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207B1 - 오스테나이트계스텐레스냉연소둔강판의전해산세액 - Google Patents

오스테나이트계스텐레스냉연소둔강판의전해산세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207B1
KR100368207B1 KR1019950048480A KR19950048480A KR100368207B1 KR 100368207 B1 KR100368207 B1 KR 100368207B1 KR 1019950048480 A KR1019950048480 A KR 1019950048480A KR 19950048480 A KR19950048480 A KR 19950048480A KR 100368207 B1 KR100368207 B1 KR 100368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pickling
austenitic stainless
acid
stainles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339A (ko
Inventor
원태연
최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50048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207B1/ko
Publication of KR970043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1/00Electrolytic cleaning, degreasing, pickling or descaling
    • C25F1/02Pickling; Descaling
    • C25F1/04Pickling; Descaling in solution
    • C25F1/06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Abstract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소둔강판의 전해산세액에 관한 것으로, 적정 농도범위의 질산과 불산의 혼산용액에 포테시움 몰리브데이트(K2M0O4) 또는 염화철(FeCl3)을 적정범위로 첨가하여 전해산세액을 조성하므로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강판을 용융염에서 예비탈스케일 처리후 전해산세시 우수한 산세특성을 나타내도록 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강판의 전해산세액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화성 분위기에서 소둔열처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강판을 용융염에서 예비탈스케일 처리를 한 후 전해산세시 이에 사용되는 용액에 있어서,중량 % 로, 질산 : 5-8%, 불산 : 2-5% 및 0.01-0.02%의 염화철(FeCl3) : 0.01-0.02% 또는 포테시움 몰리브데이트(K2M0O4) : 0.01-0.2% 를 함유하여 조성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소둔강판의 전해산세액에 관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소둔강판의 전해산세액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소둔강판의 전해산세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소둔강판 표면의 산화스케일을 단시간에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전해산세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레스 냉연강판은 산화성 분위기에서 소둔열처리하게 되면 그 표면에 산화스케일이 형성되는데, 이때 스텐레스강은 Cr 과 Ni 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Fe 산화물만 형성되는 일반강과는 달리 강판표면에 Fe 와 Cr, Ni 를 포함하는 치밀한 스피넬 구조의 난용성 스케일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난용성 스케일은 산세공정을 통해 제거되나, 공업적으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세전처리를 행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산세전처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강판을 용융염에 침지시켜 스케일의 화학조성을 바꿔주므로 산세가 용이하도록 하는 코렌(kolene)법과, 중성염 수용액 중에서 강판에 전기를 간접적으로 통전시켜 스케일의 박리를 촉진하는 러스너(Ruthner)법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산세에 관한 방법들은 주로 상기와 같은 전처리공정을 통해 소둔 열처리시 형성된 산화스케일을 1차로 제거한 후, 혼산용액(질산+불산) 등에 침지하여 최종산세를 행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산세가 종료되기 까지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통판속도가 느려져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산세성을 개선시키고자 불산의 농도를 높일 경우에는 소지강판이 침식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방법외에 최근 스텐레스 냉연소둔강판의 산세시 냉연소둔강판의 통판속도를 상승시켜 생산성을 개선하고자 중성염에서 전해하여 예비탈스케일 처리를 한 다음 질산 및 황산 등의 용액에서 전해산세를 행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일본 특허공개공보(소)62-216999 및 (소)63-96300호)
그러나 상기 방법은 사용되는 산이 고농도이므로 원단위가 높아져 생산비가 상승되는 취약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방법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와 실험을 행한 결과, 용융염에서 에비탈스케일 처리후 양극 또는 음극 반응 억제제가첨가된 혼산용액에서 전해산세를 행하므로서 스텐레스 강판 표면의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정 농도 범위의 질산과 불산의 혼산용액에 포테시움 몰리브데이트(K2M0O4) 또는 염화철(FeCl3)을 적정범위로 첨가하여 전해산세액을 조성하므로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강판을 용융염에서 예비탈스케일 처리후 전해산세시 우수한 산세특성을 나타내도록 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강판의 전해산세액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산화성 분위기에서 소둔 열처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강판을 용융염에서 예비탈스케일 처리를 한 후 전해산세시 이에 사용되는 용액에 있어서, 중량 % 로, 질산: 5-8%, 불산: 2-5%, 염화철(FeCl3) : 0.01-0.02% 및 잔부: 순수로 조성되는 조성되는 오스테아니트계 스텐레스 냉연소둔강판의 전해산세액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성 분위기에서 소둔열처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강판을 용융염에서 예비탈스케일 처리를 한 후 전해산세시 이에 사용되는 용액에 있어서, 중량%로, 질산: 5-8%, 불산 2-5%, 포테시움 몰리브데이트(K2M0O4) 및 잔부 : 순수로 조성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소둔 강판의 전해산세액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질산과 불산의 혼합액에 양극반응억제제 또는 음극반응억제제를 첨가제로 첨가하여 전해산세액을 조성하므로서 그 해결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질산은 산화력이 강한 산으로, 스텐레스강의 부동태처리에 사용되는데 그 단독으로는 산세시 효과가 없으며, 또한 NOx 가스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불산은 강력한 환원성 산으로 스케일 뿐만 아니라 소지금속도 용해하며, 비점도 낮고 특성 또한 강한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양자의 혼합액에 의해 양호한 탈스케일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산세성의 개선을 위해서는 혼산용액중의 불산농도를 상승시키면 가능하나 소지금속의 침식이 우려되므로 혼산용액내에 첨가제를 혼합시켜 이를 억제하여 주어야 한다.
스텐레스 냉연소둔강판을 질산과 불산의 혼산용액에 침지시키게 되면 순수한 양극반응에서의 양극 분극곡선은 제 1 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태 및 부동태 영역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순수한 음극반응에서의 음극분극곡선은 제 1 도의 점선(a)로 도시되며 양극분극곡선과 세군데(가,나,다)에서 교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강판표면의 반응은 양극과 음극반응이 공존하여 매우 불안정한 산세가 진행된다.
그런데 여기에 첨가제는 음극반응억제제인 FeCl3를 첨가하면 FeCl3는 음극분극곡선(a)를 (b)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양극반응 억제제인 K2M0O4를 첨가하게 되면 K2M0O4는 양극분극곡선의 코(nose)(임계전류밀도, ICRIT)를 저전류밀도 쪽으로 이동시켜 음극분극곡선(a)와 양극분극곡선이 한점에서 교차되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음극 및 양극반응 억제제의 작용에 의해 스케일의 원활한 용해반응(산세)이 일어나게 되며 또한 불산 첨가로 인한 소지금속의 침식을 억제시켜 준다.
본 발명에서 혼산용액중의 질산의 농도는 5 - 8% 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질산의 농도가 5% 이하일 경우에는 질산의 부동태 피막형성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에 불산에 의해 소지금속이 침식되며, 8% 이상일 경우에는 불산의 탈스케일 작용을 억제하여 미산세가 되기 때문이다.
불산의 농도는 2-5% 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불산의 농도가 2% 이하일 경우에는 산세가 되지 않으며, 5% 이상일 경우는 과산세로 인하여 소지금속에 피트(pit)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농도범위의 질산과 불산의 혼산용액에 음극반응 억제제로 FeCl3를 0.01 - 0.02% 또는 양극반응억제제로 K2M0O4를 0.01 - 0.2% 범위로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혼산용액에 음극반응억제제로 음극분극을 감소시키는 물질인 FeCl3를 첨가할 경우, 그 첨가량이 혼산용액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 이하일 경우에는 강판의 산세반응이불안정하여 산세가 잘 안되며, 0.02% 이상일 경우는 강판표면의 산화반응을 촉진시켜 스케일의 박리를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혼산용액에 양극반응억제제로 양극분극곡선의 입계전류밀도(ICRIT)를 감소시키는 물질인 K2M0O4를 첨가할 경우, 그 첨가량이 0.01% 이하일 경우는 임계전류밀도의 감소가 미약하여 음극 및 양극보극 곡선이 3 점에서 교차되어 불안정한 산세가 진행되며, 0.2% 이상일 경우에는 혼산의 역할을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소둔처리된 강판을 용융염에서 예비탈스케일 처리후 전해산세시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조성된 전해산세액에서 강판을 전해산세 하게 되면 산세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판표면이 균일하고 우수한 광택도를 갖도록 산세 가능하다.
이와 같은 산세시 혼산용액에 강판을 침재시켜 산세하는 경우에는 산세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오므로 강판과 산세액간에 전기를 가해 주는 전해산세를 행함이 바람직한데 이때의 조건은 통상의 전해산세조건 즉 0.01 - 0.02 A/cm2의 전류밀도에서 행하면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STS 304 스텐레스 냉연강판을 1100℃, 산화성 분위기에서 2 분간 소둔열처리하여 그 표면에 치밀한 스케일을 형성시킨 후 하기 표 1 과 같이 500℃의 용융염(NaOH가 주성분)에 강판을 10 초간 침지한 다음 하기표 1과 같이 조성되는 전해산세액에서 50℃로 산세하였다.
이와 같이 산세된 시편들의 백색도 및 산세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표1에 나타내었으며, 또한 발명예(1)과 비교예(2)의 경우의 표면사진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제 3 도(a),(b)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건에서 전해산세한 발명예(1-5)의 경우에는 산세후 스케일이 전해 잔류되고 있지 않으며 제 3 도의 표면사진 결과인 (a)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 억제제를 첨가하지 않고 질산과 불산용액에서 전해산세한 비교예(2)의 경우 불산의 작용으로 인해 소지금속이 침식되어 과산세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질산과 불산의 혼합용액에 침지하여 산세하는 비교예(1)의 경우, 본 발명예(1-5)의 경우보다 산세시간이 상당히 길어져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강판표면의 산화스케일 제거시 용융염에 의한 산세전처리후 질산과 불산의 혼산용액에 음극반응 억제제(FeCl3)나 양극반응억제제(K2M0O4)를 첨가하여 전해산세함으로서 기존 방법으로 산세한 경우보다 산세시간이 1/3로 단축되어 생산성이매우 향상됨을 알 수 있으며 또산 전해산세 방법에 의해 표면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제 1 도는 음극 및 양극반응 억제제의 첨가시 음극 및 양극분극 곡선의 변화를 나타내는 모식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전해산세액을 사용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강판을 전해산세하는 공정의 개략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예(1) 및 이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2)의 경우의 표면조직의 광학현미경 사진

Claims (2)

  1. 산화성 분위기에서 소둔열처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강판을 용융염에서 예비탈스케일 처리를 한 후 전해산세시, 이에 사용되는 용액에 있어서, 중량 % 로, 질산 : 5-8%, 불산 : 2-5%, 염화철(FeCl3) : 0.01-0.02% 및 잔부 : 순수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소둔강판의 전해산세액.
  2. 산화성 분위기에서 소둔열처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강판을 용융염에서 예비탈스케일 처리를 한 후 전해산세시 이에 사용되는 용액에 있어서,
    중량%로,질산: 5-8%, 불산: 2-5%, 포테시움 몰리브레이트(K2M0O4) : 0.01-0.2% 및 잔부 : 순수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소둔 강판의 전해산세액.
KR1019950048480A 1995-12-11 1995-12-11 오스테나이트계스텐레스냉연소둔강판의전해산세액 KR100368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480A KR100368207B1 (ko) 1995-12-11 1995-12-11 오스테나이트계스텐레스냉연소둔강판의전해산세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480A KR100368207B1 (ko) 1995-12-11 1995-12-11 오스테나이트계스텐레스냉연소둔강판의전해산세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339A KR970043339A (ko) 1997-07-26
KR100368207B1 true KR100368207B1 (ko) 2003-05-09

Family

ID=3741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480A KR100368207B1 (ko) 1995-12-11 1995-12-11 오스테나이트계스텐레스냉연소둔강판의전해산세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2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421B1 (ko) 2009-08-21 2013-07-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의 소둔산세 방법
KR102006217B1 (ko) 2018-02-23 2019-08-02 주식회사 옻향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4200A (ja) * 1986-06-12 1987-12-21 Kawasaki Steel Corp ステンレス冷延、焼鈍鋼帯の電解酸洗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4200A (ja) * 1986-06-12 1987-12-21 Kawasaki Steel Corp ステンレス冷延、焼鈍鋼帯の電解酸洗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421B1 (ko) 2009-08-21 2013-07-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의 소둔산세 방법
KR102006217B1 (ko) 2018-02-23 2019-08-02 주식회사 옻향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339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147B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친환경 고속 산세 프로세스
EP0367112B1 (en) Method of descaling stainless steel and apparatus for same
KR101228730B1 (ko) 고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산세 방법
JP6105167B2 (ja) 高クロム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冷延鋼板の酸洗方法
JPS59157288A (ja) ステンレス鋼帯の酸洗方法
KR100368207B1 (ko) 오스테나이트계스텐레스냉연소둔강판의전해산세액
KR20100073407A (ko) 저크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산세방법
DE19931820C2 (de) Verfahren zum entzundern von Titanmaterial und entzundertes Titanmaterial
KR101359098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고속 산세 프로세스
US3632490A (en) Method of electrolytic descaling and pickling
JP4352190B2 (ja) チタン材の脱スケール方法
Azzerri et al. Potentiostatic pickling: a new technique for improving stainless steel processing
KR100305693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냉연소둔강판의 전해산세 방법
JP2842787B2 (ja) ステンレス冷延鋼帯の焼鈍・脱スケール方法
KR101145601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고속산세방법
JP2577619B2 (ja) 合金鉄鋼帯の脱スケール方法及び装置
JP2517353B2 (ja) ステンレス鋼帯の脱スケ―ル方法
JP2966188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焼鈍鋼帯のデスケーリング方法
US1978151A (en) Method of pickling metal
JP2002348700A (ja) Cr系ステンレス冷延焼鈍鋼板の脱スケール方法
KR101353856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저온 고속 산세 프로세스
KR950004239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냉연소둔강판의 전해산세방법
KR20180070136A (ko) 고망간 린 듀플렉스 강의 산세 방법
JP2965423B2 (ja) 高Cr含有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酸洗法
JPH024159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