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593B1 -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593B1
KR102462593B1 KR1020220073775A KR20220073775A KR102462593B1 KR 102462593 B1 KR102462593 B1 KR 102462593B1 KR 1020220073775 A KR1020220073775 A KR 1020220073775A KR 20220073775 A KR20220073775 A KR 20220073775A KR 102462593 B1 KR102462593 B1 KR 102462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ing
tray
support
tra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호
Original Assignee
윤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호 filed Critical 윤용호
Priority to KR102022007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Abstract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미끄러짐 없이 이동하면서 고 하중의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트레이 측판의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면서 케이블을 포설하는 케이블 포설용 주행장치로, 상기 주행장치는, 몸체와, 몸체의 폭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의 일면에 형성된 논슬립부에 맞물리도록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주행기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의 타면에 형성된 논슬립부에 맞물리도록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기어, 상기 주행기어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APPARATUS FOR LAYING CABLE}
본 개시내용은 트레이를 따라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들이 설치된다. 케이블은 천정이나 벽체에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 내부를 따라 설치되어 지지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통상 벽체의 상부나 천정 등의 높은 곳에 설치된다. 이에, 작업자가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사다리 위에 올라서서 케이블을 이동시켜야 하는 등 작업이 힘들고 불편하다. 따라서, 케이블 포설 작업 환경이 매우 열악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며, 사고로 인해 인명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최근 들어,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이동하는 로봇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보다 간편하게 포설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주행휠을 구비한 로봇이 케이블을 클램핑한 상태로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주행하면서 무인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구조의 경우 로봇의 슬립으로 인해 케이블 포설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무거운 케이블로 인해 로봇이 케이블 트레이에서 미끄러지면서 제대로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로봇의 사양을 높여 충분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나, 이 경우 로봇의 크기와 하중이 증가하게 되므로, 경량의 구조물로 크기가 한정된 케이블 트레이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본 과제는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미끄러짐 없이 이동하면서 고 하중의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된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적은 구동력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도록 된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되는 논슬립부가 상하 양면에 모두 형성된 구조의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되어, 상기 측판의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면서 케이블을 포설하는 케이블 포설용 주행장치일 수 있다.
상기 주행장치는, 몸체와, 몸체의 폭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의 일면에 형성된 논슬립부에 맞물리도록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주행기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의 타면에 형성된 논슬립부에 맞물리도록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기어, 상기 주행기어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인가하는 이차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장치는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주행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두 개의 주행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두 주행기어에 맞물려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주행장치는 상기 지지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브라켓, 상기 상브라켓과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기어를 상기 논슬립부에 가압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수직가이드축이 설치되고, 상기 상브라켓에는 상기 수직가이드축에 끼워지는 수직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브라켓은 수직가이드축을 따라 안내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주행장치는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측판의 측면부 내면에 접하는 지지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장치는 상기 지지롤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브라켓, 상기 측브라켓과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롤을 상기 측면부 내면에 가압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수평가이드축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롤이 설치되는 측브라켓에는 상기 수평가이드축에 끼워지는 수평홀이 형성되어, 상기 측브라켓은 수평가이드축을 따라 안내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주행장치는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복수개의 몸체를 구비하고, 각 몸체는 서로 이격되어 링크바를 매개로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케이블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기어 형태의 주행휠이 상하로 배치되어 트레이의 레일부 상하면에 가압되어 긴밀하게 맞물림에 따라 트레이와의 결합력을 높여, 장치가 주행휠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적은 구동력으로도 고 하중의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포설할 수 있게 된다.
트레이의 레일부에 주행장치가 상하로 결합됨으로써, 장치가 레일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트레이 내면에 접하는 지지롤을 구비하여, 장치가 트레이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충돌 등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소형의 장치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유닛을 이룸에 따라, 굽어져 있는 트레이에 대해서도 트레이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며 포설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되는 주행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장치가 케이블 트레이의 논슬립부에 맞물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장치의 트레이 주행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되는 주행장치를 도시하고 있고,
이하 설명에서, 도 1에서 x축 방향은 트레이가 길게 뻗은 방향으로 주행방향이라 하고, z축 방향을 폭방향이라 하며, y축 방향을 상하방향이라 하고, y축을 따라 위쪽을 상 또는 상부라 하고, 반대쪽인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주행장치는, 케이블 트레이의 레일부에 맞물려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면서 케이블을 끌어 트레이 내에 포설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주행장치가 설치되는 트레이에 대해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10)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측판(20), 측판(2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대(30)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측판(20)은 동일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각 지지대(30) 역시 동일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두 개의 측판(20)은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 배치되고, 그 사이에 복수개의 지지대(30)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두 측판(20) 사이를 연결한다.
측판(20)은 철 재질의 판 구조물로, 측면부(22)와 측면부(22)의 상단에 형성되는 레일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22)의 상단과 하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측판(20)에서 절곡된 상하 양 단부 중 상부쪽 단부는 주행장치가 맞물려 이동되는 레일부(24)를 이룬다. 상기한 구조 외에 측면부(22)의 하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부분이 레일부를 이루는 구조 역시 적용될 수 있다.
레일부(24)에는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된 논슬립부(26)가 상하 양면에 모두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논슬립부(26)는 마치 랙기어와 같은 구조일 수 있다.
주행장치는 측판(20)의 레일부(24)에 결합되어 트레이(10)를 따라 이동하며 케이블을 포설한다. 본 실시예의 주행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랙기어 형태의 논슬립부(26)를 형성한 측판(20)의 레일부(24)에 맞물려 이동함에 따라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트레이(10)를 따라 주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장치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장치가 케이블 트레이의 논슬립부에 맞물려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주행장치(100)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폭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어 레일부(26)의 상면에 형성된 논슬립부(26)에 맞물리도록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주행기어(120), 몸체(110)에 설치되어 레일부(26)의 하면에 형성된 논슬립부(26)에 맞물리도록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기어(130), 주행기어(120)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기어(120)와 지지기어(130)가 레일부(26)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논슬립부(26)에 각각 맞물려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주행장치(100)는 상하로 배치된 주행기어(120)와 지지기어(130)가 레일부(26)의 상하면에서 각각 논슬립부(26)와 견고하게 맞물려 미끄러짐을 최소화하면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몸체(110)에는 케이블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몸체(110)에 케이블 선단을 고정하고 레일부(26)를 따라 주행장치(100)를 이동시킴으로써, 케이블을 트레이(10) 내부에 포설할 수 있게 된다.
몸체(110)는 각 구성부가 설치되는 사각의 프레임 구조물일 수 있다.
몸체(110)는 주행기어(120)가 설치되는 상부몸체(112)와 지지기어(130)가 설치되는 하부몸체(1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몸체(112)와 하부몸체(114)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부몸체(112)의 하부에 하부몸체(114)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몸체(110)라 하면 상부몸체(112)와 하부몸체(114)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몸체(110)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부몸체(112)의 폭방향 양 측단에 각각 주행기어(120)가 설치된다. 상부몸체(112)의 각 측면에 설치되는 주행기어(120)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일측단에 설치되는 주행기어(120)를 예로 설명하며 반대쪽 주행기어에 대한 설명은 이에 갈음한다.
주행기어(120)는 상부몸체(112)의 폭방향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주행기어(120)는 원주면을 따라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되어 기어 형태를 이룬다. 주행기어(120)는 예를 들어 랙기어 구조인 트레이(10)의 레일부(26) 상단 논슬립부(26)에 맞물릴 수 있도록 피니언기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행기어(12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요부와 철부의 형태는 논슬립부(26)의 요부와 철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즉, 논슬립부(26)의 요부와 철부가 기어 구조인 경우, 주행장치(100)의 주행기어(120)에 형성된 기어의 이빨 구조는 논슬립부(26)에 형성되는 기어의 이빨 구조에 맞춰 크기나 핏치 등이 대응되는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주행기어(120)가 트레이(10)의 논슬립부(26)에 어긋나지 않고 정확히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주행기어(120)의 요부와 철부는 논슬립부(26)의 요부와 철부 구조에 맞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10)의 논슬립부(26)에 형성되는 요부와 철부가 구멍 형태로 이루어진 구조의 경우, 주행기어(120)의 요부와 철부 역시 구멍에 끼워지는 돌기 형태를 이루어질 수 있다.
주행기어(120)의 요부와 철부가 레일부(26) 상단 논슬립부(26)의 철부와 요부에 서로 견고하게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서로 미끄러지지 않고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장치(100)의 주행기어(120)가 논슬립부(26)에 맞물리면서, 주행장치(100)가 트레이(10)의 레일부(26)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110) 측면에는 두 개의 주행기어(120)가 구비될 수 있다. 두 개의 주행기어(120)는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두 개의 주행기어(120)가 레일부(26)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레일부(26)와의 결합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주행기어(120)가 레일부(26) 접하여 몸체(110)를 지지함으로써, 몸체(110)가 레일부(26)에서 유동되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트레이(1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동부는 몸체(110)에 설치되는 회전축(142), 회전축(142)에 설치되고 주행기어(120)에 맞물리는 구동기어(144), 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40), 구동모터(140)의 구동축과 회전축(142) 사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몸체(112)에 폭방향으로 회전축(142)이 설치된다. 회전축(142)의 외측 선단에는 각각 구동기어(144)가 설치되어 주행기어(120)와 맞물려 결합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몸체(112) 측면에는 두 개의 주행기어(120)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기어(144)는 두 개의 주행기어(120) 사이에 배치되어 두 주행기어(120)에 같이 맞물려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구동기어(144)가 회전되면 구동기어(144)에 맞물려 있는 두 개의 주행기어(120)가 동시에 동일한 속도 및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부몸체(112) 내부에 구동모터(140)가 설치된다. 구동모터(140)의 구동축과 회전축(142) 사이에 동력전달부(146)가 마련되어 구동모터(140)의 회전력을 회전축(142)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146)는 회전축(142)과 구동모터(140)의 구동축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맞물리는 감속기어를 포함하여, 감속기어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동력전달부(146)는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력전달부(146)는 회전축(142)과 구동모터(140)의 구동축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로켓휠과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동력전달부(146)는 구동모터(140)의 회전력을 회전축(142)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몸체(110) 내부에 구비되어 구동모터(140)에 전력을 인가하는 이차전지(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차 전지(148)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일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주행장치(100)는 구동모터(140) 작동을 위한 별도의 전원선을 연결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이차전지(148)를 통해 구동모터(140)에 전력을 인가하여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선을 연결하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장치(100)의 사용이 가능하며, 트레이(10)를 따라 장치(1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원선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아 보다 자유롭고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주행장치(100)가 케이블 트레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40)가 구동되면 회전축(142)에 설치된 구동기어(144)가 회전된다. 그리고, 회전기어에 맞물려 있는 주행기어(120)가 회전되면서, 주행장치(100)가 트레이(10)의 레일부(2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지지기어(130)는 레일부(24)의 하면에 가압 밀착되어 주행기어(120)를 레일부(24) 상면의 논슬립부에 강하게 맞물리도록 한다.
지지기어(130)는 하부몸체(114)에 구비되어 레일부(26)의 하면에 형성된 논슬립부(26)에 맞물려 결합된다. 하부몸체(114)는 상부몸체(112) 하부에 설치되어 트레이(10)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몸체(114)의 폭방향 양 측 선단에 각각 지지기어(130)가 설치된다. 하부몸체(114)의 각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기어(130)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일측단에 설치되는 지지기어(130)를 예로 설명하며 반대쪽 지지기어(130)에 대한 설명은 이에 갈음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주행기어(120)에 맞춰 두 개의 지지기어(130)가 마련된 구조일 수 있다. 두 개의 지지기어(130)는 각각 두 개의 주행기어(120)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레일부(26)의 하면에 형성된 논슬립부(26)에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레일부(26)를 사이로 레일부(26) 상면에는 주행기어(120)가 맞물리고, 하면에는 지지기어(130)가 맞물리게 된다.
지지기어(130)는 원주면을 따라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되어 기어 형태를 이룬다. 지지기어(130)는 예를 들어 랙기어 구조인 트레이(10)의 레일부(26) 하단 논슬립부(26)에 맞물릴 수 있도록 피니언기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기어(13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요부와 철부의 형태는 논슬립부(26)의 요부와 철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즉, 논슬립부(26)의 요부와 철부가 기어 구조인 경우, 지지기어(130)에 형성된 기어의 이빨 구조는 논슬립부(26)에 형성되는 기어의 이빨 구조에 맞춰 크기나 핏치 등이 대응되는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지지기어(130)가 트레이(10)의 레일부(26) 하단 논슬립부(26)에 어긋나지 않고 정확히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지지기어(130)는 하부몸체(114)에 상브라켓(150)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기어(130)는 상브라켓(15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브라켓(150)은 하부몸체(114)에 대해 별도로 분리된 구조물로, 하부몸체(114) 상단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브라켓(150)과 하부몸체(114) 사이에는 지지기어(130)를 논슬립부(26)에 가압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52)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52)는 예를 들어,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하부몸체(114)에 대해 상브라켓(150)이 상하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몸체(110)에는 수직가이드축(154)이 설치되고, 상브라켓(150)에는 수직가이드축(154)에 끼워지는 수직홀(156)이 형성된다. 이에, 상브라켓(150)은 수직홀(156)에 끼워진 수직가이드축(154)을 따라 정확히 수직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에, 상브라켓(150)은 탄성부재(152)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밀려나가, 상브라켓(150)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기어(130)가 레일부(26)의 하면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탄성부재(152)에 의해 지지기어(130)가 레일부(26_ 하면에 가압 밀착됨으로써, 몸체(110)에 설치된 주행기어(120)가 레일부(26)의 상면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주행기어(120)와 지지기어(130)가 레일부(26)의 논슬립부(26)에 견고하게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행장치(100)는 레일부(26)의 상하 양면에 형성된 논슬립부(26)에 맞물림에 따라, 레일부(26)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이 작더라도 주행장치(100)가 트레이(10)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효과적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기어(130)가 설치된 상브라켓(150)이 하부몸체(114)에 대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 레일부(26)의 두께에 주행기어(120)와 지지기어(130) 사이 간격을 맞출 수 있다. 즉, 상브라켓(150)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지지기어(130)를 논슬립부(26)의 하면에 가압 밀착시켜 레일부(26)의 두께가 상이한 트레이(10)에 대해서도 본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152)는 트레이(10)로부터 인가된 외부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주행장치(100)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포설 과정에서 주행장치(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주행장치(100)는 주행기어(120)와 지지기어(130)가 트레이(10)의 레일부(26) 상면과 하면에 견고하게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장치(100)는 케이블 트레이(10)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이동하면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40)의 사양을 보다 낮춰 주행장치(100)의 크기나 무게를 최소화함으로써, 주행장치(100)의 하중을 줄여, 트레이(10)에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장치(100)는 측판(20)의 측면부(22) 내면에 대해 몸체(110)를 지지하기 위한 측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지지부는 측면부(22) 내면에 접하는 지지롤(160), 지지롤(16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브라켓(170), 측브라켓(170)과 하부몸체(114) 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롤(160)을 트레이(10)의 측판(20)의 측면부(22) 내면에 가압 밀착시키는 탄성부재(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브라켓(170)은 하부몸체(114)에 대해 별도로 분리된 구조물로, 하부몸체(114) 측면에서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롤(160)은 우레탄이나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롤(160)은 두 개가 구비되어 측브라켓(170)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탄성부재(172)는 예를 들어,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하부몸체(114)에 대해 측브라켓(170)이 폭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몸체(110)에는 수평가이드축(174)이 설치되고, 측브라켓(170)에는 수평가이드축(174)에 끼워지는 수평홀(176)이 형성된다. 이에, 측브라켓(170)은 수평홀(176)에 끼워진 수평가이드축(174)을 따라 정확히 폭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측브라켓(170)은 탄성부재(172)의 탄성력에 의해 폭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밀려나가, 측브라켓(170)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롤(160)이 레일부(26)의 하면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탄성부재(172)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롤(160)은 트레이(10)의 내면 즉, 측판(20)의 측면부(22)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지지롤(160)은 주행장치(100)의 이동 과정에서 몸체(110) 등이 측판(20)에 접하여 마찰이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주행장치(100)가 폭방향을 따라 어느 한쪽으로 쏠린 경우, 지지롤(160)이 측판(20)에 눌려지고, 측브라켓(170)과 몸체(110)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172)가 압축된다. 이에, 탄성부재(17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지롤(160)이 가압되면서 몸체(110)를 중심쪽으로 밀어 주행장치(100)는 트레이(10) 중심 위치로 다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장치(100)의 몸체(110)는 트레이(10) 측판(20)에 접하지 않고 정확히 측판(20) 사이 중심에 계속 위치하면서 레일부(26)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행장치(100)는 지지롤(160)에 의해 폭방향으로 지지되어 트레이(10)의 폭방향으로 흔들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측판(20)과의 간섭없이 트레이(10)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주행장치(100)로 복수개의 몸체(110)를 구비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주행장치(100)는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복수개의 몸체(110)를 구비하고, 각 몸체(110)는 서로 이격되어 링크바(180)를 매개로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각 몸체(11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몸체(11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행기어(120)와 지지기어(130)가 구비되어 트레이(10)의 레일부(26) 상하면에 맞물려 결합된다.
링크바(180)는 길게 연장된 막대 형태의 강성 구조물일 수 있다. 이에, 서로 연결된 몸체(110)는 링크바(180)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몸체(110)는 링크바(180)에 연결되어 같이 움직일 수 있다. 즉, 각 몸체(110) 간에 구동력이 링크바(180)를 통해 전달되어, 링크바(180)로 연결된 각 몸체(110)가 서로 끌어주거나 밀어주게 된다.
예를 들어, 주행방향을 따라 뒤쪽에 배치된 몸체(110)의 구동력이 링크바(180)를 통해 앞쪽 몸체(110)로 전달되어 앞쪽 몸체(110)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링크바(180)의 양 선단은 각각 이웃하는 몸체(110)에 설치된 축부재(182)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이에, 링크바(180)를 사이에 두고 몸체(110)들이 서로 간섭없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10)들이 서로 회전되어 케이블 트레이(10)의 곡선 구간을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주행장치(100)는 서로 개별 구동하는 복수개의 몸체(110)로 분리됨으로써, 케이블 포설을 위한 구동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트레이(10)의 곡선 구간에서도 자유롭게 움직여 지나갈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케이블 트레이 20 : 측판
22 : 측면부 24 : 레일부
26 : 논슬립부 30 : 지지대
100 : 주행장치 110 : 몸체
112 : 상부몸체 114 : 하부몸체
120 : 주행기어 130 : 지지기어
140 : 구동모터 142 : 회전축
144 : 구동기어 146 : 동력전달부
148 : 이차전지 150 : 상브라켓
152,172 : 탄성부재 154 : 수직가이드축
156 : 수직홀 160 : 지지롤
170 : 측브라켓 174 : 수평가이드축
176 : 수평홀 180 : 링크바
182 : 축부재

Claims (6)

  1.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되는 논슬립부가 상하 양면에 모두 형성된 구조의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되어, 상기 측판의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면서 케이블을 포설하는 구조이고,
    몸체와, 몸체의 폭방향 양 측에 각각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의 일면에 형성된 논슬립부에 맞물리도록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주행기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의 타면에 형성된 논슬립부에 맞물리도록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기어, 상기 주행기어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지지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브라켓, 상기 상브라켓과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기어를 상기 논슬립부에 가압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는,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복수개의 몸체를 구비하고, 각 몸체는 서로 이격되어 링크바를 매개로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된 구조의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측판의 측면부 내면에 접하는 지지롤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브라켓, 상기 측브라켓과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롤을 상기 측면부 내면에 가압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KR1020220073775A 2022-06-16 2022-06-16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KR102462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775A KR102462593B1 (ko) 2022-06-16 2022-06-16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775A KR102462593B1 (ko) 2022-06-16 2022-06-16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593B1 true KR102462593B1 (ko) 2022-11-03

Family

ID=8404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775A KR102462593B1 (ko) 2022-06-16 2022-06-16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037B1 (ko) 2023-07-05 2023-11-23 방광설 케이블 견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625B1 (ko) * 2013-09-06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KR20150029909A (ko) * 2013-09-11 2015-03-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장치
KR20150082839A (ko) * 2014-01-08 2015-07-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주행형 케이블 포설장치
KR102335093B1 (ko) * 2021-06-17 2021-12-03 대명지이씨(주) 케이블 포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625B1 (ko) * 2013-09-06 2014-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KR20150029909A (ko) * 2013-09-11 2015-03-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장치
KR20150082839A (ko) * 2014-01-08 2015-07-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주행형 케이블 포설장치
KR102335093B1 (ko) * 2021-06-17 2021-12-03 대명지이씨(주) 케이블 포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037B1 (ko) 2023-07-05 2023-11-23 방광설 케이블 견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593B1 (ko) 케이블 포설용 트레이 주행 장치
CN112474640B (zh) 一种用于管道内壁检测清洁的装置及管道清洁方法
CN103167927B (zh) 摩擦搅拌接合装置
US7975464B2 (en) Guide rail for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KR200443420Y1 (ko) 케이블 포설장치
WO2012036243A1 (ja) クローラ装置およびクローラロボット
JP2004099323A (ja) ローラ軌道に配置されたバッテリブロックを備えた構内運搬車両
KR20130053770A (ko)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KR102335093B1 (ko) 케이블 포설장치
CN112849694A (zh) 一种用于新能源汽车的电池转运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50082839A (ko) 주행형 케이블 포설장치
KR20120139405A (ko) 케이블 이송 장치
CN113581228A (zh) 巡检机器人用行走装置及巡检系统
CN111061024B (zh) 一种通讯工程网络传输光缆牵引设备
CN113021304A (zh) 适用于轨道的可快速拆装移动装置
KR101516548B1 (ko) 케이블 포설장치
CN214348405U (zh) 一种用于管道内壁检测清洁的装置
JP4295835B2 (ja) テープ貼付装置
JP3732622B2 (ja) 三次元自走台車およびそれに用いるレ−ル
KR101188346B1 (ko) 배관 진단 장치
KR102047694B1 (ko) 수직 전로용 케이블 견인장치
KR20160141115A (ko) 로봇의 보조 이송장치
CN110588596A (zh) 超低净空汽车搬运机器
CN211197503U (zh) 一种自行车轮辋生产线用上料装置
CN215934370U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电缆保护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