상단 영역이어서 제2 비도트영역(NDA2)은, 전방의 광학 시트(125) 및/또는 확산판(129)에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제2 비도트영역(NDA2)에 도트(DT)가 존재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도트(DT)의 형상이 관측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비도트영역(NDA2)에는, 도트가(DT)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도트(dot)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반사시트(126)는, 다양한 형태로 도트(DT)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트영역(DA)에 도트(DT)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호 인접한 도트(DT) 사이는 제1 간격(O1)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트(DT) 사이의 간격이 일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트(DT) 사이의 간격은, 반사율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트(DT) 사이의 간격이 조밀하면 반사율이 낮아질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도트(DT) 중 어떤 경우는 제1 간격(O1)만큼 이격되고, 다른 경우는 제2 간격(O2)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트(DT) 간의 간격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트영역(DA)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트영역(DA)은 제1 영역(P1)과 제2 영역(P2)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영역(P1)과 제2 영역(P2)에 포함되어 있는 도트(DT)는, 속성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P1)의 제1 도트(DT1)의 크기가, 제2 영역(P2)의 제2 도트(DT2)의 크기, 밀도,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영역(P2)은, 제1 영역(P1) 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제3 시트영역(126c)에 가까운 영역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영역(P2)의 제2 도트(DT2)는, 제1 영역(P1)의 제1 도트(DT1)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P2)의 반사율이 제1 영역(P1)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트영역(DA)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트영역(DA)은 제1 내지 3 영역(P1 내지 P3)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내지 3 영역(P1 내지 P3)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내지 3 도트(DT1 내지 DT3)는, 속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트(DT1) 보다는 제2 도트(DT2)가, 제2 도트(DT2) 보다는 제3 도트(DT3)가 더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3 도트(DT1 내지 DT3)의 크기는 동일하나 제1 영역(P1) 내의 밀도와 제2 영역(P2) 내의 밀도가 상이하고, 제2 영역(P2) 내의 밀도와 제3 영역(P3) 내의 밀도가 상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영역(P1) 내의 밀도보다 제2 영역(P2) 내의 밀도가 크고, 제2 영역(P2) 내의 밀도보다 제3 영역(P3) 내의 밀도가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트영역(DA)은 복수의 영역으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도트영역(DA)에 포함되어 있는 도트(DT)의 크기, 밀도, 색상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X 축 방향으로 진행될 수록 도트(DT)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크기, 밀도,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트(DT)의 속성이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에 따라 도트(DT)의 크기는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에 따라 도트(DT)의 크기는 급격히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원 함수곡선 형태로 변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126)에는, 도트영역(D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트영역(DA)은, 반사시트(126)의 장변 및/또는 단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반사시트(126)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프레임(도 10의 130)의 안착부(도 10의 132)의 수용된 반사시트(126)의 제2 시트영역(도 11의 126b)에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트영역(DA)은, 제1,2 가로도트영역(HDA1, HDA2)과 제1,2 세로도트영역(VDA1, VDA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구별의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1,2 가로도트영역(HDA1, HDA2)를 가로도트영역(HDA), 제1,2 세로도트영역(VDA1, VDA2)을 세로도트영역(VDA)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가로도트영역(HDA)과 세로도트영역(VDA)은 형상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의 모서리에 위치한 절개부(S1)를 기준으로 할 때 가로도트영역(HDA)과 세로도트영역(VDA)의 형상이 대칭이 아닐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사시트(126)에는, 렌즈(도 11의 124b)의 결합을 위한 렌즈홀(235)과, 고정핀홀(206)과, 서포터홀(205), 가로 및 세로 결합부(HH, VH)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렌즈홀(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크기 등에 기초하여 가로 및 세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핀홀(206)은, 반사시트(126)를 프레임(도 10의 130)에 고정하는 고정핀(도 10의 202)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핀홀(206)은, 최외각 렌즈홀(235)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한 렌즈홀(235) 사이에 위치하거나 렌즈홀(235)과 도트영역(D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터홀(205)은, 서포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홀(205)은, 반사시트(126) 상측의 확산판(도 5의 129) 및/또는 광학 시트(도 5의 125)를 지지할 수 있다. 효과적인 지지를 위해, 서포터홀(205)은 반사시트(126)의 중앙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최외각 렌즈홀(235) 보다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로 및 세로 결합부(HH, VH)는, 반사시트(126)의 모서리 영역을 따라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가로 및 세로 결합부(HH, VH)는, 프레임(도 10의 130)의 돌출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9는, 반사시트(126)의 일 모서리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최외각 렌즈홀(235a 내지 235c)은, 가장 외곽에 위치한 렌즈홀(235)을 의미할 수 있다. 최외각 렌즈홀(235a 내지 235c) 중 상측에 위치한 제1,2 최외각 렌즈홀(235a, 235b)는, 가로도트영역(HDA)의 하단과는 제1 거리(HDS) 이격되고, 상단과는 제2 거리(HDE)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최외각 렌즈홀(235a 내지 235c) 중 측면에 위치한 제1,3 렌즈홀(235a, 235c)는, 세로도트영역(VDA)의 하단과는 제3거리(VDS) 이격되고, 상단과는 제4 거리(VDE)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거리(HDS)와 제3 거리(VDS), 제2 거리(HDE)와 제4 거리(VDE)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가로도트영역(HDA)과 세로도트영역(VDA)의 폭, 길이 등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도트영역(NDA)은, 가로/세로도트영역(HDA, VDA)와 가로/세로마진영역(HM, VM)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도트(DT)를 인식할 수 없도록, 도트(DT)가 존재하지 않는 비도트영역(NDA)가 가로/세로도트영역(HDA, VD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로/세로마진영역(HM, VM)은, 제3 시트영역(126c)에 대응된 영역일 수 있다. 즉, 반사시트(126) 최외곽 영역일 수 있다. 즉, 반사시트(126)가 프레임(도 11의 130)의 제3 영역(130c)에 접촉되는 영역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로/세로마진영역(HM, VM)에는 도트(DT)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가로마진영역(HM)과 세로마진영역(VM)의 사이에는, 갭(CR)이 존재할 수 있다. 반사시트(126)는, 평면일 수 있다. 즉, 평면의 2차원 형태일 수 있다. 2차원 형태의 반사시트(126)를 3차원 형태의 안착부(도 10의 132)에 결합되면, 그 형태에 따라 3차원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형태의 변화는 절개부(S1)를 따라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며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가 겹쳐진 반사시트(126)로 인하여 음영(陰影)이 발생할 수 있다. 갭(CR)은, 반사시트(126)가 겹쳐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음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접힘부(S2)는, 절개부(S1)의 끝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접힘부(S2)는, 절개부(S1)와 달리 해당 영역이 절개되어 있지는 않을 수 있다. 접힘부(S2)는, 해당 영역이 접힘부(S2)를 따라 미리 접혀져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반사시트(126)가 안착부(도 10의 132)에서 3차원 형태로 변형될 때, 접힘부(S2)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미리 설계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렌즈홀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환상도트영역(CDT1)이 렌즈홀(235)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환상도트영역(CDT1)은, 렌즈홀(235)을 감싸는 도트(DT)일 수 있다. 제1 환상도트영역(CDT1)은, 렌즈홀(235)을 1회 감싸는 도트(DT)일 수 있다. 제1 환상도트영역(CDT1)을 구성하는 도트(DT)는, 크기 및/또는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제1 환상도트영역(CDT1)을 구성하는 도트(DT) 중 적어도 일부는 크기 및/또는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시트(126)의 외측을 방향에 위치한 도트(DT)의 크기가 반사시트(126)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 도트(DT)의 크기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홀(235)의 주위에는 제2 환상도트영역(CDT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환상도트영역(CDT2)는, 렌즈홀(235)의 주위를 복수 회 감싸는 도트(DT)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렌즈홀(235) 주위를 1회 감싸는 제1 환상도트영역(CDT1)과 다른 점일 수 있다.
도 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홀(235)의 주위에는 제3 환상도트영역(CDT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3 환상도트영역(CDT3)는, 렌즈홀(235)을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홀(235)의 중심에서 AC 각도영역 내에 제3 환상도트영역(CDT3)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3 환상도트영역(CDT3)는, AC 각도영역을 1회 또는 복수 회 감싸고 있을 수 있다.
도 2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홀(235)의 주위에는 제4 환상도트영역(CDT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4 환상도트영역(CDT4)의 도트는, 위치에 따라 밀도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트의 크기는 동일하지만 도트 사이의 간격이 변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렌즈홀(235)에 가까운 도트는 도트 사이의 간격이 가깝고, 렌즈홀(235)에서 먼 도트는 도트 사이의 간격이 멀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홀(235) 주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제4 환상도트영역(CDT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4 환상도트영역(CDT4)은, 렌즈홀을 중심으로 AC 각도영역 내에 배치된 도트(DT)일 수 있다. 제4 환상도트영역(CDT4)는, 렌즈홀(235)에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렌즈홀(235)의 경계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제4 환상도트영역(CDT4)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홀(235) 주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5 환상도트영역(CDT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5 환상도트영역(CDT5)은, 제1 도트영역(DT1)과 제2 도트영역(DT2)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도트영역(DT1)을 구성하는 도트와 제2 드트영역(DT2)을 구성하는 도트는 서로 다른 속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도트영역(DT1, DT2)을 구성하는 도트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2 도트영역(DT2)을 구성하는 도트의 크기가 제1 도트영역(DT1)을 구성하는 도토의 크기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제2 도트영역(DT2)에 대응된 영역은, 렌즈홀(235)에 장착된 렌즈에서 보다 많은 빛이 방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곳보다 더 반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2 도트영역(DT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홀(235)은 원형이 아닌 제1 렌즈홀(235a)일 수 있다. 제1 렌즈홀(235a)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의 반경이 적어도 다른 일부의 반경과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제1 렌즈홀(235a)은, 빛의 일부가 반사시트 아래로 방출되도록 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6환상도트영역(CDT6)은, AC 영역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AC 영역은, 제1 렌즈홀(235a)의 반경이 큰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경이 R2인 영역에 대응되도록 제6 환상도트영역(CDT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경이 R2인 영역 및 제6 환상도트영역(CDT6)으로 인하여, 특정 방향으로 방출 및/또는 반사되는 빛의 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홀(235)은 원형이 아닌 제1 렌즈홀(235a)일 수 있다. 제1 렌즈홀(235a)의 주위에는 제6 환상도트영역(CDT6)과 제7 환상도트영역(CDT7)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6,7 환상도트영역(CDT6, CDT7)은, 제1 렌즈홀(235a)을 감싸고 있을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홀(235)은, 제1 렌즈홀(235a)과 제2 렌즈홀(235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렌즈홀(235a)은, 환상의 도트(DT)가 형성되어 있는 렌즈홀(235)일 수 있다. 도트(DT)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렌즈홀(235a)과 도트(DT)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렌즈홀(23b)은 서로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홀(235a)은 반사시트(126)의 내측영역에 위치하고, 제2 렌즈홀(235b)는 반사시트(126)의 외측영역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렌즈홀(235a, 235b)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달리 표현하면, 렌즈홀(235)은,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그룹은, 반사시트(126) 영역에서 제2 시트영역(도 11의 126b)에 근접되어 있는 렌즈홀(235)일 수 있다. 제1 그룹은, 최외각에 위치하고 있는 렌즈홀(235)일 수 있다. 제2 그룹은, 제1 그룹을 제외한 렌즈홀(235)일 수 있다. 제2 그룹은,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렌즈홀(235)일 수 있다.
렌즈홀(235)은, 가로 및/또는 세로로 배치될 수 있다. 가로 및/또는 세로로 배치된 렌즈홀(235)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 인하여, 공통적인 설계 및 생산공정을 달성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가로 및/또는 세로로 배치된 렌즈홀(235)은, 나란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방향으로 볼 때 지그재그로 렌즈홀(235)이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배치로 인하여, 랜즈홀(235) 간 빛중첩 및/또는 빛가림 현상을 감소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반사시트(126)의 내측영역에 제1 렌즈홀(235a)이 위치함으로 인하여, 반사시트(126)의 제1 시트영역(도 11의 126a)의 휘도를 보다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렌즈홀(235)에서 방출된 빛이 렌즈홀(235) 주위에서 상대적으로 밝고 렌즈홀(235)에서 멀어질수록 어두워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도트(DT)가 형성된 제1 렌즈홀(235a)은, 렌즈홀(235) 주위의 밝기 및/또는 반사율을 제어함으로서 전체적은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렌즈홀(235a)은, 일정한 규칙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좌우방향의 경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렌즈홀(235) 중 어느 하나가 제1 렌즈홀(235a)일 수 있다. 상하방향의 경우 지그재그로 제1 렌즈홀(235a)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하방향으로 제1 렌즈홀(235a)이 나란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달리 표현하면, 렌즈홀(235) 중 내측에 형성된 렌즈홀(235)에, 도트(DT)가 부분적으로 교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제1 렌즈홀(235a)로 인하여 전체적은 밝기 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휘도가 균일해지는 효과를 위함일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서포터홀과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반사시트(126)는, 서포터홀(205) 주위에 도트영역(DTA)이 형성되어 빛이 균일하게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시트(126) 상에는 복수의 렌즈홀(23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렌즈홀(235)에 결합된 광원(203) 각각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서포터홀(205)은, 반사시트(126) 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포터홀(205)은, 서포터(도 10의 200)의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서포터홀(205)은, 최외곽에 위치한 렌즈홀(235) 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터홀(205)은, 렌즈홀(235)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서포터홀(205)은, 복수의 렌즈홀(235)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광원(203)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서포터홀(205)에 대한 광경로(LP)를 고려하여 볼 때, 복수의 광원(203)에서 방출된 빛이 특정 서포터홀(205)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서포터홀(205)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포터(도 10의 200)가 결합될 수 있다. 서포터(도 10의 200)은, 플라스틱 및/또는 고무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서포터(도 10의 200)은, 빛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126)에는, 빛이 중첩적으로 집중될 수 있는 서포터(도 10의 200)의 반사를 고려하여, 도트영역(DT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서포터(도 10의 200)가 반사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서포터홀(205) 주위에 도트영역(DTA)이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터홀(205) 주위의 도트영역(DTA)는, 내측영역(EA)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서포터홀(205)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서포터홀(205) 주위의 도트영역(DTA)은, 복수 개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서포터홀(205a, 205b)가 존재할 때 제1,2 도트영역(DTA1, DTA2)는, 제1,2 서포터홀(205a, 205b)의 내측 상호 근접되는 방향에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서포터홀(205) 주위의 도트영역(DTA)은, 서포터홀(205)을 중심으로 반원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서포터(도 10의 200)가 반사에 미치는 영향이 큰 중앙 영역이 볼록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의 커팅부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반사시트(126)에는, 빛의 반사를 일정하게 하는 커팅부(HC)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시트(126) 상에는 특정한 형상의 커팅부(HC)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커팅부(HC)는, 반사시트(126)의 해당영역이 절개되어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커팅부(HC)는, 렌즈홀(235)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팅부(HC)는 나란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4 커팅부(HC1 내지 HC4)가 세로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커팅부(HC)로 인한 휘도의 불균일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치일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22)은, 제1 기판(122a)과 제2 기판(122b)이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즉, 반사시트(126)의 후방에서 광원(203)을 실장하고 있는 기판(122)은, 복수 개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기판(122a) 측에는 제1 광원(203a)가 위치하고, 제2 기판(122b) 측에는 제2 광원(203b)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제1,2 기판(122a, 122b)은, 연결부(CT)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부(CT)는, 제1,2 기판(122a, 122b)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연결부(CT)는, 제1,2 기판(122a, 122b)을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CT)는, 솔더링(soldering) 영역일 수 있다.
연결부(CT)는, 기판(122)에 비하여 반사시트(126) 방향으로 CTH 만큼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커팅부(HC)는, 연결부(CT)에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팅부(HC)는, 연결부(CT)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시트(126)와 기판(122)이 결합되면, 커팅부(HC)의 절개면(HCS)은, 이격될 수 있다. 즉, 상측으로 돌출된 연결부(CT)에 의하여, 절개면(HCS)이 자연스럽게 벌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절개면(HCS)에 연결부(CT)가 결합되면, 연결부(CT)에 의한 반사시트(126)의 주름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시트(126)으 주름으로 인한 빛의 불균일이 방지될 수 있다.
절개면(HCS)에는, 도트(DT)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절개면(HCS)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해당 영역에 도트(DT)가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팅부(HC)에는 도트(DT)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트(DT)는, 커팅부(HC)의 절개면(HCS)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면(HCS)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절개면(HCS)으로 인한 휘도의 불균일이 최소화될 수 있다.절개면(HCS)절개면(HCS)절개면(HCS)본 발명의 각 실시예 및/또는 구성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본 발명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임을 고려할 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장변, 상기 제1 장변에 대향하는 제2 장변, 상기 제1 장변 및 상기 제2 장변에 인접한 제1 단변, 상기 제1 단변에 대향하는 제2 단변을 갖는 직사각 형상의 반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반사 시트의 중앙 영역을 형성하고, 제1 비도트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시트영역과
    상기 제1 시트영역 주변의 상기 반사 시트의 측면 영역을 형성하고, 도트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2 시트영역과
    상기 제2 시트영역 주변의 상기 반사 시트의 최외곽 영역을 형성하고, 제2 비도트 영역을 포함하는 제3 시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시트 영역에서 상기 도트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단변 또는 상기 제1 장변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도트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제1 도트들을 포함하는 제1 도트 영역과 복수의 제2 도트들을 포함하는 제2 도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트 영역의 상기 제1 도트들의 크기는 상기 제2 도트 영역의 상기 제2 도트들의 크기와 서로 다르고,
    상기 도트 영역들 각각의 면적은 서로 옆에 위치한 동일한 크기의 모든 도트들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2 비도트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비도트 영역에 이웃한 상기 도트 영역들 중 하나에 속한 도트 사이의 거리와 다르고,
    상기 광원을 향하는 상기 제1 도트 영역에서 최외곽 도트들의 제1 접선은 상기 제1 장변 또는 상기 제1 단변에 대해 제1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2 도트 영역에서 최외곽 도트들의 제2 접선은 상기 제1 장변 또는 상기 제2 단변에 대해 제2 각도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장변을 따른 가로도트영역과 상기 제1 단변을 따른 세로도트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도트영역은 복수의 제1 도트들을 포함하는 제1 가로도트영역 및 복수의 제2 도트들을 포함하는 제2 가로도트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로도트영역에서 상기 제1 도트들의 크기는 상기 제2 가로도트영역에서 상기 제2 도트들의 크기와 상이하고,
    상기 세로도트영역은 복수의 제1 도트들을 포함하는 제1 세로도트영역과 복수의 제2 도트들을 포함하는 제2 세로도트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로도트영역에서 상기 제1 도트들의 크기는 상기 제2 세로도트영역에서 상기 제2 도트들의 크기와 상이하고,
    상기 도트영역들 각각은 동일한 크기의 도트들 각각에 의해 정의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도트영역의 폭은, 상기 제2 비도트영역에 이웃한 상기 도트 영역들 중 하나에서 이웃한 도트간의 거리보다 크거나 작은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도트영역은 상기 제1 장변과 상기 가로도트영역 사이의 제2 가로비도트영역과 상기 제1 단변과 상기 세로도트영역 사이의 제2 세로비도트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로비도트영역의 폭은 상기 제1 가로도트영역에서 상기 제1 도트들의 간격보다 크고, 상기 제2 세로비도트영역의 폭은 상기 제1 세로도트영역에서 상기 제1 도트들의 간격보다 작은 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도트영역의 폭은, 상기 제2 비도트영역에 이웃한 도트 영역들 중 하나에 속한 최외곽 도트들의 공통 접선과 상기 반사 시트의 변들 중 하나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공통 접선은 상기 반사 시트의 일 변과 평행한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도트영역의 폭은, 제1 가로경계선과, 상기 제1 가로도트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가로경계선에 대향하는 제2 가로경계선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제1 가로경계선은 상기 제1 가로도트영역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1 도트들의 공통 접선이고,
    상기 제2 가로경계선은 상기 제1 가로도트영역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1 도트들의 공통 접선이고,
    상기 제2 가로도트영역의 폭은 제2 가로도트영역을 기준으로 제3 가로경계선과 상기 제3 가로경계선에 대향하는 제4 가로경계선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제3 가로경계선은 상기 제2 가로도트영역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2 도트들의 공통 접선이고,
    상기 제4 가로경계선은, 상기 제2 가로도트영역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2 도트들의 공통 접선이고,
    상기 제3 가로경계선은 상기 제1 가로도트영역과 중첩되거나, 상기 제2 가로경계선은 상기 제2 가로도트영역과 중첩되는 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도트영역의 폭은, 제1 세로경계선과, 상기 제1 세로도트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세로경계선에 대향되는 제2 세로경계선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제1 세로경계선은, 상기 제1 세로도트영역에서 최외곽의 제1 도트들의 공통 접선이고,
    상기 제2 세로경계선은, 상기 제1 세로도트영역에서 최외곽의 제1 도트들의 공통 접선이고,
    상기 제2 세로도트영역의 폭은, 상기 제2 세로도트영역을 기준으로 제3 세로경계선과 대향되는 제4 세로경계선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제3 세로경계선은, 상기 제2 세로도트영역에서 최외곽의 제2 도트들의 공통 접선이고,
    상기 제4 세로경계선은, 상기 제2 세로도트영역에서 최외곽의 제2 도트들의 공통 접선이고,
    상기 제3 세로경계선은 상기 제1 세로도트영역과 이격되거나, 상기 제2 세로경계선은 상기 제2 세로도트영역과 이격되는 표시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도트영역은 복수의 제3 도트를 포함하는 제3 가로도트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가로도트영역에 속한 도트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의 도트들이고,
    상기 세로도트영역은 복수의 제3 도트를 포함하는 제3 세로도트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세로도트영역에 속한 도트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의 도트들이고,
    상기 제 1 가로도트영역은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제 1 장변에 가장 가깝고,
    상기 제 2 가로도트영역은 상기 제 1 가로도트영역보다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제 1 장변으로부터 더 멀고,
    상기 제 3 가로도트영역은 상기 제 1 가로도트영역, 상기 제 2 가로도트영역, 상기 제 3 가로도트영역 중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제 1 장변으로부터 가장 멀고,
    상기 제 1 세로도트영역은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제 1 단변에 가장 가깝고, 상기 제 2 세로도트영역은 상기 제 1 세로도트영역보다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제 1 단변으로부터 더 멀고,
    상기 제 3 세로도트영역은 상기 제 1 세로도트영역, 상기 제 2 세로도트영역 및 상기 제 3 세로도트영역 중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제 1 단변으로부터 가장 먼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도트영역은, 상기 제3세로도트영역에 연속하는 복수의 제4도트를 포함하는 제4세로도트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세로도트영역은, 상기 제1세로도트영역, 상기 제2세로도트영역, 상기 제3세로도트영역, 상기 제4세로도트영역 중 상기 반사시트의 제1단변으로부터 가장 멀고,
    상기 제4세로도트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4도트의 크기는 동일하고,
    상기 제4세로도트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4도트의 크기는 상기 제3세로도트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제3도트의 크기보다 작은 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로도트영역의 폭은 상기 제 2 세로도트영역의 폭과 상이하고,
    상기 제 2 가로도트영역의 폭은 상기 제 1 가로도트영역과 상기 제 2 가로도트영역의 경계선과 상기 제 2 가로도트영역과 상기 제 3 가로도트영역의 경계선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제 2 세로도트영역의 폭은 상기 제 1 세로도트영역과 상기 제 2 세로도트영역의 경계선과 상기 제 2 세로도트영역과 상기 제 3 세로도트영역의 경계선 사이의 거리인 표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세로도트영역의 최외곽 폭은 상기 제2 세로도트영역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3 세로도트영역의 최외곽 폭은 상기 제1 세로도트영역, 상기 제2 세로도트영역, 상기 제3 세로도트영역 중 가장 큰 표시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로도트영역은 상기 제1 장변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선으로 배열된 제2 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로도트영역은 상기 제1 단변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선으로 배열된 제2 도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로도트영역은 상기 제2 가로도트영역의 길이방향 및 상기 제2 가로도트영역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제2 도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로도트영역은 상기 제2 세로도트영역의 길이방향 및 상기 제2 세로도트영역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제2 도트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도트영역은 상기 반사시트의 제1장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세로도트영역은 상기 반사시트의 제1단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세로도트영역은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제1 단변에 가장 가깝고,
    상기 제2 세로도트영역은 상기 제1 세로도트영역보다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제1 단변으로부터 더 멀고,
    상기 제1 가로도트영역은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제1 장변에 가장 가깝고,
    상기 제2 가로도트영역은 상기 제1 가로도트영역보다 상기 반사시트의 상기 제1 장변으로부터 더 먼 표시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도트영역은 상기 가로도트영역과 다른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바닥 및 상기 바닥으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제1 시트영역 및 상기 제1 시트영역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측벽을 향해 연장된 제2 시트영역을 포함하고,
    수직 도트 영역 및 수평 도트 영역은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제2 시트영역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KR1020220091085A 2014-10-31 2022-07-22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9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591A KR102658125B1 (ko) 2014-10-31 2023-06-20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73509P 2014-10-31 2014-10-31
US62/073,509 2014-10-31
KR1020150109161A KR102426038B1 (ko) 2014-10-31 2015-07-3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161A Division KR102426038B1 (ko) 2014-10-31 2015-07-3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591A Division KR102658125B1 (ko) 2014-10-31 2023-06-20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141A KR20220107141A (ko) 2022-08-02
KR102549805B1 true KR102549805B1 (ko) 2023-06-29

Family

ID=56026262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158A KR102315567B1 (ko) 2014-10-31 2015-07-3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09161A KR102426038B1 (ko) 2014-10-31 2015-07-3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09155A KR102309878B1 (ko) 2014-10-31 2015-07-3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09165A KR102330349B1 (ko) 2014-10-31 2015-07-3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09157A KR102309887B1 (ko) 2014-10-31 2015-07-3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91085A KR102549805B1 (ko) 2014-10-31 2022-07-22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158A KR102315567B1 (ko) 2014-10-31 2015-07-3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09161A KR102426038B1 (ko) 2014-10-31 2015-07-3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09155A KR102309878B1 (ko) 2014-10-31 2015-07-3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09165A KR102330349B1 (ko) 2014-10-31 2015-07-3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09157A KR102309887B1 (ko) 2014-10-31 2015-07-31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7) US10768479B2 (ko)
KR (6) KR102315567B1 (ko)
DE (1) DE202015009545U1 (ko)
TW (2) TWI5796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803B1 (ko) * 2016-06-24 202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7702B1 (ko) * 2016-08-30 2024-0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로컬 디밍 방법
JP2019537836A (ja) 2016-10-25 2019-12-26 ソウ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Semicondutor Co., Ltd. 発光ダイオードパッケージ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WO2018088705A1 (ko) 2016-11-14 2018-05-17 서울반도체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백라이트 유닛
KR102493155B1 (ko) 2018-03-26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680334B (zh) * 2018-11-19 2019-12-21 瑞儀光電股份有限公司 曲面背光模組及其顯示裝置
CN110071155A (zh) * 2019-04-26 2019-07-30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封装方法、显示装置
KR102629991B1 (ko) * 2019-07-08 2024-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70993A1 (ko) * 2019-10-11 202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037880A1 (en) * 2020-01-03 2023-02-0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303803B1 (ko) * 2020-04-23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21180066A (ja) * 2020-05-11 2021-11-18 船井電機株式会社 面光源装置、表示装置およ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WO2022114298A1 (ko) * 2020-11-27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5220257A (zh) * 2021-01-05 2022-10-21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以及用于显示装置的组件
US11333928B1 (en) 2021-01-05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reflective sheet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light conversion dots respectively disposed arou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holes
EP4276524A3 (en) * 2021-01-05 2023-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2149653A1 (ko) * 2021-01-05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0459B1 (ko) * 2021-04-02 2023-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213559A1 (zh) * 2021-04-09 2022-10-13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20220158359A (ko) * 2021-05-24 2022-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6137886A (zh) * 2021-09-17 2023-05-19 瑞仪(广州)光电子器件有限公司 反射片、背光模组及显示装置
TWI815555B (zh) * 2022-07-14 2023-09-11 達擎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334A1 (ja) 2009-12-15 2011-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3143273A (ja) 2012-01-11 2013-07-22 Sharp Corp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3251274A (ja) 2009-05-22 2013-12-12 Sharp Corp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9417A (ja) 1996-03-29 1997-10-14 Enplas Corp 面光源装置
TW464784B (en) 1996-12-06 2001-11-21 Alps Electric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3257230A (ja) 2002-03-05 2003-09-12 Seiko Epson Corp 光源装置、照明装置、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4030050B2 (ja) * 2002-07-19 2008-01-09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面光源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導光板組立体
JP4397394B2 (ja) 2003-01-24 2010-01-13 ディジタル・オプティクス・インターナショナル・コーポレイション 高密度照明システム
KR100609057B1 (ko) 2004-11-17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KR101165840B1 (ko) 2005-06-09 2012-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4467493B2 (ja) 2005-09-16 2010-05-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CN1987599A (zh) 2005-12-23 2007-06-27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直下式背光模组
CN1794063A (zh) 2005-12-30 2006-06-2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直下式背光模块
KR20070079259A (ko) 2006-02-01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US8287149B2 (en) 2006-04-19 2012-10-16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same
KR20070117859A (ko) 2006-06-09 2007-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TWI346821B (en) * 2006-12-01 2011-08-1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US8651685B2 (en) 2007-03-16 2014-02-18 Cre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backlight unit with vertical interior reflectors
US7905618B2 (en) 2007-07-19 2011-03-15 Samsung Led Co., Ltd. Backlight unit
TWI343489B (en) * 2007-08-10 2011-06-11 Hon Hai Prec Ind Co Ltd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JPWO2009093583A1 (ja) 2008-01-25 2011-05-26 昭和電工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発光装置
KR101442146B1 (ko) 2008-02-25 2014-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유닛,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9117B1 (ko) 2008-05-21 201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바텀샤시
EP2426395A1 (en) 2009-06-15 2012-03-07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110007453A (ko) 2009-07-16 2011-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WO2011025095A1 (en) 2009-08-27 2011-03-03 Lg Electronics Inc. Optical assembly,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JP5322892B2 (ja) 2009-11-06 2013-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CN102667310B (zh) 2009-12-18 2014-12-03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装置
US20130070170A1 (en) 2010-05-14 2013-03-21 Yuuki Namekat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101688042B1 (ko) 2010-05-28 2016-1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8582051B2 (en) 2010-06-15 2013-11-12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5525950B2 (ja) * 2010-07-20 2014-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8684547B2 (en) * 2010-08-18 2014-04-01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692509B1 (ko) 2010-11-02 2017-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1213B1 (ko) 2010-11-02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기구
KR101771557B1 (ko) 2011-01-05 2017-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92882A (ko) 2011-02-14 2012-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WO2012118137A1 (ja) 2011-03-03 2012-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拡散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
US9488772B2 (en) 2011-07-11 2016-11-08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illumination device
TWI443425B (zh) 2011-08-31 2014-07-0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及顯示裝置
JP5920616B2 (ja) 2011-11-28 2016-05-1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直下型led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130063773A (ko) 2011-12-07 2013-06-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JP2013143217A (ja) 2012-01-10 2013-07-22 Sharp Corp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3239335A (ja) 2012-05-15 2013-11-28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3032777B (zh) * 2012-12-27 2015-04-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以及液晶显示装置
KR101664422B1 (ko) 2013-01-23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조명 장치
KR101282029B1 (ko) 2013-01-31 201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170159A (ja) 2013-03-05 2014-09-18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CN107255845B (zh) 2013-04-10 2019-12-31 乐金显示有限公司 背光单元及包括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装置
KR20140122480A (ko) * 2013-04-10 201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1246B1 (ko) 2013-04-15 2020-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167751B2 (ja) * 2013-08-20 2017-07-26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066138B1 (ko) 2013-11-26 2020-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 시트와 이의 제조 방법
CN203643721U (zh) * 2013-12-31 2014-06-11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可消除Mura的直下式LED背光模组及液晶产品
KR101984509B1 (ko) 2014-03-19 2019-05-3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의 냉매 토출유량 계측장치
KR20150109161A (ko) 2014-03-19 2015-10-01 엘아이지인베니아 주식회사 소스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증착장비
EP3015912B1 (en) 2014-10-31 2017-12-06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1274A (ja) 2009-05-22 2013-12-12 Sharp Corp 表示装置
WO2011074334A1 (ja) 2009-12-15 2011-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3143273A (ja) 2012-01-11 2013-07-22 Sharp Corp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03661A1 (en) 2023-04-06
TWI602003B (zh) 2017-10-11
TWI579620B (zh) 2017-04-21
US11579487B2 (en) 2023-02-14
KR102309878B1 (ko) 2021-10-08
TW201616198A (zh) 2016-05-01
KR20160051568A (ko) 2016-05-11
US20190324323A1 (en) 2019-10-24
KR20160051570A (ko) 2016-05-11
KR20160051569A (ko) 2016-05-11
KR102309887B1 (ko) 2021-10-08
US11860474B2 (en) 2024-01-02
KR102330349B1 (ko) 2021-11-23
KR20160051567A (ko) 2016-05-11
US20220171238A1 (en) 2022-06-02
US20200264477A1 (en) 2020-08-20
US11287691B2 (en) 2022-03-29
DE202015009545U1 (de) 2018-03-19
KR102426038B1 (ko) 2022-07-27
KR20160051566A (ko) 2016-05-11
KR102315567B1 (ko) 2021-10-21
US20230266621A1 (en) 2023-08-24
US20230109475A1 (en) 2023-04-06
KR20220107141A (ko) 2022-08-02
US20210026200A1 (en) 2021-01-28
KR20230093227A (ko) 2023-06-27
US10838254B2 (en) 2020-11-17
US10768479B2 (en) 2020-09-08
TW201617705A (zh)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80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365513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EP3015914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light unit
EP3015913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backlight unit
KR2017009133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200018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7339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196690B1 (en) Display device
KR1025258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812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581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8570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