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479B1 - 케이블 자동 정렬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 Google Patents

케이블 자동 정렬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479B1
KR102101479B1 KR1020190123072A KR20190123072A KR102101479B1 KR 102101479 B1 KR102101479 B1 KR 102101479B1 KR 1020190123072 A KR1020190123072 A KR 1020190123072A KR 20190123072 A KR20190123072 A KR 20190123072A KR 102101479 B1 KR102101479 B1 KR 102101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harging
connector
charging cable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영
허석배
임종원
Original Assignee
(주)클린일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린일렉스 filed Critical (주)클린일렉스
Priority to KR102019012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479B1/ko
Priority to PCT/KR2020/012921 priority patent/WO2021066386A1/ko
Priority to EP20872349.4A priority patent/EP4039525A4/en
Priority to US17/637,517 priority patent/US1152987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자동 정렬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충전 케이블을 접속시켜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기로서, 충전기 본체에 마련되며 충전 케이블을 인출 및 복귀시키는 케이블 정렬부, 충전 케이블을 이용한 충전 또는 충전 종료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충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충전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충전 종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충전 케이블이 복귀되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자동 정렬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Rapid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having automatic cable arrangement}
본 발명은 케이블 자동 정렬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전기자동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충전 제어장치와, 전기에너지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충전안내 디스플레이와, 충전기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하는 충전 케이블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충전 케이블의 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충전 커넥터를 전기자동차에 설치된 접속 인렛에 접속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공급된다.
충전 케이블은 약 5m 정도의 길이로 제공되는데, 일반적으로 충전기의 측부에 제공된 거치대에 감겨지거나 걸쳐 놓은 상태로 정렬 및 유지된다. 이러한 충전 케이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감겨진 충전 케이블을 풀어 인출한 후 사용한다. 이때, 인출된 충전 케이블은 길이로 인하여 중간 부분의 일부가 바닥에 닿을 수 있다. 바닥에 닿은 부분은 반복 사용에 의해서 닳아지는 등 손상을 받을 수 있고, 또한 바닥의 오염물에 의해 오염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충전 케이블의 손상 부분이 반복적으로 바닥에 방치되는 경우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오염부위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한국공개특허 10-2016-0134283호(선행문헌)를 통하여 케이블 감김 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를 소개한 바 있다. 선행문헌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는 케이블이 케이블 릴에 감긴 상태에서 와인딩 수단에 의하여 인출되거나 다시 감기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는 가는 굵기의 케이블이 적용되는 완속 충전장치에만 적용될 수 있다. 케이블이 원형의 릴에 쉽게 감겨지기 위해서는 작은 직경을 가져야 하는데, 급속 충전장치에 적용되는 케이블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져 원형의 릴에 쉽게 감겨지지 않는다.
또한, 최근에는 초급속 또는 급속 충전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충전 케이블은, 큰 전력 전송에 견뎌야 하므로 점점 굵은 전력선이 사용되고, 케이블 내부에는 전력선 냉각을 위한 별도의 냉각선도 구비된다. 이와 같이 초급속 또는 급속 충전장치에 적용되는 충전 케이블은 두꺼운 직경과 무거운 중량에 의하여 충전장치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 원위치로 거치시키기 위하여 상당한 노력과 힘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 여성 운전자나 고령 운전자가 증가하는데, 두껍고 무거운 충전 케이블을 쉽게 컨트롤 하기가 어려운 점이 초급속 또는 급속 충전기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충전 케이블이 바닥에 닿거나 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에 스프링 밸런스를 연결하여 상부 구조물에 거치시키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스프링 밸런스를 이용한 충전 케이블은 스프링 밸런스가 케이블을 당기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케이블 자체의 무게와 함께 스프링 밸런스보다 강한 힘으로 케이블을 당겨야 하므로, 힘이 약한 노약자는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 밸런스를 이용한 충전 케이블은 충전 중에도 스프링 밸런스가 충전 케이블이 계속하여 당기고 있으므로, 충전 케이블이 쉽게 손상될 수 있고, 커넥터와 접속 인렛 사이의 접속 오류가 자주 발생되며, 심지어 접속 인렛을 손상시킬 우려가 매우 높다.
따라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충전 케이블이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노약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케이블 사용의 안정성이 확보되며, 케이블의 보관 및 정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급속 충전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충전 케이블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면서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사용자에 대해서도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와 전기자동차의 접속 인렛의 접속이 쉽게 이루어지며, 충전 중에도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사용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접속 여부 또는 충전 완료 여부에 따라 충전 케이블이 자동으로 인출 및 인입되는 충전 케이블 자동 정렬 구조를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예는, 충전 케이블을 접속시켜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기로서, 충전기 본체에 마련되며 충전 케이블을 인출 및 복귀시키는 케이블 정렬부, 충전 케이블을 이용한 충전 또는 충전 종료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충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충전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충전 종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충전 케이블이 복귀되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본체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후단부가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연결구 및 상기 케이블 정렬부 사이에서 하측으로 늘어져 상하 방향으로 왕복되면서 상기 케이블 연결구 및 상기 케이블 정렬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정렬부는, 둘 이상의 회전 롤러로 구성되어 회전 롤러 사이에 상기 충전 케이블을 삽입시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인출 또는 복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는, 구동 롤러와 가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와 상기 충전기 본체의 커넥터 거치구 사이의 결합을 감지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접속 인렛 사이의 결합을 감지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거치구에서 분리될 때 상기 충전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속 인렛에 접속될 때 상기 충전 케이블이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속 인렛에서 분리될 상기 충전 케이블이 복귀되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거치구에 거치될 때 상기 충전 케이블이 복귀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외력에 의한 상기 충전 케이블의 강제 인출을 감지하는 제 3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센서에서 강제 인출이 감지될 때 상기 충전 케이블이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정렬부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인출과 복귀를 제한하는 스토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인출 또는 복귀 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서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 상기 충전 케이블이 인출 또는 복귀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전 케이블이 케이블 연결구와 케이블 정렬유닛 사이에서 지지되어 케이블이 바닥에 닿지 않아 사용상 안정성이 보장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시작 및 종료에 따라 충전 케이블이 자동으로 인출 및 복귀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사용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와 전기자동차의 접속 인렛의 접속이 쉽게 이루어지고, 충전 중 충전 케이블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 사용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급속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급속 충전기가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렬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케이블 정렬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렬유닛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전, 후 등과 같은 표현은 서로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에 따른 표현으로, 그 기술적 의의가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급속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급속 충전기가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100)는 외부 전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통하여 전력을 송출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형상을 갖는 본체(110)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되는 커넥터 거치구(130)와, 본체의 타 측에 설치되는 케이블 정렬유닛(140)과, 일 측 단부가 본체에 연결되어 전력을 송출하는 충전 케이블(150)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110) 내부에는 전력을 송출하기 위한 각종 제어모듈(미도시)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체(1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 급속 충전기(100)의 외부 케이스로 기능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20), 커넥터 거치구(130) 및 케이블 정렬유닛(140)을 결합시킨다. 본체(110)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금속 또는 비금속 소재로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급속 충전기(1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특히, 본체(110)는 연결된 충전 케이블(150)이 바닥에 닿지 않게 거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본체(1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 조작을 위한 화면과 충전 정보를 알리기 위한 화면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통상의 터치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결제를 위한 결제수단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하여 제공되는 결제수단은 터치 방식일 수 있으며, RFID를 이용한 태그 방식 또는 카드 리더기 이용한 삽입 방식의 결제수단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측부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 거치구(130)는 충전 케이블(150)의 커넥터(151)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본체(110) 전면에서 소정의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정렬유닛(140)은 충전 케이블(150)이 사용되지 않을 때 바닥에 닿지 않도록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하는 상태에서 충전 케이블(150)을 인출 및 복귀시킨다. 즉, 사용자가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 케이블(150)을 사용하는 경우, 본체(110)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도록 충전 케이블(150)을 인출시키고, 충전을 완료한 경우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즉, 케이블 정렬유닛(140)은 충전 케이블(150)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케이블을 인출 및 복귀시켜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아도 전기자동차에 쉽게 접속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케이블 정렬유닛(140)이 본체(110)의 외부에 마련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본체(110) 내부에 마련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케이블 정렬유닛(140)이 마련되는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충전 케이블(150)은 급속 충전기(100)로 공급되는 외부 전력을 전기자동차로 송출하는 구성으로, 후단부는 본체(110)의 케이블 연결구(111)를 통하여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선단부는 전기자동차의 접속 인렛에 접속되는 커넥터(151)가 구비된다. 이러한 충전 케이블(150)은 절연 소재의 외피 내부에 급속 충전용 전력선과 충전 제어를 위한 신호선 등 다수의 전도성 와이어와, 전력선 냉각을 위한 냉각선도 배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충전 케이블(150)은 급속 충전기용 케이블로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소정의 직경을 갖는다.
케이블 연결구(111)와 케이블 정렬유닛(140)은 본체(110)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충전 케이블(150)은 케이블 연결구(111)와 케이블 정렬유닛(140) 사이에서 하측으로 늘어져 상하 방향으로 왕복되므로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보관 및 정리될 수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 경우 전기자동차(200)와 급속 충전기(100)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가 형성되므로, 전기자동차(200)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 케이블(150)이 충분한 길이로 인출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급속 충전기(100)는 전기자동차(200)를 충전하는 경우 충전 케이블(150)의 커넥터(151)가 커넥터 거치구(130)로부터 분리된 후, 충전 케이블(150)이 케이블 정렬유닛(140)에 지지된 상태에서 본체(110)로부터 인출되면서 커넥터(151)가 전기자동차(200)의 접속 인렛(210)에 접속된다. 이때, 충전 케이블(150)의 인출은 케이블 정렬유닛(140)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 조작이 쉽게 이루어지고 충전 케이블(150)에는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충전 과정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렬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케이블 정렬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렬유닛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정렬유닛(140)은 복수의 롤러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케이블 정렬유닛(140)은 구동 롤러(141)와, 구동 롤러(14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압 롤러(142)를 포함하고, 구동 롤러(141)와 가압 롤러(142)는 양 측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143)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구동 롤러(141)에는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듈(144)이 연결되고, 가압 롤러(142)에는 롤러를 가압하는 가압 모듈(145)이 연결된다. 구동 모듈(144)은 모터일 수 있고, 가압 모듈(145)은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케이블 정렬유닛(140)에 있어서, 구동 롤러(141)와 가압 롤러(142) 사이에 충전 케이블(150)이 삽입되고, 충전 케이블(150)은 가압 롤러(142)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이므로 구동 롤러(14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본체(110)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본체(110) 후방으로 복귀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롤러(141)와 가압 롤러(142)가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가압 롤러(142)가 구동 롤러(141)로 대체될 수 있으며, 충전 케이블(150)은 한 쌍의 구동 롤러 사이에 삽입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어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롤러(141)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구동 롤러(141-1)와 제 2 구동 롤러(141-2)를 포함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블 정렬유닛(140)은 충전 케이블(150)이 지나치게 인출되거나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모듈(146)을 구비한다. 스토퍼 모듈(146)은 지지 플레이트(143)에 결합되는 걸림 리브(146-1)와, 충전 케이블(150)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도 1의 146-2)와, 걸림 리브(146-1) 후단부에 마련되는 온오프 스위치(146-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리브(146-1)는 구동 롤러(141) 또는 가압 롤러(142)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걸림 돌기(도 1의 146-2)는 충전 케이블(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커넥터(151)에 가까운 선단부 영역과 케이블 연결구(111)에 가까운 후단부 영역에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스토퍼 모듈(146)은 충전 케이블(150)이 인출 또는 복귀되는 과정에서 걸림 돌기(146-2)가 걸림 리브(146-1)에 접촉되는 경우 온오프 스위치(146-3)가 동작하여 구동 모듈(144)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충전 케이블(150)은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146-2) 사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한계로 인출되거나 복귀되어, 과도한 인출과 복귀에 따른 충전 케이블(150)의 손상을 방지한다.
스토퍼 모듈(146)은 걸림 리브, 걸림 돌기 및 온오프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케이블 정렬유닛(140)과 충전 케이블(150) 사이에 구비되어 충전 케이블(150)의 인출과 복귀를 감지하여 제한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 정렬유닛(140)은 구동 모듈(144)의 구동 즉, 구동 롤러(141)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모듈로서, 충전 케이블(150)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160)와, 센서부(160)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구비한다.
센서부(160)는 커넥터(151)와 커넥터 거치구(130)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제 1 센서(161), 커넥터(151)와 전기자동차(200)의 접속 인렛(210)의 접속 상태를 감지하는 제 2 센서(162) 및 충전 케이블(150)이 비정상적으로 인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3 센서(163) 및 타이머(164)를 포함한다.
제 1 센서(161)는 커넥터(151)와 커넥터 거치구(130)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커넥터(151)가 커넥터 거치구(130)로부터 분리되는지 및 커넥터(151)가 커넥터 거치구(130)에 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사용자는 충전 케이블(150)을 사용하고자 할 때 커넥터(151)를 커넥터 거치구(130)로부터 분리시키므로 제 1 센서(161)에서는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170)는 구동 롤러(141)를 구동하여 충전 케이블(150)을 인출시킨다.
또한, 제 2 센서(162)는 커넥터(151)와 접속 인렛(2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커넥터(151)가 접속 인렛(210)에 접속되는지 및 커넥터(151)가 접속 인렛(210)으로부터 분리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사용자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시작하고자 할 때 커넥터(151)를 접속 인렛(210)에 접속하므로 제 2 센서(162)는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170)는 충전 케이블(150)을 더 이상 인출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구동 롤러(141)를 정지시켜 충전 케이블(150)의 인출을 중단한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 사용자는 커넥터(151)를 접속 인렛(210)으로부터 분리시키므로 제 2 센서(162)는 이를 감지하고, 충전 케이블(150)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야 하므로 제어부(170)는 충전 케이블(150)이 복귀되도록 구동 롤러(141)를 구동한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 완료 후 사용자가 커넥터(151)를 커넥터 거치구(130)에 거치할 때 제 1 센서(161)는 이를 감지하고, 충전 케이블(150)이 안전하게 거치된 상태이므로 제어부(170)는 구동 롤러(141)를 정지시켜 충전 케이블(150)의 복귀를 중단한다.
제 3 센서(163)는 케이블 정렬유닛(140) 또는 충전 케이블(150)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충전 케이블(150)이 지나치게 강한 힘에 의하여 비정상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감지한다. 충전 케이블(150)에 외력 등에 의하여 강한 힘이 작용할 때 제 3 센서(163)는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170)는 충전 케이블(150)의 인출이 중단되도록 구동 롤러(141)를 정지시킨다.
또한, 충전 케이블(150)은 소정이 시간 동안만 인출 또는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타이머(164)는 충전 케이블(150)의 인출 또는 복귀 시작 시간을 감지하고 제어부(170)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충전 케이블(150)의 인출 또는 복귀가 중단되도록 구동 롤러(141)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급속 충전기(100)는 충전 케이블(150)이 바닥에 닿지 않는 상태로 정리하여 오염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두껍고 무거운 충전 케이블을 자동으로 인출 및 복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급속 충전기
110 : 본체 111 : 케이블 연결구
120 : 디스플레이 패널
130 : 커넥터 거치구
140 : 케이블 정렬유닛 141 : 구동 롤러
142 : 가압 롤러 144 : 구동 모듈
145 : 가압 모듈 146 : 스토퍼 모듈
150 : 충전 케이블 151 : 커넥터
160 : 센서부
170 : 제어부

Claims (10)

  1. 급속 충전 케이블을 접속시켜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기로서,
    일 측에 커넥터 거치구를 구비하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소정의 높이에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구;
    상기 커넥터 연결구와 이격되면서 상기 충전기 본체의 소정의 높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케이블 정렬부;
    일단이 상기 커넥터 연결구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블 정렬부를 관통하면서 인출 및 복귀되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 연결구와 상기 케이블 정렬부 사이에서 하측으로 늘어져 인출되는 길이를 갖는 충전 케이블;
    상기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와 상기 충전기 본체의 커넥터 거치구 사이의 결합을 감지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와 전기자동차의 접속 인렛 사이의 결합을 감지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충전 케이블을 이용한 충전 또는 충전 종료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케이블 정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정렬부는, 둘 이상의 회전 롤러로 구성되어 회전 롤러 사이에 상기 충전 케이블을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센서부에서 충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회전 롤러의 구동으로 상기 커넥터 연결구와 상기 케이블 정렬부 사이에서 늘어진 상기 충전 케이블을 상승시켜 상기 케이블 정렬부 전방으로 인출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충전 종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회전 롤러의 구동으로 상기 커넥터 연결구와 상기 케이블 정렬부 사이에 상기 충전 케이블을 늘어뜨려 원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센서부는 외력에 의한 상기 충전 케이블의 강제 인출을 감지하는 제 3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센서에서 강제 인출이 감지될 때 상기 충전 케이블이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는,
    구동 롤러와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거치구에서 분리될 때 상기 충전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속 인렛에 접속될 때 상기 충전 케이블이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접속 인렛에서 분리될 때 상기 충전 케이블이 복귀되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거치구에 거치될 때 상기 충전 케이블이 복귀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정렬부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인출과 복귀를 제한하는 스토퍼 모듈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인출 또는 복귀 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 상기 충전 케이블이 인출 또는 복귀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 정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KR1020190123072A 2019-10-04 2019-10-04 케이블 자동 정렬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KR10210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072A KR102101479B1 (ko) 2019-10-04 2019-10-04 케이블 자동 정렬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PCT/KR2020/012921 WO2021066386A1 (ko) 2019-10-04 2020-09-24 충전 케이블 자동인출 제어센서를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EP20872349.4A EP4039525A4 (en) 2019-10-04 2020-09-24 QUICK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PROVIDED WITH A SENSOR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EXTRACTION OF A CHARGING CABLE
US17/637,517 US11529879B2 (en) 2019-10-04 2020-09-24 Electric vehicle rapid charg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controlling automatic pull-out of charging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072A KR102101479B1 (ko) 2019-10-04 2019-10-04 케이블 자동 정렬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479B1 true KR102101479B1 (ko) 2020-05-26

Family

ID=7091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072A KR102101479B1 (ko) 2019-10-04 2019-10-04 케이블 자동 정렬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4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429A (ko) 2020-10-05 2022-04-12 주식회사 이테스 차량 탑재용 급속 충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46785B1 (ko) 2023-02-08 2023-06-22 주식회사 크린텍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3817A (ja) * 2012-05-18 2013-12-05 Hitachi Cable Ltd 車両用充電システム
KR20150046634A (ko) * 2013-10-22 2015-04-30 김경수 이산화탄소가스 아크용접장치용 와이어송출장치
KR101608380B1 (ko) * 2014-12-12 2016-04-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충전 제어 모듈 및 충전 제어 방법
KR20180001337U (ko) * 2016-10-28 2018-05-09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3817A (ja) * 2012-05-18 2013-12-05 Hitachi Cable Ltd 車両用充電システム
KR20150046634A (ko) * 2013-10-22 2015-04-30 김경수 이산화탄소가스 아크용접장치용 와이어송출장치
KR101608380B1 (ko) * 2014-12-12 2016-04-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충전 제어 모듈 및 충전 제어 방법
KR20180001337U (ko) * 2016-10-28 2018-05-09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429A (ko) 2020-10-05 2022-04-12 주식회사 이테스 차량 탑재용 급속 충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35013A (ko) 2020-10-05 2023-03-10 주식회사 이테스 차량 탑재용 급속 충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55406A (ko) 2020-10-05 2023-11-10 주식회사 이테스 차량 탑재용 급속 충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46785B1 (ko) 2023-02-08 2023-06-22 주식회사 크린텍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829B1 (ko) 충전 케이블 자동인출 제어센서를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KR102101479B1 (ko) 케이블 자동 정렬 기능을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CN103650275A (zh) 充电用电缆收容装置
US8253372B2 (en)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apparatus thereof
KR101608380B1 (ko) 충전 제어 모듈 및 충전 제어 방법
EP4039525A1 (en) Electric vehicle rapid charging apparatus having sensor for controlling automatic pull-out of charging cable
JP2010222793A (ja) 機械式駐車場
US10784493B2 (en) Charger, electronic device,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JP6720011B2 (ja) 充電装置
CN102629673A (zh) 电池组、电池充电器及电子设备
KR102192112B1 (ko)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장치
CN212515988U (zh) 共享充电宝机柜的安全保护装置
JP5079053B2 (ja) 給電用コネクタ及び給電用プラグ
KR102521120B1 (ko) 교통약자를 위한 반자동 전기 자동차 충전기 및 그 운용방법
KR20210004480A (ko) 전기자동차용 급속 충전 케이블 정렬장치
KR102358252B1 (ko)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CN210485036U (zh) 一种锁紧机构及具有该锁紧机构的背夹装置
KR102546785B1 (ko) 공급케이블 제어장치
CN111585104B (zh) 一种省力的安全插头
CN217264635U (zh) 一种装有内置充电器的搬运车
CN218498459U (zh) 一种具有防接头弯折断裂结构的数据线
CN108649667A (zh) 无线充电装置
CN218231319U (zh) 一种焊线加工用收卷机
KR102521121B1 (ko) 교통약자를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기 및 그 운용방법
JP6240464B2 (ja) 長尺状体の収納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