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906B1 -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커버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커버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906B1
KR102544906B1 KR1020217025101A KR20217025101A KR102544906B1 KR 102544906 B1 KR102544906 B1 KR 102544906B1 KR 1020217025101 A KR1020217025101 A KR 1020217025101A KR 20217025101 A KR20217025101 A KR 20217025101A KR 102544906 B1 KR102544906 B1 KR 102544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surface
substrate
convex plate
bezel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709A (ko
Inventor
취엔하오 웬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10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Abstract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커버 플레이트에 있어서, 전자 기기(1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 오목홈(111)이 설치된 베젤을 포함하고, 베젤에는 오목홈(111)의 홈 저부를 관통하는 통공(112)이 설치되는 미들 베젤(100); 적어도 일부 구조가 베젤 내에 위치하고, 렌즈(411)를 포함하며, 렌즈(411)는 통공(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400); 및 기판(310)과 기판(310)에 돌출된 볼록 플레이트(320)를 포함하고, 기판(310)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이 커버되며, 볼록 플레이(320)는 오목홈(111)에 수용되고 렌즈(411)가 커버되며, 볼록 플레이트(320)는 좌측면(322), 우측면(323)과 제1 외표면(324)을 포함하고, 좌측면(322), 우측면(323)의 적어도 하나와 제1 외표면(324)은 합류(交匯)하여 직각을 형성하며, 또는, 제1 외표면(324)과의 사이에서 모따기를 통해 제2 과도면(322a)을 형성하고, 제2 과도면(322a)의 폭은 0.1mm~0.8mm인 커버 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커버 플레이트
본 출원은 전자 기기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커버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전면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의 탑단에 설치되며, 미들 베젤에는 오목홈을 설치하여 전면 카메라의 입광 영역을 미리 남겨두어야 하고, 오목홈의 사이즈가 비교적 클 때 전자 기기의 미관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근거하여,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커버 플레이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전자 기기에 있어서,
평면 영역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둘러싸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에는 오목홈이 설치되며, 상기 베젤에는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오목홈의 홈 저부를 관통하는 미들 베젤;
전부 구조 또는 일부 구조가 상기 베젤 내에 위치하고, 입광을 위한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및
일체로 성형된 볼록 플레이트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기판의 일측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며, 상기 기판과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제1 참고 평면을 향해 정투영되고, 기판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과 볼록 플레이트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은 두 포인트에서 서로 사귀며, 상기 두 포인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참고 직선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참고 직선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참고 직선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커버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오목홈에 수용되고 상기 렌즈를 커버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서로 등지게 설치되는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기 렌즈에서 멀어지는 제1 외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표면은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외표면과 서로 사귀고 협각은 직각이며, 또는 상기 좌측면,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외표면 사이는 모따기를 통해 제2 과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과도면이 상기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1mm~0.8mm이며, 상기 제1 참고 평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평면 영역이 위치하는 평면인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디스프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에 있어서,
평면 영역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일체로 성형된 볼록 플레이트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기판의 일측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며, 상기 기판과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제1 참고 평면을 향해 정투영되고, 기판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과 볼록 플레이트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은 두 포인트에서 서로 사귀며, 상기 두 포인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참고 직선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참고 직선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참고 직선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커버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서로 등지게 설치된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위치하는 평면에서 멀어지는 제1 외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표면은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외표면과 서로 사귀고 협각은 직각이며, 또는 상기 좌측면,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외표면 사이는 모따기를 통해 제2 과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과도면이 상기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1mm~0.8mm이며, 상기 제1 참고 평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평면 영역이 위치하는 평면인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에 있어서, 일체로 성형된 볼록 플레이트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기판의 일측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며, 상기 기판과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제2 참고 평면을 향해 정투영되고, 기판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과 볼록 플레이트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은 두 포인트에서 서로 사귀며, 상기 두 포인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참고 직선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참고 직선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참고 직선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서로 등지게 설치되는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외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외표면과 서로 사귀고 협각은 직각이며, 또는 상기 좌측면,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외표면 사이는 모따기를 통해 제2 과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과도면이 상기 제2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1mm~0.8mm이며, 상기 기판은 평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참고 평면은 상기 기판의 평면 영역이 위치하는 평면이다.
전자 기기에 있어서,
평면 영역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둘러싸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에는 오목홈이 설치되며, 상기 베젤에는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오목홈의 홈 저부를 관통하는 미들 베젤;
전부 구조 또는 일부 구조가 상기 베젤 내에 위치하고, 입광을 위한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및
볼록 플레이트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기판의 일측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상기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커버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오목홈에 수용되며 상기 렌즈를 커버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서로 등지게 설치된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기 렌즈에서 멀어지는 제1 외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표면은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면과 상기 우측면은 상기 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외표면과 서로 사귀고 협각은 직각이며, 또는 상기 좌측면,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외표면 사이는 모따기를 통해 제2 과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과도면이 상기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1mm~0.8mm이며, 상기 제1 참고 평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평면 영역이 위치하는 평면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에서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될 필요가 있는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이하 설명된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진보적 노동없이 이들 도면에 따라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얻을 수도 있다.
도1은 일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C부의 구조 확대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분해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D부의 구조 확대도이다.
도7은 도5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E부의 구조 확대도이다.
도8은 도5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9는 도3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B-B부의 단면도이다.
도10은 도9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실시예에서의F부의 구조 확대도이다.
도11은 도9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다른 일실시예에서의 F부의 구조 확대도이다.
도12는 도9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G부의 구조 확대도이다.
도13은 도9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F부의 구조 확대도이다.
도14는 도3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다른 일실시예에서의 평면도이다.
도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자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하여 보다 전체적인 설명을 할 것이다. 도면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그러나, 본 출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이러한 실시예를 제공하는 목적은 본 출원의 개시 내용을 보다 철저하고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말 기기"는 이하 연결 방식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여러가지를 통해 연결된, 통신 신호를 수신 및/또는 전송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라인(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및 직접 케이블 연결과 같은 유선 라인 연결 방식을 통함;
(2) 예컨대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VB-H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송신기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함.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설치된 단말 장치를 "이동 단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예에는 이하 전자 장치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위성 전화 또는 셀룰러 전화;
(2)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프로세싱, 팩스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
(3)무선 전화,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웹 브라우저, 노트북, 달력,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가 장착된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4)통상의 랩탑 및/또는 팜탑 수신기;
(5)통상의 랩탑 및/또는 팜탑 무선 전화 송수신기 등.
도1,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0)가 제공되며, 전자 기기(10)는 스마트 폰, 컴퓨터 또는 태블릿일 수 있다. 전자 기기(1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미들 베젤(100), 배터리 커버(600) 및 메인 플레이트(7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배터리 커버(600)는 각각 미들 베젤(100)의 양측에 고정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미들 베젤(100) 및 배터리 커버(600)는 함께 전자 기기(10)의 외부 구조를 형성하고, 메인 플레이트(700)는 전자 기기(10) 내부에 위치하며, 메인 플레이트(700)에는 컨트롤러, 저장 유닛, 전원 관리 유닛, 베이스 밴드 칩 등 전자 소자가 통합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화면 또는 글꼴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며, 메인 플레이트(700)는 전자 기기(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미들 베젤(100)은 일체로 성형된 베젤과 미들 플레이트(150)를 포함하고, 미들 플레이트(150)는 사각이 라운드(圓角)를 형성하는 직사각형(方形) 구조이며, 베젤은 미들 플레이트(150)의 사방을 둘러싼다. 베젤과 미들 플레이트(150)의 양측은 모두 오픈 박스 형상의 구조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일측 박스 구조 내에 고정되고, 배터리 커버(600)는 타측 박스 구조 내에 고정된다. 미들 플레이트(150)와 배터리 커버(600) 사이에는 메인 플레이트(700)와 누름판(800)이 설치되고, 메인 플레이트(700)와 누름판(800)은 나사를 통해 미들 플레이트(150)의 배터리 커버(600)를 향하는 일측에 고정된다. 이해할 수 있는 바,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전자 기기(10)를 사용하여 전화 통화시, 전자 기기(10)의 수화기가 귀를 향하고, 전자 기기(10)의 마이크가 입을 향하며, 전자 기기(10)가 지면으로부터 수직에 가까우면, 위를 향하는 일단이 전자 기기(10)의 탑단이고, 아래를 향하는 일단이 전자 기기(10)의 밑단이며, 왼쪽을 향하는 일단이 전자 기기(10)의 좌단이고, 오른쪽을 향하는 일단이 전자 기기(10)의 우단이며, 좌단과 우단 사이의 거리가 전자 기기(10)의 폭을 정의하고, 탑단과 밑단 사이의 거리가 전자 기기(10)의 길이를 정의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외표면과 배터리 커버(600)의 외표면 사이의 거리가 전자 기기(10)의 두께를 정의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베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둘러싸고, 서로 등지게 설치되는 제1측 베젤(120), 제2측 베젤(140), 및 탑 베젤(110)과 서로 등지게 설치되는 저부 베젤(130)을 포함한다. 제1측 베젤(120)은 상기 탑 베젤(110), 저부 베젤(130)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측 베젤(140)은 탑 베젤(110), 저부 베젤(130)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1측 베젤(120)은 전자 기기(10)의 좌단에 위치하며, 제2측 베젤(140)은 전자 기기(10)의 우단에 위치하고, 탑 베젤(110)은 전자 기기(10)의 탑단에 위치하며, 저부 베젤(130)은 전자 기기(10)의 밑단에 위치한다.
도5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0)는 카메라 모듈(400), 카메라 모듈(400)의 렌즈 배럴(412), 베이스(413), 및 플렉서블 회로기판 등 소자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회로기판은 베이스(413)에 연결되고, 베이스(413) 내에는 이미지 프로세서, AF 구동 어셈블리, 적외선 필터, 및 스토리지 등 소자가 설치되어 외부 물체의 이미징을 실현한다. 렌즈 배럴(412)은 베이스(413)에 연결되고, 렌즈 배럴(412)의 내부 챔버는 베이스(413)의 내부 챔버와 연통된다. 렌즈 배럴(412) 내에는 입광을 위한, 광선을 전도할 수 있는 렌즈(411) 및 기타 광선을 전도하기 위한 광학 렌즈가 설치되고, 렌즈 배럴(412)의 베이스(413)에서 멀어지는 일단은 단벽(411a)이고, 단벽(411a)에는 입광구(411b)가 설치되며, 렌즈(411)는 입광구(411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실시예에서, 렌즈 배럴(412)은 서로 연결된 제1 보스(412a) 및 제2 보스(412b)를 포함한다. 제2 보스(412b)는 제1 보스(412a)와 베이스(413) 사이에 연결되고, 제2 보스(412b)는 계단면(412c)을 포함하고, 계단면(412c)은 제1 보스(412a)를 둘러싼다. 단벽(411a)은 제1 보스(412a)의 베이스(413)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하며, 렌즈(411)는 제1 보스(412a) 내에 설치되고, 단벽(411a)을 통해 설치된 입광구(411b)는 외부로 노출된다.
도7,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탑 베젤(110) 내벽은 전자 기기(10)의 외측을 향하여 함몰되어 카메라 모듈 (400)을 설치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카메라 모듈(400)의 적어도 일부 구조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된다. 탑 베젤(110)의 커버 플레이트(300)에 위치하는 일측에는 오목홈(111)이 설치되고, 오목홈(111)은 탑 베젤(110)의 외표면을 관통하며, 탑 베젤(110)에는 통공(112)이 설치되고, 통공(112)은 오목홈(111)의 홈 저부를 관통하며, 통공(112)은 수용 공간과 연통되고, 렌즈(411)는 통공(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환경 광선이 통공(112)을 통해 렌즈(411)로 조사되도록 한다. 렌즈(411)의 방향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방향과 동일하므로, 전자 기기(10)가 전면 촬영, 비디오, 녹화 등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12)은 탑 베젤(110)의 가장자리를 관통한다. 즉, 통공(11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홈(111)에 위치하여, 탑 베젤(110)의 구조 강도를 너무 많이 약화시키지 않도록 하고, 탑 베젤(110)의 높이가 너무 많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 카메라 모듈(400)의 적어도 일부 구조는 탑 베젤(110) 내에 위치하고, 렌즈(110)는 탑 베젤(110)에 설치된 통공(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전자 기기(10)의 스크린 듀티를 제고하고, 전자 기기(10)의 전면 스크린 방안을 실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메인 플레이트(700)에는 노치(710)가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400)은 노치(710)를 관통한다. 이러한 구조는 카메라 모듈(400)을 메인 플레이트(700)에 적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전자 기기(10)의 전체 두께를 줄이는데 유리하고, 전자 기기(10)를 더 가볍고 얇게 하는데 유리하다. 다른 일실시예에서, 누름판(800)은 배터리 커버(600)를 향하는 메인 플레이트(700)의 일측에 위치되고, 누름판(800)과 메인 플레이트(700)는 함께 나사를 통해 미들 플레이트(150)에 고정된다. 누름판 (800)에는 수용홈(810)이 설치되고, 카메라 모듈 (400)의 구조 중 일부가 수용홈(810) 내에 수용되며, 누름판(800)은 카메라 모듈(400)을 눌러 카메라 모듈(400)을 고정시킨다. 이해할 수 있는 바, 누름판 (800)은 필수적이지 않으며, 카메라 모듈(400)은 기타 방식으로도 안정적으로 포지셔닝될 수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커버 플레이트(300)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을 포함하고, 커버 플레이트(300)는 미들 플레이트(150)로부터 멀어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일측을 커버한다. 일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LCD (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사용하고, LCD 스크린은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 스크린(230) 또는 IPS(In-Plane Switching, 평면 스위칭) 스크린(230) 또는 SLCD (Splice Liquid Crystal Display, 스플라이스 전용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230)일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유기 전계 레이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사용한다. OLED 스크린은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스크린(230) 또는 Super AMOLED (Super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슈퍼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스크린(230) 또는 Super AMOLED Plus(Super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lus, 슈퍼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플러스) 스크린(230)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얇은 OLED 스크린을 사용하고, 이는 전자 기기(10)의 두께를 감소하는데 유리하다.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조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9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디스플레이 가능 영역은 직사각형 또는 라운드 직사각형(圓角矩形)이고, 디스플레이 가능 영역은 도3에 도시된 AA영역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커버 플레이트(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된 제1 광학 점착제층(210), 편광판(220), 스크린(230), 제2 광학 점착제층(240), 폼(250) 및 쿨링핀(260)을 포함한다. 제1 광학 점착제층(210)은 커버 플레이트(300)와 편광판(220)을 접착하기 위한 OCA 투명 점착제로 제조되며, 제1 광학 점착제층(210)의 두께는 0.15mm보다 작거나 같다. 편광판(220)은 제1 광학 점착제층(210)과 스크린(230) 사이에 위치하며, 두께는 0.147mm보다 작거나 같다. 스크린(230)의 두께는 0.03mm보다 작거나 같으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광학 점착제층(240)은 스크린(230)과 폼(250)을 접착하기 위한 OCA 투명 점착제로 제조되며, 제2 광학 점착제층(240)의 두께는 0.088mm보다 작거나 같다. 폼(250)은 제2 광학 점착제층(240)의 스크린(230)을 등지는 일측에 위치하며, 밀봉 및 충격 흡수 작용을 구비하고, 폼(250)의 두께는 0.239mm보다 작거나 같다. 폼(250)의 제2 광학 점착제층(240)을 등지는 일측에는 쿨링핀(260)이 설치되어, 스크린(230)의 산열(散熱)을 용이하게 하며, 쿨링핀(260)의 두께는 0.03mm보다 작거나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300)는 투명한 유리로 제조되고, 투광율은 80%보다 작지 않으며, 커버 플레이트(300)의 두께는 0.55mm보다 작거나 같다. 커버 플레이트(300)는 일체로 성형된 볼록 플레이트(320)와 기판(310)을 포함하고, 볼록 플레이트(320)는 기판(31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되고, 기판 (31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디스플레이 가능 영역을 커버하며, 볼록 플레이트(32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디스플레이 가능 영역 밖에 위치하고, 볼록 플레이트(320)는 오목홈(111)에 수용된다. 이해할 수 있는 바, 볼록 플레이트(310)가 기판(31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것은 이하 방식에 따라 설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이 위치한 평면을 제1 참고 평면으로 정의하고, 기판(310)과 볼록 플레이트(320)가 제1 참고 평면을 향해 정투영되면, 볼록 플레이트(320)와 동일 측에 있는 기판(310)의 단부는 제1 참고 평면의 정투영의 가장자리에서 하나의 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곡선은 볼록 플레이트(320)의 양측에 위치하는 2 개의 선분을 포함하며, 2 개의 선분을 연결하여 하나의 참고 직선을 형성하면, 기판(310)은 참고 직선의 일측에 위치하고, 볼록 플레이트(320)는 참고 직선의 타측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이해할 수 있는 바, 기판(310)과 볼록 플레이트(320)는 제1 참고 평면을 향해 정투영되고, 기판(310)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과 볼록 플레이트(320)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이 두 포인트에서 서로 사귀며, 두 포인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참고 직선을 형성하고, 기판 (310)은 참고 직선의 일측에 위치하며, 볼록 플레이트(320)는 참고 직선의 타측에 위치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 기판 (310)은 평면 영역을 포함하고, 기판(310)의 평면 영역이 위치하는 평면을 제2 참고 평면으로 정의하며, 제2 참고 평면은 제1 참고 평면과 평행한다.
도3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볼록 플레이트(320)는 기판 (310)을 등지는 일측의 탑측면(321), 서로 등지게 설치된 좌측면(322)과 우측면(323), 및 렌즈(411)를 등지는 제1 외표면(324)을 포함하고, 탑측면(321)은 좌측면(322)과 우측면(323) 사이에 연결된다. 탑측면(321), 좌측면(322), 및 우측면(323)은 모두 제1 외표면(324)과 합류하여(交匯) 직각을 형성한다. 카메라 모듈(400)의 시야각의 경계는 제1 외표면(324)과 서로 사귀면서 교선을 형성하고, 교선과 탑측면(321), 좌측면(322), 및 우측면(323) 사이의 최소 거리(d1)는 0.2mm~1.4mm이며, 바람직하게는 0.25mm이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면(322)과 우측면(323) 사이의 거리인즉 볼록 플레이트(320)의 폭이고, 볼록 플레이트(320)의 폭(L2)은 2.8mm~4.4mm이며, 바람직하게는 3.2mm이다. 기판(310)은 탑 베젤(110)의 일측에 근접하는 탑단면(311)을 포함하고, 탑측면(321)과 탑단면(311) 사이의 거리인즉 볼록 플레이트(320)가 기판(310)에서 돌출되는 높이이며, 볼록 플레이트(320)가 기판(310)에서 돌출되는 높이(L1)는 3.6mm~4.8mm이고, 바람직하게는 3.65mm이다. 이해할 수 있는 바, 상이한 카메라 모듈(400)의 시야각과 제1 외표면(324)이 형성하는 교선의 폭은 상이하기에, 볼록 플레이트(320)가 기판(310)에서 돌출된 높이와 볼록 플레이트(320)의 폭의 사이즈는 상이하다. 해당 실시예에서, 교선과 탑측면(321), 좌측면(322), 및 우측면(323) 사이의 최소 거리(d1)는 비교적 작고, 볼록 플레이트(320)의 가장자리는 카메라 모듈(400)의 광축에 비교적 근접할 수 있고, 볼록 플레이트(320)가 기판(310)에서 돌출되는 높이의 사이즈(L1), 볼록 플레이트(320)의 폭의 사이즈(L2)가 비교적 작도록 하면, 탑 베젤(110)에 설치될 오목홈(111)의 사이즈도 비교적 작게 되며, 전자 기기(10)의 외관 표현력을 향상하는데 유리하다.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측면(321)과 제1 외표면(324)의 합류 위치에서 라운드를 형성하여 제1 과도면(321a)을 형성하고, 좌측면(322), 우측면(323)과 제1 외표면(324) 사이는 2.5D 라디안을 통해 평활하게 과도하여 제2 과도면(322a)을 형성하며, 제1 과도면(321a)과 제2 과도면(322a)이 모두 2.5D 호면이면, 제1 과도면(321a)과 제2 과도면(322a)의 폭은 같으며, 모두 d2이고, d2는 0.8mm~1.6mm이고, 바람직하게 1.6mm이다. 이해할 수 있는 바, 제1 과도면(321a)의 폭은 제1 과도면(321a)이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이고, 제2 과도면(322a)의 폭은 제2 과도면(322a)이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이다. 또한 호면을 가공할 때 호면에 근접한 위치의 유리에 손상주기에, 교선과 제1 과도면(321a), 제2 과도면(322a) 사이에 안전 거리(d3)로서 하나의 거리를 남기며, d3은 0.6mm보다 작지 않다. 따라서 탑측면(321), 좌측면(322), 우측면(323)과 제1 외표면(324)의 합류 위치에 모두 라운드를 형성하여 2.5D 과도 호면을 형성할 경우, 카메라 모듈(400)의 시야각과 제1 외표면(324)이 서로 사귀면서 형성한 교선과 탑측면(321), 좌측면(322), 우측면(323) 사이의 최소 거리(d1)가 d2+d3이면, d1의 최소치의 범위는 1.4mm~2.2mm이고, 교선과 탑측면(321), 좌측면(322), 우측면(323) 사이의 사이즈는 비교적 크게 되며, 볼록 플레이트(320)가 기판(310)에서 돌출되는 높이의 사이즈(L1)가 비교적 크고, 볼록 플레이트(320)의 폭의 사이즈(L2)가 비교적 크면, 탑 베젤(110)은 사이즈가 비교적 큰 오목홈(111)을 설치하여 볼록 플레이트(320)를 수용하여야 하며, 이로써 전자 기기(10)의 외관 표현력을 하강시킨다.
도2, 도4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탑측면(321)과 제1 외표면(324)의 합류 위치에서 베벨(斜角)을 형성하여 제1 과도면(321a)을 형성하고, 제1 과도면(321a)은 평면이며, 좌측면(322), 우측면(323) 및 제1 외표면(324)의 합류 위치에서 모두 베벨을 형성하여 제2 과도면(322a)을 형성하고, 제2 과도면(322a)은 평면이다. 이해할 수 있는 바, 제1 과도면(321a), 제2 과도면(322a)은 라운드를 형성하여 호면으로 될 수 있고, 제1 과도면(321a)과 제2 과도면(322a)은 커버 플레이트(300)의 강도를 증가할 수 있으며, 볼록 플레이트(320)의 가장자리에서 응력 집중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과도면(321a), 제2 과도면(322a)의 폭(d2)은 같으며, 모두 0.1mm~0.8mm이다. 안전 거리(d3)가 0.1mm보다 작지 않으며, 0.6mm보다 크지 않으면, 카메라 모듈(400)의 시야각과 제1 외표면(324)이 서로 사귀면서 형성하는 교선과 탑측면(321), 좌측면(322), 우측면(323) 사이의 최소 거리(d1)는 d2+d3이고, d1의 최소치의 범위는 0.2mm~1.4mm이며, 예컨대, 제1 과도면(321a), 제2 과도면(322a)의 폭(d2)은 0.15mm이고, 안전 거리(d3)는 0.25mm이면, 교선과 탑측면(321), 좌측면(322), 우측면(323) 사이의 최소 거리(d1)는 0.4mm이다. 본 실시예에서, 탑측면(321)과 제1 외표면(324)의 합류 위치는 베벨을 형성하여 제1 과도면(321a)으로서 경사된 평면을 형성하고, 좌측면(322), 우측면(323)과 제1 외표면(324)이 합류 위치는 모두 베벨을 형성하여 제2 과도면(322a)으로서 경사진 평면을 형성하며, 2.5D 호면에 상대하여, 해당 설치는 볼록 플레이트(320)의 가장자리가 카메라 모듈(400)의 광축에 비교적 근접하도록 하고, 볼록 플레이트(320)가 기판(310)에 돌출되는 높이 사이즈와 볼록 플레이트(320)의 폭 사이즈(L2)를 감소하며, 동시에 커버 플레이트(30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3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400)은 광축을 포함하고, 광축이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디스플레이 가능 영역으로부터의 거리(L3)는 3.4mm이다. 이해할 수 있는 바, 전자 기기(10)는 상이한 사이즈의 카메라 모듈(400)을 사용하고, L3의 수치는 변화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기판(310)은 서로 등지게 설치된 좌단면(312), 우단면(314), 탑단면(311)과 서로 등지게 설치된 밑단면(313),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을 등지는 제2 외표면(315)을 포함하고, 제2 외표면(315)과 제1 외표면(324)은 공통면이다. 좌단면(312)은 탑단면(311)과 밑단면(313)의 일단에 연결되고, 우단면(314)은 탑단면(311)과 밑단면(313)의 타단에 연결된다. 탑단면(311), 밑단면(313), 좌단면(312)과 우단면(314)은 제2 외표면(315)의 외주에 위치하고, 제2 외표면(315)과의 사이에서 2.5D 라디안을 통해 평활하게 과도하여 제3 과도면(311a)을 형성하며, 제3 과도면(311a)의 폭은 0.8mm~1.6mm이다. 이해할 수 있는 바, 제3 과도면(311a)의 폭은 제3 과도면(311a)이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이다. 제3 과도면(311a)은 커버 플레이트(300)의 강도를 증가할 수 있기에, 커버 플레이트(300)가 감촉이 좋고, 깨지는 것을 방지하며, 포인트 컨트롤이 용이한 등의 특점이 구비되도록 하고, 전자 기기(1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가 더욱 입체적이며, 시각 효과가 극히 우수하도록 한다.
일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0)의 조립 순서는 아래와 같다. 커버 플레이트(300)와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을 점착 공정(點膠工藝)을 통해 미들 베젤(100)에 고정하고, 카메라 모듈(400)을 미들 베젤(100)에 조립하며, 미들 베젤(100)을 통해 카메라 모듈(400)의 길이와 폭 방향을 포지셔닝하고, 렌즈(411)는 통공(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메인 플레이트(700)는 미들 베젤(100)에 장착된다. 카메라 모듈(400)의 BTB 커넥터를 메인 플레이트(700)에 체결(
Figure 112021091139404-pct00001
)한다. 나사를 통해 누름판(800)을 미들 베젤(100)에 조립하고, 메인 플레이트(700)가 미들 플레이트(150)를 등지는 일측에 위치하며, 누름판(800)은 전자 기기(10)의 두께 방향에서 카메라 모듈(400)을 압축하고, 배터리 커버(600)를 체결한다.
전자 기기(10)의 전면 스크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400)은 점차 미들 베젤(100)의 탑단에 근접하고, 커버 플레이트(300)의 카메라 모듈(400) 위치에서의 볼록 플레이트(320) 가장자리의 2.5D 라디안은 볼록 플레이트(320)의 사이즈를 증가하고, 미관에 영향준다. 본 출원은 볼록 플레이트(320) 탑부와 양측 가장자리의 2.5D 라디안을 취소함으로써, 볼록 플레이트(320)의 탑측면(321), 좌측면(322), 우측면(323)과 제1 외표면(324)이 수직되게 합류하거나 베벨을 형성하여 과도하도록 하며, 볼록 플레이트(320)의 높이 사이즈(L1)와 폭 사이즈(L2)를 감소하고, 전자 기기(10)의 외관 표현력을 향상시킨다.
도15를 참고하면, 도15는 본 출원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 기기(10)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상기 전자 기기(10)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회로(501)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메모리(502), 입력 유닛(503), 디스플레이 유닛(504), 센서(504), 오디오 회로(506),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모듈(507)을 포함하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코어 프로세싱의 프로세서(508), 및 전원(609) 등 부품을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는 바, 도15에 도시된 전자 기기(10)의 구조는 전자 기기(10)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일부 부품을 조합하거나, 상이한 부품으로 배치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회로(501)는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거나, 통화 과정에서 신호의 수신과 송신에 사용될 수 있고, 특히, 기지국의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08)에서 프로세싱한다. 이 밖에, 업링크에 관한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회로(50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튜너, 하나 또는 다수의 발진기, 사용자 신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LNA, Low Noise Amplifier),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밖에, 무선 주파수 회로(501)는 무선 통신과 네트워크를 통해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임의의 통신 표준이거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고,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전자 메일,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ing Service)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502)는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502)에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에는 실행 가능 코드가 포함된다. 애플리케이션은 여러가지 기능 모듈을 조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508)는 메모리(502)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함으로써, 여러가지 기능 앱 및 데이터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메모리(502)는 주로 저장 프로그램 영역과 저장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저장 프로그램 영역에는 조작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음성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데이터 영역에는 전자 기기(10)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 메모리(5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휘발성 고체 상태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게, 메모리(502)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508)와 입력 유닛(503)이 메모리(502)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입력 유닛(503)은 입력된 숫자, 문자 정보 또는 사용자 특징 정보(예컨대, 지문)를 수신하고,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광학 또는 트랙볼 신호 입력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입력 유닛(503)은 터치 감지 표면 및 기타 입력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200) 또는 터치 패드라고도 알려진 터치 감지 표면은 그 위 또는 근처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는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터치 감지 표면 상에서 사용하거나 터치 감지 표면 부근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으며, 사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응한 연결 장치를 구동한다. 선택적으로, 터치 감지 표면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접촉 좌표로 스위칭하며, 다시 프로세서(508)로 전송하고, 프로세서(508)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고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504)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 및 전자 기기(10)의 여러가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텍스트, 아이콘, 비디오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504)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감지 표면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할 수 있고, 터치 감지 표면이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조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508)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고, 다음 프로세서(508)가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응한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15에서, 터치 감지 표면 및 디스플레이 패널이 2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입력 및 입력 기능을 실현하지만, 일부 실시 예에서, 터치 감지 표면과 디스플레이 패널은 통합되어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입력 유닛(503) 및 디스플레이 유닛(50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는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5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 광 센서와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환경 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암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전자 기기(10)가 귓가로 이동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 및/또는 백라이트를 오프할 수 있다. 모션 센서의 일종으로 중력 가속도 센서는 각 방향(일반적으로 3축)의 가속도 크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정지 상태에서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고, 휴대폰 자세의 앱(예컨대, 수평 및 수직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컨대, 보수계, 탭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의 경우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 기타 센서도 배치될 수 있고, 여기서 더욱 설명하지 않는다.
오디오 회로(506)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기기(1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회로(506)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스위칭하여 스피커로 전송하고, 스피커에 의해 음성 신호로 스위칭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마이크로폰은 수집된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스위칭하고, 오디오 회로(506)에 의해 수신된 후 오디오 데이터로 스위칭하며, 다시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서(508)에서 출력하여 프로세싱 후, 무선 주파수 회로(501)를 거쳐 예컨대 다른 전자 기기(10)로 송신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를 메모리(502)로 출력하여 더욱 프로세싱한다. 오디오 회로(506)는 주변 이어폰과 전자 기기(10)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이어폰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WiFi)는 단거리 무선 전송 기술에 속하고, 전자 기기(10)는 와이파이 모듈(507)을 통해 사용자가 이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브라우징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는 등을 도울 수 있고,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도15는 와이파이 모듈(507)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해할 수 있는 바, 이는 전자 기기(10)의 필수 구성에 속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본질을 변경하지 않고 생략될 수 있다.
프로세서(508)는 전자 기기(10)의 제어 센터이며, 때때로 메인 컨트롤러라고도 칭한다. 프로세서(508)는 여러가지 인터페이스와 라인을 이용하여 전체 전자 기기(10)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502) 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거나 실행하고, 메모리(502)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자 기기(10)의 여러가지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프로세싱함으로써, 전자 기기(10)에 대해 전체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508)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프로세서(508)는 앱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통합할 수 있고, 여기서, 앱 프로세서는 주로 조작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프로세싱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508)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자 기기(10)는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509)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원(509)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508)와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력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한다. 전원(509)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직류 또는 교류 전원, 재충전 시스템, 전원 고장 감지 회로, 전원 변환기 또는 인버터, 전원 상태 표시기 등 임의의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자 기기(10)는 블루투스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욱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위의 각 모듈은 독립적인 엔티티로 구현되거나 임의로 조합될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여러 개의 엔티티로서 구현될 수 있고, 위의 각 모듈의 구체적인 실시에 대해서는 앞의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욱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의 각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으며,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의 각 기술적 특징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설명하지는 않지만, 모순이 없는 한 이러한 기술적 특징의 조합은 모두 본 명세서의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전술 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여러 실시 방식을 표현할 뿐이며, 그 설명은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발명 특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몇 가지 변형 및 개선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 특허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29)

  1. 평면 영역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둘러싸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에는 오목홈이 설치되며, 상기 베젤에는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오목홈의 홈 저부를 관통하는 미들 베젤;
    전부 구조 또는 일부 구조가 상기 베젤 내에 위치하고, 입광을 위한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및
    일체로 성형된 볼록 플레이트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기판의 일측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며, 상기 기판과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제1 참고 평면을 향해 정투영되고, 기판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과 볼록 플레이트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은 두 포인트에서 서로 사귀며, 상기 두 포인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참고 직선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참고 직선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참고 직선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커버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오목홈에 수용되고 상기 렌즈를 커버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서로 등지게 설치된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기 렌즈에서 멀어지는 제1 외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표면은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외표면과 서로 사귀고 협각은 직각이며, 또는 상기 좌측면,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외표면 사이는 모따기를 통해 제2 과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과도면이 상기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1mm~0.8mm이며, 상기 제1 참고 평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평면 영역이 위치하는 평면인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기판을 등지는 일측의 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탑측면은 상기 좌측면과 상기 우측면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탑측면과 상기 제1 외표면은 서로 사귀고 협각은 직각이며, 또는 상기 탑측면과 상기 제1 외표면 사이는 모따기를 통해 제1 과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과도면이 상기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1mm~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측면은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시야각의 경계와 상기 제1 외표면은 서로 사귀면서 교선을 형성하고, 상기 교선으로부터 상기 제1 과도면 사이의 최소 거리는 0.1mm~0.6mm이며, 상기 교선으로부터 상기 제2 과도면 사이의 최소 거리는 0.1mm~0.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탑측면과 상기 교선 사이의 최소 거리는 0.2mm~1.4mm이고, 상기 좌측면, 우측면과 상기 교선 사이의 최소 거리는 0.2mm~1.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플레이트의 폭은 2.8mm~4.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탑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탑단면에 돌출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가 상기 탑단면에 돌출되는 사이즈는 3.6mm~4.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서로 등지게 설치되는 좌단면, 우단면, 상기 탑단면과 서로 등지게 설치된 밑단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멀어지는 제2 외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좌단면은 상기 탑단면과 상기 밑단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우단면은 상기 탑단면과 상기 밑단면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탑단면, 밑단면, 좌단면과 우단면은 상기 제2 외표면의 외주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외표면과 상기 제1 외표면은 공통면이며, 상기 탑단면, 밑단면, 좌단면과 상기 우단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외표면 사이는 2.5D 라디안을 통해 평활하게 과도하여 제3 과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3 과도면이 상기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8mm~1.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직사각형 또는 라운드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베젤은 베젤과 미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외주에 위치하며, 상기 베젤과 상기 미들 플레이트는 둘러싸여 안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안착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등지는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젤은 서로 등지게 설치된 제1측 베젤, 제2측 베젤, 및 서로 등지게 설치된 저부 베젤과 탑 베젤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 베젤은 상기 탑 베젤, 상기 저부 베젤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측 베젤은 상기 탑 베젤, 상기 저부 베젤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하는 메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는 노치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노치를 관통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서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하는 누름판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판에는 수용홈이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조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누름판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평면 영역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일체로 성형된 볼록 플레이트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기판의 일측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며, 상기 기판과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제1 참고 평면을 향해 정투영되고, 기판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과 볼록 플레이트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은 두 포인트에서 서로 사귀며, 상기 두 포인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참고 직선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참고 직선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참고 직선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커버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서로 등지게 설치된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위치하는 평면에서 멀어지는 제1 외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표면은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외표면과 서로 사귀고 협각은 직각이며, 또는 상기 좌측면,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외표면 사이는 모따기를 통해 제2 과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과도면이 상기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1mm~0.8mm이며, 상기 제1 참고 평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평면 영역이 위치하는 평면인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기판을 등지는 일측의 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탑측면은 상기 좌측면과 상기 우측면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탑측면과 상기 제1 외표면은 서로 사귀고 협각은 직각이며, 또는 상기 탑측면과 상기 제1 외표면 사이는 모따기를 통해 제1 과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과도면이 상기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1mm~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탑측면은 평면이고, 상기 제1 과도면은 평면 또는 호면이며, 상기 제2 과도면은 평면 또는 호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플레이트의 폭은 2.8mm~4.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탑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탑단면에 돌출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가 상기 탑단면에 돌출되는 사이즈는 3.6mm~4.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서로 등지게 설치되는 좌단면, 우단면, 상기 탑단면과 서로 등지게 설치된 밑단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멀어지는 제2 외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좌단면은 상기 탑단면과 상기 밑단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우단면은 상기 탑단면과 상기 밑단면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탑단면, 밑단면, 좌단면과 우단면은 상기 제2 외표면의 외주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외표면과 상기 제1 외표면은 공통면이며, 상기 탑단면, 밑단면, 좌단면과 상기 우단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외표면 사이는 2.5D 라디안을 통해 평활하게 과도하여 제3 과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3 과도면이 상기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8mm~1.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8. 일체로 성형된 볼록 플레이트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기판의 일측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며, 상기 기판과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제2 참고 평면을 향해 정투영되고, 기판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과 볼록 플레이트의 정투영의 윤곽 라인은 두 포인트에서 서로 사귀며, 상기 두 포인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참고 직선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참고 직선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참고 직선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서로 등지게 설치된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외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외표면과 서로 사귀고 협각은 직각이며, 또는 상기 좌측면,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외표면 사이는 모따기를 통해 제2 과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과도면이 상기 제2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1mm~0.8mm이며, 상기 기판은 평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참고 평면은 상기 기판의 평면 영역이 위치하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기판을 등지는 일측의 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탑측면은 상기 좌측면과 상기 우측면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탑측면과 상기 제1 외표면은 서로 사귀고 협각은 직각이며, 또는 상기 탑측면과 상기 제1 외표면 사이는 모따기를 통해 제1 과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과도면이 상기 제2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1mm~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탑측면은 평면이고, 상기 제1 과도면은 평면 또는 호면이며, 상기 제2 과도면은 평면 또는 호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플레이트의 폭은 2.8mm~4.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탑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탑단면에 돌출되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가 상기 탑단면에 돌출되는 사이즈는 3.6mm~4.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서로 등지게 설치되는 좌단면, 우단면, 상기 탑단면과 서로 등지게 설치되는 밑단면, 및 제2 외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좌단면은 상기 탑단면과 상기 밑단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우단면은 상기 탑단면과 상기 밑단면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탑단면, 밑단면, 좌단면과 우단면은 상기 제2 외표면의 외주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외표면과 상기 제1 외표면은 공통면이며, 상기 탑단면, 밑단면, 좌단면과 상기 우단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외표면 사이는 2.5D 라디안을 통해 평활하게 과도하여 제3 과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3 과도면이 상기 제2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8mm~1.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플레이트.
  24. 평면 영역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둘러싸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에는 오목홈이 설치되며, 상기 베젤에는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오목홈의 홈 저부를 관통하는 미들 베젤;
    전부 구조 또는 일부 구조가 상기 베젤 내에 위치하고, 입광을 위한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및
    볼록 플레이트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기판의 일측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상기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커버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오목홈에 수용되며 상기 렌즈를 커버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서로 등지게 설치되는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기 렌즈에서 멀어지는 제1 외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표면은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면과 상기 우측면은 상기 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외표면과 서로 사귀고 협각은 직각이며, 또는 상기 좌측면, 우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외표면 사이는 모따기를 통해 제2 과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과도면이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1mm~0.8mm이며, 상기 제1 참고 평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평면 영역이 위치하는 평면인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기판에서 멀어지는 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탑측면은 상기 좌측면과 상기 우측면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탑측면과 상기 제1 외표면은 서로 사귀고 협각은 직각이며, 또는 상기 탑측면과 상기 제1 외표면 사이는 모따기를 통해 제1 과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과도면이 상기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1mm~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시야각의 경계와 상기 제1 외표면은 서로 사귀면서 교선을 형성하고, 상기 교선으로부터 상기 제1 과도면 사이의 최소 거리는 0.1mm~0.6mm이며, 상기 교선으로부터 상기 제2 과도면 사이의 최소 거리는 0.1mm~0.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탑측면과 상기 교선 사이의 최소 거리는 0.2mm~1.4mm이고, 상기 좌측면, 우측면과 상기 교선 사이의 최소 거리는 0.2mm~1.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탑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는 상기 탑단면에 돌출되고, 상기 볼록 플레이트가 상기 탑단면에 돌출되는 사이즈는 3.6mm~4.8mm이며, 상기 볼록 플레이트의 폭은 2.8mm~4.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서로 등지게 설치되는 좌단면, 우단면, 상기 탑단면과 서로 등지게 설치되는 밑단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멀어지는 제2 외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좌단면은 상기 탑단면과 상기 밑단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우단면은 상기 탑단면과 상기 밑단면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탑단면, 밑단면, 좌단면과 우단면은 상기 제2 외표면의 외주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외표면과 상기 제1 외표면은 공통면이며, 상기 탑단면, 밑단면, 좌단면과 상기 우단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외표면 사이는 2.5D 라디안을 통해 평활하게 과도하여 제3 과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3 과도면이 상기 제1 참고 평면에서의 정투영의 폭은 0.8mm~1.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217025101A 2019-03-19 2020-03-09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커버 플레이트 KR102544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0352149.4 2019-03-19
CN201920352149.4U CN209823798U (zh) 2019-03-19 2019-03-19 电子设备、显示屏组件和盖板
PCT/CN2020/078412 WO2020187076A1 (zh) 2019-03-19 2020-03-09 电子设备、显示屏组件和盖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709A KR20210110709A (ko) 2021-09-08
KR102544906B1 true KR102544906B1 (ko) 2023-06-20

Family

ID=6887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101A KR102544906B1 (ko) 2019-03-19 2020-03-09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커버 플레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57003A1 (ko)
EP (1) EP3910921B1 (ko)
JP (1) JP7241896B2 (ko)
KR (1) KR102544906B1 (ko)
CN (1) CN209823798U (ko)
WO (1) WO2020187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5085A (zh) * 2018-11-26 2020-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
CN209823798U (zh) * 2019-03-19 2019-12-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显示屏组件和盖板
CN209823797U (zh) * 2019-03-19 2019-12-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显示屏组件和盖板
CN210327650U (zh) * 2019-05-23 2020-04-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屏组件、中框和终端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38484A1 (en) 2012-05-18 2015-05-2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94B1 (ko) * 2008-06-25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N102770895B (zh) 2011-02-23 2016-03-09 技术联合株式会社 图像显示部保护板单元以及图像显示部保护板保持构造
JP2014106425A (ja) 2012-11-28 2014-06-09 Sharp Corp 携帯端末及びその製造方法
EP3088154A4 (en) 2013-12-27 2017-08-02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integrally molded glass-resin article
JP2015133647A (ja) * 2014-01-15 2015-07-23 株式会社発明屋 カメラ隠し装置
KR102573190B1 (ko) * 2015-10-16 2023-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조방법
US10795240B2 (en) * 2016-11-18 2020-10-06 Moment Inc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KR20180063633A (ko) * 2016-12-02 201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CN207354360U (zh) * 2017-10-26 2018-05-11 翁中飞 一种全屏手机
CN207835588U (zh) * 2017-12-05 2018-09-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207926663U (zh) 2018-02-09 2018-09-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209787212U (zh) * 2019-03-19 2019-12-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及中框
CN209823797U (zh) * 2019-03-19 2019-12-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显示屏组件和盖板
CN209823798U (zh) * 2019-03-19 2019-12-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显示屏组件和盖板
CN210120573U (zh) * 2019-03-19 2020-02-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209787210U (zh) * 2019-03-19 2019-12-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和手机中框
CN109981954B (zh) * 2019-04-10 2021-06-04 华为技术有限公司 摄像头、电子设备和边框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38484A1 (en) 2012-05-18 2015-05-2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41896B2 (ja) 2023-03-17
CN209823798U (zh) 2019-12-20
JP2022520350A (ja) 2022-03-30
EP3910921A4 (en) 2022-03-23
KR20210110709A (ko) 2021-09-08
WO2020187076A1 (zh) 2020-09-24
EP3910921B1 (en) 2023-09-20
EP3910921A1 (en) 2021-11-17
US20210357003A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4906B1 (ko) 전자 기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커버 플레이트
US9392706B2 (en) Mobile terminal
WO2020038148A1 (zh) 移动终端
US11870924B2 (en) Mobile terminal
US20210409527A1 (en) Mobile Terminal and Middle Frame
CN210225468U (zh) 终端设备、中框、屏幕保护盖板和显示屏模组
CN209787212U (zh) 终端设备及中框
WO2020038149A1 (zh) 移动终端
WO2020187074A1 (zh) 电子设备、显示屏组件和盖板
CN209823799U (zh) 移动终端和手机中框
US20210136189A1 (en) Electronic device and front shell thereof
WO2020211634A1 (zh) 移动终端及其电池盖
CN209787210U (zh) 移动终端和手机中框
WO2020014818A1 (zh) 电子设备
WO2020014819A1 (zh) 电子设备
CN213659142U (zh) 电子设备、显示屏及其显示组件
CN209787211U (zh) 终端设备
WO2020224369A1 (zh) 终端设备
CN209964103U (zh) 移动终端及其电池盖
CN209930298U (zh) 移动终端及其电池盖
CN209964101U (zh) 移动终端及其电池盖
EP3681134B1 (en) Terminal device and sound-emitting device
WO2020038153A1 (zh) 移动终端
CN113261264B (zh) 壳组件和移动终端
CN209982523U (zh) 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