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010B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010B1
KR102544010B1 KR1020160093468A KR20160093468A KR102544010B1 KR 102544010 B1 KR102544010 B1 KR 102544010B1 KR 1020160093468 A KR1020160093468 A KR 1020160093468A KR 20160093468 A KR20160093468 A KR 20160093468A KR 102544010 B1 KR102544010 B1 KR 102544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making
evaporator
ice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794A (ko
Inventor
예병효
이현우
허성환
이경민
이권재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0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2Details of evaporators
    • F25B2339/021Evaporators in which refrigerant is sprayed on a surface to be co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제빙부가 형성된 제빙틀; 및 상기 제빙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상기 제빙부의 개방된 일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물분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부에 분사되어 얼음이 되지 못한 물이 상기 제빙틀로부터 낙하하도록 상기 제빙틀은 상기 증발기에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은 물이 시트형상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얼음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제빙기로, 물받이에 담긴 물에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에 연결된 침지부재가 잠기도록 함으로써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침지식 제빙기가 있다. 또한,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가 구비되며 얼음생성부가 형성된 제빙판의 얼음생성부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얼음생성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분사식 제빙기도 있다. 그리고,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가 구비되며 얼음생성부가 형성된 제빙판의 얼음생성부에 물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얼음생성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유수식 제빙기도 있다.
이외에, 물이 유동하는 제빙공간의 외주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제빙공간의 내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고 스크류부재가 제빙공간에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제빙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얼음을 분리하고 이송시켜서 외부로 배출하는 오거식 제빙기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제빙틀에 얼음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분사노즐로부터 제빙틀에 물이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분사노즐로부터 물이 시트형상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제빙부가 형성된 제빙틀; 및 상기 제빙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상기 제빙부의 개방된 일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물분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부에 분사되어 얼음이 되지 못한 물이 상기 제빙틀로부터 낙하하도록 상기 제빙틀은 상기 증발기에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은 물이 시트형상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사노즐에는 높이보다 너비가 더 긴 분사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에는 상기 분사구멍의 하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가이드에는 상기 수평가이드의 단부로부터 상기 분사구멍 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가이드의 좌측과 우측은 바깥쪽으로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에는 상기 분사구멍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좌,우측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가이드의 좌측과 우측은 상기 좌,우측가이드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제빙부의 상단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분사구멍에 연결되도록 상기 분사노즐에 형성되는 물공급구가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물공급관;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틀은 상기 증발기에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복수개의 제빙틀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관을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상기 증발기가 마주보도록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분사노즐로부터 물이 시트형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노즐로부터 제빙틀에 물이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틀에 얼음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물분사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물분사부의 분사노즐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6 내지 도9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물분사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물분사부의 분사노즐의 사시도이며, 도5는 도4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6 내지 도9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일실시예는 증발기(200), 제빙틀(300), 물분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200)에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예컨대, 증발기(200)에는 빙점 이하의 차가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00)에 구비되는 제빙틀(300)에 형성된 후술할 제빙부(310)에 물분사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분사노즐(410)로부터 물이 분사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부(3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증발기(200)에는 빙점 이상의 뜨거운 냉매가 유동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틀(300)의 제빙부(310)에 생성된 얼음(I)이 제빙부(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증발기(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 관이 지그재그로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증발기(200)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성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분사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물공급관(420)을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증발기(200)가 마주보도록 각각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증발기(200)의 개수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빙틀(300)은 증발기(2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빙틀(300)은 용접에 의해서 증발기(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빙틀(300)이 증발기(200)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구비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빙틀(300)에는 일측이 개방된 제빙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부(310)의 개방된 일측으로, 물분사부(400)의 분사노즐(410)로부터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증발기(20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는 상태에서, 물분사부(400)의 분사노즐(410)로부터 제빙부(310)의 개방된 일측으로 물이 분사되면, 제빙부(310)에 분사된 물은 차가운 냉매와의 열전달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제빙부(310)에 분사된 얼음(I)이 빙점 이하로 냉각되면, 제빙부(3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제빙틀(300)은 증발기(200)에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6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부(310)에 분사되어 얼음(I)이 되지 못한 물이 제빙틀(300)로부터 낙하할 수 있다.
제빙틀(300)로부터 낙하한 물은 외부로 배수되거나, 물분사부(400)의 물공급관(420)에 연결된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틀(300)은 증발기(200)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1개의 제빙틀(300)이 증발기(20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증발기(200)에 구비되는 제빙틀(30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술하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분사부(400)의 물공급관(420)을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증발기(200)가 마주보도록 위치한 경우에, 복수개의 제빙틀(300)은 마주보도록 2개의 증발기(2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물분사부(400)는 분사노즐(41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410)은 증발기(20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는 상태에서, 제빙틀(300)의 제빙부(310)의 개방된 일측에 물을 분사하여 제빙부(310)에 얼음(I)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분사노즐(410)은 물이 시트형상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410)로부터 물이 시트형상으로 분사되면, 제빙부(310)에 물이 비교적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부(310)에 얼음(I)이 균일하게 생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410)에는 분사구멍(411)이 형성될 수 있다. 분사구멍(411)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보다 너비가 더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구멍(411)을 통해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형상의 물이 분사될 수 있다.
분사구멍(411)은, 예컨대 직사각형일 수 있다. 그러나, 분사구멍(411)은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높이보다 너비가 더 긴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분사노즐(410)에는 수평가이드(412)가 구비될 수 있다. 수평가이드(412)는 분사구멍(411)의 하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분사구멍(411)을 통해 분사된 시트형상의 물이 가이드될 수 있다.
수평가이드(412)에는 가이드홈(412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412a)은 수평가이드(412)의 단부에서 분사구멍(411) 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구멍(411)으로부터 시트형상으로 분사된 물이 수평가이드(412)를 따라 유동하면서 마찰력에 의해서 분사력이 현저히 감소되지 않고 제빙틀(300)의 제빙부(310)에 분사될 수 있다.
수평가이드(412)의 좌측과 우측은 바깥쪽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구멍(411)으로부터 시트형상으로 분사된 물은 좌측과 우측이 바깥쪽으로 퍼지면서 제빙틀(300)의 제빙부(310)에 분사될 수 있다.
분사노즐(410)에는 좌,우측가이드(413,414)가 구비될 수 있다. 좌,우측가이드(413,414)는 분사구멍(411)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구멍(411)으로부터 시트형상으로 분사된 물의 좌측과 우측이 바깥쪽으로 퍼지는 것이 좌,우측가이드(413,414)에 의해서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분사구멍(411)으로부터 시트형상으로 분사된 물이 제빙틀(300)의 제빙부(310) 내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수평가이드(412)의 좌측과 우측은 상기 좌,우측가이드(413,41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분사구멍(411)으로부터 시트형상으로 분사된 물의 일부가 수평가이드(412)와 좌,우측가이드(413,414) 사이의 공간으로 누수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분사노즐(410)은 제빙틀(300)의 제빙부(310)의 상단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빙부(310)에 시트형상으로 고르게 분사된 물이 제빙부(31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고르게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빙틀(300)의 제빙부(310)에 얼음(I)이 균일하게 생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410)에는 분사구멍(411)에 연결되는 물공급구(415)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물공급구(415)가 분사노즐(4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분사노즐(410)에 형성되는 물공급구(415)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분사노즐(410)의 물공급구(415)는, 예컨대 물분사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물공급관(420)을 통해서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물공급관(420)을 통해 분사노즐(410)의 물공급구(415)에 공급되고 분사구멍(411)을 통해 시트형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전술하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틀(300)이 증발기(200)에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 분사노즐(410)은 복수개의 제빙틀(300)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일 수 있다.
그러나, 분사노즐(41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개 등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물분사부(400)는 물공급관(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관(420)은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물공급관(420)이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예컨대 수도나,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 구비되며 물을 여과하도록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나,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물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공급관(42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물공급관(42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421)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구(421)에는 분사노즐(410)의 물공급구(415)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물공급관(420)을 유동하여 연결구(421)를 통해 분사노즐(410)의 물공급구(415)에 공급될 수 있다. 분사노즐(410)의 물공급구(415)에 공급된 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사노즐(410)의 분사구멍(411)을 통해 시트형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사노즐(410)에 2개의 물공급구(415)가 구비되는 경우에, 분사노즐(410)의 2개의 물공급구(415)는 물공급관(42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구(42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410)이 복수개인 경우에, 물공급관(42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구(421)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물공급관(420)의 연결구(421)의 개수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사노즐(410)의 물공급구(415)가 연결될 수 있는 개수나 구성이라면 어떠한 개수나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를 사용하면, 분사노즐로부터 물이 시트형상으로 분사될 수 있으며, 분사노즐로부터 제빙틀에 물이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고, 제빙틀에 얼음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제빙기 200 : 증발기
300 : 제빙틀 310 : 제빙부
400 : 물분사부 410 : 분사노즐
411 : 분사구멍 412 : 수평가이드
412a : 가이드홈 413 : 좌측가이드
414 : 우측가이드 415 : 물공급구
420 : 물공급관 421 : 연결구
I : 얼음

Claims (11)

  1.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제빙부가 형성된 제빙틀; 및
    상기 제빙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상기 제빙부의 개방된 일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물분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부에 분사되어 얼음이 되지 못한 물이 상기 제빙틀로부터 낙하하도록 상기 제빙틀은 상기 증발기에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에는,
    분사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구멍의 하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가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평가이드에는 상기 수평가이드의 단부로부터 상기 분사구멍 측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은 물이 시트형상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제빙기.
  2.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제빙부가 형성된 제빙틀; 및
    상기 제빙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상기 제빙부의 개방된 일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물분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부에 분사되어 얼음이 되지 못한 물이 상기 제빙틀로부터 낙하하도록 상기 제빙틀은 상기 증발기에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에는,
    분사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구멍의 하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되, 좌측과 우측은 바깥쪽으로 경사지는 수평가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은 물이 시트형상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제빙기.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멍은 높이보다 너비가 더 길게 형성되는 제빙기.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에는 상기 분사구멍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좌,우측가이드가 구비되는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의 좌측과 우측은 상기 좌,우측가이드에 각각 연결되는 제빙기.
  8.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제빙부의 상단부에 물을 분사하는 제빙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분사구멍에 연결되도록 상기 분사노즐에 형성되는 물공급구가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물공급관; 을 더 포함하는 제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틀은 상기 증발기에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복수개의 제빙틀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인 제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을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상기 증발기가 마주보도록 각각 위치하는 제빙기.
KR1020160093468A 2016-07-22 2016-07-22 제빙기 KR102544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68A KR102544010B1 (ko) 2016-07-22 2016-07-22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68A KR102544010B1 (ko) 2016-07-22 2016-07-22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94A KR20180010794A (ko) 2018-01-31
KR102544010B1 true KR102544010B1 (ko) 2023-06-15

Family

ID=6108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468A KR102544010B1 (ko) 2016-07-22 2016-07-22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0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256A (ja) * 1999-06-23 2001-01-12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製氷部構造
JP2004105312A (ja) 2002-09-13 2004-04-08 Nohmi Bosai Ltd 水噴霧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18Y1 (ko) * 2009-12-15 2012-05-10 주식회사 카이저제빙기 제빙기용 분사노즐 조립체
KR101061614B1 (ko) * 2009-12-21 2011-09-01 주식회사 케이씨텍 세정장치의 노즐유닛
KR101443984B1 (ko) * 2012-12-05 2014-09-23 주식회사 동양매직 얼음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256A (ja) * 1999-06-23 2001-01-12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製氷部構造
JP2004105312A (ja) 2002-09-13 2004-04-08 Nohmi Bosai Ltd 水噴霧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94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0366B2 (en) Water distribution for an ice maker
JP4934501B2 (ja) 流下式製氷機の散水案内器
KR101497560B1 (ko) 가이드를 구비한 해수식 기화기
KR102544010B1 (ko) 제빙기
KR101443976B1 (ko) 얼음 정수기
CN105091417B (zh) 均布装置和降膜式蒸发器及冷水机组
KR101477284B1 (ko) 폐수열 회수기
KR102618138B1 (ko) 증발식 열교환기
US20140262167A1 (en) Coil assembly
KR102354052B1 (ko) 제빙기
US4363220A (en) Ice making apparatus
KR100760056B1 (ko) 해수를 균일하게 살수할 수 있는 해수식기화기
US9314802B2 (en) Spraying tube device and heat exchanger using the same
KR102233977B1 (ko) 얼음을 제공하는 복합 정수기
KR102089470B1 (ko)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JP2011231943A (ja) 流下式製氷機の製氷ユニット
JP5448889B2 (ja) 流下式製氷機の散水ガイド
KR102164577B1 (ko) 내부 오염 방지를 위한 얼음 정수기
JP2010190525A (ja) 流下式製氷機の製氷水散水器
JP5275719B2 (ja) 製氷機の散水器
JP2001280811A (ja) ドレン水蒸発装置
KR20200077896A (ko) 제빙용 증발기
US9903622B2 (en) Compact heat exchanger
JP2010190450A (ja) 流下式製氷機の散水装置
KR102285765B1 (ko) 인체에 무해한 다양한 형상의 얼음제조가 가능한 유수식 제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