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056B1 -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056B1
KR101636056B1 KR1020150132253A KR20150132253A KR101636056B1 KR 101636056 B1 KR101636056 B1 KR 101636056B1 KR 1020150132253 A KR1020150132253 A KR 1020150132253A KR 20150132253 A KR20150132253 A KR 20150132253A KR 101636056 B1 KR101636056 B1 KR 10163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fabric
pallet
manufactur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학 김
Original Assignee
영 학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학 김 filed Critical 영 학 김
Priority to KR102015013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08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레트(Pallet)에 적재된 적재물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포장지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지를 제조함에 있어, 작업의 간소화를 가져오게 하여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져오는 등 작업효율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며,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원단의 따내기 등이 필요없어 원단의 로스 방지로 인한 원단의 절감을 가져오는 등 생산단가의 하락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포장지를 제조함에 있어, 간소화된 씰링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 내구성의 향상을 가져오면서도, 규격에 맞는 사이즈로의 원하는 형상 제작이 가능하여 외관의 매끄러움이 향상되게 하기 위한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Pallet Load wrapping packaging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파레트(Pallet)에 적재된 적재물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포장지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작업의 간소화로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원단의 로스(Loss)를 없애 원단의 절감에 따라 단가를 절감시키며, 적재물의 형태에 맞게 원하는 형태로 제조가 가능한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공정을 통해 물품이 생산되면 그 물품은 생산라인으로부터 포장라인으로 이송되고, 라인상에서 일정 단위의 박스로 포장되어 컨베이어를 타고 적재부로 이동된다. 이때, 각종 물품을 포장박스나 합성수지재 상자 등에 담아서 일반 파렛트 상에 적층하여 운반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수분이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적재물을 보호하기 위해 적재물을 비닐 등을 이용하여 포장 보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포장은 종래에는 비닐을 이용하여 적재물의 둘레를 랩핑 포장하도록 함에 따라 랩핑 작업시 여러 명의 인력을 필요로 하고, 1회용으로서 포장비용이 과다 소요되고, 사용된 랩핑지는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최근에 들어 비닐원단을 이용하여 적재물의 둘레 및 상부가 커버되도록 적재물을 씌워 마감할 수 있도록 별도의 포장지가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포장지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1)한겹의 비닐원단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2)그 절단면에 대하여 양단을 연결하는 1차 씰링을 수행하여 원통 형태를 이루며, 3)원통 형태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2차 씰링을 수행하며, 4)원통 형태를 파레트의 형상과 같이 사각 형태를 이루기 위해 상단부 양측을 따내기 절단하며, 5)상단부를 사각 형태로 접기를 수행하며, 6) 따내기로 인한 개방부에 대하여 씰링을 수행하여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지는 그 포장지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당히 복잡한 다수회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 제작상의 난해함과 이에 따른 작업 효율성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제작과정에서 따내기를 수행하게 되는 것인바, 원단의 로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포장지는 다수회에 걸친 씰링 작업으로 포장지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포장지의 모양(디자인) 또한 매끄럽지 못하는 등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7-00159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포장지를 제조함에 있어, 작업의 간소화를 통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며,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원단의 따내기 등이 필요없어 원단의 로스 방지로 인한 원단을 절감시키는 등 생산단가의 하락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포장지를 제조함에 있어, 간소화된 씰링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 내구성의 향상을 가져오면서도, 규격에 맞는 사이즈로의 원하는 형상 제작이 가능하여 외관의 매끄러움이 향상되게 하기 위한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닐원단을 포장지의 원통형 몸체부와, 사각 판지형 덮개부에 해당하게 절단하여 준비하는 원단 재단단계; 및 상기와 같이 준비된 원통형 몸체부의 상단을 사각 판지형 덮개부의 가장자리와 접한 상태에서 씰링을 수행하여 접착을 수행하는 씰링단계를 포함하며, 원단 재단단계는, 파레트의 둘레를 고려하여 미리 제작된 펼쳤을때 원통을 이루는 이중겹 원단을 이용하되, 파레트 적재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절단하여 몸체부를 이루는 몸체부 재단단계; 및 몸체부를 펼쳤을때 그 개방된 둘레에 해당하는 면적의 폭에 해당하게 미리 제작된 단일겹 원단을 이용하되, 몸체부의 개방부 면적의 길이에 해당하게 절단하여 덮개부를 이루는 덮개부 재단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며, 씰링단계는, 몸체부의 사각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사각 테이블을 이루고, 그 테이블의 일측에는 씰링기가 형성된 씰링장치를 구비하되, 몸체부로 테이블을 깜싸 상단이 사각 형태를 이루게 하고, 테이블의 상부면에는 덮개부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몸체부 및 덮개부를 90°회전시켜가면서 가장자리를 씰링기로 진입 및 씰링을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은, 먼저 원통 형태로 기 제작된 원단을 재단 준비하고, 그 상단을 별도의 사각 원단으로 씰링 마감하는 등 간소화된 작업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이 현격히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제조과정에서 적확히 제단된 원단을 씰링 접착함으로 원단의 로스가 전혀 없는 등 원단이 현격한 절감되며, 이에 따른 생산단의 하락으로 인한 경쟁력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포장지의 내구성 취약부인 씰링 접축부가 최소화 되어, 포장지 내구성의 향상을 가져오면서도 외관상으로 모양이 매끄러운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파레트 규격에 맞게 원하는 사이즈로의 형상 제작이 가능하게 되는 등 이 또한 원단의 절감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의 원단 재단단계 간략도.
도 4는 본 발명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의 씰링단계 간략도.
도 5는 본 발명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의 씰링단계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의 검사단계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이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은, 원단 재단단계(S100)와, 씰링단계(S200)를 수행하여 된다.
여기서, 상기 원단 재단단계(S100)는, 포장지의 자재로 사용되는 비닐원단을 포장지의 원통형 몸체부(10)와, 사각 판지 형태의 덮개부(20)를 이루게 절단하여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때, 원단 재단단계(S100)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몸체부 재단단계(S110)와 덮개부 재단단계(S120)를 수행하여 된다.
이때, 몸체부 재단단계(S110)는, 이중겹으로 이루어져 펼쳤을때 상/하부가 관통된 형태를 이루는 원통형 원단을 준비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원단은 펼쳤을때 개방부의 직경이 파레트의 둘레를 고려하여(파레트의 둘레보다 일정범위내에서 크게 적용함이 바람직함) 미리 제작된 원단을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몸체부 재단단계(S110)에서는 상기와 같이 준비된 원통형 원단을 파레트 적재물의 높이를 고려하여(적재물의 높이보다 일정범위내에서 길게 적용함이 바람직함) 절단하면 되는 것으로, 이렇게 절단된 원단은 (a)와 같이 상/하부가 관통된 형태의 몸체부(10)를 이루게 된다.
또한, 덮개부 재단단계(S120)는, 단일겹으로 이루어지며 몸체부(10)를 펼쳤을때 그 개방된 둘레에 해당하는 면적의 폭(가로 또는 세로)을 고려하여 미리 제작된 단일겹 원단을 준비하면 되는 것으로, 준비된 원단을 상기 몸체부(10)를 펼쳤을때 개방부 면적의 길이(가로 또는 세로)에 해당하는 길이로 절단하면 되는 것이며, 절단된 원단은 (b)와 같이 몸체부(10)의 개방부 면적에 해당하는 사각 형태의 덮개부(20)를 이루게 된다.
이후, 씰링단계(S200)는, 상기와 같이 준비된 원통형 몸체부(10)의 상단을 사각 판지형 덮개부(20)를 이용하여 마감하게 된다.
즉, 도 4의 도시와 같이 몸체부(10)가 펼쳐진 상태에서 덮개부(20)를 몸체부(10)의 상단에 접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덮개부(20)의 둘레가 몸체부(10) 상단의 내측면에 소정 접해지게 하면 되는 것이며, 이에, 그 접부에 대하여 씰링 접착을 수행하면 된다.
이에, 덮개부(20)의 둘레 네면에는 몸체부(10)의 상단이 씰링 접착된 형태를 이루는 포장지(1)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인바, 몸체부(10)의 상부가 덮개부(20)로 마감된 형태를 이루며, 이때 몸체부(10)는 덮개부(20)의 사각 형태와 같이 사각기둥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몸체부(10)와 덮개부(20)를 씰링 접착함에 있어서 그 씰링방법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열용착 또는 초음파 용착 등과 같은 열을 이용한 접착이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씰링단계(S200)를 수행함에 있어 실시예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씰링장치(100)를 이용하여 가능한 것으로,
씰링장치(100)는, 먼저, 몸체부(10)의 사각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사각 테이블(110)이 구성된다.
그리고, 테이블(110)의 상부면 일측에는 씰링기(120)가 근접 설치된다.
이에, 몸체부(10)로 테이블(110)을 감싸되, 몸체부(10)의 상단이 테이블(110)의 상단에 위치되게 하면 되고, 연속하여 테이블(110)의 상부면에는 덮개부(20)를 안착시키되, 이때 안착된 덮개부는 몸체부(10)의 상부를 마감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몸체부(10)의 상단과 덮개부(20)의 둘레에 대하여 씰링작업을 수행하되, 먼저, 몸체부(10)의 상단과 덮개부(20) 둘레의 어느 한 면을 접한 상태로 씰링기(120) 측으로 진입 및 씰링기(120)를 작동하여 씰링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며, 이러한 씰링 작업은 몸체부(10) 및 덮개부(20)를 테이블(110)을 따라 90°간격으로 회전해가면서 수행하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사각 형태의 테이블(110)을 이용하여 씰링을 수행하게 되면 항시 몸체부(10)의 사각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의 작업이 가능한 것인바, 씰링부에 대한 정확하면서도 간편한 씰링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6의 도시와 같이 테이블(110)의 하부에는 통상의 바람 발생이 가능한 팬(Fan) 작동하는 바람주입수단(130)을 더 포함하고, 테이블(110)의 씰링기(120) 측 모서리부에는 바람주입수단(130)으로부터 주입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바람배출공(11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이때, 바람주입수단(130)은 별도의 페달이나 레버(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해 작동 가능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고, 바람배출공(111)은 씰링기(120)측으로 경사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씰링작업을 수행후, 선택적으로 바람주입수단(130)을 작동시켜 씰링부에 대한 냉각 및 씰링상태의 검사가 가능한 냉각 검사단계(S300)을 선택적으로 더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씰링부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몸체부(10)와 덮개부(20)의 씰링과 동시에 신속한 냉각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냉각은 씰링시 발생된 열이 원단에 잔존하여 그 원단이 누러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긴밀한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기의 주입은 씰링부에 대하여 접착상태의 검사가 가능한 것으로, 이는 토출되는 공기가 씰링부로 토출되어 만약 씰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시에는 공기가 씰링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될 것이고, 만약 긴밀한 씰링이 이루어졌다면 공기가 씰링부로 통과되지 않고 몸체부(10)의 내측이 팽창되는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이러한 현상을 확인함으로 씰링부에 대한 긴밀한 접착상태의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은, 포장지를 제조함에 있어 재단과 씰링 등 간소화된 작업으로의 제조가 가능하여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져오는 등 생산 효율성의 현격한 향상을 가져오면서도 정확한 재단 및 씰링 작업이 가능하여 따내기 등으로 인한 원단에 대한 로스(loss)가 없어 원단의 절감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확한 사이즈로의 제작과 외관상의 미려함과 내구성이 향상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등 품질의 향상에 따른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10 : 몸체부 20 : 덮개부
100 : 씰링장치 110 : 테이블
111 : 바람배출공 120 : 씰링기
130 : 바람주입수단

Claims (4)

  1.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닐원단을 포장지의 원통형 몸체부(10)와, 사각 판지형 덮개부(20)에 해당하게 절단하여 준비하는 원단 재단단계(S100); 및
    상기와 같이 준비된 원통형 몸체부(10)의 상단을 사각 판지형 덮개부(20)의 가장자리와 접한 상태에서 씰링을 수행하여 접착을 수행하는 씰링단계(S200);
    를 포함하되,
    상기 씰링단계(S200)에서는,
    상기 몸체부(10)의 사각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사각 테이블(110)을 이루고, 그 테이블의 일측에는 씰링기(120)가 형성된 씰링장치(100)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부(10)로 테이블(110)을 감싸 상단이 사각 형태를 이루게 하고, 테이블(110)의 상부면에는 덮개부(2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몸체부(10) 및 덮개부(20)를 90°회전시켜가면서 가장자리를 씰링기로 진입 및 씰링을 수행하며,
    상기 씰링단계(S200)에서,
    상기 테이블(110)의 하부에는 바람주입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테이블(110)의 씰링기 측 모서리부에는 바람주입수단(130)으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다수의 바람배출공(11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씰링후 연속하여 공기를 발생시켜 씰링부의 급속 냉각 및 씰링 상태의 검사를 수행하는 냉각 검사단계(S300)를 선택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원단 재단단계(S100)는,
    파레트의 둘레를 고려하여 미리 제작된 펼쳤을때 원통을 이루는 이중겹 원단을 이용하되, 파레트 적재물의 높이를 고려하여 절단하여 몸체부(10)를 이루는 몸체부 재단단계(S110); 및
    몸체부(10)를 펼쳤을때 그 개방된 둘레에 해당하는 면적의 폭에 해당하게 미리 제작된 단일겹 원단을 이용하되, 몸체부(10)의 개방부 면적의 길이에 해당하게 절단하여 덮개부(20)를 이루는 덮개부 재단단계(S120);
    를 포함하는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50132253A 2015-09-18 2015-09-18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 KR101636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253A KR101636056B1 (ko) 2015-09-18 2015-09-18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253A KR101636056B1 (ko) 2015-09-18 2015-09-18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056B1 true KR101636056B1 (ko) 2016-07-04

Family

ID=5650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253A KR101636056B1 (ko) 2015-09-18 2015-09-18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0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303B1 (ko) 2017-11-27 2018-04-27 (주)삼보 위생자재용 부직포 시트의 폴딩장치
KR20200050244A (ko) 2018-11-01 2020-05-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파레트 적재품 보호용 커버 융착방법 및 장치
KR102476399B1 (ko) 2021-11-12 2022-12-09 김영학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5972A (ko) 2007-01-17 2007-02-06 안병석 파렛트 포장용 비닐 포장재
JP2009062090A (ja) * 2006-10-20 2009-03-26 Nisshin Sansho Kk 外装容器に用いられる内装袋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外装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2090A (ja) * 2006-10-20 2009-03-26 Nisshin Sansho Kk 外装容器に用いられる内装袋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外装容器
KR20070015972A (ko) 2007-01-17 2007-02-06 안병석 파렛트 포장용 비닐 포장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303B1 (ko) 2017-11-27 2018-04-27 (주)삼보 위생자재용 부직포 시트의 폴딩장치
KR20200050244A (ko) 2018-11-01 2020-05-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파레트 적재품 보호용 커버 융착방법 및 장치
KR102157232B1 (ko) * 2018-11-01 2020-09-1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파레트 적재품 보호용 커버 융착방법 및 장치
KR102476399B1 (ko) 2021-11-12 2022-12-09 김영학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KR20230069790A (ko) 2021-11-12 2023-05-19 영 학 김 포장지의 제조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렛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3777B2 (ja) フラットシートで構成される複合体、複合体を得る方法、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品物を包装する方法
KR101636056B1 (ko) 파레트 적재물 포장용 포장지 제조방법
US3779447A (en) Boilable bakeable package and method
ITTV20100164A1 (it) Dispositivo per il confezionamento sottovuoto, particolarmente di prodotti alimentari
US4610885A (en) Packaging of a block of cheese or other soft product
US9045250B2 (en) One piece bulk bin having an automatically-erecting bottom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the same
MX2010013865A (es) Charola termoplastica.
JP2008297012A (ja) 緊密に物品を挟持する気体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BR112014022917B1 (pt) Bandeja de papel fabricada por repuxamento profundo, método e dispositivo para fabricação da mesma e uma embalagem de produto em forma de bandeja
WO2009106846A1 (en) A container and blank
US3866816A (en) Boilable bakeable package and method
CN106144123A (zh) 基于竹材应用的一种物流周转箱及其制造方法
WO2005000706B1 (en) Food bag release valve
EP3018071A1 (en) Packaging for protecting objec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184452A1 (en) Method of erecting blanks
US20050230464A1 (en) Asparagus shipping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of packing asparagus for transport
JP2006306423A (ja) 湿気硬化型シーリング材の充填包装方法
CN105383762A (zh) 带有两个相抵靠储物壳体的包装条盒
KR100774025B1 (ko) 포장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포장장치
RU92413U1 (ru) Влагостойкий транспортный гофроконтейнер
US2633238A (en) Container for fruits and vegetables
US20240124219A1 (en) Leaf Vegetable Packaging Tray
CN213863142U (zh) 一种可拆卸包装纸箱
CN211711559U (zh) 包装结构
ES2394577B2 (es) Envase que puede volver a cerrarse, maquina envasadora y procedimiento para producir un envase que puede volver a cerrar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