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880B1 -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 Google Patents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880B1
KR102546880B1 KR1020200166444A KR20200166444A KR102546880B1 KR 102546880 B1 KR102546880 B1 KR 102546880B1 KR 1020200166444 A KR1020200166444 A KR 1020200166444A KR 20200166444 A KR20200166444 A KR 20200166444A KR 102546880 B1 KR102546880 B1 KR 102546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ic acid
acid solution
stainless steel
pickling
electrolytic pick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472A (ko
Inventor
김동훈
이용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66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8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1/00Electrolytic cleaning, degreasing, pickling or descaling
    • C25F1/02Pickling; Descaling
    • C25F1/04Pickling; Descaling in solution
    • C25F1/06Iron or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은 스테인리스강을 열간 압연하는 단계; 및 스테인리스강을 황산용액 전해조에 침지하고 전류를 인가하여 전해 산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황산용액은 하기 식(1)로 정의되는 전도도 값이 680 이상이다.
식 (1) 전도도(mS/m) = -177.192+5.164*C+4.092*T-0.0092*C2-0.013*T2
(여기서, C는 황산용액의 농도(g/L)이고, T는 전류 인가시, 황산용액의 온도(℃)이다.)

Description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STAINLESS STEEL ELECTROLYTIC PICKLING METHOD USING HIGHLY CONDUCTIVE SULFURIC ACID SOLUTION}
본 발명은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인리스강 열간압연 후 열연강판의 산세공정에 있어서, 높은 산세 효율을 확보할 수 있고, 전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은 열간압연 후에 강해진 조직을 연화시키는 열처리 과정을 거친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약 1,100℃의 온도에서 1~2분 동안 수행되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800~1,050℃의 온도에서 1~2분 동안 수행된다.
그러나, 열처리 공정에 의해 스테인리스강의 응력이 제거되고 탄화물의 재용해 등이 일어나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지만, 열처리 공정은 산화성 분위기에서 수행되므로 열간압연후 생성된 표면 스케일층과 모재의 계면 사이에는 Cr-리치 스케일(Cr-rich scale)이 형성된다. 이러한 Cr-리치 스케일은 Cr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여 형성된다. Cr 함량이 높은 경우 60% 정도의 Cr을 포함하는 스케일 층이 형성되고, Cr 함량이 낮은 경우에도 Cr 농도가 40~50% 정도의 스케일 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Cr-리치 스케일층 바로 아래에는 Cr농도가 낮은 Cr고갈층이 형성되고, 모재와의 계면에는 난용성의 Si 산화물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표층의 스케일은 우선 Scale Breaker, Shot Ball 투사 등의 방법을 통해 기계적으로 제거된다. 그러나, 10~20㎛ 두께의 스케일은 기계적인 스케일 제거 공정을 통해 거의 제거되지만, 0.5㎛ 두께의 스케일은 기계적으로 제거되지 않고 잔존하게 된다.
잔존하는 Cr 산화물층 및 Si 산화물층은 난용성으로, 이러한 스케일층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산세 방법이 필요하다. 난용성의 산화물층은 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단계적으로 제거한다. 우선, 황산 침지 공정을 통해 표층부에 약하게 결합된 스케일이 수소 발생에 의해 기계적 탈락에 의해 제거된다. 황산용액에서의 오스테나이트계 스케인리스강의 스케일 용해량은 약 1~2g/m2 정도이고, 페라이트계 스케인리스강에서 스케일 용해량은 15~20g/m2 정도이다.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과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해량 차이는 황산용액에 대한 내식성 차이에 기인한다. 즉, 황산용액에 대한 내식성이 높은 강의 경우 금속 이온의 용해 속도가 느리므로 수소 이온과 반응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므로, 용해량이 적다. 반면, 황산용액에 대한 내식성이 낮은 강의 경우, 금속의 용해가 쉽게 일어나고, 이때 발생되는 전자는 수소 이온에 의해 소모되어 수소 기포를 다량 발생시키므로 용해량이 증가한다.
황산 침지 공정 후에는 불산과 질산으로 이루어진 혼산조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Cr 산화물 및 Si 산화물을 용해하게 된다. 혼산조에서 충분한 산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황산 침지조에서부터 표층부의 스케일을 충분하게 제거해 주어야한다. 스케일이 과량 존재하는 상태에서 혼산조로 넘어오게 되면 용해 속도의 현저한 저하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혼산조에서 산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황산조에서 Cr 산화물층 및 Si 산화물층을 완전하게 제거해 주어야한다.
황산조에서 Cr 산화물층 및 Si 산화물층을 제거하기 위한 산세 방법으로는 직류 전해 산세 방법과 침지 산세 방법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101855호와 같은 직류 전해 산세방법은 종래 황산 침지 산세방법에 비해 작업성이 우수하고, 전해 산세 공정을 거친 최종 강 제품의 표면의 품질이 침지 산세한 강 제품보다 미려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해 산세 공정은 전기를 사용하므로, 침지 산세 공정보다 비용이 과다한 문제가 있어, 산세 효율성을 최대한 높이면서도, 산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황산 전해 산세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열간 압연후 열처리(또는 열처리 생략)한 열연 강판에 있어서, 산세 효율성을 최대한 높이면서도, 산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은 스테인리스강을 열간 압연하는 단계; 및 스테인리스강을 황산용액 전해조에 침지하고 전류를 인가하여 전해 산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황산용액은 하기 식(1)로 정의되는 전도도 값이 680 이상이다.
식 (1) 전도도(mS/m) = -177.192+5.164*C+4.092*T-0.0092*C2-0.013*T2
(여기서, C는 황산용액의 농도(g/L)이고, T는 전류 인가시, 황산용액의 온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슬러지(sludge)량은 10g/L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속이온 농도가 60g/L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황산용액의 온도는 50 내지 7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류를 인가 시 전류밀도는 20 내지 55A/dm2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류인가 시간은 5 내지 50초이내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산세 후 용해되는 스케일의 양은 9g/m2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해 산세 후, 전해 산세된 스테인리스강을 질산 및 불산을 포함하는 혼산조에 침지하여 산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혼산조 침지 산세에 의해 용해되는 스케일 양은 23g/m2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해 산세 및 혼산조 산세에 의해 용해되는 스케일의 양은 30g/m2 초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혼산조 침지는 40초 내지 6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열간 압연 후, 열연 소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은 고전도도 황산용액을 직류 전해 산세 방법에 적용함으로써, 산세 용액의 저항이 감소됨에 따라 전해 효율이 향상되고 전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황산 전해조에서 황산용액의 전도도를 높이고, 황산용액의 금속이온 농도 및 슬러지 농도를 제한할 경우, 높은 산세효율을 확보할 수 있고, 후속 공정인 혼산조에서 산세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열간 압연 후 열처리에 의해 생성된 Cr 산화물층 및 Si 산화물층을 제거하기 위한 황산 전해 산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테인리스강을 열간 압연하는 단계; 및 스테인리스강을 황산용액 전해조에 침지하고 전류를 인가하여 전해 산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스테인리스강을 마련하여 열간 압연하고, 압연된 스테인리스강을 열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열간 압연하는 단계와 열처리하는 단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압연된 스테인리스강을 열처리하는 단계는 스테인리스강의 종류에 따라 또는 별도의 잔류 응력 제거의 수단을 구비한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어서, 열처리된 스테인리스강은 스케일 브레이커(Scale Breaker), 쇼트 볼(Shot Ball) 투사 등의 방법을 통해 열간압연 및 열처리에 의해 생성된 Cr 산화물층 및 Si 산화물층을 기계적으로 제거한다.
이후, 잔존하는 난용성의 Cr 산화물층 및 Si 산화물층을 제거하기 위해 스테인리스강을 황산용액 전해조에 침지하고 전류를 인가하여 전해 산세한다.
이때, 황산용액은 하기 식(1)로 정의되는 전도도 값이 680 이상일 수 있다.
식 (1) 전도도(mS/m) = -177.192+5.164*C+4.092*T-0.0092*C2-0.013*T2
(단, C는 황산용액의 농도(g/L)이고, T는 전류 인가시, 황산용액의 온도(℃)이다)
전류를 인가 시 전류밀도는 20 내지 55A/dm2일 수 있고, 전류인가 시간은 5 내지 50초일 수 있다.
또한, 전해 산세 후 용해되는 스케일의 양은 9g/m2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황산용액의 농도 및 온도를 제어하여, 황산용액의 전도도를 높일수록 용액의 저항이 감소됨에 따라 전해 효율이 향상되고, 식 (1)로 정의되는 전도도 값이 680인 이상인 경우, 산세에 의한 총 용해량을 30g/L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고, Cr 농도가 높은 스케일(Cr-rich scale) 제거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1)에 따르면, 황산 농도와 전도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용액 온도 65℃ 조건에서, 황산 농도가 200g/L일 경우, 용액의 전도도는 약 700mS/m이고, 황산의 농도가 100g/L로 감소하는 경우 전도도는 458mS/m로 감소한다. 전도도가 700mS/m에서 458mS/m으로 감소함에 따라, 전해 산세를 하기 위한 전압은 153% 증가하게 된다. 즉, P=I*V에서 동일한 전류량을 인가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Power)이 1.53배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해 효율 확보를 위해 황산 농도를 200 내지 300g/L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황산용액의 온도와 전도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황산 농도가 200g/L인 조건에서, 용액의 온도가 70℃일 경우, 전도도가 710mS/m이고, 용액의 온도가 40℃로 감소하는 경우, 전도도가 710mS/m에서 630mS/m로 감소한다. 즉, 13%의 전압 상승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해 효율 확보를 위해 황산용액의 온도를 50℃ 이상으로 제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온도를 50℃ 내지 70℃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은 용액 내 슬러지의 양은 10g/L 이하일 수 있다. 용액 내 슬러지의 양은 35g/L로 증가함에 따라, 20mS/m 만큼 전도도는 감소하고, 이에 따라 용액의 저항이 높아지고, 황산 전해산세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용액 내 슬러지의 양의 상한을 10g/L로 제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은 용액내 금속이온의 농도가 60g/L 이하일 수 있다. 용액 내 금속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전도도는 감소하므로 가능한 낮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도도는 금속이온 농도가 0~35g/L 구간에서는 거의 변화하지 않다가, 금속 이온농도가 35g/L가 되면 10mS/m 정도 감소하고 60g/L까지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 또한, 전도도를 높이기 위해 금속이온 농도를 낮출 경우 실제 조업에서 용액을 계속 교체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용액내 금속이온의 농도의 상한을 60g/L로 제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은 황산 전해 산세 공정 후 혼산조 침지 산세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혼산조 침지 산세 공정에서는 전해 산세된 스테인리스강을 질산 및 불산을 포함하는 혼산조에 침지하여 산세 처리한다.
이때, 혼산조 침지는 30초 내지 12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은 황산 전해 산세 공정뿐만 아니라, 후속 공정인 혼산조 산세에서도 높은 산세성을 확보할 수 있고, 혼산조 침지 산세에 의해 용해되는 스케일 양은 23g/m2 이상일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전해 산세 및 상기 혼산조 침지 산세에 의해 용해되는 스케일의 총 량은 30g/m2 초과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는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 예
하기 표 1의 황산용액 조건을 만족하도록 황산용액 전해조를 마련하고, 스테인리스 스테인리스강은 열처리 및 산세 공정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3mm 두께의 STS 304 열연 강판으로 준비하여, 1,100℃에서 열처리하고, 이후 Shot Ball을 투사하여 표면의 스케일을 제거한 후 산세용 실시예 및 비교예 시편을 제작하였다.
산세용 실시예 및 비교예 시편을 하기 표1의 조건에 따라 황산 농도, 용액 온도, 슬러지량 및 금속이온 농도를 변경한 황산용액 전해조에 침지하고, 50A/dm2 의 전류 밀도를 12초 동안 인가하여 1차 산세를 수행하였다. 이후, 1차 산세한 스테인리스강을 온도 50℃에서 80g/L 이상의 질산 및 20g/L 이상의 불산의 혼합산으로 이루어진 혼산조에서 40초 이상 침지하여 2차 산세를 수행하였다.
구분 황산농도 (g/L) 온도
(℃)
식(1)
(mS/m)
Sludge량
(g/L)
금속이온농도
(g/L)
용액 전도도
(mS/m)
실시예 1 200 60 686.3 10 60 686.3
실시예 2 200 60 686.3 10 50 686.3
실시예 3 220 70 736.3 10 50 736.3
실시예 4 250 75 772.6 10 40 772.6
실시예 5 300 70 766.7 10 40 766.7
비교예 1 50 40 200.9 35 80 160.9
비교예 2 100 40 390.1 35 70 360.1
비교예 3 120 40 452.9 25 70 432.9
비교예 4 150 40 533.3 25 80 503.3
비교예 5 180 40 597.1 25 80 567.1
비교예 6 180 40 597.1 25 70 577.1
산세성은 1차 산세 및 2차 산세 후 스테인리스강의 무게 감량을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무게 감량은 용해되는 스케일의 양과 대응되며, 통상적으로 STS 304 강의 경우 산세 공정에서 용해되는 스케일의 양은 28~30g/m2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구분 1차 산세 2차 산세 총 무게 감량
(g/m2)
황산전해조 무게 감량
(g/m2)
혼산조 무게 감량
(g/m2)
실시예 1 9.2 25 34.2
실시예 2 9.1 24.8 33.9
실시예 3 9.5 23.9 33.4
실시예 4 9.5 24.2 33.7
실시예 5 10.0 24.8 34.8
비교예 1 4.2 19 23.2
비교예 2 4.8 19 23.8
비교예 3 4.9 18.4 23.3
비교예 4 5.8 18.5 24.3
비교예 5 6.2 19.5 25.7
비교예 6 6.5 19.8 26.3
본 발명의 식(1)의 전도도 값이 680 mS/m 이상이고, 50℃ 이상의 황산용액 온도, 10g/L 이하의 슬러지량, 60g/L 이하의 금속 이온 농도를 만족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는 1차 산세후 무게 감량이 9g/m2 이상이고, 2차 산세후 무게 감량이 23g/m2 이상으로 산세 후 총 무게 감량이 30g/m2를 초과하여, 통상의 STS 304 산세 공정보다 산세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황산 전해 산세는 Cr 농도가 높은 스케일의 제거가 매우 효과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후속 공정인 혼산조 산세에서도 산세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반면, 본 발명의 식(1) 값이 본 발명의 하한인 680에 미치지 못하고, 본 발명보다 슬러지량과 금속이온 농도가 높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경우 전도도가 낮고, 2차 산세 후 총 무게 감량이 23.2 내지 26.3 수준으로 산세성이 열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황산용액의 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용액의 높은 저항으로 인해 황산 전해산세 효율이 저하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비교예1 내지 6의 실제 전도도 값은 본 발명에 따른 식(1) 값보다 낮게 도출되었는데, 이는 높은 슬러지량과 높은 금속이온 농도에 기인한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은 황산 농도가 50g/L이고, 황산용액 온도가 40℃로 낮으며, 슬러지량도 35g/L로 상한값인 10g/L를 초과하고, 금속이온 농도도 80g/L로 상한값인 60g/L를 초과한 경우로, 전도도가 160.9mS/m로 매우 낮아 황산 전해조에서의 무게 감량이 4.2g/L으로 나타났고 산세성이 열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경우, 황산 농도가 100g/L이고, 황산용액 온도가 40℃로 낮으며, 슬러지량도 35g/L로 상한값인 10g/L를 초과하고, 금속이온 농도도 70g/L로 상한값인 60g/L를 초과하여, 전도도가 360.1mS/m로 매우 낮아 황산 전해조에서의 무게 감량이 4.8g/L으로 나타났고 산세성이 열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의 경우, 황산 농도가 120g/L이고, 황산용액 온도가 40℃로 낮으며, 슬러지량도 25g/L로 상한값인 10g/L를 초과하고, 금속이온 농도도 70g/L로 상한값인 60g/L를 초과하여, 전도도가 432.9mS/m로 낮아 황산 전해조에서의 무게 감량이 4.9g/L으로 나타났고 산세성이 열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4의 경우, 황산 농도가 150g/L이고, 황산용액 온도가 40℃로 낮으며, 슬러지량도 25g/L로 상한값인 10g/L를 초과하고, 금속이온 농도도 80g/L로 상한값인 60g/L를 초과하여, 전도도가 503.3mS/m으로 낮아 황산 전해조에서의 무게 감량이 5.8g/L으로 나타났고 산세성이 열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5의 경우, 황산 농도가 180g/L이고, 황산용액 온도가 40℃로 낮으며, 슬러지량도 25g/L로 상한값인 10g/L를 초과하고, 금속이온 농도도 80g/L로 상한값인 60g/L를 초과하여, 전도도가 567.1mS/m로 낮아 황산 전해조에서의 무게 감량이 6.2/L로 나타났고, 산세성이 열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6의 경우, 황산 농도가 180g/L이고, 황산용액 온도가 40℃로 낮으며, 슬러지량도 25g/L로 상한값인 10g/L를 초과하고, 금속이온 농도도 70g/L로 상한값인 60g/L를 초과하여, 전도도가 577.1mS/m로 낮아 황산 전해조에서의 무게 감량이 6.5/L으로 나타났고, 산세성이 열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열간 압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황산용액 전해조에 침지하고 전류를 인가하여 전해 산세하는 단계; 및
    상기 전해 산세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질산 및 불산을 포함하는 혼산조에 침지하여 산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간 압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STS 304이고,
    상기 황산용액은 하기 식(1)로 정의되는 전도도 값이 680 mS/m 이상이고,
    상기 황산용액의 금속이온 농도가 35 내지 60g/L이고,
    슬러지(sludge)량은, 10g/L 이하이며,
    상기 전해 산세 및 상기 혼산조 침지 산세에 의해 용해되는 스케일 양의 총합은 30g/m2 초과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식 (1) 전도도(mS/m) = -177.192+5.164*C+4.092*T-0.0092*C2-0.013*T2
    (여기서, C는 황산용액의 농도(g/L)이고, T는 전류 인가시, 황산용액의 온도(℃)이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용액의 온도는,
    50 내지 70℃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를 인가 시 전류밀도는 20 내지 55A/dm2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전류인가 시간은 5 내지 50초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산세 후 용해되는 스케일의 양은,
    9g/m2 이상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산조 침지 산세에 의해 용해되는 스케일 양은 23g/m2 이상인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산조 침지 산세는 30초 내지 120초 동안 수행되는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 압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상기 전해 산세 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KR1020200166444A 2020-12-02 2020-12-02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KR102546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444A KR102546880B1 (ko) 2020-12-02 2020-12-02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444A KR102546880B1 (ko) 2020-12-02 2020-12-02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472A KR20220077472A (ko) 2022-06-09
KR102546880B1 true KR102546880B1 (ko) 2023-06-26

Family

ID=8198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444A KR102546880B1 (ko) 2020-12-02 2020-12-02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8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2100A (ja) * 1986-03-24 1987-09-30 Kawasaki Steel Corp 高Cr−Mo系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方法
KR960004787B1 (ko) * 1993-11-23 1996-04-13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대의 스케일 제거방법
JPH0827600A (ja) * 1994-07-14 1996-01-30 Nisshin Steel Co Ltd ステンレス鋼帯の脱スケール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472A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406B1 (ko) 연료전지 분리판용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521042B (zh) 燃料电池的隔板用不锈钢板及其制造方法
CN101775635B (zh) 一种不锈钢冷轧板处理工艺
KR20120075344A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친환경 고속 산세 프로세스
KR20140081161A (ko)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용 스테리인스강 제조방법
US9580831B2 (en) Stainless steel pickling in an oxidizing, electrolytic acid bath
KR102020500B1 (ko) 접촉저항이 우수한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용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KR101228730B1 (ko)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산세 방법
KR102546880B1 (ko) 고 전도성 황산용액을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전해 산세방법
KR101879067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의 소둔 및 산세 방법
WO2011089730A1 (ja) 接触電気抵抗の低い通電部品用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68477B1 (ko) 고 Si 함유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소둔·산세 방법
US3632490A (en) Method of electrolytic descaling and pickling
JP3792335B2 (ja) ステンレス鋼帯の脱スケールにおける仕上げ電解酸洗方法
JP2011149041A (ja) 接触電気抵抗の低い通電部品用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05693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냉연소둔강판의 전해산세 방법
GB2385333A (en) A Treatment for Stainless Steel Plates Used in Electrochemical Cell Assemblies
KR101073242B1 (ko)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산세방법
KR102180707B1 (ko) 스테인리스강의 고속 산세 방법
KR20180073157A (ko) 접촉저항이 우수한 고분자 연료전지 분리판용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JP2007254847A (ja) 高純度Ni拡散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KR100368207B1 (ko) 오스테나이트계스텐레스냉연소둔강판의전해산세액
KR20070045502A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고속산세방법
JP4804657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冷延焼鈍鋼板の脱スケール方法
EP4056737A1 (en) Ionic liquid for pickling stainless steel and method for pickling stainless steel by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