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997B1 -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997B1
KR102543997B1 KR1020220151418A KR20220151418A KR102543997B1 KR 102543997 B1 KR102543997 B1 KR 102543997B1 KR 1020220151418 A KR1020220151418 A KR 1020220151418A KR 20220151418 A KR20220151418 A KR 20220151418A KR 102543997 B1 KR102543997 B1 KR 102543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m
gelling agent
composition
hydrogel composition
hydro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형진
정은숙
김진모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겔화제는, 타라검(Caesalpinia Spinosa Gum),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및 아가(Agar)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겔화제는, 석시노글리칸(Succinoglycan)일 수 있다.

Description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하이드로겔 조성물{THERMOSETTING HYDROGEL COMPOSITION COMPRISING EXOPOLYSACCHARIDE}
본 발명은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 1 겔화제에 더하여 제 2 겔화제로서 석시노글리칸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이수 현상이 방지되고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겔은 친수성 고분자의 사슬이 가교를 이루어 3차원 망상구조를 형성한 물질로서, 내부에 다량의 물을 함유하며 수용액 상에서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상태가 되는 등의 독특한 성질을 갖고 있어, 의료, 미용 및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겔은 단단한 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카라기난, 셀룰로오스, 잔탄검 등과 같은 겔화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겔화제만을 이용하여 제조된 종래의 하이드로겔은 겔로부터 수분이 분리되어 나오는 이수 현상이 발생하거나, 사용감이 다소 무거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하면서도 이수 현상은 최소화되고 피부 도포감 및 사용감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겔화제는, 타라검(Caesalpinia Spinosa Gum),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및 아가(Agar)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겔화제는, 석시노글리칸(Succinoglyca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타라검, 상기 로커스트빈검 및 상기 석시노글리칸의 중량의 합과 상기 아가의 중량의 비율은, 1 : 0.35 내지 1.4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타라검, 상기 로커스트빈검, 상기 아가 및 상기 석시노글리칸은, 1 : 0.3 내지 4 : 0.3 내지 5 : 0.3 내지 4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라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커스트빈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시노글리칸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겔화제는, 글루코만난(Glucomannan), 잔탄검(Xanthan Gum), 젤라틴(Gelatin),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아라비아고무나무검(Acacia Senegal Gum), 풀루란(Pullulan), 펙틴(Pectin), 셀룰로오스(Cellulose), 스클레로튬검(Sclerotium Gum), 구아검(Cyamopsis Tetragonoloba (Guar) Gum), 알지네이트(Alginate), 카라기난(Carrageenan) 및 젤란검(Gell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및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및 솔비톨(Sorbit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습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정제수에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60 내지 9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혼합물을 10 내지 40℃의 정제수에 적하(drop)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겔화제는, 타라검(Caesalpinia Spinosa Gum),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및 아가(Agar)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겔화제는, 석시노글리칸(Succinoglycan)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팽윤성, 강도 및 탄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겔 내부에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하면서도 수분의 증발과 이수 현상은 최소화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가 용이하고, 롤링감, 잔여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이드로겔의 팽윤성, 강도 또는 탄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롤링감 또는 잔여감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미생물로부터 생성되는 세포외 다당류를 겔화제로서 이용함으로써, 팽윤성, 강도 및 탄성 등의 하이드로겔 물성을 최적으로 조절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롤링감과 잔여감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2종 이상의 겔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겔화제는, 다량의 물을 내부에 함유하도록 막을 형성하고, 하이드로겔의 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겔화제는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로 구성되는 2종의 겔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겔화제에 더하여 제 2 겔화제를 함께 포함하는 경우, 겔의 강도가 보다 안정적으로 조절되고, 겔의 수분 함유량이 높아져 우수한 보습 효과 및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겔화제는, 타라검(Caesalpinia Spinosa Gum),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및 아가(Aga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겔화제는,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및 아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겔화제로서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및 아가를 혼합 사용할 경우, 하이드로겔이 물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흡수된 물의 증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라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로커스트빈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아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또는 아가가 각각 상기 함량의 범위를 벗어나도록 포함될 경우, 겔이 형성되지 않거나 겔이 형성되더라도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겔화제는 글루코만난(Glucomannan), 잔탄검(Xanthan Gum), 젤라틴(Gelatin),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아라비아고무나무검(Acacia Senegal Gum), 풀루란(Pullulan), 펙틴(Pectin), 셀룰로오스(Cellulose), 스클레로튬검(Sclerotium Gum), 구아검(Cyamopsis Tetragonoloba (Guar) Gum), 알지네이트(Alginate), 카라기난(Carrageenan) 및 젤란검(Gell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겔화제는 세포외 다당류로서 석시노글리칸(Succinoglycan)일 수 있다. 석시노글리칸은, 시노르히조비움 멜리로티(Sinorhizobium Meliloti) 또는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파시엔스(Agrobacterium Tumefaciens)의 발효물에서 생성된 폴리사카라이드로서, 제 1 겔화제와 함께 하이드로겔의 강도를 향상시켜 겔이 무너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하이드로겔이 더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하도록 하면서도, 하이드로겔로부터 수분의 증발은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단단한 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겔화제만을 포함하였고, 이러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겔로부터 수분이 분리되어 나오는 이수 현상이 발생하거나 피부에 도포 및 롤링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감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이드로겔의 겔화제로서 사용되던 제 1 겔화제에 더하여 제 2 겔화제로서 석시노글리칸을 함께 포함함에 따라, 이수 현상이 최소화되고, 피부에 도포 시 롤링되는 느낌으로 부드럽게 도포되는 사용감, 피부에 조성물이 잔여하는 느낌으로 지속적인 보습 효과를 주는 사용감 등 우수한 사용감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석시노글리칸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석시노글리칸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하이드로겔의 이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겔의 강도가 너무 높아져 겔이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제 1 겔화제는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및 아가이고, 제 2 겔화제는 석시노글리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를 상기 성분으로 구성함에 따라, 하이드로겔의 물성(예를 들어, 팽윤성, 강도 또는 탄성)과 사용감 측면에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는, 1 : 0.1 이상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가 상기 중량비로 포함될 경우 적절한 탄성 또는 강도를 갖는 하이드로겔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및 석시노글리칸의 중량의 합과 아가의 중량의 비율은, 1 : 0.35 내지 1.45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및 석시노글리칸의 중량의 합과 아가의 중량의 비율이 1 : 0.35 미만일 경우 하이드로겔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1 : 1.45를 초과할 경우 하이드로겔의 강도가 너무 높아 쉽게 부서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아가 및 석시노글리칸은, 1 : 0.3 내지 4 : 0.3 내지 5 : 0.3 내지 4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 : 0.3 내지 3 : 0.3 내지 3 : 0.3 내지 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아가 및 석시노글리칸의 중량비를 상기 범위로 조절함에 따라, 하이드로겔의 막이 단단하게 형성되어 형상이 무너지지 않고, 이수 현상이 최소화되며, 롤링감, 잔여감과 같은 사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겔화제는, 다당류로서 고온에서 용융 상태로 존재하다가 저온으로 온도를 낮출 경우 고분자 사슬이 물리적으로 가교 결합되고 겔 구조로 경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이드로겔의 겔화제로 사용되던 제 1 겔화제에 더하여 제 2 겔화제로서 석시노글리칸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하이드로겔의 강도, 팽윤성, 탄성 등의 물성이 안정적으로 조절되고 이수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은, 롤링감, 잔여감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습제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하는 등의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및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및 솔비톨(Sorbit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보습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보습제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보습 효과가 미미하게 제공될 수 있고,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하이드로겔의 강도 또는 성상이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방부제, 점증제, pH 조절제, 등장화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보존제, 자외선 흡수제, 살균제, 차단제, 산화 방지제, 유기 안료, 무기 안료, 향료, 비타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영양 크림, 에센스, 앰플과 같은 기능성 화장품이나, 화장수, 로션 등의 기초 화장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비누, 세정제,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등으로 제조되거나,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젤 등과 같은 모발 세정 제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팩, 하이드로젤 슬리밍패치 등과 같이 피부에 부착되는 제품으로 제조되거나 구형으로 가공되어 캡슐의 형태로 활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다음의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정제수에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겔화제는, 타라검(Caesalpinia Spinosa Gum),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및 아가(Aga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겔화제는,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및 아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겔화제로서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및 아가를 혼합 사용할 경우, 하이드로겔이 물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흡수된 물의 증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겔화제는 석시노글리칸(Succinoglycan)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이드로겔의 겔화제로서 사용되던 제 1 겔화제에 더하여 제 2 겔화제로서 석시노글리칸을 함께 정제수에 혼합함에 따라, 이수 현상이 최소화되고, 피부에 도포 시 롤링되는 느낌으로 부드럽게 도포되는 사용감, 피부에 조성물이 잔여하는 느낌으로 지속적인 보습 효과를 주는 사용감 등 우수한 사용감이 제공되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의 혼합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하이드로겔의 물성 및 조성물의 사용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겔화제는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및 아가이고, 제 2 겔화제는 석시노글리칸일 경우,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아가 및 석시노글리칸은 1 : 0.3 내지 4 : 0.3 내지 5 : 0.3 내지 4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 : 0.3 내지 3 : 0.3 내지 3 : 0.3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 외에도 정제수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방부제, 점증제, pH 조절제, 등장화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보존제, 자외선 흡수제, 살균제, 차단제, 산화 방지제, 유기 안료, 무기 안료, 향료, 비타민 등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이후, 혼합물을 60 내지 90℃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혼합물은 고온에서 용융되어 보다 균일하게 교반 및 혼합될 수 있다. 다만, 가열 온도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최종적으로, 가열된 혼합물을 10 내지 40℃의 정제수에 적하(drop)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물의 고분자 사슬이 물리적으로 가교 결합 및 겔 구조로 경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당류로서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는, 고온에서 용융 상태로 존재하다가 저온으로 온도를 낮출 경우 가교를 형성하여 하이드로겔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혼합물의 적하는, 저온의 정제수에 시린지 펌프(Syringe Pump)를 이용하여 방울의 형태로 떨어뜨리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혼합물의 적하 방식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스포이드, 피펫, 뷰렛을 이용하여 적하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혼합물을 겔 구조로 형성하는 방법은, 적하 방식 외에도 다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물을 틀에 부어 성형하는 방법으로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하이드로겔 비누, 마스크팩,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혼합물을 부직포에 도포하거나 이형용 필름에 부착 또는 롤러, 재단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패치의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으로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마스크팩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하이드로겔의 겔화제로서 사용되던 제 1 겔화제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제 2 겔화제로서 석시노글리칸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하이드로겔의 막이 단단하게 형성되고, 이수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팽윤성, 강도, 탄성 등의 하이드로겔의 물성이 우수하며, 롤링감, 잔여감 등의 사용감이 극대화된다는 특징이 있다.
[실험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1) 실시예 1 내지 6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1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1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서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를 구성하는 4종의 성분의 비율을 조절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이다.
Figure 112022120751004-pat00001
구체적으로, 물에 방부제, 보습제 및 겔화제를 혼합하여 균일하게 교반한 뒤, 70℃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20℃의 냉각수에 적하(drop)하며 경화시켜 실시예 1 내지 6의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2) 비교예 1 내지 8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표 2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비교예 1 내지 8은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를 구성하는 4종의 성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외한 조성물이다.
Figure 112022120751004-pat00002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실시예 1 내지 6과 동일하다.
(3) 비교예 9 내지 13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표 3 성분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비교예 9 내지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 밖에서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를 구성하는 4종의 성분의 비율을 조절한 조성물이다.
Figure 112022120751004-pat00003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실시예 1 내지 6과 동일하다.
실험예
(1) 실험예 1: 하이드로겔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13에 따른 조성물에 대하여 육안으로 관찰해 제형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하이드로겔의 물성으로서 팽윤성, 강도 및 탄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팽윤성의 경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을 각각 동일한 중량으로 물에 담근 후 중량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여 팽윤성을 평가하였다. 물에 담근 후의 중량이 증가할수록 하이드로겔이 더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한 것으로, 팽윤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강도 및 탄성의 경우, 레오미터(Rheometer)로서 RHEOTECH FUDOH RHEO METER RTC-3005 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112022120751004-pat00004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 모두 하이드로겔이 적절하게 형성되었고, 또한, 팽윤성이 30 이상의 값으로 측정되고, 강도가 10 내지 30의 값으로 측정되며, 탄성이 300 내지 500의 값으로 측정되어, 하이드로겔의 팽윤성, 강도 및 탄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를 구성하는 성분 중 1종 이상이 제외된 비교예 4 내지 8의 경우, 하이드로겔이 적절하게 형성되지 않았고,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하이드로겔이 형성되기는 하였으나, 팽윤성이 30 미만의 값으로 측정되거나, 강도가 10 미만의 값으로 측정되거나, 탄성이 300 미만 또는 500 초과의 값으로 측정되어, 하이드로겔의 팽윤성, 강도 및 탄성 중 적어도 하나의 물성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아가 및 석시노글리칸의 중량비가 실시예의 범위에서 벗어난 비교예 9 내지 11의 경우, 팽윤성이 30 미만의 값으로 측정되고, 강도가 30 초과의 값으로 측정되며, 탄성이 500 초과의 값으로 측정되어, 하이드로겔의 팽윤성, 강도 및 탄성의 물성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및 석시노글리칸의 중량의 합과 아가의 중량의 비율이 실시예의 범위에서 벗어난 비교예 12 및 13의 경우, 하이드로겔이 일부만 형성되었고, 또한, 강도가 10 미만의 값으로 측정되고, 탄성이 300 미만의 값으로 측정되어, 하이드로겔의 강도 및 탄성의 물성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2) 실험예 2: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13에 따른 조성물에 대하여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20 내지 40대의 평가자 30명 각각에게 롤링감 및 잔여감 항목을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을 평가자의 피부에 도포하도록 한 후, 평가 항목에 느낌을 평가 척도로서 5단계로 평가하고, 점수는 5점 만점으로 단계에 따라 1점 단위로 부여하였다. 사용감은 전체 점수를 합산한 평균값을 구한 뒤, 편차를 제외한 값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22120751004-pat00005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 모두 롤링감 및 잔여감 항목의 점수가 높게 평가되어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를 구성하는 성분 중 1종 이상이 제외된 비교예 1 내지 8의 경우, 모두 롤링감 및 잔여감 항목의 점수가 낮게 평가되어 사용감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아가 및 석시노글리칸의 중량비가 실시예의 범위에서 벗어난 비교예 9 내지 11의 경우 및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및 석시노글리칸의 중량의 합과 아가의 중량의 비율이 실시예의 범위에서 벗어난 비교예 12 및 13의 경우에도, 모두 롤링감 및 잔여감 항목의 점수가 낮게 평가되어 사용감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하이드로겔 조성물로서,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겔화제는, 타라검(Caesalpinia Spinosa Gum),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및 아가(Agar)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겔화제는, 석시노글리칸(Succinoglycan)이고,
    상기 타라검, 상기 로커스트빈검, 상기 아가 및 상기 석시노글리칸은, 1 : 0.3 내지 4 : 0.3 내지 5 : 0.3 내지 4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라검, 상기 로커스트빈검 및 상기 석시노글리칸의 중량의 합과 상기 아가의 중량의 비율은, 1 : 0.35 내지 1.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라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스트빈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가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시노글리칸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겔화제는, 글루코만난(Glucomannan), 잔탄검(Xanthan Gum), 젤라틴(Gelatin),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아라비아고무나무검(Acacia Senegal Gum), 풀루란(Pullulan), 펙틴(Pectin), 셀룰로오스(Cellulose), 스클레로튬검(Sclerotium Gum), 구아검(Cyamopsis Tetragonoloba (Guar) Gum), 알지네이트(Alginate), 카라기난(Carrageenan) 및 젤란검(Gellan 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보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및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및 솔비톨(Sorbit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12.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정제수에 제 1 겔화제 및 제 2 겔화제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60 내지 9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혼합물을 10 내지 40℃의 정제수에 적하(drop)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겔화제는, 타라검(Caesalpinia Spinosa Gum),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및 아가(Agar)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겔화제는, 석시노글리칸(Succinoglycan)이고,
    상기 타라검, 상기 로커스트빈검, 상기 아가 및 상기 석시노글리칸은, 1 : 0.3 내지 4 : 0.3 내지 5 : 0.3 내지 4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0151418A 2022-11-14 2022-11-14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KR102543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418A KR102543997B1 (ko) 2022-11-14 2022-11-14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418A KR102543997B1 (ko) 2022-11-14 2022-11-14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997B1 true KR102543997B1 (ko) 2023-06-15

Family

ID=8676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418A KR102543997B1 (ko) 2022-11-14 2022-11-14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9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978A (ko) * 2013-02-25 2015-11-06 로레알 겔-유형 화장용 조성물
KR20170041946A (ko) * 2015-10-07 2017-04-18 주식회사 제닉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978A (ko) * 2013-02-25 2015-11-06 로레알 겔-유형 화장용 조성물
KR20170041946A (ko) * 2015-10-07 2017-04-18 주식회사 제닉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iluo Hu 등, Polymers, 2021, 제13권, 2049번(2021.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chhead The use of polymers in cosmetic products
Kozlowska et al. Carrageenan-based hydrogels: Effect of sorbitol and glycerin on the stability, swelling and mechanical properties
EP2490659B1 (de) Mittel zur temporären verformung keratinhaltiger fasern, enthaltend eine nichtionische, mittels propylenoxid modifizierte stärke und ein chitosan
KR20170028431A (ko) 하이드로겔 조성물
JP2024069222A (ja) 海藻マスクに関する方法、組成物および装置
KR102543997B1 (ko)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WO2011032728A1 (en) Carrageenan mixtures useful as cosmetic ingredients and hair styling gels comprising them
KR101902272B1 (ko) 피부 온도에 감응하여 가변적 투명도를 갖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845967B1 (ko) 소수성 형상 기억 폴리머를 함유하는 수분산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20130035362A (ko) 이수 특성에 따른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하이드로 겔 조성물
CN106619392A (zh) 一种含有仙人掌提取物的保湿面膜
CN109762183A (zh) 一种三偏磷酸钠交联透明质酸凝胶的制备方法及其产品
DE102004020646A1 (de) Schweißabsorbierender Komplex für kosmetische Produkte
KR102543991B1 (ko)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이온 경화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KR20140141577A (ko) 산성화된 펙틴을 지니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DE102017222851A1 (de) Kosmetische Mittel zur temporären Umformung keratinhaltiger Fasern mit Filmbildner
CN113350224A (zh) 一种化妆品用仿真鱼子颗粒及其制备方法
KR20160055990A (ko)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제조방법
KR20130134423A (ko) 칼슘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불투명 하이드로겔 미용팩 조성물
JP7112843B2 (ja) 化粧料
JPH0551311A (ja) 保湿材および皮膚化粧料
CN112626712A (zh) 用于护肤品的具有功能性成分的多糖和蛋白质纳米纤维基质
KR102398721B1 (ko) 식물성 추출물을 담지하는 하이드로겔 플레이크,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875912A (zh) 一种化妆品用水凝胶小球体及其制备方法
WO2020128555A1 (en) Redispersible two-layer cosme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