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946A -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 Google Patents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946A
KR20170041946A KR1020150140982A KR20150140982A KR20170041946A KR 20170041946 A KR20170041946 A KR 20170041946A KR 1020150140982 A KR1020150140982 A KR 1020150140982A KR 20150140982 A KR20150140982 A KR 20150140982A KR 20170041946 A KR20170041946 A KR 20170041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hydrogel
hydrogel composition
weight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준
김민석
임성원
박범찬
현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to KR102015014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1946A/ko
Publication of KR20170041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겔화 고분자,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 다가알코올, 피부유효성분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이수 현상이 조절 및 방지되어 하이드로겔의 수분 유지력 및 함수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그 결과 피부 밀착감 및 사용감이 개선되고, 나아가 하이드로겔 제품의 생산 및 유통 시 하이드로겔과 이형 필름이 밀리는 현상이 저감되어 제품 제조 공정 및 유통 과정에서의 경제성도 향상된다.

Description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HYDROGEL COMPOSITION HAVING HIGH MOISTURE CONTENT AND HYDROGEL PA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 이수 조절 기능을 갖는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높은 함수율을 유지할 수 있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겔(Hydrogel)은 고함수 특성을 갖는 물질로서, 이에 함유된 물질의 전달을 제어할 수 있는 특성이 있으며, 의학, 제약 및 그 외 높은 함수율 특성이 요구되는 화장품 등과 같은 관련된 분야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최근 화장품 분야에서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팩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의 통상적인 마스크 팩의 경우 피부 부착성이 좋지 않고, 초기에 고농도의 화장료 성분이 피부와 접촉함으로써 과도한 피부자극의 우려도 있었으나, 이러한 문제점을 유발하지 않는 하이드로겔을 이용하여 팩의 보습 및 영양 공급을 향상시킨 시트 타입의 마스크 팩으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하이드로겔 제품은 이형 필름 사이에 하이드로겔 매트리스 층을 형성하여 시트 형태로 제조 및 유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과정에서 종래의 하이드로겔은 하이드로겔 매트릭스로부터 유출된 이수물에 의해 표면이 미끄러워지고, 질감 측면에 변형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하이드로겔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이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하이드로겔의 표면 특성과 유출된 이수물에 의해 이형 필름과 하이드로겔 매트리스 층이 밀리는 경향이 있어 제조 수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불량품 발생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하이드로겔의 이수 특성과 그 결과 변경되는 표면 특성으로 인해 이형 필름과의 밀착 상태가 좋지 않게 되어, 하이드로겔 제품을 적절한 형태와 크기로 성형하는 과정에서의 제조 수율이 현저히 떨어짐은 물론 보관 및 유통 시에도 여러 관련 문제점들을 일으키게 된다.
나아가, 이와 같은 이수 현상이 발생되면, 하이드로겔로부터 유출된 수분은 쉽게 공기 중으로 증발되어 버리므로,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 시 보습력이 떨어지거나 또는 초기 이수 현상으로 인해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저하되므로 최종적으로는 피부 유효 성분의 전달성이 저하되고, 보습력 및 촉감도 함께 저하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한편, 한국특허공개 제2000-33230호는 이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체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아이오타 카라기난 등의 천연 고분자 물질을 함유하도록 구성되어 이수 방지 기능을 갖는 수성 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조성물은 인체에 적용하기 위한 용도가 아닌 방향제 및 탈취제에 적용하기 위한 용도로 제조된 것으로, 이러한 용도에 적합한 강도, 탄력 및 이수 효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셀룰로오즈, 셀룰로오즈 유도체 등의 겔 보조제를 사용한바 있다.
따라서, 피부에 대한 적용에 적합하도록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의 이수 현상을 조절 또는 방지함으로써 수분 유지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종래보다 밀착감이 높아져 하이드로겔이 피부로부터 흘러내리지 않으며, 하이드로겔 제품 생산 및 유통 시 하이드로겔이 필름 사이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제공되는 경우 관련 분야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이수 현상이 조절 및 방지된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겔화 고분자,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 다가알코올, 피부유효성분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겔화 고분자 0.1 내지 10 중량%,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 0.05 내지 0.3 중량%, 다가알코올 10 내지 30 중량%, 피부유효성분 0.05 내지 10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겔화 고분자는 고분자는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커스트 빈 검, 플루로닉,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검, 타마린드검, 타라검, 카라야검 및 젤란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겔화 고분자는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커스트 빈 검 및 플루로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물에 용해 가능한 다당류 고분자인 가지형 겔화 고분자 0.05 내지 5중량%; 및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검 및 젤란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다당류의 전해질 고분자인 전해형 겔화 고분자 0.05 내지 5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는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 및 2개 이상의 불포화 에틸렌 결합기를 가진 가교 결합제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제조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1)에서 Z는 수소원자 또는 R5-O-CO-(여기서, R5는 수소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이고, Y는 탄소수 1~20의 알킬렌옥시기이며,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이고,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를 나타며, m은 1~20의 정수이고, n은 2~5의 정수이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및 자일리톨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유효 성분은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볼롤,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레티놀아세테이트, 비타민 A, D, E, 및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추출물은 알로에, 녹차, 인삼, 홍삼, 진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누에, 달팽이 점액, 카카두플럼, 카무카무, 야사이야자, 스쿠알란, 캐비어, 브로콜리, 블루베리, 위치하젤, 아세로라, 클로렐라, 망고스틴, 구아바, 산수유, 당근, 카페인, 하마멜리스, 스피룰리나, 연어알, 감태, 자이언트켈프, 곤포, 마치현, 파래, 우뭇가사리, 뽕 나무 뿌리, 라즈베리, 산딸기, 톳, 모자반, 에델바이스, 카모마일, 라벤더,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레몬밤, 오레가노, 티트리, 황금, 어성초, 산자나무 및 유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보존제, 향료, 산화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 발명의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을 포함하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이 제공된다.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은 두께가 0.01 내지 1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는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제조된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는 레이온 망목 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은 적어도 하나의 이형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이수 현상이 조절 및 방지되어 하이드로겔의 수분 유지력 및 함수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그 결과 피부 밀착감 및 사용감이 개선되고, 나아가 하이드로겔 제품의 생산 및 유통 시 하이드로겔과 이형 필름이 밀리는 현상이 저감되어 제품 제조 공정 및 유통 과정에서의 경제성도 향상된다.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하이드로겔 팩의 경우 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하이드로겔 팩의 경우 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하이드로겔 팩의 경우 밀림 현상이 발생함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수 현상이 조절 및 방지된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겔화 고분자,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 다가알코올, 피부유효성분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겔화 고분자 0.1 내지 10 중량%,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 0.05 내지 0.3 중량%, 다가알코올 10 내지 30 중량%, 피부유효성분 0.05 내지 10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겔화 고분자 0.5 내지 7 중량%,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 0.1 내지 0.25 중량%, 다가알코올 15 내지 25 중량%, 피부유효성분 2 내지 5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겔화 고분자는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커스트 빈 검, 플루로닉,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검, 타마린드검, 타라검, 카라야검 및 젤란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겔화 고분자는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커스트 빈 검 및 플루로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물에 용해 가능한 다당류 고분자인 가지형 겔화 고분자 0.05 내지 5중량%; 및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검 및 젤란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다당류의 전해질 고분자인 전해형 겔화 고분자 0.05 내지 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겔화 고분자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겔의 형태 유지는 가능하지만 겔화가 불충분하여 겔의 강도가 저하되고 유연성 및 탄력성이 낮아질 수 있고, 상기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지므로 제조 공정상 어려움이 있고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전해형 겔화 고분자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약 20℃ 내외의 상온에서,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의 온도에서 겔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가지형 겔화 고분자는 온도 상승 시 예를 들어 체온 부근인 약 30 초과 내지 40℃에서 유동 상태로 변하여 피부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구조 내에 갖는 카보머인 것으로, 상기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는 0.05 내지 0.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화합물의 함량이 0.05중량% 미만인 경우 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있어서 이수 조절 및 방지 효과가 불충분하며, 상기 함량이 0.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이드로겔의 점도가 과도하게 증가하므로 생산 효율이 떨어지고 하이드로겔의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는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 및 2개 이상의 불포화 에틸렌 결합기를 가진 가교 결합제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제조되는 공중합체인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Z는 수소원자 또는 R5-O-CO-(여기서, R5는 수소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이고, Y는 탄소수 1~20의 알킬렌옥시기이며,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이고,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를 나타며, m은 1~20의 정수이고, n은 2~5의 정수이다.
상기와 같은 공중합체는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와 같이 언급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공중합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세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단량체로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이다. 상기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α,β-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α,β-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에는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크로톤산(crotonic), 아크릴옥시프로페논산(acyloxypropenoic acid) 등의 1염기산 또는 말레산(male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이타콘산(itaconic acid)의 2염기산 등이 있으며, 이들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는 단량체를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와 혼합한 것을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라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기 화학식 (2)는 상기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에 40~99.9% 범위가 적당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55~99.9%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구조식에서 L은 수소원자 또는 R8-O-CO-이고, 상기 R8은 수소원자, 탄소 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 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또는
Figure pat00007
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r은 1~10의 정수이다. 또한, R6은 수소원자, 탄소수 1~5의 알킬기, 할로겐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R7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프로필 아크릴레이트(propyl acrylate),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isoprop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isobutyl acrylate), 옥틸 아크릴레이트(octyl acrylate), 헵틸 아크릴레이트(heptyl acrylate), 데실 아크릴레이트(decyl acrylate),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isodecyl acrylate), 라우릴 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stearyl acrylate), 베헤닐 아크릴레이트(behenyl acrylate), 멜리실 아크릴레이트(melissyl acrylate) 및 이에 대응되는 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고, 이들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단량체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Z는 수소 원자 또는 R5-O-CO- 이고, 상기 R5는 수소 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 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이며, Y는 탄소 수 1~20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낸다. 또한,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수 1~5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다른 기로서, 수소원자, 탄소 수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m은 1~20의 정수이고, n은 2~5의 정수이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는 예를 들면,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4-((메타)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5-((메타)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6-((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에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프로필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부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히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히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 중에서 "((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 등은 아크릴로일옥시에틸과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등을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표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흡수성 및 생체 적합성의 점에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2-(methacryloyloxy)ethyl-2'-(trimethylammonio)ethylphosphate, 2-메타클리로일옥시에틸포스폴린콜린(2-methacryloyloxyethylphosphorylcholine)이라고도 함, 이하, MPC로 약칭함]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 내에서 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 의 함량은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 당 0.1~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 당 0.5~10 중량부인데, 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의 함량이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 당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공중합체의 보습성 및 생체 적합성이 미비하고,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물질의 함량이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 당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공중합체의 증점 효능이 더 이상 증가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결합제는 2개 이상의 불포화 에틸렌 결합기를 가진 적어도 1종의 가교 결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가교 결합제는 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와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가교 결합시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가 넓은 pH 범위 및 염의 존재하에서도 안정적인 증점 효과를 가지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가교결합제는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와 라디칼 중합 반응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acrylate),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부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butylene glycol diacrylate), 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헥실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hexylene glycol diacrylate), 헥실렌 클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hexylene glycol dimethacrylate),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acrylate),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알릴 아크릴레이트(allyl acrylate), 알릴 메타크릴레이트(allyl methacrylate), 메타알릴 아크릴레이트(methallyl acrylate), 알릴 에타크릴레이트(allyl ethacrylate), 에타알릴 아크릴레이트(ethallyl acrylate), 메타알릴 메타크릴레이트(methallyl methacrylate), 디알릴 프탈레이트(diallyl phthalate), 디알릴 말레이트(diallyl maleate), 디알릴 석시네이트(diallyl succinate), 트리아릴 포스페이트(triallyl phosphate), 디알릴 옥살레이트(diallyl oxalate), 디알릴말로네이트(diallyl malonate), 디알릴 시트레이트(diallyl citrate), 디알릴 푸마레이트(diallyl fumarate), 디비닐 벤젠(divinyl benzene), 트리비닐 벤젠(trivinyl bezene), 비닐 크로토네이트(vinyl crotonate),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N,N-methylene-bis-acrylamide),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알릴 에테르(trimethylolpropane diallyl ether)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알릴 에테르(trimethylolpropane triallyl ether), 디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diallyl pentaerythritol ether), 트리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triallyl pentaerythritol ether), 테트라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tetraallyl pentaerythritol ether), 디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diallyl sucrose ether), 트리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triallyl sucrose ether), 또는 테트라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tetraallyl sucrose ether), 펜타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pentaallyl sucrose ether), 헥사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hexaallyl sucrose ether) 등이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교 결합제의 함량은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 당 0.01~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 당 0.05~1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 당 0.1~5 중량부인데, 가교 결합제의 함량이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 당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공중합체의 증점 효과가 미비하고, 가교 결합제의 함량이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00 중량부 당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공중합체의 일부가 물에 스웰링되지 못하여 효능이 저하되는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상업적으로 Phosphomer CEM 510 KC, Phosphomer ST 610 KC, Phosphomer ES 110KC, Cabopol 980, Cabopol 981, Cabopol 941, Pemulen TR-1, Pemulen TR-2, Aqupec 등의 상품명으로 입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유기 용제를 반응 매질로 사용하는 현탁 중합, 역상 에멀젼 중합, 침전 중합 또는 물을 반응 매질로 사용하는 용액 중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이들 중합 방법은 일반적으로 라디칼 중합 반응을 이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서 침전 중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반응기에 유기 용매,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를 첨가하고 용해시킨 후, 불활성 기체로 퍼지하고 약 50~90℃로 승온시키면서 다시 불활성 기체로 퍼지한다. 이후 가교 결합제 및 중합 개시제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를 약 50~90℃로 승온된 반응기에 첨가한 후 약 3~10시간 동안 중합반응시킨다. 중합반응이 완료되면 공중합체는 침전되는데, 여과 후 약 70~110℃에서 감압 증발에 의해 유기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백색의 분말 형태인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공중합체의 제조는 바람직하게는 질소, 이산화탄소, 또는 헬륨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행해진다. 유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교 결합제를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는 예를 들면 톨루엔, 벤젠, 시클로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n-헥산, 메틸 에틸 케톤 등이 있으며,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1개 이상의 유기 용매를 적당량 혼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면 1:99에서 99: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유기용제 하에서의 라디칼 반응은 일정 사이즈 이상의 사슬 성장(propagation)이 일어나게 되며, 성장한 고분자가 사용한 유기용제의 극성 값에 따라서 유기용제에 녹지 않고 침전되면서 중합반응이 종결(termination)된다. 이러한 고분자 사슬의 길이를 혼합용매의 혼합 비율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멀젼 중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라디칼 중합개시제는 , 예를 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Azobisdimethylvaleronitrile) 등과 같은 아조 개시제,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라우로일퍼옥사이드(Lauroyl peroxide), 포타지움퍼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di(2-ethylhexyl)peroxydicarbonate], 디(sec-부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di(sec-butyl)peroxydicarbonate],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di(isopropyl)peroxydicarbonate], 디(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di(cyclohexyl)peroxydicarbonate], 디(세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di(cetyl)peroxydicarbonate],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di(n-propyl)peroxydicarbonate] 등과 같은 퍼옥시카보네이트 등이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상업적인 상품으로는 Dupont사의 Vazo 52, Vazo 64, Vazo 67, Vazo 88 등이 있고, 개시제의 선택은 개시제의 각 온도별 반감기(Half life time)와 유기 용매의 끓는점(Boiling point) 등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공중합체의 0.5 중량% 수용액은 pH 7.0에서 점도가 1,000~500,000 센티포이즈(centipoise, 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본 발명의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상기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는 화장품의 점성, 부피, 농도 등을 증가시켜 화장품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넓은 pH영역에서도 점증 효과를 가지며 매우 투명하게 점증이 가능하고, 낮은 농도에서도 점증 효과가 우수하여, 투명 화장품 제조 시에 매우 적합한 점증제이다.
본 발명과 같은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를 사용하는 경우 하이드로겔에 잔류하고 있는 보습제와 수분의 손실을 줄이는 작용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피부에 대해 보다 오랜 시간 동안 부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피부의 수분 손실을 줄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이수 현상을 조절함으로써 하이드로겔이 팩으로 구현되어 양면에 이형 필름이 배치되는 경우 이형 필름과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밀림 현상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는 예를 들어, (a) α,β-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b)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4-((메타)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5-((메타)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6-((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에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프로필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부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펜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헥실-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히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부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 히드록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 에틸포스포릴에틸)프말레이트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 및 (c)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헥실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헥실렌 클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메타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에타크릴레이트, 에타알릴 아크릴레이트, 메타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프탈레이트, 디알릴 말레이트, 디알릴 석시네이트,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디알릴 옥살레이트, 디알릴말로네이트, 디알릴 시트레이트, 디알릴 푸마레이트, 디비닐 벤젠, 트리비닐 벤젠, 비닐 크로토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알릴 에테르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알릴 에테르, 디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 트리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 테트라알릴 펜타에리쓰리톨 에테르, 디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 트리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 테트라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 펜타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 및 헥사알릴 수크로오스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2개 이상의 불포화 에틸렌 결합기를 가진 가교 결합제를 포함하여 단량체로부터 제조되는 공중합체인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Z는 수소원자 또는 R5-O-CO-(여기서, R5는 수소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이고, Y는 탄소수 1~20의 알킬렌옥시기이며,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이고,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를 나타며, m은 1~20의 정수이고, n은 2~5의 정수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에 있어서, 포스포릴콜린 유사기과 카보머에 해당하는 부의 중량비는 1.5-2.5 : 98.5-97.5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범위 내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경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점도 및 강도를 획득할 수 있고, 나아가 우수한 이수 제어 효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가 알코올은 하이드로겔에 흐름성을 부여함으로써, 하이드로겔이 피부에 밀착되고 미용제 또는 약제 등의 유효 성분이 피부에 침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가 알코올로는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류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및 및 자일리톨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성분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가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다가알코올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분의 휘산이 발생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겔화 고분자의 분산이 저해될 수 있고,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성이 과도하게 증가하고, 원료 단가의 상승으로 인해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및 자일리톨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유효 성분은 피부에 대한 주름 개선, 피부 미백, 자외선 차단, 노화 방지, 수분 공급, 탄력 증가 등의 효과를 갖는 미용 성분, 및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피부에 유효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부 유효 성분은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볼롤,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레티놀아세테이트, 비타민 A, D, E, 및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추출물은 알로에, 녹차, 인삼, 홍삼, 진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누에, 달팽이 점액, 카카두플럼, 카무카무, 야사이야자, 스쿠알란, 캐비어, 브로콜리, 블루베리, 위치하젤, 아세로라, 클로렐라, 망고스틴, 구아바, 산수유, 당근, 카페인, 하마멜리스, 스피룰리나, 연어알, 감태, 자이언트켈프, 곤포, 마치현, 파래, 우뭇가사리, 뽕 나무 뿌리, 라즈베리, 산딸기, 톳, 모자반, 에델바이스, 카모마일, 라벤더,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레몬밤, 오레가노, 티트리, 황금, 어성초, 산자나무 및 유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유효성분은 전체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유효성분이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부미용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물은, 물을 추가하여 전체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100 중량%가 되도록 '잔부의 물'로써 포함되고, 상기 물은 바람직하게는 정제수인 것이다.
나아가, 상기 본 발명의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보습제, pH조절제, 오일, 안정화제, 에멀젼화제, 착색제, 보존제, 향료, 산화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보존제, 향료, 산화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첨가될 수 있는 상기 보존제는 메틸 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카프릴글라이콜,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파라벤, 펜탄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1,2-헥산디올, 카프릴글리콜트로포론, p-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3-트리플루오로메틸-4,4‘-디클로로카바바닐라이드, 및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본 발명의 전체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 발명의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을 포함하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이 제공된다.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의 제조는 예를 들어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각 성분을 혼합하여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지지체에 도포하여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고, 후속적으로 -10 내지 5℃의 온도에서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이 형성된 고함수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가 70℃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쉽게 점토가 엉기는 등 교반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90℃을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일부 화장료 성분이 휘발되거나 안정성이 떨어지는 제가 있다.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혼합 공정은 교반 등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지지체에 도포하여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공정은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도포, 딥코팅, 롤코팅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은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 상에 적층되거나, 지지체가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지지체에 함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지지체 상에 함침되는 경우 물리적으로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이 지지체와 구분되지 않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에 있어서 편의를 위해 이를 별도의 고함수 하이드로겔 층으로 지칭한다.
한편, 상기 냉각시키는 단계가 -10 ℃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마스크가 얼어서 부서지는 문제가 있으며, 5℃을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코팅된 조성물의 냉각이 불충분한 제가 있다. 상기 냉각시키는 단계는 30분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정에 의해 획득된 본 발명의 고함수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은 상기 본 발명의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 및 적어도 일면에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이 형성되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은 두께가 0.01 내지 10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가 0.01 mm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유효 성분 등을 충분하게 포함할 수 없어 이들로부터 도출되는 유효한 효과가 피부에 이들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두께가 과도하게 얇아 쉽게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10m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이 과도하게 두꺼워지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떨어지고,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이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은 사용된 물질과 각 물질의 농도에 따라 총 두께의 조절이 가능하나, 예를 들어 0.1 내지 2 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0.3 mm 내지 0.7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고함수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 사용될 수 있는 지지체는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제조된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합성 섬유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타디엔, 폴리아마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락틱에시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테르(PS),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 Propylene, OPP),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 propylene CPP),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거나 나일론, 레이온 섬유 등일 수 있고, 상기 천연 섬유는 실크, 면, 마, 모, 종이, 펄프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체는 레이온 망목 직물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층이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 되기에 보다 적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지지체는 0.1 내지 5mm인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필름은 망사(메쉬) 시트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두께가 0.1mm 미만인 경우에는 보관, 운반 및 사용 과정에서 지지체가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두께가 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지나치게 두꺼워지므로 얼굴에 밀착, 부착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고함수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은 얼굴, 눈밑, 볼, 턱, 목 등 신체 부위에 적합하게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여 최종적인 형태의 팩을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체에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층이 형성된 후 하이드로겔 조성물 층의 적어도 일면에 이형필름을 추가로 포함하여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을 보호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층의 양면에 이형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이형필름의 재질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이형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어떠한 재질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이드로겔 팩의 제조
실시예 1
3l용기에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정제수에 천연 고분자 물질을 첨가하고 60℃로 승온한 후, 그 용액을 60℃로 유지시키면서 나머지 물질들을 첨가하였다. 이들 물질 중 피부 미용 성분을 가장 마지막에 첨가한 후 30분간 교반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획득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레이온 망목 시트 지지체 상에 1mm 두께로 코팅한 다음 펄 필름과 PET 필름 사이에 합지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여 하이드로겔 팩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Pemulen TR-1을 0.3 중량%의 양으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하이드로겔 팩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하이드로겔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중량%)
실시예 2
(중량%)
비교예 1
(중량%)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 Phosphomer ES 110KC
0.3
Pemulen TR-1
0.3
0
카라기난 0.5 0.5 0.5
로커스트 빈 검 0.9 0.9 0.9
알긴 0.1 0.1 0.1
만난 0.1 0.1 0.1
글리세린 20 20 20
달팽이점액 5 5 5
아데노신 0.02 0.02 0.02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0.1 0.1 0.1
마치현 추출물 0.1 0.1 0.1
메틸파라벤 0.2 0.2 0.2
향료 0.01 0.01 0.0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2. 하이드로겔 팩의 밀림 현상 평가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하이드로겔 팩을 각각 파우치에 밀봉한 후 상하로 3회 흔든 후, 파우치 내 하이드로겔 조성물 층과 이형 필름 사이의 밀림 현상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서 획득한 하이드로겔 팩의 경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이드로겔 조성물 층과 이형 필름 사이에 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실시예 2에서 획득한 하이드로겔 팩의 경우에도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이드로겔 조성물 층과 이형 필름 사이에 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에서 획득한 하이드로겔 팩의 경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이드로겔 조성물 층과 이형 필름 사이에 밀림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 유통 시 하이드로겔 팩의 형태가 제대로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4)

  1. 겔화 고분자,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 다가알코올, 피부유효성분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겔화 고분자 0.1 내지 10 중량%,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 0.05 내지 0.3 중량%, 다가알코올 10 내지 30 중량%, 피부유효성분 0.05 내지 10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 고분자는 고분자는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커스트 빈 검, 플루로닉,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검, 타마린드검, 타라검, 카라야검 및 젤란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 고분자는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커스트 빈 검 및 플루로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물에 용해 가능한 다당류 고분자인 가지형 겔화 고분자 0.05 내지 5중량%; 및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검 및 젤란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다당류의 전해질 고분자인 전해형 겔화 고분자 0.05 내지 5중량%을 포함하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릴콜린 유사기를 포함하는 카보머는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포스포릴콜린계 단량체, 및 2개 이상의 불포화 에틸렌 결합기를 가진 가교 결합제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제조되는 공중합체인,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0

    (화학식 (1)에서 Z는 수소원자 또는 R5-O-CO-(여기서, R5는 수소원자,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0의 히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이고, Y는 탄소수 1~20의 알킬렌옥시기이며,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이고,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6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 탄화수소기를 나타며, m은 1~20의 정수이고, n은 2~5의 정수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및 자일리톨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유효 성분은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볼롤,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레티놀아세테이트, 비타민 A, D, E, 및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추출물은 알로에, 녹차, 인삼, 홍삼, 진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누에, 달팽이 점액, 카카두플럼, 카무카무, 야사이야자, 스쿠알란, 캐비어, 브로콜리, 블루베리, 위치하젤, 아세로라, 클로렐라, 망고스틴, 구아바, 산수유, 당근, 카페인, 하마멜리스, 스피룰리나, 연어알, 감태, 자이언트켈프, 곤포, 마치현, 파래, 우뭇가사리, 뽕 나무 뿌리, 라즈베리, 산딸기, 톳, 모자반, 에델바이스, 카모마일, 라벤더,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레몬밤, 오레가노, 티트리, 황금, 어성초, 산자나무 및 유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보존제, 향료, 산화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10.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
    을 포함하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층은 두께가 0.01 내지 10 mm인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로 제조된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레이온 망목 직물인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은 적어도 하나의 이형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KR1020150140982A 2015-10-07 2015-10-07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KR20170041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982A KR20170041946A (ko) 2015-10-07 2015-10-07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982A KR20170041946A (ko) 2015-10-07 2015-10-07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946A true KR20170041946A (ko) 2017-04-18

Family

ID=5870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982A KR20170041946A (ko) 2015-10-07 2015-10-07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194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9871A (zh) * 2018-05-04 2018-07-24 杨恒智 一种抗皱保湿锁水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08379168A (zh) * 2018-05-03 2018-08-10 杜铭 一种植物修复角质层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102256234B1 (ko) * 2020-11-19 2021-05-26 (주)진코스텍 이수패턴 조절 충전액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58395B1 (ko) * 2020-12-17 2021-06-21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하이드로겔, 이를 이용한 바이오 글루코즈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57635A (ko) * 2021-05-21 2022-11-29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투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RU2787238C1 (ru) * 2020-11-19 2022-12-30 Джинкостек Ко., Лтд. Гидрогелевый пластырь, включающий аддитивный раствор, регулируемый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характера синерезис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KR102543997B1 (ko) * 2022-11-14 2023-06-15 한국콜마주식회사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9168A (zh) * 2018-05-03 2018-08-10 杜铭 一种植物修复角质层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8309871A (zh) * 2018-05-04 2018-07-24 杨恒智 一种抗皱保湿锁水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2256234B1 (ko) * 2020-11-19 2021-05-26 (주)진코스텍 이수패턴 조절 충전액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패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2108018A1 (ko) * 2020-11-19 2022-05-27 (주)진코스텍 이수패턴 조절 충전액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패치 및 그 제조방법
RU2787238C1 (ru) * 2020-11-19 2022-12-30 Джинкостек Ко., Лтд. Гидрогелевый пластырь, включающий аддитивный раствор, регулируемый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характера синерезис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KR102258395B1 (ko) * 2020-12-17 2021-06-21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하이드로겔, 이를 이용한 바이오 글루코즈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57635A (ko) * 2021-05-21 2022-11-29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투습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KR102543997B1 (ko) * 2022-11-14 2023-06-15 한국콜마주식회사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1946A (ko) 고함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함수 하이드로겔 팩
Yegappan et al. Carrageenan based hydrogels for drug delivery, tissue engineering and wound healing
Zhang et al. Zein-based films and their usage for controlled delivery: Origin, classes and current landscape
DE69630253T2 (de) Füllmaterial für implantierbare Prothesen aus Weichgewebe und Implantate daraus
KR101506621B1 (ko) 인시츄 형성된 하이드로겔 상처 드레싱 및 생체물질 그리고 그들의 사용
KR101582660B1 (ko) 방사선을 이용한 콜라겐 함유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
AU2003295428B2 (en) Shape-retentive hydrogel particle aggregates and their uses
KR101474210B1 (ko) 스티키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6842A (ko)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AU2008225167A1 (en) Method of formation of viscous, shape conforming gels and their uses as medical prosthesis
KR101768710B1 (ko) 주름개선 기능성을 갖는 속눈썹 연장시술용 패치 제조방법
KR101782591B1 (ko) 즉각적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07419A (ko) 화장품 팩용 겔 시트
KR101440318B1 (ko) 피부용 패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용 패치의 제조방법
KR20180058641A (ko) 보습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US20070212419A1 (en) Synthesis of biocompatible nanocomposite hydrogels as a local drug delivery system
Reddy Alginates-A seaweed product: it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KR102078334B1 (ko) 시트리스 하이드로겔 필름 및 그 이의 제조 방법
EP2692336B1 (en) Externally used drug kit
KR102110141B1 (ko)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KR20150005972A (ko)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들을 포함하는 겔형 부정형체 및 상기 겔형 부정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262261B1 (ko) 수분산성 고분자 나노캡슐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JP5430146B2 (ja) 身体貼付用シート剤
KR20160127551A (ko) 마스크팩 시트용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CN106137932A (zh) 一种去角质嫩肤保湿美容凝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