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217B1 -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 - Google Patents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217B1
KR102006217B1 KR1020180021777A KR20180021777A KR102006217B1 KR 102006217 B1 KR102006217 B1 KR 102006217B1 KR 1020180021777 A KR1020180021777 A KR 1020180021777A KR 20180021777 A KR20180021777 A KR 20180021777A KR 102006217 B1 KR102006217 B1 KR 102006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sk
knee
support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옻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옻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옻향
Priority to KR1020180021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4Prayer-stools; Kneeling stools; Kneelin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을 의자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무릎받침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지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하부프레임부;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하기 위한 무릎받침부;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하기 위한 착석지지부; 상기 무릎받침부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무릎받침부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무릎받침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결합부; 일측이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책상프레임부; 및 상기 착석지지부에 수납되거나, 상기 책상프레임부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책상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Knee chair combined desk for teaching tools}
본 발명은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상을 의자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무릎받침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무릎의자는 의자의 앉는 면을 앞으로 기울여서 상체와 허벅지의 각도를 벌릴 수 있으며, 무릎을 댈 수 있도록 설계하여 척추가 자연스러운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며, 무릎 부분이 기존에 대퇴부 상단과 둔부가 지탱하고 있던 체중을 나누어 분산하도록 하는 것이다.
책상은 의자와 함께 사용되어 사용자가 앉아서 여러 가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68207호(2004.11.09.)는 책상이 구비된 접이식의자의 구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접이식의자는 기본이 되는 곡선 형태의 하부프레임이 앞뒤로 서로 기대어 지지하는 구성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앞쪽 프레임에 상부를 절곡하여 팔걸이가 형성되게 한 것과,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부 좌우측면에 서로 연동할 수 있게 프레임 고정대를 고정 한 것과, 상기 일측의 프레임 고정대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연결고리를 구성하고, 다른 일측의 프레임 고정대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연결고리를 구성 한 것과, 하부프레임의 앞뒤 사이의 좌우측에 엥글을 구성하여 엥글의 앞부분 일측을 핀축을 이용하여 앞쪽 프레임에 고정하고, 뒤쪽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엥글과 고정부재를 핀축으로 고정 구성하여 하부프레임과 엥글이 서로 연동할 수 있게 한 것과, 상기 엥글에 쿠션을 고정한 것과, 엥글이 고정된 하단부 일측에 앞쪽 프레임과 뒤쪽 프레임을 연결하여 구성한 수납대와, 앞쪽 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책상고정편을 구성하고 쿠션의 하단 일측에 지지바 고정대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책상고정편의 일측에 책상의 하단 일측면을 고정하고 책상의 하단 밑면에 다수의 흰지를 고정하여 'ㄷ'자 형태의 지지바의 일측을 삽입 구성하고, 쿠션 하단 일측에 구성된 지지바 고정대에 지지바의 일측을 삽입 고정 한 것과, 뒤쪽 프레임의 좌우측 일측면에 핀축으로 고정하여 구성한 등받이 고정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등받이 고정프레임 의 일측에 등받이를 구성한 것과, 상기 등받이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대를 구성하고, 축핀을 이용하여 보조책상을 고정하여 구성한 것과, 상기 고정대에 보조책상을 접어 고정 할 수 있게 한 고정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8554호(2003.03.11.)는 책걸상과 사물함이 결합된 책걸상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책상 상판과; 의자의 좌판과 등판이 일체화된 의자부와; 책상다리와 의자다리가 통상의 결합수단인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파이프구조물부와; 책상다리와 의자다리와 받침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와; 의자다리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사물함과; 파이프구조물의 바닥부분에 장착된 미끄럼방지턱과 바닥 전방부분에 장착된 바퀴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의자와 책상이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와 책상을 별도로 제작하고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형성된 일체형 책상 및 의자 세트는 부피가 크고 서로 분리하여 의자만으로 사용할 수 없고, 분리한다하더라도 분리한 책상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공간에 보관하게 됨으로써, 분실의 위험이 있고 유지 및 관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68207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855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책상을 의자 내부에 수납하고 있다가 책상 사용시에 결합부를 인출하여 책상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지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하부프레임부;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하기 위한 무릎받침부;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하기 위한 착석지지부; 상기 무릎받침부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무릎받침부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무릎받침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결합부; 일측이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책상프레임부; 및 상기 착석지지부에 수납되거나, 상기 책상프레임부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책상판부를 포함하는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릎받침부는,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결되는 무릎받침 연장프레임; 상기 무릎받침 연장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받쳐주기 위한 무릎받침대; 상기 무릎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릎에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쿠션; 및 상기 무릎받침대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인입하기 위한 인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부는,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책상프레임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일 말단과 상기 무릎받침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 상기 결합부재의 하부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인입홈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과 상기 무릎받침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다른 일측과 상기 무릎받침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수단; 및 상기 결합부재의 다른 일측과 상기 책상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책상프레임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프레임부는,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프레임;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프레임;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책상프레임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 및 상기 책상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책상프레임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3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착석지지부는,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결되는 좌판연장프레임; 상기 좌판연장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좌판; 상기 좌판의 후방에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 및 상기 좌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책상판부를 수납하기 위한 책상판 수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로만 사용시에 책상을 분리하여 의자에 수납하여, 분실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로만 사용시에 결합부를 무릎받침부 내부에 인입하고 있다가 책상 사용시에 결합부를 무릎받침부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자로 사용시에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결합부에 걸리거나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의자 사용시에 디자인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부가 힌지를 이용한 인입, 인출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릎을 받치고 앉아 자세가 교정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무릎받침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결합부가 인출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결합부가 인입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하부프레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착석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책상프레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책상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은, 하부프레임부(100), 무릎받침부(200), 착석지지부(300), 결합부(400), 책상프레임부(500), 책상판부(600)를 포함한다.
하부프레임부(100)는, 다수의 하부프레임이 연결되며, 전방에 상방향으로 형성되는 무릎받침부(200)와 후방에 상방향으로 형성된 착석지지부(300)를 지면 상에 지지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프레임부(100)는,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를 형성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무릎받침부(200)는, 하부프레임부(100)의 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며, 사용자의 무릎을 받쳐 지지한다.
착석지지부(300)는, 하부프레임부(100)의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며,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한다.
결합부(400)는, 무릎받침부(200)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무릎받침부(2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무릎받침부(20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400)는, 의자로 사용시 무릎받침부(200)의 내부로 인입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책상 사용시 무릎받침부(200)의 외부로 인출하여 책상프레임부(5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책상프레임부(500)는, 의자로 사용시 일측이 하부프레임부(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보관되며, 책상 사용시 하부프레임부(100)로부터 인출하여 일측이 결합부(400)에 결합된다.
책상판부(600)는, 의자로 사용시 착석지지부(300)에 수납되며, 책상 사용시 책상프레임부(500)의 다른 일측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10)은, 의자로만 사용시에 책상프레임부(500)와 책상판부(600)를 분리하여 각각 하부프레임부(100)와 착석지지부(300)에 수납하여, 분실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의자로 사용시에 결합부(400)를 무릎받침부(200) 내부에 인입하고 있다가 책상 사용시에 결합부(400)를 무릎받침부(200)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자로 사용시에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결합부(400)에 걸리거나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의자 사용시에 디자인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400)가 힌지를 이용한 인입, 인출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무릎받침부(200)에 무릎을 받치고 착석지지부(300)에 앉아 자세가 교정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무릎받침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릎받침부(200)는, 무릎받침 연장프레임(210), 무릎받침대(220), 쿠션(230), 인입홈(240)을 포함한다.
무릎받침 연장프레임(210)은, 하부프레임부(100)의 전방(즉, 전방프레임(110))에서 상방향으로 연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무릎받침 연장프레임(210)은, 전방프레임(110)에서 상방향으로 용접을 통해 연결 형성할 수 있다.
무릎받침대(220)는, 무릎받침 연장프레임(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받쳐준다.
쿠션(230)은, 무릎받침대(2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무릎에 쿠션감을 제공하여 장시간 앉아있더라도 무릎에 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쿠션(230)은,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해 스펀지, 실리콘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인입홈(240)은, 무릎받침대(220)의 다른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부로 결합부(400)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인입홈(240)은, 도면에서 결합부(400)의 일부가 인입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결합부(400) 전체를 인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결합부가 인출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결합부가 인입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400)는, 결합부(400)는, 결합부재(410), 힌지(420), 받침대(430), 제1 고정수단(440), 제2 고정수단(450)을 포함한다.
결합부재(410)는,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말단에 형성된 힌지(420)에 의해 무릎받침대(220)의 다른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 형성되며, 다른 일 말단에 책상프레임부(500)를 위치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부재(410)는, ‘ㄴ’자 형상 중 수직으로 꺾인 부분에 책상프레임부(5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힌지(420)는, 결합부재(410)의 일 말단과 무릎받침대(220)의 다른 일측 사이에 형성되며, 결합부재(410)를 회동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420)는, 결합부재(410)의 ‘ㄴ’자 형상 중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의 일 말단에 형성할 수 있다.
받침대(430)는, 결합부재(410)의 하부 방향에 해당하는 무릎받침대(220)에 형성되며, 결합부재(410)가 인입홈(24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결합부재(430)를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대(430)는, 결합부재(410)가 일정 각도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상프레임부(5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결합부재(410)를 보강할 수 있다.
제1 고정수단(440)은, 결합부재(410)의 일측과 무릎받침대(220) 사이에 형성되며, 결합부재(410)의 일측과 무릎받침대(220) 사이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고정수단(440)은, 결합부재(410)의 ‘ㄴ’자 형상 중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고정수단(440)은, 노브로 형성되어, 결합부재(410)의 일측을 관통하여 무릎받침대(220)의 다른 일측에 삽입되어, 결합부재(410)의 일측과 무릎받침대(220)의 다른 일측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고정수단(450)은, 결합부재(410)의 다른 일측과 책상프레임부(500) 사이에 형성되며, 결합부재(410)와 책상프레임부(500) 사이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고정수단(450)은, 결합부재(410)의 ‘ㄴ’자 형상 중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에 다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고정수단(450)은, 노브로 형성되어, 결합부재(410)의 다른 일측을 관통하여 책상프레임부(500)에 삽입되어, 결합부재(410)의 다른 일측과 책상프레임부(500)의 일측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결합부(400)는, 홀(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460)은, 결합부재(410)의 ‘ㄴ’자 형상 중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의 다른 일 말단에 형성되어, 책상프레임부(500)를 관통시킬 수 있다. 즉, 책상프레임부(500)를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책상프레임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에 제2 고정수단(450)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결합부(400)는, 결합부재(410)가 인입홈(240)에 인입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삽입된 제1 고정수단(440)을 분리하여 결합부재(410)를 인입홈(240)으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 책상프레임부(500)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생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하부프레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프레임부(100)는, 전방프레임(110), 후방프레임(120), 연결프레임(130), 삽입홀(140), 제3 고정수단(150)을 포함한다.
전방프레임(110)은, 전방측에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후방프레임(120)은, 전방프레임(110)의 후방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연결프레임(130)은,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 사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 사이를 연결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프레임(130)은,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 사이를 용접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삽입홀(140)은, 후방프레임(120)과 연결프레임(130)에 형성되어, 책상프레임부(500)의 일부를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홀(140)은, 후방프레임(120)의 중앙 부분(즉, 연결프레임(130)에 연결 형성된 부분)과 연결프레임(13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홀(140)은, 책상프레임부(5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제3 고정수단(150)은, 책상프레임부(500)와 후방프레임(120) 사이에 형성되며, 삽입홀(140)에 삽입된 책상프레임부(500)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고정수단(150)은, 노브로 형성되어, 책상프레임부(500)를 관통하여 후방프레임(120)에 삽입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착석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착석지지부(300)는, 좌판연장프레임(310), 좌판(320), 등받이(330), 수납수단(340)을 포함한다.
좌판연장프레임(310)은, 하부프레임부(100)의 후방(즉, 후방프레임(120))에서 상방향으로 연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좌판연장프레임(340)은, 후방프레임(120)에서 상방향으로 용접을 통해 연결 형성할 수 있다.
좌판(320)은, 좌판연장프레임(3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좌판(320)은, 전방이 하부방향으로 일정 각도(예를 들어, 약 10 ~ 15°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좌판(320)은, 내부에 열선이 형성되어 발열되면서 온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등받이(330)는, 좌판(320)의 후방에 상방향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한다.
수납수단(340)은, 좌판(3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책상판부(600)를 수납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수단(340)은, 책상판부(600)를 수납하기 위한 입구 부분에 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책상판부(600)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착석지지부(300)는, 보강바, 팔걸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선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바는, 좌판연장프레임(310)과 연결프레임(130) 사이에 형성되어, 좌판연장프레임(310)을 보강하여 좌판(320)의 하중을 분산시켜 준다.
팔걸이는, 좌판(320)의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팔걸이는, 필요에 따라 좌판(320) 양측에 일체형 또는 탈부착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선반은, 좌판(320)의 아래에 형성되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선반은, 굵은 철사 등의 부재로 그물망 형태로 엮어져 가방 등의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책상프레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책상프레임부(500)는, 제1 책상프레임(510), 제2 책상프레임(520), 제4 고정수단(530)을 포함한다.
제1 책상프레임(510)은, 의자로 사용시 하부프레임부(100)에 형성된 삽입홀(140)의 내부로 삽입 보관되며, 책상 사용시 삽입홀(140)의 외부로 인출하여 일측이 결합부(400)에 결합된다.
제2 책상프레임(520)은, 제1 책상프레임(510)의 다른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책상판부(600)를 결합하여 지지한다.
제4 고정수단(530)은, 제2 책상프레임(520)과 책상판부(600) 사이에 형성되며, 제2 책상프레임(520)과 책상판부(600) 사이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고정수단(530)은, 노브로 형성되어, 제2 책상프레임(520)을 관통하여 책상판부(600)에 삽입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책상프레임부(500)는, 제4 고정수단(530) 대신 도 5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3 고정수단(150)을 이용하여 책상판부(600)를 제2 책상프레임(52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즉, 의자로 사용시 제3 고정수단(150)을 제2 책상프레임(520)과 후방프레임(120)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며, 책상 사용시 제3 고정수단(150)을, 제2 책상프레임(520)과 후방프레임(120) 사이로부터 분리하여 제2 책상프레임(520)과 책상판부(600) 사이에 삽입하여 제2 책상프레임(520)과 책상판부(600)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생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책상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책상판부(600)는, 책상판(610), 조절홈(620)을 포함한다.
책상판(610)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책상프레임(520)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물건을 올리고 여러 가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책상판(610)은, 좌판(32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하여 수납수단(340)에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책상판(610)은, 일 말단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수납수단(340)에 인입 또는 인출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조절홈(620)은, 책상판(610)의 일면(하면) 양측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제4 고정수단(530)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책상판(610)의 위치를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조절하여, 조절된 위치에 해당하는 조절홈(620)에 제4 고정수단(530)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
100 : 하부프레임부
110 : 전방프레임
120 : 후방프레임
130 : 연결프레임
140 : 삽입홀
150 : 제3 고정수단
200 : 무릎받침부
210 : 무릎받침 연장프레임
220 : 무릎받침대
230 : 쿠션
240 : 인입홈
300 : 착석지지부
310 : 좌판연장프레임
320 : 좌판
330 : 등받이
340 : 수납수단
400 : 결합부
410 : 결합부재
420 : 힌지
430 : 받침대
440 : 제1 고정수단
450 : 제2 고정수단
460 : 홀
500 : 책상프레임부
510 : 제1 책상프레임
520 : 제2 책상프레임
530 : 제4 고정수단
600 : 책상판부
610 : 책상판
620 : 조절홈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지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하부프레임부;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하기 위한 무릎받침부;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하기 위한 착석지지부;
    상기 무릎받침부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무릎받침부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무릎받침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결합부;
    일측이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책상프레임부; 및
    상기 착석지지부에 수납되거나, 상기 책상프레임부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책상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릎받침부는,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결되는 무릎받침 연장프레임;
    상기 무릎받침 연장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받쳐주기 위한 무릎받침대;
    상기 무릎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릎에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쿠션; 및
    상기 무릎받침대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인입하기 위한 인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책상프레임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일 말단과 상기 무릎받침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
    상기 결합부재의 하부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인입홈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과 상기 무릎받침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다른 일측과 상기 무릎받침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수단; 및
    상기 결합부재의 다른 일측과 상기 책상프레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책상프레임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부는,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프레임;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프레임;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책상프레임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 및
    상기 책상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책상프레임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3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지지부는,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연결되는 좌판연장프레임;
    상기 좌판연장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좌판;
    상기 좌판의 후방에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 및
    상기 좌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책상판부를 수납하기 위한 책상판 수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
KR1020180021777A 2018-02-23 2018-02-23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 KR102006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777A KR102006217B1 (ko) 2018-02-23 2018-02-23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777A KR102006217B1 (ko) 2018-02-23 2018-02-23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217B1 true KR102006217B1 (ko) 2019-08-02

Family

ID=6761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777A KR102006217B1 (ko) 2018-02-23 2018-02-23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2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040Y1 (ko) * 1991-10-14 1994-04-02 염천주 개량 기도좌대
KR200308554Y1 (ko) 2003-01-03 2003-03-28 이지언 책걸상과 사물함이 결합된 책걸상
KR100368207B1 (ko) 1995-12-1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오스테나이트계스텐레스냉연소둔강판의전해산세액
JP2011152372A (ja) * 2010-01-28 2011-08-11 Aquitaine Japan Inc リクライニング椅子
JP3173450U (ja) * 2011-10-05 2012-02-09 有限会社 オファ−設計事務所 折り畳み式パイプ椅子用追加メモ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040Y1 (ko) * 1991-10-14 1994-04-02 염천주 개량 기도좌대
KR100368207B1 (ko) 1995-12-1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오스테나이트계스텐레스냉연소둔강판의전해산세액
KR200308554Y1 (ko) 2003-01-03 2003-03-28 이지언 책걸상과 사물함이 결합된 책걸상
JP2011152372A (ja) * 2010-01-28 2011-08-11 Aquitaine Japan Inc リクライニング椅子
JP3173450U (ja) * 2011-10-05 2012-02-09 有限会社 オファ−設計事務所 折り畳み式パイプ椅子用追加メモ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4153A1 (en) A tattoo chair
US20190104850A1 (en) Disassemblable folding chair
US5160183A (en) Combination table and leg rest for reclining chair
KR102006217B1 (ko) 교구용 무릎의자 겸용 책상
KR20130007300U (ko) 다리받침대를 구비한 사무용 의자
KR20210050341A (ko) 등받이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릴렉스 체어
US20210346224A1 (en) Convertible examination table
CN202027167U (zh) 多功能一体办公椅
AU2013266992A1 (en) Outdoor reclining chair
CN205432941U (zh) 一种沙发
CN210227526U (zh) 一种折叠座椅
CN101683219A (zh) 一种躺椅
KR100456722B1 (ko) 사용이 편리한 일체형 책걸상
CN219183227U (zh) 一种休闲沙发
GB2061096A (en) Backrest convertible to a table
CN212591146U (zh) 多功能形变的镁合金座椅
CN220141180U (zh) 抽拉式三折椅
CN219813608U (zh) 一种折叠椅的改进结构
JP2005103022A (ja) 椅子
JP2005103021A (ja) 椅子
CN213820660U (zh) 一种折叠式单人沙发
CN217937644U (zh) 一种折叠椅
KR200471916Y1 (ko)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KR200289125Y1 (ko) 소파 겸용 침대
KR100344126B1 (ko) 다용도 안락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