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176B1 -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 Google Patents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176B1
KR102548176B1 KR1020220052927A KR20220052927A KR102548176B1 KR 102548176 B1 KR102548176 B1 KR 102548176B1 KR 1020220052927 A KR1020220052927 A KR 1020220052927A KR 20220052927 A KR20220052927 A KR 20220052927A KR 102548176 B1 KR102548176 B1 KR 102548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main body
cover
circumferenc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9790A (ko
Inventor
영 학 김
Original Assignee
김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학 filed Critical 김영학
Priority to KR1020220052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1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heating the tool
    • B29C65/30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7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using vacuum to hold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공틀과 히터모듈을 생산하고자 하는 포장지의 규격(크기)에 대응하여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가변시켜 각각 넓이를 자유롭게 조정함으로써 포장지의 규격과 무관하게 다양한 규격의 포장용 포장지를 생산하여 제품의 제조 원가를 종래 대비 낮추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틀의 상부에 히터모듈을 배치한 후 히터모듈을 하측으로 스탬프 방식으로 가압하여 커버를 본체에 실링 접합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포장지 원단의 손실을 줄이면서 접착특성을 개선하여 고품질의 포장지를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E PAPER, AND PACKAGE PAPER FOR PACKING LOAD TO BE LOADED ON A PALLET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파렛트(pallet)와 같은 받침대에 적재되는 각종 적재물을 덮어 보호하는 포장용 포장지의 제조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대량 생산을 가능하도록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고품질의 포장지를 생산할 수 있는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공정을 통해 물품이 생산되면, 그 물품은 생산라인으로부터 포장라인으로 이송되고, 포장라인 상에서 일정 단위의 박스로 포장되어 이송 컨베이어를 타고 적재부로 이동된다. 이때, 각종 물품을 포장박스나 합성수지재 상자 등에 담아서 파렛트 상에 적층하여 운반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수분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적재물을 보호하기 위해 적재물을 비닐 등을 이용하여 포장 보관하고 있다.
파렛트에 적재된 적재물의 포장은 비닐을 이용하여 적재물의 둘레를 랩핑하는 포장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기존 적재물 포장방식은 적재물을 운반한 후 밀봉된 랩핑지를 제거하여 각각 개별 화물로 분리한다. 이때, 제거된 랩핑지는 재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원이 낭비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최근에는 비닐원단을 이용하여 적재물의 둘레 및 상부를 덮도록 적재물을 씌워 포장하는 포장용 포장지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본체와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일반적인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1)는 적재물(3)의 측부를 덮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4개의 측면을 갖는 본체(1a)와, 본체(1a)의 상부에 실링되어 개구된 본체(1a)의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1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포장용 포장지(1)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의 일례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국내 등록특허 제10-1636056호에 제안된 바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636056호에서 제안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은 원통형 몸체부와 사각 판지형 덮개부를 각각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원단형 몸체부를 사각 테이블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원단형 몸체부의 상단에 상기 사각 판지형 덮개부의 가장자리를 열 융착공정을 통해 서로 접합하는 실링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국내 등록특허 제10-1636056호에서 제안된 종래의 포장용 포장지의 제조방법은 고정식 사각 테이블을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는 포장용 포장지(다양한 규격의 포장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포장용 포장지의 크기에 각각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사각 테이블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용 포장지의 제조방법에서는 실링공정시 원통형 몸체부의 상단과 사각 판지형 덮개부의 둘레 중 어느 한 면을 접한 상태로 실링기 측으로 진입시킨 후 작동시켜 원통형 몸체부의 상단에 사각 판지형 덮개부를 접합하는 방식으로, 원통형 몸체부의 상단 측면들 중 어느 한 면에 대한 실링이 완료되면 사각 테이블을 90°씩 회전시켜 전체 면에 대한 실링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번거롭다.
또한, 종래의 포장용 포장지의 제조방법에서는 실링공정시 사각 테이블을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자동화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수동 작업과 큰 차이가 없어 수동 작업과 비교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용 포장지의 제조방법에서는 실링공정시 측방향에서 히터를 이용하여 사각 판지형 덮개부를 원통형 몸체부의 상단 측면에 접합하는 방식으로, 히터가 열에 의해 쳐짐이나 휨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각 판지형 덮개부가 원통형 몸체부의 상단에 접합되지 않아 고품질의 포장지를 생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KR 10-1636056 B1, 2016. 06. 28.,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커버를 실링할 때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부 둘레에 상기 커버가 동시에 접합되도록 스탬프(stamp) 방식으로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를 실링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다양한 규격을 갖는 포장용 포장지를 생산하여 제품의 제조 원가를 종래 대비 낮추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포장지 원단의 손실을 줄이면서, 접착특성을 개선하여 고품질의 포장지를 생산할 수 있는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례에 따른 본 발명은 적어도 일측부가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를 덮도록 접합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포장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가 상기 상면의 둘레와 상하로 대면하도록 상기 상면의 중심부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의 상부에는 상하로 상기 커버의 둘레가 중첩 배치되는 가공틀; 및 상기 가공틀의 상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공틀의 상면 둘레에 상하로 중첩 배치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와 상기 커버의 둘레를 상부에서 하부로 스탬프 방식으로 동시에 가압하여 상하로 중첩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와 상기 커버의 둘레를 실링 접합하는 히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공틀와 상기 히터모듈은 넓이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틀과 상기 히터모듈은 넓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틀의 넓이를 조정하는 제1 넓이 조정모듈; 및 상기 제1 넓이 조정모듈에 의해 넓이가 조정된 상기 가공틀의 넓이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모듈의 넓이를 조정하는 제2 넓이 조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틀은 모서리 부위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 제1 내지 제4 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가공부는 각각 상기 제1 넓이 조정모듈에 의해 독립적으로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넓이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가공부는 각각, 위에서 바라볼 때 'ㄱ'자 또는 '역 ㄱ'자로 이루어지고, 단면은 'L'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고정 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하로 서로 중첩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와 상기 커버의 둘레를 지지하는 조방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방대에는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가 상기 조방대의 상면과 대면하도록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를 진공 흡착시켜 절곡시키는 흡착공이 형성될 수 있다. ㅣ
또한, 상기 히터모듈은 상기 제1 내지 제4 가공부에 의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이루는 상기 가공틀에 대응하여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이루도록 배치된 제1 내지 제4 히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히터부는 각각 폭방향으로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로 적층된 복수 개의 히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넓이 조정모듈은 가로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4 조정부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제1 가로 조정부; 가로방향으로 상기 제2 및 제3 조정부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제2 가로 조정부; 세로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조정부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제1 세로 조정부; 및 세로방향으로 상기 제3 및 제4 조정부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제2 세로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가로 조정부와 상기 제1 및 제2 세로 조정부는 각각 볼 스크류 장치 또는 실린더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4 가공부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 가공부 사이와, 상기 제2 및 제3 가공부 사이와, 상기 제3 및 제4 가공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 각각 설치된 보조 조방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방대와 상기 보조 조방대 사이의 간격을 메꾸도록 설치된 연결 조방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방대, 상기 보조 조방대 및 상기 연결 조방대의 상면 높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적어도 일측부가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를 덮도록 접합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가 가공틀의 상면의 둘레와 상하로 대면하도록 상기 가공틀의 상면의 중심부 방향으로 절곡시켜 배치한 후 배치된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의 상부에 상하로 상기 커버의 둘레를 중첩 배치하는 과정; 및 상기 가공틀의 상부에 배치된 히터부재를 하강시켜 상기 가공틀의 상면 둘레에 상하로 중첩 배치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와 상기 커버의 둘레를 스탬프 방식으로 동시에 가압하여 상하로 중첩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와 상기 커버의 둘레를 실링 접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적어도 일측부가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를 덮도록 접합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생산할 포장지의 규격에 맞게 가공틀과 히터모듈의 넓이를 조정하는 과정; 상기 본체가 상기 가공틀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하되,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가 상기 가공틀에 구비된 조방대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과정; 상기 조방대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를 상기 조방대의 상면으로 진공 흡착시켜 상기 조방대의 상면과 대면하도록 절곡시키는 과정; 상기 커버의 둘레가 상기 조방대의 상면과 대면하도록 절곡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를 덮도록 상기 커버를 배치하는 과정; 및 상기 히터모듈을 하강시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와 상하로 중첩된 상기 커버의 둘레를 스탬프 방식으로 가압하여 상기 커버의 둘레를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에 실링 접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포장지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공틀과 히터모듈을 생산하고자 하는 포장지의 규격(크기)에 대응하여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가변시켜 넓이를 자유롭게 조정함으로써 포장지의 규격과 무관하게 다양한 규격의 포장용 포장지를 생산하여 제품의 제조 원가를 종래 대비 낮추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틀의 상부에 히터모듈을 배치한 후 히터모듈을 하측으로 스탬프 방식으로 가압하여 커버를 본체에 실링 접합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포장지 원단의 손실을 줄이면서 접착특성을 개선하여 고품질의 포장지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와 커버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공틀 및 넓이 조정모듈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가공틀을 위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히터모듈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의 본체와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방대와 보조 조방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조방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제조된 포장지와 종래기술을 통해 제조된 포장지를 비교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공틀 및 넓이 조정모듈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장치(10)는 X축과 Y축 방향으로 각각 길이가 가변되어 실링 가공하고자 하는 포장지(4)의 규격에 대응하여 넓이(가로×세로)가 조정되는 가공틀(11)과, 가공틀(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스탬프(stamp) 방식으로 포장지(4)를 실링하는 히터모듈(12)과, 포장지(4)의 규격에 맞게 가공틀(11)의 넓이를 조정하는 제1 넓이 조정모듈(13)을 포함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가공틀을 위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공틀(11)은 위에서 바라볼 때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이루도록 가공틀(11)의 각 모서리 부위에 하나씩 배치된 제1 내지 제4 가공부(111~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가공부(111~114)는 제1 넓이 조정모듈(13)에 의해 가로방향(X축) 및 세로방향(Y축)으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내지 제4 가공부(111~114)는 배치되는 위치만 다를 뿐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가공부(111~114)는 각각 단면이 'L'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11a~114a)와, 지지대(111a~114a)의 상면에 고정되어 실링공정시 하강하는 히터모듈(12)에 대면하는 조방대(111b~114b)를 포함한다.
지지대(111a~114a)는 가공틀(11)의 각 모서리에 하나씩 배치되고, 위에서 바라볼 때 'ㄱ'자 또는 '역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단면은 조방대(111b~114b)가 상면에 고정되도록 'L'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조방대(111b~114b)는 진공 흡착을 위해 도 7과 같이, 관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흡착공(h)이 형성되어 있다. 흡착공(h)이 복수 개로 형성된 경우에는 일열 또는 다열로 조방대(111b~114b)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히터모듈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히터모듈(12)은 가공틀(11)의 넓이에 대응하여 넓이가 가변되도록 제1 내지 제4 히터부(121~124)를 포함하고, 이때, 제1 내지 제4 히터부(121~124)는 가공틀(11)에 대응하여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1 내지 제4 히터부(121~124)는 각각 도 8과 같이, 복수 개의 히터판(a)을 폭방향으로 수직으로 기립시킨 상태로 적층시켜 형성한다(원형안 참조). 이는 판상 구조의 히터판을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로 실링공정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실링공정시 히터판(a)에 고열이 가해질 때 자중에 의해 강도가 약해진 부위에서 히터판(a)의 쳐짐이나 휨 변형으로 인해 부위별로 접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도 5와 같이, 제1 넓이 조정모듈(13)은 가공틀(11)의 가로길이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 가로 조정부(131, 133)와, 가공틀(11)의 세로길이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 세로 조정부(132, 13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로 조정부(131, 133)와 제1 및 제2 세로 조정부(132, 134)는 각각 볼 스크류 장치 또는 실린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로 조정부(131)는 도 5와 같이,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신장되는 볼 스크류 장치(131a, 131b)로 이루어져 제1 및 제4 가공부(111, 114)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제2 가로 조정부(13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신장되는 볼 스크류 장치(133a, 133b)로 이루어져 제2 및 제3 가공부(112, 11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그리고, 제1 세로 조정부(132) 또한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신장되는 볼 스크류 장치(132a, 132b)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 가공부(111, 112)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제2 세로 조정부(134)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신장되는 볼 스크류 장치(134a, 134b)로 이루어져 제3 및 제4 가공부(113, 114)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 넓이 조정모듈(13)에 의해 넓이가 조정된 가공틀(11)의 제1 내지 제4 가공부(111~114) 사이에는 보조 조방대(14a~14d)가 설치된다.
보조 조방대(14a~14d)는 제1 내지 제4 가공부(111~114) 각각에 구비된 조방대(111b~114b)와 함께 실링고정시 히터모듈(12)에 대면하도록 설치되며, 스탬프 방식으로 히터모듈(12)을 하강시켜 실링할 때 히터모듈(12)을 받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조 조방대(14a~14d)는 포장지(4)의 본체(4a) 상단 둘레가 수평으로 안착되도록 상면이 수평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보조 조방대(14a~14d) 각각의 상면은 조방대(111b~114b)의 상면 높이 및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과 같이, 히터모듈(12)은 가공틀(11)의 넓이 조정에 대응하여 넓이가 조정되며, 이를 위해 히터모듈(12)의 넓이를 조정하는 제2 넓이 조정모듈(15)이 설치된다.
제2 넓이 조정모듈(15)은 제1 내지 제4 히터부(121~124)를 직선 운동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가로 조정부(151, 153)와, 제1 및 제2 세로 조정부(152, 154)를 포함하고, 이들은 예를 들어 볼 스크류 장치 또는 실린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로 조정부(151)는 제1 히터부(121)를 가로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키고, 제2 가로 조정부(152)는 제1 히터부(121)와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3 히터부(123)를 가로방향으로 직선 운동시켜 제1 및 제3 히터부(121, 123)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
제1 세로 조정부(152)는 제2 히터부(122)를 세로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키고, 제2 세로 조정부(154)는 제2 히터부(122)와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4 히터부(124)를 세로방향으로 직선 운동시켜 제2 및 제4 히터부(122, 124)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
제1 및 제2 넓이 조정모듈(13, 15)은 가공틀(11)의 넓이와 히터모듈(12)의 넓이를 동일하게 제어하기 위해 제어모듈(미도시)을 통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포장지(4)의 상단 둘레를 흡착하기 위해 제1 내지 제4 가공부(111~114)의 조방대(111b~114b)로 흡착용 에어를 제공하는 진공펌프(16)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포장지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의 본체와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각 과정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와 같이, 포장지(4)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본체(4a)와, 본체(4a)의 개구된 일측부, 예를 들면 도 9에서 개구된 상부를 덮어 밀폐하는 커버(4b)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4a)와 커버(4b)를 각각 준비한다.
이어서, 도 10과 같이, 생산하고자 하는 포장지(4)의 규격에 맞게 제1 넓이 조정모듈(13)을 이용하여 가공틀(11)의 넓이를 조정한다. 이때, 히터모듈(12)의 넓이 또한 제2 넓이 조정모듈(15)을 이용하여 가공틀(11)의 넓이와 동일하게 조정한다.
이어서, 도 11과 같이, 본체(4a)를 가공틀(11)의 외면을 감싸도록 삽입시킨다. 이때, 본체(4a)는 가공틀(11)을 일측으로 90°로 눕힌 상태에서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4a)를 가공틀(1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본체(4a)의 상단부가 가공틀(1)의 상면, 바람직하게는 조방대(111b~114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삽입시킨다. 이때, 돌출되는 부위(t)는 히터모듈(12)에 의해 커버(4b)의 둘레가 접합된다.
이어서, 도 12와 같이, 본체(4a)를 가공틀(1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진공펌프(16)를 가동시켜 제1 내지 제4 가공부(111~114)의 조방대(111b~114b)로 강한 흡입력을 제공한다. 조방대(111b~114b)로 공급된 흡입력은 흡입공(h)을 통해 조방대(111b~114b)의 상부에서 자중으로 인해 기울어진 본체(4a)의 상단부로 전달되고, 결국 본체(4a)의 돌출된 상단부는 조방대(111b~114b)의 상면으로 흡착되어 밀착된다.
이어서, 도 13 및 도 14와 같이, 가공틀(11)의 상부에 커버(4b)를 배치한 후 히터모듈(12)을 하강시켜 스탬프 방식으로 상하로 중첩되는 커버(4b)의 둘레부와 본체(4a)의 상단부 간의 중첩부를 고열로 가압하여 실링 접합한다. 이때, 커버(4b)의 둘레가 조방대(111b~114b)의 상면에 흡착된 본체(4a)의 상단부와 중첩되도록 배치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방대와 보조 조방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조방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와 같이, 가공틀(11)의 넓이가 증가하여 가공틀(11)에 고정된 조방대(111b~114b)와 길이가 고정된 보조 조방대(14a~14d)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간격을 메꾸기 위해 동일한 높이를 갖는 연결 조방대(17)가 설치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 및 도 8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장치는 가공틀과 히터모듈이 각각 생산하고자 하는 포장지의 규격에 대응하여 크기가 가변되는 가변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고정식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가공틀과 히터모듈은 일정한 규격을 갖는 고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가공틀은 제1 내지 제4 가공부가 서로 연결된 사각 테이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모듈은 상기 가공틀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1 내지 제4 히터부가 연결 고정된 'ㅁ'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4와 같이, 상기 가공틀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히터모듈을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시켜 서로 중첩된 상태로 상기 가공틀의 상부에 지지되는 본체(4a)의 둘레와 커버(4b)의 둘레를 스탬프 방식으로 도장을 찍듯이 동시에 실링 접합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제조된 포장지와 종래기술을 통해 제조된 포장지를 비교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종래, (b) 본 발명에 해당한다.
도 16의 (a)와 같이, 종래에는 히터부재가 가공틀의 측면에 배치되어 실링 접합면이 위쪽으로 향한 상태로 접합됨에 따라 물이나 습기 등이 침투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도 16의 (b)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제조된 포장지(4)는 본체(4a)의 상단부 둘레가 내측, 즉 가공틀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그 상부에 커버(4b)의 둘레가 상하로 중첩된 상태로 상부에 배치된 히터부재를 이용하여 스탬프 방식으로 실링 접합함에 따라 접합부에서 물이나 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으로,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4 : 포장지 1a, 4a : 본체
1b, 4b : 커버 2 : 파렛트
3 : 적재물 10 : 포장지의 제조장치
11 : 가공틀 12 : 히터모듈
13 : 제1 넓이 조정모듈 14a~14d : 보조 조방대
15 : 제2 넓이 조정모듈 16 : 진공펌프
17 : 연결 조방대 111~114 : 제1 내지 제4 가공부
111a~114a : 지지대 111b~114b : 조방대
h : 흡착공 121~124 : 제1 내지 제4 히터부
a : 히터판 131 : 제1 가로 조정부
132 : 제2 세로 조정부 133 : 제2 가로 조정부
134 : 제2 세로 조정부 131a,~134a, 131b~134b : 볼 스크류 장치
151 : 제1 가로 조정부 152 : 제2 세로 조정부
153 : 제2 가로 조정부 154 : 제2 세로 조정부

Claims (7)

  1. 적어도 일측부가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를 덮도록 접합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포장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가 상기 상면의 둘레와 상하로 대면하도록 상기 상면의 중심부 방향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 상부에는 상하로 상기 커버의 둘레가 중첩 배치되는 가공틀; 및
    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가공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둘레 전체를 상부에서 하부로 동시에 가압하되, 상기 가공틀의 상면 둘레에서 서로 상하로 중첩 배치된 상기 커버의 둘레 전체와 상기 가공틀의 중심부 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 전체를 스탬프 방식으로 동시에 가압 융착하여 실링 접합하는 히터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모듈은 상기 가공틀에 대응하여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이루도록 배치된 제1 내지 제4 히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히터부는 각각 폭방향으로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로 적층된 복수 개의 히터판을 포함하는 포장지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틀과 상기 히터모듈은 넓이가 고정되는 포장지의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적어도 일측부가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를 덮도록 접합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가 가공틀의 상면의 둘레와 상하로 대면하도록 상기 가공틀의 상면의 중심부 방향으로 절곡시켜 배치하고, 절곡 배치된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의 상부에 상하로 상기 커버의 둘레를 중첩 배치하는 과정; 및
    상기 가공틀의 상부에 배치된 히터모듈을 하강시켜 상기 커버의 둘레 전체를 상부에서 하부로 동시에 가압하고, 이를 통해 상기 가공틀의 상면 둘레에서 서로 상하로 중첩 배치된 상기 커버의 둘레 전체와 상기 가공틀의 중심부 방향으로 절곡 배치된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측부의 둘레 전체를 스탬프 방식으로 동시에 가압 융착하여 실링 접합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모듈은 상기 가공틀에 대응하여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이루도록 배치된 제1 내지 제4 히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히터부는 각각 폭방향으로 수직으로 기립된 상태로 적층된 복수 개의 히터판을 포함하여 상기 커버의 둘레 전체를 상부에서 하부로 동시에 가압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220052927A 2021-11-12 2022-04-28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KR102548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927A KR102548176B1 (ko) 2021-11-12 2022-04-28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746A KR102476399B1 (ko) 2021-11-12 2021-11-12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KR1020220052927A KR102548176B1 (ko) 2021-11-12 2022-04-28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746A Division KR102476399B1 (ko) 2021-11-12 2021-11-12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790A KR20230069790A (ko) 2023-05-19
KR102548176B1 true KR102548176B1 (ko) 2023-06-27

Family

ID=844404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746A KR102476399B1 (ko) 2021-11-12 2021-11-12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KR1020220052927A KR102548176B1 (ko) 2021-11-12 2022-04-28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746A KR102476399B1 (ko) 2021-11-12 2021-11-12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63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8140B2 (ja) * 2006-10-20 2013-04-10 日新産商株式会社 外装容器に用いられる内装袋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外装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957A (ja) * 1985-09-04 1987-03-10 Ricoh Co Ltd イメ−ジセンサ
KR101687224B1 (ko) * 2015-03-27 2016-12-28 김대영 상자 포장용 장치 및 상자 포장 방법
KR101636056B1 (ko) 2015-09-18 2016-07-04 영 학 김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8140B2 (ja) * 2006-10-20 2013-04-10 日新産商株式会社 外装容器に用いられる内装袋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外装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399B1 (ko) 2022-12-09
KR20230069790A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696B1 (ko) 포장상자의 테두리 절곡용 형틀체
RU23886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аковки изделий из минеральной ваты и упаковка минеральной ваты
KR20180120687A (ko) 개선된 포장 기계
KR20100027837A (ko) 모서리가 강화된 포장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포장박스제조장치
CN102700850B (zh) 用于液晶玻璃面板包装的支撑架
KR101440881B1 (ko) 종이 포장상자용 앵글
CN211195103U (zh) 一种包装盒外侧贴纸折边压紧装置
KR102548176B1 (ko)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CN204957317U (zh) 光伏组件包装结构
CN210971757U (zh) 一种真空包装机用夹袋装置
KR102081918B1 (ko) 과일 포장상자
CN204528317U (zh) 用于堆码烟箱的支撑夹持装置、烟箱堆垛单元以及烟箱堆码结构
CN103434703A (zh) 高强度以纸代木瓦楞包装箱
CN211869904U (zh) 一种纸质包装袋压缩装置
CN213383229U (zh) 一种纸箱箱盖压合装置
CN106182895A (zh) 贴盒机
JP7130451B2 (ja) 蓋閉めハンド
JP3156325U (ja) 紙材製品エッジ制御装置
KR100774025B1 (ko) 포장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포장장치
TWM544476U (zh) 塑膠袋內方型物件的真空封裝裝置
CN218594733U (zh) 一种用于棉被打包的叠放装置
CN212829527U (zh) 一种纸箱包装用填充压紧机构
CN212173164U (zh) 一种内置纳米纤维素包装膜的包装盒
CN217073697U (zh) 一种曲面片料包柔性片料用折边贴合机
CN217754242U (zh) 一种新型yb55小盒透明纸包装机辅助烟包提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