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610B1 -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610B1
KR102547610B1 KR1020220050561A KR20220050561A KR102547610B1 KR 102547610 B1 KR102547610 B1 KR 102547610B1 KR 1020220050561 A KR1020220050561 A KR 1020220050561A KR 20220050561 A KR20220050561 A KR 20220050561A KR 102547610 B1 KR102547610 B1 KR 102547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circular
dip tube
socket connector
dip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훈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앤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앤티씨 filed Critical (주)제이앤티씨
Priority to KR102022005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005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6Folding; Pl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15Edge treatment of cans or tins
    • B21D51/263Flan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3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clips, clamps, or like fastening or attaching devices, e.g. for electric instal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딥소켓하우징의 가공과정에 가공스트레스로 인한 가공금형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과 더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에 있어서, 딥소켓하우징의 성형을 위한 판재를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판재공급과정과 상기 판재공급과정을 통하여 공급된 판재를 반복 타격하여 원형딥관체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원형딥관체가공과정, 상기 원형딥관체가공과정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일측 이상을 타격하여 원형딥관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접어져 가공성형되는 플랜지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플랜지성형과정, 상기 플랜지성형과정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를 타원딥관체로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타원딥관체성형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딥소켓하우징의 가공과정에 있어 가공스트레스로 인한 가공금형의 내구성저하가 방지되는 효과와 더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Electronic device deep drawing socket connector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에 있어서, 원형딥관체가공과정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일측 이상을 타격하여 원형딥관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접어져 가공성형되는 플랜지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플랜지성형과정과 상기 플랜지성형과정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를 타원딥관체로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타원딥관체성형과정으로 이루어져 딥소켓하우징의 가공과정에 가공스트레스로 인한 가공금형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과 더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는 소켓하우징을 용접 또는 조립구조가 아닌 딥드로잉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은 딥소켓하우징의 성형을 위한 판재를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판재공급과정과 상기 판재공급과정을 통하여 공급된 판재를 반복 타격하여 원형딥관체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원형딥관체가공과정, 상기 원형딥관체가공과정을 통하여 가공된 원형딥관체를 타원딥관체로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타원딥관체성형과정 및 상기 타원딥관체성형과정 및 상기 원형딥관체가공과정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일측 이상을 타격하여 원형딥관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접어져 가공성형되는 플랜지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플랜지성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을 통한 딥드로잉 소켓하우징의 가공은 딥드로잉을 통하여 용접 또는 조립이 아닌 드로잉을 통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생산공정이 단순화된 딥드로잉 소켓하우징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은 원형딥관체가공과정을 통하여 가공형성된 원형딥관체를 타원딥관체성형과정을 통하여 타원딥관체로 가공하는 과정에 굽힘 변형이 많은 장직경의 양측 단보다 굽힘 변형이 적은 단직경의 상하면이 변형과정에 연신이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져 장직경의 양측 단보다 단직경의 상하면 타원딥관체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타원딥관체의 장직경인 양측단보다 단 직경인 상하면이 두께가 얇은 상태에서 타원딥관체의 상단 또는 하단을 타격하는 플랜지성형과정을 통하여 플랜지를 성형하게 되면 플랜지가 성형되는 장직경인 양측단의 가공하중이 단직경인 상하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플랜지 성형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금형이 부분적인 스트레스를 받아 손상이 발생하며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8-0079144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에 있어, 원형딥관체를 타원딥관체성형과정을 통하여 타원딥관체로 가공하는 과정에 굽힘 변형이 많은 장직경의 양측 단보다 굽힘 변형이 적은 단직경의 상하면이 변형과정에 연신이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져 장직경의 양측 단보다 단직경의 상하면 타원딥관체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타원딥관체의 상단 또는 하단을 타격하는 플랜지성형과정을 통하여 플랜지를 성형하게 되면 플랜지가 성형되는 장직경인 양측단의 가공하중이 단직경인 상하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플랜지 성형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금형이 부분적인 스트레스를 받아 손상이 발생하며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에 있어서, 딥소켓하우징의 성형을 위한 판재를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판재공급과정과 상기 판재공급과정을 통하여 공급된 판재를 반복 타격하여 원형딥관체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원형딥관체가공과정, 상기 원형딥관체가공과정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일측 이상을 타격하여 원형딥관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접어져 가공성형되는 플랜지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플랜지성형과정, 상기 플랜지성형과정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를 타원딥관체로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타원딥관체성형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판재공급과정의 판재는 연속되는 띠형태로 공급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딥관체가공과정의 원형딥관체는 그 돌출단부가 막혀진 상태로 가공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딥관체가공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원형딥관체의 딥관체의 막혀지 돌출단부는 플랜지성형과정 이후의 가공과정에 폐쇄단부제거과정을 통하여 절단제거되어 개구되게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타원딥관체성형과정 이후에 타원딥관체의 단부 또는 측벽에 천공 또는 절단의 프레스가공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형딥관체가공과정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일측 이상을 타격하여 원형딥관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접어져 가공성형되는 플랜지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플랜지성형과정과 상기 플랜지성형과정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를 타원딥관체로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타원딥관체성형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딥소켓하우징의 가공과정에 있어 가공스트레스로 인한 가공금형의 내구성저하가 방지되는 효과와 더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의 순서도.
도 2 는 종래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의 상세 예시도.
도 3 은 종래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 단부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 상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 다른 실시 가공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가공스트레스로 인한 가공금형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함과 더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에 있어서, 판재공급과정(100)과 원형딥관체가공과정(200), 플랜지성형과정(300) 및 타원딥관체성형과정(40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판재공급과정(100)과 딥소켓하우징의 성형을 위한 판재를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판재공급과정(100)의 판재는 연속되는 띠형태로 공급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형딥관체가공과정(200) 상기 판재공급과정(100)을 통하여 공급된 판재를 반복 타격하여 원형딥관체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원형딥관체가공과정(200)의 원형딥관체는 그 돌출단부가 막혀진 상태로 가공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랜지성형과정(300) 상기 원형딥관체가공과정(200)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일측 이상을 타격하여 원형딥관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접어져 가공성형되는 플랜지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타원딥관체성형과정(400) 상기 플랜지성형과정(300)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를 타원딥관체로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원형딥관체가공과정(200)을 통하여 형성된 원형딥관체의 딥관체의 막혀지 돌출단부는 플랜지성형과정(300) 이후의 가공과정에 폐쇄단부제거과정(510)을 통하여 절단제거되어 개구되게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타원딥관체성형과정(400) 이후에 타원딥관체의 단부 또는 측벽에 천공 또는 절단의 프레스가공과정(520)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에 있어서, 딥소켓하우징의 성형을 위한 판재를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판재공급과정(100)과 상기 판재공급과정(100)을 통하여 공급된 판재를 반복 타격하여 원형딥관체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원형딥관체가공과정(200), 상기 원형딥관체가공과정(200)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일측 이상을 타격하여 원형딥관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접어져 가공성형되는 플랜지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플랜지성형과정(300), 상기 플랜지성형과정(300)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를 타원딥관체로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타원딥관체성형과정(40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딥소켓하우징의 가공과정에 있어 가공스트레스로 인한 가공금형의 내구성저하가 방지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원형딥관체가공과정(200)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의 전체적인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원형딥관체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한 곳 이상을 타격하는 플랜지성형과정(300)을 통하여 플랜지를 성형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가공하중이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성형에 의하여 플랜지가 성형되고 금형에도 균일한 하중이 작용되어 금형에 부분 집중하중이 작용되지 않아 내구성 향상되고 플랜지 가공의 작업속도도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랜지성형과정(300)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를 측면에서 가압하는 타원딥관체로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타원딥관체성형과정(400)를 통하여 가공하게 되면 타원딥관체로의 성형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00 : 판재공급과정과
200 : 원형딥관체가공과정
300 : 플랜지성형과정
400 : 타원딥관체성형과정
510 : 폐쇄단부제거과정
520 : 프레스가공과정

Claims (5)

  1.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에 있어서;
    판재공급과정을 통하여 공급된 판재를 반복 타격하여 원형딥관체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원형딥관체가공과정과
    상기 원형딥관체가공과정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일측 이상을 타격하여 원형딥관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접어져 가공성형되는 플랜지를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플랜지성형과정,
    상기 플랜지성형과정을 통하여 가공성형된 원형딥관체를 타원딥관체로 가공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타원딥관체성형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판재공급과정의 판재는 연속되는 띠형태로 공급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원형딥관체가공과정의 원형딥관체는 그 돌출단부가 막혀진 상태로 가공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원형딥관체가공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원형딥관체의 딥관체의 막혀지 돌출단부는 플랜지성형과정 이후의 가공과정에 폐쇄단부제거과정을 통하여 절단제거되어 개구되게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타원딥관체성형과정 이후에 타원딥관체의 단부 또는 측벽에 천공 또는 절단의 프레스가공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
KR1020220050561A 2022-04-25 2022-04-25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 KR102547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561A KR102547610B1 (ko) 2022-04-25 2022-04-25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561A KR102547610B1 (ko) 2022-04-25 2022-04-25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610B1 true KR102547610B1 (ko) 2023-06-27

Family

ID=8694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561A KR102547610B1 (ko) 2022-04-25 2022-04-25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6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971B1 (ko) * 2016-06-24 2017-08-25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전자기기 커넥터 플러그용 쉘 가공방법
KR101939585B1 (ko) * 2018-07-13 2019-01-17 지엔티주식회사 Usb-c 타입의 드로잉 소켓 제조방법
KR20190077881A (ko) * 2017-12-26 2019-07-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드로잉 쉘 제조 방법
KR102091990B1 (ko) * 2018-09-21 2020-03-24 (주)시에스 차량의 배기가스용 열교환 케이스 제조방법
KR102340586B1 (ko) * 2021-03-22 2021-12-20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경화접착 오링형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경화접착 오링형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971B1 (ko) * 2016-06-24 2017-08-25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전자기기 커넥터 플러그용 쉘 가공방법
KR20190077881A (ko) * 2017-12-26 2019-07-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드로잉 쉘 제조 방법
KR101939585B1 (ko) * 2018-07-13 2019-01-17 지엔티주식회사 Usb-c 타입의 드로잉 소켓 제조방법
KR102091990B1 (ko) * 2018-09-21 2020-03-24 (주)시에스 차량의 배기가스용 열교환 케이스 제조방법
KR102340586B1 (ko) * 2021-03-22 2021-12-20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경화접착 오링형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경화접착 오링형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6315B2 (ja) バーリング加工装置、バーリング加工方法、金属部品の製造方法、バーリング加工品及び金属部品
WO2014017436A1 (ja) フランジ付き成形部材のプレス加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曲げ工具
KR102547610B1 (ko) 전자기기 딥드로잉 소켓 커넥터 가공방법
WO2014192833A1 (ja) 有底缶の製造方法
KR100653679B1 (ko) 클린칭너트의 제조방법
JP6098246B2 (ja) バーリング加工用パンチおよびバーリング加工方法
KR100630598B1 (ko) 차량용 에어컨 머플러의 제조방법
JP5080613B2 (ja) プーリの成形方法
JP5392168B2 (ja) コイニング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3655081B2 (ja) 金属板のしぼり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JP2010227988A (ja) 鋼管の拡管成形方法および拡管成形装置
KR101543847B1 (ko) 버링부 가공장치 및 방법
KR19990046098A (ko) 플랜지를갖는볼트의제조방법
TWI757596B (zh) 具長槽孔之工件成型方法及其模具
JP2007075869A (ja) バーリング加工方法
JP5457151B2 (ja) 溶接用部材の製造方法
JP6170413B2 (ja) 板状ワークの打抜き加工方法及びパンチ金型
JP6052788B2 (ja) ワン型プラグの圧入方法
KR102244005B1 (ko) 차량의 머플러에 설치되는 왁스커버 제조방법
JPH05329559A (ja) 板状の素材を円筒容器状に成形するプレス法
JP2015080808A (ja) 板状ワークの打抜き加工方法及びパンチ
KR102067700B1 (ko) 전기모터용 베어링 쉴드 제조장치
CN216252474U (zh) 一种定子绕线槽成型前的封闭槽
JP4332046B2 (ja) 電線皮剥ぎ器の刃の加工方法
KR20150002611U (ko) 프레스용 펀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