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941B1 - 유기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941B1
KR102544941B1 KR1020160059060A KR20160059060A KR102544941B1 KR 102544941 B1 KR102544941 B1 KR 102544941B1 KR 1020160059060 A KR1020160059060 A KR 1020160059060A KR 20160059060 A KR20160059060 A KR 20160059060A KR 102544941 B1 KR102544941 B1 KR 102544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ixel area
layer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000A (ko
Inventor
송창욱
강임국
박상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9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941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색 화소영역과 인접한 컬러 화소영역의 제 1 전극(애노드)이 화소영역의 모서리에서 돌출부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 1 전극이 뱅크층에 의해 완전히 덮이고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캐소드) 간 전기적 쇼트 문제가 방지된다.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제 1 및 제 2 전극 간 전기적 쇼트를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음극선관 표시장치(CRT)를 대신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또는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OLED) device)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높은 휘도와 낮은 동작 전압 특성을 갖는다. 또한,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 발광형이기 때문에 대조비(contrast ratio)가 크고,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며, 응답시간이 짧고 시야각이 넓은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표시장치에는, 서로 교차하여 제 1 및 제 2 화소영역(P1, P2)을 정의하는 게이트배선(GL), 데이터배선(DL) 및 파워배선(PL)이 형성되고, 화소영역(P)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유기발광다이오드(D)가 형성된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는 게이트배선(GL) 및 데이터배선(DL)에 연결되고,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와 파워배선(PL) 사이에 연결되고, 유기발광다이오드(D)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에 연결된다.
이러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영상표시 동작을 살펴보면, 게이트배선(GL)에 인가된 게이트신호에 따라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가 턴-온(turn-on) 되면, 데이터배선(DL)에 인가된 데이터신호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를 통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전극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에 인가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게이트전극에 인가된 데이터신호에 따라 턴-온 되며, 그 결과 데이터신호에 비례하는 전류가 파워배선(PL)으로부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통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D)로 흐르게 되고, 유기발광다이오드(D)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이때,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는 데이터신호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충전되어, 일 프레임(frame) 동안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전극의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게이트신호 및 데이터신호에 의하여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D)가 백색을 발광하고 컬러필터층을 구비하여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구조의 유기발광표시장치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유기발광표시장치에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덮는 보호층 상에 컬러필터층이 형성되고, 컬러필터층을 덮는 평탄화층이 더 형성된다. 이 경우, 평탄화층을 패터닝하기 위한 마스크 공정이 추가되어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컬러필터층과 평탄화층 형성에 따른 제조 공정 및 제조 원가 증가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백색 화소영역과 인접한 컬러 화소영역의 제 1 전극(애노드)이 화소영역의 모서리에서 돌출부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는, 보호층과, 컬러필터층에 의한 단차를 평탄화하기 위한 평탄화층을 하나의 마스크 공정에 의해 패터닝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조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백색 화소영역과 인접한 컬러 화소영역의 제 1 전극(애노드)이 화소영역의 모서리에서 돌출부를 가져 제 1 전극의 가장자리가 뱅크층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따라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제 1 전극(애노드)과 제 2 전극(캐소드) 간 전기적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인접한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 각각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덮는 보호층과, 상기 제 1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층과, 상기 제 1 컬러필터층을 덮는 평탄화층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투명 절연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상기 평탄화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과,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과,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화소 영역에 인접한 모서리에서 제 1 돌출부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러필터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상기 제 2 화소 영역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화소 영역에 인접한 제 3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컬러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인접한 모서리에서 제 2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러필터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층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 2 컬러필터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층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화소영역의 변에서 상기 뱅크층과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폭만큼 중첩하고, 상기 제 3 화소영역의 모서리에서 상기 뱅크층과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만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끝에서 제 1 폭을 갖고 중앙에서 상기 제 1 폭보다 작은 제 2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끝에서 제 1 폭을 갖고 중앙에서 상기 제 1 폭보다 작은 제 2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끝과 중앙에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끝에서 제 1 거리만큼 이격되고 중앙에서 상기 제 1 거리보다 큰 제 2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끝에서 제 1 거리만큼 이격되고 중앙에서 상기 제 1 거리보다 큰 제 2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영역의 변에서 상기 뱅크층과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폭만큼 중첩하고, 상기 제 1 화소영역의 모서리에서 상기 뱅크층과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만큼 중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제 1 방향으로 게이트 배선(GL)이 연장되고, 제 2 방향으로 데이터 배선(DL) 및 파워 배선(PL)이 연장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GL)과 상기 데이터 배선(DL)은 서로 교차하여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P1, P2)을 정의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P1, P2) 각각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스토리지 커패시터가 위치한다.
상기 제 1 화소 영역(P1)은 컬러 화소 영역이고, 상기 제 2 화소 영역(P2)은 백색 화소 영역이다. 즉, 상기 제 1 화소 영역(P1)에는 컬러필터층(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화소 영역(P2)에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1) 상에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판(101) 상에 산화실리콘 또는 질화실리콘과 같은 버퍼층(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가 상기 버퍼층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반도체층(110), 게이트 전극(112), 소스 전극(122) 및 드레인 전극(124)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층(110)은 상기 버퍼층(102)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층(110)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110)이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반도체층(110) 하부에는 차광패턴(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광패턴은 상기 반도체층(110)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반도체층(110)이 빛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상기 반도체층(110)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반도체층(110)의 양 가장자리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11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12)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2)은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2) 상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114)이 상기 반도체층(110)의 중앙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14)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2)이 상기 게이트 전극(114)과 동일한 형상인 것이 보여지고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게이트 절연막(112)은 상기 기판(101)의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14)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20)이 상기 기판(101)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층간 절연막(120)은 산화 실리콘이나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형성되거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이나 포토 아크릴(photo-acryl)과 같은 유기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20)은 상기 반도체층(110)의 양측을 노출하는 제 1 및 제 2 콘택홀(120a, 120b)을 갖는다.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홀(120a, 120b)은 상기 게이트 전극(114)의 양측에 상기 게이트 전극(114)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120) 상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소스 전극(122)과 드레인 전극(124)이 형성된다.
상기 소스 전극(122)과 상기 드레인 전극(124)은 상기 게이트 전극(114)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홀(120a, 120b)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110)의 양측과 접촉한다. 상기 소스 전극(122)은 상기 파워 배선(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반도체층(110)과, 상기 게이트 전극(114), 상기 소스 전극(122), 상기 드레인 전극(124)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이루며,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상기 반도체층(110)의 상부에 상기 게이트 전극(114), 상기 소스 전극(122) 및 상기 드레인 전극(124)이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를 가진다.
이와 달리,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반도체층의 하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고 반도체층의 상부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위치하는 역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덮으며 보호층(130)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130)은 산화실리콘 또는 질화실리콘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0) 상에는 제 1 화소영역(도 2의 P1)의 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컬러필터층(135)이 형성된다. 상기 컬러필터층(135)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0) 및 상기 컬러필터층(135)을 덮는 평탄화층(140)이 기판(101)의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평탄화층(140)은 감광 특성(photo-sensitive property)을 갖고 투명한 유기절연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평탄화층(140)은 포토-아크릴(photo-acryl)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백색 화소 영역인 제 2 화소 영역(도 2의 P2)에는 컬러필터층(135) 없이 상기 평탄화층(140)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는 투명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화소 영역(P1)에서, 상기 평탄화층(140)과 상기 보호층(130)에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 전극(124)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142)이 형성된다. 한편, 제 2 화소 영역(P2)에서는 상기 투명 절연층과 상기 보호층(130)을 통해 드레인 콘택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층(140)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142)을 통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 전극(124)에 연결되는 제 1 전극(15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150)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로 이루어져 양극(anode)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15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I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15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154)이 형성된다. 즉, 상기 뱅크층(154)은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P1, P2)을 둘러싸는 격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전극(150)의 중앙부에는 유기발광층(156)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발광층(156)은 백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층(158) 상에는 제 2 전극(158)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158)은 비교적 일함수 값이 작은 물질로 이루어져 음극(cathode)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258)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Al:M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150) 및 제 2 전극(158)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유기발광층(156)은 유기발광다이오드(D)를 구성하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D)는 백색 발광 타입니다.
전술한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D)는 백색을 발광하고 상기 컬러필터층(135)에 의해 풀컬러 영상이 구현되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D)로부터의 빛은 상기 기판(101)을 통하여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컬러필터층(135)을 덮는 평탄화층(140)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평탄화층(140)과 보호층(130)을 하나의 마스크 공정에 의해 패터닝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증가하지 않는다.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의 IV-IV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3과 도 4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판(101) 상에 반도체 물질을 증착하고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여 반도체층(110)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반도체층(110) 상에 무기절연물질과 금속물질을 순차 적층하고 하나의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여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게이트 절연막(112)과 게이트 전극(114)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게이트 배선(도 2의 GL)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게이트 전극(114)을 덮고 제 1 및 제 2 콘택홀(120a, 120b)을 갖는 층간 절연막(120)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층간 절연막(120) 상에 금속물질을 증착하고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여 데이터 배선(도 2의 DL), 파워 배선(PL), 소스 전극(122) 및 드레인 전극(124)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데이터 배선(DL), 파워 배선(PL), 소스 전극(122) 및 드레인 전극(124)을 덮는 보호층(130)을 형성한다.
다음, 도 4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130) 상에 컬러 안료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층(13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화소 영역(P2)에는 컬러필터층(135)이 형성되지 않는다.
다음, 도 4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컬러필터층(135)과 상기 보호층(130) 상에 투명 절연물질을 코팅하여 투명 절연물질층(144)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 절연물질은 포토-아크릴(photo-acryl)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절연물질층(144)은, 제 1 화소 영역(도 2의 P1)에서 컬러필터층(135) 상에 위치하며 제 1 두께(t1)를 갖고, 상기 제 2 화소 영역(도 2의 P2)에서 보호층(130)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두께(t1)보다 큰 제 2 두께(t2)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P1, P2)의 경계에서 상기 컬러필터층(135)과 상기 보호층(130)의 단차에 의해 상기 투명 절연물질층(144)은 상기 제 1 두께(t1)보다 작은 제 3 두께(t3)를 갖는다.
다음, 상기 투명 절연물질층(144)에 대하여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여 드레인 콘택홀(도 3의 142)에 대응하는 투명 절연물질층(144)을 제거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절연물질층(144)에 대하여 애싱(ashing)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제 1 화소 영역(P1)의 컬러필터층(135) 상에 평탄화층(140)을 형성하고 제 2 화소 영역(P2)의 보호층(130) 상에 투명 절연층(146)을 형성한다.
드레인 콘택홀(도 3의 142)이 형성될 영역에 투명 절연물질이 남게 되면 보호층(130)의 식각 공정이 불충분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제 1 애싱 공정을 진행하여 드레인 콘택홀(142) 형성 영역의 잔류 투명 절연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 보호층(130)을 노출시킨다.
다음, 노출된 보호층(130)을 식각함으로써, 드레인 콘택홀(142)을 형성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평탄화층(140)과 상기 보호층(130)이 하나의 마스크 공정에 의해 패터닝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증가하지 않는다.
다음,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탄화층(140)과 상기 투명 절연층(146) 상에 투명 도전 물질층(160)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 도전 물질층(160)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170)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 도전 물질층(160)은 ITO 또는 IZO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70)을 이용한 마스크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평탄화층(150) 상에 제 1 전극(150)을 형성한다.
다음,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극(150)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뱅크층(154)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제 1 전극(150) 상에 유기발광층(156)과 제 2 전극(158)을 순차 적층시켜 유기발광다이오드(D)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전극(150)과 상기 제 2 전극(158) 간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극(150)의 가장자리는 상기 뱅크층(154)에 의해 완전히 덮여야 한다.
그러나, 투명 절연물질층(144)은 컬러필터층(135)의 가장자리에서 다른 부분보다 작은 제 3 두께(t3)를 갖기 때문에(도 4c), 애싱 공정에 의해 컬러필터층(135)의 가장자리에서 투명 절연물질층이 모두 제거되어 컬러필터층(135)의 가장자리가 노출된다. (도 4d의 "A" 부분)
애싱 공정 후, 증착되는 투명 도전 물질층(160)은 컬러필터층(135)의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되고 (도 4e),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면 제 1 전극(150)은 원하는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즉, 안료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층(135)과 접촉된 투명 도전 물질층(160)은 식각 바이어스(etch bias)가 증가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170) 내측 부분까지 식각된다. 다시 말해, 컬러필터층(135)과의 접촉에 의해 투명 도전 물질층(160)이 과식각(over-etch)되어 제 1 전극(150)의 폭이 원하는 폭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뱅크층(154)이 제 1 전극(150)의 가장자리를 덮지 못하게 되고, 상기 제 1 전극(150) 상부에 적층되는 제 2 전극(158)이 제 1 전극(150)과 접촉하여 전기적 쇼트가 발생한다. (도 4g의 "B" 부분) 이와 같은 문제는 제 2 화소 영역(도 2의 P2)에 인접한 제 1 화소 영역(도 2의 P1)의 두 모서리에서 심각하게 발생한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200)에서, 제 1 방향으로 게이트 배선(GL)이 연장되고, 제 2 방향으로 데이터 배선(DL) 및 파워 배선(PL)이 연장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GL)과 상기 데이터 배선(DL)은 서로 교차하여 제 1 내지 제 3 화소 영역(P1, P2, P3)을 정의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 내지 제 3 화소 영역(P1, P2, P3) 각각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스토리지 커패시터가 위치한다.
상기 제 1 및 제 3 화소 영역(P1, P3)은 컬러 화소 영역이고, 상기 제 1 및 제 3 화소 영역(P1, P3)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화소 영역(P2)은 백색 화소 영역이다. 즉, 상기 제 1 및 제 3 화소 영역(P1, P3)에는 컬러필터층(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화소 영역(P2)에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화소 영역(P1, P2, P3) 각각에는 판 형상의 제 1 전극(25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250)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화소 영역(P1, P2, P3) 각각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제 1 전극(250) 역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 2 화소 영역(P2)과 마주하는 제 1 화소 영역(P1)의 제 1 변의 양 단에서 상기 제 1 전극(250)은 돌출부(252)를 갖는다. 즉, 상기 제 1 화소 영역(P1)의 제 1 전극(250)은 상기 제 2 화소 영역(P2)에 근접한 모서리에서 돌출부(252)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252)는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와 달리, 상기 돌출부(252)는 마름모, 원형,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화소 영역(P1)의 변에서 상기 뱅크층(254)과 상기 제 1 전극(250)은 제 1 폭(W1)만큼 중첩하고, 상기 제 1 전극(250)은 상기 제 1 화소 영역(P2)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돌출부(252)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화소 영역(P1)의 모서리에 상기 뱅크층(254)과 상기 제 1 전극(250)은 상기 제 1 폭(W1)보다 큰 제 2 폭(W2)만큼 중첩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 1 화소 영역(P1)의 제 1 변과 반대측인 제 2 변의 양단에 위치하는 모서리에서 상기 제 1 전극(250)은 돌출부를 갖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2 화소 영역(P2)과 마주하는 제 3 화소 영역(P3)의 제 1 변의 양 단에서 상기 제 1 전극(250)은 돌출부(252)를 갖는다. 즉, 상기 제 3 화소 영역(P3)의 제 1 전극(250)은 상기 제 2 화소 영역(P2)에 근접한 모서리에서 돌출부(252)를 갖는다.
다시 말해, 상기 제 3 화소 영역(P3)의 변에서 상기 뱅크층(254)과 상기 제 1 전극(250)은 제 1 폭(W1)만큼 중첩하고, 상기 제 1 전극(250)은 상기 제 1 화소 영역(P2)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돌출부(252)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제 3 화소 영역(P3)의 모서리에 상기 뱅크층(254)과 상기 제 1 전극(250)은 상기 제 1 폭(W1)보다 큰 제 2 폭(W2)만큼 중첩한다.
이에 따라, 돌출부(252)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3 화소 영역(P1, P3)의 제 1 전극(250)은 끝에서 제 3 폭(W3)을 갖고 중앙에서 상기 제 3 폭(W3)보다 작은 제 4 폭(W4)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P1)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P2)의 상기 제 1 전극(250)은 끝에서 제 1 거리(d1)만큼 이격되고 중앙에서 상기 제 1 거리(d1)보다 큰 제 2 거리(d2)만큼 이격된다. 또한, 상기 제 2 화소 영역(P2)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P3)의 상기 제 1 전극(250) 역시 중앙에서 끝부분보다 큰 거리만큼 이격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 3 화소 영역(P3)의 제 1 변과 반대측인 제 2 변의 양단에 위치하는 모서리에서 상기 제 1 전극(250)은 돌출부를 갖지 않는다.
즉, 백색 화소인 제 2 화소 영역(P1, P2)과 인접한 제 1 및 제 3 화소 영역(P1, P3)에서, 제 1 전극(250)은 제 2 화소 영역(P1, P2) 방향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돌출부(252)를 포함한다.
한편, 제 2 화소 영역(P2)에서 상기 제 1 전극(250)은 돌출부를 갖지 않는다. 즉, 제 2 화소 영역(P2)에서 제 1 전극(250)은 끝과 중앙에서 동일한 폭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200)에서는, 백색 화소와 인접한 컬러 화소에서 제 1 전극(250)의 모서리에 돌출부(252)를 형성함으로써, 제 1 실시예의 유기발광표시장치에서와 같이 제 1 전극이 과식각되더라도 제 1 전극의 가장자리가 뱅크층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따라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간 전기적 쇼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기판(201) 상에 반도체 물질을 증착하고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여 반도체층(도 3의 110)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반도체층(110) 상에 무기절연물질과 금속물질을 순차 적층하고 하나의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여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게이트 절연막(도 3의 112)과 게이트 전극(도 3의 114)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게이트 배선(도 2의 GL)을 형성한다.
다음, 도 6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전극(114)을 덮고 제 1 및 제 2 콘택홀(도 3의 120a, 120b)을 갖는 층간 절연막(120)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층간 절연막(120) 상에 금속물질을 증착하고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여 데이터 배선(도 2의 DL), 파워 배선(PL), 소스 전극(도 3의 122) 및 드레인 전극(도 3의 124)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데이터 배선(DL), 파워 배선(PL), 소스 전극(122) 및 드레인 전극(124)을 덮는 보호층(230)을 형성한다.
다음, 도 6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3 화소 영역(P1, P3)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230) 상에 컬러 안료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층(23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화소 영역(P2)에는 컬러필터층(235)이 형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화소 영역(P1)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화소 영역(P3)에는 이들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6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컬러필터층(235)과 상기 보호층(230) 상에 투명 절연물질을 코팅하여 투명 절연물질층(244)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 절연물질은 포토-아크릴(photo-acryl)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절연물질층(244)은, 제 1 화소 영역(도 5의 P1)에서 컬러필터층(235) 상에 위치하며 제 1 두께(t1)를 갖고, 상기 제 2 화소 영역(도 2의 P2)에서 보호층(230)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두께(t1)보다 큰 제 2 두께(t2)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P1, P2)의 경계에서 상기 컬러필터층(235)과 상기 보호층(230)의 단차에 의해 상기 투명 절연물질층(244)은 상기 제 1 두께(t1)보다 작은 제 3 두께(t3)를 갖는다.
한편, 제 3 화소 영역(도 5의 P3)와 제 2 화소 영역(P2)의 경계에서도 도 6c에서와 유사한 구조가 된다.
다음, 상기 투명 절연물질층(244)에 대하여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여 드레인 콘택홀(도 3의 142)에 대응하는 투명 절연물질층(244)을 제거한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절연물질층(244)에 대하여 애싱(ashing)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제 1 화소 영역(P1)의 컬러필터층(235) 상에 평탄화층(240)을 형성하고 제 2 화소 영역(P2)의 보호층(230) 상에 투명 절연층(246)을 형성한다.
드레인 콘택홀(도 3의 142)이 형성될 영역에 투명 절연물질이 남게 되면 보호층(230)의 식각 공정이 불충분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제 1 애싱 공정을 진행하여 드레인 콘택홀(142) 형성 영역의 잔류 투명 절연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 보호층(230)을 노출시킨다.
다음, 노출된 보호층(230)을 식각함으로써, 드레인 콘택홀(142)을 형성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평탄화층(240)과 상기 보호층(230)이 하나의 마스크 공정에 의해 패터닝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증가하지 않는다.
다음,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탄화층(240)과 상기 투명 절연층(246) 상에 투명 도전 물질층(260)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 도전 물질층(260)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270)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270)은 제 1 전극(도 5의 250)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270)은 제 2 화소 영역(도 5의 P2)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3 화소 영역(도 5의 P1, P3)에서는 모서리에 돌출부가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 투명 도전 물질층(260)은 ITO 또는 IZO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270)을 이용한 마스크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평탄화층(250) 상에 제 1 전극(25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화소 영역(P2)에서 제 1 전극(250)은 투명 절연층(246) 상에 형성된다.
다음,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전극(250)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뱅크층(254)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제 1 전극(250) 상에 유기발광층(256)과 제 2 전극(258)을 순차 적층시켜 유기발광다이오드(D)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서는, 컬러필터층(235)의 가장자리에서 투명 절연물질층(244)이 모두 제거되어 컬러필터층(235)이 노출되고 (도 6c), 투명 도전 물질층(260)이 컬러필터층(235)과 접촉하여 과식각되더라도 제 1 및 제 3 화소 영역(P1, P3)의 모서리에서 제 1 전극(250)이 돌출부(252)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 1 전극(250)의 가장자리는 뱅크층(254)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따라서, 제 1 전극(250)과 제 2 전극(258) 간 전기적 쇼트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201: 기판 110, 210: 반도체층
112, 212: 게이트 절연막 114, 214: 게이트 전극
120, 220: 층간 절연막 122, 222: 소스 전극
124, 224: 드레인 전극 130, 230: 보호층
135, 235: 컬러필터층 140, 240: 평탄화층
146, 246: 투명 절연층 150, 250: 제 1 전극
252: 돌출부 154, 254: 뱅크층
156, 256: 유기발광층 158, 258: 제 2 전극
Td: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D: 유기발광다이오드

Claims (15)

  1. 인접한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 각각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덮는 보호층과;
    상기 제 1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컬러필터층과;
    상기 제 1 컬러필터층을 덮는 평탄화층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투명 절연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상기 평탄화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과;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과;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화소 영역에 인접한 모서리에서 제 1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끝에서 제 1 거리만큼 이격되고 중앙에서 상기 제 1 거리보다 큰 제 2 거리만큼 이격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러필터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층 중 어느 하나인 유기발광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 영역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화소 영역에 인접한 제 3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컬러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인접한 모서리에서 제 2 돌출부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컬러필터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층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 2 컬러필터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필터층 중 다른 하나인 유기발광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화소영역의 변에서 상기 뱅크층과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폭만큼 중첩하고, 상기 제 3 화소영역의 모서리에서 상기 뱅크층과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만큼 중첩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끝에서 제 1 폭을 갖고 중앙에서 상기 제 1 폭보다 작은 제 2 폭을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끝에서 제 1 폭을 갖고 중앙에서 상기 제 1 폭보다 작은 제 2 폭을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제 1 전극은 끝과 중앙에서 동일한 폭을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끝에서 제 1 거리만큼 이격되고 중앙에서 상기 제 1 거리보다 큰 제 2 거리만큼 이격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영역의 변에서 상기 뱅크층과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폭만큼 중첩하고, 상기 제 1 화소영역의 모서리에서 상기 뱅크층과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만큼 중첩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2. 인접한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 각각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덮는 보호층과;
    상기 제 1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컬러필터층과;
    상기 제 1 컬러필터층을 덮는 평탄화층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투명 절연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상기 평탄화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과;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과;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화소 영역에 인접한 모서리에서 제 1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화소 영역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화소 영역에 인접한 제 3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컬러필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인접한 모서리에서 제 2 돌출부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3. 인접한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 각각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덮는 보호층과;
    상기 제 1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층과;
    상기 컬러필터층을 덮는 평탄화층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투명 절연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상기 평탄화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과;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과;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화소 영역에 인접한 모서리에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끝에서 제 1 폭을 갖고 중앙에서 상기 제 1 폭보다 작은 제 2 폭을 갖고,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제 1 전극은 끝과 중앙에서 동일한 폭을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4. 인접한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 각각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덮는 보호층과;
    상기 제 1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컬러필터층과;
    상기 컬러필터층을 덮는 평탄화층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투명 절연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상기 평탄화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과;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과;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화소 영역에 인접한 모서리에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화소영역에서, 상기 제 1 전극의 일 부분은 상기 평탄화층 상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컬러필터층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전극은 끝에서 제 1 거리만큼 이격되고 중앙에서 상기 제 1 거리보다 큰 제 2 거리만큼 이격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0160059060A 2016-05-13 2016-05-13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544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060A KR102544941B1 (ko) 2016-05-13 2016-05-13 유기발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060A KR102544941B1 (ko) 2016-05-13 2016-05-13 유기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000A KR20170128000A (ko) 2017-11-22
KR102544941B1 true KR102544941B1 (ko) 2023-06-16

Family

ID=6081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060A KR102544941B1 (ko) 2016-05-13 2016-05-13 유기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9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90B1 (ko) * 2004-06-25 2011-07-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126350B1 (ko) * 2013-12-30 2020-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000A (ko)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806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61391B1 (ko) 대면적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TWI699917B (zh) 頂部發光型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KR101288427B1 (ko) 표시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67966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093330B2 (en) Array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3014169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6863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00891B1 (ko)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20004933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9952532A (zh) 阵列基板、显示装置和制造阵列基板的方法
JP5241966B2 (ja) 半導体装置、tft基板、ならびに半導体装置およびtft基板の製造方法
KR20160001851A (ko)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KR102122401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34318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00005303A (ko)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415963A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JP6905421B2 (ja) 表示装置
KR20160053383A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544941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40079080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27067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19572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7188853A (ja) 表示装置
US2023027665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