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785B1 -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785B1
KR102546785B1 KR1020230016506A KR20230016506A KR102546785B1 KR 102546785 B1 KR102546785 B1 KR 102546785B1 KR 1020230016506 A KR1020230016506 A KR 1020230016506A KR 20230016506 A KR20230016506 A KR 20230016506A KR 102546785 B1 KR102546785 B1 KR 102546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cable
cable
rollers
seating surfac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린텍
Priority to KR102023001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작동정밀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폭방향 양측에 공급케이블이 관통 삽입되기 위한 개구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관통 삽입된 상기 공급케이블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중앙부에 폭방향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되, 상기 공급케이블이 접촉되는 제1안착면이 외면에 각각 형성되고,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되는 구동수단에 구동 연결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각 구동축의 양단이 전방 및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되, 상기 공급케이블이 상기 구동롤러로 밀착 가압되도록 상기 공급케이블의 직경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각 상기 구동롤러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공급케이블이 접촉되는 제2안착면이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가압롤러를 포함하되, 각 상기 제1안착면 및 각 상기 제2안착면은 각 쌍이 중력방향으로 상호 중첩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케이블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급케이블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cable}
본 발명은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정밀성이 개선되는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전기자동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전기자동차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여기서,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충전 제어장치와, 전기에너지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충전안내 디스플레이와, 충전기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하는 공급케이블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공급케이블의 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충전 커넥터를 전기자동차에 설치된 접속인렛에 접속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케이블은 약 5m 정도의 길이로 제공되는데, 일반적으로 충전기의 측부에 제공된 거치대에 감겨지거나 걸쳐놓은 상태로 정렬 및 유지된다. 이러한 공급케이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감겨진 공급케이블을 풀어 인출한 후 사용한다. 이때, 인출된 공급케이블은 길이로 인하여 중간 부분의 일부가 바닥에 닿을 수 있다. 그리고, 바닥에 닿은 부분은 반복 사용에 의해서 닳아지는 등 손상을 받을 수 있고, 또한 바닥의 오염물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케이블의 손상 부분이 반복적으로 바닥에 방치되는 경우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오염부위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케이블 감김 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는 케이블이 케이블 릴에 감긴 상태에서 와인딩 수단에 의하여 인출되거나 다시 감기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는 가는 굵기의 케이블이 적용되는 완속 충전장치에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이 원형의 릴에 쉽게 감겨지기 위해서는 작은 직경을 가져야 하는데, 급속 충전장치에 적용되는 케이블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져 원형의 릴에 쉽게 감겨지지 않는다.
또한, 최근에는 초급속 또는 급속 충전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공급케이블은 큰 전력 전송에 견뎌야 하므로 점점 굵은 전력선이 사용되고, 케이블 내부에는 전력선 냉각을 위한 별도의 냉각선도 구비된다. 이와 같이, 초급속 또는 급속 충전장치에 적용되는 공급케이블은 두꺼운 직경과 무거운 중량에 의하여 충전장치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 원위치로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당한 노력과 힘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 여성 운전자나 고령 운전자가 증가하는데, 두껍고 무거운 공급케이블을 쉽게 컨트롤 하기가 어려운 점이 초급속 또는 급속 충전기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공급케이블이 바닥에 닿거나 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에 스프링 밸런스를 연결하여 상부 구조물에 거치시키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스프링 밸런스를 이용한 공급케이블은 스프링 밸런스가 케이블을 당기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케이블 자체의 무게와 함께 스프링 밸런스보다 강한 힘으로 케이블을 당겨야 하므로, 힘이 약한 노약자는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 밸런스를 이용한 공급케이블은 충전 중에도 스프링 밸런스가 공급케이블이 계속하여 당기고 있으므로, 공급케이블이 쉽게 손상될 수 있고, 커넥터와 접속 인렛 사이의 접속 오류가 자주 발생되며, 심지어 접속 인렛을 손상시킬 우려가 매우 높다.
따라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공급케이블이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노약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케이블 사용의 안정성이 확보되며, 케이블의 보관 및 정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급속 충전기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1)는 일측에 디스플레이(2a)가 구비된 충전기본체(2)와, 공급케이블(3)과, 케이블 정렬유닛(4)을 포함하여 구비되었다.
여기서, 상기 공급케이블(3)은 상기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1)로 공급되는 외부 전력을 전기자동차로 송출하는 구성으로, 후단부는 상기 충전기본체(2)에 구비된 케이블 연결구(2b)를 통하여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단부에는 전기자동차의 접속 인렛에 접속되는 커넥터(3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급케이블(3)은 급속 충전기용 케이블로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소정의 직경 및 무게를 가진다.
이때, 상기 커넥터(3a)는 상기 충전기본체(2)에 구비된 커넥터 거치구(2c)에 선택적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케이블(3)상에는 상기 공급케이블(3)이 지나치게 인출되거나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모듈(3b)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에서 케이블 정렬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정렬유닛(4)은 구동롤러(5)와, 상기 구동롤러(5)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가압롤러(6)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롤러(5)와 상기 가압롤러(6)는 양측면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7)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5)에는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 모듈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롤러(5)는 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상호 이격되며 배치되는 제1구동롤러(5a) 및 제2구동롤러(5b)를 포함하여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상기 가압롤러(6)는 상기 제1구동롤러(5a) 및 상기 제2구동롤러(5b)의 상측에 배치되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압롤러(6)의 상기 공급케이블(3)과의 접촉면은 상기 제1구동롤러(5a)의 상기 공급케이블(3)과의 접촉면과 폭방향 간격(s3)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구동롤러(5b)의 상기 공급케이블(3)과의 접촉면과 폭방향 간격(s4)을 두고 이격 배치되었다. 즉, 종래의 상기 가압롤러(6)는 1개로 구비되어 상기 공급케이블(3)과의 접촉면이 상기 제1구동롤러(5a) 및 상기 제2구동롤러(5b)의 상기 공급케이블(3)과의 접촉면과 상하방향으로 정렬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었다.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5)와 상기 가압롤러(6) 사이에 상기 공급케이블(3)이 삽입되고, 상기 공급케이블(3)은 상기 가압롤러(6)에 의하여 하향 가압된 상태이므로 상기 구동롤러(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충전기본체(도 1의 2) 일측으로 인출되거나 타측으로 복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급케이블(3)의 인출 상태에 따라 상기 가압롤러(6)를 기준으로 상기 공급케이블(3)의 길이방향 일측의 총 무게와, 길이방향 타측의 총 무게가 상이하게 가변됨에 따라, 상기 공급케이블(3)의 무게 편중에 의해 상기 제1구동롤러(5a) 및 상기 제2구동롤러(5b)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공급케이블(3) 간의 유격(s1,s2)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케이블(3)의 무게 쏠림에 의해 상기 공급케이블(3)에 들뜸 현상에 발생하여 상기 제1구동롤러(5a) 및 상기 제2구동롤러(5b)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격되며 슬립 현상이 발생하면 구동롤러(5)가 헛도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공급케이블(3)이 용이하게 인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급케이블(3)이 집중되며 접촉된 상기 제1구동롤러(5a) 및 상기 제2구동롤러(5b) 중 다른 하나에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마모가 심해지며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10147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동정밀성이 개선되는 공급케이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폭방향 양측에 공급케이블이 관통 삽입되기 위한 개구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관통 삽입된 상기 공급케이블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중앙부에 폭방향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되, 상기 공급케이블이 접촉되는 제1안착면이 외면에 각각 형성되고,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되는 구동수단에 구동 연결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각 구동축의 양단이 전방 및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되, 상기 공급케이블이 상기 구동롤러로 밀착 가압되도록 상기 공급케이블의 직경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각 상기 구동롤러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공급케이블이 접촉되는 제2안착면이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가압롤러를 포함하되, 각 상기 제1안착면 및 각 상기 제2안착면은 각 쌍이 중력방향으로 상호 중첩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각 상기 개구홀은 각 상기 경사면에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케이블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안착면 및 상기 제2안착면은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가압롤러의 각 전후방향 양측 테두리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각각 함몰된 제1케이블안착홈 및 제2케이블안착홈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각 상기 개구홀의 테두리를 따라 상호간 직각으로 배치된 수직가이드롤러 및 수직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동일평면상에 연속적으로 정렬되며 복수개 구비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롤러가 하향 가압되도록 상기 가압롤러가 축연결된 회전축의 양단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 내측에 상단이 결합되는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각 구동롤러의 제1안착면 및 각 가압롤러의 제2안착면이 각각 중력방향으로 중첩된 면적을 갖도록 구비됨에 따라 공급케이블이 각 가압롤러에 의해 하향 가압되며 중력에 의해 각 구동롤러의 접촉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므로 공급케이블의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구동롤러 및 가압롤러에 오목하게 함몰된 제1케이블안착홈 및 제2케이블안착홈에 제1안착면 및 제2안착면이 형성되고, 하나의 제1안착면 및 하나의 제2안착면으로 구성된 각 쌍이 중력방향으로 중첩된 면적을 갖도록 구비됨에 따라 공급케이블이 구동롤러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에도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셋째, 케이스부의 양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에 개구홀이 관통 형성됨에 따라 수용공간으로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면서도 공급케이블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기울어지며 배치되며 유연하게 수용공간으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어 내구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에서 케이블 정렬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에서 구동롤러 및 가압롤러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에서 가이드롤러 및 스토퍼브라켓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에서 가이드롤러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에서 스토퍼브라켓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에서 스토퍼브라켓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에서 구동롤러 및 가압롤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에서 가이드롤러 및 스토퍼브라켓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에서 가이드롤러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에서 스토퍼브라켓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에서 스토퍼브라켓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케이블 제어장치(100)는 케이스부(10), 구동롤러(20) 및 가압롤러(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공급케이블 제어장치(100)는 공급케이블(c)을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공급케이블(c)이 바닥에 닿거나 끌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공급케이블(c) 사용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상기 공급케이블(c)은 전기자동차 전원 충전용 케이블과, 수소자동차 연료 공급용 케이블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컨대, 상기 공급케이블 제어장치(100)는 상기 공급케이블(c)의 보관 및 정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미도시)의 상측 또는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기설정된 간격 이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0)는 내부에 수용공간(10a)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10)의 폭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폭방향 양측에 상기 공급케이블(c)이 관통 삽입되기 위한 개구홀(13)이 각각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부(10)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4)이 각각 형성되고, 각 상기 개구홀(13)은 각 상기 경사면(14)에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개구홀(13)은 사각 단면 형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케이블(c)은 일단이 상기 개구홀(13) 중 어느 하나로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10a)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상기 개구홀(13) 중 다른 하나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10)의 폭방향 양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경사면(14)에 상기 개구홀(13)이 관통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0a)으로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면서도 상기 개구홀(13)의 외측으로 노출된 위치의 상기 공급케이블(c)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기울어지며 배치되며 유연하게 상기 수용공간(10a)으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어 내구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케이블 제어장치(100)는 각 상기 개구홀(13)의 테두리를 따라 동일평면상에 연속적으로 정렬되며 복수개 구비되는 가이드롤러(4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40)는 각 상기 개구홀(13)의 테두리 내측 또는 테두리 외측에 각 상기 개구홀(13)의 둘레를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롤러(40)는 상기 공급케이블(c)의 폭방향 양측에 회전 접촉되도록 사각 단면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각 상기 개구홀(13)의 양측 테두리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롤러(42)와, 각 상기 수직가이드롤러(42)와 직각으로 배치되되 상기 공급케이블(c)의 상하측에 회전 접촉되도록 각 상기 개구홀(13)의 상하측 테두리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수평가이드롤러(4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쌍의 상기 수평가이드롤러(42) 및 한쌍의 상기 수직가이드롤러(42)가 'ㅁ'자 형상으로 각 상기 개구홀(13)의 테두리를 따라 동일평면상에 상호간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일평면상에 정렬된다 함은 한쌍의 상기 수평가이드롤러(42) 및 한쌍의 상기 수직가이드롤러(42)가 각 상기 개구홀(13)의 테두리를 따라 단차지지 않게 배치되어 상기 공급케이블(c)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를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됨을 의미한다. 즉, 상기 수평가이드롤러(42)의 양단이 상기 수직가이드롤러(42)의 양단에 상호 인접하게 직각으로 대향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케이블(c)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에도 전방향에서 상기 가이드롤러(40)에 의해 회전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롤러(40)가 각 상기 개구홀(13)의 테두리를 따라 동일평면상에 연속적으로 컴팩트하게 정렬되므로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케이블 제어장치(100)는 상기 공급케이블(c)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케이블스토퍼(c1)가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개구홀(13)의 폭방향 외측에 대향 배치되되 하단에 뒤집힌 'U'자 형태의 걸림홈(50a)이 상향 함몰 형성되는 스토퍼브라켓(50)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홈(50a)의 폭은 상기 공급케이블(c)의 외주에 대응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급케이블(c)이 상기 수용공간(10a)에 삽입 및 인출시 상기 케이블스토퍼(c1)가 선택적으로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브라켓(50)의 상단 양측은 상기 하우징부(1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브라켓(50)은 상단으로부터 절곡지게 연장되되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0a)으로 삽입되는 절곡연장부(5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곡연장부(51)는 상기 개구홀(13)과 별도로 상기 경사면(14)에 관통 형성된 홀을 통해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0a)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개구홀(13)을 통해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0a)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급케이블 제어장치(10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양측 내벽면에 배치되되 스위치가 상기 절곡연장부(51)의 단부 상측에 대향 배치되는 리미트스위치(52)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리미트스위치(52)는 상기 경사면(14)의 내벽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공급케이블 제어장치(100)는 상단이 상기 절곡연장부(51)의 단부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경사면(14)의 내벽면에 돌출된 돌출단(14a)에 결합되는 복원스프링(53)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복원스프링(53)은 상기 개구홀(1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52), 상기 복원스프링(53) 및 상기 돌출단(14a)은 상기 개구홀(13)에 삽입되는 상기 공급케이블(c)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스토퍼(c1)가 상기 걸림홈(50a)의 테두리에 걸림되며 상기 스토퍼브라켓(50)의 하단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스토퍼브라켓(50)이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절곡연장부(51)가 상기 리미트스위치(52)의 스위치를 가압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복원스프링(53)이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스위치(52)는 후술되는 구동수단(22)에 회로 연결되는 제어부(미도시)에 회로 연결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52)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정지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22)이 정지 제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급케이블(c)의 인출 길이가 제한되므로 사용편의성 및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스토퍼(c1)가 상기 걸림홈(50a)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스토퍼브라켓(50)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복원스프링(53)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절곡연장부(51) 및 상기 스토퍼브라켓(50)이 상기 스토퍼브라켓(50)의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초기 위치로 복원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10)는 평판 형태로 구비되어 전면 및 후면이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수용공간(10a)의 폭방향 중앙측에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케이스부(10)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전방플레이트(11) 및 후방플레이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플레이트(11)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12)는 상호간 동일한 면적을 갖는 평판 형태로 구비되어 전후방향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방플레이트(11) 및 후방플레이트(12) 사이에 상기 구동롤러(20) 및 상기 가압롤러(3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플레이트(11)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12)에는 각 상단으로부터 상기 가압롤러(30)가 연결되도록 절곡지게 연장되는 전방연장부(11a) 및 후방연장부(12a)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한편, 상기 구동롤러(20)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10) 내부, 즉 상기 수용공간(10a)으로 관통 삽입된 상기 공급케이블(c)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공간(10a)의 중앙부에 폭방향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한쌍의 상기 구동롤러(20)는 상기 케이스부(10)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한쌍의 상기 구동롤러(20)는 회전되기 위한 미세한 간격을 두고 상기 케이스부(10)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10)의 폭방향 및 횡방향은 상호간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구동롤러(20)는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되는 구동수단(22)에 구동 연결되고,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구동롤러(20)의 각 구동축(21)의 양단이 상기 케이스부(10)의 전방 및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즉, 각 구동축(21)의 양단이 상기 전방플레이트(11)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22)은 입력신호가 수신되도록 구비된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회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어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구동수단(22)에 구동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수단(22)은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하부 중앙측 후면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12)의 하부 중앙측 전면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모터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22)의 모터축이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하부에 형성된 제1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전방으로 노출되되 상기 모터축의 단부에 제1풀리(23)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구동롤러(20)는 상기 구동수단(2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상부 후면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12)의 상부 전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부(10)의 폭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폭방향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호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구동롤러(20)는 전후방항으로 연장된 각 상기 구동축(21)에 반경방향 중앙부가 축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상기 구동축(21)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구동축(21)은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2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구동축(21)의 단부에 제2풀리(25)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구동축(21)의 후단부는 상기 후방플레이트(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풀리(23) 및 각 상기 제2풀리(25)는 벨트(24)에 의해 상호간 구동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벨트(24)는 상기 제1풀리(23) 및 각 상기 제2풀리(25)의 각 외주를 동시에 감싸며 연결됨에 따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역삼각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수단(22)의 모터축이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되면, 상기 벨트(24)를 통해 구동력이 각 상기 구동축(21)으로 전달되어 각 상기 구동롤러(20)가 연동되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벨트(24)를 통해 발생되는 소음이 종래에 비해 저감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풀리(23), 각 상기 제2풀리(25) 및 상기 벨트(24)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모터축과 각 상기 구동축(21)이 기어 연결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공급케이블 제어장치(100)는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상부 후면 및 각 상기 구동롤러(20) 사이에 상기 구동축(21)을 감싸며 구비되는 제1베어링유닛과, 상기 후방플레이트(12)의 상부 전면 및 각 상기 구동롤러(20) 사이에 상기 구동축(21)을 감싸며 구비되는 제2베어링유닛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베어링유닛(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후면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12)의 전면 사이의 간격은 한쌍의 상기 베어링유닛(26)의 전후방향 두께 및 상기 구동롤러(20)의 전후방향 두께의 합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롤러(30)는 한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공급케이블(c)의 상측을 하향 밀착 가압하여 상기 공급케이블(c)이 상기 구동롤러(20)에 밀착 가압되도록 상기 공급케이블(c)의 직경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되되, 각 상기 구동롤러(20)와 중력방향을 따라 상호간 중첩 정렬되고, 각 상기 구동축(21)과 평행하게 회전축(31)이 연장되어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력방향이라 함은 상하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중력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된다 함은 하나의 가압롤러(30)의 제2안착면을 하측으로 가상으로 이동시켰을 때 가압롤러(30)의 제2안착면 폭이 하나의 구동롤러(20)의 제1안착면의 폭에 중첩됨을 의미한다.
이때, 각 상기 가압롤러(30)는 전후방항으로 연장된 각 상기 회전축(31)에 반경방향 중앙부가 축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회전축(31)은 각 상기 구동축(21)과 평행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쌍의 상기 가압롤러(30)는 회전되기 위한 미세한 간격을 두고 상기 케이스부(10)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방연장부(11a)는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상단으로부터 1차 후향 연장된 후단부로부터 2차 절곡지게 일체로 상향 연장되고, 2차 연장된 상단부로부터 3차 절곡지게 일체로 전향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방연장부(11a)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단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연장부(11a)는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상단으로부터 후향 연장되는 제1전방연장부와, 상기 제1전방연장부의 후단부로부터 절곡지게 일체로 상향 연장되는 제2전방연장부와, 상기 제2전방연장부의 상단부로부터 절곡지게 일체로 전향 연장되는 제3전방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전방연장부의 길이가 상기 제1전방연장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상기 제3전방연장부의 전단부가 상기 제1전방연장부의 전단부보다 후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후방연장부(12a)는 상기 후방플레이트(12)의 상단으로부터 1차 전향 연장된 전단부로부터 2차 절곡지게 일체로 상향 연장되고, 2차 연장된 상단부로부터 3차 절곡지게 일체로 후향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후방연장부(12a)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단면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상기 가압롤러(3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연장부(12a)는 상기 후방플레이트(12)의 상단으로부터 전향 연장되는 제1후방연장부와, 상기 제1후방연장부의 전단부로부터 절곡지게 일체로 상향 연장되는 제2후방연장부와, 상기 제2후방연장부의 상단부로부터 절곡지게 일체로 후향 연장되는 제3후방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후방연장부의 길이가 상기 제1후방연장부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상기 제3후방연장부의 후단부가 상기 제1후방연장부의 후단부보다 전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연장부(11a)의 후면 및 상기 후방연장부(12a)의 전면은 각 상기 가압롤러(30)가 배치되도록 각 상기 가압롤러(30)의 전후방향 두께 이상의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방연장부(11a)의 후면 및 상기 후방연장부(12a)의 전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후면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12)의 전면 사이의 간격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연장부(11a) 및 상기 후방연장부(12a)의 각 상단은 각 상기 가압롤러(30)의 상단보다 더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방연장부(11a) 및 상기 후방연장부(12a)의 각 하단은 각 상기 회전축(31)보다 더 하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케이블 제어장치(100)는 상기 가압롤러(30)가 하향 가압되어 상기 공급케이블(c)을 하향 가압하도록 각 상기 회전축(31)의 양단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부(10)의 상부 내측에 배치된 상기 전방연장부(11a) 및 상기 후방연장부(12a)의 각 상단에 상단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가압스프링(32)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방연장부(11a) 및 상기 후방연장부(12a)의 각 상단이 상기 수용공간(10a)의 상부 내측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회전축(31)의 양단은 상기 전방연장부(11a) 및 상기 후방연장부(12a)에 형성된 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전방연장부(11a)의 전방 및 상기 후방연장부(12a)의 후방으로 각각 노출되되, 양단이 각 상기 가압스프링(32)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상기 가압롤러(30)가 각 상기 가압스프링(32)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각 상기 가압스프링(32)의 상단이 3차 절곡 연장된 상기 전방연장부(11a) 및 상기 후방연장부(12a)의 각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각 상기 가압스프링(32)이 동시에 동일한 길이로 압축 및 팽창됨에 따라 각 상기 가압스프링(32)의 하단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상기 구동롤러(20) 및 각 상기 가압롤러(30) 사이에 상기 공급케이블(c)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스프링(32)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각 상기 가압롤러(30)가 상기 공급케이블(c)을 하측으로 가압하므로 상기 공급케이블(c)이 각 상기 구동롤러(20)에 안정적으로 밀착됨에 따라 상기 공급케이블(c)이 안정적으로 이송되므로 상기 공급케이블(c)의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공급케이블 제어장치(100)는 각 상기 가압스프링(32)의 탄발복원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전방연장부(11a) 및 상기 후방연장부(12a)의 상단에 배치되어 각 상기 가압스프링(32)의 상단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조정볼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정볼트(33)를 작업자가 회전시켜 각 상기 가압스프링(32)의 탄발복원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각 상기 가압롤러(30)는 상기 구동롤러(20)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되, 각 상기 구동롤러(20)의 이격 간격에 대응되는 폭방향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가압롤러(30)는 각 상기 구동롤러(20) 및 각 상기 가압롤러(30)는 상기 공급케이블(c)을 사이에 두고 각각 상호간 중력방향을 따라 중첩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즉, 한쌍의 각 상기 구동롤러(20)의 상측에 한쌍의 각 상기 가압롤러(30)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호간 대향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케이블(c)이 각 상기 가압롤러(30)에 의해 하향 가압되며 중력에 의해 각 상기 구동롤러(20)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케이블(c)이 각 상기 구동롤러(20) 및 각 상기 가압롤러(30) 사이에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22)의 구동방향에 대응되어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구동롤러(20)에는 상기 공급케이블(c)이 접촉되는 제1안착면이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각 상기 가압롤러(30)에는 상기 공급케이블(c)이 접촉되는 제2안착면이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제1안착면 및 각 상기 제2안착면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각 쌍이 중력방향으로 상호 중첩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중력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된다 함은 하나의 가압롤러(30)의 제2안착면을 하측으로 가상으로 이동시켰을 때 가압롤러(30)의 제2안착면 폭이 하나의 구동롤러(20)의 제1안착면의 폭에 겹치며 중첩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술된 각 쌍이라 함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세트화된 하나의 구동롤러(20) 및 하나의 가압롤러(30)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안착면 및 상기 제2안착면은 각 상기 구동롤러(20) 및 각 상기 가압롤러(30)의 각 전후방향 양측 테두리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각각 함몰된 제1케이블안착홈(20b) 및 제2케이블안착홈(30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안착면이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면이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으로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즉, 상기 제1안착면이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 전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안착면이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의 전후방향 중앙 일부분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안착면이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 전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제2안착면이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의 전후방향 중앙 일부분만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안착면이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 전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 및 상기 제2안착면이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 전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그리고, 각 상기 제1안착면 및 각 상기 제2안착면 간의 접촉영역이 중력방향으로 상호 중첩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 함은 각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 및 각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이 중력방향을 따라 상호간 중첩 정렬됨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각 상기 구동롤러(20)는 기설정된 전후방향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어 외곽 테두리가 전방 및 후방에서 전후방향 중앙측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각 상기 가압롤러(30)는 기설정된 전후방향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어 외곽 테두리가 전방 및 후방에서 전후방향 중앙측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구동롤러(20) 및 각 상기 가압롤러(30)는 상호간 동일한 직경 및 형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상기 구동롤러(20)에는 전후방향 양측 테두리(20a) 사이에 상기 공급케이블(c)의 외주가 밀착 수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상기 가압롤러(30)에는 전후방향 양측 테두리(30a) 사이에 상기 공급케이블(c)의 외주가 밀착 수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 및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은 상기 공급케이블(c)의 직경에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케이블(c)은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 및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에 수용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각 상기 구동롤러(20) 및 각 상기 가압롤러(30)의 회전방향에 대응되어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의 상단은 상기 개구홀(13)의 하단보다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구동롤러(2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영역의 상기 공급케이블(c)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휘어지므로, 즉 상기 공급케이블(c)은 상기 구동롤러(20) 사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뒤집힌 'U'자형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의 폭방향 양측 상단측이 상기 공급케이블(c)에 회전 접촉될 수 있며,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의 폭방향 내측 하단측이 상기 공급케이블(c)에 회전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제1안착면 및 각 상기 제2안착면이 중력방향을 따라 상호간 중첩 정렬되므로, 상기 제1안착면 및 상기 공급케이블(c) 간의 제1접촉영역(k1)은, 상기 제2안착면 및 상기 공급케이블(c) 간의 제2접촉영역(k2)보다 상기 케이스부(10)의 폭방향 외측으로 더 이동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의 폭방향 양측 상단측 및 상기 공급케이블(c) 간의 제1접촉영역(k1)은,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의 폭방향 내측 하단측 및 상기 공급케이블(c) 간의 제2접촉영역(k2)보다 상기 케이스부(10)의 폭방향 외측으로 더 이동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 및 각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은 중력방향을 따라 상호간 중첩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의 폭(m1)은 각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의 폭(m2)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호간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 및 각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은 상호간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격되되 폭방향으로 상호간 중첩 정렬될 수 있다.
상세히, 도 5를 참조하면, n1은 각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의 반경방향 중심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n2는 각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n3는 각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 및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이 상호간 중력방향으로 중첩 정렬된다 함은, 하나의 제2케이블안착홈(30b)이 하나의 제1케이블안착홈(20b)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의 반경방향 중심이 각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n2) 및 각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n3) 사이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 및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이 상호간 중력방향으로 중첩 정렬된다 함은,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의 하측에 대향 배치된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의 폭방향 일측보다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의 폭방향 타측이 상기 케이스부(10)의 폭방향 타측으로 더 이동된 위치로 배치됨을 의미하며,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의 하측에 대향 배치된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의 폭방향 타측보다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의 폭방향 일측이 상기 케이스부(10)의 폭방향 일측으로 더 이동된 위치로 배치됨을 의미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각 상기 구동롤러(20)의 제1안착면 및 각 상기 가압롤러(30)의 제2안착면이 각각 중력방향으로 중첩된 면적을 갖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공급케이블(c)이 각 상기 가압롤러(30)에 의해 하향 가압되며 중력에 의해 각 상기 구동롤러(20)의 접촉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므로 공급케이블(c)의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즉, 각 상기 구동롤러(20) 및 각 상기 가압롤러(30)에 오목하게 함몰된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 및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이 중력방향을 따라 상호간 중첩 정렬됨에 따라 상기 공급케이블(c)이 각 상기 가압롤러(30)에 의해 하향 가압되며 중력에 의해 각 상기 구동롤러(20)의 접촉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므로 공급케이블(c)의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구동롤러(20) 및 각 상기 가압롤러(30)에 오목하게 함몰된 상기 제1케이블안착홈(20b) 및 상기 제2케이블안착홈(30b)에 상기 제1안착면 및 상기 제2안착면이 형성되고, 하나의 제1안착면 및 하나의 제2안착면으로 구성된 각 쌍이 중력방향으로 중첩된 면적을 갖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공급케이블(c)이 상기 구동롤러(20)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시에도 안정적으로 밀착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개구홀(13)의 테두리를 따라 상호간 직각으로 배치된 수직가이드롤러(42) 및 수직가이드롤러(41)를 포함하는 상기 가이드롤러(40)가 각 상기 개구홀(13)의 테두리를 따라 동일평면상에 연속적으로 컴팩트하게 정렬되므로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공급케이블(c)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에도 전방향에서 상기 가이드롤러(40)에 의해 회전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10)의 폭방향 양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경사면(14)에 상기 개구홀(13)이 관통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0a)으로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면서도 상기 개구홀(13)의 외측으로 노출된 위치의 상기 공급케이블(c)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기울어지며 배치되며 유연하게 상기 수용공간(10a)으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어 내구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케이스부 20: 구동롤러
30: 가압롤러 40: 가이드롤러
100: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폭방향 양측에 공급케이블이 관통 삽입되기 위한 개구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관통 삽입된 상기 공급케이블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중앙부에 폭방향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되, 상기 공급케이블이 접촉되는 제1안착면이 외면에 각각 형성되고,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되는 구동수단에 구동 연결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각 구동축의 양단이 전방 및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구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되, 상기 공급케이블이 상기 구동롤러로 밀착 가압되도록 상기 공급케이블의 직경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각 상기 구동롤러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공급케이블이 접촉되는 제2안착면이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가압롤러를 포함하되,
    각 상기 제1안착면 및 각 상기 제2안착면은 각 쌍이 중력방향으로 상호 중첩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각 상기 개구홀은 각 상기 경사면에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 및 상기 제2안착면은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가압롤러의 각 전후방향 양측 테두리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각각 함몰된 제1케이블안착홈 및 제2케이블안착홈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개구홀의 테두리를 따라 상호간 직각으로 배치된 수직가이드롤러 및 수직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동일평면상에 연속적으로 정렬되며 복수개 구비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가 하향 가압되도록 상기 가압롤러가 축연결된 회전축의 양단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 내측에 상단이 결합되는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KR1020230016506A 2023-02-08 2023-02-08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KR102546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506A KR102546785B1 (ko) 2023-02-08 2023-02-08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506A KR102546785B1 (ko) 2023-02-08 2023-02-08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785B1 true KR102546785B1 (ko) 2023-06-22

Family

ID=8698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506A KR102546785B1 (ko) 2023-02-08 2023-02-08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7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681A (ko) * 2010-11-25 2012-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가이드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롤러
KR20140084800A (ko) * 2012-12-27 2014-07-0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KR101569544B1 (ko) * 2008-05-20 2015-11-16 쉴로이니게르 홀딩 아게 케이블 운반장치
KR102101479B1 (ko) 2019-10-04 2020-05-26 (주)클린일렉스 케이블 자동 정렬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KR20210114665A (ko) * 2020-03-11 2021-09-24 (주)클린일렉스 충전 케이블 자동인출 제어센서를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544B1 (ko) * 2008-05-20 2015-11-16 쉴로이니게르 홀딩 아게 케이블 운반장치
KR20120056681A (ko) * 2010-11-25 2012-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가이드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롤러
KR20140084800A (ko) * 2012-12-27 2014-07-0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 송급장치
KR102101479B1 (ko) 2019-10-04 2020-05-26 (주)클린일렉스 케이블 자동 정렬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KR20210114665A (ko) * 2020-03-11 2021-09-24 (주)클린일렉스 충전 케이블 자동인출 제어센서를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829B1 (ko) 충전 케이블 자동인출 제어센서를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KR101704496B1 (ko) 전기차량의 배터리교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탈장착 방법
JP6853505B2 (ja) バッテリパック交換装置
KR20180128557A (ko)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충전 케이블 감김장치
EP2733804B1 (en) Charging cable storage device
WO2013005326A1 (ja) 充電用ケーブル収容装置
US20140224914A1 (en) Housing device
CN109565169B (zh) 具有电缆管理单元的顶置式充电系统
CN203932943U (zh) 横向自动收拉线结构和充电桩
CN104953639A (zh) 自动充电桩
EP2687470A1 (en) Cord accommodation apparatus
WO2012172626A1 (ja) ケーブル巻取り装置、車両および電源装置
KR102546785B1 (ko)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KR102101479B1 (ko) 케이블 자동 정렬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US20110174564A1 (en)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JP6720011B2 (ja) 充電装置
CN203800661U (zh) 自动充电桩
KR20210055979A (ko)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CN103811713A (zh) 用于可再充电电池的电极组件的卷绕器
CN109038765A (zh) 充电桩装置
KR101207770B1 (ko) 자전거용 충전장치
JP2018507681A (ja) 引込み式充電装置
GB2574735A (en) Cable retraction apparatus
JP2012201468A (ja) コード収容装置
KR102462593B1 (ko)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