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622B1 - 반도체 패키지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622B1
KR102549622B1 KR1020180076997A KR20180076997A KR102549622B1 KR 102549622 B1 KR102549622 B1 KR 102549622B1 KR 1020180076997 A KR1020180076997 A KR 1020180076997A KR 20180076997 A KR20180076997 A KR 20180076997A KR 102549622 B1 KR102549622 B1 KR 102549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signal
slave state
slave
st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045A (ko
Inventor
나대훈
이선규
임정돈
정병훈
최영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6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622B1/ko
Priority to US16/206,070 priority patent/US10666249B2/en
Priority to CN201910102897.1A priority patent/CN110675897A/zh
Publication of KR20200004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22Modifications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has been appli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11C5/04Supports for storage elements, e.g. memory modules; Mounting or fixing of storage elements on such suppo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11C5/063Voltage and signal distribution in integrated semi-conductor memory access lines, e.g. word-line, bit-line, cross-over resistance, propagation del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2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with means for avoiding parasitic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0Memory cell initialisation circuits, e.g. when powering up or down, memory clear, latent image mem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1Internal lead connections, e.g. via connections, feedthroug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18Masterslice integrated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2Group selection circuits, e.g. for memory block selection, chip selection, array se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3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161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3Bump or bump-like direct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devices, e.g. flip-chip connection, solder bu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반도체 패키지가 제공된다.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제1 레벨의 제1 신호와 제2 레벨의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1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상태부, 제1 신호와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1 초기화 신호를 제공하는 제1 초기화 모듈, 상기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2 초기화 신호를 제공하는 제2 초기화 모듈, 및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와 연결되고,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2 신호를 제공하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를 포함하고,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는 제1 초기화 모듈로부터 제1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신호를 저장하고,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는 제2 초기화 모듈로부터 제2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신호를 저장하고,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1 신호와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될 때,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되는 신호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되는 신호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결정된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SEMICONDUCTOR PACKAGE}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루 실리콘 비아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로서, 마스터 칩(master chip)과 슬레이브 칩(slave chip)을 구별하는 초기화 모듈,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 및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가 포함된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고용량 메모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개의 메모리 칩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하는 멀티 칩 패키지(MCP: Multi Chip Package)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칩 패키지 환경의 경우, 여러 개의 메모리 칩을 개별적으로 와이어링(wiring)하는, 본딩 와이어링(bonding wiring)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본딩 와이어링 기술은 고속 입출력 동작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스루 실리콘 비아(TSV: Through Silicon Via)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적층된 집 각각을 외부와 연결하는 방식이 아니라, 외부와 연결되는 마스터 칩(master chip)과, 외부와 연결되지 않고 마스터 칩 상에 적층되는 슬레이브 칩(slave chip)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루 실리콘 비아 기술을 이용한 멀티 칩 패키지에서, 마스터 칩만 외부와 연결되므로, 마스터 칩과 슬레이브 칩은 서로 다른 제어가 필요하다. 그러나, 마스터 칩과 슬레이브 칩은 서로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특정 구성요소의 유무에 따라 마스터 칩과 슬레이브 칩을 구별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마스터 칩과 슬레이브 칩의 구분을 위한 특정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비 전력이 감소된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작 레이턴시(latency)가 감소된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제1 레벨의 제1 신호와 제2 레벨의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1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상태부, 제1 신호와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1 초기화 신호를 제공하는 제1 초기화 모듈, 상기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2 초기화 신호를 제공하는 제2 초기화 모듈, 및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와 연결되고,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2 신호를 제공하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를 포함하고,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는 제1 초기화 모듈로부터 제1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신호를 저장하고,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는 제2 초기화 모듈로부터 제2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신호를 저장하고,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1 신호와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될 때,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되는 신호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되는 신호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결정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제1 칩과 제1 칩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로서, 제1 칩은, 제1 레벨의 제1 신호와 제2 레벨의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1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상태부, 및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를 초기화하는 제1 초기화 모듈을 포함하고, 제2 칩은, 제1 신호와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를 초기화하는 제2 초기화 모듈, 및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와 연결되고,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반전하여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공하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제1 칩과 제1 칩 상에 배치되는 제2 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로서, 제1 칩은, 제1 레벨의 제1 신호와 제2 레벨의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1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상태부, 수신되는 신호를 반전하여 제공하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입력 버퍼,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1 내부 회로, 및 제1 입력 버퍼와 제1 내부 회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고, 제2 칩은, 제1 신호와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입력 버퍼,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2 내부 회로, 제2 입력 버퍼와 제2 내부 회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 및 제1 입력 버퍼와 제2 내부 회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는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공하고, 제1 스위치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제2 및 제3 스위치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가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가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를 반도체 패키지에 적용하는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0)는 패키지 기판(100), 제1 칩(110), 제2 칩(210), 제3 칩(310), 제1 내지 제3 범프(B1~B3, bump), 및 패키지 볼(PKGB, Pakage Ball)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칩(110, 210, 310)은 패키지 기판(100)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칩(110)은 패키지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칩(210)은 제1 칩(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칩(310)은 제2 칩(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패키지 기판(100)과 제1 칩(110)은 제1 범프(B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칩(110)은 제2 범프(B2)에 의해 제2 칩(2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칩(210)은 제3 범프(B3)에 의해 제3 칩(310)과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내지 제3 칩(110, 210, 3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각 구성요소들의 모양, 형태, 기능 및 위치 등이 동일한 것을 의미하며, 이는 제조 공정상의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공정 오차 또는 제조 오차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제1 칩(110)은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MSS), 제1 초기화 모듈(112, INT),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 MSD), 제1 패드(114, PAD), 및 제1 스루 실리콘 비아(115, TSV)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를 제1 칩(110) 내부의 다른 구성요소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는 특정 시점(예를 들어, 도 3의 제2 시점(Ts)) 이후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에 저장된 신호일 수 있다.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는, 예를 들어, 래치 회로(latch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초기화 모듈(112)은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초기화 모듈(112)은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를 초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초기화 모듈(112)은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에 제1 초기화 신호를 제공하여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를 초기화할 수 있다. 초기화된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에 저장된 신호는, 예를 들어, 제1 레벨의 제1 신호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초기화 모듈(112)이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를 초기화하면,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는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벨은 로직 레벨 로우(logic level low, 0) 또는 로직 레벨 하이(logic level high, 1)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초기화 모듈(112)은 제1 칩(110)에 제공되는 전력이 미리 정한 제1 전력 레벨(도 3의 L1)에 도달하는 경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를 초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초기화 모듈(112)은 전력 레벨 감지 장치(PLD device: Power Level Detect device)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미리 정한 제1 전력 레벨(도 3의 L1) 이상의 전력이 제1 칩(110)에 제공되면, 제1 초기화 모듈(112)은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가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저장하도록 초기화할 수 있다.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수신되는 신호를 반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반전된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 반전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전된 신호는 제2 레벨의 제2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레벨은 로직 레벨 하이(logic level high, 1) 또는 로직 레벨 로우(logic level low, 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와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디지털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0)는 소비 전력이 상대적으로 낮고, 동작 레이턴시(latency)가 작을 수 있다.
제1 칩(110)은 패키지 기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칩(110)은 제1 범프(B1)를 통해 패키지 기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는 제1 패드(114)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제1 스루 실리콘 비아(115)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칩(210)은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MSS), 제2 초기화 모듈(212, INT),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 MSD), 제2 패드(214, PAD), 및 제2 스루 실리콘 비아(215, TSV)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칩(2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제1 칩(110)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를 제2 칩(210) 내부의 다른 구성요소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초기화 모듈(212)은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미리 정한 제1 전력 레벨(도 3의 L1) 이상의 전력이 제2 칩(210)에 제공되면, 제2 초기화 모듈(212)은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를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저장하도록 초기화할 수 있다.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는 수신되는 신호를 반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는 반전된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는 제2 패드(214)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는 제2 스루 실리콘 비아(215)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칩(210)은 제2 범프(B2)를 통해 제1 칩(11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칩(110)에 포함된 제1 스루 실리콘 비아(115)는 제2 범프(B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칩(210)에 포함된 제2 패드(214)는 제2 범프(B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스루 실리콘 비아(115)와 제2 패드(214)가 제2 범프(B2)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제1 칩(110)과 제2 칩(21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결국,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제1 스루 실리콘 비아(115), 제2 범프(B2), 및 제2 패드(214)를 통해,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반전하여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 저장된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제2 패드(214), 제2 범프(B2), 및 제1 스루 실리콘 비아(115)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서 수신한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반전하여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가 생성한 제2 레벨의 제2 신호는 제1 스루 실리콘 비아(115), 제2 범프(B2), 및 제2 패드(214)를 통해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 제공될 수 있다.
제3 칩(310)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 MSS), 제3 초기화 모듈(312, INT), 제3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313, MSD), 제3 패드(314, PAD), 및 제3 스루 실리콘 비아(315, TSV)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칩(3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제1 칩(110)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는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3)를 제3 칩(310) 내부의 다른 구성요소에 제공할 수 있다.
제3 초기화 모듈(312)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미리 정한 제1 전력 레벨(도 3의 L1) 이상의 전력이 제3 칩(310)에 제공되면, 제3 초기화 모듈(312)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를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저장하도록 초기화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초기화 모듈(112, 212, 312)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를 초기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초기화 모듈(112)은, 제2 초기화 모듈(212) 또는 제3 초기화 모듈(312)의 동작 여부에 관계없이,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를 초기화할 수 있다. 즉, 제1 초기화 모듈(112)은 제2 칩(210)과 제3 칩(310)에 전력이 수신되지 않더라도,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를 초기화할 수 있다. 제2 및 제3 초기화 모듈(212, 312) 역시 다른 초기화 모듈의 동작 여부 등에 관계없이 각각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를 초기화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초기화 모듈(112, 212, 312)이 각각 독립적으로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를 초기화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는 병렬적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외부로부터 제1 내지 제3 칩(110, 210, 310)에 전력이 제공되면,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초기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동시에"는 동작 오차 및 측정 오차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의 초기화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반도체 패키지(1000)의 동작 레이턴시(latency)는 감소될 수 있다.
제3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313)는 수신되는 신호를 반전할 수 있다. 또한, 제3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313)는 반전된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제공할 수 있다.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는 제3 패드(314)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313)는 제3 스루 실리콘 비아(315)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칩(310)은 제3 범프(B3)를 통해 제2 칩(2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칩(210)과 제3 칩(310)의 연결관계는 제1 칩(110)과 제2 칩(210)의 연결관계와 유사한 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는 제2 스루 실리콘 비아(215)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는 제3 패드(314)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는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는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반전하여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로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에 저장되는 신호는 각각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는, 제2 및 제3 초기화 모듈(212, 312)의 동작 여부나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에 저장된 신호에 관계 없이 초기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가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의 동작 여부나 제1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311)에 저장된 신호와는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가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 반전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은,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의 동작 여부나 제1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311)에 저장된 신호와는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에 저장되는 신호는 병렬적으로, 즉 실질적으로 동시에 결정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에 저장되는 신호는 병렬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반도체 패키지(1000)의 레이턴시(latency)는 감소될 수 있다.
패키지 기판(100)은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키지 기판(100)은 패키지 볼(PKGB)을 통해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특정 신호가 패키지 볼(PKGB)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패키지 볼(PKGB)에 제공된 특정 신호는 패키지 기판(1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전력이 반도체 패키지(1000)에 공급될 수 있다(S210). 반도체 패키지(1000)가 전력을 수신하면, 제1 내지 제3 칩(110, 210, 310) 각각에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초기화 모듈(112, 212, 312)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를 초기화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외부에서 제1 내지 제3 칩(110, 210, 310)에 공급되는 전력이 제1 전력 레벨(L1) 이상에 도달하면, 제1 내지 제3 초기화 모듈(112, 212, 312)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1 내지 제3 초기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초기화 신호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는 각각 제1 내지 제3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각각 독립적으로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는 제1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독립적으로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는 제2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들과는 독립적으로,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는 제3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벨은 로직 레벨 로우(logic level low, 0)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초기화 신호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는 각각 초기화되는 제1 시점(Ti) 이전까지 언노운(unknown) 상태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일 수 있다.
도 3은 제1 내지 제3 초기화 모듈(112, 212, 312)이 각각 제1 내지 제3 초기화 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가 초기화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비록 도 3은 제1 내지 제3 초기화 신호를 펄스 신호(pulse signal)의 형태로 도시하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초기화 신호는 스텝 신호(step signal)일 수 있고, 다른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는 각각 제1 내지 제3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정한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각각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를 초기화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및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 213)는 각각 초기화된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에 저장된 신호를 독립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S230). 다시 말해서,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초기화된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 저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 저장된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는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에 저장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는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에 저장된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록 도 3은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가 초기화되는 제1 시점(Ti)과, 제1 및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 213)가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에 저장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시점(Ti)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뿐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가 초기화되는 시점과 제1 및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 213)가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에 저장된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은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 213)는 각각 수신한 신호를 반전할 수 있다(S240). 다시 말해서,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서 수신한 신호를 반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로부터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제1 레벨의 제1 신호의 반전 신호인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의 동작과는 독립적으로,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는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에서 수신한 신호를 반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는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에서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수신하여,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레벨은 로직 레벨 하이(logic level high, 1)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 213)는 반전된 신호를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에 각각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S250). 예를 들어,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독립적으로,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는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에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1 및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 213)로부터 반전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60). 예를 들어,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에서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독립적으로,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에서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제1 및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 213)가 수신한 신호를 반전하는 제2 시점(Ts)과, 제1 및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 213)가 반전된 신호를 제공하는 제2 시점(Ts), 및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가 반전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시점(Ts)이 모두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는 각각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MS STATUS_3)를 출력할 수 있다(S270). 예를 들어, 제2 시점(Ts) 이후에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에 저장된 신호는 각각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MS STATUS_3)일 수 있다.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에 저장된 신호는 제1 레벨의 제1 신호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로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시점(Ti)과 제2 시점(Ts) 사이에서,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에 저장된 신호는 제1 레벨의 제1 신호일 수 있다. 제2 시점(Ts) 이후,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에 저장된 신호는 제2 레벨의 제2 신호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는 각각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 MS STATUS_3)로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MS STATUS_3)가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가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 MS STATUS_3)가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초기화 모듈(112)은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를 초기화할 수 있다.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가 초기화되면,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는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에 다른 신호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는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는 제1 레벨의 제1 신호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초기화 모듈(212)은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를 초기화할 수 있다.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가 초기화되면,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는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에 초기화된 신호, 즉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는 수신한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반전하여,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다시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 다른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는 제2 레벨의 제2 신호일 수 있다.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3)가 생성되는 과정은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가 생성되는 과정과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3)은 제2 레벨의 제2 신호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는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3)와 독립적 및 병렬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노이즈 등의 외부적인 영향을 모두 무시한다고 가정하면,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에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신호, 즉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는 제1 초기화 모듈(112)에 의해서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에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신호, 즉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 MS STATUS_3)는 각각 제1 및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 213)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칩(110)은 하부에 다른 칩이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는 이와 연결된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가 초기화되는 제1 시점(Ti) 이후 다른 신호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제2 칩(210)은 하부에 제1 칩(110)이 연결되고, 제3 칩(310)은 하부에 제2 칩(21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시점(Ti)에서,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에서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제공받고,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311)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213)에서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는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 MS STATUS_3)와는 다른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가 제1 레벨의 제1 신호인 경우, 해당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가 포함된 칩은 마스터 칩(master chip)일 수 있다. 반면,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가 제2 레벨의 제2 신호인 경우, 해당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가 포함된 칩은 슬레이브 칩(slave chip)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는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를 출력하므로, 제1 칩(110)은 마스터 칩일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는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각각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 MS STATUS_3)로 출력하므로, 제2 및 제3 칩(210, 310)은 슬레이브 칩일 수 있다.
도 6은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111, 211, 311)는 제1 내지 제3 초기화 신호에 의해 제1 시점(Ti)에서 제1 레벨의 제1 신호로 초기화될 수 있다.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는 제2 시점(Ts)에서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113, 213)는 제1 시점(Ti)에서 제1 레벨의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반전하여 제2 레벨의 제2 신호를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211, 311)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벨은 로직 레벨 하이(logic level high, 1)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레벨은 로직 레벨 로우(logic level low, 0)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MS STATUS_3)를 반도체 패키지(1000)에 적용하는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 내지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생략하여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0)는 패키지 기판(100), 제1 내지 제3 칩(110, 210, 310), 패키지 볼(PKGB), 및 제4 내지 제6 범프(B4~B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칩(110)은 제1 입력 버퍼(116), 제1 내부 회로(117), 제1 입력 스위치(ISW_1), 및 제1 수신 스위치(RSW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 버퍼(116)는 제1 입력 스위치(ISW_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 버퍼(116)는 제4 범프(B4)를 통해 패키지 기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입력 스위치(ISW_1)의 일단은 제1 입력 버퍼(116)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부 회로(117)는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노드(N1)는 제5 범프(B5)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칩(210)은 제2 입력 버퍼(216), 제2 내부 회로(217), 제2 입력 스위치(ISW_2), 및 제2 수신 스위치(RSW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칩(210)은 제5 범프(B5)를 통해 제1 칩(1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입력 버퍼(216)는 제2 입력 스위치(ISW_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입력 스위치(ISW_2)의 일단은 제2 입력 버퍼(216)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신 스위치(RSW_2)의 일단은 제2 노드(N2)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5 범프(B5)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내부 회로(217)는 제2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노드(N2)는 제6 범프(B6)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칩(310)은 제3 입력 버퍼(316), 제3 내부 회로(317), 제3 입력 스위치(ISW_3), 및 제3 수신 스위치(RSW_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칩(310)은 제6 범프(B5)를 통해 제2 칩(2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입력 버퍼(316)는 제3 입력 스위치(ISW_3)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입력 스위치(ISW_3)의 일단은 제3 입력 버퍼(316)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3 노드(N3)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수신 스위치(RSW_3)의 일단은 제3 노드(N3)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6 범프(B6)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내부 회로(317)는 제3 노드(N3)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입력 스위치(ISW_1~ISW_3)와 제1 내지 제3 수신 스위치(RSW_1~RSW_3)는 제어 신호에 의해 턴 온/오프(turn on/off)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입력 스위치(ISW_1~ISW_3)와 제1 내지 제3 수신 스위치(RSW_1~RSW_3)는 NMOS, PMOS, 및/또는 CMOS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게이트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입력 스위치(ISW_1~ISW_3)와 제1 내지 제3 수신 스위치(RSW_1~RSW_3)는 각각 제1 내지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MS STATUS_3)에 의해 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입력 스위치(ISW_1)와 제1 수신 스위치(RSW_1)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에 의해 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 스위치(ISW_2)와 제2 수신 스위치(RSW_2)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에 의해 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3 입력 스위치(ISW_3)와 제3 수신 스위치(RSW_3)는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3)에 의해 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스위치(ISW_1)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에 의해 턴 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에 의해 제1 입력 버퍼(116)와 제1 내부 회로(117)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 스위치(ISW_2)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에 의해 턴 오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에 의해 제2 입력 버퍼(216)와 제2 내부 회로(217)는 비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입력 스위치(ISW_2)가 턴 오프되어, 제2 입력 버퍼(216)에서 제2 노드(N2)에 제공되는 신호 또는 노이즈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3 입력 스위치(ISW_3)는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3)에 의해 턴 오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3)에 의해 제3 입력 버퍼(316)와 제3 내부 회로(317)는 비연결될 수 있다. 즉, 제3 입력 스위치(ISW_3)가 턴 오프되어, 제3 입력 버퍼(316)에서 제3 노드(N3)에 제공되는 신호 또는 노이즈가 차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는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 MS STATUS_3)와 다른 레벨의 신호이기 때문에, 제1 입력 스위치(ISW_1)는 제2 및 제3 입력 스위치(ISW_2, ISW_3)와 반대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수신 스위치(RSW_1)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에 의해 턴 오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에 의해 외부에서 제1 노드(N1)에 수신되는 신호 또는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신 스위치(RSW_2)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에 의해 턴 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에 의해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수신 스위치(RSW_3)는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3)에 의해 턴 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3)에 의해 제2 노드(N2)와 제3 노드(N3)는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1)는 제2 및 제3 마스터-슬레이브 상태 신호(MS STATUS_2, MS STATUS_3)와 다른 레벨의 신호이기 때문에, 제1 수신 스위치(RSW_1)는 제2 및 제3 수신 스위치(RSW_2, RSW_3)와 반대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D)는 패키지 볼(PKGB)을 통해 패키지 기판(100)에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D)는 제4 범프(B4)를 통해 제1 입력 버퍼(116)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입력 버퍼(116)에 제공된 데이터(D)는 제1 노드(N1)를 통해 제1 내부 회로(117)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신 스위치(RSW_1)는 턴 오프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및 노이즈에 의해 데이터(D)가 손상되지 않고 제1 내부 회로(117)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D)는 제5 범프(B5)와 제2 수신 스위치(RSW_2)를 통해 제2 노드(N2)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입력 스위치(ISW_2)는 턴 오프되어 있으므로, 제2 입력 버퍼(216) 및 노이즈에 의한 데이터(D)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노드(N2)에 제공된 데이터(D)는 제2 내부 회로(217)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D)는 제6 범프(B6)와 제3 수신 스위치(RSW_3)를 통해 제3 노드(N3)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3 입력 스위치(ISW_3)는 턴 오프되어 있으므로, 제3 입력 버퍼(316)와 노이즈에 의한 데이터(D)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노드(N3)에 제공된 데이터(D)는 제3 내부 회로(317)에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1, 211, 31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
112, 212, 312: 초기화 모듈
113, 213, 313: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

Claims (10)

  1. 제1 레벨의 제1 신호와 제2 레벨의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1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상태부;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 제1 레벨의 제1 신호와 제2 레벨의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1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상태부;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1 초기화 신호를 제공하는 제1 초기화 모듈;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2 초기화 신호를 제공하는 제2 초기화 모듈; 및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와 연결되는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는 상기 제1 초기화 모듈로부터 상기 제1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는 상기 제2 초기화 모듈로부터 상기 제2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는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서 수신된 신호가 상기 제1 신호이면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상기 제2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서 수신된 신호가 상기 제2 신호이면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상기 제1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될 때,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되는 신호는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되는 신호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결정되는 반도체 패키지.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수신되는 전력이 미리 정한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초기화 모듈은 상기 제1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공하고,
    외부에서 수신되는 전력이 상기 미리 정한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초기화 모듈은 상기 제2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초기화 신호는 상기 제2 초기화 모듈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생성되고, 상기 제2 초기화 신호는 상기 제1 초기화 모듈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생성되는 반도체 패키지.
  3. 제 2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수신되는 전력이 상기 미리 정한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는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신호를 반전하여 상기 제2 신호로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는 상기 제2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제2 신호를 저장하는 반도체 패키지.
  4. 제 1항에 있어서,
    제1 칩과 상기 제1 칩 상에 배치되는 제2 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칩은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 상기 제1 초기화 모듈,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칩은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 상기 제2 초기화 모듈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가 상기 제1 신호인 경우, 상기 제1 칩은 마스터 칩(master chip)이고,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가 상기 제2 신호인 경우, 상기 제1 칩은 슬레이브 칩(slave chip)이고,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가 상기 제1 신호인 경우, 상기 제2 칩은 마스터 칩이고,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가 상기 제2 신호인 경우, 상기 제2 칩은 슬레이브 칩인 반도체 패키지.
  6. 제1 칩과 상기 제1 칩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로서,
    상기 제1 칩은,
    제1 레벨의 제1 신호와 제2 레벨의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1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상태부; 및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를 초기화하는 제1 초기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칩은,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를 초기화하는 제2 초기화 모듈; 및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반전하여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제공하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7. 제 6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수신되는 전력이 미리 정한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초기화 모듈은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2 초기화 모듈은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1 초기화 모듈이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를 초기화하는 것은 상기 제2 초기화 모듈이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를 초기화하는 것과 관계 없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반도체 패키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가 상기 제1 신호인 경우, 상기 제1 칩은 마스터 칩(master chip)이고,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가 상기 제2 신호인 경우, 상기 제1 칩은 슬레이브 칩(slave chip)이고,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가 상기 제1 신호인 경우, 상기 제2 칩은 마스터 칩이고,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가 상기 제2 신호인 경우, 상기 제2 칩은 슬레이브 칩인 반도체 패키지.
  9. 제1 칩과 상기 제1 칩 상에 배치되는 제2 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로서,
    상기 제1 칩은,
    제1 레벨의 제1 신호와 제2 레벨의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1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상태부;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입력 버퍼;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1 내부 회로; 및
    상기 제1 입력 버퍼와 상기 제1 내부 회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칩은,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입력 버퍼;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2 내부 회로;
    상기 제2 입력 버퍼와 상기 제2 내부 회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입력 버퍼와 상기 제2 내부 회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는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부는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서 수신된 신호가 상기 제1 신호이면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상기 제2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서 수신된 신호가 상기 제2 신호이면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상기 제1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는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반도체 패키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가 상기 제1 신호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입력 버퍼와 상기 제1 내부 회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2 마스터-슬레이브 상태부에 저장된 신호가 상기 제2 신호인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입력 버퍼와 상기 제2 내부 회로를 비연결하고,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1 입력 버퍼와 상기 제2 내부 회로를 연결하는 반도체 패키지.
KR1020180076997A 2018-07-03 2018-07-03 반도체 패키지 KR102549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997A KR102549622B1 (ko) 2018-07-03 2018-07-03 반도체 패키지
US16/206,070 US10666249B2 (en) 2018-07-03 2018-11-30 Semiconductor package
CN201910102897.1A CN110675897A (zh) 2018-07-03 2019-01-31 半导体封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997A KR102549622B1 (ko) 2018-07-03 2018-07-03 반도체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045A KR20200004045A (ko) 2020-01-13
KR102549622B1 true KR102549622B1 (ko) 2023-06-28

Family

ID=6906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997A KR102549622B1 (ko) 2018-07-03 2018-07-03 반도체 패키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66249B2 (ko)
KR (1) KR102549622B1 (ko)
CN (1) CN11067589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0246A (ja) 2011-01-31 2012-08-23 Sk Hynix Inc 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リペア方法
US20130042138A1 (en) 2011-08-12 2013-02-14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ster-slave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630B1 (ko) * 1994-02-28 1997-12-10 문정환 랜덤블럭 억세스메모리의 메모리 칩 확장제어방법 및 장치
US5978276A (en) 1997-04-11 1999-11-02 Programmable Silicon Solutions Electrically erasable nonvolatile memory
KR100594318B1 (ko) * 2005-01-31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점프없는 소프트 스위칭을 위한 멀티플렉서 및멀티플렉싱 방법
JP2008251138A (ja) 2007-03-30 2008-10-16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の制御方法、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システム、及びメモリカード
JP5275052B2 (ja) 2009-01-08 2013-08-28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1019991B1 (ko) * 2009-09-30 2011-03-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310841B2 (en) 2009-11-12 2012-1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die stacks having initially identical dies personalized with switch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996836B2 (en) 2009-12-18 2015-03-31 Micron Technology, Inc. Stacked devic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JP2011258266A (ja) 2010-06-08 2011-12-22 Son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集積型半導体装置
KR101124251B1 (ko) * 2010-07-07 2012-03-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적층된 칩들에 아이디를 부여하는 시스템, 반도체 장치 및 그 방법
US9136005B2 (en) 2010-11-16 2015-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rasing methods of three-dimensional nonvolatile memory devices with cell strings and dummy word lines
KR101157032B1 (ko) * 2010-11-17 2012-06-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US9019775B2 (en) 2012-04-18 2015-04-28 Sandisk Technologies Inc. Erase operation for 3D non-volatile memory with controllable gate-induced drain leakage current
US8817547B2 (en) 2012-12-10 2014-08-26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nit identification in a master/slave memory stack
US9153533B2 (en) 2013-03-13 2015-10-06 Invensas Corporation Microelectronic elements with master/slave configurability
US8891308B1 (en) 2013-09-11 2014-11-18 Sandisk Technologies Inc. Dynamic erase voltage step size selection for 3D non-volatile memory
US9263143B2 (en) 2014-07-14 2016-02-16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Three dimensional memory device and data erase method thereof
KR102190125B1 (ko) * 2014-12-05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드레스 리매핑을 위한 적층형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어드레스 리매핑 방법
US10014038B2 (en) * 2015-06-22 2018-07-03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hip identification in a memory package
KR102339780B1 (ko) * 2015-10-29 2021-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아이디(id) 발생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US10024909B2 (en) * 2016-04-11 2018-07-17 Nxp Usa, Inc. Multi-bit data flip-flop with scan initializ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0246A (ja) 2011-01-31 2012-08-23 Sk Hynix Inc 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リペア方法
US20130042138A1 (en) 2011-08-12 2013-02-14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ster-slave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14383A1 (en) 2020-01-09
US10666249B2 (en) 2020-05-26
KR20200004045A (ko) 2020-01-13
CN110675897A (zh)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3381B2 (en) System including memories sharing calibration reference resistor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US9318157B2 (en) Stacked devic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10360954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hip identification in a memory package
US10615126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and memory system
US9153533B2 (en) Microelectronic elements with master/slave configurability
US20140268976A1 (en) Ground-referenced single-ended memory interconnect
US20200219582A1 (en) Integrated circuit chip and die test without cell array
US20120154008A1 (en) Semiconductor apparatus
US11423952B2 (en) Multi-chip devices
US9576936B2 (en) Semiconductor system having semiconductor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delay amount using the semiconductor apparatus
US9013220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and semiconductor system
KR102549622B1 (ko) 반도체 패키지
US9940979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redistribution layer
US9041423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and testing method thereof
US9379701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ough chip via
US9841460B2 (en) Integrated circuit
US11336282B2 (en) Devices configured to conduct a power gating operation
US11201149B2 (en) Semiconductor devices
KR20110012405A (ko) 쓰루 실리콘 비아 방식의 반도체 집적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