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056B1 - 해수를 균일하게 살수할 수 있는 해수식기화기 - Google Patents

해수를 균일하게 살수할 수 있는 해수식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056B1
KR100760056B1 KR1020060019423A KR20060019423A KR100760056B1 KR 100760056 B1 KR100760056 B1 KR 100760056B1 KR 1020060019423 A KR1020060019423 A KR 1020060019423A KR 20060019423 A KR20060019423 A KR 20060019423A KR 100760056 B1 KR100760056 B1 KR 100760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vaporizer
pair
supply pipe
spr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416A (ko
Inventor
강성일
김광원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060019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0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89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3/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28D3/04Distribu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8Current-supply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selection equipment at exch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1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hase-change applications
    • F28D2021/0064Vaporizers, e.g. evap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수식기화기(100)는 해수공급관(150)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를 저장하기 위한 해수살수부(140)와, 해수살수부(140) 아래에 설치되어 해수살수부(140)로부터 공급되는 해수의 열교환을 통해 액화천연가스를 천연가스로 기화시키기 위한 열교환관(111)과,해수를 열교환관(111)으로 살수하기 위하여 해수공급관(150)에서 공급되는 해수의 섭동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유량조절판(144)을 포함한다.
해수식, 기화기, 섭동, 열교환관, 결빙, 유량조절판, 기화, 균일

Description

해수를 균일하게 살수할 수 있는 해수식기화기{Open Rack Vaporizer enabling to uniformly sprinkle seawater}
도 1은 본 발명의 해수식기화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살수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해수살수부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요부단면도;
도 4는 도 2의 해수살수부의 B-B선을 따라 얻어진 요부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해수살수부에 설치되는 유량조절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살수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해수살수부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요부단면도;
도 8은 도 6의 해수살수부의 B-B선을 따라 얻어진 요부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도 6의 해수살수부에 설치되는 유량조절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종래 해수식기화기의 개략도;
도 11은 도 10의 해수식기화기에 설치되는 해수살수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해수살수부의 C-C선을 따라 얻어진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해수식기화기 110 : 열교환부
111 : 열교환관 120 : 천연가스공급관
130 : 액화천연가스공급관 140 : 해수살수부
141 : 저장조 142 : 격벽
144 : 유량조절판 150 : 해수공급관
본 발명은 해수식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키는 열교환관에 해수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해수식기화기에 관한 것이다.
해수식기화기(Open Rack Vaporizer)는 해수를 이용하여 액화천연가스를 기화하기 위한 설비로, 기화기의 열교환관의 표면에 해수를 살수하고 액화천연가스를 열교환관의 내부로 통과시켜 해수의 현열을 이용하여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킨다.
이러한 해수식기화기의 일례가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해수식기화기(200)는 다수의 열교환관(211)들이 군을 이루는 열교환부(210)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각 열교환부(2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열교환관(211)들의 상단 및 하단과 이어 지도록 천연가스유동관(220)과 액화천연가스유동관(23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부(210) 사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해수살수부(240)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수살수부(240)의 위쪽에는 대략적으로 해수살수부(240)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해수공급관(250)이 설치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식기화기(200)에 설치되는 해수살수부(240)는 실질적으로 해수가 저장되는 저장조(241)를 구비하여, 저장조(241) 안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격벽(24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격벽(242)은 바닥면이 저장조(241)와 일정 간격을 두고 닿지 않음과 동시에 저장조(241) 보다 높게 설치되어 있다.
해수공급관(250)은 해수살수부(240)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격벽(242)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해수공급관(250)의 끝단에는 해수를 저장조(241)의 양측으로 일정하게 분배하기 위한 유량분배판(251,253)들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해수식기화기(200)는 해수공급관(250)을 통해 공급되는 해수가 해수살수부(240)에 저장되고, 저장조(241)의 저장량이 한계에 이르면 해수가 저장조(241)의 길이방향 측벽을 넘어 열교환부(210)쪽으로 넘치게 된다. 이렇게 넘치는 해수는 열교환부(210)의 열교환관(211)의 외벽을 따라 아래로 흐르면서 열교환관(211)의 내부를 흐르는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을 이루면서 액화천연가스를 천연가스를 기화시킨다. 또한, 이렇게 기화된 천연가스는 천연가스관(220)을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의 해수식기화기(200)는 도 12에 잘 도 시된 바와 같이 해수공급관(250)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이 워낙 세기 때문에 해수공급관(250)과 가까운 위치에서 해수의 섭동이 매우 크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해수공급관(250)이 위치한 해수살수부(240)의 길이방향의 양 끝단에서 넘치는 해수량이 다른 부위에서 넘치는 해수량 보다 매우 많게 되고 중앙부위는 상대적으로 적게 된다. 이는 열교환부(210)로 공급되는 해수량의 차이를 가져오며, 이로 인해 열교환으로 인한 액화천연가스의 기화시 열교환관(211)의 외면에 발생하는 결빙이 균일하지 않게 나타난다. 또한, 열교환관(211)상의 이러한 불균일한 결빙은 기화기 전체의 기화능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살수부에 유량조절판을 설치하여 열교환관으로 해수를 균일하게 살수하고 열교환관의 불균일한 결빙을 방지함으로써 기화능력을 높일 수 있는 해수식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해수를 저장하기 위한 해수살수부와, 해수살수부 아래에 설치되어 해수살수부에서 살수되는 해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액화천연가스를 천연가스로 기화시키기 위한 열교환관과, 해수살수부에 설치되어 해수가 공급될 때 섭동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유량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균일하게 살수할 수 있는 해수식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수식기화기는 해수살수부가 상기 해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를 구비하며, 저장조의 내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격벽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격벽은 그 측면이 저장조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하단이 저장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닿지 않으며, 그 상단이 저장조 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격벽은 그 하단이 저장조 바닥으로부터 약 5cm 거리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살수기는 한 쌍의 유량조절판이 그 하단이 해수공급관의 하단과 동일하게 격벽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사이의 거리가 해수살수부의 전체 길이의 1/6 ~ 1/4에 이르도록 해수공급관의 양쪽에 설치되며, 유량조절판이 막이부 및 막이부의 양측에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며, 절곡부는 격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유량조절판은 격벽에 대한 높이가 가변적이거나, 막이부는 해수면과 일치하도록 다수의 막이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살수기는 격벽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안내체가 구비되며, 한 쌍의 유량조절판은 그 하단이 해수공급관의 하단과 동일하게 격벽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안내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유량조절판은 막이부, 막이부의 양측에 절곡되는 절곡부, 절곡부의 상단에서 다시 절곡되는 설치부를 가지며, 설치부는 설치안내체에 설치되거나, 막이부는 해수면과 일치하도록 다수의 막이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해수식기화기(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해수식기화기(100)는 다수의 열교환관(111)들이 군을 이루는 열교환부(110)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각 열교환부(110)는 열교환관(111)의 상단과 이어지도록 천연가스유동관(120)이 상부에 설치되며, 열교환관(111)의 하단과 이어지도록 액화천연가스유동관(130)이 하부에 설치된다. 또한, 다수의 천연가스유동관(120)은 하나의 천연가스통합유동관(121)으로 합쳐지며 다수의 액화천연가스유동관(130)은 하나의 액화천연가스통합유동관(131)으로 합쳐진다.
해수살수부(140)는 각 열교환부(110)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해수살수부(140)의 위쪽에는 대략적으로 해수살수부(140)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해수공급관(150)이 설치된다. 또한, 다수의 해수공급관(150)은 하나의 해수통합공급관(151)으로 합쳐진다.
이러한 해수식기화기(100)는 해수통합공급관(151)을 거쳐 다수의 해수공급관(150)을 통해 해수가 각 해수살수부(140)로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되는 해수는 해수살수부(140)에 저장되게 된다. 또한, 해수살수부(140)의 저장량이 한계에 이르면 해수가 해수살수부(140)의 길이방향 측벽을 넘어 열교환부(110)쪽으로 넘치게 되고, 이렇게 넘치는 해수는 열교환부(110)의 열교환관(111)의 외벽을 따라 아래로 흐르면서 열교환관(111)의 내부를 흐르는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을 이루면서 액화천연가스를 천연가스로 기화시킨다. 또한, 이렇게 기화된 천연가스는 천연가스관(120)을 거쳐 천연가스통합관(121)을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
이때, 해수는 해수살수부(140)에 설치된 유량조절판(144)에 의해 해수공급관(150) 주위에서 크게 섭동되지 않고 해수살수부(140)의 길이방향의 전체에 걸쳐 거의 균일하게 측벽을 타고 넘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해수식기화기(100)에 설치되는 해수살수부(140)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해수살수부(14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살수부(140)는 해수가 실제적으로 저장되는 길이방향으로 긴 저장조(141)를 구비하며, 저장조(141) 안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긴 격벽(142)이 설치된다.
격벽(142)은 그 측면이 용접 등의 고정방법에 의해 저장조(141)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하단이 저장조(141)와 일정 간격을 두고 닿지 않으며, 그 상단이 저장조(141) 보다 높게 설치된다. 또한, 격벽(142)은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관통공(143)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이 다수의 관통공(143)을 통해 유량조절판(144)이 격벽(14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142)의 하단과 저장조(141)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 d는 약 5㎝로 하였고, 해수면으로부터 유량조절판(144)의 하단까지의 거리 D는 약 12cm로 하였다.
해수공급관(150)은 해수살수부(140)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격벽(142) 사이에 설치되며, 해수공급관(150)의 끝단에는 해수의 유량을 효과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상부유량분배판(151)과 하부유량분배판(153)이 다수의 이음부재(155)를 매개로 순서대로 설치된다.
다수의 이음부재(155)는 해수공급관(150)의 플랜지부(157)에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며, 다수의 이음부재(155)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나사결합 등의 결합방법에 의해 상부유량분배판(151)과 하부유량분배판(153)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부유량분배판(151)은 해수의 효과적인 분배를 위해 해수공급관(150) 보다 직경이 작은 하나의 관통공(152)이 형성되며, 하부유량분배판(153)은 해수량이 비교적 적은 해수공급관(150) 주위의 해수량 증가를 위해 비교적 직경이 큰 하나의 관통공(154)이 중앙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154)의 직경은 약 50mm로 형성하였다.
유량조절판(144)은 격벽(142) 사이에 위치하도록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격벽(14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유량조절판(144)은 해수공급관(150)을 중심으로 양쪽에 설치되는 데, 이때 유량조절판(144) 사이의 거리 L은 해수살수부(140)의 전체 길이의 1/6 ~ 1/4의 길이에 해당하는 크기를 갖도록 설계하였다.
이물질여과체(145)는 양쪽 유량조절판(144)간의 면적 전체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 그물망(145a)을 구비하고, 그물망(145a)은 프레임(145b)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프레임(145b)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 연결체(145c)에 의해 격벽(142)의 상단에 걸치는 식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연결체(145c)는 그물망(145a)이 하부유량분배판(153)과 유량조절판(144)의 하단에 단단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제작한다.
이러한 유량조절판(144)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먼저, 도 5a와 같이, 유량조절판(144)은 막이부(11)와 막이부(11)의 양측에 90도로 절곡된 절곡부(12)로 구성된다. 여기서, 막이부(11)는 격벽(142) 사이의 폭과 동일한 크기의 폭 및 하부유량분배판(153)의 높이와 동일한 크기의 높이(D)를 가지며, 절곡부(12)는 볼트 등의 결합수단이 관통되는 절곡 관통공(13)이 다수 형성된다. 이 절곡 관통공(13)은 격벽(142)에 형성된 관통공(143)과 대응한다.
따라서,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유량조절판(144)이 격벽(142)에 쉽게 설치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조건에 따라 격벽(142)의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b와 같이, 유량조절판(144)은 막이부(11)에 해수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다수의 막이 관통공(14)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5개의 막이 관통공(14)을 동일선상에 나란하게 형성하였지만, 그 개수를 달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판부(11) 전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막이 관통공(14)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해수살수부(140)는, 도 4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조절판(144)이 해수공급관(150)의 주위, 즉 해수 공급시 섭동시 크게 일어나는 부근에 설치되기 때문에 해수 공급시 종래와 같이 해수공급관(150) 주위에 섭동이 크게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해수가 해수살수부(140)의 길이방향 전체를 걸쳐 양측벽을 따라 거의 균일하게 넘치게 되며, 이로 인해 거의 균일량의 해수가 열교환관(111)으로 공급되게 된다.
다음,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살수부(144)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살수부(14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앞서 설명한 해수살수부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해수살수부(140)는 해수가 실제적으로 저장되는 길이방향으로 긴 저장조(141)를 구비하며, 저장조(141) 안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긴 격벽(142)이 설치된다.
격벽(142)은 그 측면이 용접 등의 고정방법에 의해 저장조(141)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하단이 저장조(141)와 일정 간격을 두고 닿지 않으며, 그 상단이 저장조(141) 보다 높게 설치된다. 또한, 각 격벽(142)은 길이방향을 따라 유량조절판(144)를 설치하고 안내하기 위한 설치안내체(146)가 상단측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설치안내체(146)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관통공(146a)이 길 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이 관통공(146a)에 의해 유량조절판(144)이 설치안내체(146)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142)의 하단과 저장조(141)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 d는 약 5㎝로 하였고, 해수면으로부터 유량조절판(144)의 하단까지의 거리 D는 약 12cm로 하였다.
해수공급관(150)은 해수살수부(140)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격벽(142) 사이에 설치되며, 해수공급관(150)의 끝단에는 해수의 유량을 효과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상부유량분배판(151)과 하부유량분배판(153)이 다수의 이음부재(155)를 매개로 순서대로 설치된다.
다수의 이음부재(155)는 해수공급관(150)의 플랜지부(157)에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며, 다수의 이음부재(155)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나사결합 등의 결합방법에 의해 상부유량분배판(151)과 하부유량분배판(153)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부유량분배판(151)은 해수의 효과적인 분배를 위해 해수공급관(150) 보다 직경이 작은 하나의 관통공(152)이 형성되며, 하부유량분배판(153)은 해수량이 비교적 적은 해수공급관(150) 주위의 해수량 증가를 위해 비교적 직경이 큰 하나의 관통공(154)이 중앙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154)의 직경은 약 50mm로 형성하였다.
유량조절판(144)은 격벽(142) 사이에 위치하도록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격벽(14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유량조절판(144)은 높이가 실질적으로 하부유량분배판(153)의 높이(D)와 같게 형성되며, 조건에 따라 설치 높이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판(144)은 해수공급관(150)을 중심으로 양쪽에 설치되는 데, 이때 유량조절판(144) 사이의 거리 L은 해수살수부(140)의 전체 길이의 1/6 ~ 1/4의 길이에 해당하는 크기를 갖도록 설계하였다.
이물질여과체(145)는 양쪽 유량조절판(144)간의 면적 전체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 그물망(145a)을 구비하고, 그물망(145a)은 프레임(145b)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프레임(145b)의 각 모서리에 설치된 연결체(145c)에 의해 설치안내체(146)의 관통공(146a)에 고리가 끼워지는 식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연결체(145c)는 그물망(145a)이 하부유량분배판(153)과 유량조절판(144)의 하단에 단단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제작한다.
이러한 유량조절판(144)은 도 9a 및 도 9b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먼저, 도 9a와 같이, 유량조절판(144)은 막이부(11), 막이부(11)의 양측에 90도로 절곡된 절곡부(12) 및 절곡부(12)의 상단에서 다시 90도로 절곡된 설치부(15)로 구성된다. 여기서, 막이부(11)는 격벽(142) 사이의 폭과 동일한 크기의 폭 및 하부유량분배판(153)의 하면과 동일하게 위치되며, 설치부(15)는 볼트 등의 결합수단이 관통되는 절곡 관통공(13)이 다수 형성된다. 이 절곡 관통공(13)은 설치안내체(146)에 형성된 관통공(146a)과 대응한다.
따라서,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유량조절판(144)이 설치안내체(146)에 쉽게 설치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조건에 따라 설치안내체(146)의 앞쪽이나 뒷쪽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b와 같이, 유량조절판(144)은 막이부(11)에 해수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다수의 막이 관통공(14)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5개의 막이 관통공(14)을 동일선상에 나란하게 형성하였지만, 그 개수를 달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판부(11) 전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막이 관통공(14)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해수살수부(140)는, 도 8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조절판(144)이 해수공급관(150)의 주위, 즉 해수 공급시 섭동시 크게 일어나는 부근에 설치되기 때문에 해수 공급시 종래와 같이 해수공급관(150) 주위에 섭동이 크게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해수가 해수살수부(140)의 길이방향 전체를 걸쳐 양측벽을 따라 거의 균일하게 넘치게 되며, 이로 인해 거의 균일량의 해수가 열교환관(111)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해수식기화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해수식기화기에 따르면, 해수공급관 주위에 유량조절판이 설치되어 해수공급시 해수공급관 주위에 해수 섭동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해수살수부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양측벽을 따라 거의 균일하게 넘치게 되며, 이로 인해 거의 균일량의 해수가 열교환관으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기화시 열교환관의 전체에 걸쳐 결빙이 균일하게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화능력이 크게 높아진다.

Claims (12)

  1. 상측으로 배관된 해수공급관을 통해 해수를 공급받으며 상면이 개방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해수살수부와;
    상기 해수살수부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해수살수부에서 넘치는 해수가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그 내부의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을 이루어 천연가스로 기화시키는 열교환관과;
    상기 해수살수부의 저장공간에 설치되어 해수가 공급될 때 섭동을 방지하는 것으로 해수공급관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하부는 해수가 유동될 수 있게 저장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고 상부는 해수살수부의 측벽보다 높게 돌출되는 한 쌍의 유량조절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를 균일하게 살수할 수 있는 해수식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살수부는 장방형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저장조로서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격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그 측면이 상기 저장조의 내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하단이 상기 저장조와 일정 간격을 두고 닿지 않으며, 그 상단이 상기 저장조 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그 하단이 저장조 바닥으로부터 약 5cm 거리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기화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량조절판은 그 하단이 상기 해수공급관의 출수구인 하단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구비되면서, 그 양측부가 격벽에 대하여 나사부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량조절판은 그 사이의 거리가 상기 해수살수부의 전체 길이의 1/6 ~ 1/4에 이르도록 상기 해수공급관의 양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기화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량조절판은 막이부 및 상기 막이부의 양측에 절곡되는 두 개의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격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량조절판은 상기 격벽에 대한 높이가 가변 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기화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막이부는 상기 해수면과 일치하도록 다수의 막이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기화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벽은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직각으로 굽힘된 한 쌍의 설치안내체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유량조절판은 양측 상면이 설치안내체에 나사부재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해수공급관의 출수구인 하단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량조절판은 막이부, 상기 막이부의 양측에 절곡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상단에서 다시 절곡되는 설치부를 가지며, 상기 설치부는 상기 설치안내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이부는 상기 해수면과 일치하도록 다수의 막이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식기화기.
KR1020060019423A 2006-02-28 2006-02-28 해수를 균일하게 살수할 수 있는 해수식기화기 KR100760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423A KR100760056B1 (ko) 2006-02-28 2006-02-28 해수를 균일하게 살수할 수 있는 해수식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423A KR100760056B1 (ko) 2006-02-28 2006-02-28 해수를 균일하게 살수할 수 있는 해수식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416A KR20070089416A (ko) 2007-08-31
KR100760056B1 true KR100760056B1 (ko) 2007-09-18

Family

ID=38614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423A KR100760056B1 (ko) 2006-02-28 2006-02-28 해수를 균일하게 살수할 수 있는 해수식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560B1 (ko) * 2013-06-05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이드를 구비한 해수식 기화기
JP6769715B2 (ja) * 2016-02-26 2020-10-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散水装置
CN111678369A (zh) * 2019-03-11 2020-09-18 株式会社神户制钢所 气化装置
JP7439355B2 (ja) * 2020-03-12 2024-02-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オープンラック式の気化装置用のトラフ及びオープンラック式の気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9060A (ja) * 1993-12-02 1995-06-20 Tokyo Gas Co Ltd 二重管式オープンラック型気化装置
JPH09178391A (ja) * 1995-12-26 1997-07-11 Kobe Steel Ltd Lng気化器
JPH10103896A (ja) 1996-09-30 1998-04-2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オープンラック式気化器の散水装置
KR0159135B1 (ko) * 1993-05-07 1999-01-15 다키사와 겐사부로 Lng 기화기용 전열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135B1 (ko) * 1993-05-07 1999-01-15 다키사와 겐사부로 Lng 기화기용 전열관
JPH07159060A (ja) * 1993-12-02 1995-06-20 Tokyo Gas Co Ltd 二重管式オープンラック型気化装置
JPH09178391A (ja) * 1995-12-26 1997-07-11 Kobe Steel Ltd Lng気化器
JPH10103896A (ja) 1996-09-30 1998-04-2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オープンラック式気化器の散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416A (ko) 200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056B1 (ko) 해수를 균일하게 살수할 수 있는 해수식기화기
JP2017150784A (ja) 散水装置
KR102217227B1 (ko) 해수식 기화기의 해수 공급 장치
CN210952467U (zh) 气化装置
WO2014167779A1 (ja) 低温液化ガスの気化装置
WO2014068908A1 (ja) オープンラック式気化装置
CN111670333B (zh) 潜热交换器室装置
JP5339360B2 (ja) オープンラック型気化装置の散水機構
CN210512740U (zh) 一种蒸发式冷凝器水分配装置及蒸发式冷凝器
JP3320639B2 (ja) 液化ガス用蒸発装置
JP2705721B2 (ja) 液化ガス用蒸発装置
KR101250417B1 (ko) 액체 분배장치
CN210915390U (zh) 一种带有导管的喷淋板式布液器
KR20110014385A (ko) 해수식 기화기
KR101556199B1 (ko) 액화가스 기화장치
JP5448491B2 (ja) 流下式製氷機の散水装置
JPH07332879A (ja) 二重管式オープンラック型気化装置
CN221673451U (zh) 一种降膜蒸发器的制冷剂喷淋装置
EP1992416B1 (en) A system for spreading a liquid in the form of a mist
JPS6246958Y2 (ko)
CN205957544U (zh) 一种降膜式蒸发器以及空调
EP3922938B1 (en) Vaporization device
JPS5838677B2 (ja) オ−プンラツク式気化器の散水装置
EP3922937B1 (en) Vaporization device
CN210292441U (zh) 一种多孔布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